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376A -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376A
KR20200030376A KR1020180109165A KR20180109165A KR20200030376A KR 20200030376 A KR20200030376 A KR 20200030376A KR 1020180109165 A KR1020180109165 A KR 1020180109165A KR 20180109165 A KR20180109165 A KR 20180109165A KR 20200030376 A KR20200030376 A KR 20200030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flector
sprinkler head
plunger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877B1 (ko
Inventor
오주환
이재욱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테코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테코,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테코
Priority to KR102018010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8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B05B1/26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symmetrically deflected about the axis of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측벽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의 발생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전방향 디플렉터가 이탈할 때 프레임의 출구에 형성된 걸림 턱에 걸리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지관(90)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유로개폐수단(20)이 구비된 드라이 펜던트(10)와, 상기 드라이 펜던트(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고정되어 소방수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디플렉터(50) 및 상기 프레임(30)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4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4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43)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44)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40)로 이루어진 디플렉터(60)와, 상기 프레임(3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40)가 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히트 콜렉터(70)와, 상기 프레임(30)의 내부에 압축되게 설치되어 있다가 히트 콜렉터(70)의 이탈시 전방향 디플렉터(40)를 프레임(30)의 외부로 밀어내는 인출수단(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Dry Pendant Type Side Wall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방수를 살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측벽형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외기의 온도가 낮아 동파 우려가 있는 장소의 벽면에 설치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dry pendent type)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상부, 즉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휴즈(납)가 화재 발생으로 열에 의해 녹으면 프레임에서 히트 콜렉터가 탈락됨에 따라 디플렉터가 하강하게 되므로 가압되어 있던 소방수가 디플렉터에 부딪혀 발화점 전체에 비산되고, 이에 따라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화재통보와 소화가 발화 초기에 자동으로 행하여지도록 제공되고 있으며, 소방수를 분무 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액체 화재에 효과가 크다.
또한,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불에 타는 물질)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영역의 소화설비로서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그리고 통상의 스프링클러는 보통 67∼180℃에서 작동하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부착 위치나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內裝)에 사용된 재질에 따라 소방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스프링클러 헤드를 천장에 설치할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천장 뒷면에서 10∼20cm 이격되게 설치하며, 수평 거리로 2.1m 이하(내화구조에는 2.3m 이하)가 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유사한 소화설비로서 지붕 위, 처마끝, 창 가장자리 등 옥외에 헤드가 설치되어 있어 방수 때의 수막(水膜)으로 인접 화재의 연소를 방지하는 드렌처(drencher)가 있다.
한편, 외기의 온도가 낮아 동파 우려가 있는 장소에 드라이 펜던트 타입(dry pendent type)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여 스프링클러가 동파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드라이 펜던트 타입의 스프링클러 헤드는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소방수를 하향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지만, 근래에는 건물의 벽면에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바디부(200), 가이드부(300), 고정부(400), 디플렉터(500), 헤드부(600) 및 가압부(7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디부(200)는 내부에 배수관(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로써,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며 건물 실내의 측벽에 실내를 향하도록 매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바디부(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삽입공간(10)이 형성되며 전방에 바디부(200)의 타단과 이격되고 중심을 향해 수직 연장된 링 형태의 스토퍼(3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700)는 삽입공간(10)에서 상기 배수관과 연결되는 바디부(20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통공을 차단하고, 바디부(200)에 인접한 위치의 외측면에 걸림턱(7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700)의 일단은 상기 통공을 커버하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외경이 확장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다시 외경이 축소되도록 연장된 후 일정한 외경을 가지면서 파이프 형태로 타단을 향해 후술 될 디플렉터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600)는 가압부(700) 및 가이드부(3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원형의 플레이트가 바디부(200)의 연장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펼쳐지는 날개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 온도 이상의 온도에 의해 내부의 퓨즈가 녹으면 분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600)의 구조가 분해되면, 헤드부(600)에 의해 상기 통공에서 가해지는 수압이 가압부(700)를 전방을 향해 밀어내고, 가압부(700)는 헤드부(600)를 가이드부(300)에서 이탈시킨다.
상기 디플렉터(500)는 헤드부(600)의 상부를 커버하고, 분리된 일부의 일단은 링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30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복수의 돌기들이 걸림턱(710) 전방에 위치한 가압부(7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디플렉터(500)는 상단 디플렉터(510), 후방 디플렉터(520) 그리고 전방 디플렉터(5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디플렉터(510)는 일단은 가이드부(30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부(300)의 상부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부(4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확장되도록 연장되어 가이드부(300)의 전방 상부를 커버한다.
