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616A -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616A
KR20140034616A KR1020120101171A KR20120101171A KR20140034616A KR 20140034616 A KR20140034616 A KR 20140034616A KR 1020120101171 A KR1020120101171 A KR 1020120101171A KR 20120101171 A KR20120101171 A KR 20120101171A KR 20140034616 A KR20140034616 A KR 2014003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assembly
evacuation
optical axi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365B1 (ko
Inventor
이경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65B1/ko
Priority to US14/019,776 priority patent/US9229189B2/en
Priority to CN201310414171.4A priority patent/CN103676079B/zh
Publication of KR2014003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시 카메라 본체 밖으로 돌출되고 비촬영시 카메라 본체 안으로 수납되는 렌즈 경통으로서, 카메라의 기준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퇴피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 조립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퇴피시키는 퇴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퇴피된 위치에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의 렌즈들은 상기 기준 광축에 대해 꼬인 위치에 있는 광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LENS BARREL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으로는, 비촬영시 카메라 본체 내에 수납되는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가 카메라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카메라에는 복수 군의 렌즈들이 장착된 렌즈 경통이 구비되며, 렌즈 경통은 이들 렌즈들을 카메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주밍 동작과 포커싱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렌즈 경통은 촬영시에는 전방으로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비촬영시에는 후방으로 압축되어 카메라 본체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이처럼 비촬영시 렌즈 경통이 카메라 본체 내에 수납되는 구조는 특히 소형 카메라에서 일반적이다.
비촬영시 렌즈 경통이 카메라 본체 내에 수납되는 유형의 카메라의 경우, 비촬영시 렌즈 경통의 사이즈가 카메라 본체의 사이즈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 특히, 비촬영시 렌즈 경통의 두께는 카메라의 소형화 설계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비촬영시 크기가 보다 감소될 수 있는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촬영시 카메라 본체 밖으로 돌출되고 비촬영시 카메라 본체 안으로 수납되는 렌즈 경통으로서, 카메라의 기준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퇴피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 조립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퇴피시키는 퇴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퇴피된 위치에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의 렌즈들은 상기 기준 광축에 대해 꼬인 위치에 있는 광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을 제공한다.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퇴피 유닛은 상기 기준 광축과 수직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 방향을 따라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거리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상기 퇴피 유닛은,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기준 광축과 수직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회동 유닛; 및 상기 회동 유닛에 의해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회동되는 도중, 상기 회동축 방향을 따라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거리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퇴피 렌즈; 및 상기 퇴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렌즈 장착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기준 광축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는 가이드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의 후방에 배치된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는 상기 기준 광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 후방에 배치되는 셔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셔터 조립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구동 유닛은, 상기 회동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압 돌기; 및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피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가압면은, 상기 회동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동축 방향으로 상기 소정 거리 만큼 상호 이격된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중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더 가깝게 배치된 어느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다른 접촉면으로 상기 가압 돌기를 안내하는 중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회동 유닛이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가하는 회동력과 반대 방향의 토크 및 상기 슬라이드 구동 유닛이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형성된 스톱 돌기;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상기 기준 광축으로 복귀된 시점에서 상기 스톱 돌기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장착 부재는, 상기 퇴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부; 상기 가이드 배럴에 샤프트 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 및 상기 렌즈 장착부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배럴은, 배럴 몸체; 및 상기 샤프트 부재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제1 장착부에 인접한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제1 단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가압면은 상기 제2 장착부에 인접한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제2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의 제2 단부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제2 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장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술한 렌즈 경통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또한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비촬영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 경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의 단면도로서 촬영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의 단면도로서 비촬영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의 정면도로서 비촬영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에 구비된 제3 렌즈 조립체(퇴피 렌즈 조립체)의 비촬영시 광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3 렌즈 조립체의 중심선을 따른 단면 길이와 그 중심선으로부터 ΔX 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단면 길이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퇴피 렌즈 조립체의 퇴피가 회동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여 수행된 경우 퇴피 렌즈 조립체 부근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퇴피 렌즈 조립체의 퇴피가 회동 동작 만을 포함하여 수행된 경우 퇴피 렌즈 조립체 부근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퇴피 렌즈 조립체의 퇴피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품들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퇴피 렌즈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퇴피 렌즈 조립체와 제3 내측 배럴(가이드 배럴)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퇴피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퇴피 렌즈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15에서 상측 도면, 하측 좌측 도면, 및 하측 상측 도면은 퇴피 렌즈 조립체를 측면,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6은 퇴피 동작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16에서 상측 도면, 하측 좌측 도면, 및 하측 상측 도면은 퇴피 렌즈 조립체를 측면,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17은 퇴피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퇴피 렌즈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도 17에서 상측 도면, 하측 좌측 도면, 및 하측 상측 도면은 퇴피 렌즈 조립체를 측면,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경통 및 디지털 카메라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비촬영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 경통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카메라(1)는 카메라 본체(2) 및 렌즈 경통(3)을 포함한다.
