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713A -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713A
KR20120111713A KR1020110030375A KR20110030375A KR20120111713A KR 20120111713 A KR20120111713 A KR 20120111713A KR 1020110030375 A KR1020110030375 A KR 1020110030375A KR 20110030375 A KR20110030375 A KR 20110030375A KR 20120111713 A KR20120111713 A KR 20120111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it
line
inpu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3225B1 (ko
Inventor
황태선
박인선
Original Assignee
(주)아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아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03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25B1/ko
Priority to EP12763548.0A priority patent/EP2696349A4/en
Priority to US14/009,309 priority patent/US9323469B2/en
Priority to PCT/KR2012/002049 priority patent/WO2012134098A2/ko
Priority to CN201280026820.7A priority patent/CN103688312B/zh
Publication of KR2012011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Management of b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06F3/0688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08Address circuits; Decoders; Word-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4Bit-line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6Multiple access memory array, e.g. addressing one storage element via at least two independent addressing line grou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6/00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directly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6/12Reading and writing aspects of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2216/30Reduction of number of input/output pins by using a serial interface to transmit or receive addresses or data, i.e. serial access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SPI 버스로 통신하는 NAND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는 방법이 공개된다. 이 방법은 NAND 셀 어레이의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및 위의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위의 입력받는 단계는 한 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수행된다.

Description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Memory and memory reading method}
본 발명은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개의 입력단자로 주소를 입력 받으며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 및 이 메모리를 읽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버스(bus)를 사용할 수 있다. SPI 버스는 모토롤라(Motorola)에 의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SPI에 버스는 하나의 마스터(mater) 디바이스와 한 개 이상의 슬레이브(slave) 디바이스 간의 통신 규격이며, 클록 주파수로서 보통 1Mhz 내지 100Mhz 이상을 사용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트라이-스테이트(tri-state) 출력 단자를 가지며, 전 양방(full duplex)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보통 한 개의 클록 단자, 한 개의 입력 단자, 한 개의 출력 단자, 및 한 개의 칩 선택 단자를 가질 수 있다.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 SPI 버스를 사용할 때에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 구비된 한 개의 입력 단자를 통해 명령, 주소, 및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서는 큰 셀(Cell) 전류를 이용해 워드(Word) 혹은 바이트(byte) 단위로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읽기 시간이 매우 짧다. 따라서 SPI 버스를 통해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 읽기 명령 및 주소를 입력하는 경우에, 그 주소가 입력 완료된 즉시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 SPI 버스를 사용할 때에도, 클록 속도가 매우 빠른 경우에는, 예를 들어 클럭 속도가 70Mhz 이상인 경우에는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이후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제어를 위해 SPI 버스를 사용하고자 한다.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서는 기본적으로 페이지(page) 단위로 수행되는데, 첫 페이지에 접근하는 시간이 예를 들어 약 수백 ns이기 때문에 NOR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 비해 랜덤 읽기 시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긴 편이다(상술한 첫 페이지 접근 시간은 기술 수준에 따라 단축될 수도 있다). 따라서 SPI 버스를 이용하여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를 읽는 경우에는, 주소가 입력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그 주소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PI 버스를 통해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를 읽을 때에, 읽기 명령과 주소를 입력한 후 ‘즉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서 ‘즉시’란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바로 다음 클록의 시점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SPI 버스를 통해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를 읽을 때에, 읽기 명령과 주소를 입력한 후 미리 결정된 시간 후에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메모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과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가 SPI 버스에 의해 제어될 때에는 NAND 셀 어레이의 주소가 한 개의 입력 단자를 통해서 들어오기 때문에, 주소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여유 시간이 상당히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NAND 셀 어레이의 주소가 총 24 비트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총 24개의 클록에 걸쳐 주소가 입력된다는 점을 이용할 수 있다.