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670A - 렌즈 경통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670A
KR20120113670A KR1020120034737A KR20120034737A KR20120113670A KR 20120113670 A KR20120113670 A KR 20120113670A KR 1020120034737 A KR1020120034737 A KR 1020120034737A KR 20120034737 A KR20120034737 A KR 20120034737A KR 20120113670 A KR20120113670 A KR 20120113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retractable
lens group
optical axis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하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3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02B27/648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a reference alignment, e.g. in self-levelling surveying instru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렌즈 경통이 후방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후방 이동가능 부재,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축외 퇴피가능 부재,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지지하는 전방 이동가능 부재, 그리고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된 퇴피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전방 이동가능 부재 및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촬영 위치에 있을 때,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는 후방 광학 요소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고, 전방 이동가능 부재 및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후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는 후방 광학 요소와 겹쳐진다. 전방 이동가능 부재 및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할 때, 축외 퇴피가능 부재는 후방 이동가능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퇴피 구동 부재는 후방 이동가능 부재와 축외 퇴피가능 부재의 구동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접촉한다.

Description

렌즈 경통{LENS BARREL}
본 발명은 촬영 상태에서는 광축 상에 위치되고 수납 상태에서는 광축으로부터 퇴피되는 광학 요소를 가지고 있는 렌즈 경통에 관한 것이다.
렌즈 경통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 렌즈 경통의 광축 방향의 길이를 단축시킨 알려진 타입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 렌즈 경통 길이를 더욱 짧게 하기 위해서, 촬영 광학계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반경방향으로 이탈가능한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렌즈 경통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알려진 타입의 렌즈 경통이 촬영 상태에 있을 때에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광축 상에 위치되고, 렌즈 경통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광축으로부터 이탈되어 수납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렌즈 경통은 일본 특허 제3,771,9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발명자는 이러한 타입의 렌즈 경통의 수납 동작 동안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와 다른 광학 요소의 간섭을 막는 퇴피 기구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퇴피 기구는 일본 특허 제4,520,1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520,171호에 따르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촬영 상태에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후방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후방 이동가능 부재도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축외 퇴피가능 부재 및 후방 이동가능 부재)는 각각의 광학 요소 이외의 영역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맞닿음면을 구비하고 있다.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의 정해진 수납 위치보다도 렌즈 경통의 전방 단부에 더 가까운 임의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납 동작이 행해지면, 상기 맞닿음면의 접촉을 통하여, 후방 광학 요소와 축외 퇴피가능 부재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고 또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와 후방 이동가능 부재 사이의 간섭도 방지된다. 다시 말해서, 광학 요소를 각각 유지하는 상기 이동가능한 부재들의 직접 접촉에 의해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퇴피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축외 퇴피가능 부재는, 광축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일반적인 광학 요소를 위한 다른 유지(이동가능한) 부재보다 더욱 엄격하고 정확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축외 퇴피가능 부재에 걸리는 부하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납 상태에서 광축 상의 한 위치로부터 퇴피 이동하는 광학 요소를 가지고 있는 렌즈 경통으로서, 수납 동작 동안에 광학 요소와 다른 부재의 간섭을 막으면서,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축외 퇴피가능 부재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렌즈 경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렌즈 경통이 제공되는데, 이 렌즈 경통은,촬영 광학계의 후방 광학 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서 촬영 위치와 상기 촬영 위치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후퇴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후방 이동가능 부재; 상기 촬영 광학계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상에 위치되어 있는 축상 위치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벗어나서 위치되어 있는 축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축외 퇴피가능 부재;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광축을 따라서 촬영 위치와 상기 촬영 위치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후퇴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방 이동가능 부재; 그리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후퇴 수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에서 상기 축외 위치로 이동시키는 퇴피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각각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는 상기 후방 광학 요소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각각 상기 후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광축 방향으로 상기 후방 광학 요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친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의 상기 축상 위치와 상기 축외 위치 사이의 가동 범위 내에서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의 구동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접촉한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광축과 대체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피벗운동가능하게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요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광축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직진 이동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후방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의 상기 유지 프레임은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퇴피 구동 부재의 이동 궤적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접촉가능한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 프레임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림(rim)으로부터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상기 축상 위치에서 상기 축외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와 대향하고 상기 광축과 대체로 직교하는 후방 평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상기 축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맞닿음부와 일치하지 않아서,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가장 접근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퇴피 구동 부재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로부터 상기 축외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때에,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 사이의 광축 방향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퇴피 구동 부재를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 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맞닿음부와 대향하는 위치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의 상기 유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위치로부터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외 위치에 위치시키는 다른 위치로의 상기 퇴피 구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를 광축 방향 후방으로 가압하는 분력을 만드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 중의 하나는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력은 전달하지 않으면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은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퇴피 구동 부재로부터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로의 구동력 전달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와 상기 후방 광학 요소는 각각 렌즈 그룹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타입의 광학 요소에 적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와 후방 광학 요소가 각각 렌즈 그룹을 구성하는 렌즈 경통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렌즈 경통에 의하면, 렌즈 경통의 수납 동작 동안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축상 위치에서 축외 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아니라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구동시키는 퇴피 구동 부재와 접촉하여, 축외 퇴피가능 부재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 경통의 한 실시예의 수납 상태(완전히 퇴피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줌 렌즈 경통이 줌 범위의 광각단에 있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줌 렌즈 경통이 줌 범위의 망원단에 있는 상태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줌 렌즈 경통의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2 렌즈 그룹과 제3 렌즈 그룹의 지지 구조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줌 렌즈 경통의 촬상 광학계를 구성하는 제2 렌즈 그룹과 제3 렌즈 그룹의 지지 구조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9는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0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전방에서 본 다른 정면도이고;
도 11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전방에서 본 다른 정면도이고;
도 12는 렌즈 경통의 수납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전방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13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14는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후방에서 본 다른 배면도이고;
도 15는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후방에서 본 다른 배면도이고;
도 16은 렌즈 경통의 수납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를 광축 방향 후방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17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Y축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Y축 방향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Y축 방향의 다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렌즈 경통의 수납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Y축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다른 평면도이고;
도 23은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도중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다른 평면도이고;
도 24는 렌즈 경통의 수납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 제3 렌즈 그룹 프레임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25는 줌 렌즈 경통의 회로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경통의 촬영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의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2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경통의 수납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침동식 줌 렌즈 경통(줌 렌즈 시스템)(10)은, 피사체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렌즈 그룹(LG1), 셔터(S), 제2 렌즈 그룹(퇴피가능한 광학 요소)(LG2), 제3 렌즈 그룹(후방 광학 요소)(LG3), 로우 패스 필터(11) 및 촬상 센서(촬상 소자)(12)를 포함하고 있는 촬상 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촬상 광학계는 가변 초점 거리를 제공하는 줌 광학 계이다.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을 촬상 광학계의 광축(0)을 따라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줌 동작이 실행된다. 광축(O)을 따라 제3 렌즈 그룹(LG3)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초점맞춤 동작이 실행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광축 방향은 촬상 광학계의 광축(0)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전방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전방(피사체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광축 방향에 대하여 후방(상면측(image plane side))을 의미한다.
