KR101022496B1 -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496B1
KR101022496B1 KR1020100115651A KR20100115651A KR101022496B1 KR 101022496 B1 KR101022496 B1 KR 101022496B1 KR 1020100115651 A KR1020100115651 A KR 1020100115651A KR 20100115651 A KR20100115651 A KR 20100115651A KR 101022496 B1 KR101022496 B1 KR 10102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oppet
air
block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기
최종수
신기섭
Original Assignee
홍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기 filed Critical 홍창기
Priority to KR102010011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배관 및 방수배관이 펌프 및 물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펌프의 작동에 따라 물탱크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소방수 배관 내의 잔여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당 에어 배출장치에 의하면, 진압수가 흡수배관으로 흡수되어 방수배관을 통해 방수될 때의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급작스런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진압수가 소방 호스를 통해 배출될 때 울컥거림 현상을 제거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배수를 위해 행해지는 장치의 많은 추가 조작을 필요 없게 하여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Discharging apparatus of residual air inside firewater pipe}
본 발명은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펌프의 흡수배관 및 방수배관 내부에 잔류하는 에어를 신속히 배출하여 소방수의 배출 시의 배출 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차량 및 건물에 설치되어서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전 시스템은 진압수를 저장하는 물탱크가 설치되고 그 주변에는 동력으로 작동되는 펌프, 상기 펌프의 작동을 통해 물이 흡수되는 흡수배관 및 흡수된 물이 방수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방수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화재발생시 긴급출동을 요하는 소방차량은 항상 그 후미의 물탱크에 진압수를 가득 저장하여 두는데, 통상적으로 차량 자체 동력으로 가동되는 펌프를 이용하여 흡수배관을 통해 물탱크로 진압수를 저장하고, 반대로 물탱크 내의 진압수를 방수할 때에는 방수배관을 통해 배출한다.
이와 같이 물탱크 내의 진압수는 펌프의 작동을 통해서 흡수배관을 거쳐 흡수되어 개폐밸브의 개방에 따라 방수배관을 통해 방수되어지는데, 상기 진압수가 방수배관으로 방수된 후에는 개폐밸브를 닫음과 동시에, 그리고 그를 닫기 전에 방수배관 내부로 외부 에어가 유입되고 그 유입된 에어는 이후 방수배관, 펌프 및 흡수배관 내부에 그대로 잔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수·방수배관 등의 내부에 에어가 잔존되면, 차기 진압수의 방수시 흡수·방수배관 내에 잔존하고 있는 에어가 먼저 배출되고 난 다음에 진압수가 배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진압수의 초기 방수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로써, 초기 화재 진압을 원활히 달성할 수 없다.
또한, 흡수·방수배관 내에 잔존하는 에어는 진압수가 흡수되어 배출되기 위해 이동할 때 그의 이동압과 만나 압력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방수시 갑작스런 압력 상승으로 인한 소방 호스의 울컥거림 및 심한 요동침 등을 유발하여 소방관 및 건물관리자 등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일으키고 조작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초기 방수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펌프 작동을 위한 RPM을 올리거나 흡수구, 중계구 또는 방수구 밸브를 최대한 개방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그와 같이 조치한다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해소되지 않으며, 오히려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고 당황하게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압수가 흡수배관으로 흡수되어 방수배관을 통해 방수될 때 지연시간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급작스런 압력상승을 방지하여 진압수가 소방 호스를 통해 배출될 때 울컥거림 현상을 제거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배수를 위해 행해지는 장치의 많은 추가 조작을 필요 없게 하여 진압수의 방수 시간을 단축하고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는, 흡수배관(2) 및 개폐밸브(6)가 설치된 방수배관(4)이 펌프(1) 및 물탱크(3)에 연결되어서 상기 펌프(1)의 작동에 따라 물탱크(3)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는 소방수 배수 시스템에서의 배관 내의 잔여 에어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에는, 상기 펌프(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상기 펌프(1)가 작동할 때에는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부의 잔여 에어가 에어 배출관(15)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 후에 소방수 배관(5)을 통해서 유동하는 소방수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되는 에어 배출기(1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 배출기(100)는, 내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소방수 배관(5)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와,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의 에어가 내부 통과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 배출부(14)와, 중앙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부에 있는 에어가 배출되게 하는 에어 배출관(15)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16)를 갖는 블럭(10); 상기 블럭(10)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서 제2 연결부(1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포핏(20); 상기 블럭(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포핏(20)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포핏(20)의 상하이동을 조장하는 탄성 스프링(30); 상기 블럭(10)의 원통형상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며, 중앙부에 에어가 유동되게 하는 통공(42)이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40); 상기 블럭(10)의 내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7)에 설치되어서 상기 포핏(20)의 이탈을 방지해주며, 상기 블럭(10)의 내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7)에 설치되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4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부재(50); 및 상기 포핏(2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40)의 통공(42)에 관통 삽입되어서 상기 포핏(20)의 상하 직선이동을 돕는 가이드 봉(6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블럭(10)은 