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456Y1 - 디스펜서 용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456Y1
KR200225456Y1 KR2020000036103U KR20000036103U KR200225456Y1 KR 200225456 Y1 KR200225456 Y1 KR 200225456Y1 KR 2020000036103 U KR2020000036103 U KR 2020000036103U KR 20000036103 U KR20000036103 U KR 20000036103U KR 200225456 Y1 KR200225456 Y1 KR 200225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ents
piston rod
container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연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연우
Priority to KR2020000036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8Vacuum chambers acting like spr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9)와, 상기 용기부(9)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3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하단에 흡입구(38)가 형성된 하우징(32)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상단에 결합된 버튼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작동되는 피스톤로드(24)과, 상기 피스톤로드(24)의 하단에 구비되어 반복적인 펌핑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28)과, 하우징(32)의 흡입구(38)에 구비되어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첵밸브(40)를 포함하며, 상기 첵밸브(40)는 대략 하단부가 확장된 봉상으로 되어 그 상단은 피스톤로드(24)의 저면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스프링(28)의 하단부에 의해 탄지되어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 용기{dispenser}
본 고안은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디스펜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부(9)와, 이 용기부(9)의 상단에 결합되어 용기부(9)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핌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펌핑부(14)는 용기부(9)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11)과, 이 캡(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토출공(2)이 형성된 버튼(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캡(11)의 내부에는 수직하향 연장된 하우징(7)가 마련되며, 이 하우징(7) 내부에는 버튼(1)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진공압을 발생시켜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피스톤로드(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7)의 하단부에는 볼(6)에 의해 개폐되는 유입구(12)가 마련되며, 이 유입구(12)와 피스톤로드(3) 사이에는 피스톤로드(3)을 상향지지해주는 스프링(5)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1)을 승강작동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게 되면, 하우징(7)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되고, 이 진공압에 의해 볼(6)이 들려지면서 용기부(9)에 저장된 내용물이 하우징(7)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하우징(7)와 용기부(9)의 내부압력이 동일하게 되면, 상기 볼(6)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하우징(7)의 흡입구(12)를 막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는 볼(6)의 자중에 의해 하우징(7)의 유입구(12)가 개폐되므로 내용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내용물에 의해 볼이 부유되어 볼(6)과 흡입구(12) 사이에 갭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에 의해 하우징(7) 내부로 유입되었던 내용물이 용기부(9)로 역류되어 하우징(7)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따라서 다음번 사용시 내용물을 유출시키기 위해서는 하우징(7)에 유입된 공기가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다수회 펌핑을 계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볼(6)이 정위치를 이탈하여 하우징(7)의 내벽에 부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펌핑이 이루어지지 않아 디스펜서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첵밸브에 의해 하우징 내부의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되어 하우징로 유입된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공타수(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 펌핑수)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디스펜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버튼 11. 캡
24. 피스톤로드 28. 스프링
30. 펌핑부 32. 하우징
38. 흡입구 40. 첵밸브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9)와, 상기 용기부(9)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3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하단에 흡입구(38)가 형성된 하우징(32)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상단에 결합된 버튼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작동되는 피스톤로드(24)과, 상기 피스톤로드(24)의 하단에 구비되어 반복적인 펌핑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28)과, 하우징(32)의 흡입구(38)에 구비되어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첵밸브(40)를 포함하며, 상기 첵밸브(40)는 대략 하단부가 확장된 봉상으로 되어 그 상단은 피스톤로드(24)의 저면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스프링(28)의 하단부에 의해 탄지되어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디스펜서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부(9)와, 이 용기부(9)의 상단 개구부(8) 결합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펌핑부(30)는 용기부(9)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11)과, 이 캡(1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토출공(19)이 형성된 버튼(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캡(11)의 내부에는 수직하향 연장된 하우징(32)이 마련되며, 이 하우징(32) 내부에는 상기 버튼(18)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진공압을 발생시켜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피스톤로드(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로드(24)에는 버튼(18)의 토출공(19)과 연통되는 토출로(25)가 형성되는데, 이 피스톤로드(24)의 상단에는 펑핌스템(22)이 구비되어 내용물이 이 펌핑스템(22)을 통해 토출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24)의 저면에는 상향수직되게 소정깊이 함몰된 삽입홈(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의 흡입구(38)에는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첵밸브(40)가 마련되며, 이 흡입구(38)와 피스톤로드(24) 사이에는 피스톤로드(26)을 상향지지하여 반복적인 펌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28)이 개재된다. 이때 상기 첵밸브(40)는 흡입구(38)의 내측면에 안착되는 개폐부(44)와, 이 개폐부(44)에서 상향연장된 연장부(42)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첵밸브(40)의 연장부(42)는 상기 피스톤로드(26)의 삽입홈(29)에 삽입되고 하단의 가압부(44)는 스프링(28)의 하단부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기 버튼(18)을 눌러 펌핑부(30)를 펌핑시키면 하우징(32)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이때 상기 첵밸브(40)의 연장부(42)가 피스톤로드(24)의 삽입홈(29)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첵밸브(40)의 연장부(42)와 삽입홈(29)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버튼(18)을 누르면 피스톤로드(26)가 가압되면서 상기 첵밸브(40)도 함께 가압되어 하우징(32)의 흡입구(38)가 완벽하게 막히게 되고, 이에 따라 내용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토출된다.
이어서 상기 버튼(18)을 눌렸던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28)의 탄성복원력에 상기 피스톤로드(26)가 상승된다. 그리고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첵밸브의 연장부(42)와 삽입홈(29)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첵밸브(40)도 순간적으로 상승되어 하우징(32)의 흡입구(38)가 열리게 되고, 용기부(9)의 내용물이 하우징(32)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첵밸브(40)의 개폐부(44)가 스프링(28)에 의해 하향탄지되어 있으므로 첵밸브(40)는 곧 바로 신속하게 하강되어 하우징(32)의 흡입부(38)를 막게 되므로 하우징(24) 내부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첵밸브(40)가 스프링에 하향탄지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의 점도가 높더라도 하우징(32) 내의 내용물이 역류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피스톤로드(24)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29)을 하우징(32)의 토출로(25)와 연통되게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버튼(18)을 눌러 내용물을 토출시키면 내용물이 버튼(18)의 토출공(19)과 펌핑스템(22) 내부에 잔존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토출공(19)의 내용물이 공기에 의해 굳어져 토출공(19)을 막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18)을 눌렀던 힘을 해제하면 피스톤로드(24)가 상승되면서 순간적으로 첵밸브(40)도 상승되어 첵밸브(40)의 연장부(42)가 피스톤로드(24)의 토출로(25) 내부까지 깊숙이 삽입된 상태가 되었다가 스프링(28)에 의해 빠르게 하강하게 되므로, 상기 삽입홈(29)과 피스톤로드(24)의 토출로(25)가 연통되도록 하면 첵밸브(40)가 상승되었다가 하강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버튼(8)의 토출공(18)과 펌핑스펨(22) 내부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하우징(32) 내부로 재유입되므로 버튼(18)의 토출공(19)이 막힐 우려가 없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스프링(32)에 하향탄지되어 있으므로 하우징(32) 흡입구(38)에 효과적으로 안착될 뿐만 아니라 이 스프링(32)에 의해 상승범위가 규제되므로 흡입구(38)의 개폐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더하여 그 상단이 피스톤로드(24)에 삽입지지되어 작동되므로 그 위치를 이탈할 우려가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첵밸브가 상단은 피스톤로드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스프링에 의해 하향탄지되게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디스펜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프링에 탄지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에 의해 부유되지 않고 실리더의 흡입구 내측면에 안착되어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더하여 첵밸브의 상단이 피스톤로드에 삽입지지되어 작동되므로 그 위치가 이탈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타수를 줄일 수 있어서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고, 용기의 수명이 연장된다.

