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889A - 연선 장치 - Google Patents

연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889A
KR20120111889A KR1020110116502A KR20110116502A KR20120111889A KR 20120111889 A KR20120111889 A KR 20120111889A KR 1020110116502 A KR1020110116502 A KR 1020110116502A KR 20110116502 A KR20110116502 A KR 20110116502A KR 20120111889 A KR20120111889 A KR 20120111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ed pair
wire
tension
moving average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029B1 (ko
Inventor
가츠히로 츠지카와
아츠시 미츠이
도요키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06Bearing supports or brakes for supply bobbin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7/00Twisting wire; Twisting wire togethe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022Measuring or adjusting the lay or torque in the rope

Landscapes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운전중의 소선 장력을 정밀도 양호하게 측정하여, 각 소선 장력을 일정하게 해서 연선을 제조할 수 있는 연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형의 회전반(1a)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복수의 주회 보빈(3)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소선(4)을,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6)와, 각 풀리(6)마다 해당 풀리(6)에 걸리는 하중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로드 셀(5)을 구비하며, 각 소선(4)을 합하여 1개로 꼬아 합치는 연선 장치(100)에 있어서, 각 로드 셀(5)마다 회전반(1a)의 1회전에 대해 해당 로드 셀(5)의 출력값을 등간격으로 N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값을 N개씩 이동 평균하는 중력 보정 수단(142)을 가지는 중앙 연산부(1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연선 장치{WIRE TWISTING MACHIN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주회(周回) 보빈에 감겨진 소선을 송출하면서 주회 보빈을 심선의 주위에 공전시키는 것에 의해 1 개의 연선(撚線; twisting wire)을 제조하는 연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선 장치에서는, 꼬아 합친 후의 연선의 표면 요철 형상이나 파단 강도, 굽힘 강성 등의 품질을 균일화하기 위해서, 꼬아 합치기전의 소선의 장력이나 선속을 계측하여, 권출 회전 속도나 모터 토크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소선 장력을 균일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3, 5에서는, 권취 장력을 댄서 롤러(dancer roller) 또는 로드 셀을 이용하여 측정해서, 구동 모터를 제어한다. 특허 문헌 4에서는, 주회 보빈이나 권회 드럼의 중량을 예측해서 주회 보빈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1990-62464 호 공보(1페이지 좌단 4행~13행) 일본 공개 특허 제 1999-116142 호 공보(1페이지 9행~11행) 일본 공개 특허 제 1986-269812 호 공보(1페이지 6행~10행) 일본 공개 특허 제 1984-1791 호 공보(3페이지 우단 39행~44행) 일본 공개 특허 제 1998-244339 호 공보(4페이지 우단 13행~18행)
이러한 연선 장치에 있어서는, 만일 정지 상태에서의 소선 장력의 균일화를 도모해도, 주회 보빈에의 소선 감김 상태에 따라서 운전중의 소선 장력이 증감하기 때문에, 운전중의 소선 장력을 계측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제조하는 연선의 지름이 굵어지면, 개개의 소선의 중량과 이것을 지지하는 풀리도 커져서 로드 셀에 작용하는 중력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중력은, 로드 셀의 값에 대해서, 회전반과 함께 회전하는 로드 셀의 위치에 따라서, 플러스가 되거나 마이너스가 되는 변동값으로서 영향을 미치므로, 로드 셀에 의한 정확한 소선 장력의 검출을 곤란하게 한다. 연선 장치의 운전중에 소선 장력이 불균일하게 되면, 연선의 파단 강도 등의 품질이 불균일하게 되어, 연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균등한 품질의 보증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이지만, 변동하는 중력이 출력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면, 각 소선 장력의 불균일이 발생했을 경우에 초기 징후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운전중의 소선 장력을 정밀도 양호하게 계측하여, 각 소선 장력을 일정하게 해서 연선을 제조할 수 있는 연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선 장치는, 원형의 회전반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복수의 주회 보빈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소선을,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와, 각 풀리마다 해당 풀리에 