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413A -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413A
KR20120110413A KR1020110028249A KR20110028249A KR20120110413A KR 20120110413 A KR20120110413 A KR 20120110413A KR 1020110028249 A KR1020110028249 A KR 1020110028249A KR 20110028249 A KR20110028249 A KR 20110028249A KR 20120110413 A KR20120110413 A KR 20120110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period
group
signal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921B1 (ko
Inventor
이백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921B1/ko
Priority to JP2011193029A priority patent/JP2012208459A/ja
Priority to US13/242,978 priority patent/US9584799B2/en
Priority to CN201710004226.2A priority patent/CN106652873B/zh
Priority to CN201110365232.3A priority patent/CN102737571B/zh
Priority to EP12162098.3A priority patent/EP2506240B1/en
Priority to EP12162095.9A priority patent/EP2506589B1/en
Priority to EP12162100.7A priority patent/EP2506241A3/en
Publication of KR2012011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413A/ko
Priority to JP2016131853A priority patent/JP630609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02Addressing of scan or signal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24Details of interlac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에 제1 주사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고, 제1 그룹 화소가 제1 주사 기간에 인접한 제1 발광 기간 동안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동시에 발광한다. 그리고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에 제2 주사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고, 제2 그룹 화소가 제2 주사 기간에 인접한 제2 발광 기간 동안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동시에 발광한다. 제1 주사 기간 및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제2 주사 기간 및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가 시간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NTSC 방식인 경우 1초에 60장의 그림을 표시하고, PAL 방식인 경우 1초에 50장의 그림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가 NTSC 방식에 따라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장치는 1초에 좌안용 그림 60장 및 우안용 그림 60장을 교대로 표시해야 한다. 따라서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의 구동 주파수는 표시 장치가 평면 영상을 표시할 때에 비해 적어도 2배 이상이어야 한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표시 장치의 한 프레임은 영상 데이터를 기입(programming)하기 위한 주사(scan) 기간과 기입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기간을 포함한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경우 적어도 1/120초 이내에 데이터 기입이 완료되어야 하므로, 주사 기간 동안 전체 표시 패널을 주사하고 영상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해 높은 구동 주파수로 동작하는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높은 구동 주파수의 드라이버는 생산 단가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더구나 표시 패널의 사이즈가 증가하고, 그 해상도가 증가할수록 표시 패널의 RC 지연이 증가하여 영상 데이터 기입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대형화 및 고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에 제1 주사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 화소가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주사 기간에 인접한 제1 발광 기간 동안 동시에 발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에 제2 주사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그룹 화소가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주사 기간에 인접한 제2 발광 기간 동안 동시에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2 주사 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가 시간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1 필드에 대해 소정 기간 이동된 시점에 동기되어 구동된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주사기간, 및 상기 제1 발광 기간으로 구성된 제1 프레임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2 주사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으로 구성된 제2 프레임을 복수 개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프레임 중 하나의 제1 프레임에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2 프레임은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 이동되어 있다.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의 제1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1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1 기간과,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제2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2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2 기간이 서로 동일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제1 시점(view point) 그림이 표시되고,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의 그림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제1 시점(view point)의 제1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1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1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제1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1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제2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2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2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제2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2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1 필드 프레임의 발광 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제2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 프레임의 발광 기간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1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제1 시점(view point)의 제1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1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1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1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1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제2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2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2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2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2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1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제1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1 필드 프레임의 제1 발광 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2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상기 제2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제1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제2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달리,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소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평면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의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다른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평면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다른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및 상기 선택된 다른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의 제1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1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1 기간과,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제2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2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2 기간이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발광 기간과 상기 제2 발광 기간이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2 기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제1 시점(view point) 그림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발광 기간이 인접하는 제2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의 그림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제1 시점(view point)의 제1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제2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단위의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발광 기간 및 상기 인접하는 제2 발광 기간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단위의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발광 기간의 다음 제1 발광 기간 및 상기 다음 제1 발광 기간에 인접하는 제2 발광 기간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소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의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평면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평면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및 상기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애노드 전압을 리셋시키는 제1 리셋 기간,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는 제1 보상기간,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구동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동시에 발광하는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2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애노드 전압을 리셋시키는 제2 리셋 기간,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는 제2 보상기간, 및 상기 복수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주사 기간,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구동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동시에 발광하는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발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1 발광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르고,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2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리셋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1 리셋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르다.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2 발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2 발광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르고,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2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리셋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2 리셋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르다.
상기 제1 발광 기간과 상기 제2 리셋 기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발광기간과 상기 제1 발광 기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제1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1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애노드 전압을 방전시키는 구동 전류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게 하는 레벨이다.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애노드 전압을 방전시키는 구동 전류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게 하는 레벨이다.
또는,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리셋 기간, 상기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제1 발광 기간 각각 동안 레벨이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주사 기간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2 리셋 기간, 상기 제2 주사 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각각 동안 레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보상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2 주사 기간과 동일하다.
상기 제1 발광 기간은 상기 제2 리셋기간, 상기 제2 보상기간, 및 상기 제2 주사기간과 중첩되고, 상기 제2 발광기간은 상기 제1 리셋기간, 상기 제1 보상기간, 및 상기 제1 주사기간과 중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발광 기간과 상기 제2 발광 기간이 소정 기간 중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선, 상기 복수의 화소에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 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1 전원선,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제2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전원선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동시에 보상되는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1 그룹 화소 각각이 기입된 데이데 신호에 따라 동시에 발광하는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동시에 보상되는 제2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그룹 화소 각각이 기입된 데이데 신호에 따라 동시에 발광하는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로 구분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원선은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3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선과 상기 제3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3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 또는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전원선은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3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5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전원선과 상기 제5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5 전원선이 연결되는 노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 또는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행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행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행은 교대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원선은,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원선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3 전원선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3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5 전원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원선과 상기 제3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3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전원선과 상기 제5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5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행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행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행은 교대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열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열은 교대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제1 화소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는 중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보상 기간에 턴 온 되고, 상기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 중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와 다른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보상 기간에 턴 온 된다.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선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선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1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선은 행방향으로 연장되어 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선은 행방향으로 연장되어 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선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선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행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상 커패시터,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달되고, 상기제2 전원 전압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전달되어 있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애노드 전극 전압을 리셋 시키는 제1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상기 제2 그룹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애노드 전극 전압을 리셋 시키는 제2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애노드 전압이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으로 리셋되게 하는 레벨이다.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애노드 전압이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으로 리셋되게 하는 레벨이다.
상기 제1 발광 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나머지 기간과 다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2 전원 전압 보다 높은 전압이다.
또는,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리셋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고, 상기 제2 보상 기간 각각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며,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제2 리셋 기간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및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상 커패시터 및 상기 복수의 저장 커패시터에 전달하는 제1 주사 기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상 커패시터 및 복수의 저장 커패시터에 전달하는 제2 주사 기간을 더 포함한다.상기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제2 주사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및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르고,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의 동안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를 수 있다.
모션 아티팩트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발광 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대형화 및 고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요하는 환경에서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을 종래에 비해 낮은 구동 주파수로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에서 발광 기간의 시작 시점이 조절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 패널을 2 분할하는 경우, 제1 필드에 발광하는 제1 그룹 화소의 영역 및 제2 그룹 화소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단위 영역(E) 및 제2 단위 영역(O)에 포함되는 제1 그룹 화소 및 제2 그룹 화소 중 각각 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1/60초의 기간 동안 표시되는 그림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보간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표시 장치가 원본 좌안 그림 및 원본 우안 그림 사이에 생성된 보간 좌안 그림 및 보간 우안 그림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보간 주파수가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의 2배인 240Hz인 경우, 표시 장치가 생성된 보간 그림 및 원본 그림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표시 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모션 아티팩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 중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표시 장치가 원본 좌안 그림 및 원본 우안 그림을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등간격 발광 모드에 따라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보간 주파수가 240Hz인 경우, 표시 장치가 원본 평면 그림들 사이에 생성된 보간 그림들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표시 장치가 원본 평면 그림 및 보간 그림을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2A에 도시된 수평 라인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2A에 도시된 수평 라인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2A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2A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2C에 도시된 1X1 닷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2C에 도시된 1X1 닷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2C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C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 각각은 도 2B에 도시된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 2B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B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 각각은 도 2D에 도시된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도 2D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도 2D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르는 두 개의 전원 전압, 주사 신호, 보상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를 때 제1필드 및 제2 필드를 전원 전압과 함께 도시한 그림이다.
도 33는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르는 두 개의 전원 전압, 주사 신호, 보상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 및 도 35은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를 때 제1필드 및 제2 필드를 전원 전압과 함께 도시한 그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구동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식은 표시 장치 패널의 복수의 화소 중 제1 필드에 발광하는 복수의 제1 그룹 화소 및 제2 필드에 발광하는 복수의 제2 그룹 화소를 구분한다. 제1 필드 및 제2 필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기간으로서, 한 프레임은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을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제1 필드(EFD)와 제2 필드(OFD)는 소정 기간(SF)만큼 이동된 시점에 동기되어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필드(EFD)의 한 프레임(1FE)에 시간적으로 인접하는 제2 필드의 한 프레임(1FO)은 시간적으로 한 프레임(1FE)로부터 기간(SF)만큼 시프트 된다. 기간(SF)은 주사기간(3)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설정된다. 제1 필드의 한 프레임(2FE)은 프레임(1FE)에 연속되고, 제2 필드의 한 프레임(2FO)는 프레임(1FO)에 연속된다.
제1 그룹 화소들이 발광하는 기간(4) 동안 제2 그룹 화소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기입되는 주사기간(3)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제2 그룹 화소들이 발광하는 기간(4) 동안 제2 그룹 화소들 각각에는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가 기입되는 주사기간(3)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사기간(3)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시간적 마진(margin)이 증가한다. 또한, 주사 주파수를 낮출 수 있으므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 및 데이터 선에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주사 신호를 생성하는 주사 구동부의 대역폭이 감소하여 회로 부품의 단가가 감소할 수 있다.
더구나, 제1 그룹 화소의 발광 시간(4)과 제2 그룹 화소의 발광 시간(4)이 분산되므로 필요한 최고 전류가 감소하여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에서 발광 기간의 시작 시점이 조절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에서 발광 기간이 주사 기간이 완료 후 동일한 시점에 발광 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EFD)의 주사 기간(3)의 종료 시점 TM1 후, 시점 TM2에 발광 기간(4)이 시작된다. 기간(SF)만큼 시프트 된 시점에 제2 필드(OFD)의 한 프레임이 시작되어 제2 필드(OFD)의 주사 기간(3)이 시점 TM3에 종료된 후, 시점 TM4에 발광 기간(4)이 시작된다. 이 때, 기간 TM1-TM2와 기간 TM3-TM4는 동일한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등간격 발광 모드에서는 발광 기간(4)의 시작 시점을 도 1B와 같이 동일한 시점으로 설정한다.
