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392B1 -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392B1
KR101457392B1 KR1020110121966A KR20110121966A KR101457392B1 KR 101457392 B1 KR101457392 B1 KR 101457392B1 KR 1020110121966 A KR1020110121966 A KR 1020110121966A KR 20110121966 A KR20110121966 A KR 20110121966A KR 101457392 B1 KR101457392 B1 KR 10145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ignal
unit
driving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526A (ko
Inventor
후미히로 카지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4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구동신호가 출력되고나서 소정의 기간 동안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해석하고, 소정의 기간의 음성신호에 포함되는 특정한 주파수 성분에 근거하여 잡음 저감 기간을 결정한다. 그리고,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로부터 잡음 저감 기간에 발생된 잡음을 저감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IMAGING APPARATUS AND AUDIO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지 화상 촬영 이외에, 동화상 촬영과 음성신호 기록을 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상품화되어 있다. 동화상 촬영시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상태가 변경되므로, 포커스 렌즈의 구동이나 휘도 변화에 따른 조리개 기구의 구동을 위해 디지털 카메라의 구동부가 동작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의 동작이 기록되고 있는 음성신호에 잡음을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따라서, 이와 같은 구동 잡음을 저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6-279185호 공보에는, 잡음을 제거하는 한가지 수법인 스펙트럴 서브트랙션(spectral subtraction)법을 수행하는 촬상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 촬상장치의 줌렌즈를 구동시키기 위해 줌 키를 조작하면, 촬상장치가 줌렌즈 구동 모터의 구동에 동기하여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해 잡음 제거를 행한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6-287387호 공보에는, 전술한 잡음 제거를 실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동 잡음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의 근방에 참조용 마이크를 설치한다. 참조용 마이크에 입력되는 구동 잡음이 소정 레벨을 초과했을 때, 잡음 제거가 행해진다. 참조용 마이크에 입력된 신호에 근거하여 잡음을 검출하므로, 구동 모터에 구동신호가 전달되는 타이밍과 실제로 구동 모터를 구동해서 구동 잡음이 발생한 타이밍 사이의 타임 래그(time lag)가 줄어든다.
더구나, 일본국 특개 2001-344000호 공보에는, 휴대전화 등의 음성신호를 부호화해서 전송하는 통신장치에 있어서 발생되는 돌발적인 잡음을 정밀하게 검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을 행할 때 취득하는 음성신호를 소정이 시간 길이의 프레임들로 분할한 후, 프레임마다의 신호를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다. 그후, 주파수 대역마다 신호레벨의 변화를 감시해서, 돌발적인 잡음을 검출한다.
그렇지만, 음성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 기술에서는, 잡음 제거를 행할 구간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국 특개 2006-27918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줌 키 조작 타이밍에 따라 잡음처리를 행할 구간을 결정한다. 타이밍 신호가 부정확한 경우에는, 정밀하게 잡음처리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06-287387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주 마이크 이외에, 별도의 잡음 취득용의 참조용 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면 부품수가 증가해 버린다. 또한, 참조용 마이크에 항상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전력소비가 증가한다.
더구나, 일본국 특개 2001-34400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동안, 프레임마다 주파수 영역으로 신호를 항상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파수 영역으로의 변환을 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푸리에 변환은, 연산량의 면에서 부하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소하여, 잡음을 적절히 제거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구동 잡음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벼운 연산 부하로 구동 잡음이 발생하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구동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촬상장치는, 피사체의 광학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촬영부와, 피사체의 광학상을 상기 촬영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음성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음성 취득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될 때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음성신호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특징 주파수 성분의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구간에 근거하여 잡음 저감 기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와, 상기 잡음 저감 기간 동안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잡음을 저감하도록 구성된 잡음 저감부와, 상기 잡음 저감부에 의해 잡음이 저감되는 음성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음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중앙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개략 구성 블록도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잡음 제거 처리의 흐름도다.
도 4a 및 4b는 구동 잡음이 발생된 음성신호의 파형예와 특정 주파수 성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 및 도 5e는 잡음 제거 처리 구간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잡음 제거 처리 구간의 음성을 예측하는 처리의 설명도다.
도 7은 광학 요소마다의 해석 구간 길이, 특징 주파수 및 음압 임계값의 표이다.
도 8a 및 8b는 구동부마다의 구동 잡음예이다.
도 9는 제2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구성의 개략 구성 블록도다.
도 11은 외부 연산 처리장치에 의해 행해진 잡음 제거 처리의 흐름도다.
도 12는 메모리를 분리하여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중앙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는 카메라 보디(101) 및 촬영 렌즈(102)를 구비한다. 촬영 렌즈(102)는, 렌즈 경통(103) 내부에 광축(105)을 갖는 촬상광학계(104)를 구비한다. 촬상광학계(104)는, 포커스 렌즈군, 손떨림 보정 렌즈 유닛 및 조리개 기구, 이들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광학계 구동부(106)를 구비한다. 촬상광학계(104)는 광학계 구동부(106)를 제어하는 렌즈 제어부(107)를 갖는다. 촬상광학계(104)는, 렌즈 마운트 접점(108)에서 카메라 보디(101)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촬영 렌즈(102)의 전방으로부터 입사하는 피사체 광학상은 광축(105)을 통과하여 카메라 보디(101)에 입사한다. 입사광의 일부를 하프미러로 구성된 주 미러(110)가 반사하고, 반사광은 포컬 스크린(117) 위에 결상한다. 유저 또는 촬영자는, 포컬 스크린(117) 위에 결상한 광학상을, 펜타프리즘(111)을 통해 접안창(112)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은 광학 뷰파인더를 구성한다.
