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761A -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761A
KR20090101761A KR1020080027096A KR20080027096A KR20090101761A KR 20090101761 A KR20090101761 A KR 20090101761A KR 1020080027096 A KR1020080027096 A KR 1020080027096A KR 20080027096 A KR20080027096 A KR 20080027096A KR 20090101761 A KR20090101761 A KR 20090101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film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dher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최한영
양민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1761A/ko
Publication of KR2009010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 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이용한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 전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를 대전방지제로 사용하고, 상기 대전방지제를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피착제로 침투시켜 대전방지성을 전사함으로써 하판 편광판에 적용시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한 후에도 백라이트 유닛과 하판 편광판의 마찰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 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 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 전사방법{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TRANSFERABLE TO ADHEREND, ANTI-STATIC TRANSFERABLE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ANSFERING ANTI-STATIC PROPERTY TO ADHEREND USING THE FILM}
본 발명은 하판 편광판에 적용시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한 후에도 백라이트 유닛과 하판 편광판의 마찰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 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이용한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 전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노트북, 휴대전화, 액정 TV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일반적으로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상판 및 하판 편광판,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편광판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폴리비닐알코올계(polyvinyl alcohol, PVA) 수지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이 흡착 배향된 편광자(또는 편광필름)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자의 한 면에는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triacetyl cellulose, TAC) 등의 제1 편광자 보호필름과, 상기 제1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액정셀과 점합하게 되는 점착제층과 이형필름이 구비된다. 그리고 편광자의 다른 한 면에는 제2 편광자 보호필름과, 상기 제2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 등이 구비된 다층구조이다. 이때,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은 상판 편광판에서는 시인측에 배치되고 하판 편광판에서는 백라이트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판 편광판의 제2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는 용도에 따라 반사방지, 방현, 고경도, 대전방지 등의 기능성 코팅층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구조의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셀에 부착하여 판넬을 제작한 후에, 조립공정에서 불필요한 표면보호필름은 상기 표면보호필름에 적층된 점착제층과 함께 박리하여 제거되는데 이때 정전기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정전기는 광학부재에 이물흡착과 같은 표면오염 문제, 불필요한 액정 배향으로 인한 얼룩문제 등을 유발시킨다. 또한 표면보호필름을 박리한 후 하판 편광판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정전기는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주어 불량을 유발시키며 액정표시장치의 집적회로칩의 파손 유발의 우려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 패널이 대형화 및 박형화되면서 액정표시장치 제조시 사용되는 편광판의 크기 또한 확대되고 공정의 고속화가 진행된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과 편광판이 적층된 액정셀은 밀접히 배치되어, 고열에 의한 변형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과 하판 편광판의 마찰 정전기의 발생량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보호필름 박리시 및 박리후의 정전기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TAC 필름 표면에 대전방지제 코팅층을 도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일본공개특허 제1994-051121호(1994.2.25. 공개)에는 산화인듐, 산화주석의 도전층을 스퍼터링에 의해 편광판에 형성하여 대전방지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밖에 전도성 고분자의 코팅에 의해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다른 기능층과의 접착력의 저하 및 새로운 공정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문제 때문에 표면보호필름의 박리시의 정전기 문제만을 해결하기 위하여 TAC 필름 상에는 대전방지 처리를 하지 않고 표면보호필름에만 대전방지 처리를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표면보호필름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표면보호필름을 구성하는 기재 필름 자체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 표면보호필름을 구성하는 기재 필름과 점착제층 사이에 또는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 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표면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우선, 표면보호필름을 구성하는 기재 필름 자체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기재 필름의 원료인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유기 설폰산염 등의 음이온성 화합물, 금속분, 카본블랙 등의 도전성 충전제를 혼합하여 도전성 기재 필름을 얻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서는 기재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착색되어 피착제에 표면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는 피착제의 외관을 검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금속화합물을 증착하여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기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0-273417호(2000.10.3. 공개)에는 플라스틱 필름 기재에 제4급 암모늄염을 함유한 대전방지제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대전방지성 점착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도 2개의 층을 별도로 형성시켜야 하므로 실용적이지 못하다(한국공개특허 제2006-0046099호 참조).