도 1C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에서 발광 기간이 주사 기간이 완료 후 서로 다른 시점에 발광 기간이 시작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EFD)의 주사 기간(3)의 종료 시점 TM5 후, 시점 TM6에 발광 기간(4)이 시작된다. 기간(SF)만큼 시프트 된 시점에 제2 필드(OFD)의 한 프레임이 시작되어 제2 필드(OFD)의 주사 기간(3)이 시점 TM7에 종료된 후, 시점 TM8에 발광 기간(4)이 시작된다. 이 때, 기간 TM5-TM6와 기간 TM7-TM8은 서로 다른 기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연접 발광 모드에서는 발광 기간(4)의 시작 시점을 도 1C와 같이 서로 다른 시점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필드의 발광 기간(4)과 제2 필드의 발광 기간(4)이 서로 근접하도록 발광 기간의 시작 시점을 조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그룹 화소와 제2 그룹 화소를 나누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A-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 패널을 2 분할하는 경우, 제1 필드에 발광하는 제1 그룹 화소의 영역 및 제2 그룹 화소의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그룹 화소가 배치된 영역(이하, 제1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이하, 제1 단위 영역)을"E"로 표시하고, 제2 그룹 화소가 배치된 영역(이하,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이하, 제2 단위 영역)을"O"로 표시한다. 각 단위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화소로 구성된다.
제1 단위 영역(E)과 제2 단위 영역(O) 별로 휘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단위 영역(E)과 제2 단위 영역(O)이 공간적으로 인접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도 2A는 수평 라인을 따라 복수의 제1 단위 영역(E)이 배열된 제1 수평 라인(HE1-HE3)과 복수의 제2 단위 영역(O)이 배열된 제2 수평 라인(HO1-HO3)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수평 라인 배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3 개의 제1 수평 라인 및 3 개의 제2 수평 라인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평 라인 배열 방법은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송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다.
도 2B는 수직 라인을 따라 복수의 제1 단위 영역(E)이 배열된 제1 수직 라인(VE1-VE4)과 복수의 제2 단위 영역(O)이 배열된 제2 수직 라인(VO1-VO4)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수직 라인 배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 개의 제1 수직 라인 및 4 개의 제2 수직 라인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라인 배열 방법은 가로 움직임이 많은 영상을 표현하는데 적합하다.
도 2C는 1X1 닷(DOT) 배열에 따라 복수의 제1 단위 영역(E) 및 복수의 제2 단위 영역(O)이 배열된 표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6X8 매트릭스로 표시 패널이 분할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X1 닷 배열은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송에 적합한 표시 배열 방법이다. 또한, 제1 단위 영역(E) 및 제2 단위 영역(O) 서로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인접 배치되어 있어, 제1 단위 영역(E) 및 제2 단위 영역(O) 간의 휘도차를 분산시킬 수 있다.
도 2D는 2X1 닷(DOT) 배열에 따라 복수의 제1 단위 영역(E) 및 복수의 제2 단위 영역(O)이 배열된 표시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6X8 매트릭스로 표시 패널이 분할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X1 닷 배열은 디더링(dithering) 패턴이 두드러지는 것을 피하는데 적합하다. 2X2 디더링 패턴이 일반적으로 선택되는데, 1X1 닷 배열에 따라 배치된 표시 패널에 2X2 디더링 패턴으로 생성된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면, 2X2 디더링 패턴이 강조된다. 2X1 또는 1X2 닷 배열은 2X2 디더링 패턴의 강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2X1 닷 배열을 따르면 제1 단위 영역(E)의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단위 영역(O)이 존재하고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하나의 제2 단위 영역(O)이 존재한다. 1X2 닷 배열을 따르면 제1 단위 영역(E)의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단위 영역(O)이 존재하고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하나의 제2 단위 영역(O)이 존재한다.
2x2 디더링 패턴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x1 닷 배열은 기본 반복 단위가 동일하다. 이 때문에 디더 패턴(dither pattern)이 도드라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x2 디더링 패턴으로 100.5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 2x2 pixel 중 좌상과 우하의 대각 방향 pixel은 101 계조를 표시하고, 우상과 좌하의 대각 방향 pixel은 100 계조를 표시하여, 멀리서 보면 평균적으로 100.5 계조가 표시된 것으로 보이게 한다. 이 때, 이 표시를 "1x1 닷 배열"로 구성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하게 되면, 좌상과 우하에 위치한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들은 모두 101 계조를 표시하게 되고, 우상과 좌하에 위치한 제2 단위 영역(O)의 화소들은 모두 100 계조를 표시하게 된다.
제1 단위 영역(E) 및 제2 단위 영역(O) 각각의 화소에 표시되는 동일 휘도 간의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패널을 설계하지만, 불가피한 레이아웃(layout) 상의 비대칭성 때문에 어느 정도 휘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로 같은 계조를 표시하더라도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들이 표시하는 휘도가 제2 단위 영역(O)의 화소들이 표시하는 휘도 보다 높을 수 있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2% 정도 (1계조 정도의 차이) 높게 나온다고 하면,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들이 마치 102 계조를 표현하고, 제2 단위 영역(0)의 화소들이 100 계조를 표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들과 제2 단위 영역(0)의 화소들 사이에 휘도 차이가 확대되면, 멀리서 보더라도 그 불균일성이 눈에 시인될 수 있다.
반면, 1x2 닷 배열이나 2x1 닷 배열에 2x2 디더링 패턴에 따른 영상 신호가 표시되면, 제1 단위 영역(E)과 제2 단위 영역(0)에 디더링 패턴이 동일한 확률로 존재하므로, 불균일성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100.5 계조를 표시하는 경우에 1x1 닷 배열에서는 모든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들이 101 계조를 표시하지만, 1x2나 2x1 닷 배열에서는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들이 101 계조를 표시할 수도 있고, 100 계조를 표시할 수도 있다(50:50 비율).
도 3A 및 도 3B는 제1 단위 영역(E) 및 제2 단위 영역(O)에 포함되는 제1 그룹 화소 및 제2 그룹 화소 중 각각 한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영역(E)에 포함되는 제1 화소(E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ETS), 구동 트랜지스터(ETR), 보상 트랜지스터(ETH), 보상 커패시터(ECH), 및 저장 커패시터(ECS)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ETS)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E)의 애노드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 보상 커패시터(ECH)의 일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및 제1 전원 전압(EVDD)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ETS)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E)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한다.
보상 트랜지스터(ETH)는 제1 보상제어신호(GCE)가 입력되는 게이트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전극을 포함한다.
보상 커패시터(ECH)의 타 전극은 저장 커패시터(ECS)의 일 전극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ECS)의 일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저장 커패시터(ECS)의 타 전극은 제1 전원 전압(EVD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ECS)의 게이트 전극에는 주사 신호(S[i])이 입력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ECS)의 타 전극은 데이터 라인(Dj)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Dj)를 통해 데이터 신호(data[j])가 전달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E)의 애노드 전극은 제2 전원 전압(EVSS)에 연결된다.
제1 전원 전압(EVDD) 및 제2 전원 전압(EVSS)은 화소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전원 전압(EVDD) 및 제2 전원 전압(EVSS)은 구동 트랜지스터(ETR)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_E)가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기간(4) 각각에 따라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제1 전원 전압(EVDD)은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을 가진다. 제1 보상 제어신호(GCE)는 보상기간(2) 동안만 보상 트랜지스터(ETH)를 턴 온 시키는 레벨이 된다.
주사 신호(S[i])는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주사 신호(S[i])는 적어도 보상기간(2) 및 주사기간(3) 중 대응하는 주사 라인에 데이터 신호가 기입되는 기간 동안 스위칭 트랜지스터(ETS)를 턴 온 시키는 레벨이 된다.
제2 전원 전압(EVSS)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거나, 리셋 기간(1)의 전압 레벨과 나머지 3 기간 전압 레벨이 다를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영역(O)에 포함되는 제2 화소(O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OTS), 구동 트랜지스터(OTR), 보상 트랜지스터(OTH), 보상 커패시터(OCH), 및 저장 커패시터(OCS)를 포함한다.
구동 트랜지스터(OTS)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O)의 애노드 전극이 연결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 보상 커패시터(OCH)의 일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및 제3 전원 전압(OVDD)에 연결되어 있는 소스 전극을 포함한다.
보상 트랜지스터(OTH)는 제2 보상제어신호(GCO)가 입력되는 게이트 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OTR)의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두 전극을 포함한다.
보상 커패시터(OCH)의 타 전극은 저장 커패시터(OCS)의 일 전극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OCS)의 일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저장 커패시터(OCS)의 타 전극은 제3 전원 전압(OVD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OCS)의 게이트 전극에는 주사 신호(S[m])이 입력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OCS)의 타 전극은 데이터 라인(Dk)에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Dk)를 통해 데이터 신호(data[k])가 전달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O)의 애노드 전극은 제4 전원 전압(OVSS)에 연결된다.
제3 전원 전압(OVDD)은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을 가진다. 제2 보상 제어신호(GCO)는 보상기간(2) 동안만 보상 트랜지스터(OTH)를 턴 온 시키는 레벨이 된다.
주사 신호(S[m])는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레벨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주사 신호(S[m])는 적어도 보상기간(2) 및 주사기간(3) 중 대응하는 주사 라인에 데이터 신호가 기입되는 기간 동안 스위칭 트랜지스터(OTS)를 턴 온 시키는 레벨이 된다.
제4 전원 전압(OVSS)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거나, 리셋 기간(1)의 전압 레벨과 나머지 3 기간 전압 레벨이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 구조에서, 제1 화소(EPX) 및 제2 화소(OPX)의 구조 및 동작은 동일하다. 제1 전원 전압(EVDD) 및 제3 전원 전압(OVDD)을 공급하는 배선들, 제1 보상제어신호(GCE) 및 제2 보상제어신호(GCO)을 공급하는 배선들, 및 제2 전원 전압(EVSS) 및 제4 전원 전압(OVSS)을 공급하는 배선들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따라 구분된다.
제1 화소는 제1 단위 영역(E)의 화소이므로, 제1 필드 동안 구동되는 화소이고, 제2 화소는 제2 단위 영역(O)의 화소이므로, 제2 필드 동안 구동되는 화소이다.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표시 장치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좌안 그림과 우안 그림을 표시한다. 이하, 1초 동안 좌안 그림의 표시 횟수와 우안 그림의 표시 횟수를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n번째 원본 그림과 n+1 번째 원본 그림 사이에 보간 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보간 그림이란 n번째 원본 그림과 n+1 번째 원본 그림 사이의 중간 그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보간 그림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보간 그림은 n 번째 원본 그림과 n+1 번째 원본 그림 사이의 복수의 중간 모션을 나타내는 복수의 그림이다. 표시 장치는 n 번째 그림과 n+1번째 그림 간의 모션 차이를 산출하여 산출된 모션 변화량을 보간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60Hz 또는 50Hz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60Hz로 설정한다)에 따라 나누고, 산출된 모션 변화량을 n 번째 그림에 중첩적으로 반영시켜 보간 그림들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에 따라 원본 좌안 그림, 원본 우안 그림, 보간좌안 그림, 및 보간 우안 그림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한 그림을 나타내는 영상 데이터 신호를 단위 영상 데이터 신호라 하고, 영상 데이터 신호는 복수의 단위 영상 데이터 신호로 구성된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단위 영상 데이터 신호 각각이 포함하고 있는 필드 정보 및 시점 정보를 추출하여, 대응하는 필드 및 시점에 따라 단위 영상 데이터 신호를 표시한다. 필드 정보란 제1 필드(EFD) 및 제2 필드(OFD) 중 해당 단위 영상 데이터 신호가 표시되어야 하는 필드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시점(view point) 정보란 좌안 및 우안 중 해당 단위 영상 데이터가 나타내는 시점을 의미한다.