줌 렌즈 경통(10)은, 고정 부재를 구성하는 원통형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3)의 후부에 촬상 센서 홀더(14)가 고정되어 있다. 촬상 센서 홀더(14)에 의해 로우 패스 필터(11) 및 촬상 센서(12)가 지지되어 있다.
도 4, 도 5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렌즈 그룹(LG3)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후방 이동가능 부재)(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은 렌즈 유지 프레임(15a)으로부터 대체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 암부(15b, 15c)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암부(15b)에는 가이드 구멍(15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구멍(15d)을 관통하여 제3 렌즈 그룹 가이드 축(80)이 뻗어 있다. 제3 렌즈 그룹 가이드 축(80)의 각 단부는 하우징(13)과 촬상 센서 홀더(14)에 고정되어 있어서, 제3 렌즈 그룹 가이드 축(80)을 통하여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른 가이드 암부(15c)는 그 외측 단부에 회전 스토퍼(15e)를 가지고 있고, 이 회전 스토퍼(15e)가 하우징(13)의 안쪽에 형성된 회전 규제 홈(13a)에 결합되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회전이 규제된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은 제3 렌즈 그룹 가압 스프링(81)에 의해 광축 방향 전방으로 가압되어, AF 너트(82)와 맞닿고, 이로 인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AF 너트(82)는 리드 스크루(83)와 결합되어 있고, 제어 회로(60)(도 25 참고)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AF 모터(61)가 리드 스크루(83)를 회전시킬 때, AF 너트(82)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의 전면에는, 제3 렌즈 그룹(LG3)의 입사면보다도 광축 방향 전방에 위치되어 있고(도 1 내지 도 3, 도 17 내지 도 20 참고), 제3 렌즈 그룹(LG3)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전방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은, 제3 렌즈 그룹(LG3)의 입사면(피사체측의 면)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이고, 그 전방면은 광축(O)과 대체로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에는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15a)의 림(rim)에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맞닿음 플랜지(맞닿음부)(15g)가 형성되어 있다. 제3 렌즈 그룹(LG3)의 입사면은 오목한 면이고, 제3 렌즈 그룹(LG3)이 렌즈 유지 프레임(15a) 내측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는, 제3 렌즈 그룹(LG3)에는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이나 맞닿음 플랜지(15g)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맞닿음 플랜지(15g)에 인접한 위치에 가이드 오목부(가이드부)(15h)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오목부(15h)는 테이퍼면(아래에서 기술함)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3)의 안쪽에는 가변 배율 렌즈 그룹 유닛(캠 링 유닛)이 지지되어 있으며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지지/구동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가변 배율 렌즈 그룹 유닛은 줌 모터(62)(도 25 참고)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며, 제1 전진이동 경통(16), 제2 렌즈 그룹 유닛(17), 제2 전진이동 경통(18) 및 직진 안내 링(20)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전진이동 경통(16)은 제2 전진이동 경통(18)과 함께 줌 렌즈 경통(10)의 외측 경통을 구성하고 있고, 하우징(1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3b)에 대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가이드 돌기(16a)를 가지고 있다. 줌 모터(62)가 구동하여 줌 기어(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회전시키고, 그 구동력이 주면 기어(peripheral surface gear)(16b)로 전달되어,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한다. 줌 모터(62)가 구동하여 제1 전진이동 경통(16)을 회전시키면, 가이드 홈(13b)에 의해 가이드 돌기(16a)가 안내되어,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수납 상태(완전히 퇴피된 상태)에서 도 2나 도 3의 촬영 상태(줌 범위)로 되는 동안에,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하면서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한다.
직진 안내 링(20)은, 하우징(13)의 내주면에 형성된 직진 안내 홈(13c)과 직진 안내 돌기(20a)의 미끄럼이동가능한 결합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직진 안내 링(20)과 제1 전진이동 경통(16)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또한 광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유닛(17)은,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전방 이동가능 부재)(25)의 내부에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과 셔터 유닛(27)이 지지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으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직진 안내 키(25a)를, 직진 안내 링(20)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광축 방향으로 긴 구멍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직진 안내 슬롯(20b)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안에는,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과 셔터 유닛(27)의 배치 스페이스를 나누는 기능을 하는 내부 플랜지(25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은 내부 플랜지(25b)의 후방에 위치되는 있으며 제2 렌즈 그룹(LG2)이 광축(O)와 대체로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제2 렌즈 그룹(LG2)을 지지하고 있고, 그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셔터 유닛(27)은 내부 플랜지(25b)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으며, 셔터(S)의 개방/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셔터 액추에이터(63)(도 25 참고)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은 복수의 제2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복수의 제2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2)는 제1 전진이동 경통(16)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2)과 각각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제2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2)는 대응하는 직진 안내 키(25a)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위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직진 안내 링(20)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진 안내 슬롯(20b)을 통하여 제2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2)과의 결합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제2 렌즈 그룹 유닛(17))은 직진 안내 링(20)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하면, 제2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2)의 형상에 따라,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제2 렌즈 그룹 유닛(17))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한다.
제1 렌즈 그룹(LG1)은 제2 전진이동 경통(18) 내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전진이동 경통(18)은 그 내주면에 직진 안내 키(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이 직진 안내 키는 직진 안내 링(20)에 형성된 광축 방향의 직진 안내 홈(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전진이동 경통(18)이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1)가 제2 전진이동 경통(18)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이 제1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1)가 제1 전진이동 경통(16)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대응하는 제1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1)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전진이동 경통(18)은 직진 안내 링(20)을 통하여 광축 방향으로 직진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하면, 제1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1)의 형상에 따라 제2 전진이동 경통(18)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한다.