Claims (1)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9)와, 상기 용기부(9)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펌핑부(30)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30)는 하단에 흡입구(38)가 형성된 하우징(32)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상단에 결합된 버튼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작동되는 피스톤로드(24)과, 상기 피스톤로드(24)의 하단에 구비되어 반복적인 펌핑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28)과, 하우징(32)의 흡입구(38)에 구비되어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첵밸브(40)를 포함하며, 상기 첵밸브(40)는 대략 하단부가 확장된 봉상으로 되어 그 상단은 피스톤로드(24)의 저면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스프링(28)의 하단부에 의해 탄지되어 작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용기
KR2020000036103U 2000-12-22 2000-12-22 디스펜서 용기 KR200225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03U KR200225456Y1 (ko) 2000-12-22 2000-12-22 디스펜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103U KR200225456Y1 (ko) 2000-12-22 2000-12-22 디스펜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456Y1 true KR200225456Y1 (ko) 2001-06-01

Family

ID=7309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103U KR200225456Y1 (ko) 2000-12-22 2000-12-22 디스펜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4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55Y1 (ko) 2010-04-09 2012-04-04 주식회사 정민 화장품용기의 펌프
WO2015108314A1 (ko) 2014-01-15 2015-07-23 (주)연우 노즐 출몰식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55Y1 (ko) 2010-04-09 2012-04-04 주식회사 정민 화장품용기의 펌프
WO2015108314A1 (ko) 2014-01-15 2015-07-23 (주)연우 노즐 출몰식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50367B (da) Fingerbetjent beholderpumpe
US6722855B2 (en) Oil pumping device
US20030035741A1 (en) Manual/pneumatic oil-pumping device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225456Y1 (ko) 디스펜서 용기
US7194857B2 (en) Ventilation valve of hydraulic jack
KR200436957Y1 (ko) 토출된 내용물의 재 흡입이 가능한 디스펜서
CN111372689A (zh) 粉末吐出容器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0406686Y1 (ko)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187929Y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200401451Y1 (ko) 내용물의 혼합구조를 갖는 포장용기
KR200290778Y1 (ko) 디스펜서
KR200169773Y1 (ko) 거품발생기의 공기 밸브장치
KR200295706Y1 (ko) 디스펜서
KR200295748Y1 (ko)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AU2003203910B2 (en) Manual/pneumatic oil pumping device
KR200332099Y1 (ko)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200166433Y1 (ko) 디스펜서펌프
KR200235848Y1 (ko) 디스펜서 용기
KR102125725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295501Y1 (ko) 도립상태에서도 작동가능한 수동식 분사펌프
EP1460026A1 (en) Ventilation valve for a hydraulic jack
KR200161091Y1 (ko) 액상용기의 거품식 토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