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386B1 - 여과기 구조 - Google Patents

여과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386B1
KR100806386B1 KR1020070028866A KR20070028866A KR100806386B1 KR 100806386 B1 KR100806386 B1 KR 100806386B1 KR 1020070028866 A KR1020070028866 A KR 1020070028866A KR 20070028866 A KR20070028866 A KR 20070028866A KR 100806386 B1 KR100806386 B1 KR 10080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ilter
wastewater
upper cylinder
filtering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유성특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특수산업 filed Critical (주)유성특수산업
Priority to KR1020070028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필터망과, 상기 필터망의 상단이 고정되며 필터망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필터망의 상단부 외주면에 접하고 내부에 상부수평막이 마련된 상부원통과, 상기 상부원통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원통과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 1 공간에 연결되는 폐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폐수관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공간에 인입된 폐수는 상기 폐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원통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부원통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경사진 필터망의 상단부를 압박하여 필터망을 팽팽하게 하고, 상기 상부원통의 하방이동으로 상부원통의 상단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벌어진 공간으로 상기 폐수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를 제공한다.
여과기, 필터, 폐수, 하우징, 플레이트

Description

여과기 구조{Water Filter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여과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여과기 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여과기를 세척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폐수관 300: 하우징
500: 정수관 600: 공기펌프
622: 상부원통 654: 하부원통
본 발명은 여과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기 구조에 사용되는 필터망을 별도의 동력없이 팽팽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여과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여과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여과기 구조는 폐수탱크(10)와, 일단이 상기 폐수탱크(10)와 연결된 폐수관(20)과, 상기 폐수관(20)의 타단이 연결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일단이 연결된 정수관(50)과, 상기 정수관(50)의 타단이 인입된 정수탱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폐수관(20)에는 약품관(95)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약품관(95)의 타단은 약품탱크(90)와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필터망(50)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망(50)은 하우징(30)의 상부에 마련된 동력전달부(4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정수탱크(60)에는 세척수관(70)의 일단이 인입되고, 상기 세척수관(70)의 타단은 하우징(30)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30)에는 이물질배출관(80)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 여과기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폐수가 여과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폐수탱크(10)에 저장된 폐수가 폐수관(20)을 통하여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수는 필터망(50)을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며 필터망(50)의 내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폐수는 필터망(50)을 통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면 정수로 바뀌고, 상기 정수는 정수관(50)을 통하여 정수탱크에 저장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약품탱크(90)에서 약품관(95)을 통하여 소정의 약품을 폐수관(20)에 흐르는 폐수에 혼합시킨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40)는 상기의 폐수가 정수되는 과정이 진행되기 전에 필터망(50)이 비틀어진 상태가 되도록 필터망(50)을 비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망(50)은 비틀린 상태가 되어 필터망(50)을 이루는 망의 크기가 좁아져서 필터링의 성능이 우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망(50)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동력전달부(40)에 의하여 필터망(50)의 비틀린 상태를 풀어주어 필터망(50)을 이루는 망의 크기를 크게 한 후에 상기 세척수관(70)을 통하여 정수를 필터망(50) 내부로 유입하면 정수는 필터망(5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망(50)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떼어내고, 상기 이물질은 이물질배출관(8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과기 구조는 필터망(50)을 비틀거나, 비틀린 필터망(50)을 풀어줄 때에 별도의 동력전달부(40)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 소비와 동력전달부(40)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별도의 동력전달부를 설치함이 없이 필터망을 팽팽하게 하거나 팽팽해진 필터망을 느슨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여과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필터망과, 상기 필터망의 상단이 고정되며 필터망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고정부와, 하단이 상기 필터망의 상단부 외주면에 접하고 내부에 상부수평막이 마련된 상부원통과, 상기 상부원통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원통과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 1 공간에 연 결되는 폐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폐수관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공간에 인입된 폐수는 상기 폐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원통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부원통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경사진 필터망의 상단부를 압박하여 필터망을 팽팽하게 하고, 상기 상부원통의 하방이동으로 상부원통과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벌어진 공간으로 상기 폐수가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막의 하부에는 연결원통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원통의 하단에는 상부수평막과 평행하게 하부수평막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수평막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원통보다 둘레가 작은 하부원통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원통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원통과 