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524B1 -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524B1
KR101377524B1 KR1020120047749A KR20120047749A KR101377524B1 KR 101377524 B1 KR101377524 B1 KR 101377524B1 KR 1020120047749 A KR1020120047749 A KR 1020120047749A KR 20120047749 A KR20120047749 A KR 20120047749A KR 101377524 B1 KR101377524 B1 KR 10137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x
bulk cargo
loading box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105A (ko
Inventor
김경태
권용장
이석
김영주
김학성
방연근
원종운
양근율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52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화물을 수송하는 차량 또는 화차의 적재함에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이탈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부가 차량 또는 화차의 측면에 완전하게 개폐되도록 구비하여 차량 또는 화차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 및 적재할 때 간섭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적재함(100)과;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부(1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가 되는 한 쌍의 덮개부(300)와;
덮개부(3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과하여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Cover Device of Bulk Cargo Transport Container}
본 발명은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크화물을 수송하는 차량 또는 화차의 적재함에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이탈되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판이 차량 또는 화차의 측면에 완전하게 개폐되도록 구비하여 차량 또는 화차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 및 적재할 때 간섭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화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차량 또는 화차의 경우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이탈되거나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적재함 개방부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는 철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덮개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도 1에서와 같은 부피가 큰 상당수의 적재물이 실릴 경우 양측 덮개부가 완전히 덮여 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그 적재물이 적재함 외부로 이탈되어 낙하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덮개부가 통상 철제 프레임에 천을 입힌 구조로 되어 있어 적재물을 누르는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운행중 도로 사정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그 힘에 의해 적재물이 덮개부를 상하게 하거나 덮개부를 치고 외부로 이탈될 우려도 있다.
상기 작용으로 적재물이 도로상에 떨어지게 되면 도로의 파손이나 미세먼지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악영향을 주게 되고, 특히 주변에 행인이나 운전자 등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은 부피가 작은 흙이나 모래 등이 실릴 경우 적재물이 부피가 큰 적재물보다 쉽게 적재함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크므로 커버 천으로 적재물의 상부를 한번 덮은 뒤 덮개부를 덮어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커버 천을 적재함의 상부측에 펼친 후 커버 천의 각 모서리를 끈으로 적재함에 묶어 고정하는 등 번거로운 수작업이 발생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등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자에게는 상당한 피로와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가져다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덮개장치는 운송을 위해 사용하지 않을시 도 3에서처럼 적재함 외측으로 젖혀 놓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덮개부 젖힘 상태에서 운행을 하게 되면 덮개부와 적재함이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 및 적재함에 손상이 갈 뿐만 아니라 그 소리 또한 커서 소음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운행 및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벌크화물을 수송하는 차량 또는 화차의 적재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이탈되거나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덮개판이 차량 또는 화차의 측면으로 완전하게 개방되어 화물차에 적재된 화물의 하역 및 적재를 할 때 간섭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동으로 덮개부를 개폐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적재함(100)과;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부(1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가 되는 한 쌍의 덮개부(300)와;
덮개부(3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과하여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의
상기 적재함(100)은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것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110)와;
적재함(100)을 차량 또는 화차에서 하역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적재함을 현장에 다수의 층으로 야적함으로써 현장의 자재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 후면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적재함(100)에 설치되는 덮개부(300)가 적재함(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양측면판(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적재함(100)의 양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도어를 더 구비하여 도어를 개방시켜 도어를 통하여 화물을 하역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의
상기 덮개부(300)는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함(100)에 적재된 화물이 운송 중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함(100)의 양측 상부 각각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320)으로 체결되는 회전봉(310)과;
상기 회전봉(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구동장치(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회전봉(31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330)와;
상기 각각의 회전봉(3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적재함(100)에 화물을 적재한 후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하여 화물이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판(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상기 덮개판(34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은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편(341)이 형성되어 덮개판(340)을 폐쇄하였을 때 다른 하나의 덮개판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판(340)이 맞닿는 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물이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덮개판(340)으로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할 때 덮개판(340)들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 등이 덮개판(340)을 따라 적재함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이 적재함(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의
