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108A -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 Google Patents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108A
KR20120106108A KR1020110023980A KR20110023980A KR20120106108A KR 20120106108 A KR20120106108 A KR 20120106108A KR 1020110023980 A KR1020110023980 A KR 1020110023980A KR 20110023980 A KR20110023980 A KR 20110023980A KR 20120106108 A KR20120106108 A KR 2012010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ainer body
dump
locking
typ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114B1 (ko
Inventor
권용장
김경태
이석
김영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23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114B1/ko
Priority to CN201280010812.3A priority patent/CN103402894B/zh
Priority to PCT/KR2012/001213 priority patent/WO2012124903A2/ko
Publication of KR2012010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 B65D88/123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with access from above open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65D90/62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movable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 B65D90/623Gates or closures having closure members movable out of the plane of the opening having a rotation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덤프형 수송용기에 적재물을 싣고 이동시 도어가 열려 적재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재물이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 및 도어의 양측면에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송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DUMP TYPE TRANSPORT CONTAINER WITH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적재된 적재물을 용이하게 하화시키기 위한 도어의 개방을 억제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화물은 시멘트, 석탄, 모래, 석회석, 철광석 등과 같이 산적된 상태에서 규격화된 포장 없이 그대로 운송되는 화물을 말한다. 이러한 벌크화물은 포장하여 운송할 경우 포장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은 채 운송되는 것이다.
여기서, 벌크화물의 운송은 크게 덤프형 트럭을 이용한 운송과 무개화차 또는 호퍼화차를 이용한 운송이 있다.
종래 벌크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덤프트럭에 벌크화물을 적재하고 이를 화차 근처로 이송 후, 덤프트럭에 적재된 벌크화물을 덤핑 및 야적한다. 그리고, 하역된 벌크화물은 적재 후 보관되다가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벌크화물을 무개차 또는 호퍼화차 등에 상차하여 목적지로 이동 후 야드 혹은 저장 창고에 하차된다. 또한, 필요시 덤프트럭에 다시 상차 후 최종 목적지로 이동해야 한다.
즉, 종래 벌크화물을 운송 프로세스에서는 화물의 덤핑, 적재, 하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벌크화물을 야적할 장소의 확보도 어려우며 화물의 덤핑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분진 등에 의한 환경오염의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85600(등록일 2010년 9월 29일)에 탈부착이 가능한 일관수송용기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제안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관수송용기는 도어를 고정하는 장치의 경우 도어의 후면에 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경우 적재된 화물이 갑자기 낙화함에 따라 작업자가 다칠 우려가 있어 안전사고에 대한 문제점이 있으며 적재물의 운송 중에 진동 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어 적재물이 낙화함에 따라 후속하는 차량에 피해를 줌으로써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송용기에 적재물을 싣고 이동시 도어가 개방되어 적재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역시 도어의 개방을 안전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측면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을 억제한 회동부재가 진동 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을 억제하는 잠금장치가 수송용기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도어의 잠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송용기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도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로 도어를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잠금이 가능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적재물이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 및 도어의 양측면에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회동축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 시키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는 도어의 잠금상태시 회동부재의 일측이 지지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안전부재 및 상기 안전부재에 걸림 고정되도록 회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부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축 및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회동부재의 역회전을 억제하도록 회동부재 끝단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도어의 잠김 또는 해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및 양측면에 형성되어 용기본체에 적재된 적재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지턱의 일측면은 적재물이 원활하게 하역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좌우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가 잠금상태로 전환시 도어를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는 잠금상태로 전환시 상기 도어를 상기 용기본체 내측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잠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좌우 측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와,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암나사부에 나사 회전을 통해 삽입되어 도어의 개방을 억제하는 수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일단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나사 회전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영역을 커버하는 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대형 수송수단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쇠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게차의 양탑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는 도어의 좌우측에 형성된 잠금부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동시 