자동 노출(automatic exposure: AE) 센서(116)는, 포컬 스크린(117) 위에 결상한 광학상의 밝기를 검출한다. 또한, 주 미러(110)를 투과한 피사체 광학상은, 서브 미러(113)에서 반사되어, 자동 포커스(auto-focus: AF) 센서(114)에 입사한다. AF 센서(114)의 출력은 피사체상의 초점 검출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AE 센서(116)는, 포컬 스크린(117)의 전체, 혹은 포컬 스크린(117)의 일부 또는 복수의 부분의 노광량을 검출한다.
카메라 보디(101) 내부에 있는 릴리즈 버튼(미도시)을 유저가 조작하면, 촬영을 개시하는 명령이 내려진다. 그후, 주 미러(110) 및 서브 미러(113)는, 피사체 광학상이 촬상 센서(118)에 입사하도록 촬영 광로로부터 후퇴한다.
AF 센서(114) 및 AE 센서(116)의 검출 출력과, 촬상 센서(118)의 출력은, 카메라 제어부(119)에 공급된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공급된 신호에 따라, 카메라(100)의 전체를 제어한다.
동화상 촬영시에는, 마이크(115), 즉 음성 입력부가, 외부의 음성을 받아들여, 받아들인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신호를 카메라 제어부(119)에 공급한다. 이 음성신호는, 촬상 센서(11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와 동기하여, 기록 처리된다.
도 2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의 개략 구성 블록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는, 촬상계, 화상처리계, 음성처리계, 기록재생계 및 제어계를 갖는다. 촬상계는, 촬상광학계(104) 및 촬상 센서(118)를 포함한다. 화상처리계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부(131) 및 화상 처리부(132)를 포함한다. 음성처리계는, 마이크(115) 및 음성신호 처리부(137)를 포함한다. 기록재생계는, 기록부(133) 및 메모리(134)를 포함한다. 제어계는, 광학계 구동부(106), 렌즈 제어부(107), 카메라 제어부(119), AF 센서(114), AE 센서(116) 및 조작 스위치 검출부(135)를 포함한다. 광학계 구동부(106)는, 초점 렌즈 구동부(106a), 손떨림 보정 구동부(106b) 및 조리개 구동부(106c)를 갖는다.
촬상계는, 촬상광학계(104)를 사용하여 피사체로부터 나온 빛을 촬상 센서(118)의 촬상면에 결상하는 광학처리장치이다. 에이밍(aiming) 등의 촬영 예비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중에는, 주 미러(110)에 설치된 미러를 거쳐, AF 센서(114), 즉 초점 검출부에도 광속의 일부가 안내된다.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제어계가 적절하게 촬상광학계(104)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한 광량의 물체광이 촬상 센서(118)에 입사하는 동시에, 촬상 센서(118)의 근방에서 피사체 상이 결상한다.
A/D 변환부(131)는, 촬상 센서(118)에서 출력된 화상신호를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화상신호를 화상 처리부(132)에 입력한다. 그후, 화상 처리부(132)는, A/D 변환부(131)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화상 처리부(132)는, 화이트 밸런스 회로, 감마 보정회로 및 보간연산을 행하여 고해상도화를 행하는 보간 연산회로를 갖는다.
음성처리계의 음성신호 처리부(137)는, 마이크(115)의 출력 신호에 대해 적절한 처리를 실시해서, 녹음용 음성신호를 생성한다. 후술하는 기록부는 화상 데이터와 연동해서 생성된 음성신호를 기록한다.
기록부(133)는, 메모리(134)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시에, 화상 표시장치(136)에 출력해야 할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보존한다. 또한, 기록부(133)는 소정의 방법을 사용하여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압축한다. 기록부(133)는 압축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촬영시의 타이밍 신호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AF 센서(114), 즉 초점 검출부는, 피사체의 초점 상태를 검출하고, AE 센서(116), 즉 노출 검출부는 피사체의 휘도를 검출한다. 렌즈 제어부(107)는, 카메라 제어부(119)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촬상광학계(104)의 초점, 줌 및 조리개를 조정한다.
제어계는, 외부 조작에 따라 촬상계, 화상처리계 및 기록재생계를 각각 제어한다.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 검출부(135)는, 셔터 릴리즈 버튼(미도시)을 유저가 누른 것을 검출한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이 검출 출력에 따라, 촬상 센서(118)의 구동, 화상 처리부(132)의 동작, 및 기록부(133)에 의해 행해질 압축 처리를 제어한다. E한, 카메라 제어부(119)는, 화상 표시장치(136)를 구성하는 광학 파인더 및 액정 모니터에 의해 행해지는 정보 표시를 제어한다.