렌즈 경통(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시에는 카메라(1)의 광축(OA)을 따라 전방으로 신장됨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카메라 본체(2) 밖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촬영시에는 카메라(1)의 광축(OA)을 따라 후방으로 압축됨으로써 카메라 본체(2) 안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비촬영시 렌즈 경통(3)이 카메라 본체(2) 안으로 수납됨으로써 비촬영시 카메라(1)의 외관이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렌즈 경통(3) 내의 특정 렌즈 조립체의 광축과의 구별을 위해 카메라(1)의 광축(OA)을 '기준 광축(OA)' 으로 지칭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의 단면도로서 촬영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의 단면도로서 비촬영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의 정면도로서 비촬영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렌즈 경통에 구비된 제3 렌즈 조립체의 비촬영시 광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렌즈 경통(3)은 베이스 프레임(110) 및 복수의 외측 배럴(120,130,140,150)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들(110,120,130,140,150)은 앞서 참조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경통(3)의 외관을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기준 광축(OA)에 수직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앙부에는 디지털 이미지 센서(115)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서 이미지 센서(115)는 CMOS 센서로 구비되며 대안적으로 CCD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외측 배럴(120,130,140,150)은 제1 외측 배럴(120), 제2 외측 배럴(130), 제3 외측 배럴(140), 및 제4 외측 배럴(150)를 포함한다. 제1 외측 배럴(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제2 내지 제4 외측 배럴(130,140,150)은 기준 광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준 광축(OA)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시 제4 외측 배럴(150), 제3 외측 배럴(140), 제2 외측 배럴(130), 제1 외측 배럴(120) 순으로 피사체에 보다 가까이 배치됨을 이해할 수 있다.
렌즈 경통(3)은 그 내부에, 제1 내측 배럴(160), 제2 내측 배럴(170), 제3 내측 배럴(180)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2 내지 제4 외측 배럴들(130,140,150)의 움직임들에 연동하여, 이들 내측 배럴들(160,170,180)도 기준 광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기준 광축(OA)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이러한 외측 배럴들(130,140,150)과 내측 배럴들(160,170,180) 간의 연동은 캠 구조에 의해 수행된다. 캠 구조에 의한 배럴들 간의 연동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렌즈 경통(3)은 그 내부에, 복수의 렌즈 조립체들(210,220,230,240) 및 셔터 조립체(190)를 또한 구비한다. 여기서 복수의 렌즈 조립체(210,220,230,240)는 제1 렌즈 조립체(210), 제2 렌즈 조립체(220), 제3 렌즈 조립체(230), 제4 렌즈 조립체(240)를 포함한다.
제1 렌즈 조립체(210)는 제1군 렌즈(L1) 및 렌즈 장착 부재(211)를 포함한다. 제1군 렌즈(L1)는 기준 광축(OA)을 따라 정렬되도록 렌즈 장착 부재(211)에 장착된다. 렌즈 장착 부재(211)는 제4 외측 배럴(150)에 결합되며, 따라서 제1군 렌즈(L1)는 제4 외측 배럴(150)에 의해 기준 광축(OA)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군 렌즈(L1)는 2장의 촬영 렌즈로 구성되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렌즈 조립체(220)는 제2군 렌즈(L2) 및 렌즈 장착 부재(221)를 포함한다. 제2군 렌즈(L2)는 기준 광축(OA)을 따라 정렬되도록 렌즈 장착 부재(221)에 장착된다. 제2 렌즈 조립체(220)의 렌즈 장착 부재(221)는 전술한 제1 렌즈 조립체(210)의 렌즈 장착 부재(21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군 렌즈(L2)는 제1군 렌즈(L1)와 동일한 움직임으로 기준 광축(OA)을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군 렌즈(L2)는 3장의 촬영 렌즈로 구성되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군 렌즈(L2)의 외경은 제1군 렌즈(L1)의 외경보다 작다.
