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9319A - 음성신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신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9319A
KR20120109319A KR1020120026943A KR20120026943A KR20120109319A KR 20120109319 A KR20120109319 A KR 20120109319A KR 1020120026943 A KR1020120026943 A KR 1020120026943A KR 20120026943 A KR20120026943 A KR 20120026943A KR 20120109319 A KR20120109319 A KR 2012010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noise
driving
lens por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986B1 (ko
Inventor
마사후미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9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제어기는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가 제1 종류의 렌즈부인 경우에 제1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음성처리기를 제어하고, 또 상기 제어기는,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가 제2 종류의 렌즈부인 경우에 제2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음성처리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음성신호 처리장치{AUDI0 SIGNAL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성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성신호 처리장치로서, 동화상 촬영을 할 수 있는 카메라등의 촬상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것들의 촬상장치 각각은,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렌즈, 조리개 등의, 촬상장치에 삽입된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그 때에 발생된 구동잡음은, 음성신호에 혼입해버려, 유저가 요구하지 않는 음성신호가 원치않게도 기록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여러 가지로 제안을 하였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03376호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계의 조정을 위한 모터의 동작시간에 따라 잡음처리 방법을 바꾼다. 이에 따라, 모터의 동작시간에 따라 잡음처리를 행하여서, 고품질 음성신호를 얻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카메라는, 모터의 동작시간이 길 경우에는, 로패스 필터에 의해 잡음을 저감하고; 모터의 동작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모터의 동작의 직전의 음성신호를 잡음발생기간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중첩하는 처리를 행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03376호에서는, 모터의 동작시간이 고려되지만, 잡음의 발생원의 종류는 고려되지 않고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는, 잡음의 발생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간단히 동작시간의 길이에 따라 잡음처리의 종류를 바꾼다. 따라서, 잡음처리의 전환에 관련된 유연성이 한정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음성신호에 포함되는 잡음을 저감하는 처리를, 동작시에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종류, 및 동작의 기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음성신호 처리장치는, 착탈가능한 렌즈부와 접속하는 접속수단;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음성취득수단; 상기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구동잡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음성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수단; 및 제어수단을 구비한 음성신호 처리장치로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제1 저감처리와 제2 저감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잡음구간 이전이나 이후의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발생된 신호를 사용하여서 상기 구동잡음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2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일부를 감쇄시켜서 상기 구동잡음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가 제1 종류의 렌즈부인 경우에, 상기 제1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가 제2 종류의 렌즈부인 경우에, 상기 제2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 및 이것에 접속된 촬상 렌즈(2)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촬상장치(1) 및 촬상 렌즈(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처리 방법들의 선택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4b는, 스테핑 모터의 여자방법을 설명하는 챠트,
도 5는 음성처리회로(26)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6b는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방법들과 취득된 음성신호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7a?7d는 필터 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하는 그래프,
도 8a?8c는 예측 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하는 그래프,
도 9a?d는 뮤트(뮤트)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하는 그래프,
도 10a, 10b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처리 방법들의 선택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기재되고, 이하 설명된 각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들의 조합 모두가,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장치를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 동화상 촬영이 가능한 촬상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렇지만, 동화상 촬영동작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면 주위의 음성신호를 집음 가능한 보이스 레코더에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장치를 적용 가능하기도 하다. 또한, 예를 들면, 촬상장치나 보이스 레코더등이 취득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퍼스널 컴퓨터(PC)에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동작시에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로서 광학계 구동부 및 커패시터를 예로 든 것이다. 그렇지만, 컴포넌트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컴포넌트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성신호 처리장치는, 이들 컴포넌트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다.
(제1의 실시예)
도 1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 및 이것에 접속된 촬상 렌즈(2)의 단면도다. 이때, 촬상 렌즈(2)는, 촬상장치(1)에 대하여 착탈가능하여도 되거나, 촬상장치(1)와 일체화되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번호 3은 촬영 광학계를, 4는 촬상 렌즈(2)의 광축을, 5는 렌즈 경통을, 6은 촬상소자를, 7은 촬상장치(1)에 설치된 마이크를, 8은 렌즈 제어를 행하는데 필요한 기판(board)을, 9는 촬영 광학계(3)의 조정을 위한 광학계 구동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10은 촬상장치(1)와 촬상 렌즈(2)를 연결하기 위한 접점을, 11은 소위 퀵 리턴 미러를, 12는 AE/AF센서를 포함하는 초점/노출 검출부를, 나타낸다.
촬상장치(1)는, 촬상 렌즈(2)와 초점/노출 검출부(12)를 사용하여, 초점/노출 검출을 행함과 아울러, 촬영 광학계(3)의 일부의 렌즈를 구동시켜서 촬영 광학계(3)를 조정함으로써, 광학상을 촬상소자(6)의 근방에 결상 시킴과 아울러 적절한 노광값을 얻도록 상기 조리개를 동작시킨다. 상세한 동작은, 도 2의 블록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촬상장치(1)는, 유저에 의한(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릴리즈(release) 버튼의 조작과 동기시켜서 촬상소자(6)로부터 피사체의 정보를 얻어,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도 2는, 촬상장치(1) 및 촬상 렌즈(2)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촬상장치(1)는, 촬상계, 화상처리계, 음성처리계, 기록/재생계, 및 제어계를 가진다. 촬상계는, 촬상 렌즈(2) 및 촬상소자(6)를 포함한다. 화상처리계는, A/D변환기(20) 및 화상처리회로(21)를 포함한다. 음성처리계는, 마이크(7) 및 음성처리회로(26)를 포함한다. 기록/재생계는, 기록 처리 회로(23) 및 기록 매체(24)를 포함한다. 제어계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 초점/노출 검출부(12), 조작검출 회로(27),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28), 및 광학계구동부(9)를 포함한다. 광학계구동부(9)는, 초점 렌즈 구동부(9a), 카메라 흔들림 보정구동부(9b), 및 조리개 구동부(9c)등을 포함한다.
