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032A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032A
KR20120110032A KR1020120029992A KR20120029992A KR20120110032A KR 20120110032 A KR20120110032 A KR 20120110032A KR 1020120029992 A KR1020120029992 A KR 1020120029992A KR 20120029992 A KR20120029992 A KR 20120029992A KR 20120110032 A KR20120110032 A KR 2012011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composition
weigh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856B1 (ko
Inventor
김기영
김노마
윤성수
이민기
지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450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JP5800405B2/ja
Priority to CN201280014416.8A priority patent/CN103703095B/zh
Priority to PCT/KR2012/002158 priority patent/WO2012128596A2/ko
Priority to TW101110152A priority patent/TWI445787B/zh
Priority to EP12761481.6A priority patent/EP2677015B1/en
Publication of KR2012011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032A/ko
Priority to US14/032,049 priority patent/US932826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안정적인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내고, 특히 가혹 조건이나 환경의 변화가 심한 조건 등에서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전 방지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또한 점착성, 내구성 및 작업성 등의 제반 물성도 우수한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의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전기 발생은 전자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정전기로 인하여 전자 부품에 유입되는 미세 먼지는 기계적 손상 외에도 부품의 일시적 또는 영구적 손상, 오동작 또는 공정 지연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대전 방지 기술의 개선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의 제조 과정에서는,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기 위하여, 점착제에서 이형 시트를 제거하는 과정에 진행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정전기가 발생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주고, 제품 검사에 차질을 일으키거나 또는 전자 부품에 손상을 주어 불량을 일으킨다.
특허문헌 1은, 유기계 이온염류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온염류만을 이용하여 점착제의 표면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다량의 이온염류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온염류의 석출 문제 등이 유발된다.
특허문헌 2는, 에틸렌옥시드와 같은 친수성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에 금속염을 배합한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금속염은 도전성을 제공하고, 친수성 단량체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여 정전하를 낮추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헤이즈에 의한 백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정도로 친수성 단량체를 첨가할 경우, 점착제의 물성, 특히 접착력과 내구성이 급격히 감소하며, 고온 조건 또는 고온 다습 조건에서 점착제의 표면 저항이 급격히 상승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101761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제2005-031282호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60 중량부 내지 89.9 중량부와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 단위로 포함하는 아크릴 중합체;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이온성 화합물 및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금속염을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1]
B + C ≤ 15
[일반식 2]
0.05 ≤ B; 및 0 < C ≤ 10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B는,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중량 비율을 나타내고, C는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한 상기 금속염의 중량 비율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광학 필름의 부착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편광판과 액정 패널의 부착이나, 편광판, 위상차판 또는 시야각 확대 필름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의 상호간 부착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60 중량부 내지 89.9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 단위로 포함한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점착제의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또는 점착성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중합체에 중합 단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알킬렌을 나타내며, R1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12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치환기의 정의에서 R1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렌은,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 알킬렌을 나타내며,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20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예를 들면, 페닐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의 단량체로는, 알콕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아릴옥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아릴옥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아릴옥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체예에서 알콕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일 수 있고, 알킬렌글리콜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들 수 있으며, 아릴 옥시로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옥시, 바람직하게는 페녹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60 중량부 내지 89.9 중량부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 단위로 포함하고, 다른 예시에서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65 중량부 내지 89.9 중량부 또는 70 중량부 내지 89.9 중량부 및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또는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중합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중량 비율의 범위에서 점착제의 물성, 특히 접착력이나 내구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또한 점착제가 고온 조건이나 고온 다습한 조건 등과 같은 가혹한 조건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대전 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하고, 따라서 「중량부」 및 「중량 비율」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또한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중합 단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전술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또는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와 공중합되어 중합 단위로 중합체에 포함되고, 또한 상기 중합체의 측쇄 또는 말단에 가교성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는 단량체이다.
상기에서 가교성 관능기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아미노기와 같은 질소 함유 관능기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 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단량체가 공지되어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와 같은 단량체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등의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의 질소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착제의 내구성, 점착력 및 응집력 등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는, 필요에 따라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단량체가 중합 단위로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화학식 2의 단량체는,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및 기타 기능성 부여를 목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2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 R5는 시아노; 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 아세틸옥시; 또는 COR6를 나타내며, 이 때 R6는 알킬 또는 알콕시알킬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 또는 글리시딜옥시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2의 R2 내지 R6의 정의에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또는 알콕시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이다.