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1999-256116호(1999.9.21. 공개)에는 플라스틱 필름의 한 면에 대전방지층을 형성한 표면보호필름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표면보호필름에서는 지지체측에 대전방지처리가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보호필름의 대전방지는 도모할 수 있으나 피보호체의 대전방지는 도모할 수 없어 피보호체로부터 표면보호필름을 박리했을 때 피보호체가 대전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표면보호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대전방지성능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여 점착제를 구성하는 방법과 대전방지제 함유 점착제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04-7000744호(2004.4.9. 공개)에는 점착제에 대전방지성을 가지는 계면활성제를 일부 혼합하여 대전방지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를 점착제에 일부 혼합하여 제조한 표면보호필름의 경우에는 영구적인 대전방지 성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주위 습도에 다라 대전방지 성능이 변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에 따라 점착제층 내부에 있던 계면활성제가 점착제층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소멸되는 블리드-아웃(bleeding-out)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일정기간이 지나면 표면보호필름의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되거나 소멸되며, 표면보호필름의 박리제거시 계면활성제의 일부가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남게되어 편광자 보호필름의 표면을 오염시키기도 한다(한국공개특허 제2007-0077145호 참조).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3-192922호(2003.7.9. 공개)에는 제4급 암모늄염과 층상 규산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조성물은 다양한 플라스틱 필름 기재에 도포하여 표면보호필름을 얻을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방법들에 의해서는 표면보호필름의 박리제거시에 발생되는 정전기 문제를 일부는 해결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시도는 상판 편광판의 시인측의 편광자 보호필름 또는 이를 보호하는 표면보호필름의 대전방지를 위해 실시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한 후에 하판 편광판과 백라이트 유닛과의 마찰 정전기에 의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주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하판 편광판의 백라이트 유닛측에 배치되는 편광자 보호필름에 적층된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와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백라이트 유닛과 하판 편광판의 마찰 정전기 문제가 동시에 없는, 피착제로 대전방지성을 전사시킬 수 있는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이 적층된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이용하여 피착제로 대전방지성을 전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이 적층된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 및 상기 하판 편광판이 적층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래기술에서 단점으로 지적되었던 대전방지제가 표면으로 이행된다는 점을 역으로 이용하여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피착제에 점합하여 가열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점착제층의 대전방지제를 피착제로 침투시킴으로써 대전방지성을 전사하여 표면보호필름의 박리시의 박리 정전기와 박리후의 마찰 정전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를 대전방지제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을 하판 편광판에 적용하는 경우, 하판 편광판의 백라이트 유닛측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 대전방지성이 전사되어 액정표시장치에 적용시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와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한 후 백라이트 유닛과 하판 편광판의 마찰 정전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착제 수지, 및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며, 피착제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점합시키는 제1단계, 및 점합체를 가열처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피착제로 대전방지성을 전사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이 편광자와 제1 편광자 보호필름 및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백라이트 유닛측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적층된 하판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을 30 내지 6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처리하고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박리제거한 후에도,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판 편광판이 적층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판의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표면보호필름을 제거한 후에도 백라이트 유닛 방향의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 특히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영구대전방지성을 가지게 되어 백라이트 유닛과의 마찰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제를 추가 도포하는 공정 없이도 간단한 공정으로 하판 편광판용 셀룰로오스계 편광자 보호필름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광판이 적층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100': 대전방지제가 전사된 후의 점착제층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
111 : 기재 필름 112 : 점착제층
112': 대전방지제가 전사된 후의 점착제층
113 : 대전방지제
200, 200': 하판 편광판(제2 편광판)
210 : 세퍼레이터 필름 220 : 편광판 점착제층
230 : 제1 편광자 보호필름 240 : 편광자
250 : 셀룰로오스계 제2 편광자 보호필름
300 : 액정표시장치 310 : 상판 편광판(제1 편광판)
320 : 액정셀 330 :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은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하여 피착제로 대전방지성을 전사하는 방법, 상기 표면보호필름이 적층된 하판 편광판, 및 상기 하판 편광판이 적층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피착제, 특히 액정셀과 상판 및 하판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측에 배치되는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 대전방지성을 전사하는 감압 점착제로서, 점착제 수지, 및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감압 접착제”란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피착제의 표면에 점착되고, 또한 적절한 강도를 가하면 피착면에 거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도 피착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점착제를 의미한다.