촬상계는, 물체로부터 들어오는 광을, 촬상 렌즈(2)를 거쳐서 촬상소자(6)의 촬상면에 결상하는 광학처리계다. 에이밍(aiming)등의 촬영 예비동작동안에는, 퀵 리턴 미러(11)에 포함된 미러를 거쳐서, 초점/노출 검출부(12)에 광빔의 일부의 광선이 인도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계에 의해 적절하게 촬상 렌즈(2)가 조정될 때, 적절한 광량의 물체광을 촬상소자(6)에 노광하는 동시에, 촬상소자(6)의 근방에서 피사체상이 결상한다.
화상처리회로(21)는, A/D변환기(20)를 거쳐서 촬상소자(6)로부터 신호들을 받은 그 촬상소자의 화소의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이며, 화이트 밸런스 회로, 감마 보정회로, 보간연산에 의한 고해상도화를 행하는 보간연산 회로 등을 구비한다.
음성처리계에 있어서는, 음성처리회로(26)는, 마이크(7)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대하여 적절한 처리를 실시해서, 기록되는 음성신호를 발생한다. 기록되는 음성신호는, (후술할) 기록 처리 회로(23)에 의해 화상과 연동해서 압축 처리된다.
기록 처리 회로(23)는, 기록 매체(24)에 화상신호를 출력하고, 표시부(22)에 출력하는 화상을 생성 및 보존한다. 기록 처리 회로(23)는, 미리 정해진 방법을 사용해서 화상, 동화상, 음성등을 압축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촬상시의 타이밍 신호등을 생성해서 출력한다. 초점/노출 검출부(12)는, 촬상장치(1)의 초점 상태 및 피사체의 휘도 레벨을 검출한다.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28)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의 신호에 따라 적절하게 촬상 렌즈(2)를 구동시켜서 광학계의 조정을 행한다.
제어계는, 외부조작에 따라, 촬상계, 화상처리계, 및 기록/재생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셔터 릴리즈 버튼의 가압을 조작 검출 회로(27)가 검출하면, 제어계는, 촬상소자(6)의 구동동작, 화상처리회로(21)의 동작, 기록 처리 회로(23)의 압축 처리등을 제어한다. 제어계는, 표시부(22)에 의하여, 광학 뷰파인더, 액정 모니터등에 정보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정보표시장치의 각 세그먼트(segment)의 상태를 제어한다.
이하, 제어계에 의한 광학계의 조정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초점/노출 검출부(12)는, 상기 초점/노출 검출부(12)로부터의 신호들에 의거하여 적절한 초점위치와 조리개 위치를 산출하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에 접속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전기접점(10)을 거쳐서 이것들의 위치를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28)에 지시하고,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28)는, 초점 렌즈 구동부(9a) 및 조리개 구동부(9c)를 적절하게 제어한다. 또한,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28)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카메라 흔들림 검출 센서가 접속된다. 카메라 흔들림 보정 모드에서,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28)는, 카메라 흔들림 검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카메라 흔들림 보정구동부(9b)를 적절하게 제어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a, 6b를 사용하여,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방법과 잡음처리의 선택 방법과의 관계, 및 피사체가 발생하는 소리(이하, 피사체음이라고 함)와 조리개 구동부(9c)가 발생하는 불필요한 소리(이하, 기계적 구동 잡음이라고 함)와의 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이 잡음처리의 선택은, 동화상 촬영동작의 실행동안에 행해진다.
도 3은,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처리 방법들의 선택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을 기하기 위해서, 광학계구동부(9)의 예로서 조리개 구동부(9c)를 사용하여 아래의 설명을 행한다. 본 실시예의 조리개 구동부(9c)는, 촬상 렌즈(2)내에 배치된 스테핑 모터를 구동원으로서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필요에 따라서 광학계의 조정 동작을 행한다. 이 때에,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적당한 구동방법을 선택함과 아울러, 도 3에 나타낸 흐름도에 따라 대응한 잡음처리 방법도 선택한다.
단계S1O1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구동방법 및 잡음처리방법의 선택을 시작한다. 단계S102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장착된 촬상 렌즈(2)의 조리개 구동부(9c)가 마이크로 스텝 구동가능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조리개 구동부(9c)가 마이크로 스텝 구동가능한 것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정보는, 촬상장치(1)에 대하여 촬상 렌즈(2)가 장착된 후에, 촬상장치(1)가 적당한 타이밍에서 전기접점(10)을 거쳐서 촬상 렌즈(2)와 통신을 행할 때 취득된다. 그 장착된 촬상 렌즈(2)가 마이크로 스텝 구동이 가능하면, 처리는 단계S1O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O5에 진행된다.
