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961A -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961A
KR20120114961A KR1020110032828A KR20110032828A KR20120114961A KR 20120114961 A KR20120114961 A KR 20120114961A KR 1020110032828 A KR1020110032828 A KR 1020110032828A KR 20110032828 A KR20110032828 A KR 20110032828A KR 20120114961 A KR20120114961 A KR 20120114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electrode patterns
layer
bending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251B1 (ko
Inventor
변강호
김병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251B1/ko
Priority to US13/173,781 priority patent/US8547197B2/en
Publication of KR2012011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applying terminals
    • H01C17/28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applying terminals by thick film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10Adjustable resistors adjustable by mechanical pressure or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 H01C17/06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by thick film techniques, e.g. seri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82Resistor making
    • Y10T29/49103Strain gauge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flexible substrate);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가요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 패턴; 및 도전성 입자들을 함유하고,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된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도포되는 페이스트 층(paste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기판이 휘어지면,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밀도가 변화하여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의 전기 저항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가요성 기판, 궁극적으로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나 상기 가요성 기판이 부착되는 대상물의 변형을 감지하는 굽힘 감지 센서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굽힘 감지 센서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성하게 될 가요성 기판상에 전극 패턴 및 페이스트 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 범위 이내에서 굽힘 감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BENDING SENS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굽힘 감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 용이한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은 영상 신호 등을 제공받아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셀룰러 폰이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차량용 네비게이션, 텔레비전, 세탁기나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일상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소자의 상용화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소형화된 기기에도 장착되기에 이르렀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패널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되어 화면에 가상의 키패드를 구현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물리적인 키패드를 대체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가 개발되었고,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는 제품의 사양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을 고려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조건들 속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접거나 구부릴 수 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는 확장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휴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상용화는,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상용화에 있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어를 위해서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감지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에 따라 실제로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과 방향을 조절하는 제어가 필요하며, 따라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계측해야 하는 것이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의 변형 등을 측정, 감지하기 위하여 굽힘 감지 센서가 활용되는데, 이러한 굽힘 감지 센서는 콘크리트나 합성 수지가 경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성 변화, 경화 후의 균열이나 변형 등을 감시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운용 중인 항공기나 선박 등의 균열, 변형 등을 감시하는데 굽힘 감지 센서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계측하기 위한 굽힘 감지 센서로는, 터치스크린 기술에 응용되는 투명 전극 재료나 홀 센서를 응용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흔히, ITO 필름이라 불리는 인-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필름으로 대표되는 투명 전극 재료는 다수의 가로전극과 세로전극들을 서로 교차하게 배열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소자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기술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전극 재료를 이용한 굽힘 감지 기술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내측면이나 외측면에 별도의 ITO 필름을 부착하기 때문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되면, 접거나 구부리는 동작에서 허용될 수 있는 곡률 반경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접거나 구부리는 동작에서 내측 표면 또는 외측 표면에서의 변위가 커지기 때문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가 손상될 위험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기술에 응용되는 ITO 필름은 특정 지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동작과 같이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변형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이용한 구조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폭 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홀 센서를 배열하고, 특정 지점에 배치된 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변형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홀 센서를 이용한 굽힘 감지 구조는 특정 조건에 대한 변형, 예를 들면,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말아서 휴대하거나 접는 등의 변형이 홀 센서가 배열된 방향으로 이루어질 때만 감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홀 센서를 이용한 구조는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까지 감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굽힘 감지 센서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굽힘 