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148B1 -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 Google Patents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148B1
KR101565148B1 KR1020140109885A KR20140109885A KR101565148B1 KR 101565148 B1 KR101565148 B1 KR 101565148B1 KR 1020140109885 A KR1020140109885 A KR 1020140109885A KR 20140109885 A KR20140109885 A KR 20140109885A KR 101565148 B1 KR101565148 B1 KR 101565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prinkler
water collecting
collec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14010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분사사고 발생시 해당 스프링클러를 신속하게 봉쇄할 수 있고, 분사된 소화수의 수거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는, 깔대기 형태의 집수본체를 포함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본체의 하부 토출구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가요관부; 및 상기 가요관부의 하부 토출구와 연결되는 다단배관과 상기 다단배관의 하단 토출구와 연결되는 투명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집수본체의 내부 경사면에는 복수 개의 나선형 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와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Emergency Apparatus of Sprinkling by Malfunction for Downward Jet Type Sprinkler}
본 발명은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분사사고 발생시 해당 스프링클러를 신속하게 봉쇄할 수 있고, 분사된 소화수의 수거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란 소화수가 분사되는 헤드가 건물 천장에 설비된 배관과 연결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헤드에 구비된 센서의 열감지를 통해 소화수가 분사되는 소방설비를 말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소화수의 분사 방향에 따라 상향분사식 스프링클러와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로 대별되며, 건물 내부의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작동이나 열감지 센서의 이상으로 인해 소화수의 분사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는데, 특히, 반도체 생산라인과 같이 고가의 설비가 구비되어 있는 실내에서 상기와 같은 분사사고는 재산상 막대한 손해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손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43749호(등록일자: 2004.02.23.)가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에는 상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헤드(1)를 밀봉할 수 있는 돔형상의 헤드포집부(2)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포집부(2)의 하부에는 포집된 소화수를 하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3) 및 상기 배수관(3)의 하단에 구비되며 배수관(3)으로부터 토출된 소화수를 집수하는 워터백(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헤드포집부(2)와 배수관(3)의 연결부위에는 자바라관(5)이 구비됨으로써, 주변 장애물을 피해 경사진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배수관(3)의 하단에는 소화수의 배수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6)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은 길이가 연장될 수 있도록 단위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분사사고 발생시 상기 단위배관을 통한 길이 연장은 신속한 설치를 저해할 수 있고, 높은 곳에 위치한 스프링클러의 헤드(1)에 상기 헤드포집부(2)를 삽입하는 작업이 곤란할 수 있으며, 소정의 부피를 갖는 워터백(4)과 함께 작업장 내에 비치되어야 함으로써 복잡한 내부환경을 갖는 작업장에서는 비치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0343749 Y1 2004.02.2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오작동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수를 수거하되, 수거를 위한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화수의 수거작업 중 소화수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작이 용이한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는, 깔대기 형태의 집수본체를 포함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본체의 하부 토출구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가요관부; 및 상기 가요관부의 하부 토출구와 연결되는 다단배관과 상기 다단배관의 하단 토출구와 연결되는 투명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집수본체의 내부 경사면에는 복수 개의 나선형 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와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는, 집수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패킹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집수본체의 재질이 스테인레스강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단배관은 상호 이동가능하도록 단차적으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배관 각각에는 상단에 스톱퍼 기능을 하는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는, 투명관의 하단에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의 하단에는 논슬립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단배관의 