촬상광학계의 조정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AF 센서(114) 및 AE 센서(116)의 검출 출력에 따라, 적절한 초점위치와 조리개 위치를 결정한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그 위치로 초점 렌즈와 조리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를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렌즈 제어부(107)에 공급한다. 렌즈 제어부(107)는, 카메라 제어부(11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초점 렌즈 구동부(106a) 및 조리개 구동부(106c)가 각각 초점 렌즈 및 조리개를 구동하게 한다.
더구나, 렌즈 제어부(107)는 손떨림 검출 센서(미도시)에 접속된다.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가 손떨림 보정 모드에 있을 때, 렌즈 제어부(107)는, 손떨림 검출 센서의 검출 출력에 따라 손떨림 보정 구동부(106b)를 제어해서 손떨림을 경감시킨다.
동화상 촬영시에는, 주 미러(110) 및 서브 미러(113)가 광축(105)을 통해 촬상 센서(118)로 통하는 광로로부터 후퇴한다. 따라서, AF 센서(114) 및 AE 센서(116)에는 피사체 광학상이 입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 카메라 제어부(119)는, 초점 렌즈 구동부(106a)의 구동량과 촬상 센서(118)로부터 출력되는 연속적인 화상신호를 사용하여, 촬상광학계의 초점 상태를 조절한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소위 등산 방식으로 불리는 초점 검출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119)는, 촬상 센서(11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휘도를 산출하여, 조리개를 조절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동화상 촬영시의 음성신호 녹음중에 발생한 촬상광학계(104)의 구동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개 구동부(106c)가 동작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잡음 제거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음성신호의 파형예와 추출 주파수의 음압 레벨의 변화예를 나타낸다. 도 4a는, 마이크(115)에 의해 취득되는 음성신호의 파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횡축은 시간을, 종축은, 마이크(115)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의 전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음성신호의 10kHz와 2kHz의 주파수 성분의 음압 변화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여,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e는, 촬영 렌즈(102)의 조리개를 조리개 구동부(106c)가 구동할 때의 타이밍 차트를 나타낸다. 도 5a는, 카메라 보디(101)로부터의 촬영 렌즈(102)에의 조리개 구동명령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5b는, 조리개 구동부(106c)가 실제로 조리개를 구동하는 구동전압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5c는, 조리개 구동부(106c)가 구동 잡음을 발생하는 기간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다. 도 5d는, 소정 길이의 시간 동안 음성신호를 버퍼링하여 잡음 제거처리 구간을 결정하기 위해 주파수 해석을 행하는 기간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다. 도 5e는, 주파수 해석의 결과로부터 산출된 잡음 제거 처리 구간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의 동화상 촬영 스위치(미도시)를 유저가 누르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가 동화상 촬영을 개시한다. 또한,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는 이와 동시에 녹음 동작도 개시한다.
스텝 S1001에서, 마이크(115)에 의해 취득되어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137)를 거쳐 영상신호와 동기해서 메모리(134)에 기억된다.
스텝 S1002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광학계 구동부(106)의 구동을 지시하는 명령의 유무를 판단한다(S1002). 예를 들면, 이 명령은, 유저가 조리개의 조정을 행하거나 초점맞춤용 초점 렌즈를 구동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구동명령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스텝 S10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9로 진행한다. 스텝 S1009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동화상 촬영 스위치가 오프인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동화상 촬영 스위치가 온이면(스텝 S10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1로 되돌아가, 카메라 제어부(119)가 계속해서 음성신호의 기록 동작을 행한다. 한편, 동화상 촬영 스위치가 오프이면(스텝 S1009애서 YES), 카메라 제어부(119)는 음성기록을 포함하는 촬영 동작을 종료한다.
구동명령이 검지된 경우(스텝 S10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03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도 5d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동명령을 내릴 때로부터 소정 기간의 음성신호를 버퍼링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버퍼링되는 음성신호 중에는, 조리개 구동기간에 있어서 받아들인 음성신호에 조리개 구동 잡음이 혼입한다.
스텝 S1004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렌즈 구동명령을 내릴 때부터 소정 시간 동안 버퍼링된 음성신호를 프레임 분할한다. 그후 카메라 제어부(119)는 연속적으로 각 프레임에서 푸리에 변환을 행하여 각 프레임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스텝 S1005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음성신호로부터 조리개 구동 잡음의 특징 주파수의 음압 변화를 추출한다. 도 4b에 나타낸 파형예에서는, 10kHz 성분(401)의 음압 변화가 구동 잡음의 성분인 것을 나타내고, 2kHz 성분(402)의 음압 변화가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음성신호의 성분을 나타낸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도 4b에서는, 버퍼링 기간 이외의 기간 동안의 구동 잡음 성분의 음압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2kHz 성분(402)의 음압 변화는 시간적으로 크게 변화하므로, 이 변화로부터 조리개 구동시간을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10kHz 성분(401)에 대해서는, 피사체 음성만 존재하는 기간 동안에는, 음압이 크게 변하지 않으며, 조리개 구동기간 중에 음압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구동기간을 대표하기 위해 조리개 구동기간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의 요소가 구동되어도 된다. 또한, 특징 주파수 성분으로서 10kHz의 성분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것도 일례이며, 구동 잡음에 많이 포함되지만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음성신호에는 많이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이라면 이 특징 주파수 성분은 다른 주파수이어도 된다. 렌즈 제어부(107)는, 촬영 렌즈(102)마다 그리고 촬영 렌즈(102) 내부의 구동요소마다 특징 주파수와 판정 임계값을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에로서 유지하고, 필요시에 이 데이터를 카메라 제어부(119)에 전송한다.