상기 후방 디플렉터(520)의 일단은 상단 디플렉터(510)의 일단의 고정부(400)와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부(300)를 향해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가이드부(300)와 상단 디플렉터(510) 사이를 커버한다.
상기 전방 디플렉터(530)는 가이드부(300)의 삽입공간(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링 형태로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의 일부는 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걸림턱(710)의 전방의 가압부(70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600) 내부의 퓨즈가 열에 의해 녹아내리면 헤드부(600)의 구조가 분해되면서 구조를 지탱하는 결합력이 낮아지고, 수압을 차단하는 가압부(700)의 압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부(300)에서 이탈한다.
이 경우, 가압부(700)는 삽입공간(10) 내부에 배치되어 있던 전방 디플렉터(530)를 전방을 향해 밀어내고, 전방 디플렉터(530)의 일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을 향해 이동한 후 링 형태로 형성된 일단이 가이드부(300)의 스토퍼(310)에 의해 정지되어 물을 분산시키는 디플렉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방 디플렉터(530)는 상단돌기(531), 측면돌기(532), 하단돌기(533), 상단 연결부(534), 측면연결부(535) 및 가이드 링(536)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돌기(531)들은 전방 디플렉터(530) 중앙에 배치된 원통형의 구조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와 수직인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측면돌기(532)들은 전방 디플렉터(530)의 양 측면에서 측면을 향해 서로 이격되도록 확장 연장되고, 하단돌기(533)들은 전방 디플렉터(530)의 원통형의 구조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와 수직인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536)은 상단, 측면 및 하단 돌기(531, 532, 533)들과 이격되도록 후방에 배치되고,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며,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단 연결부(534)는 상단돌기(531)의 끝단과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링(536)과 결합되며, 측면 연결부(535)는 측면돌기(532)들 각각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하단돌기(533)들 각각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링(536)과 결합된다.
따라서,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600)가 가이드 부(300)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가압부(70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가압부(7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턱(710)은 도 3b와 같이 가이드링(536)이 스토퍼(310)에 의해 정지될 때까지 전방 디플렉터(530)의 전방에 위치한 상단, 측면 및 하단 돌기(531, 532, 533)들을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낸다.
또한, 전방으로 밀려난 상단, 측면 및 하단 돌기(531, 532, 533)들은 바디부(200)에서 분출되는 소방수를 분산시켜 소방수가 균일하게 분출되도록 하고, 상부로 분출되는 소방수는 상단 디플렉터(510)를 통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43546(2017.05.30.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70907(2018.06.19.등록)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화재 발생으로 전방 디플렉터가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가이드부에서 빠져나올 때, 가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전방 디플렉터가 수평방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일 측으로 기울어져 가이드부의 출구에 형성된 걸림 턱에 걸려 도 3b와 같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므로 소방수를 사방으로 골고루 비산시킬 수 없게 된다.
둘째, 전방 디플렉터에 가압부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부품의 증가로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압부에 의해 소방수가 확산되어 살수 패턴이 결정되지만, 대부분의 소방수는 가압부의 걸림 턱에 부딪혀 확산되므로 원하는 살수 패턴을 구현할 수 없었다.
셋째, 피팅 어댑터의 내부를 밀봉하고 있던 플런저가 유로를 개방하면서 이탈하면 소정의 압력을 갖는 소방수가 디플렉터 측으로 빠져나오는데, 유로를 개방하였던 플런저가 소방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량을 감소시킴은 물론이고 플런저의 유동(회전)에 따라 난류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재의 발생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전방향 디플렉터가 이탈할 때 프레임의 출구에 형성된 걸림 턱에 걸리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의 발생으로 피팅 어댑터의 내부를 밀봉하고 있던 플런저가 이탈하더라도 소방수의 유량 감소 및 플런저의 유동에 따른 난류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내부에 가압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원하는 살수 패턴을 구현함과 동시에 부품의 간소화로 인해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가지관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된 드라이 펜던트와, 상기 드라이 펜던트의 일단에 결합되고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소방수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디플렉터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로 이루어진 디플렉터와, 상기 프레임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가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히트 콜렉터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압축되게 설치되어 있다가 히트 콜렉터의 이탈시 전방향 디플렉터를 프레임의 외부로 밀어내는 인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전방향 디플렉터가 인출수단인 원추형 코일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프레임에 내장되어 있어 화재의 발생으로 히트 콜렉터가 프레임에서 이탈되면 프레임에 내장된 전방향 디플렉터가 인출수단에 의해 출구를 통해 프레임의 외부로 신속하게 빠져나와 프레임의 걸림턱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전방향 디플렉터 및 측방향 디플렉터를 통해 소방수를 화재가 발생된 부위로 신속하게 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별도의 가압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전방향 디플렉터 및 측방향 디플렉터를 통해 소방수를 골고루 비산시킬 수 있게 되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생산 및 조립에 따른 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가압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원하는 살수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해지게 된다.