표시 장치가 생성한 그림은 L 또는 R로 기재하고, 표시 장치가 생성된 그림을 대응하는 필드에 따라 표시한 경우, 표시된 그림은 필드와 함께 표기하여 LE 또는 RO로 기재한다. 또한, 숫자를 이용하여 보간 그림 및 그 개수를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구동 방법을 도 4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 중 등간격 발광 모드에 따라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필드(EFD)에 발광하는 제1 그룹 화소에서 좌안 그림이 표시되고, 제2 필드(OFD)에 발광하는 제2 그룹 화소에서 우안 그림이 표시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안 그림이 제2 필드에 우안 그림이 제1 필드에 표시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즉, 1초 동안 제1 필드에 120 프레임 및 제2 필드에 120프레임이 표시된다.
영상 표시 주파수는 120Hz에 따라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1초에 좌안 그림 120장(제1 필드에 표시) 및 우안 그림 120장(제2 필드에 표시)이 표시된다.
도 4는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1/60초의 기간 동안 표시되는 그림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에서 표시 장치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신호인 경우, 입체 영상 신호는 1초에 원본 좌안 그림 60장 및 원본 우안 그림 60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1초 동안 60 개의 원본 좌안 그림 및 60개의 원본 우안 그림 이외에 60 개의 좌안 그림 및 60 개의 우안 그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원본 좌안 그림들 사이에 하나의 보간 좌안 그림이 더 표시될 수 있고, 두 개의 원본 우안 그림들 사이에 하나의 보간 우안 그림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간 좌안 그림 및 보간 우안 그림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보간 주파수가 적어도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와 동일해야 한다.
또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각각을 좌안 및 우안 각각에 투사시키기 위해 액정 셔터 방식의 안경을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시간(1/60초)(T1)동안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 120Hz에 따라 표시되는 그림은 4장이다. 즉, 단위 시간(T1)은 4 개 프레임의 발광 기간을 포함한다. 단위 시간(T1)은 기간(T11)과 기간(T12)로 구분되고, 기간(T11)동안 좌안 그림 및 우안 그림이, 기간(T12)동안 보간 좌안 그림 및 보간 우안 그림이 표시된다.
기간(T11)에서,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E[n]_4) 동안 n 번째 좌안 그림(LE[n])이 표시되고,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O[n]_4) 동안 n 번째 우안 그림(RO[n])이 표시된다.
기간(T12)에서,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의 발광 기간(2FE[n]_4) 동안 n 번째 좌안 보간 그림(LE1[n])이 표시되고,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2FO[n]_4) 동안 우안 보간 그림(RO1[n])이 표시된다.
n 번째 보간 좌안 그림(LE1[n])은 n 번째 원본 좌안 그림과 n+1 번째 원본 좌안 그림 사이의 보간 좌안 그림이고, 및 n 번째 보간 우안 그림(RO1[n])은 n 번째 원본 우안 그림과 n+1 번째 원본 우안 그림 사이의 보간 우안 그림이다.
도 4에서 셧터 안경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이 개폐되는 시점은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시점 ST1 및 ST3에서 우안이 열리고, 좌안이 닫히며, 시점 ST2 및 ST4에 좌안이 열리고, 우안이 닫힌다.
도 5는 보간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표시 장치가 원본 좌안 그림 및 원본 우안 그림 사이에 생성된 보간 좌안 그림 및 보간 우안 그림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좌안 그림(L[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1 필드에 표시되는 좌안 그림(LE[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1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우안 그림(R[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2 필드에 표시되는 우안 그림(RO[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2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 장치는 n번째 원본 좌안 그림(L[n]) 및 n+1번째 원본 좌안 그림(L[n+1]) 사이의 보간 좌안 그림(L1[n])을 생성한다.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우안 그림(R[n])과 n+1 번째 원본 우안 그림(R[n+1]) 사이의 보간 우안 그림(R1[n])을 생성한다.
표시장치는 보간 좌안 그림(L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1 필드에 표시되는 좌안 그림(LE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1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보간 우안 그림(R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2 필드에 표시되는 보간 우안 그림(RO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2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n+1 번째 원본 좌안 그림(L[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1 필드에 표시되는 좌안 그림(LE[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1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n+1 번째 원본 우안 그림(R[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2 필드에 표시되는 우안 그림(RO[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2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 장치는 제1 필드(EFD)에 좌안 그림(LE[n]) 및 보간 좌안 그림(LE1[n])을 표시하고, 제2 필드(OFD)에 우안 그림(RO[n]), 보간 우안 그림(RO1[n])을 표시한다. 그 다음, 표시 장치는 제1 필드(EFD)에 좌안 그림(LE[n+1])과 보간 좌안 그림(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제2 필드(OFD)에 우안 그림(RO[n+1])과 보간 우안 그림(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입체 영상을 표시한다.
제1 필드의 발광 시간과 제2 필드의 발광 시간은 시간적으로 구분되므로,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그림(LE[n]), 우안 그림(RO[n]), 보간 좌안 그림(LE1[n]), 보간 우안 그림(RO1[n]), 좌안 그림(LE[n+1]), 및 우안 그림(RO[n+1])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도 6은 보간 주파수가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의 2배인 240Hz인 경우, 표시 장치가 생성된 보간 그림 및 원본 그림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는 보간 주파수에 따라 3 장의 보간 좌안 그림(L1[n], L2[n], L3[n]) 및 3 장의 보간 우안 그림(R1[n], R2[n], R3[n])을 생성한다. 이 때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는 120Hz이므로, 단위 시간 1/60초 동안 표시되는 그림은 4장이다.
표시 장치는 보간 좌안 그림 및 보간 우안 그림들 중에서 보간 우안 그림(RO1[n]), 보간 좌안 그림(LE2[n]), 및 보간 우안 그림(RO3[n])을 선택하고, 좌안 그림(LE[n]), 보간 우안 그림(RO1[n]), 보간 좌안 그림(LE2[n]), 및 보간 우안 그림(RO3[n]) 및 좌안 그림(LE[n+1])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좌안 그림(LE[n+1]) 다음에는 보간 우안 그림(RO1[n+1])이 표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연접 발광 모드는 제1 필드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소 및 제2 필드에 표시되는 복수의 화소를 구분된 2 개의 블록이 시차를 두고 발광하는 경우, 시차에 의해 발생하는 수 있는 모션 아티팩트(motion artifact)를 방지하기 위한 발광 모드이다.
도 7은 종래 표시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션 아티팩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모션 아티팩트는 화소들의 패널 내 배치들이 패턴으로 시인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 및 제2 필드 각각의 화소들 배치가 시인된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두 개의 그룹 배치에 따라 각 그룹의 블록 가장자리가 어긋나게 보이는 모션 아티팩트가 발생할 수 있다.
모션 아티팩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앞선 실시 예는 보간 그림을 생성하여 원본 그림 사이에 삽입하는 발광 모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보간 그림 없이 연접 발광 모드로 모션 아티팩트를 방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법 중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접 발광 모드에서, n 번째 원본 좌안 그림(L[n])은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E`[n]_4) 및 프레임 발광 기간(1FE`[n]_4)에 인접하는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O`[n]_4)에 표시되고, n 번째 원본 우안 그림(R[n])은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2FE`[n]_4) 및 프레임 발광 기간(2FE`[n]_4)에 인접하는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2FO`[n]_4)에 표시된다.
n 번째 원본 좌안 그림(L[n]) 중 제1 필드의 발광 기간(1FE`[n]_4)에 표시되는 부분은 좌안 그림(LE[n])이고, 제2 필드의 발광 기간(1FO`[n]_4)에 표시되는 부분은 좌안 그림(LO[n]) 이다. 제1 그룹 화소에 발광 기간(1FE`[n]_4) 동안 표시되는 제1 좌안 그림(LE[n]), 및 제2 그룹 화소에 발광 기간(1FO`[n]_4) 동안 표시되는 제2 좌안 그림(LO[n])을 합하면 원본 좌안 그림(L[n])이다.
마찬가지로, n 번째 원본 우안 그림(L[n]) 중 제1 필드의 발광 기간(2FE`[n]_4)에 표시되는 부분은 우안 그림(RE[n])이고, 제2 필드의 발광 기간(2FO`[n]_4))에 표시되는 부분은 우안 그림(RO[n])이다. 제1 그룹 화소에 발광 기간(2FE`[n]_4) 동안 표시되는 우안 그림(RE[n]), 및 제2 그룹 화소에 발광 기간(2FO`[n]_4) 동안 표시되는 우안 그림(RO[n])을 합하면 원본 우안 그림(R[n])이다.
도 8에서 셧터 안경의 좌안 및 우안 각각이 개폐되는 시점은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시점 ST11 및 ST13에서 좌안이 열리고, 우안이 닫히며, 시점 ST12에서 우안이 열리고, 좌안이 닫힌다.
도 9는 표시 장치가 원본 좌안 그림 및 원본 우안 그림을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좌안 그림(L[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나누어 제1 그룹 화소에 좌안 그림(LE[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그룹 화소에 좌안 그림(LO[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 장치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 각각의 한 프레임 중 발광 기간에 좌안 그림(LE[n]) 및 좌안 그림(LO[n])을 표시한다.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우안 그림(R[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나누어 제1 그룹 화소에 우안 그림(RE[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그룹 화소에 우안 그림(RO[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 장치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 각각의 한 프레임(좌안 그림이 표시된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중 발광 기간에 우안 그림(RE[n]) 및 우안 그림(RO[n])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n+1 번째 원본 좌안 그림(L[n+1]) 및 원본 우안 그림(R[n+1])도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한다.
이하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등간격 발광 모드에 따라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즉, 1초 동안 제1 필드에 120 프레임 및 제2 필드에 120프레임이 표시된다.
도 10은 1/60초의 기간 동안의 표시되는 그림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에서 표시 장치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신호인 경우, 평면 영상 신호는 1초에 원본 평면 그림 60장을 포함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1초 동안 60 개의 원본 평면 그림 이외에 180 개의 보간평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원본 평면 그림들 사이에 3 개의 보간 평면 그림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두 개의 원본 평면 그림들 사이에 3 개의 보간 평면 그림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보간 주파수가 적어도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의 2배여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시간(1/60초)(T3)동안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 120Hz에 따라 표시되는 그림은 4장이다. 즉, 단위 시간(T3)은 4 개 프레임의 발광 기간을 포함한다. 단위 시간(T3)은 기간(T31)과 기간(T32)로 구분되고, 기간(T31)동안 원본 평면 그림 및 보간 그림이, 기간(T32)동안 두 개의 보간 그림이 표시된다.