상기 화학식 2의 단량체는, 20 중량부 이하의 중량 비율로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목적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전술한 다양한 중합체를 목적하는 중량 비율에 따라 배합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과 같은 통상의 중합 방식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상온에서 액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상온」은, 가열 또는 냉각 상태가 아닌 자연 그대로의 기온으로서,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30℃, 약 15℃ 내지 약 30℃ 또는 약 25℃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는 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대전 방지성을 확보하면서도, 점착제의 광학 물성, 점착 물성 및 작업성 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를 장기간 방치 또는 보관하는 경우에도, 이온성 화합물의 점착제로부터의 석출 및 점착제의 광학적 투명성 또는 점착 물성 등의 경시적 변화 또는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유기염일 수 있고, 하나의 예시에서 4급 암모늄, 포스포늄(phosphonium), 피리디늄(pyridinium), 이미다졸륨(imidazolium), 피롤리디늄(pyrolidinium) 또는 피페리디늄(piperidinium) 등의 양이온 성분을 포함하는 유기염일 수 있다.
유기염은, 바람직하게는 4급 암모늄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4급 암모늄 양이온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알케닐 또는 알키닐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3의 정의에서 알킬 또는 알콕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또는 알콕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 또는 알콕시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킬 또는 알콕시일 수 있고,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의 정의에서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케닐 또는 알키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알케닐 또는 알키닐일 수 있고,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정의에서 알킬, 알콕시,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의 예로는, 히드록시,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시아노, 티올, 아미노,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3의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일킬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7 내지 R10이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을 나타내되, R7 내지 R10이 동시에 동일한 탄소수의 알킬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예시에서 R7 내지 R10이 모두 동일 탄소수의 알킬인 경우는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7 내지 R10이 모두 동일한 탄소수의 알킬인 경우, 유기염이 상온에서 고상으로 존재할 확률이 높아진다.
상기 화학식 3의 양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N-에틸-N,N-디메틸-N-프로필암모늄, N,N,N-트리메틸-N-프로필암모늄, N-메틸-N,N,N-트리부틸암모늄, N-에틸-N,N,N-트리부틸암모늄, N-메틸-N,N,N-트리헥실암모늄, N-에틸-N,N,N-트리헥실암모늄, N-메틸-N,N,N-트리옥틸암모늄 또는 N-에틸-N,N,N-트리옥틸암모늄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화학식 3에서 R7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이고, R8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 내지 10의 알킬인 양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양이온을 사용함으로써, 광학 물성, 점착 물성, 작업성 및 대전 방지성이 더욱 탁월한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기염에 포함될 수 있는 음이온으로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4]
[X(YOmRf)n]-
상기 화학식 4에서 X는 질소 또는 탄소를 나타내고, Y는 탄소 또는 황을 나타내며, Rf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며, n은 2 또는 3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4에서 Y가 탄소인 경우, m은 1이고, Y가 황인 경우, m은 2이며, X가 질소인 경우 n은 2이고, X가 탄소인 경우 n은 3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음이온은, 퍼플루오로알킬기(Rf)로 인해 높은 전기 음성도를 나타내고, 또한 특유의 공명 구조를 포함하여, 화학식 3의 양이온과의 약한 결합을 형성하는 동시에 높은 소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기염이 아크릴 중합체 등의 조성물의 타성분과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면서, 소량으로도 높은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화학식 4의 Rf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퍼플루오로알킬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퍼플루오로알킬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또는 고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음이온은, 설포닐메티드계, 설포닐이미드계, 카보닐메티드계 또는 카보닐이미드계 음이온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메티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비스퍼플루오로부탄설포닐이미드,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설포닐이미드,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카보닐메티드, 비스퍼플루오로부탄카보닐이미드 또는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카보닐이미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화학식 4의 음이온은, 바람직하게는 비스(퍼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일 수 있고, 상기 퍼플루오로알킬은 탄소수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8의 퍼플루오로알킬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금속염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양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양이온으로는, 리튬 이온(Li+), 나트륨 이온(Na+), 칼륨 이온(K+), 루비듐 이온(Rb+), 세슘 이온(Cs+), 베릴륨 이온(Be2 +), 마그네슘 이온(Mg2 +), 칼슘 이온(Ca2 +), 스트론튬 이온(Sr2 +) 및 바륨 이온(Ba2 +)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이 예시될 수 있고, 이러한 예시에서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 및 바륨 이온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온안정성 및 점착제 내에서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리튬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염에 포함될 수 있는 음이온으로는 플루오라이드(F-), 클로라이드(Cl-), 브로마이드(Br-), 요오다이드(I-), 퍼클로레이트(ClO4 -), 히드록시드(OH-), 카보네이트(CO3 2-), 니트레이트(NO3 -),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CF3SO3 -), 설포네이트(SO4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F6 -), 메틸벤젠설포네이트(CH3(C6H4)SO3 -), p-톨루엔설포네이트(CH3C6H4SO3 -), 테트라보레이트(B4O7 2-), 카복시벤젠설포네이트(COOH(C6H4)SO3 -), 트리플로로메탄설포네이트(CF3SO2 -), 벤조네이트(C6H5COO-), 아세테이트(CH3COO-), 트리플로로아세테이트(CF3COO-),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F4 -), 테트라벤질보레이트(B(C6H5)4 -) 또는 트리스펜타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P(C2F5)3F3 -) 등이나 상기한 화학식 4의 음이온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음이온으로는 전자 받게(electron withdrawing) 역할을 잘하고 소수성이 좋은 플루오르가 치환되어 있고, 이온 안정성이 높은 이미드계 음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이온성 화합물 및 금속염의 중량 비율은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