하부플레이트 사이의 제 2 공간에는 세척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원통의 하단에는 로울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연결원통의 내부에는 중앙기둥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수평막의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공기펌프가 연결될수 있고, 상기 정수관에는 피스톤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여과기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여과기를 세척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필터망(140)과, 상기 필터망(140)의 상단이 고정되며 필터망(14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고정부(630)와, 하단이 상기 필터망(140)의 상단부(142) 외주면에 접하고 내부에 상부수평막(624)이 마련된 상부원통(622)과, 상기 상부원통(622)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플레이트(665)와, 상기 상부원통(622)과 상부플레이트(665)에 형성되는 제 1 공간(751)에 연결되는 폐수관(200)과, 상기 필터망(140) 내부와 연결된 정수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막(624)의 하부에는 연결원통(628)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원통(628)의 하단에는 상부수평막(624)과 평행하게 하부수평막(626)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수평막(626)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원통(622)보다 둘레가 작은 하부원통(654)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원통(654)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667)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원통(654)과 하부플레이트(667) 사이의 제 2 공간(753)에는 세척수관(70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원통(628)의 내부에는 중앙기둥부(702)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수평막(624)의 상면에는 경사면(620)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원통(622)의 하단에는 로울러(625)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에는 이물질배출관(800)이 연결되고, 상기 필터망(140)의 내측에는 필터프레임(110)이 마련되고, 상기 필터프레임(110)에는 관통공(120)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110)과 필터망(140) 사이에는 링(130)이 마련된다.
상기 링(130)의 형태는 상단링(132)의 크기가 중단링(134)보다 작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110)의 상단에는 하부플레이트(667)가 위치되며, 상기 제 2 공간(753)에는 세척수관(700)의 제 2 유입공(640)이 마련되고, 제 1 공간(751)에는 폐수관(200)의 제 1 유입공(61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에는 공기펌프(600)가 연결되고, 상기 정수관(500)에는 피스톤부(550)가 마련된다.
상기 피스톤부(550)는 실린더(552)와, 상기 실린더(552) 내부에 마련된 피스톤(554)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링(130)의 둘레에는 필요에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망(140)의 필터끼리 엉키는 형상이 줄어들도록 구간을 나누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여과과정을 설명하며, 폐수는 상기 폐수관(200)을 통과하고 제 1 유입공(610)을 통하여 상기 제 1 공간(751)에 인입되고, 상기 제 1 공간(751)에 인입된 폐수에 의하여 상기 제 1 공간(751)이 가득 차면, 상기 폐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원통(622)이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원통(622)의 하단에 마련된 로울러(625)는 상기 고정부(630) 방향으로 경사진 필터망(140)의 상단부(142)를 압박하여 필터망(140)을 팽팽하게 하고, 상기 상부원통(622)의 하방이동으로 상부원통(622)과 상부플레이트(665) 사이에 벌어진 공간으로 상기 폐수가 유출되어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유입된다.
하우징(300) 내부에 유입된 폐수는 상기 필터망(140)을 통하여 필터링되고, 관통공(120)을 통해 필터프레임(110) 내부로 유입된 후 정수관(500)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의 여과과정이 계속되면 필터망(140)에는 이물질이 축적되고, 하우징(300) 내부 중 필터망(140) 외부에 위치된 폐수의 수압이 소정 범위이상이 되면 이물질은 제거하는 세척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망(140)의 세척작업은 도 3과 같이,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관(700)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2 공간(753)에 위치된 제 2 유입공(640)을 통하여 제 2 공간(753)에 유입되고, 유입된 세척수에 의하여 제 2 공간(753)이 포화되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하부원통(654)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원통(654)이 상승하면 하부원통(654)과 일체로 연결된 상부원통(622)도 상부로 이동되고 상부원통(622)의 하단에 로울러(625)도 상부로 이동되면서 필터망(140)은 팽팽하던 상태가 풀리게 되어 필터망(140)을 이루는 망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는 하부원통(654)과 하부플레이트(667) 사이의 벌어진 공간을 통하여 필터망(14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세척수는 필터망(140)의 외부로 유출되면서 이물질을 이물질배출관(800)으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면(620)은 폐수의 압력이 상부수평막(624)의 중심으로 집중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중앙기둥부(702)는 연결원통(628)이 원활하게 상하이동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펌프(600)는 하우징(300) 내부 바닥에 가라앉는 이물질을 상승시켜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피스톤부(550)는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이동되며 필터망(140) 내부에 위치된 세척수가 요동되게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필터망(140)의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링(130)은 필터망(140)이 필터프레임(110)에 직접 밀착될 경우에 필터프레임(110)의 관통공(120)이 필터망(140)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기 링(130)은 필터망(140)과 필터프레임(110)이 직접 밀착될 경우에 관통공(120)이 막히지 않더라도 필터망(140) 중 여과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상기 관통공(120)과 접촉된 부분에 한정되므로 필터망(140)의 나머지 부분들의 필터는 불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링(130)을 이용해 필터망(140)과 필터프레임(110)의 간격을 이격시킬 경우에 필터망(140) 전체면적을 통해 폐수의 유입 및 여과가 이루어져 필터망(140)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이 필터망을 팽팽하게 하거나 팽팽해진 필터망을 느슨하게 할 수 있고, 링에 의하여 필터망이 필터프레임에 직접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필터망 전체면적을 통해 폐수의 유입 및 여과가 이루어져 필터망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펌프는 하우징 내부 바닥에 가라앉는 이물질을 상승시켜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이 이동되며 필터망 내부에 위치된 세척수가 요동되게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필터망의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7)