셋째, 화재 발생으로 피팅 어댑터의 통공에서 빠져나온 플런저가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에 고정된 스톱 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회전방지용 바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분출되는 소방수에 난류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의 내부에 플런저가 위치되어 있더라도 제1, 2 바이패스공에 의해 유량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도 3a는 종래의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b는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종단면도로써,
도 6a는 초기상태도
도 6b는 화재의 발생으로 헤드부가 이탈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가지관(90)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유로개폐수단(20)이 구비된 드라이 펜던트(10)와, 상기 드라이 펜던트(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부에 고정되어 소방수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디플렉터(50) 및 상기 프레임(30)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4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4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43)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44)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40)로 이루어진 디플렉터(60)와, 상기 프레임(3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40)가 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히트 콜렉터(70)와, 상기 프레임(30)의 내부에 압축되게 설치되어 있다가 히트 콜렉터(70)의 이탈시 전방향 디플렉터(40)를 프레임(30)의 외부로 밀어내는 인출수단(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드라이 펜던트(10)의 유로개폐수단(20)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아우터 튜브(21)와, 상기 아우터 튜브(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히트 콜렉터(70)에 지지되는 플런저 써포트 튜브(22)와, 상기 플런저 써포트 튜브(22)에 결합되는 튜브 홀더(25)와, 상기 아우터 튜브(21)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소방수 통공(26a)이 형성된 피팅 어댑터(26)와, 상기 피팅 어댑터(26)의 통공(26a)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27)와, 상기 플런저(27)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튜브 홀더(25)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볼(2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튜브(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플런저 서포트 튜브(22)는, 상기 히트 콜렉터(70)에 일단이 지지된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23)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23)에 결합되어 아우터 튜브(21) 내에 수용되는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의 내부에는 플런저(27)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11)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런저(27)의 일단에는 플런저(27)가 화재의 발생으로 피팅 어댑터(26)의 통공(26a)이 개방되도록 이탈하여 스톱 핀(11)에 걸렸을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용 바(28)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톱 핀(11)에 의해 소방수의 유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상기 스톱 핀(11)이 설치된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의 양측으로 제1, 2 바이패스공(24a)(24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향 디플렉터(40)의 플랜지(41)에 압축되게 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으로 프레임(30)에서 히트 콜렉터(70)가 이탈 시, 전방향 디플렉터(40)를 프레임(30)의 외부로 밀어내는 인출수단(80)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치에 따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추형 코일스프링을 적용하였으나, 판 스프링 등을 적용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프레임(30)의 출구를 통해 분사되는 소방수가 상측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하는 막아주도록 출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50)에 프레임(30)의 둘레를 감싸는 감압부(5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50)를 프레임(30)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52)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1)은 일단에 프레임(30)이 나사 결합되고 타단에는 아우터 튜브(21)가 나사 고정되는 프레임 홀더이고, (27a)는 플런저(27)의 외주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오링이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 홀더(31)에 나사 결합된 프레임(30)의 내부에 인출수단(80)인 원추형 코일스프링이 전방향 디플렉터(40)의 플랜지(41)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프레임(30)의 출구는 히트 콜렉터(7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홀더(31)에 아우터 튜브(21)를 나사 결합하고 나면 프레임(30)의 외주면에 측방향 디플렉터(50)의 감압부(51)를 감싸고 체결부재(52)로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50)를 고정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아우터 튜브(21)의 내부에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23)에 조립된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를 삽입하면 상기 제1 플런저 서포트 튜브(23)의 선단이 전방향 디플렉터(40)의 바닥면(41)에 접속되므로 플런저 써포트 튜브(22)의 삽입이 제한되어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23)의 걸림 턱(23a)이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홀더(31)의 단턱(31a)과 소정의 간격(s)을 유지하는데, 이때 상기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에 형성된 제1, 2 바이패스공(24a)(24b)의 사이에는 플런저(27)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11)이 관통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아우터 튜브(21)에 플런저 써포트 튜브(22)를 조립하고 나면 피팅 어댑터(26)의 통공(26a)에 플런저(27)를 끼운 다음 플런저(27)의 외주면에 위치되게 복수 개의 볼(29)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에 튜브 홀더(25)를 위치시키고 상기 피팅 어댑터(26)를 아우터 튜브(21)에 나사 조립하여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피팅 어댑터(26)를 건물의 측벽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지관(90)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 펜던트 측벽형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가지관(9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에 조립된 튜브 홀더(25)가 복수 개의 볼(29)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피팅 어댑터(26)의 통공(26a)을 폐쇄하고 있던 플런저(27)가 피팅 어댑터(26)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플런저 써포트 튜브(22) 및 아우터 튜브(21)에서 소방수가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 상태이므로 외기의 온도가 떨어지더라도 스프링클러 헤드가 동파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고열에 의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트 콜렛터(70)의 퓨즈(71)가 용융되어 프레임(30)에서 이탈된다.