스텝 S1006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스텝 S1005에서 추출한 특징 주파수의 음압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구간을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제어부(119)가, 10kHz 성분(401)의 음압이 도 4b에 예시한 임계값(403)을 초과하고 있는 구간을 산출하고, 잡음 제거를 행하는 잡음 제거 처리 구간(404)을 결정한다.
구동 잡음의 특징 주파수 대역은 렌즈의 종류 및 구동동작마다 다르다. 또한, 발생하는 음압 레벨도 다르다.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포커스 렌즈를 구동할 때 발생된 2종류의 렌즈 구동음의 5kHz, 10kHz 및 15kHz의 성분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종축은 음압 레벨을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8a는, 액추에이터로서 직류(DC) 모터를 사용하여 렌즈를 구동할 때 발생된 구동 잡음의 각 주파수에 대한 음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액추에이터로서 초음파 모터를 사용하여 렌즈를 구동할 때 발생된 구동 잡음의 각 주파수에 대한 음압 변화를 나타낸다.
DC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구동 잡음에 5kHz, 10kHz 및 15kHz 성분 각각이 한결같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초음파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10kHz의 대역이 많이 포함되고, 5kHz 및 15kHz의 성분은, 10kHz의 성분에 비하면 덜 포함된다. 또한, 초음파 모터를 사용할 때 발생된 구동 잡음의 음압 레벨은, 각 주파수 대역에서, DC 모드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잡음 레벨의 음압 레벨보다 낮다.
상기한 것과 같이, 피사체 음을 구동음과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서는, 피사체 음이 포함되지 않는 주파수 대역에서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렌즈의 종류 및 구동동작에 따라 특징이 되는 주파수와 음압 레벨이 다르기 때문에, 렌즈의 종류 및 구동동작마다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계값(403)은,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렌즈 종류 및 구동동작마다 다른 값으로서 렌즈 제어부(107)에 격납되어 있고, 필요시에 카메라 제어부(119)로 전송된다.
스텝 S1007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스텝 S1006에서 산출된 잡음 제거 처리 구간 404에 대해 잡음 제거 처리를 행한다. 잡음 제거 처리의 구체적 방법은 후술한다.
스텝 S1008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기록부(133)를 제어하여, 스텝 S1007에서 잡음 제거 처리된 음성신호를 촬영 동화상에 동기해서 기록시킨다. 카메라 제어부(119)는, 잡음 제거 처리 구간에 있는 음성신호 이외의 버퍼링된 음성신호를, 잡음 제거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기록 처리한다.
스텝 S1009에서, 카메라 제어부(119)는, 동화상 촬영 스위치가 오프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09). 동화상 촬영 스위치가 오프이면(스텝 S1009에서 YES), 카메라 제어부(119)는 녹음을 종료한다. 동화상 촬영 스위치가 오프가 아닌 경우에는(스텝 S1009에서 NO), 카메라 제어부(119)는 계속해서 음성신호의 녹음 동작을 행한다.
도 5a∼도 5e에 나타낸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조리개 구동기간과 주파수 변환 구간 또는 주파수 해석 구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시각 T1에 카메라 제어부(119)가 조리개 구동명령을 내린다. 그후, 도 5e에 도시된 T1 내지 T5 사이의 소정 시간의 음성신호가 버퍼링된다. 버퍼링 기간은 촬영 렌즈(102)의 종류와 촬영 렌즈(102)의 구동을 행하는 요소에 따라 다르므로, 버퍼링 기간에 있어서 구동시간의 전후에 잉여 시간이 더해진다.
버퍼링 기간의 길이를 표시하는 해석 구간 길이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데이터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다. 이 데이터 테이블은, 촬영 렌즈(102) 내부의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고, 촬영 렌즈(102)가 카메라 보디(101)에 접속될 때, 카메라 제어부(119) 또는 메모리(134)에 데이터 테이블이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한, 카메라 보디(101)에 촬영 렌즈(102)가 장착되었을 때, 광학계 구동부(106)가 각 렌즈 요소를 구동하여, 그 구동시간을 측정하고, 그 측정 시간으로부터 버퍼링 기간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카메라 보디(101) 내부의 메모리(134)에 촬영 렌즈(102)의 종류마다의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격납하고, 장착된 촬영 렌즈의 종류를 판별하여, 적용해야 할 데이터 테이블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렌즈 제어부(107)는, 카메라 제어부(119)로부터 수신한 조리개 구동명령에 따라, 시각 T2에 조리개 구동부(106c)가 조리개를 구동하게 한다. 조리개 구동명령의 발생(즉, 시각 T1)으로부터 조리개 구동개시(즉, 시각 T2) 사이에는 타임 래그가 생긴다. 시각 T2에 조리개 구동부(106c)가 조리개를 구동하므로, 구동 잡음이 발생한다.