기간(T31)에서,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E``[n]_4) 동안 n 번째 평면 그림(FE[n])이 표시되고,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O``[n]_4) 동안 보간 그림(FO1[n])이 표시된다.
기간(T32)에서,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의 발광 기간(2FE``[n]_4) 동안 보간 그림(FE2[n])이 표시되고,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2FO``[n]_4) 동안 보간 그림(FO3[n])이 표시된다.
보간 그림(FO1[n]), 보간 그림(FE2[n]), 및 보간 그림(FO3[n])은 n 번째 원본 평면 그림과 n+1 번째 원본 평면 그림 사이의 보간 그림들이다.
도 11은 보간 주파수가 240Hz인 경우, 표시 장치가 원본 평면 그림들 사이에 생성된 보간 그림들을 선택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평면 그림(F[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1 필드에 표시되는 평면 그림(FE[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1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 장치는 n번째 원본 평면 그림(F[n]) 및 n+1번째 원본 평면 그림(F[n+1]) 사이에 3 개의 보간 그림(F1[n]), 보간 그림(F2[n]), 및 보간 그림(F3[n])을 생성한다.
표시장치는 보간 그림(F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2 필드에 표시되는 보간 그림(FO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2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그 다음 표시장치는 보간 그림(F2[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1 필드에 표시되는 보간 그림(FE2[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1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장치는 보간 그림(F3[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 중에서 제2 필드에 표시되는 보간 그림(FO3[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선택 및 제2 그룹 화소에 공급한다.
표시 장치는 제1 필드(EFD)에 평면 그림(FE[n]) 및 보간 그림(FE2[n])을 표시하고, 제2 필드(OFD)에 보간 그림(FO1[n]) 및 보간 그림(RO1[n])을 표시한다. 그 다음 표시장치는 제1 필드(EFD)에 평면 그림(FE[n+1]) 및 보간 그림(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제2 필드(OFD)에 두 개의 보간 그림(도시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평면 영상을 표시한다.
제1 필드의 발광 시간과 제2 필드의 발광 시간은 시간적으로 구분되므로, 표시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그림(FE[n]), 보간 그림(FO1[n]), 보간 그림(FE2[n]), 보간 그림(FO3[n]), 및 평면 그림(FE[n+1])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그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연접 발광 모드에서, n 번째 원본 평면 그림(FE[n])은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E```[n]_4) 및 프레임 발광 기간(1FE```[n]_4)에 인접하는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1FO```[n]_4)에 표시된다. 보간 그림(F1[n])은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2FE```[n]_4) 및 프레임 발광 기간(2FE```[n]_4)에 인접하는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발광 기간(2FO```[n]_4)에 표시된다.
n 번째 원본 평면 그림(F[n]) 중 평면 그림(FE[n])이 제1 필드의 발광 기간(1FE```[n]_4)동안 표시되고, 원본 평면 그림(F[n]) 중 평면 그림(FO[n])이 제2 필드의 발광 기간(1FO```[n]_4))동안 표시된다.
보간 그림(F1[n]) 중 보간 그림(FE1[n])이 제1 필드의 발광 기간(2FE```[n]_4)동안 표시되고, 보간 그림(F1[n]) 중 보간 그림(FO1[n])이 제2 필드의 발광 기간(2FO```[n]_4)동안 표시된다.
도 13은 표시 장치가 원본 평면 그림 및 보간 그림을 연접 발광 모드에 따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 보간 주파수는 120Hz이고, 원본 평면 그림들(F[n] 및 F[n+1]) 사이에 하나의 보간 그림(F1[n])을 생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는 n 번째 원본 평면 그림(F[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나누어 제1 그룹 화소에 평면 그림(FE[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그룹 화소에 평면 그림(FO[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 장치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 각각의 한 프레임 중 발광 기간에 평면 그림(FE[n]) 및 평면 그림(FO[n])을 표시한다.
표시장치는 보간 그림(F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나누어 제1 그룹 화소에 보간 그림(FE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그룹 화소에 보간 그림(FO1[n])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표시 장치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 각각의 한 프레임 중 발광 기간에 보간 그림(FE1[n]) 및 보간 그림(FO1[n])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는 n+1 번째 원본 평면 그림(F[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나누어 제1 그룹 화소에 평면 그림(FE[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그룹 화소에 평면 그림(FO[n+1])을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 표시 장치는 원본 평면 그림 및 보간 그림을 표시한다.
지금까지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 및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를 120Hz로 설정하고, 보간 주파수를 120Hz 또는 240Hz로 설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 및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가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구동부의 원가 절감들을 이유로 60Hz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1초 동안 표시되는 그림의 수가 반이 될 뿐이다. 구체적으로, 기간 T1, T2, 및 T3가 1/120초가 아니라 1/60초로 되고, 나머지 기간들도 앞서 설명한 기간의 2배가 되면 60Hz의 실시 예가 된다.
또한, 지금까지 단위 주파수 60Hz(NTSC 방식) 대신 단위 주파수 50Hz(PAL 방식)에 따르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기간만 달라질 뿐, 구동 원리는 동일한다.
이하 도 14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전원선, 보상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 라인등의 배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도 2A에 도시된 수평 라인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이하,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원선(VDDEV) 및 복수의 제2 전원선(VDDOV)가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전원선(VDDEV) 각각을 구별하기 위해 숫자를 "VDDEV"와 함께 표시하였고, 복수의 제2 전원선(VDDOV) 각각을 구별하기 위해 숫자를 "VDDOV"와 함께 표시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이하,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원선(VDDEH) 및 복수의 제2 전원선(VDDOH)가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전원선(VDDEH) 각각을 구별하기 위해 숫자를 "VDDEH"와 함께 표시하였고, 복수의 제2 전원선(VDDOH) 각각을 구별하기 위해 숫자를 "VDDOH"와 함께 표시하였다.
또한, 복수의 제1 전원선 중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전원선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전원선을 구별하기 위해 "V" 또는 "H"를 표시하였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전원선 중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전원선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전원선을 구별하기 위해 "V" 또는 "H"를 표시하였다.
덧붙여, 제1 필드(EFD)에 발광하는 제1 그룹 화소에 전원 전압(VDD)를 공급하는 전원선과 제2 필드(OFD)에 발광하는 제2 그룹 화소에 전원 전압(VDD)를 공급하는 전원선을 구별하기 위해 "E" 또는 "H"를 구분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원선(VDDEV1-VDDEV3) 각각은 복수의 제1 전원선(VDDEH1, VDDEH2) 각각에 교차하고,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는 그물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전원선(VDDOV1-VDDOV3) 각각은 복수의 제2 전원선(VDDOH1-VDDOH3) 각각에 교차하고,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는 그물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첫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는 제1 전원선(VDD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세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는 제1 전원선(VDD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두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는 제2 전원선(VDDOH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복수의 제1 전원선 및 복수의 제2 전원선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과 연결 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15는 도 2A에 도시된 수평 라인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비교해 복수의 제1 전원선간의 연결관계 및 복수의 제2 전원선간의 연결관계는 동일하다.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2 번째 열 및 3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5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4)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4)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1 번째 열 및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3 번째 열 및 4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5 번째 열 및 6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도 16은 도 2A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신호선(CEH1, CEH2) 및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신호선(COH1, COH2) 각각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배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 각각이 교대로 배치된 일 예이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세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두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도 17은 도 2A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신호선(CEV1-CEV4) 및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신호선(COV1-COV3) 각각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도 17에 도시된 배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 각각이 교대로 배치된 일 예이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2 번째 열 및 3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5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3)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4)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4)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1 번째 열 및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3 번째 열 및 4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5 번째 열 및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도 2C에 도시된 1X1 닷(DOT) 배열에 따라 복수의 제1 단위 영역(E) 및 복수의 제2 단위 영역(O)이 배열된 표시 패널에서 전원선 및 제어 신호선의 배치를 도 18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도 2C에 도시된 1X1 닷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원선(VDDEV1-VDDEV4) 및 복수의 제2 전원선(VDDOV1-VDDOV3)이 배열되어 있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전원선(VDDEH1, VDDEH2) 및 복수의 제2 전원선(VDDOH1-VDDOH3)이 배열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전원선(VDDEV1-VDDEV3) 각각과 복수의 제1 전원선(VDDEH1, VDDEH2) 각각이 교차하고,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는 그물 구조는 도 14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전원선(VDDOV1-VDDOV3) 각각과 복수의 제2 전원선(VDDOH1-VDDOH3) 각각이 교차하고, 교차하는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는 그물 구조는 도 14와 동일하다.
첫 번째 행 및 두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는 제1 전원선(VDD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세 번째 행 및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는 제1 전원선(VDD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첫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두 번째 행 및 세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복수의 제1 전원선 및 복수의 제2 전원선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과 연결 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은 1X1 닷 배열에 따라 윗 방향 및 아래 방향 중 대응하는 단위 영역의 위치에 따라 한 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X1 닷 배열에서 전원선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이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므로, 복수의 연결 전극은 교대로 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9는 도 2C에 도시된 1X1 닷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다른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비교해 복수의 제1 전원선간의 연결관계 및 복수의 제2 전원선간의 연결관계는 동일하다.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2 번째 열 및 3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5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4)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4)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1 번째 열 및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3 번째 열 및 4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5 번째 열 및 6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복수의 제1 전원선 및 복수의 제2 전원선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과 연결 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은 1X1 닷 배열에 따라 왼쪽 방향 및 오른쪽 방향 중 대응하는 단위 영역의 위치에 따라 한 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X1 닷 배열에서 전원선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이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므로, 복수의 연결 전극은 교대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0은 도 2C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신호선(CEH1, CEH2) 및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신호선(COH1-COH3) 각각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도 20에 도시된 배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 각각이 교대로 배치된 일 예이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 행 및 두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세 번째 행 및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첫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두 번째 행 및 세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복수의 제1 제어 신호선 및 복수의 제2 제어 신호선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과 연결 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은 1X1 닷 배열에 따라 윗 방향 및 아래 방향 중 대응하는 단위 영역의 위치에 따라 한 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X1 닷 배열에서 제어 신호선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이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므로, 복수의 연결 전극은 교대로 윗 방향 또는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1은 도 2C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 신호선(CEV1-CEV4) 및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 신호선(COV1-COV3) 각각은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도 21에 도시된 배치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 각각이 교대로 배치된 일 예이다.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2 번째 열 및 3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5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3)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4)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4)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1 번째 열 및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3 번째 열 및 4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5 번째 열 및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복수의 제1 제어 신호선 및 복수의 제2 제어 신호선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과 연결 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 전극은 1X1 닷 배열에 따라 왼쪽 방향 및 오른쪽 방향 중 대응하는 단위 영역의 위치에 따라 한 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X1 닷 배열에서 제어 신호선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 영역이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므로, 복수의 연결 전극은 교대로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2 및 도 23 각각은 복수의 단위 영역(E, O)이 도 2B에 도시된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비교해 복수의 제1 전원선간의 연결관계 및 복수의 제2 전원선간의 연결관계는 동일하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1)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3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5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1)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4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6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복수의 연결 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V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이와 달리,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번 및 2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3 번 및 4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1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이 제2 전원선(VDDOH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H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2 번 및 3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0)은 제2 전원선(VDDOH2)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4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3)으로부터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H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H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도 24는 도 2B와 같이 복수의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은 도 20의 배치와 동일하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H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세 번째 행 및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첫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적극을 통해 제2 제어 신호선(COH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두 번째 행 및 세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2)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신호선(C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3)으로부터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 신호선(COH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도 25는 도 2B와 같이 복수의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은 도 21과 동일하게 배치된다.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3 번째 열 및 5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2) 및 제1 제어 신호선(CEV3)에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2) 및 제1 제어 신호선(CEV3)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1)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신호선(C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2) 및 제2 제어 신호선(COV3)에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2) 및 제2 제어 신호선(COV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도 26 및 도 27 각각은 복수의 단위 영역들이 도 2D에 도시된 배열 방법에 따를 때 전원선과 단위 영역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와 비교해 복수의 제1 전원선간의 연결관계 및 복수의 제2 전원선간의 연결관계는 동일하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1)으로부터 오르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2 번째 열 및 3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2)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5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3)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에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V4)으로부터 왼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V4)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V4)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1 번째 열 및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1)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3 번째 열 및 4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2)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5 번째 열 및 6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V3)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V3)에 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전원선(VDDOV3)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이와 달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번 및 2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전원선(VDDEH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1)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3 번 및 4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전원선(VDD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전원선(VDDEH2)으로부터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1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H1)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2 번째 행 및 3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2)으로부터 위 또는 아래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전원선(VDDOH2)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4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전원선(VDDOH3)으로부터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전원선(VDDOH3)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VDD)을 공급받는다.
