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702A -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702A
KR20020088702A KR1020010027551A KR20010027551A KR20020088702A KR 20020088702 A KR20020088702 A KR 20020088702A KR 1020010027551 A KR1020010027551 A KR 1020010027551A KR 20010027551 A KR20010027551 A KR 20010027551A KR 20020088702 A KR20020088702 A KR 2002008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unger
fixing member
air vent
fix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911B1 (ko
Inventor
김영돈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01002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911B1/ko
Publication of KR2002008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0Pressure-related systems for filters
    • B01D2201/204Systems for applying vacuum to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0Pressure-related systems for filters
    • B01D2201/204Systems for applying vacuum to filters
    • B01D2201/208Systems for applying vacuum to filters by venturi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필터가 충진되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공 보다 넓은 하측 유입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밀착부의 내측에 플런져가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 유입공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유동홈에 삽입된 채 수압에 의하여 상부로 밀착되는 플런져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 유입공에 삽입되어 플런져의 상승으로 제1고정부재의 통공을 밀폐시키는 러버패킹으로 이루어져 정수기의 사용 도중에 생수통이 파손되거나 훼손되어 저수통에 물이 넘쳐 정수기 내에 설치된 기기들을 파손시키게 될 경우에 저수통의 급수밸브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저수통에 수용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정수기 본체의 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벤트{Air Vent}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 적용되는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수기의 워터가드 일측에 공기의 유입과 물의 역류 방지를 위한 출몰식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인 생수 공급으로 신뢰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정수기 내부의 기기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통 내의 충입된 물을 냉수 혹은 온수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적절히 인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수기는 생수통에서의 원할한 물의 공급을 유도하기 위해 대부분 워터가드 일측에 소정의 에어벤트를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에어벤트는 생수통과 정수기와의 긴밀한 결합으로 외부의 공기유입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수기의 냉수조에 물이 가득 차 있을 경우 이와 연결되어 있는 생수통과는 상호 압력의 차가 같게 되어 당연 생수통에서는 더 이상의 물이 공급될 수 없고, 물이 빠져 압력에 차이가 발생되면 그 차이만큼 생수통에서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는데, 이때 물이 빠지는 만큼 상대적으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야만 생수통 내의 부피 변화가 유발되지 않아 체적 축소에 따른 생수통의 파손이나 균열이 방지되고 누수 역시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벤트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워터가드의 소정 위치에 작은 통공형식으로 제공되며, 이물질과 유해물의 투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공에 부직포나 스펀지를 내삽하여 필터로서의 역할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생수통이 여러가지 이유로 파손되거나 혹은 일부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그간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생수통 내에 외부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과도한 물이 배출됨으로 냉수조를 거쳐 온수조쪽에서 부터 물이 역류될 경우가 충분히 예상되고, 이 경우 역류하는 물은 생수통 입구의 긴밀한 밀폐에 따라 부득이 전술한 통공형식의 에어벤트를 통해 배출될 수 밖에 없어 결국 정수기의 내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에 심각한 손상을 야기시키거나 혹은 오동작을 유발케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역류하는 물이 정수기의 내부로 여과없이 유입되어 각종 구성부품에 손상을 줄 수 없도록 출몰식 에어벤트를 워터가드 일측에 설치함으로 생수통의 파손이나 균열로 인한 물의 과도한 배출과 또 이로 인한 역류시 수위의 상승은 출몰식 에어벤트의 공기유입로를 차단하는 플런져를 밀어올리게 되어 워터가드 내에서의 만수위는 더 이상 생수통에서의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정수기의 사용을 가능케 한 에어벤트를 제공함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벤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에어벤트의 작동상태 단면도인바,
(a)는 에어벤트가 개방된 평소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만수시 에어벤트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제1고정부재 31: 필터
32: 공기 유입공 33: 하측 유입공
34: 고정홈 35: 통공
40: 제2고정부재 41: 고정돌기
42: 유동홈 43: 걸림턱
44: 유입공 45: 체결부
46: 패킹 47: 너트
50: 플런져 51: 외벽
52: 내벽 60: 러버 패킹