시각 T3에서, 조리개 구동부(106c)의 구동전압이 저하하여, 조리개 구동동작이 종료한다. 그러나, 조리개 구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구동 잡음의 잔향음이 남아 있어, 도 5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각 T4까지 계속한다. 따라서, 잔향음 시간도 가미한 T1∼T5의 소정 시간 길이에 대해 버퍼링과 주파수 해석을 행한다. 이에 따라, 렌즈 구동명령이 내려질 때부터 실제의 조리개 구동개시까지 사이의 타임 래그, 및, 잔향음 잡음이 남는 시간을 포함하는 T2∼T4의 정확한 구동 잡음 발생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잡음 제거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도 6a∼도 6c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잡음 제거 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잡음 제거 처리는, 구동 잡음 발생기간의 전후의 음성신호를 사용하여, 구동 잡음 발생기간 내의 음성신호를 예측하는 예측 처리를 사용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 처리 절차에 있어서의 음성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6a∼도 6c를 참조하여,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신호레벨을 나타낸다. 도 6a는, 피사체로부터의 음성신호에 조리개 구동 잡음이 혼입하고 있는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도 6b는, 잡음 제거 처리에서 예측 처리를 행하는 도중의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도 6c는, 예측 처리를 적용한 후에 얻어진 음성신호를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예측 처리에서는, 잡음 제거 처리 구간의 음성신호, 즉, 구동 잡음이 혼입하고 있는 음성신호를 파기한다. 그후, 학습 동작과 예측 동작을 행하여, 예측 동작에 의해 구한 신호를 사용하여 잡음 제거 처리 구간의 음성신호를 보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예측은, 후술하는, 선형 예측 계수의 도출(즉, 학습 동작)과, 선형 예측 계수를 사용한 신호 예측(즉, 예측 동작)을 포함한다.
선형예측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재의 신호와 이 현재의 신호에 인접하는 유한개(본 실시예에 따르면 "p"개)의 표본값 사이에 선형 결합 관계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관계를 수식 (1)에서 이하 설명한다.
Figure 112011092246559-pat00001
식 (1)에 있어서, εt는, 평균값 0 및 분산 σ2의 서로 무상관의 랜덤한 변수이다.
xt가 과거의 값으로부터 예측되도록 식 (1)을 변형하면, 식 (2)가 얻어진다.
Figure 112011092246559-pat00002
식 (2)에 따르면, εt가 충분하게 작으면, 근방 p개의 값의 선형 합에 의해 현재의 값이 표현된다. 더구나, 상기한 예측 연산을 사용하여 얻어진 xt의 근사가 충분히 적절하면, xt+1도 근방 p개의 값의 선형 합으로서 구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εt를 충분히 작게 설정할 수 있으면, 순차적으로 값을 예측해서 신호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εt를 최소로 하는 선형 예측 계수 αi를 구하는 것을 생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εt를 최소로 하는 αi를 구하는 동작을 학습 동작으로 부른다.
학습 동작이 행해지는 학습 구간에 있어서 Σεt 2을 최소화함으로써 선형 예측 계수 αi를 구할 수 있다. 학습의 개시 시간을 t0, 학습 종료 시간 t1으로 하면, 식 (3)이 얻어진다.
Figure 112011092246559-pat00003
식 (3)에서, α0=1이다. 여기에서, 식 (3)을 간단화하기 위해 식 (4)를 사용한다.
Figure 112011092246559-pat00004
식 (3)을 최소화하는 선형 예측 계수 αi는, 식 (3)에서 αj(j=1,2,…, p)에 관한 편미분을 0으로 설정함으로써 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식 (5)가 얻어진다.
Figure 112011092246559-pat00005
식 (5)은, p개의 선형 연립 1차 방정식을 풀면 αi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식 (5)의 cij는, xt-i(i=1,2,…,p)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식 (5)에 따라 αi를 결정한 경우, Σεt 2은 최소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식 (2)를 사용하여 xt의 값을 식 (6)으로서 근사할 수 있다.
Figure 112011092246559-pat00006
이 근사가 충분히 적절하면, xt 대신에, 식 (6)의 우변을 예측 신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xt+1의 근사값도 근방의 p-1개의 표본값과, 예측을 행하여 구한 신호로부터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순차 반복함으로써, 예측 구간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해진 αi로부터 예측 구간의 근사를 구하는 동작을 예측 동작으로 부른다.
도 6a∼도 6c에 나타낸 파형예를 사용하여 이하 학습 동작과 예측 동작을 설명한다. 도 6a∼도 6c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학습 동작을 행함에 있어서는, 예측 구간의 전후의 신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처리는 음성신호의 성질, 즉 극히 단시간의 영역에서 비교적 반복성이 높다고 하는 성질을 이용하고 있다. 도 6a∼도 6c를 참조하면, 구동 잡음이 존재하는 구간보다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구간을 학습 구간 1로 설정한다. 구동 잡음이 존재하는 구간보다도 시간적으로 후속하는 구간을 학습 구간 2로 설정한다.