내부에 절단원추형상 수용부(11)를 구비하고, 상기 포핏(20)은 상기 수용부(11)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원추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를 장착하여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소방용 흡수배관 및 방수배관 내부의 잔여 공기의 신속한 배출로 인하여 소방수의 방수시 지연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소방수를 방수할 때, 급작스런 압력 상승으로 인한 소방 호스의 울컥거림 등의 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소방수의 신속한 배수를 위해 행해지는 장치의 많은 추가 조작을 필요 없게 하여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소방수 배출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에 대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가 소방수 배수 시스템에 장착된 상태에 대한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가 소방수 배수 시스템에 장착된 상태에 대한 외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펌프의 작동 전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각각 펌프의 작동 초기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의 작동 상태 및 펌프의 작동 초기 이후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소방수(진압수)를 배수하는 소방수 배수 시스템을 살펴보면, 화재발생시 전원을 온으로 하여 펌프(1)를 작동시키면, 상기 펌프(1) 및 물탱크(3)에 연결된 흡수배관(2)을 통해서 물이 흡수되어 이동되며 방수배관(4)의 개폐밸브(6)가 개방에 의해 흡수 이동되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부에는 잔류 에어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에 잔류하는 에어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잔여 에어 배출장치를 구현하였다.
구현된 잔여 에어 배출장치는, 상기 펌프(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상기 펌프(1)가 작동할 때에는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부의 잔여 에어가 에어 배출관(15)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한 후에 소방수 배관(5)을 통해서 유동하는 소방수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 배출기(100)인 것으로서, 상기 에어 배출기(100)가 바람직하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각각에 구비되게 하였다.
상기 에어 배출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10), 포핏(20), 탄성 스프링(30), 이탈방지부재(40), 지지부재(50) 및 가이드 봉(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럭(10)은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진 소방수 배관(5) 및 에어 배출관(15)의 형상을 고려하여 그의 내부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으나 다양한 내부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블럭(10)의 일측에는 소방수 배관(5)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가 구비되고, 그 대향되는 타측에는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의 에어가 내부 통과 후 최종적으로 대기로 배출되는 에어 배출부(14)가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부에 있는 잔여 에어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관(15)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1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12) 및 제2 연결부(16) 내측은 각각 소방수 배관(5) 및 에어 배출관(15)이 나사산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게 하였으나, 후크나 클립 등의 다양한 연결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블럭(10)의 내부에는 다음에 기술될 포핏(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와, 이탈방지부재(40) 및 지지부재(50)가 끼워져서 결합되게 하는 고정홈(17)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1)의 형상은 포핏(20)이 블럭(10)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형합 수용하기만 한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포핏(20)은 블럭(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도 5 내지 도 6b 참조).
즉, 상기 포핏(20)은 다음에 기술될 탄성 스프링(30)에 의해 탄발되어 상향 이동되며, 소방수의 이동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된다.
상기 포핏(20)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서,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부에 잔존하는 에어가 펌프(1)의 작동 전이나 펌프(1)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부에 남아 있는 잔여 에어는 펌프(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 대기와 연통되어 외부로 배기될 수 있고, 또한 펌프(1)의 작동 초기에 포핏(20)이 하향 이동되기 전까지는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상기 펌프(1)가 작동하지 않을 때나 펌프(1)의 작동 초기에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의 잔여 에어는 방수배관(4)의 끝단부까지 이동하기 전에 그 도중에 설치된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신속히 배출되기 때문에 펌프(1)의 작동에 따른 소방수가 신속하면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의해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을 통과하는 소방수의 배출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방 호스의 울컥거림과 심한 요동침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핏(20)의 형상은 블럭(10)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11) 형상에 대응하여, 즉 형합된 상태로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비록, 도면에서는 상기 포핏(20)의 형상을 블럭(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부(11)와 동일하게 절단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10) 내부에서 용이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30)은 블럭(10)의 내부에 수용되고 포핏(20)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포핏(20)의 상하이동을 조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 스프링(30)은 펌프(1)의 작동에 따라 소방수가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을 통해서 이동될 때 이동하는 소방수의 가압력에 의해 포핏(20)이 하향 이동되어 압축(도 6b 참조)되기 전까지 포핏(20)을 상향 이동시키는 탄발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스프링(30)은 다음의 이탈방지부재(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0)는 블럭(10)의 원통형상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바람직하게는 내벽에 형성된 고정홈(17)에 설치되어서 탄성 스프링(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도 2 참조).
