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444Y1 -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444Y1
KR200146444Y1 KR2019970009142U KR19970009142U KR200146444Y1 KR 200146444 Y1 KR200146444 Y1 KR 200146444Y1 KR 2019970009142 U KR2019970009142 U KR 2019970009142U KR 19970009142 U KR19970009142 U KR 19970009142U KR 200146444 Y1 KR200146444 Y1 KR 200146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refrigerator
buck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453U (ko
Inventor
김상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09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4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냉장고에 설치된 워터 디스펜서의 작동레버를 밀면 밸브가 위로 올라가면서 물이 토출관으로 흘러나오게 되고, 작동레버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가 하강하여 배출구를 막게 되는데 수압이 클 경우 미세한 누수가 발생하여 물받이통이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 과 같이 워터 디스펜서의 물통의 상부에 형성된 기존의 통기용홀에 상광하협 형상의 에어용 밸브(20)를 설치하고, 그 하측은 물을 배출하는데 사용한 기존 밸브(18)의 상단 중앙에 연결봉(22)을 일체로 연결하여 작동레버를 밀어 물통(30)의 물을 배출해낼 때 에어용 밸브(20)가 동시에 상승하고, 밀어 넣었던 작동레버를 놓으면 통기용홀(11)을 에어용 밸브(20)가 막아 공기가 물통에 흡입되지 않고, 물통의 대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동레버를 밀어 물통의 물을 컵으로 받은 후 놓았을 때 수압에 의해 물이 밸브와 배출판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터 디스펜서가 장치된 냉장고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서는 냉장실내에 물저장통을 내장하고 전면 도어에 워터 디스펜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컵등의 용기로서 워터 디스펜서의 작동레버를 밀면서 컵을 토출구 아래에 위치시키면 토출구를 통해 물저장통의 냉수가 컵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냉장고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의 상부에 냉동실 도어(2)가 설치되고, 하부에 냉장실 도어(3)가 설치되며, 냉장실 도어(3)의 전면 일측에는 냉수를 직접 토출시켜 마실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워터 디스펜서(4)를 통해 냉수가 토출되는 원리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개략적으로 표현된 바와 같다.
즉, 먼저 컵으로 작동레버(5)를 밀게 되면 배출구(10)를 막았던 밸브(8)가 위로 올라가면서 물통(6)의 물이 토출관(7)을 따라 흘러나오게 되고, 밀었던 작동레버(5)를 놓으면 눌려졌던 스프링(9)이 팽창되면서 밸브(8)가 배출구(10)를 막아 물이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물통(6)의 상부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기용홀(11)이 형성되어 물통(6)에 채워진 물이 토출관(7)을 따라 흘러 내릴 때 대기압이 작용되어 원활히 잘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물통(6)의 하부에는 밸브(8)를 받쳐주는 배출판(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판(15)의 하부에는 물이 흘러내리는 토출관(7)이 부착되어 있고, 밸브(8)는 배출판(15)의 중심부에 천공된 배출구(10)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물통(6)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물에 잠입되는 것으로 물통(6)의 물을 흘러내리거나 잘 막기 위해 위는 넓고 아래에 갈수록 좁은 즉 상광하협으로 형성된 것으로, 측면의 경사진 면으로 배출구(10)를 막아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8)의 하측에는 일정한 길이의 승강봉(13)이 일체로 형성되어 토출관(7)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승강봉(13)의 중간부위에는 지지판(12)이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판(12)의 외주면은 토출관(7)의 내벽에 밀착되어 있고, 지지판(12)의 상면과 배출판(15)의 하면에 접하여 스프링(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12)에는 홀(14)이 형성되어 배출구(10)로 유출된 물이 홀(14)을 통해 흘러내리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봉(13)의 하단부에는 작용대(16)가 형성되고, 작용대(16)의 하부에는 상기 작동레버(5)의 단부가 접하여 놓여져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작동레버(5)를 우측으로 밀어 넣으면 작동레버(5)가 지지봉(17)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그 단부가 작용대(16)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밸브(8)가 배출판(15)에 이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판(15)의 배출구(10)로 물통(6)의 물이 아래로 흘러 내리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냉장고에 설치된 워터 디스펜서의 작동레버(5)를 밀면 밸브(8)가 위로 올라가면서 물이 토출관(7)으로 흘러나오게 되고, 작동레버(5)를 놓으면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8)가 하강하여 배출구(10)를 막게 되는데 수압이 클 경우 미세한 누수가 발생하여 물받이통이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냉장고에 설치된 워터 디스펜서가 지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워터 디스펜서가 장치된 냉장고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워터 디스펜서의 물통의 상부에 형성된 기존의 통기용홀에 상광하협 형상의 에어용 밸브를 설치하고, 그 하측은 물을 배출하는데 사용한 기존 밸브의 상단면 중앙에 연결봉을 일체로 연결하여 작동레버를 밀어 물통의 물을 배출해낼 때 동시에 에어용 밸브도 상승하고, 밀어 넣었던 작동레버를 놓으면 통기용홀을 에어용 밸브가 막아 공기가 물통에 흡입되지 않아 물통의 대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동레버를 밀어 물통의 물을 컵으로 받은 후 놓았을 때 수압에 의해 물이 밸브와 배출판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워터 디스펜서가 설치된 냉장고의 전면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종래 워터 디스펜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물통 누수 방지장치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물통, 8 - 밸브,
10 - 배출구, 11 - 통기용홀,
20 - 에어용 밸브, 22 - 연결봉,
24 - 밀봉판.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물통(6)의 상부에 통기용홀(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10)가 형성된 배출판(15)이 설치되며, 배출구(10)에는 승강되는 밸브(8)이 설치된 냉장고용 물통 누수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8)의 상면에 상방으로 일정한 길이의 연결봉(22)이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용홀(11)을 관통하는 연결봉(22)의 상부에는 에어용 밸브(20)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에어용 밸브(20)의 측면이 밀봉판(24)에 접할 수 있도록 이루어 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에어용 밸브(20)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물통(6)에 설치된 밸브(8)와 연결봉(2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밸브(8)가 승강될 때 동시에 에어용 밸브(20)도 승강된다.