적재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역시 도어의 개방을 측면에서 제어함으로써 작업자가 도어의 개방시 적재물이 갑자기 낙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적재물의 운송 중에 진동 또는 외부 충격으로 잠금부가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적재물이 도로에 낙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송용기의 프레임 내부에 회동부재가 설치되므로 잠금시 수송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수송용기를 좌우측으로 밀착하여 적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착탈이 가능한 가동부재로 잠금장치를 잠금 및 해제함으로써, 가동부재가 수송용기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수송용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적재시 공간적 낭비를 방지하여 밀착적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직접 잠금 여부를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잠금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지턱에 의하여 적재물이 도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별도로 도어를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회동부재의 가압면 또는 도어의 지지부를 통하여 도어가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밀착되어 잠글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를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도어가 잠긴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걸림돌기가 안전부재에 걸림 고정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안전부재가 해제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안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는 적재물이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의 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110) 및 도어(110)의 개방을 억제하는 잠금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송용기에 적재되는 적재물은 벌크화물로 자갈, 모래, 시멘트, 곡물 등과 같이 입자나 분말상태의 화물이 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상부영역이 개방된 무개차의 형태로 개방된 상부영역을 통하여 적재물을 직접 적재할 수 있다. 개방된 상부영역은 경우에 따라 덮개(미도시)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덮개에 의해 적재물의 운송시에 바람에 날려 적재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눈과 비 등이 적재물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부영역을 제외한 하부면과 네 측면을 형성하는 벽면(101)과,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벽면(10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0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 테두리영역에는 대형 수송수단(리치스태커 또는 트랜스테이너 등)을 사용하여 용기본체(100)를 대형 수송수단(트레일러 또는 평판화차 등)에 상하역 시킬 수 있도록 모서리쇠(105)가 형성된다.
또한, 용기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홀(106)에 지게차의 양탑기를 삽입하여 용기본체(100)를 대형 수송수단(트레일러 또는 평판화차 등)에 상하역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후면에는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0)가 형성된다. 즉, 도어(110)는 용기본체(100) 후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럭(111)에 도어(110)의 상단에 형성된 힌지브라켓(112)이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하부 및 양측면에는 방지턱(104)이 형성되고, 방지턱(104)의 일측면은 적재물이 원활하게 하역되도록 용기본체(100)의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104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방지턱(104)은 도어(110)가 안착될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1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이 도어(110)와 용기본체(100)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고, 경사면(104a)에 의해 적재물의 하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재물을 안내하여 방지턱(104)에 걸려 미처 하역되지 못하고 잔여물이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도어가 잠긴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이고, 도 8은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부(120)는 회동축(121)과,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재(122) 및 회동부재(122)를 회동시키는 가동부재(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잠금부(120)는 도어(110)의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프레임(102)의 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120)는 지지프레임(102)의 내부에 용기본체(100)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축(121)이 형성되고,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부재(122)가 결합된다. 이때, 회동부재(122)는 대략 중간이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회동부재(122)의 일측은 도어(110)의 좌우끝단에 형성된 지지부(103)를 지지하여 도어(110)의 개방을 억제하고 타측은 도어(110)의 잠금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0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부재(122)에는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가동부재(123)가 구비되는데 가동부재(123)는 막대 형태로 일단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형성된 중공에 회동부재(122)를 삽입하여 결합된다. 즉, 회동부재(122)의 일단에 막대형태의 가동부재(123)를 결합하여 상하로 회동시킴으로써 도어(110)를 잠금 또는 해제 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3)를 지지하는 회동부재(122)의 일단은 가압면(1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압면(122a)은 도어(110)를 잠그기 위하여 회동부재(122)를 회전시킬시 경사지게 형성된 가압면(122a)에 지지부(103)에 접촉되어 회전하는데 가압면(122a)에 의해 회동부재(122)가 원활하게 회전되며 작업자가 별도로 도어(110)를 용기본체(100)의 내측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회동부재(122)가 회전함에 따라 가압면(122a)에 의해 도어(110)가 용기본체(100)의 내측으로 가압되고 잠기게 된다.
이때, 지지부(103)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걸림돌기가 안전부재에 걸림 고정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안전부재가 해제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부(120)는 지지프레임(102)의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안전부재(130) 및 안전부재(130)의 돌출시 안전부재(130)에 걸림 고정되도록 회동부재(122)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부재(12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22a)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안전부재(130)는 지지프레임(102)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관(132)이 구비되고, 관통관(132)를 통과하여 지지프레임(102)의 내부로 돌출되는 안전핀(133)이 형성된다.