단계S1O3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유저의 설정에 따라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속도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동화상 촬영시에 있어서 그늘로부터 양지로 피사체가 고속으로 이동하는 장면에서는, 피사체의 휘도 레벨이 크게 변화된다. 이러한 경우에, 조리개를 고속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저가 피사계 심도의 변화를 억제하면서 촬영동작을 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조리개를 저속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속도는, 유저에 의한 모드 등의 설정에 의거해 판단된다. 단계S1O3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촬영 설정을 참조해서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속도를 판단한다.
단계S1O2에서 조리개 구동부(9c)가 마이크로 스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나, 또는 단계S1O3에서 고속구동이 선택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O5에 진행된다. 단계S1O5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방법으로서 풀 스텝(full-step) 구동모드를 선택한다. 단계S1O7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잡음처리 방법으로서 예측 처리(상세한 것은 후술)를 선택한다. 그 이유는, 예측 처리에 의거한 잡음처리가, 예를 들면 0.5초등의 짧은 잡음에 대하여 특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그 선택한 잡음처리를 실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회로(26)를 제어한다.
단계S1O3에서 저속구동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1O9에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방법으로서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를 선택한다. 단계S1ll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잡음처리 방법으로서 필터 처리(상세한 것은 후술)를 선택한다. 그 이유는, 예측 처리에 의거한 잡음처리가, 예를 들면 0.5초등의 짧은 잡음에 대하여 특히 유효한 반면, 그 짧은 잡음보다도 긴 잡음에 대해서는 그다지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 스텝 구동에 의해 발생된 잡음일 경우에, 잡음의 음량도 작다. 이 때문에, 그 발생된 잡음의 주파수가 예를 들면, 로패스 필터등으로 저감되는 경우, 잡음을 충분하게 저감할 수 있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그 선택된 잡음처리를 실행하도록 음성처리회로(26)를 제어한다.
한편, 도 3의 흐름도에서는, 잡음의 발생원인 조리개 구동부(9c)의 동작 기간이 길은(역치이상) 경우(즉, 조리개 구동부(9c)가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필터 처리가 선택된다. 동작 기간이 짧은 경우(역치미만)(즉, 조리개 구동부(9c)가 풀 스텝 구동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예측 처리가 선택된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동작 기간이 짧을 경우이어도,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서, 필터 처리가 선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의 잡음 처리 방법들의 선택 처리는,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가 조리개 구동부(9c)인 사실을 고려하여 실행된다. 바꾸어 말하면, 동작시에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종류, 및 동작 기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잡음처리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다음에, 도 4a, 4b를 참조하여,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방법의 상세내용을 설명한다. 도 4a, 4b는, 스테핑 모터의 여자방법을 설명하는 챠트다. 도 4a, 4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전압을 나타낸다.
도 4a는 소위 풀 스텝 구동의 여자방법을 나타내고, 도 4b는 소위 마이크로 스텝 구동의 여자방법을 나타낸다. 어느 쪽의 구동방법에서도, 스테핑 모터의 여자파형에서, A위상 및 B위상의 전압은 90°위상 차이가 있다. A위상 및 B위상의 어느쪽의 위상이 진행하고 있는지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된다. 도 4a에 나타낸 풀 스텝 구동모드에 있어서는, A위상 및 B위상의 전압은, 2개의 전압상태간을 왕복하도록 변화된다. 풀 스텝 구동모드에 있어서, A위상 또는 B위상의 전압이 바뀌었을 때에 회전량이 소위 1스텝의 구동량이다. 1스텝의 구동에 의한 회전각은, 스테핑 모터의 구조에 따라 다르다. 풀 스텝 구동모드의 특징으로서, 2개의 코일에 대하여 동시에 전압을 인가하고 있으므로 구동 토오크가 크다. 이 때문에, 회전속도를 상승시킬 때도, 소위 탈조(stepping-out)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도 4b에 나타낸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에 있어서는, A위상 및 B위상의 전압은, 풀 스텝 구동의 전압의 사이에 몇 개의 상태를 갖게 단계적으로 변화된다.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의 특징으로서, 1스텝을 몇 개의 간격으로 단락지어서 구동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는, 정밀한 위치 정렬을 하는데 적합하다.
도 4a, 4b를 사용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속으로 크게 움직이는데는 풀 스텝 구동모드가 적합하고, 저속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데는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가 적합하다. 촬상장치(1)에 있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씬(scene)에 맞춰서 적절한 구동방법이 선택된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음성처리회로(26)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참조번호 41은 게인 조정부, 42는 필터, 43은 A/D변환기, 44는 잡음처리부, 45는 필터다.
마이크(7)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게인 조정부(41)에 공급된다. 게인 조정부(41)는, A/D변환기(43)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충분하게 활용하도록 마이크(7)의 신호레벨을 조정한다. 즉, 마이크(7)의 신호레벨이 작을 때는, 게인 조정부(41)는, 게인을 상승시켜 그 신호를 증폭하고, 마이크(7)의 신호레벨이 클 때는 게인을 하강시켜 포화를 막는다. 필터(42)는, A/D변환기(43)의 샘플링 주파수를 고려해서 적절한 컷오프 주파수를 가지는 로패스 필터등으로 구성된다. 마이크(7)가 특정한 주파수의 잡음을 발생하는 소자의 근방에 위치될 때, 필터(42)는 전술한 로패스 필터와 아울러, 적당한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A/D변환기(43)는, 게인 조정부(41) 및 필터(42)로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 변환한다.
