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546B1 -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546B1
KR101743546B1 KR1020150148063A KR20150148063A KR101743546B1 KR 101743546 B1 KR101743546 B1 KR 101743546B1 KR 1020150148063 A KR1020150148063 A KR 1020150148063A KR 20150148063 A KR20150148063 A KR 20150148063A KR 101743546 B1 KR101743546 B1 KR 10174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rinkler head
present
extinguishing liquid
sto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678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5014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5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소화액유입구의 수밀성을 높인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의 수밀성을 한층 더 높이고자 개선한 것이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여 소화액이 방출될 때 소화액이 보다 원활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화재진압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내부 소화액이 유입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결정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몸체의 안 쪽에 형성되는 수밀수단와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액이 분출될 때 분출되는 소화액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밀수단의 수밀성이 증대되고 소화액의 흐름이 원활해져 화재가 발생한 경우 충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SIDEWALL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는 소방용 설비의 하나이며, 화재가 발생했을 때 초기 진화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는데, 화재발생시 이상고온을 감지하면 소화액 배관이 개방되면서 소화액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스프링클러는 소화액을 분무상으로 방사시키므로 화재진압에 유리하여, 화재 발견이 어려운 장소나 가연성 물질이 많고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의 소화설비로 적합하다.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공개특허 제10-2012-0021588호가 있다.
상술한 공개특허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단면도(공개특허의 도면4)를 본 명세서의 도 1에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는 소화설비의 배관이 연결되는 몸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에는 소화액이 이동되는 내부 통로(11)가 형성된다.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소화액이 분출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벽 끝단을 막도록 홀더(40)가 설치된다. 그 홀더(40)를 상하 커플링(51, 53)이 지지하고 있다. 커플링(51, 53)은 하부의 히트 콜렉터(70)와 연결되고 화재 시 퓨즈(61)가 파괴되어 클램프 링(52)과 함께 동작하여 홀더(4)가 디플렉터(3)와 하강한다. 이에 따라 소화액이 분출되어 화재가 진압된다.
홀더(40)와 몸체(10) 내벽(12) 말단의 접촉부위에는 와셔(20)와 시트(seat)(21)가 설치된다. 이렇게 홀더(40)가 설치되면 소화액이 통과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와셔(20)와 시트(21)의 설치로 수밀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성을 줄여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하면서, 수밀성을 한층 더 높이고자 개선한 것이며,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여 소화액이 방출될 때 소화액이 보다 원활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화재진압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는, 내부 소화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소화액이 통과하는 수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결정하는 감지수단과, 마개부와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개부가 원뿔형상인 홀더, 상기 몸체에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에 구비되는 긴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마개부와 상기 긴밀부재가 접촉하는 수밀수단과,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액이 분출될 때 분출되는 소화액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몸체와 맞닿는 둘레를 따라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밀수단의 수밀성이 증대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 충실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실시예 1)에 따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따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시도이다. 스프링클러의 외관에서는 몸체(100)와 감지수단(200)을 확인할 수 있다.
몸체(100)는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며 소화설비인 소방용 배관과 연결되어(도면 생략) 소화액이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일 실시 예에서는 몸체의 상부 외경에 나사산(101)을 형성하여 소방용 배관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몸체(100)의 내부 소화액이 유입될 수 있는 수로(103, 도 4)가 형성된다.
감지수단(200)은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화재를 감지하면 감지수단이 제거되면서 수로(103)가 개방되어 소화액이 분사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몸체(100)의 안쪽에는 수밀수단(300)이 형성되게 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수밀수단(300)을 몸체에 설치되는 긴밀부재(310)과 몸체 내경의 수로(103)에 설치되는 홀더(320)로 구성하였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조립 상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단면도인 도 4를 함께 살펴보면, 소화액이 분출되지 않는 평상시(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때)에는 홀더(320)가 소화액 유입을 막으며, 긴밀부재(310)가 홀더(320)와 수로(103)가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수밀성을 높여준다.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홀더(320)는 마개부(321)와 지지부(322)로 구성된다. 마개부(321)는 원뿔형상(320a, 도 4)(또는 원뿔대)으로 이루어진다. 마개부(321)가 원뿔등의 형상 이루어짐에 따라 소화액이 유입될 때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유입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
마개부(321)와 맞닿는 몸체(100)의 부분은 원뿔형상(320a)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그 맞닿는 부분에 그루브(120b)가 형성되고, 그루브(120b)에 긴밀부재(310)가 설치된다. 이처럼 홀더(320)와 긴밀부재(310)가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수밀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긴밀부재(310)를 오링으로 구성하였으며, 수밀수단(300)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오링뿐만 아니라, 테프론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료를 덧발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마개부(321)가 몸체(100)와 맞닿는 부분에는, 그 맞닿는 둘레를 따라 돌출부(320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320b)는 긴밀부재(310)가 설치된 몸체(100)의 부분과 밀착 접촉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긴밀부재(310)와 홀더(320)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도 3과 더불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감열체(210)를 통해 전달되는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퓨즈(230, 본 실시 예에서는 납(Pb)으로 구성하였으나, 납이 아니더라도 저용융 합금이면 충분하고, 유리퓨즈로 구성할 수도 있다)가 파괴된다. 그리하여 퓨즈(230)가 차지하던 공간만큼 감열체(210)와 하부 커플링(251)이 돌출하게 된다. 이 때 돌출하는 감열체(210)와 하부 커플링(251)은 로드셀(2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탄성체(250)가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되면서 감지수단(200)이 분리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체(250)로써 클램프 링을 사용하였으며 클램프링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면서 직경이 축소되어 감지수단(200)이 분리되도록 구성하였다.
감지수단(200)이 분리되는 순간, 수밀수단(300)을 통해 수로(103)에 가해지던 압력이 상실되므로, 소방용 배관을 통해 몸체(100)의 유입구(102)에 차있던 소화액의 압력에 의해 홀더(320)가 몸체(1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몸체 내부에 있던 방사수단(400)인 디플렉터(401)가 몸체(100)의 밖으로 돌출하게 되는데, 디플렉터(401)와 결합되어 있는 서포트 링(402)이 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유출구(500)방향으로 움직이다가 걸림턱(104)에 걸리면 움직임을 멈추게 된다(도 5). 따라서 몸체의 유입구(102)를 통해 배출된 물이 디플렉터에 부딪혀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수밀수단를 개선하여 소화액이 원활하게 분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선된 수밀수단에 특징이 있으며 감지수단의 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된다고 해석할 수 없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와 도면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도면으로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몸체 101: 나사산
200: 감지수단 210: 감열체
220: 로드셀 230: 퓨즈
250: 탄성체 251: 하부 커플링
252: 상부 커플링
300: 수밀수단 310: 긴밀부재
320: 홀더
400: 방사수단 401: 디플렉터
402: 서포트링 403: 측벽 디플렉터