또한, 안전핀(133)의 일단에는 제어부재(131)가 형성되는데 제어부재(131)를 회전시켜 제어부재(131)와 관통관(132)에 맞닿도록 형성된 경사면이 엇갈리면 안전핀(133)이 지지프레임(102)의 외부로 후퇴되어 걸림돌기(122a)가 걸림 고정된 안전핀(133)이 제거된다. 그리고 회동부재(122)의 고정시 제어부재(131)를 역회전시키면 관통관(132)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지지프레임(102)의 내부로 안전핀(133)이 돌출되면 회동부재(122)의 걸림돌기(122a)가 걸림 고정됨으로써 회동부재(122)가 역회전을 방지하여 도어(110)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1은 안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부(120)는 힌지축(125) 및 힌지축(125)에 결합되어 회동부재(122) 끝단에 걸림 고정되는 안전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힌지축(125)은 회동부재(122)의 상부에 용기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안전부재(124)의 상부가 힌지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안전부재(124)는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개방된 면을 통해 회동부재(122)의 끝단이 안전부재(124)의 하부에 걸림 고정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별부(300)는 잠금부(120)가 위치한 지지프레임(102)의 후면에 표시구(310)가 형성되고 표시구(310)를 통하여 잠금부(120)의 잠금 또는 해제 상태가 표시되도록 표시판(320)이 회동부재(122)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회동부재(122)가 회전할시 회동부재(122)의 일측에 형성된 표시판(320)이 함께 회전함으로써 표시구(310)를 통하여 표시판(320)에 표시된 잠금 또는 해제를 식별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잠금여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지지플레이트(102)의 외측에서 잠금부(12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의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부(420)는 암나사부(421)와, 수나사부(422) 및 잠금부재(423)를 포함한다.
암나사부(421)는 용기본체(100)의 좌우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암나사부(421)의 내측면에는 암나산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나사부(422)는 볼트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수나사부(422)의 일측에는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잠금부재(423)가 결합되어 수나사부(42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나사회전시킴으로써 도어(110)를 잠금 또는 해제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를 이용한 운송은 적재물의 적재시 잠금부(120)의 가동부재(123)를 회동부재(122)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향으로 가압하면 회동부재(122)가 상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동부재(122)의 일단부가 도어(110)의 지지부(103)를 지지하여 도어(110)의 개방을 억제시키게 되고, 제어부재(131)를 회전시키면 관통관(132)의 내부에 형성된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지지프레임(102)의 내부로 안전핀(133)이 돌출된다. 이때, 회동부재(122)의 걸림돌기(122a)가 안전핀(133)에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잠금부(120)를 이용하여 도어(110)가 잠김상태로 이동시 진동으로 인하여 도어(110)가 개방되어 적재물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개폐시에만 가동부재(123)를 회동부재(122)에 연결하여 개폐하므로 회동부재(122)가 지지프레임(10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분리한 수송용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적재시 공간적 낭비를 방지하여 밀착적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 용기본체 101 : 벽면
102 : 지지프레임 103 : 지지부
104 : 방지턱 104a : 경사면
110 : 도어 111 : 블럭
112 : 힌지브라켓 120 : 잠금부
121 : 회동축 122 : 회동부재
123 : 가동부재 124 : 안전부재
125 : 회동축 300 : 식별부
310 : 표시구 320 : 표시판

Claims (13)

  1. 적재물이 수용되며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
    용기본체의 후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 및
    도어의 양측면에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시키는 잠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회동축;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 시키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가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도어의 잠금상태시 회동부재의 일측이 지지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회동부재의 일단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안전부재; 및
    안전부재의 돌출시 안전부재에 걸림 고정되도록 회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부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걸림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6. 제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축; 및
    힌지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회동부재의 역회전을 억제하도록 회동부재 끝단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도어의 잠김 또는 해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및 양측면에 형성되어 용기본체에 적재된 적재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방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의 일측면은 적재물이 원활하게 하역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좌우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가 잠금상태로 전환시 도어를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잠금상태로 전환시 상기 도어를 상기 용기본체 내측으로 가압하여 회동시키는 가압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좌우 측면에서 내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부;
    길이방향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암나사부에 나사회전을 통해 삽입되어 도어의 개방을 억제하는 수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일단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나사 회전시키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영역을 커버하는 덮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대형 수송수단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쇠;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게차의 양탑기가 삽입되는 삽입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KR1020110023980A 2011-03-17 2011-03-17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KR10123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80A KR101239114B1 (ko) 2011-03-17 2011-03-17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CN201280010812.3A CN103402894B (zh) 2011-03-17 2012-02-17 具有锁紧装置的倾卸型周转箱
PCT/KR2012/001213 WO2012124903A2 (ko) 2011-03-17 2012-02-17 잠금 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980A KR101239114B1 (ko) 2011-03-17 2011-03-17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108A true KR20120106108A (ko) 2012-09-26
KR101239114B1 KR101239114B1 (ko) 2013-03-06

Family

ID=4683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980A KR101239114B1 (ko) 2011-03-17 2011-03-17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39114B1 (ko)
CN (1) CN103402894B (ko)
WO (1) WO201212490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992A (ko) * 2016-09-07 2018-03-15 화신이엘티 주식회사 벌크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CN113562347A (zh) * 2020-04-28 2021-10-29 合同会社箱一 集装箱的门的开闭机构和具有该门的开闭机构的集装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08540A2 (de) * 2013-08-28 2015-03-13 Ludwig Elkuch Ag Transportbehälter.