감지 센서 및 그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가요성 기판(flexible substrate);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가요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 패턴; 및 도전성 입자들을 함유하고,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된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도포되는 페이스트 층(paste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기판이 휘어지면,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밀도가 변화하여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의 전기 저항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가요성 기판, 궁극적으로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나 상기 가요성 기판이 부착되는 대상물의 변형을 감지하는 굽힘 감지 센서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굽힘 감지 센서는 상기 페이스트 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균열(cra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그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flexible display element)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 상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 감지 센서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도포되는 보호층(protection layer)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기판은 그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타면 상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굽힘 감지 센서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타면에 도포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굽힘 감지 센서는 상기 보호층과 가요성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은 각각 상기 보호층에 배치되고, 상기 페이스트 층은 상기 접착층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굽힘 감지 센서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타면에 도포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 표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굽힘 감지 센서는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패턴들이 위치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굽힘 감지 센서 제작을 위한 가요성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어느 한 면 상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패턴들이 형성된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한 면 상에 도전성 입자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페이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트 층은 상기 전극 패턴들을 덮도록 도포되는 굽힘 감지 센서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때, 상기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가요성 기판은 그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 패턴들 중 일부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전극 패턴들이 위치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 층은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도전성 물질층을 증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물질층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하는 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전극 패턴들의 형상에 따라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 및 에칭 또는 식각 공정을 통해 도포된 상기 도전성 물질층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중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물질층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일부분이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여 상기 전극 패턴들 및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은 상기 가요성 기판을 관통하는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제작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층은 접착층을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에 부착되며,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요성 기판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은 상기 페이스트 층의 표면에 균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굽힘 감지 센서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성하게 될 가요성 기판상에 전극 패턴 및 페이스트 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두께 범위 이내에서 굽힘 감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극 패턴들의 배열 방향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접히거나 구부러진 정도와 방향을 감지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굽힘 감지 센서를 통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화면 표시 영역과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전도성 물질의 증착, 세정, 포토레지스트 도포, 노광, 현상, 식각 등의 일련의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 중에 또는, 이와 동일한 공정을 통해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굽힘 감지 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제1의 방향으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제2의 방향으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배치된 다양한 형태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의 전극 패턴들이 가요성 기판에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요성 기판에 페이스트 층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된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된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된 제3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된 제4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를 제조하는 과정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를 제조하는 과정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를 제조하는 과정의 제2 실시 예의 변형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와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굽힘 감지 센서가 적용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활용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굽힘 감지 센서(10)는 가요성 기판(11)상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 패턴(13)을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 배치하고,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하여 상기 전극 패턴(13)을 덮은 구조이다. 이때, 페이스트 층(15)은 도전성 입자(17)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나 잉크로 인쇄 또는 스크린 프린트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면서,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 분포된 도전성 입자(17)들의 밀도가 달라진다. 