즉, 상기 이온성 화합물 및 금속염은,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계 중량으로 15 중량부 이하 또는 0.5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의 비율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중량 비율(B)은, 0.05 중량부 이상, 0.2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또는 1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상기 금속염의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중량 비율(C)은 0 중량부를 초과하고, 또한 10 중량부 이하인 범위 또는 0 중량부를 초과하고 또한 8 중량부 이하인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화합물 및 금속염의 중량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점착제가 안정적인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점착제가 가혹 조건 등에서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전 방지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또한 이온성 화합물의 가소 효과 등에 의하여 재박리성 등의 점착제의 작업성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경화 과정에서 상기 아크릴 중합체를 가교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관능성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에폭시 가교제, 아지리딘 가교제 또는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또는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폴리올과 반응시킨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롤 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아지리딘 가교제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및/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 에틸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출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가 상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예를 들면, 전술한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내구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고, 또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도 보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점착제의 밀착성 및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성 및 내습성을 개선하고, 또한 가혹 조건에서 점착제가 장기간 방치되었을 경우에도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감마-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감마-메타크릴록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감마-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감마-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점착제 조성물은, 베타 시아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5 또는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
(R11)nSi(R12)(4-n)
[화학식 6]
(R13)nSi(R12) (4-n)
상기 화학식 5 또는 6에서, R11은, 베타-시아노아세틸기를 나타내고, R13은 아세토아세틸기 또는 아세토아세틸알킬기를 나타내며, R12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n은 1 내지 3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5 또는 6에서, 알킬은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일 수 있고, 이러한 알킬은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화학식 5 또는 6에서, 알콕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일 수 있고, 이러한 알콕시는 직쇄상, 분지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5 또는 6에서 n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 또는 6의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베타 시아노아세틸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베타 시아노아세틸 트리에톡시 실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제 조성물 내에서 실란 커플링제는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효과적으로 점착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점착성 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로카본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에스테르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페놀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성 부여제는,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목적하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 3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3]
△SRA = logSR2 - logSR1 ≤ 1.0
상기 일반식 3에서 SR1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23℃ 및 5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을 의미하고, SR2는, 상기 SR1의 측정 시와 동일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60℃ 및 90% R.H.의 조건에서 500 시간 동안 보관하고, 다시 23℃ 및 5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을 나타낸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 4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4]
△SRB = logSR3 - logSR1 ≤ 1.0
상기 일반식 4에서 SR1은, 상기 일반식 3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R3는, 상기 SR1의 측정 시와 동일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80℃ 조건에서 500 시간 동안 보관하고, 다시 23℃ 및 5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용어 「경화」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반응을 거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 특성이 발현될 수 있는 상태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하고, 이러한 경화는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아크릴 중합체 및 다관능성 가교제가 가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조건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처리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위 「R.H.」는 상대 습도를 의미한다.