제3 렌즈 조립체(230)는 제3군 렌즈(L3) 및 이를 장착하는 렌즈 장착 부재(250)를 포함한다. 제3군 렌즈(L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시에는 기준 광축(OA)을 따라 정렬되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촬영시에는 기준 광축(OA)으로부터 퇴피된다. 이러한 제3군 렌즈(L3)의 퇴피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렌즈 장착 부재(250)는 전술한 제3 내측 배럴(180)에 장착되며, 제3 내측 배럴(180)에 의해 기준 광축(OA)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군 렌즈(L3)는 3장의 촬영 렌즈로 구성되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군 렌즈(L3)의 외경은 제2군 렌즈(L2)의 외경보다 작다.
제4 렌즈 조립체(240)는 제4군 렌즈(L4) 및 이를 장착하는 렌즈 장착 부재(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4군 렌즈(L4)는 1장의 오토 포커싱 렌즈(AF 렌즈)로 구성된다. 제4 렌즈 조립체(240)는 제1 내지 제3 렌즈 조립체들(210,220,230)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와 별개의 다른 액츄에이터(예로써,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기준 광축(OA)을 따라 이동하면서 오토 포커싱을 수행한다.
셔터 조립체(190)는 제3 렌즈 조립체(230)와 제4 렌즈 조립체(240) 사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1장 이상의 셔터 필름이 구비된다. 이러한 셔터 필름에 의해 셔터공(192, 도 11 참조) 개폐됨으로써 이미지 센서(115)의 광 노출량이 조절된다. 셔터 조립체(190)도 기준 광축(OA)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그러한 셔터 조립체(190)의 이동은 제1 내측 배럴(160)에 의해 가이드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렌즈 경통(3)이 촬영 모드에서 비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 전술한 제3 렌즈 조립체(230)는 기준 광축(OA)에 수직한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며 또한 회동축(AR)을 따라 -X 방향으로 소정 거리(ΔX) 만큼 슬라이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렌즈 조립체(230)의 회동 각도는 대략 100°이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렌즈 경통(3)이 촬영 모드에서 비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 전술한 제3 렌즈 조립체(230)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동시에 일어남으로써 비촬영시 기준 광축(OA)에 대한 제3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가 달성된다. 이처럼 제3 렌즈 조립체(230)는 비촬영시 기준 광축(OA)으로부터 퇴피되는 렌즈 조립체이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3 렌즈 조립체(230)를 퇴피 렌즈 조립체(230)로 지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한다. 이 도면에서 α는 Y-Z 평면을 나타내며, 또한 β는 α평면에 평행하며 α평면으로부터 -X 방향으로 ΔX 만큼 이격된 다른 평면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광축(OA)은 Y 방향을 따라 α 평면에 배치되는 한편, 비촬영시 제3군 렌즈(L3)의 광축(OA3)은 β 평면에 배치된다. 이때 α 평면과 β 평면은 서로 평행한 관계에 있으므로, 비촬영시 기준 광축(OA)과 제3군 렌즈(L3)의 광축(OA3)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촬영시 기준 광축(OA)과 제3군 렌즈(L3)의 광축(OA3)은 평행하지도 않다. 이와 같이 비촬영시 제3군 렌즈(L3)의 광축(OA3)은 기준 광축(OA)과 평행하지도 않고 교차하지도 않는다. 간단히 말하면 비촬영시 제3군 렌즈(L3)의 광축(OA3)은 기준 광축(OA)에 대해 이른바 '꼬인 위치(skew position)' 에 배치된다.
렌즈 경통(3)이 촬영 모드에서 비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 만약 제3 렌즈 조립체(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슬라이딩 없이 회동만 하였다면 비촬영시 제3군 렌즈(L3)는 α 평면 상에 존재하는 광축(OA3')을 갖게 되었을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광축(OA3')은 기준 광축(OA)과 교차하므로 그 기준 광축(OA)에 대해 꼬인 위치에 있지 않다.