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첫 페이지를 읽기 위하여 각 셀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는 데에 소정의 시간이 걸릴 수 있는데, SPI 버스를 사용하는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에 주소를 입력하는 시간과 위의 소정의 시간을 오버랩(overlap) 시킴으로써 주소 입력이 완료된 직후 즉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메모리 읽기 방법은, NAND 셀 어레이(cell array)를 포함하는 메모리에서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방법으로서, NAND 셀 어레이의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및 위의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입력받는 단계는 한 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메모리 읽기 방법은, NAND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에서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방법으로서, NAND 셀 어레이의 블록 주소 및 워드-라인 주소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위의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NAND 셀 어레이의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을 완료하는 단계, 및 위의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더미 비트 없이 바로 또는 소정의 더미 비트가 경과한 후부터 즉시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은 한 개의 입력 단자를 통해 수행된다. 위의 더미 비트는 예를 들어 여덟 클록 또는 그 이상의 클록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의한 메모리는, 제1입력 단자, NAND 셀 어레이, 및 위의 제1입력 단자로부터 NAND 셀 어레이의 주소를 입력받아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 로직은, 위의 주소에 포함된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를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위의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위의 주소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위의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는 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PI 버스를 통해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를 읽을 때에, 읽기 명령과 주소를 입력한 후 즉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위의 주소를 입력한 후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에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핀-아웃(pin-out)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스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포함된 NAND 셀 어레이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AND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드-라인(word-line) 구동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bit-line) 프리챠징(precharging)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스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일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제거되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플래시(flash) 메모리, 이이피롬(EEPROM), 상전이 메모리(PRAM), 자기 메모리(MRAM), 저항 메모리(R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플래시 메모리는 플로팅 게이트 메모리, 전하 트랩형 메모리, 소노스(SONOS) 메모리 등으로 불릴 수도 있고, 그 명칭이 이러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의 핀-아웃(pin-out)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CK(101)는 메모리(1)에 제공되는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 클록 입력단자이다. SI(103)는 메모리(1)에서 명령(instruction), 주소(address), 데이터(data)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단자이다. VCC(107)는 전력 공급 전압을 입력하는 단자이며, GND(108)는 VCC(107)에 대한 기준전위를 입력받는 단자이다. SO(104)는 메모리(1)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자이다.
CS#(102)는 메모리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자로서, 메모리(1)가 선택되지 않는다는 신호가 들어오면 SO(104)가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로 될 수 있다. HOLD#(106)는 메모리(1)와 다른 장치 간의 통신을 중단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메모리(1)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W#(107)는 메모리(1)의 프로그램(program) 또는 지우기(erase) 방지를 위한 영역의 크기를 고정(freeze)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메모리(1)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는 상술한 SPI 버스를 이용한 통신에서 슬레이브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SCK(101), CS#(102), SI(103), SO(104)는 각각 SPI 버스에서의 클록 단자, 칩 선택 단자, 입력 단자, 출력 단자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메모리(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I/O interface)(100), 제어 로직(200), 아날로그 블록(300), 셀 어레이(400), 주소 디코더 블록들(510, 520, 530), 멀티플렉서(610, 620, 63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는 도 1에서 설명한 각종 핀-아웃 단자에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로직(20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100)로부터 클록, 주소, 데이터, 칩 선택 신호 등을 입력받고, 이를 해석하여 주소 디코더 블록들(510, 520, 530), 아날로그 블록(300), 입/출력 패드(100)를 제어할 수 있다. 아날로그 블록(300)은 셀 어레이(400) 및 주소 디코더 블록들(510, 520, 530)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로직(2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셀 어레이(400)는 NAND 셀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행(column)과 열(row)로 이루어진 2차원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 수 있다. 각 열은 워드-라인(word-line)으로 지칭되고, 각 행은 비트-라인(bit-line)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셀 어레이(400)는 N개의 블록(400_0 ~ 400_N-1)들로 구분될 수 있다.