상기 구동장치(500)는 적재함(100)의 정면 외측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봉(310) 각각에 체결되어 회전봉(310)을 회전시켜 덮개부(3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구동장치(500)를 구동시켜 적재함의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구동시키는 핸들(510)과;
핸들(510)과 체인(520)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받아 회전봉(310)에 체결된 회전기어(330)에 전달시켜 회전봉(310)을 회전되도록 하여 덮개부(300)를 개폐시키는 회전력 전달기어(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회전력 전달기어(530)보다 회전기어(330)를 작게 구비하여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덮개부(3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상기 각각의 핸들(510) 들을 체인(520)으로 연결하고, 적재함(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봉(310)에 체결되는 회전기어(330)와 핸들(510)과 연결되는 회전력 전달기어(530)의 어느 한쪽에 방향전환기어(540)를 더 구비하여 어느 한쪽의 핸들(510)만 회전시켜도 양측의 덮개부(300)가 같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덮개부(300)의 덮개판(340) 이나 회전봉(310) 또는 구동장치(500)에 체결장치를 더 구비하여 운송 중 덮개부가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는 벌크화물을 수송하는 차량 또는 화차의 적재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운행시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이탈되거나 낙하하여 도로의 파손이나 행인이나 운전자 등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덮개부가 차량 또는 화차의 측면으로 완전하게 개방되어 화물차에 적재된 화물의 하역 및 적재를 할 때 간섭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동으로 덮개부를 개폐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전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3은 종래의 적재함 덮개부를 나타낸 계략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적재작업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중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크게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적재함(100)과;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부(1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가 되는 한 쌍의 덮개부(300)와; 덮개부(3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과하여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함(100)은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것으로, 상부에 개방부(110)를 갖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적재함(100)을 이루는 양측면판(120)의 상부는 전, 후면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적재함(100)에 설치되는 덮개부(300)가 적재함(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는 상기 적재함(100)을 차량 또는 화차에서 하역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적재함을 현장에 다수의 층으로 야적함으로써 현장의 자재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적재함(100)의 양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도어(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도어를 개방시켜 화물의 하역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부(300)는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함(100)에 적재된 화물이 운송 중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함(100)의 양측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회전봉(310)에 의해 적재함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310)은 적재함(100)에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320)으로 체결되며, 일단에는 회전기어(330)가 구비되어 구동장치(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 덮개부(3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회전봉(310)의 일면에는 덮개판(340)이 구비되어 적재함(100)에 화물을 적재한 후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하여 화물이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판(34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은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편(341)이 형성되어 덮개판(340)을 폐쇄하였을 때 다른 하나의 덮개판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판(340)이 맞닿는 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밀폐성을 증대시켜 화물이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였다.
또한, 덮개판(340)으로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할 때 덮개판(340)들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 등이 덮개판(340)을 따라 적재함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이 적재함(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구동장치(500)는 적재함(100)의 정면 외측에 구비되어 즉, 적재함(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봉(310) 각각에 체결되어 회전봉(310)을 회전시켜 덮개부(3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구동시키기 위한 핸들(510)과, 핸들(510)과 체인(520)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회전력 전달기어(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력 전달기어(530)는 체인(520)으로 회전봉(310)의 회전기어(33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회전봉(310)에 전달하여 덮개부(300)를 개폐하게 한다.
이때 회전력 전달기어(530)보다 회전기어(330)를 작게 하여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덮개부(3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다른 예로써 상기 핸들(510) 들을 체인(520)으로 연결하고, 적재함(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봉(310)에 체결되는 회전기어(330)와 핸들(510)과 연결되는 회전력 전달기어(530)의 어느 한쪽에 방향전환기어(540)를 더 구비하여 어느 한쪽의 핸들(510)만 회전시켜도 양측의 덮개부(300)가 같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덮개부(300)의 덮개판(340) 이나 회전봉(310) 또는 구동장치(500)에 체결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운송 중 덮개부가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재함(100)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핸들(510)을 회전시키면 핸들(510)과 체인(520)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력 전달기어(530)가 회전된다.
그리고 동시에 회전력 전달기어(530)와 체인(520)으로 연결된 회전기어(33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기어(330)와 체결되어 있는 회전봉(31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봉(310)에 구비된 덮개판(340)이 회전됨에 따라 적재함(100)의 개방부(110)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개방한 후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다.
