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023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023A
KR20120110023A KR1020120029769A KR20120029769A KR20120110023A KR 20120110023 A KR20120110023 A KR 20120110023A KR 1020120029769 A KR1020120029769 A KR 1020120029769A KR 20120029769 A KR20120029769 A KR 20120029769A KR 20120110023 A KR20120110023 A KR 20120110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amping member
compressor
attachment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425B1 (ko
Inventor
겐 스이토우
고사쿠 도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2011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7/00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7Mounting of a cylinder block in a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01Noise damping
    • F04B53/003Noise damping by damp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전동 압축기 (101) 는, 냉매의 압축 기구 (3) 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 (2) 을 차량의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부착하는 부착 레그부 (11) 를 구비한다. 부착 레그부 (11) 는, 통상 부재 (12) 와, 통상 부재 (12) 와 일체로 설치되고 수지로 형성되는 감쇠 부재 (13) 와, 감쇠 부재 (13) 와 일체로 설치되고, 하우징 (2) 과 끼워 맞춰짐으로써 일체가 된 통상 부재 (12) 및 감쇠 부재 (13) 를 하우징 (2) 에 부착하는 고정 지그 (14 및 15) 와, 통상 부재 (12)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부착하는 부착 체결구 (51) 를 갖는다. 또, 감쇠 부재 (13) 는, 통상 부재 (12) 와 고정 지그 (14 및 15)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하우징 (2) 과 끼워 맞춰진 고정 지그 (14 및 15) 는, 하우징 (2) 및 감쇠 부재 (13) 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한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MOTOR-DRIVEN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에 탑재되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엔진 및 전동 모터를 병용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엔진에 의한 구동과 전동 모터에 의한 구동의 비율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공조 장치를 구성하는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키는 압축기로서,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얻는 것을 사용하면, 압축기는 엔진으로부터 소요 구동력을 항상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구동하는 전동 압축기가 사용된다. 그리고, 전동 압축기는 차량의 보디나 엔진에 부착된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차량은, 아이들 운전시의 아이들 스톱 등과 같이 엔진이 정지된 상태로 전동 모터에 의해서만 운전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엔진 정지시에 전동 압축기가 운전되면, 전동 압축기의 운전에서 기인하여 차내 및 차외에 불쾌한 소음이 발생한다. 특히, 전동 압축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방사음보다, 전동 압축기의 진동이 그 부착 부위를 통해 보디나 엔진에 진동을 가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공진음이 불쾌한 소음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전동 압축기로부터 보디나 엔진에 전달되는 진동의 완화를 도모한 압축기의 부착 구조가 고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4-44810호 공보에는, 압축기에 부착된 원통 금구의 관통 구멍에 나사를 삽입하여 이 나사를 엔진의 피부착체의 나사 구멍에 넣고 조임으로써, 압축기가 피부착체에 부착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원통 금구의 외주면에는 진동을 감쇠하는 방진 고무가 감겨 있다. 방진 고무가 감겨 있는 원통 금구는, 반원상의 컬부 (curl) 를 갖는 베이스 금구의 컬부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 금구를 압축기에 나사로 고정시킴으로써 압축기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베이스 금구 및 원통 금구의 사이, 그리고 압축기 및 원통 금구의 사이에는 방진 고무가 개재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4-44810호 공보의 압축기에서는, 원통 금구의 외측으로부터 씌운 베이스 금구를 원통 금구와 함께 압축기에 나사로 고정시키고 있지만, 베이스 금구 및 원통 금구를 압축기에 부착할 때, 원통 금구 및 베이스 금구를 압축기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고정시킨 상태로 나사로 고정시켜야 하여, 베이스 금구 및 원통 금구의 조립의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나사로 고정된 베이스 금구에서는 운전 중인 압축기의 진동에 의해 나사가 헐거워져, 베이스 금구 및 원통 금구가 압축기로부터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소음을 저감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조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차량의 피부착부에 부착되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흡입한 유체를 압축한 후 토출하는 압축 기구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피부착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구비하고, 부착부는, 통상체와, 통상체와 일체로 설치되고, 수지로 형성되는 감쇠 부재와, 감쇠 부재와 일체로 설치되고, 하우징과 끼워 맞춰짐으로써 일체가 된 통상체 및 감쇠 부재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고정용 부재와, 통상체에 삽입되어 통상체를 피부착부에 부착하는 체결 부재를 가지며, 감쇠 부재는, 통상체 및 고정용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고, 하우징과 끼워 맞춰진 고정용 부재는, 하우징 및 감쇠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부착 레그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따른 전동 압축기 (101) 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동 압축기는 차량에 탑재된 내연 기관인 엔진 (61) 에 부착되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1 을 참조하면, 전동 압축기 (101) 는, 압축기 본체 (1) 와, 압축기 본체 (1) 에 부착된 부착부인 부착 레그부 (11) 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 본체 (1) 는, 원통상을 한 하우징 (2) 과, 하우징 (2)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압축 기구 (3) 를 가지며, 압축 기구 (3) 는,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동작하여 외부로부터 냉매 등의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한 유체를 압축한 후에 외부로 토출한다. 또, 하우징 (2) 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2) 의 원통상의 외표면 (2a) 의 양측으로부터는, 부착 레그부 (11) 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레그 대좌 (臺座) 부 (2b) 가, 하우징 (2) 과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부착 레그 대좌부 (2b) 는, 부착 레그부 (11) 가 부착되는 평탄한 부착면 (2c) 을 가지며, 또한 부착면 (2c) 에 원통상의 오목부인 부착 구멍 (2d 및 2e) 을 갖고 있다. 부착 구멍 (2d 및 2e) 은, 하우징 (2) 의 원통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 레그부 (11) 는, 원통상을 한 금속제의 통상 부재 (12) 를 가지며, 또한 통상 부재 (12) 의 외주면 (12a) 상에, 이 외주면 (12a) 을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된 대략 원통상의 감쇠 부재 (13) 를 갖고 있다. 또한, 통상 부재 (12)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 부재 (12) 는 통상체를 구성하고 있다.