걸리는 하중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로드 셀을 구비하며, 각 소선을 합하여 1개로 꼬아 합치는 연선 장치에 있어서, 각 로드 셀마다 회전반의 1회전에 대해 해당 로드 셀의 출력값을 등간격으로 N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값을 N개씩 이동 평균하는 중력 보정 수단을 가지는 중앙 연산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선 장치는, 각 로드 셀마다 회전반의 1회전에 대해 해당 로드 셀의 출력값을 등간격으로 N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값을 N개씩 이동 평균하는 중력 보정 수단을 가지는 중앙 연산부를 구비한 것이므로, 주기성의 진폭을 가진 중력에 의한 소선 장력에 대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선 장력을 감시하는 문턱값폭을 좁게 설정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각 소선에 걸리는 소선 장력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선 장치(100)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연선 장치(100)를 시좌(A)에서 본 모식도,
도 3은 동작중의 연선 장치(100)의 로드 셀(5)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중력과 소선 장력의 분력의 벡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소선 장력(T0)의 산출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로드 출력값 등의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선 장치(100)의 소선 장력 제어의 흐름도,
도 7은 연선 장치(100)의 각 소선의 보정 후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선 장치의 소선 장력 제어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선 장치의, 각 소선의 보정 후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는 도면.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선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선 장치(100)를 시좌(A)에서 본 모식도이다. 복수의 회전반 중 하나인 회전반(1a)에 장착된 복수의 크레이들(cradle)(2)에, 각각 주회 보빈(3)이 탑재되어 있다.
각각의 주회 보빈(3)으로부터는, 소선(4)이 로드 셀(5)에 고착된 풀리(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트랜딩 다이(7)로 가설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레이들(2)은, 개개의 소선(4)의 꼬임을 회복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개별적으로, 회전반(1a)상에, 소선(4)의 꼬임 회복 방향으로 자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반(1a)은 코어 로프(9)와 동심으로 회전하므로 주회 보빈(3)은 소선(4)을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선(4)의 꼬임 회복 방향으로도 크레이들을 거쳐서 회전하고, 또한, 회전반(1a~1c)의 회전에 의해서 코어 로프(9)의 주위를 공전하게 된다.
스트랜딩 다이(7)에서는, 권출 드럼(8)으로부터 송출되는 코어 로프(9)를 중심으로, 복수의 소선(4)이 꼬아 합쳐져서 연선(10)이 된다. 1개로 된 연선(10)은 권취 드럼(11)에 권취된다.
또, 로드 셀(5)은, 회전반(1b)의 회전에 따른 중력과 원심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풀리(6)를 거쳐서 얻어지는 소선(4)의 장력에 의한 부하를, 동일하게 회전하는 다른 회전반(1c)상의 배전반(12)에 설치된 로드 셀 앰프(13)를 통해서 전압 신호로서 출력한다. 전압 신호는, 배전반내의 AD 변환기(15)로 디지털 변환된 후, 무선 송신기(16)를 통해서 무선 수신기(17)에 송신되어 중앙 연산부(14)로 보내진다.
중앙 연산부(14)는 받아들여진 로드 셀 부하로부터, 연선 장치(100)의 회전반(1b)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소선(4)과 풀리(6)의 질량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보정한 소선 장력을 연산한다.
도 3은 작동중의 연선 장치(100)의 로드 셀(5)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중력과 소선 장력의 분력의 벡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에 나타내는 연선 장치(100)를 측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는 소선 장력(T0)의 이동 평균을 구하는 계산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4에 따라서, 소선 장력(T0)의 이동 평균을 구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회전반(1b)의 내측으로 향하는 부하를 로드 셀(5)의 플러스 출력, 외측으로 향하는 부하를 마이너스 출력으로 한다. 소선 장력의 분력(T)은,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회전반(1b)의 내측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로드 셀(5)의 출력에 영향을 주는 원심력(RCF)은, 연선 장치(100)의 회전 속도(ω)와, 질량(N)과, 회전 반경(R)에 대해서 다음 수학식으로 표현되고, 회전반(1b)의 회전시는 상시 원주 외측으로 작용한다. 우선, 연선 장치(100)의 회전 속도(ω)를 취득한다(S001). 다음에, 로드 셀(5)의 출력을 취득한다(S002). 중앙 연산부(14)의 원심력 보정 수단(141)에 있어서 다음 수학식에 의해 로드 셀(5)의 출력에 영향을 주는 원심력(RCF)을 산출한다(S003).