잡음처리부(44)는, 복수의 잡음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 잡음처리부(44)는, 예측 처리부(44a), 필터 처리부(44b), 및 뮤트 처리부(44c)를 포함한다. 잡음처리부(44)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잡음처리부(44)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복수의 잡음처리를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 필터(45)는, 음성신호에 대하여 잡음처리를 행한 후에 필요하면 적당한 필터 처리를 실시하는데 필요하다. 필터(45)에 있어서의 필터 처리는, 필요하지 않으면 생략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잡음처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 "잡음처리"란, 전술한 기계적 구동 잡음(또는, 커패시터 등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 잡음)의 저감 처리를 말하지만, 화이트 노이즈의 저감 처리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기계적 구동 잡음의 유/무와 음성처리회로(26)의 동작과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계적 구동 잡음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잡음처리부(44)는 모든 잡음처리를 건너뛰도록 설정되고, 음성신호는 잡음처리부(44)를 통과한다. 또한, 필터(45)도 마찬가지로 동작되지 않는다. 이 때, A/D변환기(43)가 변환한 음성신호 자체는, 녹음용 음성신호로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에 출력된다. 기계적 구동 잡음이 존재하는 경우의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6a, 6b는 조리개 구동부(9c)의 구동방법과 취득된 음성신호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다. 도 6a, 6b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마이크(7)의 출력 전압이다. 도 6a, 6b는 피사체음으로서 음성신호가 입력될 때에, 조리개 구동부(9c)가 동작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조리개 구동부(9c)를 풀 스텝 구동모드로 구동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6b는 조리개 구동부(9c)를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로 구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6a와 도 6b간을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풀 스텝 구동모드에 있어서는, 피사체음에 대하여 기계적 구동 잡음이 영향을 주는 시간은 짧지만, 기계적 구동 잡음의 단위시간당의 영향은 크다. 한편,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에 있어서는, 피사체음에 대하여 기계적 구동 잡음이 영향을 주는 시간은 길지만, 기계적 구동 잡음의 단위시간당의 영향은 적다.
이하,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여, 필터 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마이크(7)의 출력 전압이다. 도 7a는 조리개 구동부(9c)를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로 구동했을 때에 취득된 음성신호를 나타내고, 도 7b는 도 7a의 음성신호를 로패스 필터를 사용하여 처리를 한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도 7c는, 조리개 구동부(9c)를 풀 스텝 구동모드로 구동했을 때에 취득된 음성신호를 나타내고, 도 7d는, 도 7c의 음성신호를 로패스 필터로 처리를 한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이때, 필터의 일례로서 로패스 필터를 들었다. 그렇지만, 조리개 구동부(9c)등의 컴포넌트가 동작시에 발생한 잡음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저감할 수 있는 필터이면, 어떤 필터를 사용해도 된다.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에 있어서는, 발생된 기계적 구동 잡음이 작기 때문에, 도 7a의 음성신호를 로패스 필터처리한 도 7b의 음성신호에서는 기계적 구동 잡음의 영향이 충분하게 저감되어, 고품질의 피사체음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풀 스텝 구동모드에서는 기계적 구동 잡음이 크기 때문에, 도 7c의 음성신호를 로패스 필터 처리한 도 7d의 음성신호에서는 기계적 구동 잡음의 성분이 여전히 많이 남아버린다. 로패스 필터의 다중 적용 처리를 실시할 때도, 기계적 구동 잡음이 피사체음과 같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하므로, 고품질의 피사체음을 얻기가 쉽지 않다.
도 7a 내지 7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학계 구동부(9)의 구동방법에 따라서는, 적당한 필터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고품질의 피사체음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필터 처리를 실시하여서 고품질의 피사체음을 얻을 수 없는 구동방법이 존재한다.
다음에,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예측 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8c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마이크(7)의 출력 전압이다. 도 8a는, 기계적 구동 잡음이 존재하고, 피사체음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의 음성신호를 나타내고, 도 8b는, 도 8a의 음성신호의 예측 처리의 중간 단계를 나타내며, 도 8c는, 도 8a의 음성신호의 예측 처리 후의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처리회로(26)는, 조리개 구동부(9c)를 풀 스텝 구동모드로 구동했을 때 기계적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구간에 대하여, 예측 처리에 의해 잡음처리를 행한다. 예측 처리에 있어서는, 예측 처리부(44a)는,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계적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구간의 신호를 파기한다. 다음에, 예측 처리부(44a)는, 후술하는 것처럼, 학습 동작과 예측 동작을 행하고, 예측 동작에 의해 산출한 신호로 기계적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구간(예측 구간)의 신호를 채운다(도 8c 참조).