렌즈 경통(3)이 촬영 모드에서 비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 제3 렌즈 조립체(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기준 광축(OA)에 대한 퇴피가 수행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시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위치하던 공간이 비촬영시 다른 렌즈 조립체들의 수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가 일어나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비촬영시 렌즈 경통(3)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경통(3)의 두께 감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 동작에 회동축(AR) 중심의 회동 뿐만 아니라 회동축(AR)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포함됨으로써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 감소 효과의 증대에 대해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제3 렌즈 조립체(퇴피 렌즈 조립체)의 중심선을 따른 단면 길이와 그 중심선으로부터 ΔX 이격된 위치에서의 단면 길이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퇴피 렌즈 조립체의 퇴피가 회동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여 수행된 경우 퇴피 렌즈 조립체 부근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퇴피 렌즈 조립체의 퇴피가 회동 동작 만을 포함하여 수행된 경우 퇴피 렌즈 조립체 부근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A-A 선(중심선)을 따른 단면(A-A 단면)의 길이는 H1이고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중심선으로부터 ΔX 만큼 이격된 B-B 선을 따른 단면(B-B 단면)의 길이는 H2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H2가 H1보다 더 짧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처럼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가 회동 동작 및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경우, 비촬영 위치에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렌즈 장착 부재(250)의 자유 단부(250a)는 제1 렌즈 조립체(210)의 렌즈 장착 부재(211)의 상단부(211a)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도 9에 도시된 정도로 제1 렌즈 조립체(210)가 내측으로(Y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여전히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제1 렌즈 조립체(210)를 간섭하지 않는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가 회동 동작 만을 포함하여 수행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촬영 위치에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자유 단부(250a)는 제1 렌즈 조립체(210)의 상단부(211a)와 접촉한다. 다시 말해서, 도 10에 도시된 정도(도 9에 도시된 정도와 동일함)로 제1 렌즈 조립체(210)가 내측으로(Y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제1 렌즈 조립체(210)를 간섭하게 된다. 이는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가 회동 동작 만을 포함하여 수행될 경우 Y-Z 평면 상에 배치되는 B-B 단면의 길이가 ΔH(=H1-H2) 만큼 좀 더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촬영시 제1 렌즈 조립체(210)의 후퇴 거리가 감소되어야 하며, 이러한 경우 비촬영시 렌즈 경통(3)의 두께 감소 효과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촬영 모드에서 비촬영 모드로 전환시 전술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렌즈 경통(3)은 퇴피 유닛(도면 부호 미기재)을 포함한다. 이러한 퇴피 유닛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촬영 위치에서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230)를 기준 광축(OA)과 수직한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유닛(310, 도 9), 및 이러한 회동 유닛(310)에 의해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회동되는 도중 회동축(AR)을 따라 퇴피 렌즈 조립체(230)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유닛(350)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유닛(310)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렌즈 장착 부재(250)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320), 및 셔터 조립체(190)에 구비된 랙 기어(330)를 포함한다.
한편, 후술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구동 유닛(350)은 제3 내측 배럴(180)에 구비된 가압 돌기(360), 및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렌즈 장착 부재(250)에 구비된 피가압면(370)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 유닛(310) 및 슬라이드 구동 유닛(350)에 의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도 11 내지 14를 참조하여 이들 구동 유닛(350) 및 슬라이드 구동 유닛(350)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렌즈 경통(3) 내의 부품들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11은 퇴피 렌즈 조립체의 퇴피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품들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퇴피 렌즈 조립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퇴피 렌즈 조립체와 제3 내측 배럴이 상호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을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먼저 퇴피 렌즈 조립체(230)를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제3군 렌즈(퇴피 렌즈)(L3) 및 그것이 장착되는 렌즈 장착 부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렌즈 장착 부재(250)는, 제3군 렌즈(퇴피 렌즈)(L3)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부(251), 제3 내측 배럴(180)에 샤프트 부재(270)를 통해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252), 및 렌즈 장착부(251)와 샤프트 결합부(252)를 연결하는 연결부(253)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결합부(252)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그 길이 방향으로 샤프트 관통홀(254)이 관통하고 있다. 샤프트 결합부(252)의 외주면의 중앙부에는 회동 유닛(310)을 구성하는 피니언 기어(320)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결합부(252)의 제1 단부(252a)에는 후술하는 리턴 스프링(410)의 제2 단부(412)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돌기(255)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결합부(252)의 제2 단부(252b)에는 전술한 렌즈 장착 부재(250)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피가압면(370)이 형성되어 있다. 피가압면(370)은 제1 접촉면(371), 제2 접촉면(372), 및 중간면(37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촉면(371, 372)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회동축(AR)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그 회동축(AR)을 따라 ΔX 만큼 이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접촉면(372)은 회동축(AR) 을 따라 제1 접촉면(371)으로부터 ΔX 만큼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접촉면(372)은 제1 접촉면(371)보다 기준 광축(OA)으로부터 ΔX 만큼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샤프트 결합부(252)의 제2 단부(252b)에는 스톱 돌기(42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톱 돌기(420)는, 후술하는 제3 내측 배럴(180)에 형성된 스토퍼(430)과 상호 작용하여,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비촬영 위치에서 촬영 위치로 복귀될 때 퇴피 렌즈(제3군 렌즈)(L3)가 기준 광축(OA)을 따라 정렬되는 위치에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회동이 멈추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3 내측 배럴(180)을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내측 배럴(180)은 기준 광축(OA) 방향을 따라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3 내측 배럴(180)을 '가이드 배럴(180)' 로 지칭하기로 한다.