Figure pat00001
여기서 질량(N)은 로드 셀(5)에 접속되어 있는 풀리(6) 및 이 풀리(6)에 부하되는 소선(4)의 질량의 합계이다. 이 질량(N)은, 어느 로드 셀(5)이 회전반(1b)의 최상부에 위치할 때에, 주회 보빈(3)과 권취 드럼(11)사이에 있어서의 소선(4)에 전혀 텐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로드 셀(5)의 출력에 의해서 구해진다.
만일, 일정 장력, 일정 속도(ω)로 회전반(1b)이 회전했을 경우, 회전 속도(ω)의 제곱에 정비례한 만큼, 로드 셀(5)의 출력은 마이너스측으로 오프셋되게 된다. 이 원심력에 의한 영향은, 수학식 1로부터도 알 수 있는바와 같이, 회전 속도(ω)가 일정한 경우에는 항상 일정한다.
다음에, 중력의 영향을 설명한다. 중력에 의한 영향의 보정 연산은 중앙 연산부(14)의 중력 보정 수단(142)이 담당한다. 중력은, 연선 장치(100)의 회전에 관계없이 연직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도 3의 위치(1)에서는 로드 셀(5)의 플러스 출력이 되고, 위치(3)에서는 로드 셀(5)의 마이너스 출력이 되고, 위치(2)와 위치(4)에서는 로드 셀(5)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회전각을 θ라고 하면, 로드 셀(5)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오프셋량(Goff)은 전술한 질량(N)과 중력 계수(g)에 의해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내진다.
Figure pat00002
즉, 만일 일정 장력으로 회전반(1b)이 등속 회전했을 경우, 로드 셀(5)의 출력은 사인 커브를 그리게 된다. 사인 커브를 그리는 경우, 해당 사인 커브와 동일 주기로 이동 평균을 취하면 그 값은 0이 되므로, 중력의 영향을 제외한 로드 셀 출력의 이동 평균(L)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S004).
다음에, 원심력 및 중력의 쌍방의 영향을 가미했을 경우의 로드 셀(5)의 출력(L)은 다음 수학식 3으로 나타내진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연선 장치(100)의 회전반(1b)의 회전 속도(ω)가 일정한 경우에, 회전의 1주기 정도에서 이동 평균을 취하는 것을 생각하면, sinθ의 이동 평균값이 0이 되는 것부터, 로드 셀 출력값(L)의 이동 평균값으로부터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소선 장력의 분력(T)의 이동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S005).
Figure pat00004
각각의 소선(4)의 소선 장력은, 각각의 주회 보빈(3)에 장착된 로드 셀(5)로 계측하고 있으므로, 각 소선(4)에 대해서, 회전반(1b)의 일회전에 대해 각 로드 셀(5)의 출력값을 N회 샘플링하고, 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N개씩 이동 평균하면 좋다.
만일, 75 rpm으로 회전하고 있는 연선 장치(100)에 대해서, 20 Hz로 계측했을 경우는, 1회전 0.8초에 대해 0.05초마다 계측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변환하고, 합계 16점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이동 평균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우선 연선 장치(100)의 회전 속도(ω)로부터 원심력에 의한 오프셋량을 산출하고, 이것을 가산함으로써 원심력의 영향을 보정할 수 있다. 게다가, 연선 장치(100)의 1주기분에 대해서 소정의 회수, 각 로드 셀(5)의 출력을 샘플링하고, 이것을 이동 평균하면, 각 소선(4)에 따른 중력의 영향을 보정한 소선 장력의 분력(T)을 얻을 수 있다.
분력(T)으로부터 소선 장력(T0)을 산출하는 계수(k)는 소선(4)의 풀리(6)에 대한 감긴각에 따라 다르다. 계수(k)는, 장치마다 다르지만, 예를 들어 도 1의 주회 보빈(3)을 활차로 교환하고, 추를 소선(4)에 매달아서 그 때에 로드 셀(5)로부터 출력되는 값과 추의 무게로부터 실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연선 장치마다, 계수(k)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분력(T)의 이동 평균값으로부터 소선 장력(T0)의 이동 평균값을 다음 수학식 5에 의해서 산출할 수 있다(S006).