학습 동작 및 예측 동작 각각에서는, 학습 구간 1의 신호와 학습 구간 2의 신호에 대해 각기 독립적으로 계산을 행한다. 학습 구간 1에서 학습 동작을 행한 후에 예측 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전방으로부터의 예측, 즉 전방 예측으로 부른다. 한편, 학습 구간 2에서 학습 동작을 행한 후에 예측 구간의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후방으로부터의 예측, 즉 후방 예측으로 부른다. 예측 구간의 신호의 계산에서는, 전방 예측과 후방 예측을 가중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학습 구간 1에 가까울수록, 전방 예측을 행하여 얻어진 값의 가중치를 크게 한다. 학습 구간 2에 가까울수록, 후방 예측을 행하여 얻어진 값의 가중치를 크게 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소정 기간 동안 주파수 해석을 행함으로써, 잡음 제거 처리 구간을 결정한다. 그 결과, 통상 주파수 해석을 행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연산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별도의 잡음 검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코스트 다운, 샤시 구조의 간단화 및 전력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구나, 정확하게 구동 잡음 발생 구간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잡음 제거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예측 처리를 사용하는 잡음 제거 처리를 행함으로써 구동 잡음구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므로, 예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개 구동음에 대해 구동 잡음 제거 처리를 행하였다. 그러나, 그 밖의 광학 요소의 구동에 기인하여 발생된 구동 잡음의 제거에도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구동 잡음 또는 잡음의 발생 타이밍을 조작 버튼이나 카메라 제어부에 의해 검지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초점 렌즈 구동, 손떨림 보정 렌즈 구동, 및 손떨림 보정 렌즈의 로크 기구(미도시)의 구동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구나, 촬상소자 시프트식 손떨림 보정 구동, 전동 줌렌즈 구동, 및 촬상소자의 워블링 구동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더구나, 조작음을 발생하는 조작 버튼의 누름 및 플래시의 팝업 구동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잡음 제거 처리수법은 구동 잡음 발생 구간의 전후의 음성신호로부터 구동 잡음 발생 구간의 음성신호를 예측해서 재현하는 예측 처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방법도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동 잡음 발생 구간의 신호를 0으로 설정하여 무음으로 해 버리는 뮤트수법을 사용해도 된다. 더구나, 주파수 영역으로 신호를 변환해서 특징 주파수의 차분을 행하는 스펙트럴 서브트랙션법을 이용할 수 있다.
뮤트방법을 사용하면, 잡음 발생 구간의 음성신호를 단순하게 0으로 설정하므로, 연산 처리부하가 매우 작다. 또한, 뮤트에 의한 무음구간이 짧을 때, 청음자가 위화감을 적게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잡음 발생 구간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스펙트럴 서브트랙션법을 사용하면, 구동 잡음만을 녹음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얻어진 정보를 미리 기록해 둔다. 구동 잡음이 혼입한 피사체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 정보로부터, 구동 잡음의 주파수 영역 정보만을 빼서 잡음 제거를 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허밍 노이즈 등의 정상적인 잡음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개의 구동 잡음과 같은 돌발적인 잡음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실제의 구동 잡음 혼입 구간으로부터 구동 잡음의 주파수 영역 정보만을 빼는 위치가 시간 방향으로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잡음 제거의 성능이 저하한다. 그 결과, 스펙트럴 서브트랙션법을 사용하고자 할 떼에도, 본 발명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잡음 발생 구간을 정확히 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을 받아들일 때 구동 잡음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음성을 받아들인 후 구동 잡음을 제거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잡음이 혼입한 음성신호와 함께, 구동 잡음의 발생 타이밍을 표시하는 신호를 기록한다. 그후, 이들 양 신호를 구동 잡음 제거장치에 전송하여, 구동 잡음을 제거한다. 구동 잡음의 특성을 표시하는 데이터도 동시에 기록하여, 구동 잡음 제거장치에 전송해도 된다. 구동 잡음의 특성을 표시하는 이와 같은 데이터는, 구동 잡음의 종류, 구동 잡음 기간을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 및 구동 잡음이 계속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도 9는,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와, 외부 처리장치, 즉 구동 잡음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100a)는, 통신 케이블(151)을 거쳐 외부 연산 처리장치(170)에 접속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의 개략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카메라(100a)는, 외부장치와의 접속용의 통신 커넥터(141)를 갖고 있다. 통신 커넥터(141)는, 통신 케이블(151)을 통해 외부 처리장치(170)의 통신 커넥터(174)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실시예 1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다.
외부 처리장치(170)는, 제어부(171), 음성신호 처리부(172), 메모리(173), 조작 입력부(175), 음성 재생부(176) 및 화상 표시장치(177)를 갖는다.
제어부(171)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 입력부(175)의 조작에 따라, 잡음 제거 처리를 포함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각 부를 제어한다. 잡음 제거 처리의 경과를 포함하는 제어 결과는, 음성 재생부(176) 및 화상 표시장치(177)에 출력된다.
잡음 제거 처리에서는, 제어부(171)는, 통신 커넥터(174)를 거쳐, 카메라(100a)로부터 구동 잡음이 제거되어 있지 않은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동화상 기록 데이터와, 구동 잡음 발생 타이밍을 표시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음성신호 처리부(172)는, 카메라(100a)로부터 수신한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음성신호에 대해, 실시예 1과 유사한 잡음 제거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된 신호를 메모리(173)에 기록한다.