가이드 배럴(180)은 중앙부에 수용홀(182)이 형성된 배럴 몸체(181), 배럴 몸체(181)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핀 아암(183), 및 배럴 몸체(18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장착부(185, 186)를 포함한다.
각각의 핀 아암(183)에는 제2 내측 배럴(170, 도 4 참조)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캠 핀(184)이 구비되어 있다. 캠 핀(184)이 제2 내측 배럴(170)의 상기 캠 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가이드 배럴(180)은 기준 광축(OA)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제1 및 제2 장착부(185, 186)는 대략 샤프트 부재(270)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거리 만큼 상호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장착부(185, 186)에는 제1 및 제2 샤프트 결합공(187, 188)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샤프트 부재(270)의 제1 및 제2 단부(271, 272)가 각각 결합된다. 제1 장착부(185)의 후단 상부에는 리턴 스프링(410)의 제1 단부(411)가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홈(185a)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셔터 조립체(190)를 살펴본다.
셔터 조립체(190)는 제3 렌즈 조립체(230)와 제4 렌즈 조립체(240) 사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는 1장 이상의 셔터 필름이 구비된다. 이러한 셔터 필름에 의해 셔터공(192)이 개폐됨으로써 이미지 센서(115)의 광 노출량이 조절된다. 셔터 조립체(190)도 기준 광축(OA)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그러한 셔터 조립체(190)의 이동은 제1 내측 배럴(160, 도 4 참조)에 의해 가이드된다.
셔터 조립체(190)는 중앙에 셔터공(192)이 형성된 셔터 몸체(191), 및 셔터 몸체(191)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핀 아암(193)을 포함한다.
셔터 몸체(191) 내에는 1장 이상의 셔터 필름이 구비되며, 이러한 셔터 필름에 의해 셔터공(192)이 개폐됨으로써 광 노출량이 조절된다. 각각의 핀 아암(193)에는 캠 핀(194)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캠 핀들(194)이 제1 내측 배럴(160, 도 3 참조)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 홈(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셔터 조립체(190)가 기준 광축(OA)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한다.
셔터 몸체(191)에서 셔터공(192)의 상측에는 앞뒤로 개방된 기어 홀(195)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 홀(195)의 하단부에는 전술한 피니언 기어(320)와 함께 회동 유닛(310)을 구성하는 랙 기어(3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랙 기어(330)는 기준 광축(OA)과 평행하게 배열된다.
다음으로 샤프트 부재(270)를 살펴본다.
샤프트 부재(270)는 길다란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샤프트 부재(270)는 리턴 스프링(410) 및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샤프트 관통홀(254)을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샤프트 부재(270)의 제1 및 제2 단부(271, 272)가 가이드 배럴(180)의 제1 및 제2 샤프트 결합공(187, 188)에 삽입됨으로써 가이드 배럴(180)에 퇴피 렌즈 조립체(230)를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리턴 스프링(410)을 살펴본다.