Figure pat00005
도 5는, 지금까지 설명한 소선 장력의 그래프이며, 각각, 이하의 값의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a1:보정 없는 로드 셀의 출력의 값.
a2:원심력의 영향을 보정한 소선 장력.
a3:중력의 영향을 보정한 이동 평균 소선 장력.
a4:원심력과 중력의 영향을 보정한 이동 평균 소선 장력.
중력의 보정을 하지 않고 로드 셀 출력값을 사용하는 경우(a1, a2), 그래프가 사인 커브를 그리므로, 개개의 소선 장력에 대해 2개의 굵은 선 사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어용의 문턱값 폭을 설정하면, 이상으로 판단되어 버린다. 그러나, 중력 보정 후의 이동 평균 그래프(a3, a4)를 이용하는 경우는, 제어용으로 보다 좁은 문턱값폭을 설정할 수 있다. 이것은 개별의 소선(4)에 대해서도, 복수의 소선(4) 전체에 대한 문턱값폭의 설정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해진 각 소선(4)의 소선 장력(T0)의 이동 평균을 이용하여, 각 소선 장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중앙 연산부(14)에 의한 연선 장치(100)의 소선 장력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초로, 모든 소선(4)의 보정 후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을 산출한다. 다음에, 모든 소선중에서, 최대값(Max), 최소값(Min),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Range)를 산출한다. Range의 값이 소정의 문턱값폭을 넘는 경우는 각 소선의 주회 보빈의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장력의 균일화를 도모한다. 이것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4개의 소선(4)의, 중력 및 원심력에 의한 영향을 보정한 소선 장력(T0)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각 소선(4)의 소선 장력(T0)의 이동 평균 그래프를 a4~d4로 한다.
중앙 연산부(14)는 이동 평균 그래프(a4~d4)를 바탕으로, 이러한 각 소선 장력을 제어한다. 도 7의 W로 나타내는 폭은, 각 소선 장력 이동 평균값의 허용 범위(최대값-최소값) 즉, 문턱값폭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시각에 있어서의 4개의 그래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W 이하이면 이상 없음으로 하고,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문턱값폭(W)을 넘었을 경우는 이상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 수단(143)은 배선(18)을 통해서 각 주회 보빈(3)의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각 소선 장력을 균일하게 한다. 또, 문턱값폭을 복수 설정하고, 소정의 문턱값폭을 넘었을 경우는, 중앙 연산부(14)의 브레이크 제어 수단(143)이 연선 장치(100)를 자동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선 장치(100)에 의하면, 주기성의 진폭을 가진 중력에 의한 소선 장력에 대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선 장력을 감시하는 문턱값폭을 좁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하게 각 소선(4)에 따른 소선 장력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다.
또, 원심력의 보정도 병용하면, 각 소선 장력으로부터 원심력과 중력의 영향을 배제한 진정한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을 산출할 수 있다.
또, 각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의 최대값, 최소값의 차이가 문턱값폭을 넘어 변동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주회 보빈(3)간에서의 소선 장력을 균일하게 조정 또는 연선 장치(100)를 정지할 수 있어, 꼬아 합친 후의 연선 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소선 장력의 자동 조정, 자동 정지에 대해 말했지만, 문턱값 판정 후에 경보를 울리고, 작업자에게 소선 장력의 조정을 재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자동조정에 의한 획일적인 조정이 아니고, 작업자에 의한 다양한 조정을 할 수 있다.