이는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의 전기 저항의 변화를 유발하며, 이러한 전기 저항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변형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11)은 물성의 변화나 변형 등의 감시 대상이 되는 물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기판(11)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일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일부분이라면,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는 상기 가요성 기판(11) 자체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가요성 기판(11)은 일반적인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의 베이스 필름이나,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기판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13)은 도전성 물질을 부착 또는 증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을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증착한 후, 전극 패턴(13)을 형성할 도전성 물질의 증착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극 패턴(13)을 형성한다면,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대량으로 제작하는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패턴(13)들은 포토에칭 공정과 유사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우선,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일면에 도전성 물질층을 증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전성 물질층은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일면 전반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전성 물질층을 완성한 후, 상기 도전성 물질층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하게 된다. 포토레지스트가 경화된 후에는 형성하고자 하는 전극 패턴(13)들의 형상과 배열에 따라 제작된 포토 마스크를 포토레지스트 상에 배치하고 노광 및 현상하게 된다. 이후, 에칭 또는 식각 공정을 진행하면, 노광된 포토레지스와 함께 해당 부분의 도전성 물질층이 제거된다. 다시 말해서, 에칭 또는 식각 공정을 통해 불필요한 도전성 물질이 제거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전극 패턴(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하기에서 설명되겠지만, 포토레지스트 중 일부가 잔류하여 상기 전극 패턴(13)이 형성된 영역을 감싸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패턴(13)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되거나 상기 가요성 기판(11)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 소자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 패턴(13)들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굽힘 감지 센서(10) 하나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전극 패턴(13)이 필요하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셋 이상의 전극 패턴(13)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페이스트 층(15)은 상기 전극 패턴(13)들을 덮도록 도포되는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도전성 입자(17)들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도전성 입자(17)들은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도 분포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 패턴(13)들을 통해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는 상기 도전성 입자(17)들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2와 도 3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변형된 모습을 다소 과장하여 각각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2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중앙부가 상향으로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 상기 가요성 기판(11)은 실질적인 길이는 유지하면서 그 형상만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 간격은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보다 더 멀어지고,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성 입자(17)들의 밀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전기 저항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중앙부가 하향으로 변형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때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11)은 실질적인 길이는 유지하면서 그 형상만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 간격이 도 1에 도시된 초기 상태보다 더 가까워지고,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성 입자(17)들의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전기 저항의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11), 더 궁극적으로는 상기 가요성 기판(11)이 부착된 대상물 또는 상기 가요성 기판(11)이 구성하게 되는 디스플레이 소자 등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초기 상태의 전기 저항과 변형된 후에 측정되는 전기 저항 사이의 차이를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변형된 방향과 변형된 정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 자체의 구성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므로, 전기 저항의 차이로부터 변형 방향이나 정도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페이스트 층(15)의 표면에는 다수의 균열(19)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변형 과정에서 상기 페이스트 층(1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균열(19)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변형될 수 있는 허용 곡률 반경이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변형될 수 있는 허용 곡률 반경이 확장되지 않더라도, 이미 설정된 허용 곡률 반경 내에서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변형될 때 상기 페이스트 층(1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반복적으로 변형을 일으킬 경우, 상기 페이스트 층(15) 상에서 특정 부위에 피로도가 집중되어 제조 후에 원하지 않는 균열(19)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피로도 증가나 원하지 않는 균열(19)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미리 상기 페이스트 층(15)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균열(19)들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균열(19)들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의 쐐기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반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균열(19)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들을 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하면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만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함은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극 패턴(13)들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됨을 의미한다. 도 4의 (b)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일측과 상측에 각각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는데,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상측에서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4의 (c)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양측과 상측에 각각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각각 하나씩 배치된 구성이 예시된다.