메모리(1)에 입력되는 주소는 셀 어레이(400)의 특정 영역을 지시할 수 있는데, 이 주소는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비트-라인 주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 디코드(510)부, 열 디코드(row decode)부, 및 행 디코드(column decode)부는 각각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비트-라인 주소를 복호하여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의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가 전달되는 내부 경로에는 한 개 이상의 멀티플렉서(610, 620, 630)가 개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스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a, b]”는 타이밍 다이어그램 중에서 시각(a)와 시각(b) 사이의 구간을 지시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4개의 신호는 메모리에 입력되는 SCK(101), CS#(102), SI(103) 신호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SO(104) 신호를 나타낸다. CS#(102)를 통해 시각(t1)에 칩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시각(t2)부터 SCK(101)를 통해 클록이 입력되기 시작한다. 그 다음, 명령(instruction) 신호가 SI(103)를 통해 8 클록 동안 입력된다([t2, t3]). 그리고 뒤 이어 24 비트 주소가 24 클록 동안 SI(103)를 통해 입력된다([t3, t4]). 입력된 명령 신호가 데이터 읽기를 지시한 것('00000011')이라면, 24 비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입력된 주소에 저장되었던 데이터가 SO(104)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즉시'라는 것은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는 클록의 바로 다음 클록을 의미한다. 또한 SCK(101)를 통해 입력되는 클록은 그 길이가 시간에 따라 신장되지 않고 시각(t1) 이후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입력된다.
NAND 셀 어레이(cell array)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기 위하여, 입력된 주소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의 게이트에는 0V의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메모리 셀(memory cell)의 게이트(gate)에는 약 4.5V 또는 5.0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에는 약 1.0V ~ 1.8V 사이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메모리 셀의 워드-라인(word-line)에는 메모리 셀의 게이트가 연결되어 있으며,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bit-line)에는 메모리 셀의 드레인이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인 NAND 셀 어레이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에는 주소가 모두 입력된 후에 워드-라인의 구동(driving)과 비트-라인의 프리챠징(precharging)을 시작하는데, 이때 필요한 전압 레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기술 수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예를 들어 약 80ns 내지 100ns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NAND 셀 어레이에서는 도 3과 같이 24 비트 주소가 모두 입력된 후에 ‘즉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은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만족하며, 이를 위하여 아래의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 포함된 NAND 셀 어레이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NAND 셀 어레이는 여러 개의 블록의 분할되어 있을 수 있는데, 도 4는 이 중 두 개의 블록, 즉 제1블록(41)과 제2블록(42)의 구조를 일부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메모리에 입력되는 상술한 블록 주소에 의해 제1블록(41)이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제1블록(41)의 워드-라인(WL1)(43)을 읽기 위해 요구되는 각 노드에서의 전압을 함께 표시하였다.
선택된 제1블록(41)의 워드-라인(WL1)(43)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 위하여, 워드-라인(WL1)(43)에는 0V가 인가되고, 나머지 다른 워드-라인들에는 전압(Vread)이 인가되며, 비트-라인(BL0 ~ BL(C-1))들 중 읽기를 원하는 비트-라인에 전압(Vpre-Vt)이 인가될 수 있다. 전압(Vread)은 예를 들어 약 4.5V 또는 5.0V일 수 있으며, 전압(Vpre)은 예를 들어 약 1.0V 내지 1.8V 사이의 전압일 수 있다. 전압(Vt)는 NMOS의 문턱 전압일 수 있다.
여기서 WL0 ~ WL(R-1)를 NAND 스트링(string)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R=16일 수 있고, 상술한 비트라인의 개수를 나타내는 상수 C=4225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값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서, 선택되지 않은 블록인 제2블록(42)의 워드-라인들은 모두 로우 상태를 유지하며, 제2블록(42)의 스트링 선택 라인(SSL. GSL)은 접지 트랜지스터(Tr1, Tr2)에 의해 0V에 접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블록(42)의 NAND 스트링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에는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로 이루어진 주소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때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블록 주소와 워드-라인 주소가 각각 도 4에 나타낸 제1블록(41) 및 워드-라인(WL1)(43)을 지정하는 경우에, 워드-라인(WL1)(43)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을 준비를 하기 위하여, NAND 셀 어레이의 각 노드의 전압 상태를 상술한 도 4와 같은 상태로 변경 및/또는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압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각 워드-라인을 구동(driving)하고 각 비트-라인을 프리챠지(precharge)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구동 및 프리챠지 방법을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AND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모리에 입력되는 주소([n2, n5])는, 12 비트의 블록 주소([n2, n3]), 4 비트의 워드-라인 주소([n3, n4]), 및 8 비트의 비트-라인 주소([n4, n5])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각(n0)에서 CS#(102)에 의해 메모리가 선택되면, 시각(n1)부터 SCK(101)을 통해 클록이 입력되고, 시구간([n1, n2])에서 8 클록 동안 메모리 읽기 명령이 입력된다.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n5)부터 데이터의 출력이 이루어진다.