또, 로드 셀(5)의 전압 출력을 배전반(12)내의 AD 변환기(15)로 디지털 변환하고, 무선 송신기(16)를 통해서 무선 통신을 하고 있지만, 중앙 연산부(14)를 배전반(12)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신호선으로 통신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회전반(1c)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장력값을 작업자가 확인하기 어려워지지만, 유선 통신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 연선 장치(100)의 슬립 링을 통해서 통신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는, 개조가 대대적으로 되기 때문에 기존의 설비를 개조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안정된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장력값을 작업자가 확인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선 장치(100)의 소선 장력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초로, 모든 소선(4)의 보정 후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을 산출한다. 다음에, 모든 소선중에서, 최대값(Max), 최소값(Min),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Range)를 산출한다. 최대값이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경우는 연선 장치(100)의 회전을 정지한다. Range의 값이 소정의 문턱값폭(W)을 넘는 경우는 각 소선의 주회 보빈의 브레이크를 제어해서 각 소선 장력의 균일화를 도모한다. 이것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선 장치(100)의, 각 소선(4)의 중력 및 원심력에 의한 영향을 보정한 후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연선 장치(100)의 제어와의 차이는, 개별의 소선(4)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이 미리 설정한 문턱값폭(UL)을 넘었을 경우에도, 해당하는 주회 보빈(3)의 소선 송출 스피드를 제어, 또는 연선 장치를 정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점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 도 7의 경우에 비해, 빠른 단계(P의 위치)에서, 1개의 소선(d)의 보정 후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이 상한 문턱값폭(UL)을 넘고 있다. 이 경우, 4개의 소선 장력중, 이동 평균값이 최대인 d4의 값과 최소인 C4의 값의 차이가 문턱값폭(W)을 넘지 않아도, 브레이크 제어 수단(143)은 해당 소선(4)의 주회 보빈(3)의 브레이크를 느슨하게 하는 등으로 해서 각 소선(4)의 소선 장력의 균일화를 도모한다. 또, 문턱값을 복수 설정하고, 소정의 문턱값을 넘었을 경우는, 브레이크 제어 수단(143)이 연선 장치(100)를 자동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연선 장치에 의하면, 실시형태 1의 효과에 부가하여 보다 안전하게 각 소선(4)의 소선 장력을 제어하여, 제품의 균질화, 연선 장치(100)의 건전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턱값으로서 개별의 소선(4)의 소선 장력의 최대값을 이용했지만, 최소값과 병용해도 좋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2에서는, 연선 장치의 회전수를 실측값으로서 계산에 사용했다.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이것을 정수로서 취급한다. 이 경우는, 중앙 연산부(14)에 회전수를 작업자가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마련한다. 작업자가 입력한, 연선 장치를 정상 운전시킬 때의 회전수를 바탕으로 원심력의 보정을 실행하게 된다.
다만, 연선 장치의 회전수가 정상 상태로 천이할 때까지, 즉, 운전 개시 직후와 운전 정지 직전에서, 설정되어 있는 원심력 보정과 현실의 원심력의 괴리가 생긴다. 이 때문에, 장력을 제어하는 기능은 연선 장치가, 정상 운전 상태에 천이 후에 개시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연선 장치의 회전수를 실측하는 설비가 없는 연선 장치에 대해도 간편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1 a, 1 b, 1 c: 회전반 3: 주회 보빈
4: 소선 5: 로드 셀
6: 풀리 14: 중앙 연산부
141: 원심력 보정 수단 142: 중력 보정 수단
143: 브레이크 제어 수단 100: 연선 장치

Claims (8)

  1. 원형의 회전반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복수의 주회 보빈으로부터 송출되는 각 소선을,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풀리와, 각 상기 풀리마다 상기 풀리에 걸리는 하중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로드 셀을 구비하며, 상기 각 소선을 합하여 1개로 꼬아 합치는 연선 장치에 있어서,
    각 상기 로드 셀마다 상기 회전반의 1회전에 대해 상기 로드 셀의 출력값을 등간격으로 N회 샘플링하고, 샘플링한 값을 N개씩 이동 평균하는 중력 보정 수단을 가지는 중앙 연산부를 구비한
    연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연산부는 상기 회전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로드 셀의 출력값에 영향을 미치는 원심력을 보정하는 원심력 보정 수단을 가지는
    연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은 상기 풀리의 질량과 상기 풀리에 걸리는 상기 소선의 질량을 요소로서 산출하는
    연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보정 수단에 의한 보정 후의 각 소선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을 바탕으로, 각 상기 주회 보빈의 회전 스피드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연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수단은 상기 원심력의 영향을 보정한 후의 각 소선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을 바탕으로, 각 상기 주회 보빈의 회전 스피드를 제어하는
    연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 후의 각 소선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을 취득할 때마다, 모든 소선의 바로 근방의 상기 이동 평균값중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을 취득하고, 상기 최대값과 상기 최소값의 차이가 소정의 문턱값폭을 넘었을 경우에, 상기 회전반을 정지하는
    연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수단은, 어느 소선의 소선 장력의 이동 평균값이 소정의 문턱값을 넘었을 경우에, 상기 회전반을 정지하는
    연선 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는 상기 회전반이 정상 회전수에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연선 장치.