아울러, 도 4의 (d),(e) 및 (f)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한 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수를 더 증가시키거나,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둘레에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들을 배치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배치함에 있어서 그 수와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영역 내에서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 자체의 크기를 줄이고 더 많은 수를 설치할 수 있다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가 변형된 위치와 각 지점에서의 변형된 정도와 방향을 더 정밀하게 검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도 5와 도 6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적용된 실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들로서, 도 4는 상기 전극 패턴(13)들이 형성된 구성을, 도 5는 상기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기판(11) 중 일부분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일부분을 구성함과 아울러, 다른 일부분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일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즉, 하나의 가요성 기판(11)으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모두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와 가요성 기판(11)을 공유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부착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일면에는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다수의 전극 패턴(13)들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 패턴(13)들 각각은 인쇄회로 패턴을 이루는 신호라인들(23) 중 일부와 연결된다. 상기 신호라인들(23)은 상기 가요성 기판(11) 상에서 하단부에 위치된 접속부(25)로 집중되며, 별도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7; 도 7에 도시됨)이 상기 접속부(25)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신호라인들(23) 중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1)에 접속되어 전원과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호라인들(23)과 전극 패턴(13)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전극 패턴(13)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 층(15)은 상기 전극 패턴(13)들 중 선택된 일부만을 덮도록 도포되며, 상기 페이스트 층(15)이 도포된 후에야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들이 각각 완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한 변에 대응하는 4개의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들을 구비한다. 상기 전극 패턴(13)들에 신호라인을 접속시키고, 상기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둘레에 배치되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상기 페이스트 층(15)으로 덮인 상기 전극 패턴(13)들 중 일부는 상기 신호라인들(23)과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하나의 굽힘 감지 센서(10) 내에서 셋 이상의 전극 패턴(13)이 형성된 경우, 상기 신호라인(23)이 접속되는 전극 패턴(13)은 가장자리에 배치된 전극 패턴(13)들이 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즉, 하나의 상기 페이스트 층(15) 내에 5개의 전극 패턴(13)들이 있다면, 가장자리의 전극 패턴(13)들만 신호라인(23)과 접속되며, 그 사이에 위치된 3개의 전극 패턴(13)들은 신호라인(23)과 접속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변형되면, 상기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상기 페이스트 층(15) 내에 분포된 도전성 입자(17)들의 밀도가 변화되어 전기 저항이 변화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 상에 배치할 수 있는 다양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단면 구성도이며, 다만,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 상기 접속부(25) 사이에도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25)에 별도의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27)이 접속되어 전원 및 각종 신호라인들을 휴대용 단말기 등의 주 회로기판과 접속시키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예에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 전극 패턴(13), 페이스트 층(15)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양면에 도포되는 보호층(31, 3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1, 33)은 아크릴 수지와 같이 투명도가 높으면서 내스크래치성 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가요성 기판(11) 상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는 일면에, 굽힘 감지 센서(10)는 타면에 각각 배치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대체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신호라인들과 동일한 면에 상기 접속부(25)가 형성되는데, 이 경우, 상기 가요성 기판(11)에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에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상기 접속부에 연결하기 위한 비아 홀(via hole)(29)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아 홀(29)은 상기 전극 패턴(13)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가요성 기판(11)이 이미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도 9와 도 10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 굽힘 감지 센서(10)를 가요성 기판(11)의 다른 면에 각각 배치하되, 굽힘 감지 센서(10)를 보호층 상에 배치한 구성들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굽힘 감지 센서(10)의 전극 패턴(13)이나 페이스트 층(15)은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표면에 반드시 접촉될 필요는 없다. 즉, 실질적으로 대상물,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21)의 변형을 감지하게 될 상기 전극 패턴(13)과 페이스트 층(15)은 변형되는 대상물의 어떠한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대상물이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항공기나 선박의 일부분일 경우에는 상기 가요성 기판(11)을 포함하여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제작하여 원하는 위치에 부착해야 함은 자명하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이 그 두께가 수㎛~수십㎛에 불과한 제품에 본 발명에 따른 굽힘 감지 센서(10)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보호층,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는 다른 면에 형성되는 보호층(31)의 표면상에 상기 전극 패턴(13)들과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층(31)의 표면에 상기 전극 패턴(13)들과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포토에칭 공정, 인쇄 또는 스크린 프린트 공정 등을 통해 각각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층(31)은 별도의 접착층(35)을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부착되거나 열 압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전극 패턴(13)들과 페이스트 층(15)이 상기 가요성 기판(11)과 보호층(31)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보호층(31)은 상기 