상기 일반식 3 및 4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조건 및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른다.
?SRA 또는 ?SRB가 1.0을 초과하면, 점착제로 제조된 상태에서 표면 저항 특성의 변화가 경시적으로 크게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착제의 적용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RA 및 ?SRB는 그 수치가 낮을수록 바람직한 것이기 때문에, 그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경화된 후의 겔(gel) 함량이 5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화 후의 겔 분율은 하기 일반식 5로 계산될 수 있다.
[일반식 5]
겔 분율(%) = B/A × 100
상기 일반식 5에서, A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킨 후에 측정한 질량을 나타내고, B는, 상기 A의 질량을 가지는 경화 후 점착제 조성물을 상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에 48 시간 침적시킨 후에 채취한 불용해분의 건조 질량을 나타낸다.
경화 후의 겔 분율이 50 중량% 미만이면,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점착제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90%를 초과하면, 점착제의 응력 완화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점착제의 형태로 유리, 예를 들면 소다라임(soda lime) 유리에 부착된 후에 상온에서 180도의 박리 각도 및 0.3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박리력이 150 gf/25 mm 이상 또는 250 gf/2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은,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고, 제조된 점착 편광판을 상기 유리에 부착한 후에 23℃의 온도 및 50%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을 150 gf/25mm 이상으로 하여 특히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우수한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단성이나 재박리성을 고려하여, 2500 gf/25mm 이하, 또는 1500 gf/25mm 이하의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고,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점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편광자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종류를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다. 이와 같은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겔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독 중합체는 물론, 비닐 아세테이트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본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하고, 이색성 색소 등로 염색한 후에 상기 색소를 흡착시키고, 붕산(boric acid) 수용액으로 필름을 처리하고, 수세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는, 요오드(iodine)나 이색성의 유기 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또한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보호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보호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TAC(Triacet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가지는 수지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의 일층 또는 이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또한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편광판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기술한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판에 직접 코팅 및 경화시키거나,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코팅 및 경화시킨 후에 이를 편광판에 전사하는 방식 등으로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코팅은, 바 코터(bar coater) 등의 통상의 수단을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코팅층 내에 포함된 아크릴 중합체와 다관능성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유발될 수 있도록, 상기 코팅층을 적정한 온도에서 유지하는 방식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에서 액정 패널로는, 예를 들면,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과 같은 상하부 기판 등의 종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안정적인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내고, 특히 가혹 조건이나 환경의 변화가 심한 조건 등에서 장시간 방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대전 방지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또한 점착성, 내구성 및 작업성 등의 제반 물성도 우수한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조성물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점착제층의 물성은 하기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 평가
점착제가 형성된 점착 편광판을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모두 50 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의 점착제층에 부착되어 있는 이형 PET를 제거한 후에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은, MCP-HT 450 장비(Mitsubishi chemical(제), 일본)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내구성 테스트 전 표면 저항(SR1)은 재단된 시편을 23℃ 및 50%의 상대 습도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편광판으로부터 이형 PET를 제거하고, 500 볼트(V)의 전압을 1분 동안 인가한 후에 측정하였다.
내습열 내구성 테스트 후 표면 저항(SR2) 및 내열 내구성 테스트 후 표면 저항(SR3)은, 편광판을 내습열 조건(60℃ 및 90% 상대 습도에서 500 시간 보관) 및 내열 조건(80℃에서 500 시간 보관)에서 각각 보관한 후에 다시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 이형 PET를 박리하고, 500 볼트(V)의 전압을 1 분간 인가한 후에 측정하였다.