도 11은, 외부 처리장치(170)에 의해 행해지는 구동 잡음 저감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조작자가 조작 입력부(175)를 통해 잡음 제거 처리를 개시하도록 제어부(171)에 지시하면,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가 개시된다.
스텝 S2001에서, 외부 처리장치(170)는, 통신 케이블(151)을 거쳐, 카메라 보디(101a)의 메모리(134)에 기록된 구동 잡음이 혼입한 음성신호 및 구동 타이밍 신호를 포함하는 동화상 기록 데이터를 판독한다(S2001).
스텝 S2002에서, 제어부(171)는, 판독한 음성신호에 동기한 구동 타이밍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171)가 음성신호에 동기한 구동 타이밍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스텝 S2002에서 NO), 스텝 S201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010에서, 제어부(171)는 음성신호를 그대로 기록한다. 스텝 S2009에서, 제어부(171)는, 처리 대상의 음성신호가 종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음성신호가 종료하지 않고 있는 경우(스텝 S2009에서 NO), 스텝 S2001로 처리가 되돌아가, 제어부(171)가 계속해서 음성신호를 카메라(100a)로부터 판독한다. 음성신호가 종료하고 있으면(스텝 S2009에서 YES), 제어부(171)는, 구동 잡음 제거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제어부(171)가 음성신호에 동기한 구동 타이밍 신호를 검출하는 경우(스텝 S2002에서 YES), 스텝 S20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2003에서, 제어부(171)는 구동 타이밍 신호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시간의 음성신호를 버퍼링한다. 스텝 S2004 내지 S2007에서 행해지는 처리는, 음성신호 처리부(172)가 잡음 제거 처리를 행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의 스텝 S1004 내지 S1007에서 행해지는 처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008에서, 음성신호 처리부(172)는, 잡음 제거 처리를 실시한 음성신호를 메모리(173)에 기록한다. 스텝 S2009에서, 제어부(171)는, 처리 대상의 음성신호가 종료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음성신호가 종료하지 않고 있는 경우(스텝 S2009에서 NO), 스텝 S2001로 처리를 진행하고, 제어부(171)는, 계속해서 카메라(100a)로부터 음성신호의 판독을 계속한다. 음성신호가 종료하고 있으면(스텝 S2009에서 YES), 제어부(171)는 구동 잡음 제거 처리를 종료한다.
잡음 제거 처리를 실시된 음성신호는, 카메라(100a)로부터 수신한 동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와 동기하여 메모리(173)에 기록된다. 잡음 제거 처리를 실시한 음성신호를 카메라(100a)의 메모리(134)에 재기록하고, 메모리(134)의 구동 잡음을 포함하는 음성신호에 덮어써도 된다.
메모리(134)가 카메라 보디(101a)로부터 분리 가능한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모리 카드 리더(152)를 사용하여 외부 처리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해도 된다.
기타 실시예
명백하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가능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드가 기억된 기억매체를 장치에 제공하여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기억매체가 구비된 장치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또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PU) 및/또는 기타)는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한다. 이 경우, 기억매체에서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그 자체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구현한다. 따라서, 프로그램 코드 그 자체가 이 프로그램 코드가 기억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매체로서,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콤팩 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CD-ROM), 콤팩 디스크 리코더블(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ROM을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명백하게, 상기한 경우는, 컴퓨터 상에서 작동하는 기본 시스템 또는 운영체계(OS) 등이 전술한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에 근거하여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경우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프로세스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한 경우는, 기억매체에서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확장 보드에 설치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 접속된 확장장치에 기억되어,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 경우, 프로그램 코드의 명령에 근거하여, 확장 보드 또는 확장장치에 설치된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국면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소자)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거쳐, 또는 기억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이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주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시스템 또는 장치와, 프로그램이 기억되는 기억매체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1)

  1. 피사체의 광학상을 화상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촬영부와,
    피사체의 광학상을 상기 촬영부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광학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구동신호를 출력해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음성신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음성 취득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될 때 소정의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음성신호를 해석하고,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음성신호의 해석 결과에 근거하여, 특징 주파수 성분의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구간에 근거하여 잡음 저감 기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와,
    상기 잡음 저감 기간 동안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음성신호로부터 잡음을 저감하도록 구성된 잡음 저감부와,
    상기 잡음 저감부에 의해 잡음이 저감되는 음성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부를 구비한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저감부는, 상기 잡음 저감 기간의 전후의 음성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잡음 저감 기간의 음성신호를 선형예측을 행함으로써 잡음을 저감하는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상기 구동신호가 상기 음성 취득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와 동기하여 출력되는 타이밍을 표시하는 구동 타이밍 신호를 기록하는 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광학부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소정의 기간을 결정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저감부는, 스펙트럴 서브트랙션(spectral subtraction)법을 사용하여, 상기 잡음 저감 기간 동안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음성 신호로부터의 잡음을 저감하는 촬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임계값을 상기 광학부의 종류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촬상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저감부는, 상기 잡음 저감 기간 동안 뮤트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음성 신호로부터의 잡음을 저감하는 촬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구동 신호가 출력될 때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음성 신호에 푸리에 변환을 행하고,
    상기 푸리에 변환이 행해진 후 특징 주파수 성분을 검출하는 촬상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포커스 렌즈군, 손떨림 보정 렌즈 유닛, 줌렌즈군, 및 조리개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저감부는 상기 특징 주파수 성분의 레벨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구간에 관련된 기간 동안 상기 음성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음성 신호로부터 잡음을 저감하지 않는 촬상장치.