입력되는 블록 주소([n2, n3]), 워드-라인 주소([n3, n4]), 및 비트-라인 주소([n4, n5])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 위하여,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블록의 워드-라인들을 구동하고 이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비트-라인을 프리챠징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블록 주소([n2, n3]) 및 워드-라인 주소([n3, n4])에 의해 지시되는 모든 메모리 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읽기 위하여,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모든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블록의 워드-라인들을 구동하고 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셀들에 대응하는 비트-라인들을 프리챠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입력되는 주소 중 블록 주소([n2, n3]) 및 워드-라인 주소([n3, n4])만 알면 충분하다.
그런데 도 5에서 주소([n2, n5])는 한 개의 입력 단자인 SI(103)(도 5에는 미도시)를 통해서만 입력되기 때문에,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블록 주소([n2, n3]) 및 워드-라인 주소([n3, n4])의 입력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n5) 이전에, 워드-라인의 구동을 시작(n10)하고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n10)할 수 있다. 또는, 워드-라인 주소([n3, n4])의 입력이 완료된 시점(n4)의 직후부터 워드-라인의 구동을 시작하고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직후'라 함은 시점(n4)로부터 한 개의 클록 후의 시점(n10)을 말한다.
보통, NAND 셀 어레이에서 워드-라인의 구동 및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한 후, 예컨대 수백 ns 정도의 시간이 경과해야 NAND 셀 어레이를 읽을 수 있는 전압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부터 워드-라인의 구동 및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n10)하기 때문에,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NAND 셀 어레이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약 80ns 내지 100ns 이전부터 워드-라인의 구동 및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함으로써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NAND 셀 어레이의 데이터를 읽도록 할 수 있다.
워드-라인 주소([n3, n4])에 의해 선택된 워드-라인(selected word-line)의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502) 및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워드-라인(unselected word-line, pass word-line)들의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501)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선택된 워드-라인의 전압은 구동 시작 시점(n10)으로부터 시간(Δt1)이 경과한 후에 전압(Vread)에 도달한다.
또한, 도 5에는 NAND 메모리 셀의 비트-라인의 전압의 변화(503)도 함께 도시되어 있다. 선택된 비트-라인의 전압은 프리챠징 시작 시점(n10)으로부터 시간(Δt2)이 경과한 후에 전압(Vpre)에 도달한다.
선택된 워드-라인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가 종료되면 블록 주소([n2, n3])에 의해 특정되는 블록의 모든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전압을 모두 기준 전위, 예컨대 0V로 바꿀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드-라인 구동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록 주소([n2, n3])의 입력이 완료되면 워드-라인 주소([n3, n4])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이라도 어느 블록에 있는 워드-라인들을 구동해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n9)에서 블록 주소([n2, n3])가 가리키는 블록에 있는 모든 워드-라인의 전압을 전압(Vread)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501, 502). 그 다음, 워드-라인 주소([n3, n4])의 입력이 완료되면 워드-라인 주소([n3, n4])에 의해 선택된 워드-라인의 전압(502)만을 기준전압(예컨대 0V)으로 낮출 수 있다. 이때 낮추기 시작하는 시점은 시점(n10)일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워드-라인의 전압은 위의 낮추기 시작하는 시점(n10)으로부터 시간(Δt3)이 경과한 후에 기준전압에 도달한다.