감쇠 부재 (13) 는, 금속과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진동의 감쇠 특성 즉 제진성 (制振性) 이 있고, 그리고 강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쇠 부재 (13) 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굽힘 탄성률이 100 ㎫ (메가파스칼) 이상 10000 ㎫ 이하인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감쇠 부재 (13) 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예를 들어 PP (폴리프로필렌), PB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즉 PBT 수지), PVC (염화비닐 수지, 즉 폴리염화비닐), PUR (폴리우레탄), PTFE (불소 수지), PF (페놀 수지), PC (폴리카보네이트), PA (폴리아미드, 즉 나일론), ABS (ABS 수지), 탄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감쇠 부재 (13) 를 형성하는 수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FRP) 이어도 된다.
또한, 감쇠 부재 (13) 를 형성하는 수지는, 진동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손실 계수가, 하우징 (2) 및 통상 부재 (12) 를 형성하는 금속보다 크게 되어 있고, 예를 들어 0.01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하우징 (2) 및 통상 부재 (12) 를 형성하는 금속의 예로서 든 알루미늄 합금의 손실 계수는 0.0001 이다.
또, 감쇠 부재 (13) 는, 그 길이 방향 즉 축 방향의 단부 (端部) (13c 및 13d) 가, 통상 부재 (12) 의 긴 방향 즉 축 방향의 단부 (12c 및 12d)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감쇠 부재 (13) 는, 그 축 방향의 길이가 통상 부재 (12) 의 축 방향의 길이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통상 부재 (12) 의 축 방향의 단부 (12c 및/또는 12d) 는, 감쇠 부재 (13) 의 축 방향의 단부 (13c, 13d) 와 동일한 위치이거나, 그리고/또는, 단부 (13c, 13d) 보다 돌출되어 있다.
또, 감쇠 부재 (13) 의 외주면 (13a) 에는, 통상 부재 (12) 의 원통축의 방향을 따라서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가 일렬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감쇠 부재 (13) 가, 통상 부재 (12) 와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그것에 의해, 통상 부재 (12) 가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2) 과 상이한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이유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고정용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 1 고정 지그 (14) 는, 직사각형 판상의 압입 시트부 (14a) 와, 압입 시트부 (14a) 의 일방의 평탄면 (14a1) 으로부터 돌출되는 원주 (圓柱) 상의 압입부 (14b)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 지그 (14) 는, 압입 시트부 (14a) 의 타방의 평탄면 (14a2) 에 있어서 감쇠 부재 (13) 에 일체로 부착되어 감쇠 부재 (13) 를 지지한다. 또한, 압입 시트부 (14a) 는, 평탄면 (14a2) 의 양단 부근이 감쇠 부재 (13)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감쇠 부재 (13) 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도 1 로 되돌아가, 제 2 고정 지그 (15) 는 제 1 고정 지그 (14) 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직사각형 판상의 압입 시트부 (15a) 와, 압입 시트부 (15a) 로부터 돌출되는 원주상의 압입부 (15b) 를 가지며, 압입 시트부 (15a) 가 감쇠 부재 (13) 에 일체로 부착되어 감쇠 부재 (13) 를 지지한다. 또한, 압입 시트부 (15a) 는, 그 양단 부근이 감쇠 부재 (13)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감쇠 부재 (13) 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압입 시트부 (14a 및 15a) 는 지지부를 구성하고, 압입부 (14b 및 15b) 는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압입부 (14b 및 15b) 가 각각,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 구멍 (2d 및 2e) 에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또한 부착 구멍 (2d 및 2e) 과 위치가 합치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또, 부착 레그부 (11) 는, 감쇠 부재 (13) 의 내부에, 통상 부재 (12) 와 제 2 고정 지그 (15) 를 연결하는 어스 부재 (16) 를 일체로 갖고 있다. 어스 부재 (16) 는, 감쇠 부재 (13) 와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가지며 또한 도전성을 갖도록, 금속 등을 재료로 하는 선상 또한 얇은 박상 (箔狀) 부재로 이루어지고, 통상 부재 (12) 와 제 2 고정 지그 (15) 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어스 부재 (16) 는 도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 통상 부재 (12), 감쇠 부재 (13), 제 1 고정 지그 (14), 제 2 고정 지그 (15) 그리고 어스 부재 (16) 는, 인서트 성형 등의 수지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부착 레그부 (11) 를 형성한다.