2. 내구 신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폭이 180 mm이고, 길이가 220 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시편을 유리에 부착한다. 부착 시에 인가되는 압력은 5 kg/cm2 정도이고, 이물이나 기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크린룸(clean room)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내습열 내구성은, 편광판이 부착된 유리를 60℃의 온도 및 90%의 상대 습도에서 1,000 시간 동안 방치(내습열 조건)한 후에 기포 또는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여 평가하고, 내열 내구성은 편광판이 부착된 유리를 80℃의 온도에서 1,000 시간 동안 방치(내열 조건)한 후에 기포 또는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여 평가한다.
내습열 또는 내열 내구성의 평가는 내습열 또는 내열 조건에 방치된 후의 시편을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평가한다.
<내구성 평가 기준>
○: 기포 및 박리 발생 없음
△: 기포 및/또는 박리 약간 발생
×: 기포 및/또는 박리 다량 발생
2. 투명도
점착제의 투명도는, 상기 내구 신뢰성 시험에서 내열 조건 또는 내습열 조건에 방치된 후의 점착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투명성 평가 기준>
○: 내열 조건 방치 후 점착제 및 내습열 조건 방치 후 점착제가 모두 투명한 경우
×: 내열 조건 방치 후의 점착제 및 내습열 조건 방치 후의 점착제 중 어느 하나라도 불투명한 경우
3. 박리력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편광판을 폭이 25 mm이고, 길이가 100mm가 되도록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이어서, 점착제층에 부착된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고, JIS Z 0237의 규정에 따라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점착 편광판을 유리(soda lime glass)에 부착한다. 편광판이 부착된 유리를 오토클레이브(50℃, 5 기압)에서 약 20분 동안 압착 처리하고, 항온 항습 조건(23℃, 50% 상대습도)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하여 샘플을 제조한다. 그 후, TA 장비(Texture Analyzer, 영국 스테이블 마이크로 시스템사제)를 사용하여, 상기 편광판을 유리로부터 0.3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면서 박리력을 측정한다.
제조예 1.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부틸 아크릴레이트(n-BA) 79 중량부, 에틸 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에톡시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투입하고, 용제로서 에틸 아세테이트(EAc; ethyl aceate)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후,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1 시간 동안 퍼징(purging)하고, 온도를 60℃로 유지하였다. 반응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 0.05 중량부 및 n-도데실메르캅탄(n-DDM) 0.01 중량부를 추가로 투입하고,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반응물을 희석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이 130만이며, 고형분 농도가 25 중량%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A1)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8
하기 표 1과 같이 단량체 성분 및 중량비를 조절하고, 목적하는 분자량을 고려하여 개시제 등의 사용량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 용액(A2 내지 A8)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조예 8의 경우와 같은 단량체 조성에서는 중합 반응이 적절하게 유도되지 않아서 중합체의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제조예
1 2 3 4 5 6 7 8
중합체 용액 A1 A2 A3 A4 A5 A6 A7 A8

단량체
조성


n-BA 79 74 68.5 54 94 99 89 59
EA 5 5 15 15 - - - -
ECA 15 - 10 10 - - - 40
MEA - 15 5 15 - - 5 -
HEA 1 6 1 6 - 1 6 1
AA - - 0.5 - 6 - - -
Mw(단위: 만) 130 125 120 120 190 180 150 -
함량 단위: 중량부
n- BA : n-부틸 아크릴레이트
EA : 에틸 아크릴레이트
ECA : 에톡시 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MEA : 메톡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HEA : 2-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AA : 아크릴산
Mw : 중량평균분자량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의 제조
제조예 1의 아크릴 중합체 용액(A1)의 고형분 100 중량부 대비 다관능성 가교제(트리메틸롤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TDI-1) 0.2 중량부, 상온에서 액상인 이온성 화합물로서 트리부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5 중량부,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금속염으로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5 중량부를 배합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고형분 농도가 약 10 내지 1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여 코팅액(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착 편광판의 제조
제조된 코팅액을, 건조 후 두께가 25 ㎛가 되도록 이형 처리된 PET(poly(ethyleneterephthalate)(MRF-38, 미쯔비시(제))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코팅하고, 적정한 조건에서 숙성시켜서 점착제층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점착제층을 요오드계 편광판의 보호 필름의 일면에 라미네이트하여 점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7.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의 배합 성분 및 조성을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준한 방식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중합체 종류 A1 A2 A3 A4 A4 A1 A4 A4 A5 A5 A6 A7 A3