상기 이탈방지부재(40) 상에는 내부 통과하는 에어가 통과하도록 관통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42)이 구비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재(40)가 고정홈에 끼워져 설치되지 않을 때는 다음에 기술될 지지부재(50)에 의해 지지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블럭(10) 내부의 상하부에서 고정홈(17)에 끼워져 결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 링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블럭(10) 내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7)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부재(50)는 포핏(20)의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블럭(10) 내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7)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부재(50)는 이탈방지부재(40)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탄성 스프링(30) 및 이탈방지부재(40)가 하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봉(60)은 포핏(20)의 중앙부에 결합되고 탄성 스프링(30)의 내측에 끼워져 구비되며 이탈방지부재(40)의 통공(42)에 관통 삽입되어서 포핏(20)의 상하 직선이동을 돕고 탄성 스프링(30)의 원활한 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 봉(60)이 이탈방지부재(40)의 통공(42)에 유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고, 이에 의해 탄성 스프링(30)이 작동함에 따라 이동하는 포핏(20)의 상하 이동시 일직선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해 주게 된다.
상기한 에어 배출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펌프(1)의 작동에 따라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에 잔류하는 에어가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 배출됨과 함께 소방수도 이동하여 바로 연이어 에어 배출기(1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소방수가 에어 배출기(100)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펌프(1)의 작동시,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잔여 에어가 배출 완료된 후 소방수가 포핏(20)을 눌러 에어 배출기(100) 내부 통로를 폐쇄함으로써, 소방수는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않고 방수배관(4)을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펌프(1)가 작동되기 전의 흡수배관(2)과 방수배관(4)에 각각 연결된 에어 배출기(100)의 작동 상태를 도 5를 통해서 살펴보면, 이때에는 블럭(10) 내부의 수용부(11)에 수용된 포핏(20)이 탄성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향 이동된 상태로서 내부 통로가 개방되어 잔류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배관(2)과 방수배관(4) 내부의 잔여 에어는 외부 공기와 동등한 수준의 압력 상태인 대기압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펌프(1)의 작동시, 흡수배관(2)과 방수배관(4)에 각각 연결된 에어 배출기(100)의 작동 상태를 도 6a 및 도 6b를 통해서 살펴보면, 상기 흡수배관(2)과 방수배관(4)을 통해서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수가 유동하게 되고, 그 소방수의 유동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이 소방수 배관(5)을 통해서 포핏(20)의 상부에 부딪히면서 그를 가압한다.
그러나, 상기 소방수가 포핏(20)을 본격적으로 가압하기 전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의 잔여 에어가 펌프(1) 내부를 거쳐 방수배관(4)의 끝단부로 이동하기 전에 그 도중에 설치된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배출되며, 즉 펌프(1)의 작동 개시에 따라 흡수되는 소방수 유동압에 의해 흡수배관(2) 및 방수배관(4) 내의 잔여 에어가 가압 이동되어 먼저 도중에 설치된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에 펌프 작동에 따라 내부의 잔여 에어가 소방수에 밀려 방수배관의 끝단부까지 그대로 유동된 후 배출되는 것과 대비하면, 도중에서 신속하게 잔여 에어가 배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잔여 에어가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배출된 후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수 배관(5)을 따라 유동하는 소방수가 포핏(20)을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포핏(20)이 하강함과 동시에 탄성 스프링(30)이 압축되고, 동시에 포핏(20)은 에어 배출관(15)이 연결된 제2 연결부(16)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1)의 작동에 따라서 소방수는 에어 배출기(100)를 통해서 외부로 거의 배출됨 없이 그리고 잔여 에어의 포함없이 흡수 배관(2)을 거쳐 방수배관(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소방 호스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1)의 작동이 완료되면, 물론 포핏(20)은 탄성 스프링(3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 이동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펌프 2: 흡수배관
3: 물탱크 4: 방수배관
5: 소방수 배관 6: 개폐밸브
10: 블럭 11: 수용부
12: 제1 연결부 14: 에어 배출부
15: 에어 배출관 16: 제2 연결부
17: 고정홈 20: 포핏
30: 탄성 스프링 40: 이탈방지부재
42: 통공 50: 지지부재
60: 가이드 봉 100: 에어 배출기

Claims (3)

  1. 흡수배관(2) 및 개폐밸브(6)가 설치된 방수배관(4)이 펌프(1) 및 물탱크(3)에 연결되어서 상기 펌프(1)의 작동에 따라 물탱크(3)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는 소방수 배수 시스템에서의 배관 내의 잔여 에어를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에는, 상기 펌프(1)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게 하며, 상기 펌프(1)가 작동할 때에는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부의 잔여 에어가 에어 배출관(15)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 후에 소방수 배관(5)을 통해서 유동하는 소방수의 가압력에 의해 폐쇄되는 에어 배출기(100)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 배출기(100)는,
    내부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소방수 배관(5)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12)와, 대향되는 타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의 에어가 내부 통과 후에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 배출부(14)와, 중앙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흡수배관(2) 및 상기 방수배관(4) 내부에 있는 에어가 배출되게 하는 에어 배출관(15)이 연결되는 제2 연결부(16)를 갖는 블럭(10);