또한, 통상 부재 (12), 감쇠 부재 (13), 제 1 고정 지그 (14), 제 2 고정 지그 (15) 및 어스 부재 (16) 를 일체 성형하여 형성된 부착 레그부 (11) 는, 제 1 고정 지그 (14) 의 압입부 (14b)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압입부 (15b) 를 각각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 구멍 (2d 및 2e) 에 대고, 제 1 고정 지그 (14) 의 압입 시트부 (14a)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압입 시트부 (15a) 에 압입 기계를 사용하여 압입 하중을 가하여 부착 구멍 (2d 및 2e) 에 압입함으로써, 부착 레그 대좌부 (2b) 에 부착ㆍ고정된다. 이 때, 부착 레그부 (11) 는, 하우징 (2) 에 대하여 평행 방향 및 회전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구속되어 이동할 수 없다.
또한, 압입시에, 제 1 고정 지그 (14) 의 압입부 (14b)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압입부 (15b) 가, 부착 구멍 (2d 및 2e) 내에서 부착 레그 대좌부 (2b) 에 눌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와, 부착 레그 대좌부 (2b) 즉 하우징 (2) 과는 이종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부착 레그부 (11) 가 하우징 (2) 에 부착된 상태의 전동 압축기 (101) 에서는, 통상 부재 (12) 와 부착 레그 대좌부 (2b) 사이에는 감쇠 부재 (13) 가 개재하고 있어, 통상 부재 (12) 가 하우징 (2) 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고정 지그 (14) 의 압입부 (14b)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압입부 (15b) 가 각각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 구멍 (2d 및 2e) 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감쇠 부재 (13) 와 부착 레그 대좌부 (2b)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또, 도 3 을 참조하면, 부착 레그부 (11) 는 하우징 (2) 의 양측방에 2 개씩 설치되어 있다. 2 개의 인접하는 부착 레그부 (11) 끼리는, 각각의 감쇠 부재 (13) 에 일체로 형성된 수지제의 연결부 (13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 (13e) 는, 부착 레그부 (11) 를 수지 성형할 때에 감쇠 부재 (13) 와 함께 성형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도시하지 않은 차량에 탑재되고 또한 전동 압축기 (101) 가 부착되는 엔진 (61) 에는, 원주상을 한 압축기 부착 대좌 (6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 부착 대좌 (62) 단부의 부착면 (62a) 에는, 부착면 (62a) 으로부터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원주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용 나사 구멍 (62b) 이 형성되어 있고, 부착용 나사 구멍 (62b) 은 내측에 암나사를 갖고 있다. 여기서, 압축기 부착 대좌 (62) 는 차량의 피부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 레그부 (11) 를 갖는 전동 압축기 (101) 는, 부착 레그부 (11)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고정시킴으로써 엔진 (61) 에 부착된다.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고정시킬 때, 부착 레그부 (11) 의 통상 부재 (12) 의 단부 (12d)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부착면 (62a) 에 맞닿게 한 상태로, 축부 (51a) 에 수나사 (51b) 를 갖는 볼트 등의 부착 체결구 (51) 를 통상 부재 (12) 의 내부에 삽입한다. 또한, 통상 부재 (12) 의 단부 (12d) 로부터 돌출시킨 부착 체결구 (51) 의 수나사 (51b)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부착용 나사 구멍 (62b) 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시키고, 부착 체결구 (51) 에 의해 통상 부재 (12)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부착 레그부 (11) 가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고정된다. 또한, 부착 체결구 (51) 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착 체결구 (51) 는 체결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통상 부재 (12) 의 단부 (12c 및 12d) 가 각각, 부착 체결구 (51) 및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부착면 (62a) 에 맞닿아, 통상 부재 (12) 가,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에 의한 압축력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감쇠 부재 (13) 는, 부착 체결구 (51) 에 의한 압축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압축기 부착 대좌 (62) 는, 통상 부재 (12), 어스 부재 (16)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통해, 부착 레그 대좌부 (2b), 즉 하우징 (2)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압축기 (101) 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동 압축기 (101) 가 기동되면, 하우징 (2) 의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압축 기구 (3) 가 가동되고, 압축 기구 (3) 의 가동에 의해 하우징 (2) 이 진동한다. 하우징 (2) 의 진동은,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면 (2c) 그리고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통해,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된다. 감쇠 부재 (13) 는 손실 계수가 크기 때문에,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된 진동은 감쇠 부재 (13) 의 내부에서 감쇠되어, 감쇠 부재 (13) 와 접촉하고 있는 통상 부재 (12) 로의 전달이 억제된다. 또, 감쇠 부재 (13) 가 부착 체결구 (51) 또는 압축기 부착 대좌 (62) 와 접촉하고 있어도,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된 진동은 감쇠되기 때문에, 부착 체결구 (51) 및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하우징 (2) 의 진동이 엔진 (61) 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엔진 (61) 을 통한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보디에 하우징 (2) 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감쇠 부재 (13) 는, 굽힘 탄성률이 100 ㎫ (메가파스칼) 이상 10000 ㎫ 이하인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강성이 높기 때문에, 하우징 (2) 의 진동에 의해 감쇠 부재 (13) 에 발생하는 변형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대한 하우징 (2) 의 변위가 억제되어, 하우징 (2) 의 진동의 진폭의 증대가 억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압축기 (101) 는, 차량의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부착되는 전동 압축기이다. 전동 압축기 (101) 는,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한 후 토출하는 압축 기구 (3) 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 (2) 과, 하우징 (2) 을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레그부 (11) 를 구비한다. 부착 레그부 (11) 는, 통상 부재 (12) 와, 통상 부재 (12) 와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수지로 형성되는 감쇠 부재 (13) 와, 감쇠 부재 (13) 와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하우징 (2) 과 끼워 맞춰짐으로써 일체가 된 통상 부재 (12) 및 감쇠 부재 (13) 를 하우징 (2) 에 부착하는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와, 통상 부재 (12) 에 삽입되어 통상 부재 (12)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부착하는 부착 체결구 (51) 를 갖는다. 감쇠 부재 (13) 는, 통상 부재 (12) 와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고, 하우징 (2) 과 끼워 맞춰진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하우징 (2) 및 감쇠 부재 (13) 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한다.