보통, 도 6에서 선택된 워드-라인의 전압이 강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Δt3)은 도 5에 설명한 선택되지 않은 워드-라인들의 전압이 상승하는 데 소용되는 시간(Δt1)보다 작다. 따라서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워드-라인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도 5의 구동 방식에 비해 NAND 셀 어레이를 읽기 위해 요구되는 전압 상태에 더 일찍 도달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챠징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 주소([n2, n3])가 입력되면 워드-라인 주소([n3, n4])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이라도 어느 블록에 있는 비트-라인들을 프리챠징 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시점(n8)에서 블록 주소([n2, n3])가 가리키는 블록에 있는 모든 비트-라인의 전압을 전압(V_H1)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비트-라인의 전압이 전압(V_H1)으로 상승된 후에, 비트-라인의 전압을 전압(Vpre)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트-라인의 전압을 낮추는 작업은 워드-라인 주소([n3, n4])의 입력이 완료된 후의 시점(n10)에 시작할 수 있으나 이 시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비트-라인의 전압은 시점(n10)으로부터 시간(Δt4)이 경과한 후에 전압(Vpre)에 도달한다.
보통, 도 7에서 비트-라인의 전압이 강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Δt4)은 도 5에 설명한 비트-라인의 전압이 상승하는 데 소용되는 시간(Δt2)보다 작다. 따라서 도 7과 같은 방식으로 비트-라인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도 5의 구동 방식에 비해 NAND 셀 어레이를 읽기 위해 요구되는 전압 상태에 더 일찍 도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방법은 따로 실행되거나 또는 함께 결합되어 실행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NAND 셀 어레이를 갖는 메모리의 읽기 프로세스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나타낸 4개의 신호는 메모리에 입력되는 CS#(102), SCK(101), SI(103) 신호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SO(104) 신호를 나타낸다. CS#(102)를 통해 시각(t1)에 칩 선택 신호가 들어오면 SCK(101)를 통해 클록이 입력되기 시작한다. SCK(101)는 예를 들어 70MHz 이상의 고속의 클록 속도를 가질 수 있다. 그 다음, 명령(instruction) 신호가 SI(103)를 통해 소정의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여덟 클록 동안 입력된다([t2, t3]). 그리고 뒤 이어 24 비트 주소가 24 클록 동안 SI(103)를 통해 입력된다([t3, t4]). 입력된 명령 신호가 데이터 읽기를 지시한 것이라면, 24 비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의 더비 비트, 예를 들어 여덟 개의 더미 비트에 해당하는 시간([t4, t5])이 경과한 후에 입력된 주소에 저장되었던 데이터가 SO(104)를 통해 출력된다.
도 8에 나타낸 읽기 방법은 클록 속도가 빠른 경우에 적합하다. 도 5 내지 도 7을 다시 살펴보면, 워드-라인의 구동을 시작하는 시점(n2)부터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n5)까지 24 클록이 소요된다. 이 클록의 시간 동안 NAND 셀 어레이를 읽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준비에는 보통 80ns 내지 100ns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실시예에 따라 더 짧은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 클록 속도가 매우 빨라서 일곱 클록이 경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예컨대 100ns보다 작은 경우에는,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n5) 이후 즉시 데이터를 읽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록 속도가 약 70Mhz( =1/(100ns/7) ) 이상이면 일곱 클록이 경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100ns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이후 소정의 더미 비트 동안, 예를 들어 여덟 비트 동안([t4, t5]) 휴지기를 두면 상술한 100 ns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t5)부터 곧 바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에 설명한 방법에는 도 5 내지 도 7에 설명한 방법을 결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워드-라인 구동 및 비트-라인 프리챠징의 타이밍은 도 2에 나타낸 제어 로직(200)이 아날로그 블록(300)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핀-아웃 구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도 1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메모리(1)는 SCK(101), CS#(102), SI(103), SO(104), Vcc(107), GND(108)의 6개의 단자만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르게는 여기에 W#(105) 및 HOLD#(106)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읽기 방법은 NAND 셀 어레이(400)를 포함하는 메모리(1)에서 NAND 셀 어레이(4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NAND 셀 어레이(400)의 블록 주소([n2, n3]), 워드-라인 주소([n3, n4]) 및 비트-라인 주소([n4, n5])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다음,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NAND 셀 어레이(400)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한다. 즉, 블록 주소([n2, n3]), 워드-라인 주소([n3, n4]) 및 비트-라인 주소([n4, n5])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한다. 이때, 위의 입력받는 단계는 한 개의 입력 단자(10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즉시’는 비트-라인 주소([n4, n5])의 마지막 비트가 입력된 클록의 바로 다음 클록일 수 있다.