접착층(35)을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부착되며 상기 전극 패턴(13)들이 상기 가요성 기판(11)과 대면하는 상기 보호층(31) 표면에 위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아울러, 도 10은 열 압착 등의 방법으로 상기 보호층(31)이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직접 부착되며, 상기 전극 패턴(13)들은 상기 보호층(31)의 외측 표면에 위치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13)이 반드시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직접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감시의 대상이 되는 물체의 변형에 따라 일정 정도의 변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전극 패턴(13)과 페이스트 층(15)을 배치하는 것으로도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는 충분히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가요성 기판(11)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 자체의 기판 또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를 부착할 기판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에 연결되는 신호라인, 전원라인을 형성하는 과정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턴(13)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기판(11)에 상기 전극 패턴(13)을 형성한 모습이 도 11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 중 상기 전극 패턴(13)을 제조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 있는 포토에칭 공정과 유사하다. 즉, 증착을 통해 도전성 물질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세정한 후, 포토레지스트를 도포, 경화시키고, 포토 마스크를 배치한 상태에서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현상 과정을 거친 다음, 식각 공정을 통해 다른 신호라인이나 전원라인 등의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턴(1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13)이 형성된 후에는 상기 전극 패턴(13)을 덮도록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상기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인쇄 또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통해 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 층(15)이 형성된 모습은 도 11의 (b)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스트 층(15)은 도전성 입자(17)들을 함유함으로써, 전극 패턴(13)들 사이에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변형은 도전성 입자(17)들의 분포 밀도가 변화되며, 이는 전극 패턴(13)들 사이의 전기 저항을 달라지게 한다. 이러한 전기 저항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11)의 변형 방향과 변형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의 (c)와 (d)는 각각 상기 페이스트 층(15) 상에 보호층(33, 39)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가요성 기판(11)에 형성되는 구조라면, 상기 보호층(33, 39) 또한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표면에 형성되는 보호층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x) 층(33)과 아크릴(Acryl) 층(39)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예시되어 있으며, 특히, 표면에 위치되는 아크릴 층(39)은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균열(19)은 상기 보호층(33, 39)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페이스트 층(15)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굽힘 감지 센서(10)는 구조물 등에 부착되어 구조물의 변형의 방향이나 변형의 정도를 계측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의 기판 등에 신호라인 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 패턴(13)들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패턴(13) 등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와는 다른 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접속부(25)와 상기 전극 패턴(13)에 연결된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비아홀(via hole)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접속부(25)와 상기 전극 패턴(13)이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더라도, 간단하게 전원을 상기 전극 패턴(13)들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제조하는 또 다른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극 패턴(13)들이 형성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돌출부(41)를 상기 가요성 기판(11)상에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 돌출부(41)가 상기 전극 패턴(13)들이 형성되는 영역을 둘러싸게 형성됨으로써, 페이스트가 도포되는 영역을 한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페이스트는 점성 재질이기 때문에, 인쇄나 스크린 프린트 공정을 진행하더라도, 주위로 번질 수 있다. 즉, 설계된 영역 내에서 페이스가 도포되어야 함에도, 페이스트 자체의 점성과 표면 장력 등에 의해 설계된 영역을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영역 또는 다른 신호라인까지 페이스트가 침범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41)를 형성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1)는 상기 전극 패턴(1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포토레지스트 일부를 제거하지 않고 잔류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패턴(13)을 형성한 후, 추가의 포토에칭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돌출부(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미 형성된 전극 패턴(13)이 돌출부 형성을 위한 현상 및 식각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도록 공정 진행 조건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도 13은 상기 전극 패턴(13)을 덮는 페이스트의 도포 영역을 한정하는 돌출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포토에칭 공정 등을 진행하지 않고, 상기 가요성 기판(11) 자체에 형상을 이용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가요성 기판(11)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극 패턴(13)이 형성될 영역에 상응하는 위치에 더미(43)를 배치하여 상기 가요성 기판(11)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45)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45)를 형성하는 구조의 굽힘 감지 센서(10) 또한, 상기 페이스트 층(15)을 형성한 후에는 그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는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가 적용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활용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14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가 활성화된 상태, 즉,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활용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설치된 기기(51)가 디지털 카메라인 경우,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로부터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가 펼쳐진 것이 감지되면서 상기 기기(51)는 촬영 모드로 설정된다. 또한, 별도의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탐색하는 모드로 전환된다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상기 기기(51)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게 될 것이다.