Claims (5)

  1. 내부 소화액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와 소화액이 통과하는 수로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스프링클러의 작동을 결정하는 감지수단;
    마개부와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마개부가 원뿔형상인 홀더, 상기 몸체에 형성된 그루브 및 상기 그루브에 구비되는 긴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의 마개부와 상기 긴밀부재가 접촉하는 수밀수단; 및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액이 분출될 때 분출되는 소화액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를 포함하는,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몸체와 맞닿는 둘레를 따라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50148063A 2015-10-23 2015-10-23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74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63A KR101743546B1 (ko) 2015-10-23 2015-10-23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063A KR101743546B1 (ko) 2015-10-23 2015-10-23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138A Division KR20170063490A (ko) 2017-05-29 2017-05-29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78A KR20170047678A (ko) 2017-05-08
KR101743546B1 true KR101743546B1 (ko) 2017-06-07

Family

ID=5922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063A KR101743546B1 (ko) 2015-10-23 2015-10-23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419A (ko)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698A (ja) 2002-06-27 2004-01-29 Senju Sprinkler Kk 乾式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アダプター
KR200403464Y1 (ko) 2005-09-15 2005-12-09 숭의기업주식회사 내충격 및 내진성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698A (ja) 2002-06-27 2004-01-29 Senju Sprinkler Kk 乾式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アダプター
KR200403464Y1 (ko) 2005-09-15 2005-12-09 숭의기업주식회사 내충격 및 내진성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419A (ko)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20210102040A (ko) 2019-02-12 2021-08-19 주식회사 마스테코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678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US9079052B2 (en) Heat concentrating type self-operated automatic fire valve
US20110214886A1 (en) Push On Threadless Sprinkler And Fitting
US10238903B2 (en) Residential concealed sprinkler
CN104487142A (zh) 柔性干式喷洒器
KR20200030376A (ko)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743546B1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200621B1 (ko)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KR101720080B1 (ko)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
CA2784230C (en) Fire extinguishing assembly for transforming a liquid to a liquid mist
KR20170063490A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210138272A (ko) 소방 배관장치
KR200431866Y1 (ko) 스프링클러 헤드 마감링
KR200394312Y1 (ko) 플러시형 스프링 클러 헤드
CN103967081A (zh) 用在水路领域的吸气防爆机构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RU185173U1 (ru) Тепловой замок спринклерного оросителя
KR20090003008U (ko) 알람밸브의 시트링 실링 구조
JP2006305376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KR102193164B1 (ko) 자동식 소화기의 노즐장치
CN210145369U (zh) 一种带定向开启功能的闭式细水雾喷头
CN212067542U (zh) 闭式细水雾喷头及细水雾灭火装置
KR200443942Y1 (ko) 자동식소화기의 방출구
GB2568276A (en) Automatic valve
CN216603894U (zh) 悬挂式灭火装置四头洒水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