이렇게, 예측 처리는, 예측 구간의 원래의 신호를 버리고, 예측 구간 앞뒤의 학습 구간의 신호에 의거하여 신호를 생성한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때문에, 예측 처리는, 필터 처리에 비교해서 예측 구간의 기계적 구동 잡음의 크기는 문제가 안되고, 예측 구간은 짧은 쪽이 성능이 좋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측 처리는, 풀 스텝 구동모드 등의 구동방법과 조합했을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예측 처리에 사용한, 선형 예측계수의 도출(학습 동작)과 그 선형 예측계수를 사용한 신호의 예측(예측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선형예측을 사용하면, 현재의 신호와 이 신호에 인접하는 유한수(이 경우에, p)의 표본값과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선형 1차 결합 관계를 가정한다.
Figure pat00001
(1)
여기서, εt는 평균치=0, 분산=σ2의 서로 무상관 확률변수다. 이 식을, xt가 과거의 값으로부터 예측되도록 변형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pat00002
(2)
식(2)에 의하면, εt가 충분히 작으면, 근방의 p개의 값의 선형합에 의해 현재의 값이 표현된다. xt를 상기의 예측에 의해 산출한 후, 그 근사가 충분하게 좋으면, xt +1도 마찬가지로 근방의 p개의 선형합에 의해 구해진다. 이렇게, εt를 충분하게 작게 할 수 있으면, 순차로 값을 예측해서 신호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εt를 최소화하는 αi의 산출방법을 생각한다. 본 발명에서는, εt를 최소화하는 αi를 산출하는 동작을 학습 동작이라고 부른다.
전술한 각 학습 구간에 있어서, εt의 2승합을 최소화하면 좋다. 학습의 시작 시간을 t0, 종료 시간을 t1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3)
여기서, α0=1이다. 이 식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Figure pat00004
(4)
식(3)을 최소화하도록 αi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식(3)의 αj(j=1, 2, …, p)에 관한 편미분을 0으로 하여 식(3)을 풀 수 있다.
Figure pat00005
(5)
식(5)는, p개의 선형연립 1차방정식을 풀면 αi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입증한다. 식(5) 중, cij는 xt-1(i=1, 2,…, p)로부터 구할 수 있다. 즉, 식(5)로부터 αi를 구할 수 있다.
식(5)에 따라서 αi를 결정했을 경우, εt의 2승합은 최소화되어 있다. 이 때, 식(2)으로부터, xt의 값의 좋은 근사는,
Figure pat00006
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 근사가 충분하게 좋으면,
Figure pat00007
는, xt 대신에 예측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xt +1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근방의 p-1개의 값과 예측에 의해 구한 신호로부터 근사 값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예측 구간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산출된 αi로부터 예측 구간의 근사를 산출하는 동작을 예측 동작이라고 부른다.
이하, 학습 동작과 예측 동작의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학습 동작을 행할 때, 예측 구간의 전후의 근방의 신호를 사용한다. 이것은, 음성신호의 성질, 즉 지극히 단시간의 영역에 착안하면 비교적 높은 반복성을 이용한다. 도 8a 내지 8c와 같이, 기계적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구간 앞의 시간에 학습 구간1을 설정하고, 기계적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구간 뒤의 시간에 학습 구간2를 설정한다. 학습 동작 및 예측 동작에 있어서는, 학습 구간1 및 2의 신호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산출을 행한다. 학습 구간1에서 학습 동작을 행한 후에 예측 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전방에서의 예측이라고 부르고, 학습 구간2에서 학습 동작을 행한 후에 예측 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후방에서의 예측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예측 구간의 신호는, 학습 구간1에 가까울 경우에는 전방에서의 예측에 의해 얻어진 값의 가중치를 보다 크게 설정하고, 학습 구간2에 가까울 경우에는 후방에서의 예측에 의해 얻어진 값의 가중치를 보다 크게 설정하도록, 적당한 연산을 행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학습 구간은, 반드시 예측 구간의 전후 양쪽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바꾸어 말하면, 예측 처리부(44a)는, 예측 구간(동작시에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동작 기간)의 전후 적어도 한쪽의 기간을 학습 구간으로서 설정하여도 되고, 이 학습 구간의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음성신호에 의해 예측 구간의 음성신호를 치환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9a 내지 9d를 참조해서 뮤트 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9d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며, 세로축은 마이크(7)의 출력 전압이다. 도 9a는 기계적 구동 잡음과 피사체음을 합쳐서 취득된 음성신호를 나타내고, 도 9b는 기계적 구동 잡음의 근방에 도 9a의 확대도로서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도 9c는 도 9a의 음성신호의 뮤트 처리 후의 음성신호를 나타내고, 도 9d는 뮤트 처리의 구간 근방에 도 9c의 확대도로서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도 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사체음을 포함하는 시간동안에 항상 기계적 구동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9a는, 피사체음의 종료 위치 후에 기계적 구동 잡음이 발생한 경우의 예를 든 것이다. 기계적 구동 잡음의 발생 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9b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계적 구동 잡음의 직전 및 직후에는 피사체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기계적 구동 잡음이 발생하는 타이밍은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므로, 그 발생 타이밍 전후의 신호의 파워를 관측함으로써 피사체음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적 구동 잡음의 발생 타이밍 전후 0.1초정도의 구간에서의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여 파워 스펙트럼을 추정하여도 된다. 전술한 파워가 충분하게 작다고 판단될 수 있으면, 전술한 예측 처리를 대신해서 뮤트 처리로 기계적 구동 잡음 발생 구간의 신호를 처리한다. 이 뮤트 처리는, 전술한 예측 처리와 비교하여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c는, 뮤트 처리 후의 신호를 나타낸다. 뮤트 처리는, 적어도 기계적 구동 잡음 발생 구간을 포함하는 필요한 최소의 구간에 대하여 적용된다. 도 9c 및 도 9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뮤트 처리는, 피사체음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서는 뮤트 처리를 행함으로써 쉽게 고품질의 음성신호를 얻을 수 있다.