  1. 하우징(300)과;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 원통형상으로 마련된 필터망(140)과;
    상기 필터망(140)의 상단이 고정되며 필터망(14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고정부(630)와;
    하단이 상기 필터망(140)의 상단부(142) 외주면에 접하고 내부에 상부수평막(624)이 마련된 상부원통(622)과;
    상기 상부원통(622)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플레이트(665)와;
    상기 상부원통(622)과 상부플레이트(665)에 형성되는 제 1 공간(751)에 연결되는 폐수관(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폐수관(200)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공간(751)에 인입된 폐수는 상기 폐수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상부원통(622)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부원통(622)의 하단이 상기 고정부(630) 방향으로 경사진 필터망(140)의 상단부(142)를 압박하여 필터망(140)을 팽팽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폐수는 상기 상부원통(622)의 하방이동에 의해 상부원통(622)과 상부플레이트(665) 사이에 벌어진 공간으로 유출되어 하우징(300) 내부로 이동된 후 필터망(140)을 통하여 필터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막(624)의 하부에는 연결원통(628)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원통(628)의 하단에는 상부수평막(624)과 평행하게 하부수평막(626)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수평막(626)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원통(622)보다 둘레가 작은 하부원통(654)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원통(654)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667)가 위치되며, 상기 하부원통(654)과 하부플레이트(667) 사이의 제 2 공간(753)에는 세척수관(70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원통(628)의 내부에는 중앙기둥부(70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원통(622)의 하단에는 로울러(62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막(624)의 상면에는 경사면(6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0)에는 공기펌프(60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관(500)에는 피스톤부(55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구조.
KR1020070028866A 2007-03-23 2007-03-23 여과기 구조 KR10080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866A KR100806386B1 (ko) 2007-03-23 2007-03-23 여과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866A KR100806386B1 (ko) 2007-03-23 2007-03-23 여과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386B1 true KR100806386B1 (ko) 2008-02-27

Family

ID=3938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866A KR100806386B1 (ko) 2007-03-23 2007-03-23 여과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3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8975A1 (en) 1990-11-30 1992-06-03 Aktiebolaget Electrolux Apparatus for filtering of liquid
JPH079407U (ja) * 1993-07-09 1995-02-10 株式会社ロキテクノ 再生式循環濾過装置
KR100277321B1 (ko) * 1997-02-19 2001-01-15 미다라이 후지오 반응성스퍼터링장치및이를이용하는박막형성방법
KR20020088702A (ko) * 2001-05-21 2002-11-29 (주)원봉 에어벤트
KR20050071782A (ko) * 2004-01-02 2005-07-08 유승철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 및 역세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8975A1 (en) 1990-11-30 1992-06-03 Aktiebolaget Electrolux Apparatus for filtering of liquid
JPH079407U (ja) * 1993-07-09 1995-02-10 株式会社ロキテクノ 再生式循環濾過装置
KR100277321B1 (ko) * 1997-02-19 2001-01-15 미다라이 후지오 반응성스퍼터링장치및이를이용하는박막형성방법
KR20020088702A (ko) * 2001-05-21 2002-11-29 (주)원봉 에어벤트
KR20050071782A (ko) * 2004-01-02 2005-07-08 유승철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 및 역세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83864U (zh) 一种工业污水过滤吸附装置
CN202921064U (zh) 污水过滤器
CN202315480U (zh) 振动式自清洗过滤器
KR101649048B1 (ko) 카본 백필터
KR101736833B1 (ko) 여과기
KR100806386B1 (ko) 여과기 구조
KR20130110939A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CN210751544U (zh) 一种农村污水处理过滤装置
JP2004321893A (ja) ろ過装置
CN206680219U (zh) 污水过滤装置
KR101193732B1 (ko)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CN202315489U (zh) 一种反冲洗式精效水过滤器
KR200467091Y1 (ko) 수처리용 필터장치
KR101673707B1 (ko) 산업용 정수기 필터 고정장치
CN102390893A (zh) 污水处理装置
CN108211528B (zh) 一种建筑工地的废水和废气处理装置
JPH02233111A (ja) 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KR101303993B1 (ko) 여과스크린이 구비된 중공사막 여과장치
CN213610061U (zh) 一种带排污口偏心设计的小型过滤器
KR100303180B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0375825Y1 (ko) 계량기용 스트레이너
JPH0634718U (ja) サンドセパレータ付浄水装置
CN218686897U (zh) 一种新型篮式过滤器
CN213159754U (zh) 一种污水泵站砂水分离装置
CN210141247U (zh) 一种管路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