이 방법은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driving)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기 80ns 이전에,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의 구동은 위의 블록 내의 모든 워드-라인들을 소정의 제1전압(Vread)으로 올린 후, 워드-라인 주소([n3, n4])에 대응하는 워드-라인을 소정의 제2전압(GND)으로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기 80ns 이전에,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의 프리챠징은 위의 블록 내의 비트-라인들을 소정의 제3전압(V_H1)으로 올린 후, 소정의 제4전압(Vpre)으로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읽기 방법은 NAND 셀 어레이(400)를 포함하는 메모리(1)에서 NAND 셀 어레이(40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NAND 셀 어레이(400)의 블록 주소([n2, n3]) 및 워드-라인 주소([n3, n4])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 다음, NAND 셀 어레이(400)의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을 완료하는 단계, 및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 구간 후부터 즉시 NAND 셀 어레이(400)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블록 주소([n2, n3]) 및 워드-라인 주소([n3, n4]), 비트-라인 주소([n4, n5])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블록 주소([n2, n3]), 워드-라인 주소([n3, n4]), 및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은 한 개의 입력 단자(10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위의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 구간은 여덟 클록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한 개의 입력 단자(103), NAND 셀 어레이(400), 및 한 개의 입력 단자(103)로부터 NAND 셀 어레이(400)의 주소([n2, n5])를 입력받아 주소([n2, n5])에 기록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로직(200)을 포함하는 메모리(1)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제어 로직(200)은, 주소([n2, n5])에 포함된 블록 주소([n2, n3]), 워드-라인 주소([n3, n4]), 및 비트-라인 주소([n4, n5])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주소([n2, n5])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는 위의 제어 로직(200)은,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dummy bit) 구간 후부터 즉시 주소([n2, n5])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 로직(200)은,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 로직(200)은, 비트-라인 주소([n4, n5])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블록 주소([n2, n3])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는 컴퓨터, 휴대폰, 모바일 기기, 개인휴대기기(PDA) 내비게이션 장치, 가전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NAND 셀 어레이(cell array)를 포함하는 메모리에서 상기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방법으로서,
    상기 NAND 셀 어레이의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상기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한 개의 입력 단자(input terminal)를 통해 수행되는, 메모리 읽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driving)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읽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기 적어도 수십 ns 이전에,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driving)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읽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은 상기 블록 내의 모든 워드-라인들을 소정의 제1전압으로 올린 후, 상기 워드-라인 주소에 대응하는 워드-라인을 소정의 제2전압으로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메모리 읽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precharging)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읽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기 적어도 수십 ns 이전에,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읽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챠징은 상기 블록 내의 비트-라인들을 소정의 제1전압으로 올린 후, 소정의 제2전압으로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메모리 읽기 방법.
  8. NAND 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에서 상기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는 방법으로서,
    상기 NAND 셀 어레이의 블록 주소 및 워드-라인 주소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단계;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NAND 셀 어레이의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을 완료하는 단계; 및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dummy bit) 구간 후부터 즉시 상기 NAND 셀 어레이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은 한 개의 입력 단자(input terminal)를 통해 수행되는, 메모리 읽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읽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 구간은 여덟 클록에 대응하는, 메모리 읽기 방법.
  11. 제1입력 단자;
    NAND 셀 어레이; 및
    상기 제1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NAND 셀 어레이의 주소를 입력받아 상기 주소에 기록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주소에 포함된 블록 주소, 워드-라인 주소, 및 비트-라인 주소를 순차적으로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즉시 상기 주소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는,
    메모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워드-라인들의 구동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는, 메모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블록 주소에 대응하는 블록에 속한 비트-라인의 프리챠징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는, 메모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비트-라인 주소의 입력이 완료된 후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dummy bit) 구간 후부터 즉시 상기 주소에 기록된 데이터의 출력을 시작하도록 되어 있는, 메모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수의 더미비트 구간은 여덟 클록에 대응하는, 메모리.