중합체 함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가교제 함량 0.2 0.2 0.2 0.2 0.2 0.2 0.2 0.2 2.0 2.0 0.1 0.1 0.2
이온성화합물 종류 O1 O2 O3 O1 O2 - - O1 - O1 - O2 O2
함량 5 3 8 1 10 - - 25 - 1 - 15 20
금속염 종류 I1 I1 I1 I1 I1 I1 I1 - I1 I1 I1 - I1
함량 5 7 7 3 5 7 10 - 3 3 20 - 15
함량 단위: 중량부
가교제 : 트리메틸롤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TDI -1)
O1 : 트리부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O2 : 트리옥틸메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O3 : 헥사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I1 :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평가한 물성을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점착제 투명도
표면
저항
(Ω/□)
SR1 4.0×108 3.0×108 2.8×108 1.5×109 6.7×108
SR2 8.0×108 9.2×108 8.5×108 7.0×109 9.0×108
SR3 5.0×108 4.4×108 3.4×108 3.0×109 9.0×108
경시
변화
△SRA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SRB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내구성
내열
내습열
박리력(gf/25mm) 820 850 720 860 760

비교예
1 2 3 4 5 6 7 8
점착제 투명도 ×
표면
저항
(Ω/□)
SR1 3.8×108 2.3×108 2.3×108 3.2×1010 1.0×1010 3.1×108 2.3×109 8.7×107
SR2 5.2×109 4.2×109 6.7×108 9.4×1011 3.5×1011 1.2×1011 5.6×109 7.0×108
SR3 6.7×108 4.0×108 9.1×108 1.1×1011 5.9×1010 9.5×109 7.8×109 1.2×108
경시
변화
△SRA 1 초과 1 초과 1 미만 1 초과 1 초과 1 초과 1 미만 1 미만
△SRB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미만 1 초과 1 미만 1 미만

내구성
내열 × × ×
내습열 × × ×
박리력(gf/25mm) 810 780 750 920 900 250 1040 630

Claims (20)

  1.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60 중량부 내지 89.9 중량부 및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중합 단위로 포함하는 아크릴 중합체; 상온에서 액상인 이온성 화합물 및 상온에서 고상인 금속염을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 및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점착제 조성물:
    [일반식 1]
    B + C ≤ 15
    [일반식 2]
    0.05 ≤ B; 및 0 < C ≤ 10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B는,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이온성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고, C는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상기 금속염의 중량 비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알킬렌옥시드 단량체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A는 알킬렌이며, R1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n은 1 내지 12의 수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중합 단위로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질소 함유 관능기인 점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이온성 화합물은 유기염인 점착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염은, 4급 암모늄, 포스포늄, 피리디늄, 이미다졸륨, 피롤리디늄 및 피페리디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이온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4급 암모늄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알콕시, 알케닐 또는 알키닐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R7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이되, R7 내지 R10이 동시에 동일한 탄소수의 알킬은 아닌 점착제 조성물.
  10.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4]
    [X(YOmRf)n]-
    상기 화학식 4에서 X는 N 또는 C를 나타내고, Y는 C 또는 S을 나타내며, Rf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며, n은 2 또는 3을 나타낸다.
  11.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퍼클로레이트, 히드록시드, 카보네이트, 니트레이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설포네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메틸벤젠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테트라보레이트, 카복시벤젠설포네이트, 트리플로로메탄설포네이트, 벤조네이트, 아세테이트, 트리플로로아세테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테트라벤질보레이트, 트리스펜타플루오로에틸 트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음이온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4]
    [X(YOmRf)n]-
    상기 화학식 4에서 X는 N 또는 C를 나타내고, Y는 C 또는 S을 나타내며, Rf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며, n은 2 또는 3을 나타낸다.