KR1020110116502A 2011-03-31 2011-11-09 연선 장치 KR101317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6932A JP5437303B2 (ja) 2011-03-31 2011-03-31 縒線装置
JPJP-P-2011-076932 201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889A true KR20120111889A (ko) 2012-10-11
KR101317029B1 KR101317029B1 (ko) 2013-10-11

Family

ID=4726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502A KR101317029B1 (ko) 2011-03-31 2011-11-09 연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37303B2 (ko)
KR (1) KR10131702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1395A (zh) * 2013-05-29 2013-10-02 湖北三江航天江北机械工程有限公司 钢帘线启动扭转的控制方法
CN104795183A (zh) * 2014-01-22 2015-07-22 特变电工股份有限公司 一种绞线检测装置和绞线设备
CN105060009A (zh) * 2015-08-25 2015-11-18 安吉腾飞电子有限公司 一种绞合线收卷生产线
JP2016056468A (ja) * 2014-09-08 2016-04-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撚線の製造方法及び撚線の製造装置
CN106251980A (zh) * 2016-09-13 2016-12-21 芜湖市旭辉电工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可控制张力范围的电缆生产线感应装置
KR102012624B1 (ko) * 2019-05-14 2019-10-21 문재순 인라인 방식의 케이블 제조 시스템
CN110965380A (zh) * 2019-12-09 2020-04-07 嘉善精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捻绳机加捻调节装置
KR102142910B1 (ko) * 2019-08-02 2020-08-10 이재문 로프 제조장치
KR20220015870A (ko) * 2020-08-01 2022-02-08 이재문 로프 제조장치용 보빈뭉치
CN116289277A (zh) * 2023-03-14 2023-06-23 张家港新华预应力钢绞线有限公司 一种高强度预应力钢绞线捻制机构及其捻制方法
CN116289279A (zh) * 2023-03-14 2023-06-23 张家港新华预应力钢绞线有限公司 一种高强度预应力钢绞线用生产设备
KR102652249B1 (ko) * 2023-10-18 2024-03-27 권도중 집합선 제조 공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7023633B1 (pt) * 2015-05-29 2022-03-03 Nv Bekaert Sa Sistema para enrolar múltiplos elementos alongados
CN105955157B (zh) * 2016-04-28 2019-10-29 浙江万马专用线缆科技有限公司 绞线机绞线张力自动监控系统
CN105883491B (zh) * 2016-05-30 2018-11-16 苏州市丹纺纺织研发有限公司 一种纺织用排线装置
CN105913973A (zh) * 2016-06-07 2016-08-31 易初特种电线电缆(昆山)有限公司 一种束丝机分线板组
CN106057373B (zh) * 2016-08-17 2017-10-03 苏州永皓电线有限公司 一种电缆绞合机
DE102017203161B4 (de) * 2017-02-27 2018-10-31 Leoni Kabel Gmbh Flechtmaschine
CN107119363B (zh) * 2017-05-08 2019-02-26 东华大学 一种稳定结构拉胀复合纱及其制备装置、方法及用途
CN107673114A (zh) * 2017-09-12 2018-02-09 陈�峰 可避免缠丝的彩丝绳生产系统
JP6990959B2 (ja) * 2017-11-30 2022-01-12 Nittoku株式会社 撚り線装置及び撚り線の製造方法
CN110158211A (zh) * 2019-05-23 2019-08-23 鲁普耐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纤维绳索的绳芯制作设备及方法
CN111681829B (zh) * 2020-05-09 2021-11-16 河南通达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成缆装置
CN113178289B (zh) * 2021-03-31 2023-04-14 宁波球冠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可防止导体跳丝的线缆导体绞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1A (ja) * 1982-06-22 1984-0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撚線機・集合機の回転数制御方法
JP2559467B2 (ja) * 1988-06-24 1996-12-04 日立電線株式会社 撚線装置
JPH0641885A (ja) * 1992-07-17 1994-02-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撚線機と断線の検出方法
JPH08397Y2 (ja) * 1993-06-30 1996-01-10 宮崎鉄工株式会社 糸巻き装置