KR1020110030375A 2011-04-01 2011-04-01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KR10129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75A KR101293225B1 (ko) 2011-04-01 2011-04-01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EP12763548.0A EP2696349A4 (en) 2011-04-01 2012-03-22 MEMORY AND METHOD FOR READING MEMORY
US14/009,309 US9323469B2 (en) 2011-04-01 2012-03-22 Memory, and method of reading data from the memory
PCT/KR2012/002049 WO2012134098A2 (ko) 2011-04-01 2012-03-22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CN201280026820.7A CN103688312B (zh) 2011-04-01 2012-03-22 存储器和存储器读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75A KR101293225B1 (ko) 2011-04-01 2011-04-01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713A true KR20120111713A (ko) 2012-10-10
KR101293225B1 KR101293225B1 (ko) 2013-08-05

Family

ID=4693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75A KR101293225B1 (ko) 2011-04-01 2011-04-01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3469B2 (ko)
EP (1) EP2696349A4 (ko)
KR (1) KR101293225B1 (ko)
CN (1) CN103688312B (ko)
WO (1) WO20121340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8220B2 (en) * 2014-05-01 2018-10-23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omputer architecture having selectable, parallel and serial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processors and memory
CN105427883B (zh) * 2014-09-09 2018-09-14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三维与非门高速缓存的预读方法及写入方法
CN105701021B (zh) * 2014-12-10 2021-03-02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储存装置及其数据写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226A (en) * 1987-01-30 1989-04-11 Rca Licensing Corporation Dual port video memory system having a bit-serial address input port
KR940001590B1 (ko) 1991-07-05 1994-02-25 한국전기통신공사 블럭읽기 및 쓰기에서의 메모리 엑세스 시간 단축장치 및 방법
JPH10228773A (ja) * 1997-02-14 1998-08-25 Hitachi Ltd ダイナミック型ram
KR100673128B1 (ko) 2000-12-04 2007-01-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어드레스 전송 장치
TWI225260B (en) * 2002-10-07 2004-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ge mode operation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artial activation architecture
US20110066920A1 (en) * 2003-12-02 2011-03-17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Single-Chip Multi-Media Card/Secure Digital (MMC/SD) Controller Reading Power-On Boot Code from Integrated Flash Memory for User Storage
US7558900B2 (en) * 2004-09-27 2009-07-07 Winbound Electronics Corporation Serial flash semiconductor memory
KR100811278B1 (ko) * 2006-12-29 2008-03-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부스팅을 이용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소자의 읽기 방법
US8103936B2 (en) * 2007-10-17 2012-01-24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read of a synchronous serial interface NAND
US8102710B2 (en) * 2007-10-17 2012-01-24 Micro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ccess and modification for synchronous serial interface NAND
JP2010140521A (ja) * 2008-12-09 2010-06-24 Powerchip Semiconductor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読み出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44906A1 (en) 2014-08-28
WO2012134098A2 (ko) 2012-10-04
CN103688312B (zh) 2017-04-05
KR101293225B1 (ko) 2013-08-05
US9323469B2 (en) 2016-04-26
EP2696349A4 (en) 2015-03-04
EP2696349A2 (en) 2014-02-12
WO2012134098A9 (ko) 2013-03-14
CN103688312A (zh) 2014-03-26
WO2012134098A3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897B1 (ko) 액세스 라인 종속 바이어스 방식
US876746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reading program and method for memory devices
TW201419280A (zh) 具有近/遠記憶體晶胞分組之非依電性記憶體裝置及其資料處理方法
CN106571158B (zh) 半导体存储器件及其操作方法
US8995188B2 (en) Sharing support circuitry in a memory
KR20210070219A (ko) 데이터 라인 설정 동작과 동시에 시딩 동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778846B2 (en) Sequential memory access operations
JP2013196737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023730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writing method thereto
CN112447246A (zh) 用于减轻编程干扰的设备和方法
US8942045B2 (en) Memory apparatus and methods
KR101293225B1 (ko) 메모리 및 메모리 읽기 방법
KR2018000140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004516B2 (en) Erasing memory cells
CN111354403B (zh) 读取存储器的存储器单元
KR10129322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전자제어 시스템, 및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KR2012011932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056195B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related driving method
JP5585491B2 (ja) 半導体メモリおよびシステム
CN114446359A (zh) 对单元串执行预充电的非易失性存储器件及其编程方法
KR20120005850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