상기 기기(51)가 촬영 모드인 상태에서,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전, 후 방향으로 구부리는 경우에는 셔터 속도를 조절하거나, 인물 촬영, 파노라마, 풍경 사진 또는 야경과 같이 촬영 옵션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기기(51)의 제조 과정에서 미리 프로그램되거나,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가장자리를 움직여, 화면 전체를 뒤틀리게 하는 등의 동작을 할 때에는 촬영 감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기(51)가 이미 촬영된 이미지를 탐색하는 모드인 경우, 도 14의 (b)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21)를 변형시키는 동작으로 다음 이미지, 이전 이미지를 표시하게 하거나 화면의 밝기 등을 조절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상기 기기의 둘레(51)에 위치되도록 원통형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 말았을 때에는, 상기 기기(51)를 동영상 촬영 모드 또는 음성 녹음 모드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상기 굽힘 감지 센서(10)를 적용한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다양한 변형에 기초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 조정 동작을 구현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상기 기기(51)의 작동 모드를 전환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굽힘 감지 센서 11: 가요성 기판
13: 전극 패턴 15: 페이스트 층
17: 도전성 입자 20: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
21: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

Claims (21)

  1. 굽힘 감지 센서에 있어서,
    가요성 기판(flexible substrate);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가요성 기판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극 패턴; 및
    도전성 입자들을 함유하고, 상기 전극 패턴이 형성된 상기 가요성 기판 상에 도포되는 페이스트 층(paste layer)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기판이 휘어지면,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도전성 입자들의 밀도가 변화하여 상기 전극 패턴들 사이의 전기 저항이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층의 표면에 형성되는 균열(crack)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그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flexible display element)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 상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상태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도포되는 보호층(protection layer)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그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타면 상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을 따라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타면에 도포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과 가요성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은 각각 상기 보호층에 배치되고, 상기 페이스트 층은 상기 접착층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타면에 도포되는 보호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 표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패턴들이 위치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13. 굽힘 감지 센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굽힘 감지 센서 제작을 위한 가요성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기판의 어느 한 면 상에 적어도 한 쌍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패턴들이 형성된 상기 가요성 기판의 한 면 상에 도전성 입자들을 함유하는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페이스트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트 층은 상기 전극 패턴들을 덮도록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의 제조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인쇄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가요성 기판은 그의 일면에 부착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 패턴들 중 일부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소자에 연결되어 전원 및 영상 신호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의 제조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전극 패턴들이 위치되는 영역을 둘러싸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페이스트 층은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의 제조 방법.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도전성 물질층을 증착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물질층에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도포하는 단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전극 패턴들의 형상에 따라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노광 및 현상하는 단계; 및
    에칭 또는 식각 공정을 통해 도포된 상기 도전성 물질층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 중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물질층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일부분이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여 상기 전극 패턴들 및 돌출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을 관통하는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은 상기 비아 홀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제작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가요성 기판의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보호층의 표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접착층을 통해 상기 가요성 기판에 부착되며,
    상기 전극 패턴들 및 페이스트 층은 상기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요성 기판에 대면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
  21.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층의 표면에 균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감지 센서 제조 방법.
KR1020110032828A 2011-04-08 2011-04-08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7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828A KR101878251B1 (ko) 2011-04-08 2011-04-08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US13/173,781 US8547197B2 (en) 2011-04-08 2011-06-30 Bending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828A KR101878251B1 (ko) 2011-04-08 2011-04-08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961A true KR20120114961A (ko) 2012-10-17
KR101878251B1 KR101878251B1 (ko) 2018-07-13

Family

