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95Y1 -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95Y1
KR200212995Y1 KR2020000025988U KR20000025988U KR200212995Y1 KR 200212995 Y1 KR200212995 Y1 KR 200212995Y1 KR 2020000025988 U KR2020000025988 U KR 2020000025988U KR 20000025988 U KR20000025988 U KR 20000025988U KR 200212995 Y1 KR200212995 Y1 KR 200212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prinkler head
sprinkl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엽래
박정렬
Original Assignee
김엽래
건국방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엽래, 건국방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엽래
Priority to KR2020000025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95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는 드레인 밸브와 유입구를 갖는 접이식 방수시트로 구성된 워터 탱크와; 유입구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플렉시블 파이프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제 1소켓에 하단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된 제 1파이프와; 제 1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된 제 2소켓에 하단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실러에 의해 기밀유지가 되도록 고정된 제 2파이프와; 제 2파이프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자바라식 파이프와; 자바라식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된 오버 플로워 커버를 갖는 워터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비화재시 스프링클러가 오작동 되거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파열로 인해 소화장치가 작동되는 가운데 헤드로 부터 분사되는 물을 워터 브라켓을 통해 워터 탱크내로 저장토록 함으로써 반도체 회사 및 정밀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내에서 물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방지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sprinkler head emergency equipmen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 제조회사 및 정밀제품을 제조하는 회사에 있어서 비화재시 스프링클러가 오작동 되거나 스프링 클러의 헤드 과열로 인한 소화장치가 작동되는 가운데 헤드로 부터 분사되는 물을 워터 브라켓을 통해 워터 탱크로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물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장치 (Spinkler Systems)는 수조, 소화설비 주펌프, 충압펌프, 기동용수압개폐장치, 성능시험배관, 물올림장치, 자동경보밸브, 스프링클러 헤드, 배관 및 관속부품, 펌프 테스트 밸브, 수신반, 제어반 등으로 이루어진 소화전의 일종으로서 천장이나 지붕 밑에 배관으로 설치되며 배관의 끝단부에 스프링클러 헤드(Head)가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화재지역으로 물을 자동으로 방출시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반도체 제조회사나 정밀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에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클러 장치가 비화재시 오작동으로 인해 물이 방출될 경우에는 제품 및 정밀 기계에 물이 뿌려지게 됨으로써 제품의 손실 및 기계의 파손 등 많은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 클러의 헤드로 부터 분사되는 물을 중단하기 위해서는 안전관리자가 스프링 클러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하는데 이 장치를 정지시키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동안 분사되는 물을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비화재시 스프링 클러가 오작동 되거나 스프링 클러의 헤드 파열로 인해 소화장치가 작동되는 가운데 헤드로 부터 분사되는 물을 워터 브라켓을 통해 워터 탱크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물로 인한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는 드레인 밸브와 유입구를 갖는 접이식 방수시트로 구성된 워터 탱크와; 유입구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와; 플렉시블 파이프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제 1소켓에 하단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된 제 1파이프와; 제 1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된 제 2소켓에 하단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실러에 의해 기밀유지가 되도록 고정된 제 2파이프와; 제 2파이프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자바라식 파이프와; 자바라식 파이프의 상단부에 구비된 오버 플로워 커버를 갖는 워터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의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워터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워터 탱크 3:플렉시블 파이프 4:제 1파이프
5:제 2파이프 6:워터 브라켓 7:자바라식 파이프
9:접이식 방수시트 10:유입구 10a:드레인 밸브
11:제 1소켓 12:제 2소켓 16:오버 플로워 커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클러 헤드 비상장치(1)(이하 '비상장치' 라함)는 워터 탱크(2)와, 워터 탱크(2)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3)와, 플렉시블 파이프(3)에 연결된 제 1,2파이프(4)(5) 및 워터 브라켓(6) 그리고 제 2파이프(5)와 워터 브라켓(6)을 연결하는 자바라식 파이프(7)로 구성된다. 이러한 비상장치(1)는 평상시 그 부피를 줄이도록 접어서 박스형태를 갖는 보관함(8)에 넣어 회사 내의 일측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워터 탱크(2)는 내부가 중공인 육면체로 구비된 것으로서 각각의 육면은 내부에 저장되는 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방수시트(9)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면에 있는 방수시트(9)는 접이식으로 구비되어 있고, 약 400ℓ정도의 저장용량을 갖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워터 탱크(2)를 구성하는 방수시트(9)를 신문을 접듯이 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워터 탱크(2)의 윗면 일측과 측면 일측에는 각각 유입구(10)와 드레인 밸브(10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3)는 워터 탱크(2)의 윗면에 구비된 유입구(10)와 제 1파이프(4)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스프링 클러 헤드(50)로 부터 분사되는 물(52)을 워터 탱크(2)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동시에 길이를 약 120Cm 정도로 구비하여 전,후, 좌, 우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파이프(4)는 플렉시블 파이프(3)의 자유단부에 제 1소켓(11)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대략 길이를 100Cm 전,후로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파이프(5)는 제 1파이프(4)의 상단에 구비된 제 2소켓(12)에 소정 길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대략 그 길이는 70Cm 전,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소켓(12)의 자유단부 내측에 실러(12a)를 구비하여 기밀 유지가 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파이프(5)의 상단부에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전,후,좌,우로 미소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전기한 자바라식 파이프(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바라식 파이프(7)의 상단부에 구비된 워터 브라켓(6)은 상광하협의 깔대기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함(8)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쪽에 덮개(20)가 힌지로 고정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측면에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2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 전면에는 보관함의 이름이 새겨진 명패(22)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는 복수개로 구획되어 있어 장비를 분리 또는 조합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비화재시 소화설비가 작동하여 스프링 클러 헤드(50)로 부터 물이 분사되어 나올 경우에는 보관함(8)에 보관되어 있는 비상장치(1)를 즉시 꺼낸 다음 제 1파이프(4)를 손으로 잡고 제 2파이프(5)의 상단부에 구비된 워터 브라켓(6)을 스프링 클러 헤드(50) 근처로 갖다됨과 동시에 분사된 물은 워터 브라켓(6)을 통해 제 2파이프(5) → 제 1파이프(4) → 플렉시블 파이프(3) → 유입구(10)를 통해 워터 탱크(2)내로 신속하게 유입된다.