최하위 단위배관의 원주면에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다단배관 또는 투명관의 하부에는 집수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깔대기 형태의 집수본체를 통해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오작동에 의해 분사되는 소화수를 수거할 수 있고,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가요관부, 신장가능한 다단배관 및 임시로 소화수를 집수할 수 있는 집수밸브를 통해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집수본체의 내부 경사면에 형성되는 와류수단, 집수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되는 패킹수단, 단위배관에는 형성되는 플랜지 및 투명관에 형성된 돌출단과 논슬립패드를 통해 소화수 수거잡업 중 누수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한 합성수지류로 이루어지는 집수본체 및 최하위 단위배관의 원주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통해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상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배관부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단이 천장에 밀착되어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소화수 분사부위를 봉쇄하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부(10), 상기 집수부(10)의 하부와 연통되고 임의의 각도로 절곡될 수 있는 가요배관부(20) 및 상기 가요배관부(20)의 하부와 연통되고 임의의 길이로 신축되는 배수배관부(30)로 이루어지고,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오작동에 의한 소화수 분사시 해당 스프링클러를 봉쇄하기 위한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소화수의 집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집수부(10)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분사구 주변을 봉쇄한 상태에서 오작동에 의해 분사되고 있는 소화수를 집수하여 하부에 연통된 배수배관부(30)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부(10)는 깔대기 형상의 집수본체(11)를 기본 구성으로 패킹수단(13) 및/또는 와류수단(15)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본체(11)의 재질은 금속류 또는 합성수지류가 채용될 수 있는데, 금속류가 채용되는 경우 물을 취급하는 특성상 녹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강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수지류가 채용되는 경우 비산하는 소화수로 인해 시야 확보가 곤란한 상태에서 신속 정확하게 해당 스프링클러를 봉쇄할 수 있도록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합성수지류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수단(13)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수본체(11)의 상부 테두리에 구비되며, 집수작업시 비산하는 소화수의 일부가 집수본체(11)와 천장의 틈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패킹수단(13)의 재질은 방수 및 쿠션 성질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높은 곳에 위치한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의 봉쇄작업에 이용되는 경우 배수배관부(30)의 설치길이가 길어지게 되는데, 설치길이가 길어질수록 배관 또는 사용자에게 구조적으로 큰 하중이 가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배수배관부(30)의 휨 변형으로 스프링클러의 봉쇄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집수본체(11)에 집수되는 소화수는 하중경감 차원에서 신속하게 하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는데, 물과 같은 유체는 와류 거동을 하게 되면 신속한 유동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와류수단(15)은 집수본체(11)의 내부에 집수되는 소화수가 신속하게 와류 거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집수본체(11)의 내부 경사면에 복수 개의 나선형 돌기(15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 나선형 돌기(15a)를 통해 소화수가 와류 유동을 하며 신속하게 배수배관부(30)로 배수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변형이 억제되거나 사용자의 작업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의 하부에는 통상 작업대 또는 자동화 라인이 배치되는데, 상기 작업대 등이 응급을 요하는 본 발명의 설치작업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가요배관부(20)는 적정 경사각으로 절곡되며, 이를 통해 상기 배수배관부(30)가 작업대를 우회하여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설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요배관부(20)는 가요성을 갖는 주름관(21) 또는 호수관 등이 채용될 수 있는데, 다만, 소화수의 하중으로 인해 관의 변형이 발생, 이로 인해 천장으로부터 집수본체(11)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갖는 관이 채용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배관부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의 실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이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배수배관부(30)는 집수부(10)를 통해 집수된 소화수를 하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다단배관(31) 및 상기 다단배관(31)의 하단에 구비되는 투명관(33)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35) 및/또는 집수밸브(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는 동일 건물 내에서도 임의의 위치에 따라 설치 높이가 상이할 수 있고, 특히 해당 스프링클러의 하부에 위치한 작업대 등의 간섭을 피해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배수배관부(30)는 임의의 길이로 신장될 필요가 있다.