  1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 또는 점착성 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3의 조건을 만족하는 점착제 조성물:
    [일반식 3]
    △SRA = logSR2 - logSR1 ≤ 1.0
    상기 일반식 3에서 SR1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23℃ 및 5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을 의미하고, SR2는, 상기 SR1의 측정 시와 동일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60℃ 및 90% R.H.의 조건에서 500 시간 동안 보관하고, 다시 23℃ 및 5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을 나타낸다.
  1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4의 조건을 만족하는 점착제 조성물:
    [일반식 4]
    △SRB = logSR3 - logSR1 ≤ 1.0
    상기 일반식 4에서 SR1은, 제 15 항의 일반식 3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R3는, 상기 SR1의 측정 시와 동일한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80℃ 조건에서 500 시간 동안 보관하고, 다시 23℃ 및 50% R.H.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보관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을 나타낸다.
  17. 제 1 항에 있어서, 경화된 후의 겔 분율이 50 중량% 내지 90 중량%인 점착제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의 형태로 유리에 부착된 후에 상온에서 180도의 박리 각도 및 0.3 m/min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박리력이 150 gf/25 mm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19.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있고, 편광판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제 1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는 편광판.
  20.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 18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29992A 2011-03-23 2012-03-23 점착제 조성물 KR101509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01016A JP5800405B2 (ja) 2011-03-23 2012-03-23 粘着剤組成物
CN201280014416.8A CN103703095B (zh) 2011-03-23 2012-03-23 压敏粘合剂组合物
PCT/KR2012/002158 WO2012128596A2 (ko) 2011-03-23 2012-03-23 점착제 조성물
TW101110152A TWI445787B (zh) 2011-03-23 2012-03-23 壓敏性黏著組成物
EP12761481.6A EP2677015B1 (en) 2011-03-23 2012-03-23 Adhesive composition
US14/032,049 US9328269B2 (en) 2011-03-23 2013-09-19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995 2011-03-23
KR20110025995 201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032A true KR20120110032A (ko) 2012-10-09
KR101509856B1 KR101509856B1 (ko) 2015-04-10

Family

ID=4728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29992A KR101509856B1 (ko) 2011-03-23 2012-03-23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28269B2 (ko)
EP (1) EP2677015B1 (ko)
JP (1) JP5800405B2 (ko)
KR (1) KR101509856B1 (ko)
CN (1) CN103703095B (ko)
TW (1) TWI445787B (ko)
WO (1) WO2012128596A2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87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0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3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7767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7750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7751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50016171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5023153A1 (ko) * 2013-08-16 2015-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529983B1 (ko) * 2014-09-25 2015-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WO2015099285A1 (ko) * 2013-12-23 2015-07-0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70061007A (ko)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9006450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0260B2 (ja) 2011-03-23 2015-10-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CN104845563A (zh) * 2014-02-17 2015-08-19 上海精涂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防静电保护膜用胶水
JP2016079237A (ja) * 2014-10-14 2016-05-16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偏光板および積層体
CN105585979B (zh) * 2014-11-10 2019-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剂层、以及带有粘合剂层的光学构件
JP6231036B2 (ja) * 2015-04-03 2017-11-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69341B1 (ko) * 2015-07-10 2019-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편광판
JP6320358B2 (ja) * 2015-09-29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付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692080B2 (ja) * 2016-05-30 2020-05-13 住友化学株式会社 Dnゲル膜の製造方法
JP6521906B2 (ja) * 2016-06-16 2019-05-29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US20210109390A1 (en) * 2017-03-28 2021-04-15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film with added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with added adhesive layer for in-cell liquid crystal panel, in-cell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0462471B (zh) 2017-03-28 2021-11-02 日东电工株式会社 带粘合剂层的偏振膜、内嵌型液晶面板用带粘合剂层的偏振膜、内嵌型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EP3686258A4 (en) * 2017-11-10 2020-11-11 LG Chem, Ltd. OPTICAL LAMINATE
JP6648183B2 (ja) * 2018-04-03 2020-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シング機能内蔵液晶パネル用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
CN108550855B (zh) * 2018-05-21 2020-07-28 欣旺达电子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水性粘结剂及其制备方法
JP2020105268A (ja) * 2018-12-26 2020-07-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帯電防止性積層体及び帯電防止性接着剤