워터 탱크(2)내로 물이 유입되면서 접혀져 있던 방수시트(9)가 펴지면서 흘러 들어오는 물을 계속해서 저장하게 된다.
이때 안전관리자는 신속하게 소화설비에 있는 주펌프를 정지시켜 스프링 클러 헤드로 부터 분사되는 물을 중지시키면 된다.
그리고 워터 탱크(2)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은 다른 데로 옮긴 다음 드레인 밸브(10a)를 열어 외부로 배출시킨 다음 다시 접어 보관함에 넣으면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사용된 워터 브라켓은 단순한 깔대기 형태를 사용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째, 제 2파이프(5)의 일측과 워터 브라켓(6)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롤링 플레이트(13)를 구비하되, 워터 브라켓(6)과 롤링 플레이트 (13)의 고정은 리벳(14)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둘째, 제 2파이프(5)의 일측과 워터 브라켓(6)을 연결하는 워터 브라켓(6)의 상단에는 루버 부싱(15)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윗면으로 오버 플로워 커버(16)가 설치되어 있어 스프링클러 헤드로 부터 분사되는 물이 외부로 넘처 흐르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스프링 클러 헤드(50)로 부터 분사된 물이 워터 브라켓(6)을 통해 그 하부에 있는 자바라식 파이프(7) 및 제 1,2파이프(4)(5)를 경유하여 워터 탱크(2)내로 유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신속히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 2파이프(5)와 자바라식 파이프(7)가 만나는 부위에 가속 파이프(17)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반도체나 정밀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내에서 소화설비의 오동작으로 인해 스프링 클러 헤드로 부터 물이 방출될 경우 방출되는 물을 워터 브라켓이 구비된 비상장치를 이용하여 즉시 워터 탱크내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소화설비의 펌프를 멈추도록 함으로써 정밀 기계 및 제품등에 직접적으로 물이 뿌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손실 및 기계의 파손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드레인 밸브(10a)와 유입구(10)를 갖는 접이식 방수시트(9)로 구성된 워터 탱크(2)와;
    유입구(10)에 연결된 플렉시블 파이프(3)와;
    플렉시블 파이프(3)의 자유단부에 연결된 제 1소켓(11)에 하단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어 고정된 제 1파이프(4)와;
    제 1파이프(4)의 단부에 연결된 제 2소켓(12)에 하단부가 삽입됨과 동시에 실러(12a)에 의해 기밀유지가 되도록 고정된 제 2파이프(5)와;
    제 2파이프(5)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자바라식 파이프(7)와;
    자바라식 파이프(7)의 상단부에 구비된 오버 플로워 커버(16)를 갖는 워터 브라켓(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2020000025988U 2000-09-15 2000-09-15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200212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88U KR200212995Y1 (ko) 2000-09-15 2000-09-15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88U KR200212995Y1 (ko) 2000-09-15 2000-09-15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066A Division KR100443580B1 (ko) 2000-09-14 2000-09-14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95Y1 true KR200212995Y1 (ko) 2001-02-15

Family

ID=7308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88U KR200212995Y1 (ko) 2000-09-15 2000-09-15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48B1 (ko) * 2014-08-22 2015-11-04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148B1 (ko) * 2014-08-22 2015-11-04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218B1 (ko) 철도차량용 화재 수신기 및 소화시스템
JP5091006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5342859B2 (ja) 消火栓装置
KR200212995Y1 (ko)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10044358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JP5102117B2 (ja) 消火栓装置
CN204121644U (zh) 汽车自动灭火装置
KR101860561B1 (ko) 소방차의 자위분무 및 방수 보조 장치
KR100443177B1 (ko) 골목길 소방차
CN107497076A (zh) 一种车辆前舱灭火系统
KR101799245B1 (ko)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JP2010104432A (ja) 消火栓装置
CN207286489U (zh) 一种车辆前舱灭火系统
JP6873751B2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2007275478A (ja) 消火栓装置
CN212016510U (zh) 一种气体灭火装置
KR100802158B1 (ko) 소방용 커플링 및 이를 이용한 소방시스템
KR101022496B1 (ko) 소방수 배관의 잔여 에어 배출장치
JP6894546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装置
JPH1199222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7097479B2 (ja) 消火栓装置
KR101537525B1 (ko) 자동제어 및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미분무 소화시스템
JP7009601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及び消火栓装置
KR200343749Y1 (ko) 상하향 분사식 스프링쿨러용 수해 방지장치
JP5004629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