줌 렌즈 경통(10)은, 촬상 센서(12)의 수광면상에 형성된 화상의 흔들림을 경감시키는 흔들림방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흔들림방지 장치는, 줌 렌즈 경통(10)에 가해지는 흔들림을 X-자이로 센서(64)와 Y-자이로 센서(65)(도 25 참고)로 검출하고, X-자이로 센서(64)와 Y-자이로 센서(65)로부터 얻은 검출 정보에 따라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2 렌즈 그룹(LG2)을 광축(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은,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축외 퇴피가능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는 X-가이드 샤프트(32)에 의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X-가이드 샤프트(32)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안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Y-가이드 샤프트(33)에 의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Y-가이드 샤프트(33)는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에 고정되어 있다. X-가이드 샤프트(32)와 Y-가이드 샤프트(33)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X-가이드 샤프트(32)의 축선은 광축(0)과 직교하는 평면내의 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Y-가이드 샤프트(33)의 축선은 광축(0)과 직교하는 평면내의 다른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하에서는 X-가이드 샤프트(32)의 축선 방향인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이동 방향을 X-방향(X-축)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는 Y-가이드 샤프트(33)의 축선 방향인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이동 방향을 Y-방향(Y-축)이라고 한다.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는, Y-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X-방향으로 길게 뻗은 상측부(30a) 및 하측부(30b)를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Y-방향으로 길게 뻗은 2개의 측부(30c, 30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는 상측부(30a), 하측부(30b) 및 2개의 측부(30c, 30d)로 둘러싸인 중앙부에 스테이지 개구(30e)를 가지고 있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다. 스테이지 개구(30e)는,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이 진입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지 개구(30e) 안의 상측부(30a)에 인접한 위치에 렌즈 유지 프레임(15a)을 진입시켰을 때, 렌즈 유지 프레임(15a)과 하측부(30b)의 사이에는 빈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측부(30a) 위에는 X-방향으로 뻗어 있는 X-가이드 구멍(30f)이 형성되어 있다. 이 X-가이드 구멍(30f)을 통하여 X-가이드 샤프트(32)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Y-가이드 샤프트(33)는, 스테이지 개구(30e) 안의 측부(30c)를 따르는 위치에서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에 고정되어 있다. Y-가이드 샤프트(33)의 하단부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내측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제2 렌즈 그룹(LG2)을 유지하는 원통형 렌즈 홀더 프레임(31a)과, 이 렌즈 홀더 프레임(31a)으로부터 위쪽으로 V자 모양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한 쌍의 지지 암(31b, 31c)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암(31b)의 상단부에는 Y-가이드부(31d)가 제공되어 있다. Y-가이드부(31d)에는 Y-가이드 샤프트(33)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지지 암부(31c)의 상단부에는,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측부(30d)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30g)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가이드 부재(31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Y-가이드 샤프트(33)에 의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고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스테이지 개구(30e) 안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변한다. 가이드 리브(30g)와 가이드 부재(31e)는 Y-가이드 샤프트(3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각도를 제어(회전 규제)한다.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한 쌍의 영구 자석(41, 42)과 한 쌍의 코일(43, 44)(도 25 참고)을 포함하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된다. 한 쌍의 영구 자석(41, 42)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암(31b, 31c)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한 쌍의 코일(43, 44)은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 및 도 3의 줌 렌즈 경통(10)의 촬영 상태에서는, 영구 자석(41)과 코일(43) 뿐만 아니라, 영구 자석(42)과 코일(44)은 각각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코일(43)과 코일(44)에 전류가 흐르면, 광축(0)과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X-방향 및 Y-방향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각 코일(43, 44)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각각 X-방향과 Y-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렌즈 그룹(LG2)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가능한 범위를 이하에서는 제2 렌즈 그룹(LG2)(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축상 위치)라고 한다. 제2 렌즈 그룹(LG2)이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렌즈 그룹(LG2)은 광축(O)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한 제2 렌즈 그룹(LG2)의 구동 위치는 한 쌍의 위치 센서(45, 46)(도 25 참고)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검출된 위치 정보가 제어 회로(60)에 입력된다.
Y-가이드 샤프트(33)에 의해 안내되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의 최대 이동량은,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 부여되는 제2 렌즈 그룹(LG2)의 Y-방향의 최대 이동량보다도 크다. 제2 렌즈 그룹(LG2)(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이 상기한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있을 때,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암(31b, 31c)의 상단부가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상측부(30a)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상태에서,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상측부(30a)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암(31b, 31c)의 상단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제공되므로,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를 당해 위치에서 Y-방향으로 위쪽 방향과 아래쪽 방향의 어느 쪽으로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상태에서 수납 상태로의 이행 과정을 나타내는 도 9, 도 13 및 도 17을 참고하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 사이의 광축 방향의 위치 관계가 촬영 상태와 다르지만,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의 각각의 위치는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상당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지지 암(31b, 31c)의 하단부가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하측부(30b)에 근접한 위치까지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자신의 하부 이동단에 위치되어 있을 때(도 12, 도 16 및 도 20)에는, 영구 자석(41)과 코일(43), 영구 자석(42)과 코일(44)은 모두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게 되고, 제2 렌즈 그룹(LG2)(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렌즈 그룹(LG2)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는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서 벗어난다.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렌즈 그룹(LG2)의 위치가 제어될 수 없는 제2 렌즈 그룹(LG2)의 이 위치를 이하에서는 제2 렌즈 그룹(LG2)(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축외 위치(이탈 위치)라고 한다. 제2 렌즈 그룹(LG2)(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이 축외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렌즈 그룹(LG2)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하측부(30b)와 광축 방향으로 겹치는(일치하는) 위치까지 하강되지만, 이 상태에서,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하측부(30b)는 렌즈 홀더 프레임(31a)의 후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는, 축외 위치까지 이동된 렌즈 홀더 프레임(31a)의 일부를 진입시키는 반경방향 관통 구멍(25c)이 형성되어 있다. 축외 위치에 도달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암(31b, 31c)의 하단부가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하측부(30b)와 맞닿는 것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2 렌즈 그룹(LG2)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는 제어가능한 범위는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로 한정되고, 제2 렌즈 그룹(LG2)이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축외 위치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을 때 제2 렌즈 그룹(LG2)(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으로의 구동은, 전자 액추에이터와는 별도로 설치된 삽입/이탈 구동 기구(50)에 의해 행해진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이탈 구동 기구(50)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안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축(52)을 중심으로 피벗운동하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퇴피 구동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한 단부에는 원통형 부시(51a)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 축(52)은 원통형 부시(51a)의 축구멍 속으로 삽입되어 있다. 