점착제 수지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점착제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며, 필요에 따라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더 공중합할 수 있다. 이때,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단량체로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4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트리데실기, 테트라데실기 등을 가지는 알킬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포함되는 총 단량체 함량(100질량%)에 대하여 67.7 내지 99.0질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67.7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력이 낮아지거나 표면보호필름에 적용시 파착제로부터의 들뜸이나 벗겨지기 쉽고, 99.0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저하된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포함되는 총 단량체 함량(100질량%)에 대하여 0.1 내지 14질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질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1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하기 가교제를 첨가하는 경우 충분한 응집력을 얻지 못하며 표면보호필름에 적용시 표면보호필름을 피착제에 점착하고 박리하는 동안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에 의해 피착제에 점착제의 전착이 일어나며, 14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조성물의 겔화를 일으키기 쉽다.
상기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일모르포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에테르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포함되는 총 단량체 함량(100질량%)에 대하여 0.5 내지 19질량%,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8질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인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대전방지 효과가 지속되면서도 경제적이다.
상기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무수말레인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과, 말레인산, 이타콘산의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 또는 분기쇄를 가지는 알코올과의 하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포함되는 총 단량체 함량(100질량%)에 대하여 최대 0.3질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3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보호필름에 적용시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단량체 성분들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의 괴상중합, 용액중합, 현탁중합 또는 유화중합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가교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교제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다관능 이소시아누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부가물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과, 수소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변성된 프리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0질량부(고형분 함량 기준)에 대하여 0.5 내지 7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질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5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보호필름에 적용시 점착제층의 점착력 또는 응집력이 저하되고, 7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좋지 못하고 가교 반응이 너무 진행되어 점착력이 저하된다.
대전방지제로는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가 바람직하다. 이때, “작은 음이온”이란 이온반경이 작은 음이온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처리 반응 만으로도 피착제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어, 대전방지성의 전사 효과가 좋다.
상기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이온반경이 작은 음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OTf-(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OTs-(톨루엔-4-설포네이트), OMs-(메탄설포네이트), PF6 -, SbF6 -, BF4 -, I-, Br-, C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바람직한 예로는, 1-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양이온이 피리디늄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질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1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방지 전사성이 미미하며, 30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대전방지 전사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경제적이지 못하며, 점착물성 및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점착제의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염료, 안료, 소포제, 부식제, 충전제 또는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피착제와 점합한 후 가열처리하였을 때, 피착제로 대전방지제를 침투시켜 피착제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2)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본 발명의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은 기재 필름 상에 상기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제층과 세퍼레이터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 필름은 점착제층을 적층하기 위한 기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세퍼레이터 필름과 점합함으로서 표면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유동 주조법, 및 에어 나이프(air knife), 그라비아(gravure), 리버스 롤(reverse roll), 키스 롤(kiss roll), 스프레이(spray) 또는 블레이드(blade) 방법 등의 도포방법을 이용하여 적당한 전개방식으로 직접 도포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통상의 점합방법을 이용하여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 필름을 점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그 점착력 등에 따라 결정되며, 통상 2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피착제와 점합한 후 가열처리 하였을 때, 피착제, 특히 액정셀과 상판 및 하판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측에 배치되는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 대전방지제를 침투시켜 피착제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이형코팅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정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에 본 발명의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100)은 기재 필름(111) 상에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져 대전방지제(113)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점착제층(112)이 적층되어 있으며, 점착제층(112) 상에는 세퍼레이터 필름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피착제에 적용시, 대전방지제(113)가 피착제의 내부로 침투하여 대전방지성을 전사하게 된다.