KR101591857B1 (ko) * 2014-06-26 2016-02-04 (주)시스펙 운반용 조립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5446A (en) * 1986-02-26 1987-11-10 Miller Richard J Hoisting and dumping container
KR19980025952U (ko) * 1996-11-06 1998-08-05 박병재 차량적재함의 테일 게이트 개폐장치
CN2505566Y (zh) * 2001-09-28 2002-08-14 黄丽明 开关把手
JP2003312774A (ja) * 2002-04-26 2003-11-06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廃棄物用コンテナ
JP2006123932A (ja) * 2004-10-27 2006-05-18 Hokkaido Needs:Kk 鮮魚用タンク
KR200451726Y1 (ko) * 2007-06-13 2011-01-07 (주)금강차체 이송컨테이너
CN201280839Y (zh) * 2008-09-04 2009-07-29 崔法乐 一种平开窗执手
CN201753549U (zh) * 2010-06-21 2011-03-02 张荣宽 滚轮式迫紧手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992A (ko) * 2016-09-07 2018-03-15 화신이엘티 주식회사 벌크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CN113562347A (zh) * 2020-04-28 2021-10-29 合同会社箱一 集装箱的门的开闭机构和具有该门的开闭机构的集装箱
CN113562347B (zh) * 2020-04-28 2023-01-10 合同会社箱一 集装箱的门的开闭机构和具有该门的开闭机构的集装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02894A (zh) 2013-11-20
WO2012124903A3 (ko) 2012-12-27
KR101239114B1 (ko) 2013-03-06
WO2012124903A2 (ko) 2012-09-20
CN103402894B (zh)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098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CN205045256U (zh) 一种多功能集装箱
KR101303028B1 (ko) 호퍼형 적재함의 개폐장치
KR10123911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US20140312638A1 (en) Spreader and use thereof
CN109795811B (zh) 用于车辆运输的集装箱
JP6012023B2 (ja) 車両の輸送のためのコンテナ
KR101398421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SI24102A (sl) Praznjenje zabojnikov s čelnimi ali bočnimi vrati z zvračalno napravo s čelnim in bočnim praznjenjem
KR20130100576A (ko) 화물열차의 컨테이너 고정용 어댑터
CN111498318A (zh) 一种倾翻自卸式集装箱
KR101605513B1 (ko)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KR101377524B1 (ko)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KR20140101137A (ko) 덤프형 적재함의 도어 자동개폐-잠금구조
AU2022235542A1 (en) Freight container
CN212668152U (zh) 一种倾翻自卸式集装箱
US9321391B2 (en) Convertible cargo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convertible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KR20160043871A (ko) 호퍼형 화차
JP4395055B2 (ja) 荷役車両用コンテナ
KR101311971B1 (ko) 곡물 운송용 컨테이너
CN213650645U (zh) Iso标准集装箱
IES72484B2 (en) A trailer
JPH0640144Y2 (ja) 荷役車両用コンテナ
WO2019103643A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тарно-штучных и сыпучих грузов
ZA201006808B (en) Railway transpor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