ID=4696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828A KR101878251B1 (ko) 2011-04-08 2011-04-08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47197B2 (ko)
KR (1) KR10187825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638A1 (en) * 2013-10-10 2015-04-16 Stretchsense Limited A method of fabrication of laminates of elastic material suitable for dielectric elastomer sensing
KR20150091595A (ko) * 2014-02-03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WO2016143925A1 (ko) * 2015-03-11 2016-09-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 물질 패터닝을 이용한 변형 감지 유연성 기판
US9519370B2 (en) 2013-05-31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563320B2 (en) 2014-08-28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WO2017074047A1 (ko) * 2015-10-28 2017-05-04 덕산하이메탈(주) 투광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1527A (ko) 2017-11-07 2019-05-15 울산과학기술원 유연 메커니즘 기반 로봇용 관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05679B2 (en) 2016-10-13 2020-03-31 Nissha Co., Ltd. Pressure sensor
KR20220092719A (ko) * 2020-12-24 2022-07-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센서,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2365A (ko) 2021-05-08 2022-11-15 양정식 못난이농산물 천연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2796B2 (en) *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1980842B1 (ko) 2012-09-06 2019-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싱 유닛, 플렉서블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2009724B1 (ko) * 2012-10-29 2019-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휘도 보정 방법
KR102058699B1 (ko) * 2013-01-24 2019-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및 휨 감지 기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15605B1 (ko) * 2013-04-29 2020-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Cof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73312B1 (ko) * 2013-05-31 2014-1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터치스크린패널과 그것을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628103B2 (en) 2013-06-07 2020-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and program
KR102018733B1 (ko) * 2013-06-1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927840B2 (en) 2013-06-21 2018-03-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image data on a bendable display unit
KR102601782B1 (ko) 2013-07-02 2023-11-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 처리 장치
GB2520050A (en) 2013-11-08 2015-05-13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US9228907B2 (en) 2013-11-14 2016-01-05 Nokia Technologies Oy Flexible device deformation measurement
TWI514219B (zh) * 2013-12-17 2015-12-21 Ind Tech Res Inst 運用於軟性顯示面板的撓曲感測器及相關感測方法與系統
KR102219510B1 (ko) 2014-02-04 2021-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곡률가변장치
KR102511325B1 (ko) * 2014-04-18 2023-03-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56799B2 (en) 2014-05-02 2020-05-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81847B1 (ko) * 2014-06-17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16019223A1 (en) * 2014-08-01 2016-02-04 Western Michiga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Self-supported electronic devices
EP3194953B1 (en) * 2014-09-19 2019-07-17 Crocus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magnetic sensor based surface shape analysis
CN107110919B (zh) * 2014-10-02 2019-12-24 科罗克斯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基于磁传感器的表面形状分析空间定位的装置和方法
TWI550850B (zh) 2014-11-19 2016-09-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可撓性電子裝置
US9741772B2 (en) 2014-12-26 2017-08-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ending sensor
JP6512632B2 (ja) * 2015-03-20 2019-05-1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接続構造体及び異方性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US20160370210A1 (en) * 2015-06-18 2016-12-22 Amphenol Thermometrics, Inc. Modular flexible sensor array
KR102424860B1 (ko) * 2015-11-04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6523939B2 (ja) * 2015-12-11 2019-06-0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折曲検知可能なタッチセンサおよび折曲検知可能な表示装置
CN105955534B (zh) * 2016-05-09 2018-09-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CN107702636A (zh) * 2016-08-09 2018-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弯曲检测方法及装置、终端
GB2557894B (en) 2016-10-01 2019-12-11 Peratech Holdco Ltd Flexible sensor
TWI627381B (zh) * 2016-10-21 2018-06-21 台灣艾華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彎曲感測器
JP2018077191A (ja) * 2016-11-11 2018-05-17 北川工業株式会社 感圧センサー
US10746612B2 (en) 2016-11-30 2020-08-18 The Board Of Trustees Of Western Michigan University Metal-metal composite ink and methods for forming conductive patterns
US10444912B2 (en) * 2016-12-30 2019-10-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nsing method of sensing device and stretchable sensor device
KR102483893B1 (ko) * 2018-02-09 2023-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910818B (zh) * 2018-06-12 2022-01-04 大连理工大学 一种柔性聚合物表面上金属纳米裂纹的制造方法
CN108984056A (zh) * 2018-09-29 2018-12-1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触控盖板及外挂式柔性触控显示面板
WO2020195460A1 (ja) * 2019-03-25 2020-10-01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感圧部材及び圧力検出装置
CN110361118A (zh) * 2019-05-08 2019-10-22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柔性传感器、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WO2021030810A1 (en) * 2019-08-15 2021-02-18 Tactual Labs Co. Finger for multibend sensor