(3)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을 전사하는 방법
본 발명의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을 전사하는 방법은 상기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점합시키는 제1단계, 및 점합체를 가열처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광자 보호필름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teyl cellulose,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것이다. 셀룰로오스계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가열처리 만으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전방지제의 침투가 용이하여 대전방지성의 전사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TAC 필름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후지테크 TD80, 후지테크 TD80UF 및 후지테크 TD80UZ(후지 샤신 필름㈜ 제조), KC8UX2M 및 KC8UY(미놀타 옵트㈜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단계는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 면과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점착제층이 마주하도록 위치시켜 점합하는 단계로서, 점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AC 필름 면에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점착제층이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롤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2단계는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점착제층에 포함된 대전방지제를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 전사시키는 단계로서, 특정 온도 및 시간의 조건에서 가열처리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가열처리는 30 내지 6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에서 10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다. 가열처리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방지 전사 시간이 길어지며,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의 변형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열처리 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방지성의 전사가 부족하며, 4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의 변형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점착제로부터 셀룰로오스계 필름 내부로의 대전방지제의 이동은, 극성 대전방지제와 극성 셀룰로오스계 필름의 상용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대전방지제의 이온결합력이 작아서 음이온과 양이온의 분리가 쉽고 이온반경이 작아서 점착제와 셀룰로오스계 필름의 고분자 사슬 사이를 이동하기 쉽다는 점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제2단계를 통하여 대전방지제가 셀룰로오스계 필름 내부로 침투하여 고르게 분산됨에 따라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대전방지성을 나타낸게 된다. 특히,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부터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점착제층을 박리하여 제거한 후 셀룰로오스계 필름의 표면비저항을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할 수 있게 한다.
(4)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방향의 편광판인 하판 편광판(또는 '제2 편광판'이라고도 함)으로서, 상기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하판 편광판의 백라이트 유닛측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점착제층이 마주하도록 점합한 후 가열처리함으로써 셀룰로오스계 필름으로 대전방지성이 전사된 편광판이다.
도 2에 본 발명의 하판 편광판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200)은, 편광자(240)의 한 면에는 제1 편광자 보호필름(230)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편광자 보호필름(230) 상에 편광판 점착제층(220)과 세퍼레이터 필름(210)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편광자(240)의 다른 한 면에는 셀룰로오스계 제2 편광자 보호필름(250)이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편광자 보호필름에 대전방지제가 전사된 후의 점착제층(112')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100')이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특히, 셀룰로오스계 제2 편광자 보호필름(250)에는 가열처리를 통하여 점착제층(112)으로부터 침투된 대전방지제(113)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대전방지성을 나타낸다.
편광자(240)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과, 아세트산 비닐과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다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로 제조할 수 있다.
제1 편광자 보호필름(230)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설폰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두께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판 점착제층(220)은 통상의 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 등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감압 점착제층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 필름(210)은 편광판 점착제층(220)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 편광자 보호필름(250)은 대전방지제의 침투성이 우수한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teyl cellulose,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것이다.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가열처리 만으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전방지제의 침투가 용이하여 대전방지성의 전사 효과뿐만 아니라 표면비저항의 지속성 또한 우수하다.
상기 제2 편광자 보호필름(250)은 점착제층(112)을 통하여 침투된 대전방지제(113)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대전방지제가 전사된 후의 점착제층(112')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100')을 박리하여 제거한 후 표면비저항을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하여 영구대전방지성을 갖는 필름이다.