61: 외측 밀착부 62; 내측 밀착부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필터가 충진되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공 보다 넓은 하측 유입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밀착부의 내측에 플런져가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 유입공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유동홈에 삽입된 채 수압에 의하여 상부로 밀착되는 플런져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 유입공에 삽입되어 플런져의 상승으로 제1고정부재의 통공을 밀폐시키는 러버패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벤트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벤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벤트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벤트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에어벤트는 정수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2)의 하단에 커버(2)와 같은 형상으로 생수통(1)의 하중을 받치는 링탑(3)을 설치하고, 생수통(1)으로 부터 저수통(4)으로 내려가는 물의 관로 역할을 하도록 상부에는 링탑(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물의 유출시에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결합링(10)을 체결하여 밀폐시키며, 제1워터가드(5)의 하부에는 밀폐링(11)을 끼워 제2워터가드(7)를 결합시킨 다음 제3워터가드(8)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1워터가드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9)에는 본 발명의 에어벤트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에어벤트는 제1고정부재(30)에는 상부측에 필터(31)를 충진시켜 외부의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에어벤트를 통하여 저수통(4)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 유입공(32)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유입공(32)의 하부에는 제2고정부재(40)를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하측 유입공(33)을 공기 유입공(32) 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또한 하측 유입공(33)에는 제2고정부재(40)의 고정돌기(41)가 끼워져 제2고정부재(40)를 안착시키는 고정홈(34)을 형성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의 공기 유입공(32)과 하측 유입공(33) 사이에는 통공(35)을 형성하여 필터(31)를 통과한 공기가 제1워터가드(5)로 유입되도록 하며, 통공(35)은 공기 유입공(32)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여 필터(31)를 충진하게 되면 필터(31)가 걸리는 걸림턱의 역할도 하게 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40)는 제1고정부재(30)의 하측 유입공(33)에 삽입되는 상부의 내면에 플런져(50)가 상하 자유자재로 수직운동을 하도록 유동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홈(42)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턱(43)을 형성하여 플런져(50)가 안착되게 한다. 또한 제2고정부재(40)는 유동홈(42)과 연결되는 유입공(44)을 형성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40)의 외주연에는 제1고정부재(30)의 고정홈(34)에 결합되는 고정돌기(41)를 다수개 형성하여 제2고정부재(40)가 제1고정부재(3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고, 제2고정부재(40)의 하부에는 급수밸브(5)에 체결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45)를 형성한다.
상기 플런져(50)는 제2고정부재(40)에 형성된 유동홈(42)에 삽입되어 상하로수직운동 되도록 유동홈(42)과 일정 간극을 유지하는 외벽(51)으로 형성하고, 상기 외벽(51)의 내측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내벽(52)을 형성하되 내벽의 상부측은 폐쇄된 형태로 형성하며, 외벽(51)과 내벽(52)은 다수개의 리브로 연결한다.
상기 플런져(50)의 내벽(52)은 러버패킹(60)의 내측 밀착부(6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내측 밀착부(62) 보다 크게 형성하여 플런져(50)를 통해 러버 패킹(60)의 내측 밀착부(62)의 중공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한다.
상기 러버 패킹(60)은 제1고정부재(40)의 하측 유입공(33)에 밀착되도록 외측 밀착부(61)를 형성하고, 외측 밀착부(61)로 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켜 내측 밀착부(62)를 형성하되, 내측 밀착부(62)의 직경은 제1고정부재(40)의 통공(35) 보다는 크게 형성하며 플런져(50)의 내경(52)보다는 직경을 작게 형성한다.
또한, 러버 패킹(60)은 내측 밀착부(62)와 외측 밀착부(61)를 연결하는 평판에 다수개의 구멍(63)을 형성하고, 내측 밀착부(62)는 외측 밀착부(61)의 수평면으로 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플런져(50)가 밀착된 후에 러버 패킹(60)의 탄성력으로 플런져(50)가 하향으로 내려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에어벤트는 제1고정부재(30)의 하측 유입공(33)에 러버 패킹(60)을 통공(35)의 저면에 삽입하여 밀착시킨 다음 플런져(50)를 제2고정부재(40)의 유동홈(42)에 삽입시켜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40)를 결합하되 제1고정부재(30)에 형성된 고정홈(34)에 제2고정부재(40)의 고정돌기(41)를 끼워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40)를 결합한다.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40)에 삽입된 러버 패킹(60)의 외측밀착부(61)는 제2고정부재(40)에 의하여 제1고정부재(30)와 밀착되는 상태로 제2고정부재(40)의 고정돌기(41)가 제1고정부재(30)의 고정홈(34)에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에어벤트는 제2고정부재(40)에 형성된 체결부(45)에 패킹(46)을 삽입하여 정수기 본체의 급수밸브(5)에 인서트시켜 급수밸브(5)의 하부에서 너트(47)를 체결하여 에어벤트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에어벤트는 정수기 커버(2)의 상부에 결합되는 생수통(1)의 사용 도중에 생수통(1)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 또는 훼손이 발생하게 되면 생수통(1)에 수용된 물이 저수통(5)으로 흘러 내려 저수통(4)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제2고정부재(40)의 유입공(44)을 통해 에어벤트 내로 유입되게 된다.