도 28은 도 2D와 같이 복수의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에서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은 도 20의 배치와 동일하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H1)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H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세 번째 행 및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H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H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첫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1)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적극을 통해 제2 제어 신호선(COH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두 번째 행 및 세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2)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신호선(COH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네 번째 행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H3)으로부터 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 신호선(COH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H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도 29는 도 2D와 같이 단위 영역들이 배열되었을 때, 제1 보상제어신호 및 제2 보상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선은 도 21과 동일하게 배치된다.
1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V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2 번째 열 및 3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2)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V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2)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4 번째 열 및 5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3)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V3)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3)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E)은 제1 제어 신호선(CEV1)으로부터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1 제어 신호선(CEV4)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신호선(CEV4)으로부터 제1 보상제어신호(GCE)를 공급받는다.
1번째 및 2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1)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신호선(COV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1)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3번째 및 4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2)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신호선(COV2)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2)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5 번째 및 6 번째 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단위 영역(O)은 제2 제어 신호선(COV3) 으로부터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전극을 통해 제2 제어신호선(COV3)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제어 신호선(COV3)으로부터 제2 보상제어신호(GCO)를 공급받는다.
지금까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영역들이 4X6 매트릭스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 패널의 일부만을 설명하였다. 표시 패널 전체에 위와 같은 방식에 따라 전원선 및 제어 신호선이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면 4X6 매트릭스의 예시로 그 기술적 사상을 충분히 이해 및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는 영상 처리부(100), 타이밍 제어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주사 구동부(400), 전원 제어부(500), 보상 제어 신호부(600), 및 표시부(700)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표시 패널은 표시부(700) 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부(100), 타이밍 제어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주사 구동부(400), 전원 제어부(500), 및 보상 제어 신호부(6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100)는 입력 신호(InS)로부터 영상 신호(ImS) 및 동기 신호를 생성한다. 동기 신호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신호(CLK)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입력 신호(InS)에 포함된 영상을 나타내는 신호(이하, 영상 소스 신호)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신호인 경우, 좌안 그림을 나타내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그림을 나타내는 우안 영상 신호로 구분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00)는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 및 보간 주파수에 따라 영상 소스 신호에서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좌안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좌안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좌안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좌안 그림을 나타내는 보간 좌안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보간 좌안 영상 신호의 프레임 수는 보간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와 보간 주파수가 동일하면 한 프레임의 보간 좌안 영상 신호가 생성되고, 보간 주파수가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의 2배라면 3 프레임의 보간 좌안 영상 신호가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영상 처리부(100)는 우안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우안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우안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우안 그림을 나타내는 보간 우안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보간 좌안 영상 신호의 프레임 수는 보간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와 보간 주파수가 동일하면 한 프레임의 보간 우안 영상 신호가 생성되고, 보간 주파수가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의 2배라면 3 프레임의 보간 우안 영상 신호가 생성된다.
원본 좌안 그림은 프레임 단위의 좌안 영상 신호에 대응하고, 원본 우안 그림은 프레임 단위의 우안 영상 신호에 대응한다. 보간 좌안 그림(L1, L2, L3)은 프레임 단위의 보간 좌안 영상 신호에 대응하고, 보간 우안 그림(R1, R2, R3)은 프레임 단위의 보간 우안 영상 신호에 대응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좌안 영상 신호, 보간 좌안 영상 신호, 우안 영상 신호,및 보간 우안 영상 신호를 선택된 필드, 수직 동기, 및 수평 동기에 따라 배열하여 영상 신호(ImS)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좌안 영상 신호, 보간 좌안 영상 신호, 우안 영상 신호, 및 보간 우안 영상 신호 각각으로부터 선택된 필드에 따르는 신호를 추출한다.
좌안 영상 신호가 제1 필드의 발광 기간에 표시되는 경우, 좌안 영상 신호 중 제1 그룹 화소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만이 추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간 좌안 영상 신호, 우안 영상 신호, 및 보간 우안 영상 신호 각각으로부터 선택된 필드에 따르는 신호만이 추출된다. 영상 처리부(100)는 이와 같이 추출된 신호들을 수직 동기에 따라 프레임 별로 구분하고, 수평 동기에 따라 각 화소 행별로 구분하여 배열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등간격 발광 모드에 따르는 영상 신호(ImS)는 좌안 그림(LE[n]) 및 보간 좌안 그림(LE1[n])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 및 우안 그림(RO[n]) 및 보간 우안 그림(RO1[n])을 포함하는 영상 신호가 동기에 따라 배열된 신호이다. 동기에 따라 배열되어 있으므로, 영상 신호(ImS)가 직렬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ImS)에는 좌안 그림(LE[n]), 우안 그림(RO[n]), 보간 좌안 그림(LE1[n]), 및 보간 우안 그림(RO1[n])을 나타내는 신호들이 배열되어 있다.
영상 처리부(100)가 등간격 발광 모드가 아닌, 연접 발광 모드에 따르는 경우,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영상 처리부(100)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를 선택된 필드, 수직 동기, 및 수평 동기에 따라 배열하여 영상 신호(ImS)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영상 신호 각각으로부터 선택된 필드에 따르는 신호를 추출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좌안 영상 신호 중 제1 그룹 화소(제1 필드 발광 기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및 제2 그룹 화소(제2 필드 발광 기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구분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우안 영상 신호 중 제1 그룹 화소(제1 필드의 발광 기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및 제2 그룹 화소(제2 필드의 발광 기간)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구분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이와 같이 구분된 신호들을 수직 동기에 따라 프레임 별로 구분하고, 수평 동기에 따라 각 화소 행별로 구분하여 배열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등간격 발광 모드에 따르는 영상 신호(ImS)는 좌안 그림(LE[n]) 및 좌안 그림(LO[n])을 포함하는 좌안 영상 신호, 및 우안 그림(RE[n]) 및 우안 그림(RO[n])을 포함하는 우안 영상 신호가 동기에 따라 배열된 신호이다. 동기에 따라 배열되어 있으므로, 영상 신호(ImS)가 직렬 신호인 경우, 영상 신호(ImS)에는 좌안 그림(LE[n]), 좌안 그림(LO[n]), 우안 그림(RE[n]), 우안 그림(RO[n])을 나타내는 신호들이 배열되어 있다.
영상 처리부(100)는 영상 소스 신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신호인 경우, 평면 그림을 나타내는 영상 소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 및 보간 주파수에 따라 영상 소스 신호에서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 소스 신호가 나타내는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보간 영상 신호의 프레임 수는 보간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와 보간 주파수가 동일하면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가 생성되고, 보간 주파수가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의 2배라면 3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가 생성된다.
원본 평면 그림은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에 대응하고, 보간 평면 그림(F1, F2, F3)은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에 대응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평면 영상 신호 및 보간 영상 신호를 선택된 필드, 수직 동기, 및 수평 동기에 따라 배열하여 영상 신호(ImS)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평면 영상 신호, 및 보간 영상 신호 각각으로부터 선택된 필드에 따르는 신호를 추출한다.
평면 영상 신호가 제1 필드의 발광 기간에 표시되는 경우, 평면 영상 신호 중 제1 그룹 화소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만이 추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간 영상 신호로부터 선택된 필드에 따르는 신호만이 추출된다. 영상 처리부(100)는 이와 같이 추출된 신호들을 수직 동기에 따라 프레임 별로 구분하고, 수평 동기에 따라 각 화소 행별로 구분하여 배열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등간격 발광 모드에서 보간 주파수가 240Hz인 경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 사이에는 세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가 생성된다.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는 도 10에서는 제1 필드의 발광 기간(1FE``[n]_4)에서 표시되므로,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만이 추출된다. 세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첫번째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제2 필드, 다음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제1 필드, 그 다음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제2 필드로 선택되었으므로, 그에 따르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만이 추출된다. 영상 처리부(100)는 이렇게 추출된 신호들을 수직 및 수평 동기에 따라 배열하여 영상 신호(ImS)를 생성한다.
도 1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연접 발광 모드에서 보간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 사이에는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가 생성된다.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는 도 12에서 제1 필드의 발광 기간(1FE```[n]_4) 및 제2 필드의 발광 기간(1FO```[n]_4)에서 표시되므로,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와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로 구분된다.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제1 필드의 발광 기간(2FE```[n]_4) 및 제2 필드의 발광 기간(2FO```[n]_4)에서 표시되므로,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와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로 구분된다. 영상 처리부(100)는 이렇게 구분된 신호들을 수직 및 수평 동기에 따라 배열하여 영상 신호(ImS)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동기신호에 따라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신호(CLK)를 생성한다.
입체 영상 표시 주파수 또는 평면 영상 표시 주파수가 120Hz인 경우 표시부에 전체 스캔이 단위 시간(1/60초) 동안 4회 일어나므로,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240Hz이다. 수평 동기 신호(Hsync)는 한 프레임 기간 중 주사 기간(3)에 따라 결정되는 주파수로서, 주사 기간(3) 동안 제1 그룹 화소 및 제2 그룹 화소 중 어느 하나 전체 화소에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기 위해서 필요한 주파수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행마다 제1 그룹 화소와 제2 그룹 화소가 섞여 있지 않는 경우에는 주사 기간(3) 동안 전체 주사선 중 반만 스캔되면 된다. 따라서 주사 기간(3)을 전체 주사선 중 반의 개수로 나누면 각 주사선 마다 허용되는 주사 기간이 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파수도 결정된다.