상기 대전방지제가 전사된 후의 점착제층(112')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100')은 제2 편광자 보호필름(250)에 대전방지성이 전사된 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시 박리하여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하판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표면보호필름(100')을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와 표면보호필름의 제거 후 백라이트 유닛과의 마찰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대형화 및 박형화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하판 편광판으로서 적용하는 경우, 정전기 발생량 증가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5)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300)는 액정셀(320)과,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각각 적층된 상판 편광판(또는 '제1 편광판'이라고 함)(310)과 표면보호필름이 박리제거된 하판 편광판(200')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하판 편광판(200')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방지성 편광판으로서, 셀룰로오스계 제2 편광자 보호필름(250)에 대전방지제(113)가 고르게 분산되어 있어 피착제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되는 영구대전방지성을 갖는 편광판이다. 따라서 대전방지제가 전사된 후의 점착제층(112')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100')을 박리하여 제거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330)과 하판 편광판(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정전기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하판 편광판(200')을 제외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 7, 비교예 1 ~ 3.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냉각기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장치에 질소가스를 투입하여 치환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75질량부, 아세톤 15질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55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5질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질량부, 2-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질량부 및 중합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질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80℃에서 7시간 동안 중합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후 톨루엔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35%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0질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가교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 L, Nippon Polyurethane Industry사 제조) 0.8질량부, 아세틸아세톤 2질량부 및 대전방지제로 1-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hexyl-4-methylprydinium hexafluorophosphate] 1질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대전방지제인 1-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5질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대전방지제인 1-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를 10질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대전방지제로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Octyl-4-methylprydinium hexafluorophosphate]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대전방지제로 1-부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4-methylprydinium hexafluorophosphate]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대전방지제로 1-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hexylprydinium hexafluorophosphate]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대전방지제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대전방지제로 1-헥실-4-메틸피리디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1-Hexyl-4-methylprydinium bis(trifluoromethanesylfonyl)imide]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대전방지제로 1-부틸-3-메틸피롤리듐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pyrrolidium hexafluorophosphate]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대전방지제로 테트라부틸암모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5질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 14, 비교예 4 ~ 6.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각각을 이용하여, 두께가 2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 필름의 한 면에 직접 도공하여 두께가 25㎛인 점착제층을 적층시켰다. 이후 점착제층 상에 실리콘 코팅된 38㎛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 필름을 적층하여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 21, 비교예 7 ~ 9. 대전방지성 편광판의 제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두께 25㎛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양쪽 면에 제1 및 제2 편광자 보호필름으로 두께 40㎛인 TAC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과 수용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1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편광판 점착제층을 적층한 후 실리콘 코팅된 38㎛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세퍼레이터 필름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제2 편광자 보호필름 상에 실시예 8 내지 14, 비교예 4 내지 6에서 제조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에서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제층이 마주하도록 위치시키고 롤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점합하였다. 상기 점합체를 4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처리한 후 표면보호필름을 박리제거하여 대전방지성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과 대전방지성 편광판의 표면비저항 및 이의 지속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표면비저항(Ω/□)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한 후의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과, 표면보호필름이 박리제거된 면의 TAC 필름(제2 편광자 보호필름)의 표면비저항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표면저항 측정기(MCP-HT450, Mitsubishi chemical사 제조)를 이용하여 표면의 3지점을 각각 10회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표면비저항 지속성
대전방지전사성 편광판을 상온에서 180일 동안 방치한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면비저항을 측정하였다.
표면보호필름 편광자 보호필름(TAC)
구분 표면비저항(Ω/□) 구분 표면보호필름 박리 후 표면비저항(Ω/□) 180일 경과 후표면비저항(Ω/□)
실시예 8 3.10 x 1011 실시예 15 8.40 x 1012 8.20 x 1012
실시예 9 1.10 x 1010 실시예 16 6.10 x 1011 6.30 x 1011
실시예 10 7.10 x 109 실시예 17 2.40 x 1011 2.90 x 1011
실시예 11 3.40 x 1010 실시예 18 8.90 x 1011 9.70 x 1011
실시예 12 9.20 x 109 실시예 19 5.50 x 1011 5.10 x 1011
실시예 13 9.60 x 109 실시예 20 5.90 x 1011 3.90 x 1011
실시예 14 5.50 x 1010 실시예 21 7.80 x 1011 5.30 x 1011
비교예 4 2.60 x 109 비교예 7 1 x 1013 이상 1 x 1013 이상
비교예 5 8.30 x 1010 비교예 8 1 x 1013 이상 1 x 1013 이상
비교예 6 6.20 x 1010 비교예 9 1 x 1013 이상 1 x 1013 이상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표면보호필름을 이용하여 하판 편광판을 제조하는 경우, 점착제층에 포함된 대전방지제가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인 TAC 필름으로 용이하게 침투함으로써 TAC 필름으로 대전방지성을 전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사된 대전방지성이 180일이 경과한 후에도 지속되는 것을 통하여 전사된 대전방지성이 장시간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의 표면보호필름은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표면비저항을 나타내었으나, TAC 필름에 적용시 대전방지성의 전사 및 표면비저항의 지속성을 전혀 보이지 못했다.