이 때, 압축기 부착 대좌 (62) 와 접촉하는 통상 부재 (12) 와 하우징 (2) 의 사이에는, 진동의 감쇠 특성이 큰 수지로 이루어진 감쇠 부재 (13) 와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가 순차적으로 개재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2) 으로부터 발생하여 부착 레그부 (11) 에 전달되는 진동은 모두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통해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되고, 감쇠 부재 (13) 에 의해 감쇠된다. 이 때문에, 전동 압축기 (101) 로부터 엔진 (61) 을 통해 차량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에 있어서의 공진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동 압축기 (101) 는,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하우징 (2) 에 끼워 맞춤으로써, 부착 레그부 (11) 가 하우징 (2) 에 부착된다. 따라서, 부착 레그부 (11) 의 하우징 (2) 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하우징 (2) 에 끼워 맞춰져서 부착되는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운전 중인 압축기 본체 (1) 의 진동에 의해 그 부착 고정 상태가 헐거워져 떨어지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전동 압축기 (101) 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조립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전동 압축기 (101) 는, 차량에 있어서의 공진음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량이 작은 압축 기구 (3) 를 적용하여 고속 운전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동 압축기 (101) 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전동 압축기 (101) 는, 하우징 (2) 과 부착 레그부 (11) 가 별체이므로,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배치에 맞춰 하우징 (2) 을 개별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없고,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배치가 상이한 여러 가지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도 공통의 하우징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 전동 압축기 (101) 에서는, 부착 레그부 (11) 의 감쇠 부재 (13) 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써, 감쇠 부재 (13) 를, 전동 압축기 (101) 를 탑재하는 차량의 공진 특성에 맞춘 제진 특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동 압축기 (101) 에서는,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하우징 (2) 과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 (2) 과 감쇠 부재 (13)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하우징 (2), 통상 부재 (12) 및 감쇠 부재 (13) 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압축기 (101) 는 그 외측의 돌출물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절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에 있어서, 감쇠 부재 (13) 를 형성하는 수지는, 하우징 (2) 을 형성하는 재료가 갖는 진동의 감쇠 특성보다 큰 진동의 감쇠 특성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2) 으로부터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또,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에 있어서, 통상 부재 (12) 그리고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금속제이며, 통상 부재 (12) 는 압축기 부착 대좌 (62) 및 부착 체결구 (51) 의 사이에서 부착 체결구 (51) 에 의한 체결력을 지지한다. 이 때,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에 의한 압축력을 감쇠 부재 (13) 에 작용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감쇠 부재 (13) 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력에서 기인하여 감쇠 부재 (13) 에 생기는 피로 및 크리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대한 통상 부재 (12) 의 부착을 강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통상 부재 (12) 의 축 방향의 단부 (12c 및 12d) 가 각각, 감쇠 부재 (13) 의 단부 (13c 및 13d) 보다 통상 부재 (12) 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통상 부재 (12) 는, 압축기 부착 대좌 (62) 및 부착 체결구 (51) 의 사이에서 부착 체결구 (51) 에 의한 체결력을 감쇠 부재 (13) 에 작용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전동 압축기 (101) 에 있어서, 하우징 (2) 은 외표면 (2a) 에 부착 구멍 (2d 및 2e) 을 가지며,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각각, 감쇠 부재 (13) 가 설치되는 압입 시트부 (14a 및 15a) 와, 압입 시트부 (14a 및 15a) 로부터 돌출되어 부착 구멍 (2d 및 2e) 과 끼워 맞춤 가능한 압입부 (14b 및 15b)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는 각각, 압입 시트부 (14a 및 15a) 에 압입을 위한 압축력이 가해져, 압입부 (14b 및 15b) 를 부착 구멍 (2d 및 2e) 에 압입함으로써 하우징 (2) 에 부착된다. 따라서, 부착 레그부 (11) 는,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각각의 압입부 (14b 및 15b) 의 압입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하우징 (2) 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압입에 의해 부착된 부착 레그부 (11) 는 하우징 (2) 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 전동 압축기 (101) 에 있어서, 부착 레그부 (11) 는, 통상 부재 (12)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가요성 및 도전성을 갖는 어스 부재 (16) 를 갖고 있다. 