도 9a 내지 9d를 사용하여 설명한 뮤트 처리에 있어서는, 기계적 구동 잡음발생 구간중에 피사체음이 없는 것을 예측하므로, 그 구간의 시간이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뮤트 처리는, 전술한 예측 처리와 같이, 풀 스텝 구동모드와 같은 구동방법과 조합하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처리회로(26)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의 제어하에, 조리개 구동부(9c)가 풀 스텝 구동모드(즉, 동작 기간이 짧다)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예측 처리(또는, 일부의 경우에는 뮤트 처리)를 선택하고, 또는, 조리개 구동부(9c)가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즉, 동작 기간이 길다)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필터 처리를 선택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저감하는 처리를, 동작시에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종류와 동작 기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제2의 실시예에서는 동작 기간이 짧은 경우에도,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종류에 따라서는, 필터 처리가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의 실시예에서는, 달리 특정되지 않으면, 촬상장치(1)의 구성 등은 제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도 10a, 10b는, 제2의 실시예에 따른 잡음처리방법의 선택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a, 10b에 있어서, 동일한 단계 번호는 도 3과 같은 처리가 실행되는 단계를 의미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조작 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거쳐서, 동화상 촬영/음성기록 시작의 지시를 수신하면,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단계S201에 있어서 동화상 촬영동작을 시작한다.
단계S203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예를 들면, 화상처리회로(21)를 사용해서 촬상면의 휘도신호에 적당한 신호 처리를 가함으로써, 휘도레벨을 측정한다. 단계S205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단계S203에서 측정한 휘도레벨을 기초로 조리개 구동부(9c)의 동작이 필요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촬상소자(6)가 포화할 것 같은 경우에는 조리개를 최소 구경측으로 구동해야하거나, 휘도레벨이 너무 낮아서 촬상소자(6)의 S/N비를 저하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조리개를 개방 구경측으로 구동해야 한다. 조리개를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처리는 단계S1O3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S217에 진행된다.
단계S1O3 내지 단계S1ll의 처리는, 제1의 실시예와 같다. 이하, 이들의 처리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즉, 조리개 구동동작에 있어서는, 동작 기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0 .5초)보다도 짧을 경우(풀 스텝 구동모드의 경우)에는, 잡음처리를 하기 위해 전술한 예측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동작 기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0 .5초)보다도 길 경우(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의 경우)에는, 잡음처리를 하기 위해 전술한 필터 처리가 실행된다.
단계S217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동화상 촬영 처리를 우해 필요한 커패시터A(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의 챠지(charging) 동작의 실행의 필요와 불필요를 확인한다. 그 챠지 동작이 필요할 경우, 처리는 단계S219에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커패시터A의 챠지 동작을 실행한다. 커패시터A의 챠지 동작에는, 약 3초 내지 4초의 시간이 걸리고, 그 간격동안, 소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10kHz)의 잡음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동화상 촬영동작중에 커패시터A가 챠지될 때, 단계S225에서, 노치 필터에 의해 10kHz의 음성신호를 저감시킨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러한 종류의 잡음은, 회로의 커패시터A와 코일에 의한 공진주파수의 잡음이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선택한 잡음처리를 실행하도록 음성처리회로(26)를 제어한다.
단계S227에서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유저 조작의 유/무를 판단한다. 유저가 어떠한 조작도 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S203에 되돌아가서,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유저가 임의의 조작을 하는 경우, 처리는 단계S229에 진행된다.
단계S229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유저가 줌 조작을 행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유저가 줌 조작을 행했을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231에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줌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단계S233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잡음처리로서 필터 처리를 선택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선택한 잡음처리를 실행하도록 음성처리회로(26)를 제어한다.
단계S235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커패시터B(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의 챠지 동작의 실행의 필요와 불필요를 확인한다. 커패시터B의 챠지 동작은, 유저의 지시에 따라 모니터의 재표시나, 정지 화상용의 플래쉬 발광등이 행해진 후 챠지된 전하가 일시적으로 방전되었을 경우에 필요해진다. 챠지 동작이 필요할 경우, 단계S237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커패시터B의 챠지 동작을 실행한다. 커패시터B에의 챠지 동작에는, 0.2초 내지 0.5초정도의 시간이 걸리고, 그 간격 동안, 커패시터A와 마찬가지 또는 다른 주파수(예를 들면, 10kHz 또는 12kHz)의 잡음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단계S241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노치 필터에 의해 10kHz 또는 12kHz의 음성신호를 저감시키도록 필터 처리를 선택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선택한 잡음처리를 실행하도록 음성처리회로(26)를 제어한다.