JP7412082B2 (ja) * 2019-02-06 2024-0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CN109913142B (zh) * 2019-03-01 2021-12-10 苏州格睿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抗静电性有机硅压敏胶制品
KR20220016885A (ko) * 2019-06-04 2022-02-1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마찰 억제제 및 그 마찰 억제제를 함유하는 윤활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1282A (ja) 2003-07-10 2005-02-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素子用樹脂組成物、光学素子用樹脂硬化物及び光学素子
KR100579468B1 (ko) * 2004-01-07 2006-05-12 주식회사 하나이화 대전방지성 용제형 아크릴수지
JP5088806B2 (ja) * 2004-06-01 2012-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TW200617124A (en) 2004-06-01 2006-06-01 Nitto Denko Corp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ng film
EP1802724B1 (en) * 2004-10-21 2009-04-29 LG Chem, Ltd.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good antistatic property
JP4799900B2 (ja) * 2004-10-28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CN101208403B (zh) * 2005-06-24 2011-06-29 东洋油墨制造株式会社 防静电丙烯酸系胶粘剂
JP5259940B2 (ja) * 2005-09-05 2013-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984735B2 (ja) * 2006-08-18 2012-07-2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クリル粘着剤の製造方法
JP4942171B2 (ja) * 2006-09-14 2012-05-30 綜研化学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5315685B2 (ja) * 2006-12-20 2013-10-16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制電性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
KR101082450B1 (ko) * 2008-01-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09173722A (ja) * 2008-01-23 2009-08-06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性アクリル系感圧式接着剤および該感圧式接着剤を用いた帯電防止性感圧式接着フィルム
KR20090101761A (ko) 2008-03-24 2009-09-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JP2010132891A (ja) * 2008-10-31 2010-06-1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部材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および活性エネルギー線および/または熱硬化型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
KR20100067171A (ko) * 2008-12-11 2010-06-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JP5800260B2 (ja) * 2011-03-23 2015-10-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8887A (ko) * 2013-04-29 2014-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CN104640953A (zh) * 2013-06-19 2015-05-20 株式会社Lg化学 压敏粘合剂组合物
US10066130B2 (en) 2013-06-19 2018-09-04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10227508B2 (en) 2013-06-19 2019-03-12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20140147767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7750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7751A (ko) * 2013-06-19 2014-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49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10066133B2 (en) 2013-06-19 2018-09-04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9868883B2 (en) 2013-06-19 2018-01-16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O2014204250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CN104640951A (zh) * 2013-06-19 2015-05-20 株式会社Lg化学 压敏粘合剂组合物
WO2014204253A1 (ko) *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50016171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EP3023470A4 (en) * 2013-08-16 2017-06-14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WO2015023153A1 (ko) * 2013-08-16 2015-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10435597B2 (en) 2013-08-16 2019-10-08 Lg Chem, Ltd. Seal tape
US10619079B2 (en) 2013-08-16 2020-04-14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O2015099285A1 (ko) * 2013-12-23 2015-07-0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101529983B1 (ko) * 2014-09-25 2015-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70061007A (ko) *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11680191B2 (en) 2017-11-30 2023-06-20 Shanjin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Optical laminate
KR20190064503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7015A4 (en) 2014-07-09
TW201309769A (zh) 2013-03-01
TWI445787B (zh) 2014-07-21
US9328269B2 (en) 2016-05-03
CN103703095A (zh) 2014-04-02
JP5800405B2 (ja) 2015-10-28
WO2012128596A3 (ko) 2012-12-27
EP2677015B1 (en) 2017-12-06
EP2677015A2 (en) 2013-12-25
KR101509856B1 (ko) 2015-04-10
CN103703095B (zh) 2016-06-01
JP2014514387A (ja) 2014-06-19
WO2012128596A2 (ko) 2012-09-27
US20140016069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856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541578B1 (ko) 점착제 조성물
EP2796523B1 (en) Adhesive composition
EP2886622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P3147337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1550143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024256B1 (ko) 점착 조성물
KR102069490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159499B1 (ko) 광학 적층체
KR102063057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159487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218857B1 (ko) 광학 적층체
KR102024260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687066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70079555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2874A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