이 때, 통상 부재 (12)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금속제로 하면, 전동 압축기 (101) 를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하우징 (2) 은, 제 2 고정 지그 (15), 어스 부재 (16) 및 통상 부재 (12) 를 통해, 압축기 부착 대좌 (62) 즉 엔진 (61) 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동 압축기 (101) 를 엔진 (61) 에 부착할 때, 어스를 인출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공정수의 감소에 의해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에 있어서, 감쇠 부재 (13) 는, 굽힘 탄성률이 100 메가파스칼 이상 10000 메가파스칼 이하인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감쇠 부재 (13) 의 굽힘 탄성률이 커짐으로써 그 강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진동하는 압축기 본체 (1) 의 변위를 억제하여, 압축기 본체 (1) 의 진동의 진폭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따른 전동 압축기 (201) 는, 실시형태 1 의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에 있어서, 2 개의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1 개의 감쇠 부재 (13) 에 부착했던 것을,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각각 별개의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에 부착하고,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를 통상 부재 (12) 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서 나온 도면에 있어서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같은 구성 요소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전동 압축기 (201) 의 부착 레그부 (211) 는, 통상 부재 (12) 의 외주면 (12a) 상에, 이 외주면 (12a) 을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된 대략 원통상의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를 갖고 있다.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고, 통상 부재 (12) 의 원통축의 방향으로 통상 부재 (12) 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는, 실시형태 1 의 감쇠 부재 (13) 와 동일한 재료로 성형되어 있지만, 감쇠 부재 (13) 와 같이 통상 부재 (12) 와 일체 성형되지 않고, 그 내주면 (213a2 및 213b2) 을 통상 부재 (12) 의 외주면 (12a) 에 끼워 맞춰 통상 부재 (12) 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감쇠 부재 (213a) 의 외주면 (213a1)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의 외주면 (213b1) 에는 각각,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가 일체 성형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통상 부재 (12) 의 외주면 (12a) 에는,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의 사이에서 어스 부재 (216) 의 일방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 레그부 (211) 는,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를 이동시켜, 제 1 고정 지그 (14) 의 압입부 (14b)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압입부 (15b) 를 각각, 하우징 (2) 의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 구멍 (2d 및 2e) 에 위치를 맞춰서 대고, 부착 구멍 (2d 및 2e) 에 압입함으로써, 부착 레그 대좌부 (2b) 에 부착ㆍ고정된다. 이 때, 부착 레그부 (211) 는, 하우징 (2) 에 대하여 평행 방향 및 회전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구속되어 이동할 수 없다. 또한, 통상 부재 (12) 로부터 연장되는 어스 부재 (216) 가 연결되지 않은 타방의 단부가, 부착 레그 대좌부 (2b) 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동 압축기 (201) 가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통상 부재 (12) 가, 단부 (12c 및 12d) 각각을 부착 체결구 (51) 및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부착면 (62a) 에 맞닿게 하여,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에 의한 압축력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2) 의 진동은,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면 (2c) 그리고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각각 통해,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에 전달된다.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에 전달된 진동은 각각 이들 감쇠 부재의 내부에서 감쇠되어, 통상 부재 (12), 부착 체결구 (51) 및 압축기 부착 대좌 (62) 를 통해 엔진 (61) 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이 때, 하우징 (2) 은, 어스 부재 (216) 및 통상 부재 (12) 를 통해 압축기 부착 대좌 (62) 즉 엔진 (6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따른 전동 압축기 (201) 의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에 있어서의 전동 압축기 (201) 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1 의 전동 압축기 (101) 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전동 압축기 (201) 에서는, 부착 레그부 (211) 에 있어서,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가 통상 부재 (12) 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통상 부재 (12) 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2) 의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 구멍 (2d 및 2e) 의 각각에 제 1 고정 지그 (14) 의 압입부 (14b) 및 제 2 고정 지그 (15) 의 압입부 (15b) 의 위치를 맞추도록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를 이동시켜, 부착 레그부 (211) 를 하우징 (2) 에 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착 구멍 (2d 및 2e) 의 간격이 상이한 여러 가지 하우징 (2) 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부착 레그부 (211) 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부착 레그부 (211) 는 범용성을 갖춘다. 따라서, 전동 압축기 (201) 의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동 압축기 (201) 에서는,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가 통상 부재 (12) 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했지만,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의 일방이 통상 부재 (12) 와 일체 성형되어 통상 부재 (12) 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 (2) 이 제 1 감쇠 부재 (213a) 및 제 2 감쇠 부재 (213b) 와 일체가 되면서, 통상 부재 (12) 에 대하여 그 원통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동 압축기 (201) 의 부착 레그부 (211) 에 있어서, 어스 부재 (216) 는, 실시형태 1 의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와 동일하게 하여, 제 1 감쇠 부재 (213a) 또는 제 2 감쇠 부재 (213b) 중에 매립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따른 전동 압축기 (301) 는, 실시형태 1 의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에 있어서, 2 개의 제 1 고정 지그 (14) 및 제 2 고정 지그 (15) 를 하나의 고정 지그 (314) 로 한 것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전동 압축기 (301) 의 부착 레그부 (311) 는, 실시형태 1 의 전동 압축기 (101) 의 부착 레그부 (11) 와 동일하게 하여, 통상 부재 (12) 의 외주면 (12a) 상에 대략 원통상의 감쇠 부재 (13) 를 일체로 가지며, 또한, 감쇠 부재 (13) 의 외주면 (13a) 에 고정 지그 (314) 를 일체로 갖고 있다.