에어벤트로 유입된 물은 유동홈(42)의 플런져(5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고 러버 패킹(60)의 외측 밀착부(61)는 제1고정부재(30)와 제2고정부재(40)를 밀착시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러버 패킹(60)의 내측 밀착부(62)는 플런져(50)와 공기 유입공(32)을 밀착시켜 물이 공기 유입공(32)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저수통(4)에 수용된 물이 정수기 본체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게 된다.
또한, 저수통(4)에 수용된 물을 제거시키게 되면 에어벤트에 유입된 물은 저수통(4)으로 내려가게 되고 러버 패킹(60)을 상부로 밀착시킨 플런져(50)는 러버 패킹(60)의 탄성과 플런져(50)의 자중에 의하여 유동홈(42)의 걸림턱(43)으로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정수기의 사용 도중에 생수통이 파손되거나 훼손되어 저수통에 물이 넘쳐 정수기 내에 설치된 구성부품들을 파손시키게 될 경우에 저수통의 제1워터가드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저수통에 수용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고, 생수통으로 부터 저수통으로 유입되는 물이 저수통에 가득차게 되면 에어벤트의 플런져가 에어벤트를 밀폐시켜 역류되는 물을 일정한 압력상태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필터가 충진되는 공기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공 보다 넓은 하측 유입공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와, 밀착부의 내측에 플런져가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하는 유동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 유입공에 삽입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유동홈에 삽입된 채 수압에 의하여 상부로 밀착되는 플런져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하측 유입공에 삽입되어 플런져의 상승으로 제1고정부재의 통공을 밀폐시키는 러버패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러버패킹은 중앙부를 저면으로 경사지게 하여 플런져를 하부로 밀어내리는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KR1020010027551A 2001-05-21 2001-05-21 에어벤트 KR100584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551A KR100584911B1 (ko) 2001-05-21 2001-05-21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7551A KR100584911B1 (ko) 2001-05-21 2001-05-21 에어벤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87U Division KR200242652Y1 (ko) 2001-05-21 2001-05-21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702A true KR20020088702A (ko) 2002-11-29
KR100584911B1 KR100584911B1 (ko) 2006-06-07

Family

ID=27705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551A KR100584911B1 (ko) 2001-05-21 2001-05-21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9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69B1 (ko) * 2005-12-14 2007-05-10 이성근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0806386B1 (ko) * 2007-03-23 2008-02-27 (주)유성특수산업 여과기 구조
KR100859067B1 (ko) * 2007-06-08 2008-09-17 이성근 공기 여과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022496B1 (ko) * 2010-11-19 2011-03-16 홍창기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CN114272658A (zh) * 2021-12-31 2022-04-05 青岛品品好食品发展有限公司 海藻过滤浓香花生油加工设备及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469B1 (ko) * 2005-12-14 2007-05-10 이성근 온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0806386B1 (ko) * 2007-03-23 2008-02-27 (주)유성특수산업 여과기 구조
KR100859067B1 (ko) * 2007-06-08 2008-09-17 이성근 공기 여과기능을 가지는 냉온수기
KR101022496B1 (ko) * 2010-11-19 2011-03-16 홍창기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CN114272658A (zh) * 2021-12-31 2022-04-05 青岛品品好食品发展有限公司 海藻过滤浓香花生油加工设备及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911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7220A1 (en) Flowing-down rainwater filtration device and rain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109975A (ko) 수냉각기 저수조의 자동 밸브 어셈블리
KR20020088702A (ko) 에어벤트
KR20080022965A (ko) 물통 연결장치
KR200242652Y1 (ko) 에어벤트
CN201065564Y (zh) 自封防返溢地漏
JP3587610B2 (ja) フロートバルブ装置
KR20050017917A (ko) 냉 온수기
KR200372943Y1 (ko) 냉온수기
CA2582631A1 (en) Tank vent pallet
JP4001964B2 (ja) 油水分離装置
CN212078132U (zh) 一种管路阻隔器
KR200484932Y1 (ko) 변기 세정제 공급장치용 역류방지 밸브체
JP3909890B2 (ja) 混合流体分離器
JP3909891B2 (ja) 油水分離装置
KR200239926Y1 (ko) 다중밀폐식 하수도용 공기밸브
JP4001967B2 (ja) 油水分離装置
JP3909893B2 (ja) 油水分離装置
KR101250484B1 (ko) 냉온수기
CN213926548U (zh) 一种马桶排水增速结构
KR100830594B1 (ko)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KR200327577Y1 (ko) 흡배기밸브
CN115944212A (zh) 储水装置、净饮机
JP3909892B2 (ja) 油水分離装置
KR200146444Y1 (ko)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