리턴 스프링(410)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샤프트 결합부(252)의 제1 단부(252a)와 가이드 배럴(180)의 제1 장착부(185) 사이에서 샤프트 부재(270)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리턴 스프링(410)의 제1 단부(411)는 가이드 배럴(180)의 스프링 고정홈(185a)에 고정되고, 리턴 스프링(410)의 제2 단부(412)는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스프링 고정돌기(255)에 고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410)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회동축(AR)을 따라 +X 방향으로 퇴피 렌즈 조립체(230)에 가압력(F)을 작용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410)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에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T)를 가한다. 이처럼 리턴 스프링(410)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에 선형적인 가압력(F)과 함께 토크(T)를 또한 가하는 압축 토션 스프링이다. 리턴 스프링(410)이 가하는 가압력(F) 및 토크(T)에 의해,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비촬영 위치로부터 기준 광축(OA) 상에 정렬되는 촬영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퇴피 유닛을 구성하는 회동 유닛(310) 및 슬라이드 구동 유닛(350)에 의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퇴피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퇴피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퇴피 렌즈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16은 퇴피 동작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며, 도 17은 퇴피 동작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퇴피 렌즈 조립체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5, 16, 17 각각에서 상측 도면, 하측 좌측 도면, 및 하측 상측 도면은 퇴피 렌즈 조립체를 측면,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촬영 위치에서 비촬영 위치로 전환되는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가이드 배럴(제3 내측 배럴)(180)에 의해 기준 광축(OA)을 따라 +Y 방향으로 후퇴하도록 안내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하는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그 회동을 개시하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렌즈 장착 부재(250)의 피니언 기어(320)는 셔터 조립체(190)에 형성된 랙 기어(330)와 만나게 된다. 피니언 기어(320)와 랙 기어(330)가 회동 유닛(310)을 구성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리턴 스프링(410)이 가하는 +X 방향의 가압력(F, 도 13 참조) 및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T, 도 14 참조)에 의해 기준 광축(OA)을 따라 정렬된 배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가이드 배럴(180)의 가압 돌기(360)는 렌즈 장착 부재(250)의 샤프트 결합부(252)에 형성된 피가압면(370)의 제1 접촉면(371)과 접촉하고 있다. 가압 돌기(360)와 피가압면(370)이 슬라이드 구동 유닛(350)을 구성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배럴(180)에 의해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후퇴가 더 진행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320)와 랙 기어(330)가 맞물리면서 피니어(320)가 회동하게 되고, 따라서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회동을 하게 된다(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이처럼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회동하는 도중, 가압 돌기(360)는 피가압면(370)의 중간면(373)과 접촉 가압한다. 이때, 피가압면(370)에서 중간면(373)은 제1 접촉면(371)보다 +X 방향으로 보다 외측에 위치하므로,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X 방향으로 슬라이드됨을 이해할 수 있다.
가이드 배럴(180)에 의한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후퇴가 완료될 때까지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회동 및 슬라이딩이 더 진행된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침내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비촬영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것의 회동각은 대략 100°에 이른다.
비촬영 위치에서 가압 돌기(360)는 피가압면(370)의 제2 접촉면(372)과 접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촉면(372)은 제1 접촉면(371)보다 +X 방향으로 ΔX 만큼 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촬영 위치에서와 비교하여 비촬영 위치에서 -X 방향으로 ΔX 만큼 슬라이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위치에서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X 방향에 평행한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대략 100°회동함과 동시에 그것의 회동축(AR)을 따라 -X 방향으로 ΔX 만큼 슬라이드되며, 그 결과 비촬영 위치에서 퇴피 렌즈(제3군 렌즈)(L3)의 광축(OA3)은 기준 광축(OA)과 꼬인 위치에 있게 된다.
촬영 위치에서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230)가 회동 및 슬라이딩의 조합에 의해 퇴피됨으로써 그 퇴피로 인한 렌즈 경통(3)의 사이즈(특히, 두께) 감소 효과가 보다 증대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비촬영 위치에서 촬영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는, 가이드 배럴(180)이 기준 광축(OA)을 따라 앞으로 전진함에 따라 퇴피 렌즈 조립체(230)도 함께 앞으로 전진하며, 이때 리턴 스프링(410)이 가하는 +X 방향의 가압력(F, 도 13 참조) 및 그것의 회동축(AR)을 중심으로 하는 토크(T, 도 14 참조)에 의해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기준 광축(OA)을 따라 정렬되는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복귀 동작시 퇴피 렌즈 조립체(230)는 퇴피 동작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동은 퇴피 렌즈 조립체(230)의 샤프트 결합부(252)에 구비된 스톱 돌기(420, 도 14 참조)가 가이드 배럴(180)의 제2 장착부(186)에 구비된 스토퍼(430)를 만날 때까지 진행되며, 이 시점에서 퇴피 렌즈(L3)의 광축(OA3)은 기준 광축(OA)과 일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3)이 촬영 모드로부터 비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 퇴피 렌즈 조립체(제3 렌즈 조립체)(230)에 장착된 제3군 렌즈(L3)를 기준 광축(OA)으로부터 퇴피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하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렌즈 경통(3)이 촬영 모드로부터 비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 제3군 렌즈(L3)가 아닌 제1군 렌즈(L1) 또는 제2군 렌즈(L2)가 기준 광축(OA)으로부터 퇴피되도록 렌즈 경통(3)이 설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3군 렌즈(L1,L2,L3) 중에서 제3군 렌즈(L3)가 가장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카메라의 소형화 설계 측면에서 볼 때 제3군 렌즈(L3)를 퇴피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군 렌즈(L3)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군 렌즈(L2)를 도피시키는 경우, 제2군 렌즈(L2)의 도피가 가능하도록 렌즈 경통(3)이 더 큰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는 카메라의 소형화 설계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3)에 구비되는 총 4개의 렌즈 조립체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들에서 렌즈 경통(3)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의 개수는 5개, 6개 등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카메라 2 : 카메라 본체