단계S243에서,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유저가 촬영 종료의 조작을 행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유저가 촬영 종료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S245에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동화상 촬영/음성기록을 종료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S203에 되돌아가고,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도 10b의 단계S237 및 단계S241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1)는, 커패시터의 챠지 동작에 의해 생긴 잡음에 대해서는, 조리개 구동부(9c)의 경우와는 달리, 동작 기간이 짧은 경우에도 필터 처리를 행한다. 이것은, 커패시터(제2의 컴포넌트)의 동작에 기인하는 잡음이, 조리개 구동부(9c)(제1의 컴포넌트)의 동작에 기인하는 잡음과 비교하여, 필터 처리에 의한 저감에 적합한 성질을 갖기 때문이다. 예측 처리의 연산 부하는, 필터 처리의 연산 부하보다도 크다. 이 경우에, 커패시터 등의 컴포넌트에 관해서는 동작 기간이 짧을 때도 필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촬상장치(1)의 연산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측 처리의 경우와 달리, 잡음 발생 기간동안의 피사체음을 어느 정도 남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조리개 구동부(9c)가 풀 스텝 구동모드(즉, 동작 기간이 짧다)의 경우에는 예측 처리(또는 일부의 경우에는 뮤트 처리)를 선택하고, 조리개 구동부(9c)가 마이크로 스텝 구동모드(즉, 동작 기간이 길다)의 경우에는 필터 처리를 선택한다. 한편, 커패시터의 챠지 동작의 경우,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25)는, 동작 기간의 길이에 관계없이 필터 처리를 선택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저감하는 처리를, 동작시에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종류, 및 동작 기간의 길이에 의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커패시터A 및 커패시터B를 독립적인 커패시터로서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단일의 커패시터에 대하여 다른 시간을 필요로 하는 챠지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줌 동작의 경우에는 항상 필터 처리가 실행되었지만(단계S231 및 단계S233 참조), 이와는 달리, 잡음발생시간이 짧은 경우에 예측 처리를 실행하여도 되고, 길 경우에는 필터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또한, 초점 렌즈 구동부(9a)에 대해서는, 잡음발생시간의 길이에 관계없이 필터 처리를 실행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필터 처리에 의한 저감에 적합한 성질을 갖는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의 경우에는, 동작 기간의 길이에 관계없이 필터 처리를 실행할 때, 피사체음을 그렇게 손상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잡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한 컴포넌트의 동작 기간이 짧은 경우에도, 예측 처리 대신에 필터 처리가 선택되므로, 촬상장치(1)의 연산 부하가 저감된다.
(변형 예)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촬상장치(1)는, 동화상 촬영동작시에 잡음처리를 행했다. 그렇지만, 촬상장치(1)는, 동화상 촬영동작시에 어떠한 잡음처리도 없이 음성신호를 기록하고, 나중에 잡읍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촬상장치(1)는, 잡음을 발생하는 컴포넌트들의 종류 및 동작 타이밍과 함께 음성신호를 기록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음성신호의 재생시에, 촬상장치(1)는, 기록된 컴포넌트들의 종류 및 동작 타이밍에 근거하여, 도 10a, 10b를 참조해서 상기 설명한 잡음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도 10a, 10b에 나타낸 흐름도는 필요에 따라 수정되어도 된다(예를 들면, 단계S217은 "커패시터A의 동작 타이밍"이라고 읽고, 단계S219는 생략된다). 또한, 촬상장치(1)자신 대신에, 음성신호의 취득시의 컴포넌트들의 종류 및 동작 타이밍과 함께 음성신호를 촬상장치(1)로부터 취득하는 PC등이 잡음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촬상장치(1)는 음성신호 취득장치로서 기능하고, PC는 음성신호 처리장치로서 기능한다.
(기타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0)

  1. 착탈가능한 렌즈부와 접속하는 접속수단;
    음성신호를 취득하는 음성취득수단;
    상기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구동잡음을 저감시키도록 상기 음성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수단; 및
    제어수단을 구비한 음성신호 처리장치로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제1 저감처리와 제2 저감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잡음구간 이전이나 이후의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발생된 신호를 사용하여서 상기 구동잡음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2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일부를 감쇄시켜서 상기 구동잡음을 저감시키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가 제1 종류의 렌즈부인 경우에, 상기 제1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종류가 제2 종류의 렌즈부인 경우에, 상기 제2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구동방식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저감처리나 상기 제2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의 상기 구동방식을 제어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렌즈부는, 마이크로 스텝 구동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구동부재를 구동시키지 않는 렌즈부인, 음성신호 처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류의 렌즈부는, 마이크로 스텝 구동에 의해 상기 렌즈부의 구동부재를 구동시키는 렌즈부인, 음성신호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저감처리나 상기 제2 저감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음성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된 착탈가능한 렌즈부에 의해 얻어진 촬상을 하는 촬상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촬영 설정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상기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상기 잡음구간의 음성신호를, 상기 구동잡음의 상기 잡음구간 이전이나 이후의 상기 음성신호에 의거하여 발생된 상기 신호로 대체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상기 잡음구간의 음성신호를 뮤트(mute)하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감처리에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구동잡음의 상기 잡음구간의 특정한 주파수의 음성신호를 저감시키는, 음성신호 처리장치.