지지 축(52)의 전방 단부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안에 형성된 축 지지 구멍(도시되어 있지 않음)속으로 삽입되어 지지되고, 지지 축(52)의 전방 단부는 레버 유지 부재(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 축(52)의 이러한 지지 상태에서, 지지 축(52)의 축선은 광축(0)과 대체로 평행하고,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은 상기 지지 축(52)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할 수 있다. 레버 유지 부재(53)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 축(52)의 축선 방향(광축 방향)으로의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이동을 규제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암(31b)의 후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부시(51a)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어 암(51b)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어 암(51b)에는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과 이탈 규제 홈(56)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은, 부시(51a)의 축선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탈 규제 홈(56)은,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에 대하여 만곡되어 있고, 또한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보다도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어 암(51b)은, 광축 방향으로 제어 암(51b)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형성된 전방 대향면(51c) 및 후방 미끄럼이동가능 접촉면(후방 평면)(51d)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 대향면(51c)과 후방 미끄럼이동가능 접촉면(51d)은 광축(0)과 대체로 직교하는 평면에 놓여 있으며,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이나 이탈 규제 홈(56)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 암(51b)의 외측 단부에는 가이드 돌출부(가이드부)(51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는, Y-가이드부(31d)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 제어 핀(돌출부)(31f)이 구비되어 있다. 이 위치 제어 핀(31f)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요동 위치에 따라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이나 이탈 규제 홈(56)에 위치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에 있을 때,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제어 암(51b)이 부시(51a)의 회전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뻗어 있는 특정 각위치(이하에서는, "이탈 렌즈 유지 위치" 라고 한다)에 유지되어 있고, 위치 제어 핀(31f)은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과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으로의 위치 제어는, 위치 제어 핀(31f)과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대향면이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닿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이 도 12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내측 표면이 위치 제어 핀(31f)을 위쪽으로 가압하여,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에서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있을 때, 도 9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제어 암(51b)이 부시(51a)의 회전축으로부터 위쪽으로 경사져서 뻗어 있는 특정 각위치(이하에서는, "렌즈 삽입 위치" 라고 한다)에 유지되어 있고, 위치 제어 핀(31f)은 이탈 규제 홈(56)과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탈 규제 홈(56)의 연장 방향(길이 방향)이 X-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고, X-방향으로의 위치 제어 핀(31f)의 위치 제어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된 X-방향으로의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 및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이탈 규제 홈(56)의 폭은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렌즈 삽입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이탈 규제 홈(56)의 폭 방향은 Y-방향에 상당한다. 따라서, 이탈 규제 홈(56)의 내측 표면과 위치 제어 핀(31f)의 사이에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렌즈 삽입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된 Y-방향으로의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분한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제2 렌즈 그룹(LG2))이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을 렌즈 삽입 위치에서 이탈 렌즈 유지 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내측 표면이 위치 제어 핀(31f)을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서 축외 위치로 이동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 있어서, 위치 제어 핀(31f)이 돌출되어 있는 Y-가이드부(31d)의 후측면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대향 평면(31g)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 평면(31g)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제어 암(51b)에 형성된 전방 대향면(51c)과 대향하고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위치 제어 핀(31f)이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와 이탈 규제 홈(56) 속에 삽입되어 있을 때 대향 평면(31g)과 전방 대향면(51c)의 사이에는 광축 방향으로 약간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어 있다. 위치 제어 핀(31f)과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은, 광축 방향의 이동력은 전달하지 않고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동력을 전달하고, 그리고 대향 평면(31g)과 전방 대향면(51c)의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있기 때문에,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는 전혀 부하를 작용하지 않는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는 또한, 지지 암(31c)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지지 돌기(31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돌기(31h)의 후방 단부면은, 렌즈 홀더 프레임(31a)의 후방 단부면보다도 더 광축 방향으로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버 가압 스프링(54)에 의해 렌즈 삽입 위치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레버 가압 스프링(54)는, 부시(51a)의 외주면상에 지지된 코일부를 가지고 있는 토션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코일부는 한 쌍의 스프링 단부를 가지고 있고, 이 한 쌍의 스프링 단부 중의 한 단부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걸려 있고, 다른 단부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 걸려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은 그 내주면에 스토퍼(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토퍼는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와 맞닿는다. 이 때문에,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특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은 렌즈 삽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촬상 센서 홀더(14)에는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도 4 및 도 6 참고)가 구비되어 있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촬상 센서 홀더(14)쪽으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하면,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를 가압하고, 이로 인해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렌즈 삽입 위치로부터 이탈 렌즈 유지 위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의 전방 단부에는 단면 캠(57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가 후퇴하여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에 접근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형성된 캠 맞닿음부(51f)가 단면 캠(57a)과 맞닿는다(도 6 및 도 7 참고). 그 후, 캠 맞닿음부(51f)와 단면 캠(57a)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을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를 이탈 렌즈 유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분력이 생긴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렌즈 유지 위치에 도달하면,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광축(O)과 대체로 평행하게 뻗은 이탈 렌즈 유지면(57b)이 캠 맞닿음부(51f)의 측면과 맞닿고,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이탈 렌즈 유지 위치에 계속 유지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줌 렌즈 경통(10)의 동작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줌 렌즈 경통(10)의 수납 상태에서, 줌 렌즈 경통(10)이 장착된 촬상 장치의 메인 스위치가 온(ON)으로 되면, 줌 모터(62)가 렌즈 경통 전진이동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줌 기어(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회전시킨다. 줌 기어가 회전하면,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하우징(13)의 가이드 홈(13b)을 통하여 가이드됨으로써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직진 안내 링(20)은 제1 전진이동 경통(16)과 함께 전방으로 직진 이동한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제2 렌즈 그룹 유닛(17))은 직진 안내 링(20)에 의해 제1 전진이동 경통(16) 내에서 직진 안내되고,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하면, 제2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2)과 제2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2) 사이의 결합 관계에 따라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제2 렌즈 그룹 유닛(17))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된다. 제2 전진이동 경통(18)은 직진 안내 링(20)에 의해 직진 안내되고, 제1 전진이동 경통(16)이 회전하면, 제1 렌즈 그룹 제어 캠 홈(CG1)과 제1 렌즈 그룹 캠 종동자(CF1) 사이의 결합 관계에 따라 제2 전진이동 경통(18)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된다.