3 : 렌즈 경통 180 : 제3 내측 배럴(가이드 배럴)
185 : 제1 장착부 186 : 제2 장착부
190 : 셔터 조립체 191 : 셔터 몸체
210 : 제1 렌즈 조립체 L1 : 제1군 렌즈
220 : 제2 렌즈 조립체 L2 : 제2군 렌즈
230 : 제3 렌즈 조립체 L3 : 제3군 렌즈
240 : 제4 렌즈 조립체 L4 : 제4군 렌즈
250 : 렌즈 장착 부재 251 : 렌즈 장착부
252 : 샤프트 결합부 255 : 스프링 고정돌기
270 : 샤프트 부재 310 : 회동 유닛
320 : 피니어 기어 330 : 랙 기어
350 : 슬라이드 구동 유닛 360 : 가압 돌기
370 : 피가압면 371 : 제1 접촉면
372 : 제2 접촉면 373 : 중간면
410 : 리턴 스프링 420 : 스톱 돌기
430 : 스토퍼 OA : 기준 광축

Claims (20)

  1. 촬영시 카메라 본체 밖으로 돌출되고 비촬영시 카메라 본체 안으로 수납되는 렌즈 경통으로서,
    카메라의 기준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퇴피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 조립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퇴피시키는 퇴피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퇴피된 위치에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의 렌즈들은 상기 기준 광축에 대해 꼬인 위치에 있는 광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퇴피 유닛은 상기 기준 광축과 수직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 회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 방향을 따라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거리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유닛은,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기준 광축과 수직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회동 유닛; 및
    상기 회동 유닛에 의해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회동되는 도중, 상기 회동축 방향을 따라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를 소정 거리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퇴피 렌즈; 및
    상기 퇴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기준 광축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는 가이드 배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의 후방에 배치된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는 상기 기준 광축을 따라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경통은,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 후방에 배치되는 셔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랙 기어는 상기 셔터 조립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 유닛은,
    상기 회동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압 돌기; 및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가압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렌즈 장착 부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피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면은,
    상기 회동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회동축 방향으로 상기 소정 거리 만큼 상호 이격된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촬영 위치로부터 비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중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더 가깝게 배치된 어느 접촉면으로부터 상기 기준 광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다른 접촉면으로 상기 가압 돌기를 안내하는 중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유닛이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가하는 회동력과 반대 방향의 토크 및 상기 슬라이드 구동 유닛이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에 형성된 스톱 돌기; 및
    상기 퇴피 렌즈 조립체가 상기 기준 광축으로 복귀된 시점에서 상기 스톱 돌기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 부재는,
    상기 퇴피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 장착부;
    상기 가이드 배럴에 샤프트 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 및
    상기 렌즈 장착부와 상기 샤프트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배럴은,
    배럴 몸체; 및
    상기 샤프트 부재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 및 제2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제1 장착부에 인접한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제1 단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가압면은 상기 제2 장착부에 인접한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제2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장착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의 제2 단부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제2 장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돌기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의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장착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경통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KR1020120101171A 2012-09-12 2012-09-12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KR10211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71A KR102116365B1 (ko) 2012-09-12 2012-09-12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US14/019,776 US9229189B2 (en) 2012-09-12 2013-09-06 Lens barrel and digital camera having the same
CN201310414171.4A CN103676079B (zh) 2012-09-12 2013-09-12 透镜镜筒和具有该透镜镜筒的数码相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71A KR102116365B1 (ko) 2012-09-12 2012-09-12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16A true KR20140034616A (ko) 2014-03-20
KR102116365B1 KR102116365B1 (ko) 2020-05-28

Family

ID=5023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71A KR102116365B1 (ko) 2012-09-12 2012-09-12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29189B2 (ko)