Claims (13)

  1. 점착제 수지, 및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며, 피착제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제는 액정셀과 상판 및 하판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측에 배치되는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으로서 셀룰로오스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피리디늄염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1-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5. 점착제 수지, 및 피리디늄염 또는 이미다졸륨염인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피착제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되는 점착제층이 적층된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제는 액정셀과 상판 및 하판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측에 배치되는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으로서 셀룰로오스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피리디늄염 양이온과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보다 작은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이온염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1-헥실-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
  9.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하판 편광판의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점합시키는 제1단계, 및 점합체를 가열처리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 전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30 내지 6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착제로의 대전방지성 전사방법.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이 편광자와 제1 편광자 보호필름 및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백라이트 유닛측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적층된 하판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을 30 내지 6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가열처리하고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표면보호필름을 박리제거한 후에도, 제2 편광자 보호필름의 표면비저항이 9 x 1012Ω/□ 이하로 장시간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
  13. 제11항에 따른 대전방지성 하판 편광판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80027096A 2008-03-24 2008-03-24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KR20090101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96A KR20090101761A (ko) 2008-03-24 2008-03-24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96A KR20090101761A (ko) 2008-03-24 2008-03-24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61A true KR20090101761A (ko) 2009-09-29

Family

ID=4135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096A KR20090101761A (ko) 2008-03-24 2008-03-24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76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596A2 (ko) 2011-03-23 2012-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314202B1 (ko) * 2013-01-08 2013-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50045911A (ko)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50109684A (ko) * 2014-03-20 2015-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KR20170061007A (ko)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JP2021004271A (ja) * 2019-06-25 2021-01-14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US11217769B2 (en) 2016-08-12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8596A2 (ko) 2011-03-23 2012-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314202B1 (ko) * 2013-01-08 2013-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WO2014109490A1 (ko) * 2013-01-08 2014-07-17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KR20150045911A (ko)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50109684A (ko) * 2014-03-20 2015-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KR20170061007A (ko) 2015-11-25 2017-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11217769B2 (en) 2016-08-12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21004271A (ja) * 2019-06-25 2021-01-14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7024B (zh) 光學薄膜用黏著劑組成物、光學薄膜用黏著劑層、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以及影像顯示裝置
CN108873139B (zh) 带粘合剂层偏光薄膜及图像显示装置
JP5785624B2 (ja)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CN101583684B (zh) 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
KR10096073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
TWI735614B (zh) 黏著劑組成物、黏著劑層、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影像顯示面板及液晶顯示裝置
KR20180054574A (ko)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편광 필름, 광학 부재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090101761A (ko) 피착제 대전방지전사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적용한표면보호필름 및 상기 표면보호필름을 적용한 피착제로의대전방지성 전사방법
KR101455302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20170068989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20132397A (ko)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383120B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图像显示装置
KR2021004092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509442B1 (ko)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KR101524612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TW201840413A (zh) 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TWI812726B (zh) 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KR101612350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면보호필름
JP6594782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板
TW201840774A (zh) 黏著劑層、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KR101623055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면보호필름
CN112204439B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及其剥离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WO2018180999A1 (ja) 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KR20130073419A (ko) 식각된 유리기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적층체 및 액정표시장치
KR20090110661A (ko) 대전방지성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