상기 에어용 밸브(20)의 전체적인 외형은 밸브(8)와 유사하게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어용 밸브(20)가 하강하여 경사진 측면이 밀봉판(24)의 측면에 접촉되었을 때 외부의 공기가 물통(6)의 내측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이다.
그리고 밀봉판(24)의 재질은 에어용 밸브(20)가 밀착되었을 때 접촉되는 면끼리 견고히 접하도록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용 밸브(20)로 통기용홀(11)을 막아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때 물통(6)의 상부면과 수면사이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일정한 압력이 형성되고, 이상태에서 물이 배출구(10)로 누수 발생시 압력이 떨어져 대기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누수가 억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동레버를 밀어 넣으면 작용대가 올라가면서 공기가 통하는 통기용홀과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막고 있던 밸브를 들어올리므로 공기가 통기용홀을 통해 물통으로 흡입됨과 더불어 물이 토출관을 통해 방출되는데 이때 물통의 수압이 큰 경우에도 통기용홀을 막아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물이 토출관을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물통(6)의 상부에 통기용홀(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10)가 형성된 배출판(15)이 설치되며, 배출구(10)에는 승강되는 밸브(8)이 설치된 냉장고용 물통 누수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8)의 상면에 상방으로 일정한 길이의 연결봉(22)이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용홀(11)을 관통하는 연결봉(22)의 상부에는 에어용 밸브(20)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에어용 밸브(20)의 측면이 밀봉판(24)에 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KR2019970009142U 1997-04-29 1997-04-29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KR200146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42U KR200146444Y1 (ko) 1997-04-29 1997-04-29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42U KR200146444Y1 (ko) 1997-04-29 1997-04-29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53U KR19980064453U (ko) 1998-11-25
KR200146444Y1 true KR200146444Y1 (ko) 1999-06-15

Family

ID=1949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142U KR200146444Y1 (ko) 1997-04-29 1997-04-29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98B1 (ko) 2007-09-21 2009-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898B1 (ko) 2007-09-21 2009-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53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397B2 (en) Automatic valve assembly for a water cooler reservoir
JP5130802B2 (ja) 水洗便器
US2425070A (en) Air eliminator
EP1836943A2 (en) Anti-flood safety system for a dishwasher
SE9801416L (sv) Tryckbehållare för satsvis gassättning av vätska
KR200146444Y1 (ko) 냉장고용 물통 누수 방지 장치
KR20080022965A (ko) 물통 연결장치
KR101881003B1 (ko) 충진 노즐
MX165565B (es) Dispositivo de control del flujo de refrigerante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CN211739378U (zh) 冷风扇的自动引流装置以及冷风扇
ES2186200T3 (es) Conjunto que comprende un envase flexible con un dispositivo dosificador y dispositivo dosificador de dicho conjunto.
EP3568359A1 (en) Stopper assembly, use of a stopper assembly
KR20060122478A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JP2005162225A (ja) 液溜め室付き容器
JP2005350985A (ja) 給水装置の負圧破壊装置
KR200256469Y1 (ko)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냉온수기
CN111140958A (zh) 冷风扇的自动引流装置以及冷风扇
KR20020088702A (ko) 에어벤트
KR200225456Y1 (ko) 디스펜서 용기
JP2007170367A (ja) サイホン式ポンプ自動停止装置
US3290022A (en) Trap devices
KR19980064460U (ko) 워터 디스펜서
JPH06117003A (ja) 芳香脱臭洗浄液滴下装置
CN115900207A (zh) 饮水机组件及具有其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