    상기 블럭(10)의 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서 제2 연결부(1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포핏(20);
    상기 블럭(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포핏(20)의 하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포핏(20)의 상하이동을 조장하는 탄성 스프링(30);
    상기 블럭(10)의 원통형상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며, 중앙부에 에어가 유동되게 하는 통공(42)이 구비되는 이탈방지부재(40);
    상기 블럭(10)의 내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17)에 설치되어서 상기 포핏(20)의 이탈을 방지해주며, 상기 블럭(10)의 내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7)에 설치되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 및 상기 이탈방지부재(40)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지지부재(50); 및
    상기 포핏(2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탄성 스프링(3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40)의 통공(42)에 관통 삽입되어서 상기 포핏(20)의 상하 직선이동을 돕는 가이드 봉(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10)은 내부에 절단원추형상 수용부(11)를 구비하고,
    상기 포핏(20)은 상기 수용부(11)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원추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KR1020100115651A 2010-11-19 2010-11-19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KR10102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51A KR101022496B1 (ko) 2010-11-19 2010-11-19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51A KR101022496B1 (ko) 2010-11-19 2010-11-19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496B1 true KR101022496B1 (ko) 2011-03-16

Family

ID=4393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651A KR101022496B1 (ko) 2010-11-19 2010-11-19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196B1 (ko) * 2015-05-13 2015-10-28 이석근 내부 잔류용수 배출 기능을 갖는 지상 소화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02A (ko) * 2001-05-21 2002-11-29 (주)원봉 에어벤트
JP2003139083A (ja) * 2001-08-22 2003-05-14 Yoshitani Kikai Seisakusho:Kk 消防用ポンプの自動揚水構造
JP2004202093A (ja) * 2002-12-26 2004-07-22 Yoshitani Kikai Seisakusho:Kk 消防用ポンプの自動揚水構造
KR200425999Y1 (ko) * 2006-06-27 2006-09-19 주식회사 아이엠코리아가스보일러 다기능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702A (ko) * 2001-05-21 2002-11-29 (주)원봉 에어벤트
JP2003139083A (ja) * 2001-08-22 2003-05-14 Yoshitani Kikai Seisakusho:Kk 消防用ポンプの自動揚水構造
JP2004202093A (ja) * 2002-12-26 2004-07-22 Yoshitani Kikai Seisakusho:Kk 消防用ポンプの自動揚水構造
KR200425999Y1 (ko) * 2006-06-27 2006-09-19 주식회사 아이엠코리아가스보일러 다기능 에어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196B1 (ko) * 2015-05-13 2015-10-28 이석근 내부 잔류용수 배출 기능을 갖는 지상 소화전
WO2016182381A1 (ko) * 2015-05-13 2016-11-17 이석근 내부 잔류용수 배출 기능을 갖는 지상 소화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218B1 (ko) 철도차량용 화재 수신기 및 소화시스템
KR101792767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CL2007003798A1 (es) Sistema de supresion de incendio para una freidora de alimentos, comprende una cuba freidora y una tapa, donde las boquillas para dirigir el agente de supresion, se encuentran dispuestas de forma de poder suprimir un incendio en una posicion totalmente abierta de la tapa y en una posicion cerrada pero no trabada de la tapa en dicha cuba freidora.
JP4495832B2 (ja) 差圧式開放弁および開放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101022496B1 (ko)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KR20160012232A (ko) 화재 진압용 스프링 쿨러의 수압 검사 방법 및 수압검사용 검사수단
KR101799245B1 (ko)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JP2005185807A (ja) 消火器
KR100802158B1 (ko) 소방용 커플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시스템
KR20220165954A (ko) 옥내 소화전 밸브 개폐구
CN108815775B (zh) 室内消防栓
KR101537525B1 (ko)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KR101894322B1 (ko) 소화방재구조물 및 서지압력제어방법
KR102628627B1 (ko) 소공간용 자동 소화장치
US10071272B2 (en) Firefighting installation including a network of vacuum sprinklers which can be tripped by an actuator comprising a piston and being controlled by a master actuator
KR200212995Y1 (ko)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CN202078683U (zh) 安全释压装置
JP500462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044358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20180028006A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CN212679914U (zh) 一种多用途移动式灭火装置
JP2014090890A (ja) 流水検知装置及び該流水検知装置を備えた消火設備
CN213572175U (zh) 一种多功能消防栓
KR101799246B1 (ko) 소화전 밸브 잠금 장치
KR101875572B1 (ko) 실내용 간이소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