즉, 줌 렌즈 경통(10)의 수납 상태로부터의 제1 렌즈 그룹(LG1)의 전진이동량은 하우징(13)에 대한 제1 전진이동 경통(16)의 전방 이동량과 제1 전진이동 경통(16)에 대한 제2 전진이동 경통(18)의 전방 이동량의 합에 의해 결정된다. 줌 렌즈 경통(10)의 수납 상태로부터의 제2 렌즈 그룹(LG2)의 전진이동량은 하우징(13)에 대한 제1 전진이동 경통(16)의 전방 이동량과 제1 전진이동 경통(16)에 대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전방 이동량의 합에 의해 결정된다. 줌 동작은,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이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 사이의 공기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광축(O)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줌 렌즈 경통(10)이 도 1에 도시된 수납 상태로부터 전진이동하도록 구동되면, 줌 렌즈 경통(10)은 먼저 도 2에 도시된 광각단의 렌즈 경통 전진이동 상태로 이동된다. 이어서, 줌 모터(62)를 렌즈 경통 전진이동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줌 렌즈 경통(10)은 도 3에 도시된 망원단의 렌즈 경통 전진이동 상태로 된다. 메인 스위치를 오프(OFF)로 하면, 줌 모터(62)가 렌즈 경통 수납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줌 렌즈 경통(10)은 상기한 렌즈 경통 전진이동 동작과 반대로 동작하여 도 1에 도시된 수납 상태로 복귀된다.
줌 렌즈 경통(10)이 광각단과 망원단 사이의 줌 범위에 있을 때, 거리 측정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얻은 피사체 거리 정보에 따라 AF 모터(61)를 구동시킴으로써, 제3 렌즈 그룹(LG3)을 지지하는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광축(O)을 따라 이동하여 초점맞춤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줌 범위 내에서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초점맞춤을 실행하기 위한 이동 범위(촬영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퇴피 수납 위치의 전방이다(즉, 퇴피 수납 위치로부터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한 것은 줌 렌즈 경통(10)의 전체적인 동작이다. 이하에서는,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의 동작과 관련된 줌 렌즈 경통(10)의 수납 구조의 동작과, 촬영 상태에서의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 경통(10)의 수납 상태에서는,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은 촬상 센서 홀더(14)의 전면부에 근접한 후퇴 수납 위치(후방 이동단)까지 후퇴되어 있고,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도 후퇴 수납 위치(후방 이동단)까지 후퇴되어 있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레버 가압 스프링(54)에 의해 렌즈 삽입 위치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지만,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후퇴 수납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의 이탈 렌즈 유지 면(57b)과 캠 맞닿음부(51f)의 측면의 결합에 의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은 이탈 렌즈 유지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도 12 및 도 16 참고).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렌즈 유지 위치에 있을 때에는,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내측 표면이 위치 제어 핀(31f)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제2 렌즈 그룹(LG2)를 유지하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광축(O)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변위된 축외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렌즈 홀더 프레임(31a)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반경방향 관통 구멍(25c)으로 진입하여,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이탈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를 축외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스테이지 개구(30e)의 개방 영역이 증대하고, 그 결과 스테이지 개구(30e)는, 광축(0)의 근처에,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존재하지 않는 빈 스페이스를 가진다. 스테이지 개구(30e)의 개방 영역(다시 말해서, 촬영 상태에서는 제2 렌즈 그룹(LG2),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 영구 자석(41, 42) 등이 위치되어 있는 영역)으로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이 진입하여, 도 1, 도 12 및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렌즈 그룹(LG2)과 제3 렌즈 그룹(LG3)이 Y-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줌 렌즈 경통(10)이 수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촬상 광학계의 광축 방향의 두께(길이)가 작아져서, 수납 상태에서의 렌즈 경통의 전체 길이의 다운사이징(소형화)이 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서 축외 위치로 이동하면,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Y-가이드 샤프트(33)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각도가 약간 변화한다. 이 각도 변화는 가이드 부재(31e)를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30g)의 형상에 의해 초래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각도 변화를 초래하지 않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Y-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른 구조도 가질 수 있다.
줌 모터(62)의 작동에 의해 줌 렌즈 경통(10)이 도 1에 도시된 수납 위치으로부터 전진이동되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광축 방향 전방으로 이동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로부터 분리되어 이탈 렌즈 유지 면(57b)에 의한 회전 규제가 해제되고,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렌즈 유지 위치(도 12 및 도 16 참고)에서 렌즈 삽입 위치(도 9 및 도 13 참고)를 향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내측 표면이 위치 제어 핀(31f)을 위쪽으로 가압하여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Y-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 단계에서,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보다도 전방으로 더 이동되어 있고,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은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스테이지 개구(3Oe)에서 이탈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과 간섭하지 않는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의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어느 정도 위쪽으로 이동되면, 영구 자석(41)과 영구 자석(42)이 각각 코일(43)과 코일(44)에 대향하고,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은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 및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한다; 즉,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제2 렌즈 그룹(LG2))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위치 제어 핀(31f)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이탈 규제 홈(56) 안에 위치하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대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소정량의 이동이 허용된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의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로의 이동은, 줌 렌즈 경통(10)이 도 2에 도시된 줌 렌즈 경통(10)의 광각단에 도달하기 전에 완료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이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로부터 전방으로 분리되고, 캠 맞닿음부(51f)와 단면 캠(57a)은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광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후, 다시 렌즈 경통 수납 동작이 실행될 때까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와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는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있다.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까지의 줌 범위 내에서는, 제1 전진이동 경통(16)의 회전에 따라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광축 방향의 위치가 변화하지만, 도 2에 도시된 광각단 근처의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위치는 촬영 위치(촬영 상태)에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후방 이동단에 해당하므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체 줌 범위에 걸쳐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유지된다.