고정 지그 (314) 는, 통상 부재 (12) 의 원통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상의 압입 시트부 (314a) 와, 압입 시트부 (314a) 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리브상의 압입부 (314b) 를 갖고 있다. 또한, 압입부 (314b) 는, 통상 부재 (12) 의 원통축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또, 하우징 (2) 의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부착면 (2c) 에는, 하우징 (2) 의 원통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홈 (22d) 이 형성되어 있다. 홈 (22d) 은, 압입부 (314b) 와 끼워 맞춤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부착 레그부 (311) 는, 감쇠 부재 (13) 의 내부에, 통상 부재 (12) 와 고정 지그 (314) 를 연결하는 어스 부재 (16) 를 일체로 갖고 있다.
따라서, 부착 레그부 (311) 는, 고정 지그 (314) 의 압입부 (314b) 를 하우징 (2) 의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홈 (22d) 에 압입함으로써, 부착 레그 대좌부 (2b) 에 부착ㆍ고정된다. 이 때, 부착 레그부 (311) 는, 하우징 (2) 에 대하여, 평행 방향 및 회전 방향 중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구속되어 이동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동 압축기 (301) 가 압축기 부착 대좌 (62) 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통상 부재 (12) 가, 단부 (12c 및 12d) 각각을 부착 체결구 (51) 및 압축기 부착 대좌 (62) 의 부착면 (62a) 에 맞닿게 하여,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에 의한 압축력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2) 의 진동은, 부착 레그 대좌부 (2b) 및 고정 지그 (314) 를 통해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된다. 감쇠 부재 (13) 에 전달된 진동은, 감쇠 부재 (13) 의 내부에서 감쇠되어, 통상 부재 (12), 부착 체결구 (51) 및 압축기 부착 대좌 (62) 를 통해 엔진 (61) 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이 때 하우징 (2) 은, 고정 지그 (314), 어스 부재 (16) 및 통상 부재 (12) 를 통해, 압축기 부착 대좌 (62) 즉 엔진 (6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따른 전동 압축기 (301) 의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전동 압축기 (301) 에 의하면, 상기 실시형태 1 의 전동 압축기 (101) 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전동 압축기 (301) 에서는, 고정 지그 (314) 의 압입부 (314b) 를 통상 부재 (12) 의 원통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상으로 하고, 압입부 (314b) 를 하우징 (2) 의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홈 (22d) 에 압입함으로써 부착 레그부 (311) 를 하우징 (2) 에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 (2) 에 대한 부착 레그부 (311) 의 부착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홈 (22d) 의 깊이가 얕아도 부착 레그부 (311) 의 부착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 (2) 의 부착 레그 대좌부 (2b) 의 두께를 얇게 하여, 전동 압축기 (301) 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실시형태 1 ? 3 의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에 있어서, 금속제의 통상 부재 (12) 로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에 의한 압축력을 지지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부재 (12) 를, 하우징 (2) 을 형성하는 금속의 손실 계수보다 큰 손실 계수를 가지며 또한 부착 체결구 (51) 의 체결에 의한 압축력에 견디는 압축 강도를 갖는 수지제의 통상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 및 3 의 부착 레그부 (11 및 311) 에 있어서, 상기 수지제의 통상 부재 (12) 와 감쇠 부재 (13) 를 일체로 한 하나의 부재로 해도 된다. 이에 따라, 부품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및 3 의 부착 레그부 (11 및 311) 에 있어서, 감쇠 부재 (13) 는 통상 부재 (12) 의 외주면 (12a) 을 둘러싸도록 하여 형성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쇠 부재 (13) 는 통상 부재 (12) 의 제 1 고정 지그 (14) 측에만 설치되고, 통상 부재 (12) 와 제 1 고정 지그 (14) 사이에 개재하여 서로를 직접 접촉시키지 않는 것이면 된다.