KR20000016325U (ko) * 1999-01-29 2000-08-25 권문구 연선의 장력 제어 장치
KR100707680B1 (ko) 2006-02-21 2007-04-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선재의 후방 장력을 제어하는 연선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1395A (zh) * 2013-05-29 2013-10-02 湖北三江航天江北机械工程有限公司 钢帘线启动扭转的控制方法
CN104795183A (zh) * 2014-01-22 2015-07-22 特变电工股份有限公司 一种绞线检测装置和绞线设备
JP2016056468A (ja) * 2014-09-08 2016-04-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撚線の製造方法及び撚線の製造装置
CN105060009A (zh) * 2015-08-25 2015-11-18 安吉腾飞电子有限公司 一种绞合线收卷生产线
CN106251980A (zh) * 2016-09-13 2016-12-21 芜湖市旭辉电工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可控制张力范围的电缆生产线感应装置
KR102012624B1 (ko) * 2019-05-14 2019-10-21 문재순 인라인 방식의 케이블 제조 시스템
WO2021025400A1 (ko) * 2019-08-02 2021-02-11 이재문 로프 제조장치 및 로프 제조장치용 보빈뭉치
KR102142910B1 (ko) * 2019-08-02 2020-08-10 이재문 로프 제조장치
CN110965380A (zh) * 2019-12-09 2020-04-07 嘉善精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捻绳机加捻调节装置
KR20220015870A (ko) * 2020-08-01 2022-02-08 이재문 로프 제조장치용 보빈뭉치
CN116289277A (zh) * 2023-03-14 2023-06-23 张家港新华预应力钢绞线有限公司 一种高强度预应力钢绞线捻制机构及其捻制方法
CN116289279A (zh) * 2023-03-14 2023-06-23 张家港新华预应力钢绞线有限公司 一种高强度预应力钢绞线用生产设备
CN116289279B (zh) * 2023-03-14 2023-11-21 张家港新华预应力钢绞线有限公司 一种高强度预应力钢绞线用生产设备
CN116289277B (zh) * 2023-03-14 2023-11-21 张家港新华预应力钢绞线有限公司 一种高强度预应力钢绞线捻制机构及其捻制方法
KR102652249B1 (ko) * 2023-10-18 2024-03-27 권도중 집합선 제조 공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7303B2 (ja) 2014-03-12
KR101317029B1 (ko) 2013-10-11
JP2012211404A (ja)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029B1 (ko) 연선 장치
CN103787148B (zh) 一种电缆绕线的输送张力自动调节装置
JP2017061368A (ja) 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ー装置の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方法
JP6248094B2 (ja) 押出機から送られて来る合成糸の巻き取り方法及び装置
CN107720433A (zh) 杠杆式放线控制装置
JP6180183B2 (ja) 撚線の製造方法および撚線装置
CN108415134B (zh) 调整套管放线张力的方法及主控系统
US9494494B2 (en) Calibrating apparatus of tire testing machine and calibrating method of tire testing machine
US6209299B1 (en) Double twist twinner with back-twist pay offs and intermediate capstan
US6588695B1 (en) Method and device for unwinding elongated stock
JP2015040363A (ja) 撚線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207932724U (zh) 一种恒张力焊带收卷系统
CN108455348A (zh) 一种恒张力焊带收卷系统
KR101741453B1 (ko) 초전도선재의 권선방법 및 그 장치
EP3256639B1 (en) Tension buffer system for multi-wire pay-off system
EP3303200B1 (en) Winding of multiple elongated elements
KR100571605B1 (ko) 케이블의 종첨 테이핑 장치
EP1231097A1 (en) Method to regulate the tension for stretching machines and relative apparatus
JPH08216739A (ja) 架線長異常検出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0496446B1 (ko) 광케이블 제조용 인장선 송출장치
JP2016056468A (ja) 撚線の製造方法及び撚線の製造装置
KR100334793B1 (ko) 광섬유 인출 설비의 진동 모니터링 장치
CN219418587U (zh) 一种rvs绞线机
KR20230147886A (ko) 장력 자동 조절이 가능한 연선기
CN208200039U (zh) 一种适用于多规格钢丝绳的收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