이후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하기 위하여는 핸들(510)을 개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역순에 의해 적재함(100)의 개방부(110)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부(110)를 폐쇄한 후 이송하면 적재함(100)에 적재된 화물은 적재함에서 이탈, 낙하시키지 않고 현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적재함 110: 개방부
120 : 양측면판
300 : 덮개부 310 : 회전봉
320 : 베어링 330 : 회전기어
340 : 덮개판 341 : 연장편
500 : 구동장치 510 : 핸들
520 : 체인 530 : 회전력 전달기어
540: 방향전환기어

Claims (10)

  1.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적재함(100)과,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된 개방부(110)의 양측 상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가 되는 한 쌍의 덮개부(300)와, 덮개부(30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부과하여 덮개부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를 포함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500)는 적재함(100)의 정면 외측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봉(310) 각각에 체결되어 회전봉(310)을 회전시켜 덮개부(3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구동장치(500)를 구동시켜 적재함의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구동시키는 핸들(510)과;
    핸들(510)과 체인(520)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받아 회전봉(310)에 체결된 회전기어(330)에 전달시켜 회전봉(310)을 회전되도록 하여 덮개부(300)를 개폐시키는 회전력 전달기어(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은 벌크화물 등이 적재되는 것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110)와;
    적재함(100)을 차량 또는 화차에서 하역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적재함을 현장에 다수의 층으로 야적함으로써 현장의 자재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 후면판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적재함(100)에 설치되는 덮개부(300)가 적재함(100)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양측면판(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재함(100)의 양측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도어를 더 구비하여 도어를 개방시켜 도어를 통하여 화물을 하역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는 적재함(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함(100)에 적재된 화물이 운송 중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적재함(100)의 양측 상부 각각에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베어링(320)으로 체결되는 회전봉(310)과;
    상기 회전봉(310)의 일단에 구비되어 구동장치(5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력을 받아 회전되어 회전봉(31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어(330)와;
    상기 각각의 회전봉(3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적재함(100)에 화물을 적재한 후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하여 화물이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판(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340) 중 어느 하나의 일단은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편(341)이 형성되어 덮개판(340)을 폐쇄하였을 때 다른 하나의 덮개판 상부에 안착되어 덮개판(340)이 맞닿는 부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물이 이탈,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덮개판(340)으로 적재함(100)의 개방부(110)를 폐쇄할 때 덮개판(340)들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며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 등이 덮개판(340)을 따라 적재함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이나 눈이 적재함(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회전력 전달기어(530)보다 회전기어(330)를 작게 구비하여 작업자가 작은 힘으로도 덮개부(3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핸들(510) 들을 체인(520)으로 연결하고, 적재함(1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봉(310)에 체결되는 회전기어(330)와 핸들(510)과 연결되는 회전력 전달기어(530)의 어느 한쪽에 방향전환기어(540)를 더 구비하여 어느 한쪽의 핸들(510)만 회전시켜도 양측의 덮개부(300)가 같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10. 삭제
KR1020120047749A 2012-05-04 2012-05-04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137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49A KR101377524B1 (ko) 2012-05-04 2012-05-04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749A KR101377524B1 (ko) 2012-05-04 2012-05-04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05A KR20130124105A (ko) 2013-11-13
KR101377524B1 true KR101377524B1 (ko) 2014-03-25

Family

ID=4985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749A KR101377524B1 (ko) 2012-05-04 2012-05-04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77B1 (ko) * 2016-09-07 2019-03-05 화신이엘티 주식회사 벌크 화물 운반용 컨테이너
CN107813755B (zh) * 2017-11-03 2020-09-11 内蒙古恒东集团宏亚煤炭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矿物运输车
CN108382290B (zh) * 2018-02-12 2019-12-17 台州统发机械有限公司 一种自卸车气动遮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67B1 (ko) * 2008-09-18 2009-07-14 진주산업(주) 암롤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1058325B1 (ko) * 2011-04-21 2011-08-22 이우성 덤프트럭의 적재물 비산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67B1 (ko) * 2008-09-18 2009-07-14 진주산업(주) 암롤 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1058325B1 (ko) * 2011-04-21 2011-08-22 이우성 덤프트럭의 적재물 비산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105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687B1 (ko) 트럭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1217098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KR101377524B1 (ko) 벌크 화물 수송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JP6012023B2 (ja) 車両の輸送のためのコンテナ
CN109230004A (zh) 散粒货物侧卸漏斗集装箱
US20070052257A1 (en)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and tailgate ramp device
CN102211700B (zh) 一种带有盖体的运输容器
KR101553232B1 (ko) 트럭의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US202100166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vehicles
KR101360241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CN207157318U (zh) 汽车车厢及应用该汽车车厢的汽车
KR10123911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KR101398421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KR102005630B1 (ko) 트럭용 적재함 덤프 장치
KR101540456B1 (ko) 화물 운반 차량용 화물 적재함
KR101323586B1 (ko) 다목적 접이식 컨테이너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KR101452832B1 (ko)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 장치
US20150352996A1 (en) Convertible Cargo Transportation Container and Convertible Cargo Transportation Vehicle
KR20110045655A (ko) 화물자동차용 덮개장치
KR101380917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개폐장치
CN107933401A (zh) 一种物料运输车
JP5485031B2 (ja) ダンプ式コンテナの後部ゲート
CA2329643A1 (en) Belly dump vehicle
US3143372A (en) Bulk product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