줌 범위에서는, 줌 렌즈 경통(10)에 가해진 흔들림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를 X-방향과 Y-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촬상 센서(12)의 수광면에 초점이 맞추어진 피사체상(object image)의 변위(상 흔들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X-자이로 센서(64)와 Y-자이로 센서(65)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한 각속도와 Y-축을 중심으로 한 각속도가 각각 검출되고, 상기 각속도를 시간 적분하여 이동 각도를 구하고,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한 이동 각도에 기초하여 초점면(촬상 센서(12)의 수광면)에서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상의 이동량을 연산함과 아울러 상 흔들림을 상쇄시키기 위해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한 제2 렌즈 그룹(LG2)의 구동량 및 구동 방향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 연산값에 따라서 코일(43)과 코일(44)의 통전 제어를 한다.
줌 렌즈 경통(10)이 줌 범위에 있는 상태로부터 수행되는 렌즈 경통 수납 동작에서는, 줌 렌즈 경통(10)이 상기한 렌즈 경통 전진이동 동작과 반대로 작동한다. 상세하게는, 줌 모터(62)가 렌즈 경통 수납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광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캠 맞닿음부(51f)가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의 단면 캠(57a)과 맞닿게 된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을 광축 방향 후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캠 맞닿음부(51f)가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의 단면 캠(57a)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후퇴 이동력으로부터 분력이 생기고,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레버 가압 스프링(5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렌즈 삽입 위치에서 이탈 렌즈 유지 위치를 향하여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위치 제어 핀(31f)이 이탈 규제 홈(56)으로부터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으로 이동하고,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55)의 내측 표면이 위치 제어 핀(31f)을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서 축외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를 더 후방으로 이동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캠 맞닿음부(51f)의 측면이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의 이탈 렌즈 유지 면(57b)에 맞닿게 되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는 이탈 렌즈 유지 위치에 유지되고 렌즈 삽입 위치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에 유지된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에 의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서 축외 위치로의 이동은,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도 1에 도시된 후퇴 수납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완료된다. 이어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이탈 완료 후에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더 후퇴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방 영역이 증가된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의 스테이지 개구(30e) 안으로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이 진입하여, 줌 렌즈 경통(10)이 상기한 수납 상태(도 1 참고)로 된다.
상기한 렌즈 경통 수납 동작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상태(광축 방향의 위치)에 따라 2 가지 방식(방식 1 및 방식 2)으로 분류된다. 방식 1에서는, 제1 렌즈 그룹(LG1)과 제2 렌즈 그룹(LG2)을 포함하는 가변 배율 렌즈 그룹 유닛의 수납 동작보다도 먼저, AF 모터(61)의 구동에 의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도 1에 도시된 후퇴 수납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 방식 1에서는, 가변 배율 렌즈 그룹 유닛의 임의의 구성 요소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과 접촉하지 않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축외 위치로의 이동을 포함하는 상기의 렌즈 경통 수납 동작이 수행된다. 방식 2에서는, AF 모터(61)로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를 도 1에 도시된 후퇴 수납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고 가변 배율 렌즈 그룹 유닛의 수납 동작이 수행된다. 이 방식 2를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줌 모터(62)의 수납 방향으로의 구동에 의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촬영 위치(촬영 상태)에서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되면,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안에 지지되어 있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에 접근한다. 이 단계에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의 위치는,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이다. 상기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 대응하는 렌즈 삽입 위치에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유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이나 맞닿음 플랜지(15g)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후퇴 이동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접근을 방해하지 않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돌기(31h)의 후방 단부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의 전방면에 맞닿는다. 또,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대향 평면(31g)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맞닿음 플랜지(15g)에 맞닿는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 삽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제어 암(51b)의 외측 단부 부근의 가이드 돌출부(51e)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가이드 오목부(15h)에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후퇴하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과의 맞닿는 부분(다시 말해서,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맞닿음 플랜지(15g) 및 렌즈 빠짐방지 프레임(15f)와 각각 맞닿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대향 평면(31g) 및 지지 돌기(31h))을 통하여 제3 렌즈 그룹 프레임(l5)이 후방으로 가압된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은 제3 렌즈 그룹 가압 스프링(8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 가이드 암(15b)의 외측 단부의 일부가 AF 너트(82)에 맞닿고,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AF 너트(82)에 의해 규제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후퇴에 따라 가압된 상태에 있는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은, 제3 렌즈 그룹 가압 스프링(8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과 함께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퇴 동작 동안에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촬상 센서 홀더(14)에 접근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렌즈 삽입 위치에서 이탈 렌즈 유지 위치로 회전된다. 그러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제어 암(51b)의 가이드 돌출부(51e)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가이드 오목부(15h)의 내측 표면을 가압한다. 이 가이드 오목부(15h)의 내측 표면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이탈 렌즈 유지 위치로의 회전에 따라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분력이 생기게 하기 위해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의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의 위치가 도 1O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후방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제어 암(51b)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후방면과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의 전방면의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게 되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후방 미끄럼이동가능 접촉면(51d)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맞닿음 플랜지(15g)에 맞닿는다.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맞닿음 플랜지(15g)가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이동(회전)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미끄럼이동가능 접촉면(51d)을 맞닿음 플랜지(15g)과 미끄럼이동 접촉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이탈 렌즈 유지 위치를 향하여 회전한다.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이 회전하는 동안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은 후퇴 이동을 계속하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은 도 22에 도시된 광축 방향 간격(거리)를 유지하면서 후퇴 이동한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쪽으로 이동하여 도 11, 도 15 및 도 19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후방 미끄럼이동가능 접촉면(51d)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맞닿음 플랜지(15g)와의 대향 위치에서 벗어난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아직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의 전방에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제어 암(15b)가 삽입되어 있지만,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된 축외 위치에 도달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제어 암(51b)이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렌즈 유지 프레임(15a)과의 대향 위치에서 완전히 벗어난다. 따라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서로 접근 이동하는 것을 더 이상 규제할 수 없고,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이 더 후퇴 이동하는 것에 따라, 도 20 및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렌즈 그룹(LG2)과 제3 렌즈 그룹(LG3)이 Y-방향으로 정렬되는(즉, 광축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후퇴 이동한다.