KR1020120026943A 2011-03-23 2012-03-16 음성신호 처리장치 KR101399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4825 2011-03-23
JP2011064825A JP2012203040A (ja) 2011-03-23 2011-03-23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9319A true KR20120109319A (ko) 2012-10-08
KR101399986B1 KR101399986B1 (ko) 2014-05-27

Family

ID=4686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943A KR101399986B1 (ko) 2011-03-23 2012-03-16 음성신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54212B2 (ko)
JP (1) JP2012203040A (ko)
KR (1) KR101399986B1 (ko)
CN (1) CN102695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11B1 (ko) * 2013-06-13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8155845A (ja) * 2017-03-16 2018-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ャッタ装置、およびシャッタ装置の制御方法
CN115209209A (zh) * 2022-09-15 2022-10-18 成都索贝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演艺现场手机录制分发专业音频短视频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3873A (ja) * 1990-12-28 1992-08-21 Minolta Camera Co Ltd レンズ交換可能なビデオカメラ
JP3107117B2 (ja) * 1992-09-09 2000-11-06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20040032509A1 (en) * 2002-08-15 2004-02-19 Owens James W. Camera having audio noise attenuation capability
JP4466384B2 (ja) * 2005-01-19 2010-05-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ノイズ低減装置及びノイズ低減方法
JP2006211437A (ja) * 2005-01-31 2006-08-10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ノイズ低減装置及びノイズ低減方法
JP2006270591A (ja) * 2005-03-24 2006-10-05 Nikon Corp 電子カメラ、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51656A (ja) * 2006-03-16 2007-09-27 Canon Inc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11284A (ja) * 2006-06-30 2008-01-17 Fujitsu Ltd 画像処理回路、撮像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5162858B2 (ja) * 2006-08-24 2013-03-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音声記録装置および音声記録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8178062A (ja) * 2006-12-22 2008-07-31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4403429B2 (ja) * 2007-03-08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20080309786A1 (en) * 2007-06-15 2008-12-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2009260603A (ja) * 2008-04-16 2009-11-05 Nikon Corp 電子カメラ
US8169535B2 (en) * 2008-05-16 2012-05-01 Panasonic Corporation Interchangeable lens,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JP5219761B2 (ja) * 2008-12-02 201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0193053A (ja) * 2009-02-17 2010-09-02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ノイズ低減方法
JP2010226412A (ja) * 2009-03-24 2010-10-07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2010249940A (ja) * 2009-04-13 2010-11-04 Sony Corp ノイズ低減装置、ノイズ低減方法
JP5289202B2 (ja) * 2009-06-19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1018995A (ja) * 2009-07-07 2011-01-27 Nikon Corp カメラボディ及び撮像装置
JP5351644B2 (ja) * 2009-07-27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記録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JP5391008B2 (ja) * 2009-09-16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77604A (ja) * 2009-09-29 2011-04-14 Sony Corp ノイズ除去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ノイズ除去方法
US8698911B2 (en) * 2009-10-28 2014-04-15 Nikon Corporation Sound recording device, imag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optical device, and program
US8514300B2 (en) * 2009-12-14 2013-08-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for reducing driving noise
JP5538918B2 (ja) * 2010-01-19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システム
JP5024470B2 (ja) * 2010-04-02 2012-09-12 株式会社ニコン 撮影装置、信号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5529635B2 (ja) * 2010-06-10 2014-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2012009978A (ja) * 2010-06-23 2012-01-12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2012032648A (ja) * 2010-07-30 2012-02-16 Sony Corp 機械音抑圧装置、機械音抑圧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5656586B2 (ja) * 2010-11-26 2015-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並びに音声処理装置及び方法
JP5839795B2 (ja) * 2010-12-01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594133B2 (ja) * 2010-12-28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00100A1 (en) * 2011-05-27 2012-11-29 Nikon Corporation Noise reduc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noise reduction processing program
US9086612B2 (en) * 2011-10-06 2015-07-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terchangeable lens and camera body to which interchangeable lens is mountable
JP5930684B2 (ja) * 2011-12-01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63430B2 (ja) * 2011-12-01 2016-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音声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5932399B2 (ja) * 2012-03-02 2016-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音声処理装置
JP6061476B2 (ja) * 2012-03-02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54212B2 (en) 2014-02-18
JP2012203040A (ja) 2012-10-22
KR101399986B1 (ko) 2014-05-27
US20120242891A1 (en) 2012-09-27
CN102695027B (zh) 2015-05-13
CN102695027A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7644A1 (en) Digital camera
KR101575626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방법
JP2011257656A (ja)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6045254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294647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160311A (ja) 撮像装置
KR101399986B1 (ko) 음성신호 처리장치
JP2011193185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交換レンズ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35408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US7945155B2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method of controlling exposure in the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KR101457392B1 (ko)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
JP396431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5075110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4715200B2 (ja) 電子カメラ
US20130155263A1 (en) Lens control device and camera system
JP5932399B2 (ja) 撮像装置及び音声処理装置
JP201209511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81758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方法
JP2006330394A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
JP2002330335A (ja) 静止画像撮像装置
JP2004070037A (ja) 自動焦点調節装置
JP5759127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焦点調節方法
JP5202292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1097335A (ja) 信号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907142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音声付き動画記録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