KR1020110121966A 2010-11-26 2011-11-22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 KR101457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4119 2010-11-26
JP2010264119A JP5656586B2 (ja) 2010-11-26 2010-11-26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並びに音声処理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26A KR20120057526A (ko) 2012-06-05
KR101457392B1 true KR101457392B1 (ko) 2014-11-03

Family

ID=4612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966A KR101457392B1 (ko) 2010-11-26 2011-11-22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88370B2 (ko)
JP (1) JP5656586B2 (ko)
KR (1) KR101457392B1 (ko)
CN (1) CN1025722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3040A (ja) * 2011-03-23 2012-10-22 Canon Inc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39205B2 (ja) * 2012-03-21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4085609A (ja) * 2012-10-26 2014-05-12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144945B2 (ja) * 2013-03-29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11817114B2 (en) * 2019-12-09 2023-11-1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ntent and environmentally aware environmental noise compens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947A (ja) * 2002-02-08 2003-08-22 Fuji Photo Film Co Ltd 録音装置
JP2005244613A (ja) * 2004-02-26 2005-09-08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20070004806A (ko) * 2004-03-30 2007-01-0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노이즈 제거 회로
JP2010118975A (ja) * 2008-11-14 2010-05-27 Nec Corp 集音装置及びノイズ抑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5660A (ja) * 1999-09-10 2001-03-30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80508B2 (ja) 2000-05-31 2010-11-17 株式会社東芝 信号処理装置及び通信装置
US7283954B2 (en) * 2001-04-13 2007-10-16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mparing audio using characterizations based on auditory events
JP2004023502A (ja) 2002-06-18 2004-01-2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US20060132624A1 (en) * 2004-12-21 2006-06-22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camera with noise reduction unit
JP2006270591A (ja) * 2005-03-24 2006-10-05 Nikon Corp 電子カメラ、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79185A (ja) 2005-03-28 2006-10-12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音声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639907B2 (ja) * 2005-03-31 2011-02-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音声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53802A (ja) * 2006-08-22 2008-03-06 Sony Corp 記録装置、ノイズ除去方法、ノイズ除去装置
JP2008160175A (ja) * 2006-12-20 2008-07-10 Olympus Imaging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4403429B2 (ja) * 2007-03-08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8050142B2 (en) * 2007-12-06 2011-11-01 Sanyo Electric Co., Ltd. Sound collection environment deciding device, sound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appliance, sound collection environment deciding method and sound processing method
JP2010249940A (ja) * 2009-04-13 2010-11-04 Sony Corp ノイズ低減装置、ノイズ低減方法
JP2010259223A (ja) * 2009-04-24 2010-11-11 Fujifilm Corp 駆動装置、光学装置及び駆動信号制御回路
JP5201093B2 (ja) * 2009-06-26 2013-06-0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351644B2 (ja) * 2009-07-27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音声記録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撮像装置
JP2011071962A (ja) * 2009-08-28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及び再生装置
JP5391008B2 (ja) * 2009-09-16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611739B2 (en) * 2009-09-17 2013-12-17 Panasonic Corporation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3947A (ja) * 2002-02-08 2003-08-22 Fuji Photo Film Co Ltd 録音装置
JP2005244613A (ja) * 2004-02-26 2005-09-08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KR20070004806A (ko) * 2004-03-30 2007-01-0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노이즈 제거 회로
JP2010118975A (ja) * 2008-11-14 2010-05-27 Nec Corp 集音装置及びノイズ抑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56586B2 (ja) 2015-01-21
JP2012114842A (ja) 2012-06-14
US9288370B2 (en) 2016-03-15
KR20120057526A (ko) 2012-06-05
CN102572263B (zh) 2015-05-27
CN102572263A (zh) 2012-07-11
US20120133784A1 (en)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65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and sound recording
KR101457392B1 (ko) 촬상장치 및 음성 처리장치
US20130293747A1 (en) Imaging device, program, memory medium, and noise reduction method
KR20110135343A (ko) 음성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270591A (ja) 電子カメラ、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698911B2 (en) Sound recording device, imag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optical device, and program
JP5963430B2 (ja) 撮像装置、音声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4952769B2 (ja) 撮像装置
JP5361398B2 (ja) 撮像装置
JP2007057974A (ja) 撮影装置
US9734840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signal-processing program
KR101399986B1 (ko) 음성신호 처리장치
JP5158054B2 (ja) 録音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294835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10205385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2013183346A (ja) 撮像装置及び音声処理装置
JP5736839B2 (ja) 信号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65219A (ja) 撮像装置
JP2013178456A (ja) 信号処理装置、カメラおよび信号処理プログラム
JP2011071623A (ja) 撮像装置
JP2011097260A (ja) 撮像装置
JP2021043371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1124577A (ja) 像ブレ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21085925A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018082A (ja) 音声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