상기 프레임(30)에서 히트 콜렛터(70)가 이탈되면 인출수단(80)을 압축시키면서 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전방향 디플렉터(40)가 프레임(30)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플런저 써포트 튜브(22)의 지지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튜브 홀더(25)에 의한 복수 개의 볼(29)의 지지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팅 어댑터(26)의 통공(26a)을 폐쇄하고 있던 플런저(27)가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통공(26a)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튜브 홀더(25)를 밀어내게 되므로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가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23)와 함께 프레임(30)의 출구 측으로 이동하여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23)의 걸림 턱(23a)이 프레임 홀더(31)의 단턱(31a)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피팅 어댑터(26)의 통공(26a)에서 빠져나온 플런저(27)는 소방수의 수압에 의해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스톱 핀(11)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톱 핀(11)에 걸린 플런저(27)는 스톱 핀(27)에 회전방지용 바(28)가 고정되어 있어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으므로 소방수가 분출하는 과정에서 플런저(27)에 의한 난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피팅 어댑터(26)에 형성된 통공(26a)을 통해 소방수가 빠져나오면 스톱 핀(27)이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24)에 위치되어 있어 유량이 감소되지만, 본 발명은 소방수의 일부가 플런저(27)가 걸린 전방의 제1 바이패스공(24a)을 통해 아우터 튜브(21)의 공간을 거쳐 제2 바이패스공(24b)으로 유입되어 플런저(27)를 통과한 소방수와 함께 프레임(30)을 출구로 분사되어 전방향 디플렉터(40)의 바닥면(42)에 부딪힌 다음 살수공간(43)으로 비산되고, 일부는 측방향 디플렉터(50)에 부딪혀 상방향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드라이 펜던트 20 : 유로개폐수단
21 : 아우터 튜브 22 : 플런저 써포트 튜브
23 :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 23a : 걸림 턱
24 :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 24a, 24b : 제1, 2 바이패스공
25 : 튜브 홀더 26 : 피팅 어댑터
27 : 플런저 28 : 회전방지용 바
29 : 볼 30 : 프레임
31 : 프레임 홀더 40 : 전방향 디플렉터
41 : 플랜지 42 : 바닥면
50 : 측방향 디플렉터 51 : 감압부
60 : 디플렉터 70 : 히트 콜렉터
80 : 인출수단

Claims (7)

  1. 가지관과 연결되고, 가지관과 연결되는 지점을 폐쇄하여 내부에 빈 공간을 유지하도록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된 드라이 펜던트와,
    상기 드라이 펜던트의 일단에 결합되고 출구가 개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소방수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 측방향 디플렉터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평탄한 바닥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분사공간을 갖도록 복수 개의 상향절곡부를 갖는 전방향 디플렉터로 이루어진 디플렉터와,
    상기 프레임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전방향 디플렉터가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는 히트 콜렉터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압축되게 설치되어 있다가 히트 콜렉터의 이탈시 전방향 디플렉터를 프레임의 외부로 밀어내는 인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펜던트의 유로개폐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는 파이프형상의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이 히트 콜렉터에 지지되는 플런저 써포트 튜브와,
    상기 플런저 써포트 튜브에 결합되는 튜브 홀더와,
    상기 아우터 튜브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 소방수 통공이 형성된 피팅 어댑터와,
    상기 피팅 어댑터의 통공에 설치되어 소방수의 유로를 폐쇄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튜브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 개의 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서포트 튜브를,
    상기 히트 콜렉터에 일단이 지지된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와,
    상기 제1 플런저 써포트 튜브에 결합되어 아우터 튜브 내에 수용되는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와,
    상기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의 내부에 고정되어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회전방지용 바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톱 핀이 설치된 제2 플런저 써포트 튜브의 양측으로 제1, 2 바이패스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출수단은,