또, 실시형태 1 ? 3 의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에 있어서, 고정 지그 (14, 15 및 314) 의 평탄한 면에 감쇠 부재 (13, 213a 및 213b) 가 설치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쇠 부재 (13, 213a 및 213b) 가 설치되는 면은, 조면, 요철, 홈 등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고정 지그 (14, 15 및 314) 와 감쇠 부재 (13, 213a 및 213b) 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 3 의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에서는, 고정 지그 (14, 15 및 314) 에 돌출되는 압입부 (14b, 15b 및 314b) 가 형성되고, 하우징 (2) 에 움푹 패인 부착 구멍 (2d), 부착 구멍 (2e) 및 홈 (22d) 이 형성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 지그 (14, 15 및 314) 에 부착 구멍 (2d), 부착 구멍 (2e) 및 홈 (22d) 이 형성되고, 하우징 (2) 에 압입부 (14b, 15b 및 314b) 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및 2 의 부착 레그부 (11 및 211) 에서는, 고정 지그 (14 및 15) 의 압입부 (14b 및 15b) 는 원주 형상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형태 3 의 부착 레그부 (311) 의 압입부 (314b) 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 3 의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의 고정 지그 (14, 15 및 314) 에 있어서, 압입부 (14b, 15b 및 314b) 는, 통상 부재 (12) 의 원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의 하우징 (2) 에 대한 부착을 안정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상기 방향에서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 3 에 있어서, 하우징 (2) 의 부착면 (2c) 은 평탄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곡면이어도 좋고, 또는 단차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 고정 지그 (14, 15 및 314) 의 형상을 바꿈으로써,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를 하우징 (2) 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 3 의 부착 레그부 (11, 211 및 311) 는, 차량에 탑재된 엔진 (61) 에 부착된 전동 압축기에 설치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료 전지차나 전기 자동차 등에 있어서, 주행용 전동 모터에 부착된 전동 압축기에 설치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는, 냉동 회로의 냉매 압축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전동 압축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의 에어 서스펜션 장치에 사용되는 에어 압축기나, 연료 전지차에 있어서는, 수소 또는 공기를 스택에 압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펌프 등에 적용해도 좋다.

Claims (8)

  1. 차량의 피부착부에 부착되는 전동 압축기로서,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흡입한 유체를 압축한 후 토출하는 압축 기구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피부착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구비하는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통상체와,
    상기 통상체와 일체로 설치되고, 수지로 형성되는 감쇠 부재와,
    상기 감쇠 부재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끼워 맞춰짐으로써 일체가 된 상기 통상체 및 상기 감쇠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부착하는 고정용 부재와,
    상기 통상체에 삽입되어 상기 통상체를 상기 피부착부에 부착하는 체결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감쇠 부재는, 상기 통상체 및 상기 고정용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끼워 맞춰진 상기 고정용 부재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감쇠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를 형성하는 수지는,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재료가 갖는 진동의 감쇠 특성보다 큰 진동의 감쇠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 및 상기 고정용 부재는 금속제이며, 상기 통상체는, 상기 피부착부 및 상기 체결 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체결력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표면에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용 부재는, 상기 감쇠 부재가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목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용 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목부에 압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는, 상기 통상체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통상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통상체 및 상기 고정용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가요성 및 도전성을 갖는 도전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는, 굽힘 탄성률이 100 메가파스칼 이상 10000 메가파스칼 이하인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체의 축 방향의 단부는, 상기 감쇠 부재로부터 상기 통상체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KR1020120029769A 2011-03-28 2012-03-23 전동 압축기 KR101346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0330A JP5556721B2 (ja) 2011-03-28 2011-03-28 電動圧縮機
JPJP-P-2011-070330 2011-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023A true KR20120110023A (ko) 2012-10-09
KR101346425B1 KR101346425B1 (ko) 2014-01-02

Family

ID=4593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769A KR101346425B1 (ko) 2011-03-28 2012-03-23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76247B2 (ko)
EP (2) EP2505395B1 (ko)
JP (1) JP5556721B2 (ko)
KR (1) KR101346425B1 (ko)
CN (1) CN102705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3084B2 (ja) * 2010-03-31 2013-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482387B2 (ja) * 2010-03-31 2014-05-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556721B2 (ja) 2011-03-28 2014-07-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751291B2 (ja) * 2013-07-30 2015-07-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094497B2 (ja) * 2014-01-20 2017-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及び電動圧縮機の製造方法
JP6399398B2 (ja) 2014-12-18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圧縮機
US10882378B2 (en) * 2017-08-18 2021-01-05 Zhejiang CFMOTO Power Co., Ltd. ATV air heat exchanger with mounting structure and linkage
CN108826525B (zh) * 2018-07-06 2024-01-30 太仓京和机电有限公司 车用空调外机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1147A (en) * 1952-12-20 1956-06-19 Gen Motors Corp Support for refrigerating apparatus
JPS5783790A (en) * 1980-11-10 1982-05-25 Sankyo Denki Co Ltd Compressor for cooling vehicles
JPH0326983Y2 (ko) * 1985-03-20 1991-06-11
JPH0313594Y2 (ko) * 1986-12-17 1991-03-27
JPS6365873U (ko) 1986-10-17 1988-04-30
DE3768755D1 (de) * 1986-10-17 1991-04-25 Sanden Corp Montierungsmechanismus fuer den kompressor einer fahrzeugklimaanlage.