상기 다단배관(31)은 배수배관부(30)의 신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상호 이동가능하도록 단차적으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배관(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배관(31') 각각에는 상단에 스톱퍼 기능을 하는 플랜지(31a)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31a)의 내부에는 인접한 다단배관(31')과의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패킹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관(33)은 집수본체(11)에서 소화수의 배수상태 및 집수의 완료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토출구의 역할을 함께하게 되므로 소화수의 원활한 토출을 위해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단(3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단(33a)의 하단부에는 집수작업 중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논슬립패드(33b)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논슬립패드(33b)는 라텍스 고무 등과 같이 점착력이 우수한 재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35)은 최하위 단위배관(31")이 작업대 등의 모서리(A)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단배관(31)의 신장에 따른 거치작업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클램프(미도시) 또는 거치패드(35a)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작업대의 적정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최하위 단위배관(31")의 원주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거치패드(35a)는 복수 개의 거치홈(a)으로 이루어지고, 최하위 단위배관(31")의 원주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홈(a) 중에서 적정위치에 있는 거치홈(a)이 작업대의 모서리(A) 등에 거치되게 된다. 이 경우 거치패드(35a)의 재질은 상기 논슬립패드(33b)와 같이 점착력이 우수한 재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밸브(37)는 투명관(33) 또는 최하위 단위배관(31")의 하부에 구비되며, 배수배관부(30)의 하단을 밀봉한 상태에서 초기에 수거되는 소화수를 배수배관부(30)에 임시적으로 집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는 수거되는 소화수를 집수하는 집수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작업장 내에서 스프링클러가 인접한 곳에 비치되어야 하는 특성상, 작업장 여건에 따라 집수조를 비치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상기 집수밸브(37)에 의해 최하위 단위배관(31")의 하부가 폐쇄된 상태로 적재적소에 비치된 상태에서 분사사고가 발생하면 먼저 배수배관부(30)의 내부 공간에 소화수를 임시로 집수한 다음, 집수조가 준비되면 상기 집수밸브(37)를 개방하여 잔여 수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본 발명의 실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집수부
11: 집수본체
13: 패킹수단
15: 와류수단
20: 가요배관부
30: 배수배관부
31: 다단배관
33: 투명관
35: 고정수단
37: 집수밸브

Claims (8)

  1. 깔대기 형태의 집수본체를 포함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본체의 하부 토출구에 연결되고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가요관부; 및
    상기 가요관부의 하부 토출구와 연결되는 다단배관과 상기 다단배관의 하단 토출구와 연결되는 투명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배관은 상호 이동가능하도록 단차적으로 삽입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배관 각각에는 상단에 스톱퍼 기능을 하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다단배관의 최하위 단위배관의 원주면에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본체의 내부 경사면에는 복수 개의 나선형 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와류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본체의 상부 테두리에는 패킹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본체는 재질이 스테인레스강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은 하단에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의 하단에는 논슬립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배관 또는 투명관의 하부에는 집수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KR1020140109885A 2014-08-22 2014-08-22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KR101565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85A KR101565148B1 (ko) 2014-08-22 2014-08-22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885A KR101565148B1 (ko) 2014-08-22 2014-08-22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148B1 true KR101565148B1 (ko) 2015-11-04

Family

ID=54600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885A KR101565148B1 (ko) 2014-08-22 2014-08-22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11B1 (ko) * 2015-12-14 2018-02-06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방사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95Y1 (ko) * 2000-09-15 2001-02-15 김엽래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200343749Y1 (ko) * 2003-12-10 2004-03-09 건국방재 주식회사 상하향 분사식 스프링쿨러용 수해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995Y1 (ko) * 2000-09-15 2001-02-15 김엽래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200343749Y1 (ko) * 2003-12-10 2004-03-09 건국방재 주식회사 상하향 분사식 스프링쿨러용 수해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11B1 (ko) * 2015-12-14 2018-02-06 주식회사 비전엔지니어링 스프링클러 방사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3294B1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US1008761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rain jetting
EP3342467A1 (en) T-branch for sprinkler pip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flowing water, and sprinkler pipe system including same
KR101187672B1 (ko) 부동결 소화용수 공급장치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101565148B1 (ko) 하향분사식 스프링클러용 응급 물받이장치
CN112386848B (zh) 一种风水联动嵌入式消防喷淋排烟系统
US9551138B2 (en) Connector for bathtub tailpipe to drain pipe
AU2014289979B2 (en) Tool and method for draining a fire sprinkler system and a fire sprinkler
CN207323907U (zh) 消防喷淋专用钢管
CN203960954U (zh) 排水弯头
CN204338533U (zh) 煤气管道在线清洗装置
JP5968207B2 (ja) 浴槽の排水栓装置
KR200492072Y1 (ko) 원자력 발전소 옥내소화전 멀티 호스접결구
CN105064471A (zh) 面盆落水头的止漏装置
KR101909388B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CN211475221U (zh) 用于地埋固定节排潮管的过滤防护装置
KR101743546B1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CN204582376U (zh) 一种消防喷嘴
CN220888845U (zh) 存水弯管件和管道系统
CN109237098A (zh) 一种化工专用万向水龙头
CN216185808U (zh) 一种防滴型鹅颈透气管装置
CN211621886U (zh) 一种止水节用地漏
CN209130358U (zh) 一种方便安装和拆卸的水龙头
RU11984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внутренней пол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