    상기 전방향 디플렉터의 플랜지에 압축되게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가 히트 콜렉터의 이탈 시, 전방향 디플렉터를 프레임의 외부로 밀어내는 원추형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에 프레임의 둘레를 감싸는 감압부를 형성하여 상기 측방향 디플렉터를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180109165A 2018-09-12 2018-09-12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6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65A KR102165877B1 (ko) 2018-09-12 2018-09-12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165A KR102165877B1 (ko) 2018-09-12 2018-09-12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76A true KR20200030376A (ko) 2020-03-20
KR102165877B1 KR102165877B1 (ko) 2020-10-14

Family

ID=6995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165A KR102165877B1 (ko) 2018-09-12 2018-09-12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8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663A (ko) 2020-05-29 2021-12-07 필립산업 (주) 외팔보형 스프링클러 마감구조
KR20210148714A (ko) 2020-06-01 2021-12-08 필립산업 (주) 외팔보형 스프링클러 지지링
KR20220083042A (ko) * 2020-12-11 2022-06-20 임광훈 측벽용 스프링클러 헤드
KR20220116878A (ko) * 2021-02-16 2022-08-23 (주)제이앤피 테크 측벽형 드라이펜던트 스프링클러
KR20220116877A (ko) * 2021-02-16 2022-08-23 (주)제이앤피 테크 시트홀더유닛이 구비된 측벽형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736B1 (ko) 2021-05-18 2022-01-06 권영규 스프링클러 헤드용 조절디플렉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34Y1 (ko) * 2001-11-06 2002-03-0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프렉터 변형방지장치
KR20110114985A (ko) * 2010-04-14 2011-10-20 서울메트로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KR20120039906A (ko)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870907B1 (ko) * 2017-03-16 2018-06-28 최영표 삽입형 건식 드라이펜던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134Y1 (ko) * 2001-11-06 2002-03-09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건식 스프링클러 헤드의 디프렉터 변형방지장치
KR20110114985A (ko) * 2010-04-14 2011-10-20 서울메트로 동파방지용 스프링클러
KR20120039906A (ko) * 2010-10-18 2012-04-26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870907B1 (ko) * 2017-03-16 2018-06-28 최영표 삽입형 건식 드라이펜던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7663A (ko) 2020-05-29 2021-12-07 필립산업 (주) 외팔보형 스프링클러 마감구조
KR20210148714A (ko) 2020-06-01 2021-12-08 필립산업 (주) 외팔보형 스프링클러 지지링
KR20220083042A (ko) * 2020-12-11 2022-06-20 임광훈 측벽용 스프링클러 헤드
KR20220116878A (ko) * 2021-02-16 2022-08-23 (주)제이앤피 테크 측벽형 드라이펜던트 스프링클러
KR20220116877A (ko) * 2021-02-16 2022-08-23 (주)제이앤피 테크 시트홀더유닛이 구비된 측벽형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877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0376A (ko)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2158703B1 (ko) 회전가능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US5094298A (en) Fire sprinkler apparatus
US4596289A (en) Quick response automatic fire sprinkler head
US8225881B2 (en) Dry sprinkler with diverter seal assembly
US7275603B2 (en)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US6805203B2 (en) Cover plate for concealed sprinkler
KR20090095613A (ko) 은폐형 스프링클러
US20090056958A1 (en)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CA1091130A (en) Sprinkler head with wall penetrating means
KR102211444B1 (ko) 방사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JP2001340485A (ja) 差圧式開放弁および開放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KR20200089396A (ko) 나선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JP2004141647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405474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120039906A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2306477B1 (ko) 앵글타입 드라이 펜던트 스프링클러 헤드
KR200450559Y1 (ko) 내외관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스프링쿨러 헤드
KR102158704B1 (ko) 날개부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JP7245346B2 (ja) アングル型ドライペンダント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2014136000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2651264B1 (ko)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KR101448381B1 (ko)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