그러나 도 2B, 2C, 및 2D와 같이, 각 행마다 제1 그룹 화소와 제2 그룹 화소가 섞여 있는 경우에는 주사 기간(3) 동안 전체 주사선이 스캔되어야 한다. 따라서 주사 기간(3)을 전체 주사선의 개수로 나누면 각 주사선마다 허용되는 주사 기간이 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의 주파수도 결정된다.
메인 클록 신호(CLK)는 영상 소스 신호안에 포함된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클록 신호이거나, 영상 처리부(100)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생성한 클록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영상 신호(ImS),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메인 클록 신호(CLK)에 따라 제1 내지 제4 구동제어신호(CONT1-CONT4), 및 영상 데이터 신호(ImD)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20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영상 신호(ImS)를 구분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따라 주사 라인 단위로 영상 신호(ImS)를 구분하여 영상 데이터 신호(ImD)를 생성하고, 데이터 구동부(300)로 제1 구동 제어 신호(CONT1)과 함께 전송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제1 구동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 신호(ImD)를 샘플링 및 홀딩하고, 복수의 데이터 선 각각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data[1]-data[m])를 전달한다.
주사 구동부(400)는 제2 구동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복수의 주사 신호(S[1]-S[n])을 생성하고 주사 기간(3)동안 대응하는 주사선에 전달한다.
전원 제어부(500)는 제3 구동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제1 그룹 화소 및 제2 그룹 화소 각각의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에 따라 전원 전압(EVDD, EVSS, OVDD, OVSS)의 레벨을 결정하여 전원선에 공급한다.
보상제어신호부(600)는 제4 구동 제어 신호(CONT4)에 따라 제1 그룹 화소 및 제2 그룹 화소 각각의 보상기간(2) 동안 보상제어신호(GCE, GCO)의 레벨을 결정하여 제어 신호선에 공급한다.
표시부(700)는 제1 그룹 화소 및 제2 그룹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으로, 복수의 데이터 신호(data[1]-data[n])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선, 복수의 주사 신호(S[1]-S[n])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 복수의 전원선 및 복수의 제어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31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방식은 복수의 전원 전압(EVDD, EVSS, OVDD, OVSS)이 가지는 레벨 수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복수의 전원 전압(EVDD, EVSS, OVDD, OVSS) 각각이 2 가지 레벨을 가지는 바이레벨(bi-level) 구동 방식과, 복수의 전원 전압(EVDD, EVSS, OVDD, OVSS) 중 EVDD 및 OVDD는 3 가지 레벨을 가지고, EVSS 및 OVSS는 고정되어 있는 트라이레벨(tri-level) 구동 방식이 있다.
먼저 도 31을 참조하여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르는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1은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르는 두 개의 전원 전압, 주사 신호, 보상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에는 리셋 기간(1) 이전에 초기화 기간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기화 기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은 제1 필드의 한 프레임 기간 동안 신호들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제2 필드의 한 프레임 기간 동안 신호들의 파형도 동일하다. 각 신호에 의한 화소의 동작은 도 3A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한다.
초기화 기간은 하이 레벨이었던 주사 신호(S[1]-S[n])가 로우 레벨로 감소하는 기간으로, 이 때 데이터 신호(data[1]-data[m])들이 하이 레벨이므로, 구동 트랜지스터(ETR)은 턴 오프 된다. 초기화 기간에는 모든 화소들이 특정 전압으로 초기화된다. 매 프레임의 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초기화 기간이 있으므로, 이전 프레임의 영향을 없애고, 모든 화소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보상 동작 및 데이터 신호 입력 동작이 수행된다.
이전 프레임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이전 프레임에 입력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의 초기 동작 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초기 상태가 달라서 발생하는 잔상 발현, 동영상 끌림, 3D 표시 시 좌우 시점간 크로스토크(Crosstalk) 등의 화질 열화를 방지하고, 화질이 균일해진다.
리셋 기간(1)동안 전원 전압(EVSS)은 하이 레벨 12V로 유지되고, 복수의 데이터 신호(data[1]-data[n])는 리셋 기간(1) 중 로우 레벨 0V가 되어 소정 기간(RT1) 동안 유지된다.
데이터 신호(data[1]-data[n])의 전압이 낮아야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ETR 및 OTR)의 게이트 전압이 충분히 내려가 구동 트랜지스터(ETR 및 OTR)가 더 많은 전류를 흘려줄 수 있다. 리셋 기간(1) 동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E, OLED_O_)의 애노드 전압을 전원 전압(EVDD, OVDD) 전압과 같아지도록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내재하는(intrinsic) 커패시터에 저장되었던 전압(보통 VSS 대비 0 ~ 3 V 정도 높음)을 방전시킨다. 즉, 데이터 신호(data[1]-data[n])의 전압이 최저값이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ETR 및 OTR)의 전류 구동 능력이 최대화되므로, 최단 시간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압을 낮춰줄 수 있다.
리셋 기간(1) 동안 복수의 주사 신호(S[1]-S[n])의 레벨은 리셋 기간(1) 중적어도 기간(RT1)과 소정 기간 중첩하는 기간 동안 로우 레벨이어야 한다. 도 31에 도시된 리셋 기간(1)에 대응하는 3블록의 기간 동안 HLH, HLL, LLH, 및 LL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리셋 기간(1)과 보상기간(2)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interval)(PT1)이 존재한다. 리셋 기간(1)이 종료된 시점에 전원 전압(EVSS)은 로우 레벨 0V로 하강한다. 복수의 주사 신호(S[1]-S[n])가 로우 레벨인 상태에서 리셋 기간(1)이 종료되었다면, 복수의 주사 신호(S[1]-S[n])의 레벨 변화는 없다. 도 31에서는 복수의 주사 신호(S[1]-S[n]) 중 주사 신호(S[i])가 도시되어 있다.
보상기간(2)의 시작 시점에 제1 보상제어신호(GCE)는 로우 레벨로 감소하고, 보상기간(2) 동안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복수의 데이터신호(data[1]-data[m])는 하이 레벨 6V이고, 전원 전압(EVDD)은 로우 레벨 3V로 유지되고 있다.
제1 보상제어신호(GCE)에 따라 보상 트랜지스터(ETH)가 턴 온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ETR)는 다이오드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게이트 전극에는 전원전압(EVDD)에서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문턱 전압만큼 차감된 전압이 공급된다. 이 때, 보상 커패시터(ECH)는 데이터 신호(data[j])의 전압과 전원 전압(EVDD)에서 문턱 전압(VTH)이 차감된 전압(EVDD-VTH)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으로 충전된다.
보상기간(2)과 주사기간(3) 사이의 소정의 간격(PT2)이 존재하고, 간격(PT2) 중 복수의 주사 신호(S[1]-S[i])는 모두 하이 레벨이 된다.
주사 기간(3) 동안 복수의 주사 신호(S[1]-S[n])는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이 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ETS)를 턴 온 시킨다. 스위칭 트랜지스터(ETS)가 턴 온 되어 있는 기간 동안 데이터 신호(data[j])가 보상 커패시터(ECH)의 타전극 및 저장 커패시터(ECS)의 일 전극이 만나는 접점(ND)에 전달된다.
보상 커패시터(ECH)의 일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되어 있고 플로팅 상태이다. 접점(ND)의 전압 변화량은 저장 커패시터(ECS) 및 보상 커패시터(ECH) 간이 용량비에 따라 분배되고, 보상 커패시터(ECH)에 분배된 전압 변화량(ΔV)은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게이트 전압에 반영된다. 따라서 주사 기간(3)에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게이트 전압은 EVDD(3V)-VTH+ ΔV가 된다.
주사 기간(3)이 종료되면, 복수의 데이터 신호(data[1]-data[m])는 하이 레벨의 전압 5V가 되고, 주사 기간(3)과 발광 기간(4) 사이의 소정의 간격(PT3)가 존재한다.
발광 기간(4)이 시작되면, 전원 전압(EVDD)은 하이 레벨 12V로 상승하고, 복수의 주사 신호(S[1]-S[n])도 하이 레벨에서 더 높은 레벨로 상승한다. 주사 신호(S[i])가 더 높은 레벨로 상승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ETS)가 풀 오프되어 발광 기간(4)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발광 기간(4) 전까지는 노드(MD) 의 전압이 대략적으로 데이터 선(Dj)의 전압 범위 안에 있었으므로, 스위치 트랜지스터(ETS) 양단 드레인-소스(Drain-Source)간의 전압 차가 크지 않다.
발광 기간(4) 시작 시점에 전원 전압(EVDD)가 상승하면, 전원 전압(EVDD)가 상승하면, 커패시터(ECS 및 ECH)의 coupling 작용에 따라 노드(MD)의 전압과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게이트 전압이 같은 양만큼 상승한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EVDD)이 2 V에서 12 V로 상승하면, 노드(MD)의 전압도 10 V 상승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ETS)의 드레인-소스 전압은 그 만큼 증가한다. 통상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는 드레인-소스 전압에 비례하므로, 노드(MD)에서 데이트 선으로 흐르는 누설 전류가 증가한다.
따라서, 데이터 선(Dj)의 전압을 coupling에 의해 상승하는 노드(MD) 전압의 적어도 중간값 정도로 올려주면 스위칭 트랜지스터(ETS)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감소되어 누설 전류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기간동안 데이터 신호의 전압 범위가 1 ~ 6 V이면, 주사 기간 직후 노드(MD)의 전압도 이 범위 안의 값일 것이다. 전원 전압(EVDD)가 10 V 더 상승하면, 노드(MD)의 전압 범위는 11 ~ 16 V가 되고, 최악의 경우 데이터선(Dj)의 전압은 1V, 노드(MD)의 전압은 16V가 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무려 15 V나 된다. 하지만, 발광 기간(4) 동안의 데이터 선(Dj)의 전압을 13.5 V로 올려주게 되면, 최악의 경우 드레인-소스 전압은 2.5 V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누설 전류를 대략적으로 1/6 (15/2.5)로 줄일 수 있다.
전원 전압(EVDD)이 상승하였으므로, 구동 트랜지스터(ETR)는 소스 전압과 게이트 전압의 차에 따르는 구동 전류가 발생한다.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소스 전압(EVDD)(12V)에서 게이트 전압(EVDD(3V)-VTH+ ΔV)을 뺀 전압에 문턱 전압(VTH)를 다시 빼므로, 구동 트랜지스터(ETR)의 구동 전류는 전압(9V-ΔV)의 제곱에 대응하는 전류가 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 간의 문턱 전압 편차에 따라 구동 전류간의 동일 데이터 신호에 따른 편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발광 기간(4)이 종료되면 전원 전압(EVDD)는 로우 레벨 3V가 되고 발광 오프 기간(PT4)이 발생한다. 발광 오프 기간(PT4)은 다음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의 간격으로 화소는 발광하지 않는다.