JPH0797032B2 (ja) 1987-08-12 1995-10-18 清水建設株式会社 構造物構築のための型枠位置計測装置
JPS6444810U (ko) * 1987-09-14 1989-03-17
JPS6444815U (ko) 1987-09-14 1989-03-17
JPS6444812U (ko) 1987-09-14 1989-03-17
DE3869528D1 (de) * 1987-09-14 1992-04-30 Sanden Corp Befestigung eines kraftfahrzeugkompressors fuer eine klimaanlage.
JPH0444418Y2 (ko) * 1988-04-28 1992-10-20
JPH02115979U (ko) * 1989-03-07 1990-09-17
JP3133562B2 (ja) * 1993-06-30 2001-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圧縮機等の固定装置
US5810322A (en) * 1995-12-26 1998-09-22 Zhao; Guoquan Apparatus for mounting a compressor
US5938169A (en) * 1996-11-26 1999-08-17 Suzuki Motor Corporation Engine mounting for engine accessory
US6098950A (en) * 1998-02-11 2000-08-08 Zupan; Frank J. Adjustable accessory mounting system for automobile motor
US5964579A (en) * 1997-06-24 1999-10-12 Rheem Manufacturing Company Prestressed resilient compressor mount apparatus
JP4066537B2 (ja) * 1998-10-28 2008-03-2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US6132183A (en) * 1998-11-23 2000-10-17 Carrier Corporation Compressor mounting
US6233140B1 (en) * 1999-01-22 2001-05-15 Dell U.S.A., L.P. Electrically conductive vibration dampener
DE19914655A1 (de) * 1999-03-31 2000-10-12 Luk Fahrzeug Hydraulik CO¶2¶-Kompressor
US6360712B1 (en) * 2000-05-01 2002-03-26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elf-aligning and locking mount for engine accessory
JP2002276554A (ja) * 2001-03-14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車のエンジンに搭載される電動機内蔵の圧縮機
US6705581B2 (en) * 2001-05-26 2004-03-16 Pacsci Motion Control, Inc. Pivotable motor mounting apparatus
US6543741B1 (en) * 2001-12-26 2003-04-08 Carrier Corporation Vibration isolation for a transversely mounted compressor
CN100457794C (zh) * 2003-03-28 2009-02-04 三井化学株式会社 丙烯共聚物,聚丙烯组合物及其用途,过渡金属化合物和烯烃聚合催化剂
JP2004360928A (ja) 2003-06-02 2004-12-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横置型圧縮機の取付構造
JP2005220856A (ja) 2004-02-06 2005-08-18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JP2005220855A (ja) * 2004-02-06 2005-08-18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JP2005220854A (ja) 2004-02-06 2005-08-18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の取付構造
US7278680B2 (en) * 2004-02-17 2007-10-09 Lanxess Corporation Structural carri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09074386A (ja) * 2007-09-19 2009-04-09 Sanden Corp 圧縮機
JP2010138808A (ja) * 2008-12-11 2010-06-24 Denso Corp 部品の取付け構造
US8602798B2 (en) * 2009-10-30 2013-12-10 Illinois Tool Works Inc. Saddle clamp having electrical bonding character
JP5299342B2 (ja) * 2010-03-31 2013-09-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482386B2 (ja) * 2010-03-31 2014-05-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273084B2 (ja) * 2010-03-31 2013-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482387B2 (ja) * 2010-03-31 2014-05-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US8714943B2 (en) * 2010-09-29 2014-05-06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Mounting and damping system for a compressor
JP5556721B2 (ja) 2011-03-28 2014-07-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609736B2 (ja) * 2011-03-28 2014-10-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05195B (zh) 2015-08-05
US20120251350A1 (en) 2012-10-04
JP2012202379A (ja) 2012-10-22
JP5556721B2 (ja) 2014-07-23
US9676247B2 (en) 2017-06-13
EP2743109A2 (en) 2014-06-18
EP2505395B1 (en) 2015-10-07
EP2505395A1 (en) 2012-10-03
CN102705195A (zh) 2012-10-03
EP2743109A3 (en) 2014-10-29
EP2743109B1 (en) 2016-03-23
KR101346425B1 (ko)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425B1 (ko) 전동 압축기
KR101350121B1 (ko) 전동 압축기
US887055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02207072B (zh) 电动压缩机
US8845304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8647080B2 (en) Motor-driven compressor
US20220307506A1 (en) Electric compressor
US20140377096A1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11954969A (zh) 用于电动机器的定子组件
US20110147150A1 (en) Attachment arrangement for a refrigerant compressor
JP2020034120A (ja) 防振グロメット
KR20140034422A (ko) 연료전지용 차량의 공기블로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