상기한 방식 2의 수납 동작에 따르면, AF 모터(61)의 구동력 대신에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의 이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후퇴 이동되고, 방식 2의 이러한 동작은 통상의 수납 동작으로 선택될 수 있다. AF 모터(61)을 이용함으로써 방식 1의 수납 동작이 어떠한 원인으로 실행될 수 없는 경우의 페일세이프(fail safe)로서 방식 2의 수납 동작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에서 축외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방식 2의 수납 동작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을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 자체와 맞닿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를 이탈시키기 위해 사용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를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제2 렌즈 그룹(LG2)과 제3 렌즈 그룹(LG3)의 간섭을 막고 있다. 따라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로 퇴피 이동할 때에는,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과의 접촉에 의한 광축 방향으로의 부하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지지 기구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지고,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퇴피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6과 도 27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를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축상 위치)와 축외 위치의 사이로 이동시키는 퇴피 구동 부재로서, 제1 실시예의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 대신에 Y-방향으로 직진 이동하는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퇴피 구동 부재)(70)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이동가능 스테이지(30)와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구조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Y-방향으로의 가이드부로서, 제l 이동가능 스테이지(30)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리브(30g) 대신에 별체의 Y-가이드 샤프트(130g)를 이용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구성 요소도 제1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지만,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자신의 삽입/이탈 동작의 구동원으로서 삽입/이탈 동작 구동 모터(7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센서 홀더(14)는 이탈 동작 제어 돌기(57)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구비할 필요가 없다).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는, Y-방향으로 뻗어 있는 드라이브 샤프트(71)에 형성된 이송 스크루에 결합되어 있고, 드라이브 샤프트(7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의 회전은 규제되어 있다. 삽입/이탈 동작 구동 모터(72)가 드라이브 샤프트(71)를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드라이브 샤프트(71)를 따라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가 Y-방향으로 이동된다. 삽입/이탈 동작 구동 모터(72)와 드라이브 샤프트(71)는, 제2 렌즈 그룹 이동 링(25) 안에 지지되어 있다.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에는, 위치 제어 핀(31f)이 삽입되는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73)이 형성되어 있다.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가 도 26의 렌즈 삽입 위치에서 도 27의 이탈 렌즈 유지 위치로 이동할 때,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73)의 대향 측면 중의 한 측면(도 26 및 도 27의 상부 측면)에 대해 위치 제어 핀(31f)이 가압되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로 이동한다. 한 편,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이 도 27의 이탈 렌즈 유지 위치에서 도 26의 렌즈 삽입 위치로 이동할 때, 삽입/이탈 동작 가이드 홈(73)의 대향 측면 중의 다른 측면(도 26 및 도 27의 하부 측면)에 대해 위치 제어 핀(31f)이 가압되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축상 위치)로 이동한다.
제1 실시예의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에 따르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축외 위치로 이동할 때에,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를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 자체와 맞닿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진-트랙 삽입/이탈 동작 부재(70)를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의 후방의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의 전방측의 맞닿음 플랜지(15g)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닿게 하여,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킨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 실시예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른 줌 렌즈 경통은, 제2 렌즈 그룹(LG2)를 X-방향 및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흔들림방지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된 렌즈 경통은, 광축외로의 퇴피 동작을 수행하는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갖추고 있기만 하면 되고, 촬영 상태에서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의 구동 방식은 어떠한 형태라도 상관이 없다. 예를 들면, 흔들림방지 광학 요소로서 기능하지 않는 광학 요소가 본 발명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른 줌 렌즈 경통(10)에서는,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가 흔들림방지 구동 위치(축상 위치)와 축외 위치의 사이를 직진 이동하지만, 본 발명은 촬영 광축(0)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과 같은, 직진 이동 이외의 임의의 방식으로 이동하는 다른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임의의 렌즈 경통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은 줌 렌즈 경통에의 적용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은, 촬영 상태와 수납 상태를 보유하는 렌즈 시스템이기만 하면 단초점식 렌즈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촬영 광축외로 퇴피시키는 광학 요소와 그 후방의 다른 광학 요소는 모두 렌즈 그룹(LG2, LG3)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렌즈 그룹이 아닌 임의의 광학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이 도 21에 도시된 위치까지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고,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가이드 돌출부(51e)와 가이드 오목부(15h)의 미끄럼이동가능한 맞닿음에 의해 멀어지는 방향의 분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맞닿음 플랜지(15g)의 전방으로 삽입된다. 제1 실시예에 대해 대체 실시예로서, 도 21에 도시된 상태를 통과하는 것을 요하지 않고 도 22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2 이동가능 스테이지(31)와 제3 렌즈 그룹 프레임(15)가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할 때,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처음 상태에서 맞닿음 플랜지(15g)에 이미 맞닿아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맞닿음 플랜지(15g)와 맞닿을 수 있도록(광축 방향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도록) 맞닿음 플랜지(15g)의 형성 영역 및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의 설치 위치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렌즈 그룹 지지 유닛(26)이 촬영 상태에 있을 때, 도 22에 도시된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과 맞닿음 플랜지(15g)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하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가 피사체로부터 나오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단을 피하기 위해, 삽입/이탈 동작 제어 레버(51)와 맞닿음 플랜지(15g)가 도 22의 위치에 비해 광축(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즉, 도 22의 우측)에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자명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영역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렌즈 경통으로서,
    촬영 광학계의 후방 광학 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촬영 광학계의 광축을 따라서 촬영 위치와 상기 촬영 위치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후퇴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후방 이동가능 부재;
    상기 촬영 광학계의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를 유지하고,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상에 위치되어 있는 축상 위치와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상기 광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벗어나서 위치되어 있는 축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축외 퇴피가능 부재;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광축을 따라서 촬영 위치와 상기 촬영 위치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는 후퇴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방 이동가능 부재; 그리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촬영 위치에서 상기 후퇴 수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에서 상기 축외 위치로 이동시키는 퇴피 구동 부재;