도 31에서는 제1 필드(EFD)에 발광하는 화소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제2 필드(OFD)에 발광하는 화소 역시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발광한다. 또한,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예로 든 전압 레벨은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2는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를 때 제1필드 및 제2 필드를 전원 전압과 함께 도시한 그림이다.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를 때 전원 전압(EVSS) 및 전원 전압(OVSS)의 구분 없이 한 전원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1 필드(EFD)의 발광 기간(4)과 제2 필드(OFD)의 리셋 기간(1)은 중첩되지 않아야 하고, 제2 필드(OFD)의 발광 기간(4)과 제1 필드(EFD)의 리셋 기간(1)은 중첩되면 안 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EFD)의 리셋 기간(1) 및 제2 필드(OFD)의 리셋 기간(1)에서 전원 전압(EVSS)은 하이 레벨이 되고, 그 이외의 구간에서는 로우 레벨이다.
다음으로, 도 33을 참조하여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르는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3은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르는 두 개의 전원 전압, 주사 신호, 보상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은 도 31에 도시된 바이레벨 구동 방식에 비해 리셋 기간(1)에서의 전원 전압(EVDD) 및 전원 전압(OVDD)의 레벨이 다르다. 다른 기간은 동일한 바, 동일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였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의 리셋 기간(1)에서 전원 전압(EVDD)은 바이레벨 구동 방식의 리셋기간(1)에서의 전원 전압(EVDD)보다 더 낮은 로우 레벨 -3V가 된다.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의 리셋 기간(1)에서 전원 전압(EVSS)은 로우 레벨 0V로 유지될 뿐, 상승하지 않는다.
전원 전압(EVDD)이 -3V가 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_E)의 애노드 전극 전압이 -3V에 가까운 낮은 전압이 되어 리셋 동작이 수행된다.
리셋 기간(1) 중 복수의 주사 신호(S[1]-S[n])의 레벨은 리셋 동작과 무관하므로,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일 수 있다.
리셋 기간(1) 동안에는 전원전압(EVDD)과 전원 전압(VSS)의 전압 차이가 역전이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압이 전원전압(EVDD)보다 높아지며, 구동 트랜지스터의 관점에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가 소스가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ETR, OTR)의 게이트 전압은 대략 전원 전압(EVDD와 OVDD)과 비슷한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_E, OLED_O)의 애노드 전압은 이보다 훨씬 높은 전압, 전원 전압(VSS) + 유기발광다이도으(OLED_E, OLED_O)에 저장되어 있던 0 ~ 3 V의 전압)이므로, 구동 트랜지스터(ETR, OTR)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충분히 음의 전압이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ETR, OTR)는 턴 온 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ETR, OTR)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유기발광다이도으(OLED_E, OLED_O)의 애노드에서 전원 전압(EVDD, OVDD) 방향으로 흐르고, 궁극적으로는 유기발광다이도으(OLED_E, OLED_O)의 anode 전압이 전원 전압(EVDD, OVDD)과 같아질 때까지 흐른다.
다만, 전원 전압(EVDD, OVDD)를 충분히 낮은 전압으로 할 수 없어, 구동 트랜지스터(ETR, OTR)의 게이트 전압을 충분히 낮출 수 없을 수 있다. 그런 경우, 리셋 기간(1) 동안 데이터 신호(data[1]-data[m])의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설정하고, 주사 신호(S[1]-S[n])를 로우 레벨로 설정하여 게이트 전압을 낮출 수도 있다.
도 33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낮은 전압이 되는 경우도 함께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 전압(EVDD)이 충분히 낮은 경우, 데이터 신호를 낮은 레벨로 변경하지 않고, 주사 신호는 모두 하이 레벨이어도 무방하다.
리셋 기간(1) 중 리셋 동작이 완료되면, 전원 전압(EVDD)은 로우 레벨 -3V에서 로우 레벨 3V로 상승한다.
도 34 및 도 35는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에 따를 때 제1필드 및 제2 필드를 전원 전압과 함께 도시한 그림이다. 전원 전압(EVSS) 및 전원 전압(OVSS)은 스윙(swing)하지 않고 일정한 레벨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트라이레벨 구동 방식에서도 전원 전압(EVSS) 및 전원 전압(OVSS)은 동일한 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전압(EVSS)이 스윙하지 않으므로 제1 필드(EFD)의 리셋 기간(1) 및 보상기간(2)은 제2 필드(OFD)의 발광 기간(4)과 중첩될 수 있고, 제2 필드(OFD)의 리셋 기간(1) 및 보상기간(2)은 제1 필드(EFD)의 발광 기간(4)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EFD)의 발광 기간(4)과 제2 필드(OFD)의 발광 기간이 중첩될 수도 있다. 주사 기간(3)이 한 프레임 기간의 반보다 짧은 기간일 때 가능하다. 제1 필드(EFD) 및 제2 필드(OFD)의 발광 기간(4)이 중첩되는 기간이 있으므로, 모션 아티팩트가 감소하고 발광 시간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필드 및 제2 필드로 구분된 표시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구동 방식에 따를 때 모션 아티팩트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발광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대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리셋 기간(1), 보상기간(2), 주사기간(3), 및 발광 기간(4), 제1 필드(EFD)
제2 필드(OFD), 제1 단위 영역(E), 제2 단위 영역(O)
제1 수평 라인(HE1-HE3), 제2 수평 라인(HO1-HO3), 제 1 수직 라인(VE1-VE4)
제2 수직 라인(VO1-VO4), 제1 화소(EPX), 스위칭 트랜지스터(ETS)
구동 트랜지스터(ETR), 보상 트랜지스터(ETH), 보상 커패시터(ECH)
저장 커패시터(ECS), 제2 화소(OPX), 스위칭 트랜지스터(OTS)
구동 트랜지스터(OTR), 보상 트랜지스터(OTH), 보상 커패시터(OCH)
저장 커패시터(OCS), 원본 좌안 그림(L[n]), 좌안 그림(LE[n])
원본 우안 그림(R[n]), 우안 그림(RO[n]), 보간 그림(F1[n], F2[n], F3[n])
보간 좌안 그림(L1[n], L2[n], L3[n]),보간 우안 그림(R1[n], R2[n], R3[n])
제1 필드의 발광 기간(1FE [n]_4, 1FE`[n]_4, 1FE``[n]_4, 1FE```[n]_4, 2FE[n]_4, 2FE`[n]_4, 2FE``[n]_4, 2FE```[n]_4)
제2 필드의 발광 기간(1FO[n]_4, 1FO`[n]_4, 1FO``[n]_4, 1FO```[n]_4, 2FO[n]_4, 2FO`[n]_4, 2FO``[n]_4, 2FO```[n]_4)
제1 전원선(VDDEH1, VDDEH2, VDDEH3, VDDEV1, VDDEV2, VDDEV3, VDDEV4)
제2 전원선(VDDOH1, VDDOH2, VDDOH3, VDDOV1, VDDOV2, VDDOV3)
제1 제어 신호선(CEH1, CEH2, CEV1, CEV2, CEV3, CEV4)
제2 제어 신호선(COH1, COH2, COV1, COV2, COV3), 표시 장치(10)
영상 처리부(100), 타이밍 제어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주사 구동부(400), 전원 제어부(500), 보상 제어 신호부(600), 표시부(700)

Claims (69)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에 제1 주사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1 그룹 화소가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주사 기간에 인접한 제1 발광 기간 동안 동시에 발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에 제2 주사 기간 동안 복수의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그룹 화소가 기입된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주사 기간에 인접한 제2 발광 기간 동안 동시에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제2 주사 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가 시간적으로 구분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1 필드에 대해 소정 기간 이동된 시점에 동기되어 구동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주사기간, 및 상기 제1 발광 기간으로 구성된 제1 프레임을 복수 개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2 주사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으로 구성된 제2 프레임을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프레임 중 하나의 제1 프레임에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2 프레임은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소정 기간 이동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의 제1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1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1 기간과,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제2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2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2 기간이 서로 동일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제1 시점(view point) 그림이 표시되고,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의 그림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제1 시점(view point)의 제1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1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1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제1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1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제2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2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2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제2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2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1 필드 프레임의 발광 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제2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 프레임의 발광 기간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1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제1 시점(view point)의 제1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1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1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1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1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제2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며,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제2 영상 신호 각각이 나타내는 제2 시점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2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제2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1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제1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1 필드 프레임의 제1 발광 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제2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상기 제2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2 영상 신호가 표시되는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제1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제2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소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적어도 두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의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두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선택된 다른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선택된 다른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및 상기 선택된 다른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의 제1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1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1 기간과, 상기 하나의 제1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제2 프레임의 제2 주사 기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제2 발광 기간이 시작하는 시점까지의 제2 기간이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발광 기간과 상기 제2 발광 기간이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2 기간보다 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제1 시점(view point) 그림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발광 기간이 인접하는 제2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 따르는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의 그림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제1 시점(view point)의 제1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상기 영상 소스 신호에서 상기 제2 시점의 제2 영상 신호를 구분하고, 상기 제2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 단위의 제1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발광 기간 및 상기 인접하는 제2 발광 기간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임 단위의 제2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발광 기간의 다음 제1 발광 기간 및 상기 다음 제1 발광 기간에 인접하는 제2 발광 기간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1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제2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입력되는 영상 소스 신호가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영상 소스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구분하고, 연속하는 프레임 단위의 평면 영상 신호가 나타내는 그림 간의 중간 그림인 보간 그림을 나타내는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1 필드의 한 프레임에 인접한 제2 필드의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구분되어 표시되고, 상기 한 프레임의 보간 영상 신호는 상기 제1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필드의 다음 프레임의 제2 발광 기간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평면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상기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나타내는 신호, 및 상기 한 프레임 단위의 보간 영상 신호 중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 순으로 배열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4.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애노드 전압을 리셋시키는 제1 리셋 기간,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는 제1 보상기간,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구동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동시에 발광하는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2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애노드 전압을 리셋시키는 제2 리셋 기간,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는 제2 보상기간, 및 상기 복수의 제2 구동 트랜지스터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주사 기간, 및 상기 복수의 제1 구동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구동 전류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동시에 발광하는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발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1 발광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르고,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2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리셋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1 리셋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2 발광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2 발광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르고,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2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리셋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2 리셋 기간의 전압 레벨이 다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기간과 상기 제2 리셋 기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제2 발광기간과 상기 제1 발광 기간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애노드 전압을 방전시키는 구동 전류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게 하는 레벨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1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애노드 전압을 방전시키는 구동 전류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게 하는 레벨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리셋 기간, 상기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제1 발광 기간 각각 동안 레벨이 서로 다르고,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주사 기간과 동일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이 상기 제2 리셋 기간, 상기 제2 주사 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각각 동안 레벨이 서로 다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상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2 주사 기간과 동일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기간은 상기 제2 리셋기간, 상기 제2 보상기간, 및 상기 제2 주사기간과 중첩되고, 상기 제2 발광기간은 상기 제1 리셋기간, 상기 제1 보상기간, 및 상기 제1 주사기간과 중첩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기간과 상기 제2 발광 기간이 소정 기간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6.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
    상기 복수의 화소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선
    상기 복수의 화소에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 선,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1 전원선,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제2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복수의 제2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제1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동시에 보상되는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1 그룹 화소 각각이 기입된 데이데 신호에 따라 동시에 발광하는 제1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상기 제1 그룹 화소와 다른 제2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동시에 보상되는 제2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그룹 화소 각각이 기입된 데이데 신호에 따라 동시에 발광하는 제2 발광 기간을 포함하는 제2 필드로 구분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원선은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3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선과 상기 제3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3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 또는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원선은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3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5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전원선과 상기 제5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5 전원선이 연결되는 노드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 또는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원선은,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원선,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3 전원선,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상기 제1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3 전원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5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선과 상기 제3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2 전원선 및 상기 제3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전원선과 상기 제5 전원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상기 제4 전원선 및 상기 제5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행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행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행은 교대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표시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46.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열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열은 교대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표시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4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제1 화소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표시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4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3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5 전원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5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는 중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보상 기간에 턴 온 되고, 상기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 중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와 다른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보상 기간에 턴 온 되는 표시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선은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선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표시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1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선은 행방향으로 연장되어 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선은 행방향으로 연장되어 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거나,
    상기 복수의 제1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1 제어선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보상 트랜지스터에 보상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제2 제어선은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행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선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표시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행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행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1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며,
    행 및 열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1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가 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화소 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가 열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화소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화소열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열은 교대로 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1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1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화소는 복수의 제2 화소를 포함하며,
    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제1 화소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행 방향을 따라 제1 화소 및 제2 화소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1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각각은 인접한 제2 제어선에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5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는,
    상기 복수의 주사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상 커패시터 및
    상기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에 전달되고, 상기제2 전원 전압은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에 전달되는 표시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애노드 전극 전압을 리셋 시키는 제1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애노드 전극 전압을 리셋 시키는 제2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애노드 전압이 상기 제1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으로 리셋되게 하는 레벨인 표시 장치.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복수의 데이터 신호의 전압은,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애노드 전압이 상기 제2 그룹 화소에 공급되는 제1 전원 전압으로 리셋되게 하는 레벨인 표시 장치.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나머지 기간과 다른 레벨을 가지며, 상기 제2 전원 전압 보다 높은 전압인 표시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애노드 전극 전압을 리셋 시키는 제1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유기발광다이오드 애노드 전극 전압을 리셋 시키는 제2 리셋 기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제1 리셋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 상기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2 전원 전압보다 낮은 레벨인 표시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상 기간 동안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고, 상기 제2 보상 기간 각각 동안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보상 트랜지스터가 턴 온 되며,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제2 리셋 기간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른 표시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및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른 표시 장치.