KR (1) KR102116365B1 (ko)
CN (1) CN1036760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965A (ko) * 2019-05-13 2020-1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0297A (ja) * 2004-07-12 2006-02-02 Chinontec Kk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JP2006091910A (ja) * 2003-05-15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鏡胴および撮影装置
KR20060050457A (ko) * 2004-08-13 2006-05-19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수납식 렌즈 시스템
KR100719441B1 (ko) * 2002-02-21 2007-05-17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침동식 줌렌즈 시스템 및 침동식 줌렌즈 시스템의 침동 방법
JP2008046504A (ja) * 2006-08-18 2008-02-28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鏡筒
KR20100043947A (ko) * 2008-10-21 2010-04-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JP2010262107A (ja) * 2009-05-01 2010-11-18 Hoya Corp レンズ枠の退避構造
US20110274419A1 (en) * 2006-01-26 2011-11-10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camera and lens barrel adjustment device
JP2012141401A (ja) * 2010-12-28 2012-07-26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20113670A (ko) * 2011-04-05 2012-10-1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경통
KR20130104232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렌즈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5742A (ja) * 1985-01-17 1986-07-26 Asahi Optical Co Ltd 焦点距離切換補助レンズの固定機構
JP2000292830A (ja) 1999-04-09 2000-10-20 Canon Inc バリア開閉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WO2004049058A1 (ja) * 2002-10-24 2004-06-10 Sony Corporation 光学ユニット及びその光学ユニットを備えた撮像装置
JP4731110B2 (ja) * 2003-11-05 2011-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機器
JP4638719B2 (ja) 2004-12-01 2011-02-23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789459B2 (ja) * 2004-12-13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を有する光学機器
JP4732154B2 (ja) * 2005-12-01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沈胴鏡筒
JP2007248642A (ja) 2006-03-14 2007-09-27 Sony Corp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7511900B2 (en) * 2006-08-18 2009-03-31 Olympus Imaging Corp. Lens barrel
JP2008046503A (ja) * 2006-08-18 2008-02-28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鏡筒
JP4771499B2 (ja) * 2006-09-21 2011-09-14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
US8049979B2 (en) * 2008-09-08 2011-11-01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2011154347A (ja) * 2009-12-28 2011-08-11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41B1 (ko) * 2002-02-21 2007-05-17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침동식 줌렌즈 시스템 및 침동식 줌렌즈 시스템의 침동 방법
JP2006091910A (ja) * 2003-05-15 2006-04-06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鏡胴および撮影装置
JP2006030297A (ja) * 2004-07-12 2006-02-02 Chinontec Kk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KR20060050457A (ko) * 2004-08-13 2006-05-19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수납식 렌즈 시스템
US20110274419A1 (en) * 2006-01-26 2011-11-10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camera and lens barrel adjustment device
JP2008046504A (ja) * 2006-08-18 2008-02-28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鏡筒
KR20100043947A (ko) * 2008-10-21 2010-04-2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이동 장치
JP2010262107A (ja) * 2009-05-01 2010-11-18 Hoya Corp レンズ枠の退避構造
JP2012141401A (ja) * 2010-12-28 2012-07-26 Sony Corp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20113670A (ko) * 2011-04-05 2012-10-1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렌즈 경통
KR20130104232A (ko) * 2012-03-13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렌즈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29189B2 (en) 2016-01-05
CN103676079A (zh) 2014-03-26
KR102116365B1 (ko) 2020-05-28
CN103676079B (zh) 2017-07-07
US20140071335A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2800B1 (en) Retractable Lens Camera
US8537477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device
JP5788203B2 (ja) レンズ鏡筒
JP5214268B2 (ja) レンズ鏡筒の収納構造
JP2008170650A (ja) レンズ鏡筒
US20080019685A1 (en) Lens barrel
US8199417B2 (en) Retractable zoom lens having a variable aperture-stop mechanism
US6819502B2 (en) Structure of a zoom lens barrel
US8294995B2 (en) Linear guide mechanism of lens barrel
US20110102910A1 (en) Zoom lens barrel
US6788475B2 (en) Lens barrel having a lens barrier mechanism
JP5053129B2 (ja) 遮光構造及び遮光構造を有するレンズ鏡筒
US20080074759A1 (en) Lens barrel
JP2011164392A (ja) 撮像装置
JP5408542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US8964306B2 (en) Lens barrel
US6519096B2 (en) Lens barrel
US20040156181A1 (en) Light shielding structure of a retractable lens barrel
US6888685B2 (en) Retracting mechanism of a zoom lens barrel
JP4810365B2 (ja) レンズ鏡筒、カメラ、及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2116365B1 (ko) 렌즈 경통 및 그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KR102072225B1 (ko) 줌 렌즈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JP4789459B2 (ja)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を有する光学機器
JP5592732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JP2014106277A (ja) レンズ鏡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