    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각각 상기 촬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는 상기 후방 광학 요소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각각 상기 후퇴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가 광축 방향으로 상기 후방 광학 요소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의 후방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 후방으로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의 상기 축상 위치와 상기 축외 위치 사이의 가동 범위 내에서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의 구동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광축과 대체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피벗운동가능하게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요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광축과 대체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진 이동가능하게 상기 전방 이동가능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직진 이동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는 상기 후방 광학 요소를 유지하는 유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의 상기 유지 프레임은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퇴피 구동 부재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프레임의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유지 프레임의 림으로부터 광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상기 축상 위치에서 상기 축외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의 상기 플랜지부와 대향하고 상기 광축과 대체로 직교하는 후방 평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구동 부재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가 상기 축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맞닿음부와 겹치지 않아서,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는 것을 규제하지 않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가장 접근한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퇴피 구동 부재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로부터 상기 축외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때에,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 사이의 광축 방향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퇴피 구동 부재를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와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 사이로 삽입하여 상기 맞닿음부와 대향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의 상기 유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상 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위치로부터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를 상기 축외 위치에 위치시키는 다른 위치로의 상기 퇴피 구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후방 이동가능 부재를 광축 방향 후방으로 가압하는 분력을 만드는 테이퍼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 중의 하나는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와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 중의 다른 하나는,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력은 전달하지 않으면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력은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퇴피 구동 부재로부터 상기 축외 퇴피가능 부재로의 구동력 전달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가능한 광학 요소와 상기 후방 광학 요소는 각각 렌즈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KR1020120034737A 2011-04-05 2012-04-04 렌즈 경통 KR201201136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3983A JP5788203B2 (ja) 2011-04-05 2011-04-05 レンズ鏡筒
JPJP-P-2011-083983 2011-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670A true KR20120113670A (ko) 2012-10-15

Family

ID=4696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37A KR20120113670A (ko) 2011-04-05 2012-04-04 렌즈 경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51544B2 (ko)
JP (1) JP5788203B2 (ko)
KR (1) KR20120113670A (ko)
CN (1) CN1027362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616A (ko)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7570B2 (ja) * 2012-01-19 2015-10-21 Hoya株式会社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2015083999A (ja) 2012-02-02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13114901A1 (ja) 2012-02-02 2013-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15083998A (ja) 2012-02-02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13114902A1 (ja) 2012-02-02 2013-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15083997A (ja) 2012-02-02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13160864A (ja) 2012-02-02 2013-08-19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
WO2013114908A1 (ja) * 2012-02-02 2013-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6406816B2 (ja) * 2013-12-06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TWI491918B (zh) * 2014-03-24 2015-07-1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光學裝置
US9936136B2 (en) * 2015-11-25 2018-04-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ens barrel
JP6746408B2 (ja) * 2016-07-08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CN108333708A (zh) * 2017-01-19 2018-07-27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光学变倍系统
US10509193B2 (en) * 2017-05-17 2019-12-17 Tdk Taiwan Corp. Driving mechanism
CN108957681B (zh) * 2017-05-17 2021-12-03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驱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4507B2 (ja) * 2000-01-31 2010-08-18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胴
JP3766609B2 (ja) * 2001-07-06 2006-04-1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構造
JP3771909B2 (ja) 2002-02-21 2006-05-1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沈胴式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の沈胴方法
US7058293B2 (en) 2002-08-27 2006-06-06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retractable lens
JP2004085932A (ja) * 2002-08-27 2004-03-18 Pentax Corp ズームレンズ鏡筒の繰出カム機構及び繰出カム機構
US7050713B2 (en) * 2002-08-27 2006-05-23 Pentax Corporation Optical element retracting mechanism for a photographing lens
US7088916B2 (en) 2002-08-27 2006-08-08 Pentax Corporation Retractable lens barrel
US7106961B2 (en) 2002-08-27 2006-09-12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incorporating the advancing/retracting mechanism
JP4520171B2 (ja) 2003-02-03 2010-08-04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光学要素退避機構
TWI234672B (en) * 2003-02-04 2005-06-21 Pentax Corp Cam mechanism of a lens barrel
US6888685B2 (en) 2003-02-06 2005-05-03 Pentax Corporation Retracting mechanism of a zoom lens barrel
US6853500B2 (en) 2003-02-13 2005-02-08 Pentax Corporation Retracting mechanism of a zoom lens barrel
JP4520190B2 (ja) 2004-03-18 2010-08-04 Hoya株式会社 沈胴式レンズ鏡筒及び沈胴式レンズ鏡筒を備えたカメラ
JP4520253B2 (ja) 2004-09-02 2010-08-04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628039B2 (ja) 2004-08-13 2011-02-09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06058455A (ja) * 2004-08-18 2006-03-02 Nitto Kogaku Kk 鏡筒駆動機構
JP4744963B2 (ja) 2005-07-22 2011-08-10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695969B2 (ja) * 2005-11-21 2011-06-08 株式会社Suwaオプトロニクス 鏡筒装置及び撮像装置
JP4917053B2 (ja) 2008-02-04 2012-04-18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進退カム機構
JP5306911B2 (ja) 2009-06-09 2013-10-02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616A (ko)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7291A1 (en) 2012-10-11
US8451544B2 (en) 2013-05-28
CN102736210B (zh) 2016-01-27
JP5788203B2 (ja) 2015-09-30
CN102736210A (zh) 2012-10-17
JP2012220585A (ja)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3670A (ko) 렌즈 경통
JP5611579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5611578B2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US8537477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device
JP4775010B2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079277B2 (ja) レンズ鏡筒
US8248709B2 (en) Zoom lens barrel that attains a higher photographing magnification
US20130088791A1 (en) Lens barrel
JP5515322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9222874A (ja) レンズ鏡筒
JP5450201B2 (ja) 光学要素の退避機構
US8294995B2 (en) Linear guide mechanism of lens barrel
JP4798178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9222875A (ja) レンズ鏡筒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
JP2011215389A (ja) レンズ鏡筒
JP2011123360A (ja) 光学要素の位置制御装置
JP2011209652A (ja) レンズ鏡筒
JP5143644B2 (ja) レンズ鏡筒の遮光部材支持構造
CN103676073A (zh) 透镜镜筒组件和包括其的照相装置
US8964306B2 (en) Lens barrel
JP5064271B2 (ja) レンズ鏡筒
US7773313B2 (en) Cam mechanism of a retractable zoom lens
CN205562928U (zh) 透镜镜筒
JP2015138169A (ja) 光学機器
JP5579659B2 (ja) 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