CN110579225B (zh) * 2019-09-11 2022-02-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平面电容传感器及其制作方法
CN110675753B (zh) * 2019-09-30 2022-06-0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盖板、盖板的制备方法和柔性显示屏
US11079879B1 (en) * 2020-01-22 2021-08-0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touch display device
CN111735379B (zh) * 2020-05-15 2021-06-08 吉林大学 一种用于多模态信息测量的包覆式仿生柔性传感器
KR102220153B1 (ko) * 2020-05-20 2021-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4508996A (zh) * 2022-01-26 2022-05-17 河北工业大学 一种感知复杂变形的柔性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785A (en) * 1989-08-10 1992-02-11 Abrams/Gentille Entertainment Inc. Angular displacement sensors
CA2353697A1 (en) * 2001-07-24 2003-01-24 Tactex Controls Inc. Touch sensitive membrane
WO2004049045A2 (en) * 2002-11-26 2004-06-10 E Ink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circuits and displays
US7274413B1 (en) * 2002-12-06 2007-09-25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lexible video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7277004B2 (en) * 2005-04-22 2007-10-02 Sensitron, Inc. Bi-directional deflectable resistor
JP2007000327A (ja) * 2005-06-23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US7248142B2 (en) * 2005-08-02 2007-07-24 Sensitron, Inc. Thin deflectable resistor
US20080158171A1 (en) * 2006-12-29 2008-07-03 Wong Hong W Digitizer for flexible display
JP2009198483A (ja) * 2008-01-24 2009-09-03 Tokai Rubber Ind Ltd センサ薄膜、その製造方法、および変形センサ
KR20090087303A (ko) * 2008-02-12 2009-08-17 한국과학기술원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다면 디스플레이
EP2265900A2 (en) * 2008-04-11 2010-12-29 Rambus Inc. Displacement sensing using a flexible substrate
KR101019586B1 (ko) 2008-08-26 2011-03-07 (주)한성티앤아이 광역살포기의 장탈착장치
KR101060660B1 (ko) * 2009-02-23 2011-08-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케일인덱스 소자, 이를 구비한 기판, 이의 형성방법, 이를 이용한 기판의 변형 측정 방법 및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9370B2 (en) 2013-05-31 2016-12-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WO2015053638A1 (en) * 2013-10-10 2015-04-16 Stretchsense Limited A method of fabrication of laminates of elastic material suitable for dielectric elastomer sensing
US10228231B2 (en) 2013-10-10 2019-03-12 Stretchsense Limited Laminated devices of elastic material suitable for dielectric elastomer sensing
US9816800B2 (en) 2013-10-10 2017-11-14 Stretchsense Limited Method of fabrication of laminates of elastic material suitable for dielectric elastomer sensing
KR20150091595A (ko) * 2014-02-03 201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US9563320B2 (en) 2014-08-28 2017-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699894B2 (en) 2015-03-11 2017-07-04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Deformation sensing flexible substrate using pattern formed of conductive material
WO2016143925A1 (ko) * 2015-03-11 2016-09-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 물질 패터닝을 이용한 변형 감지 유연성 기판
WO2017074047A1 (ko) * 2015-10-28 2017-05-04 덕산하이메탈(주) 투광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05679B2 (en) 2016-10-13 2020-03-31 Nissha Co., Ltd. Pressure sensor
KR20190051527A (ko) 2017-11-07 2019-05-15 울산과학기술원 유연 메커니즘 기반 로봇용 관절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92719A (ko) * 2020-12-24 2022-07-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센서,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2365A (ko) 2021-05-08 2022-11-15 양정식 못난이농산물 천연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6720A1 (en) 2012-10-11
KR101878251B1 (ko) 2018-07-13
US8547197B2 (en)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251B1 (ko) 굽힘 감지 센서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13379B1 (ko)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TWI396901B (zh) 製作觸控面板之方法
WO2017185875A1 (en)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cre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2189012B1 (ko) 터치 센서용 전극,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US20220404933A1 (en) Touch substrate and touch display apparatus
CN106547405A (zh)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装置及制作方法
JP2008129708A (ja)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17403A (ja) 面圧分布センサ
CN109302847B (zh) 弯曲检测传感器、柔性显示装置及用于检测柔性显示装置中的弯曲的方法
TW201022762A (en) Color filter touch sensing substrate an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the same
US9778808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1100438A (ja) 静電容量式入力装置
JP7202187B2 (ja) 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表示装置
KR101742753B1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JP6200738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48570B1 (ko)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TWM481451U (zh) 單層式觸控面板
US20160041659A1 (en) Touch panels and fabrication methods thereof
US20200150804A1 (en) Touch substrate and method of fabracating the same, touch display device
KR20180008972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079626A (ko)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5196622A1 (zh) 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22205852A1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M416813U (en)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