  67.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1 그룹 화소의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상 커패시터 및 상기 복수의 저장 커패시터에 전달하는 제1 주사 기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2 그룹 화소의 복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상기 복수의 보상 커패시터 및 복수의 저장 커패시터에 전달하는 제2 주사 기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사 기간 및 상기 제2 주사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과 같은 표시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기간 및 상기 제2 발광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 동안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르고,
    상기 제1 보상 기간 및 상기 제2 보상 기간의 제1 전원 전압은,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의 동안의 제1 전원 전압과 다른 표시 장치.
KR1020110028249A 2011-03-29 2011-03-29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16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249A KR101916921B1 (ko) 2011-03-29 2011-03-29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1193029A JP2012208459A (ja) 2011-03-29 2011-09-05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13/242,978 US9584799B2 (en) 2011-03-29 2011-09-2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1110365232.3A CN102737571B (zh) 2011-03-29 2011-11-17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201710004226.2A CN106652873B (zh) 2011-03-29 2011-11-17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EP12162098.3A EP2506240B1 (en) 2011-03-29 2012-03-29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2162095.9A EP2506589B1 (en) 2011-03-29 2012-03-29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2162100.7A EP2506241A3 (en) 2011-03-29 2012-03-29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6131853A JP6306099B2 (ja) 2011-03-29 2016-07-01 表示装置の駆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249A KR101916921B1 (ko) 2011-03-29 2011-03-29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13A true KR20120110413A (ko) 2012-10-10
KR101916921B1 KR101916921B1 (ko) 2018-11-09

Family

ID=4602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249A KR101916921B1 (ko) 2011-03-29 2011-03-29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84799B2 (ko)
EP (3) EP2506589B1 (ko)
JP (2) JP2012208459A (ko)
KR (1) KR101916921B1 (ko)
CN (2) CN106652873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7728A (ko) * 2012-11-02 201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536475B2 (en) 2012-08-28 2017-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image realiz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70058323A (ko) * 2015-10-22 2017-05-26 시아오미 아이엔씨. 내용 표시방법 및 장치
US9697768B2 (en) 2015-01-21 2017-07-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947278B2 (en) 2015-10-22 2018-04-17 Xiaomi Inc.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00017010A (ko) * 2018-08-07 2020-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102785A (zh) * 2020-10-15 2020-12-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像素电路、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US11415851B2 (en) 2020-04-14 2022-08-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0218B2 (ja) * 2011-11-17 2015-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5726325B2 (ja) * 2011-11-17 2015-05-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997792B1 (ko) 2011-11-18 2019-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606418B (zh) * 2012-09-28 2017-11-21 輝達公司 圖形處理單元驅動程式產生內插的圖框之電腦系統及方法
KR102045546B1 (ko) * 2012-11-12 2019-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소,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44508B1 (ko) * 2012-11-20 2019-0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신호 제어장치 및 신호 제어방법
CN102982741A (zh) * 2012-12-10 2013-03-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2981339B (zh) * 2012-12-10 2016-12-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3d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3728752B (zh) * 2013-12-30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改善显示3d影像发生闪烁的液晶显示器
CN106611593A (zh) 2015-10-22 2017-05-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内容显示方法及装置
CN106611581A (zh) 2015-10-22 2017-05-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内容显示方法及装置
KR102501656B1 (ko) * 2016-05-31 2023-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47079B1 (ko) * 2016-12-13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6652806B (zh) * 2016-12-15 2019-02-26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屏配置电源确定方法和系统
US10672338B2 (en) * 2017-03-24 2020-06-02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external compensation and anode reset
CN107331338B (zh) * 2017-08-28 2021-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检测方法
WO2020202292A1 (ja) * 2019-03-29 2020-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0217807A1 (ja) * 2019-04-25 2020-10-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の向き設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738454B (zh) * 2019-08-20 2021-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陣列基板
KR20210027577A (ko) * 2019-08-28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24053105A1 (ja) * 2022-09-09 2024-03-14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6092A (ja) * 1988-06-16 1989-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表示装置
JPH07123447A (ja) * 1993-10-22 1995-05-12 Sony Corp 画像信号記録方法および画像信号記録装置、画像信号再生方法および画像信号再生装置、画像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信号符号化装置、画像信号復号化方法および画像信号復号化装置、ならびに画像信号記録媒体
JP2003122303A (ja) * 2001-10-16 2003-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US7417648B2 (en) * 2002-01-07 2008-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lor flat panel display sub-pixel arrangements and layouts for sub-pixel rendering with split blue sub-pixels
CA2380105A1 (en) * 2002-04-09 2003-10-09 Nicholas Routhier Proces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playback of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KR20030090408A (ko) 2002-05-23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시브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장치의 인터레이싱 스캔 방법
JP2004145278A (ja) 2002-08-30 2004-05-20 Seiko Epson Corp 電子回路、電子回路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4120191A (ja) * 2002-09-25 2004-04-15 Sharp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WO2004084168A1 (en) 2003-03-12 2004-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emissive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with optical feedback effective on the timing, to counteract ageing
JP2004341263A (ja) * 2003-05-16 2004-12-02 Hitachi Ltd 自発光素子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0515318B1 (ko) 2003-07-30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0688798B1 (ko) * 2004-11-17 2007-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A2490858A1 (en) * 2004-12-07 2006-06-07 Ignis Innovation Inc. Driving method for compensated voltage-programming of amoled displays
JP2006317696A (ja) * 2005-05-12 2006-11-24 Sony Corp 画素回路および表示装置、並びに画素回路の制御方法
EP1793366A3 (en) 2005-12-02 2009-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1211343B1 (ko) 2005-12-29 2012-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833753B1 (ko) * 2006-12-21 2008-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9109521A (ja) 2007-10-26 2009-05-21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011434B2 (ja) 2009-02-19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439913B2 (ja) 2009-04-01 2014-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2010250111A (ja) * 2009-04-16 2010-11-04 Hitachi Ltd 時分割2眼立体視に対応した表示装置
JP2010256420A (ja) * 2009-04-21 2010-11-11 Sony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2011028135A (ja) * 2009-07-29 2011-02-10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10013693A (ko) * 2009-08-03 2011-02-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056281B1 (ko) * 2009-08-03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487981B2 (en) 2009-09-04 2013-07-1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2D/3D video
KR101125571B1 (ko) * 2010-02-05 2012-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6475B2 (en) 2012-08-28 2017-01-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image realiz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057728A (ko) * 2012-11-02 2014-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97768B2 (en) 2015-01-21 2017-07-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70058323A (ko) * 2015-10-22 2017-05-26 시아오미 아이엔씨. 내용 표시방법 및 장치
US9947278B2 (en) 2015-10-22 2018-04-17 Xiaomi Inc.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200017010A (ko) * 2018-08-07 2020-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415851B2 (en) 2020-04-14 2022-08-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14325B2 (en) 2020-04-14 2023-08-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2102785A (zh) * 2020-10-15 2020-12-1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像素电路、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12102785B (zh) * 2020-10-15 2024-04-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像素电路、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6240A3 (en) 2012-12-05
CN102737571B (zh) 2017-03-01
CN106652873B (zh) 2020-04-24
EP2506589B1 (en) 2017-03-01
JP2016191940A (ja) 2016-11-10
EP2506240B1 (en) 2017-03-08
CN102737571A (zh) 2012-10-17
EP2506240A2 (en) 2012-10-03
JP6306099B2 (ja) 2018-04-04
CN106652873A (zh) 2017-05-10
EP2506241A3 (en) 2014-11-05
US9584799B2 (en) 2017-02-28
JP2012208459A (ja) 2012-10-25
EP2506241A2 (en) 2012-10-03
KR101916921B1 (ko) 2018-11-09
EP2506589A3 (en) 2012-11-28
EP2506589A2 (en) 2012-10-03
US20120249615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099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2328639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6784658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9179137B2 (en) Gat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97880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133624A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049438B2 (en) Stereopsi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217000A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or displaying plain and stereoscopic images
CN101546542B (zh) 液晶显示设备及方法、显示控制设备和显示控制方法
KR101263533B1 (ko) 표시 장치
JP2008083727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00073321A (ko) 입체 영상 시스템
JP2013083825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211233B1 (ko) 액정 패널 및 그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