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871A - 호퍼형 화차 - Google Patents

호퍼형 화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871A
KR20160043871A KR1020140138627A KR20140138627A KR20160043871A KR 20160043871 A KR20160043871 A KR 20160043871A KR 1020140138627 A KR1020140138627 A KR 1020140138627A KR 20140138627 A KR20140138627 A KR 20140138627A KR 20160043871 A KR20160043871 A KR 20160043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member
skid
lif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666B1 (ko
Inventor
고재욱
Original Assignee
화신강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강업(주) filed Critical 화신강업(주)
Priority to KR102014013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61D7/06Hopper cars with openings capable of discharging both between and outside th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7/00Hopper cars
    • B61D7/14Adaptations of hopper elements to railways
    • B61D7/32Means for assisting charge or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형 화차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공간의 하부에 고정 스키드가 구비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전단 및 후단으로 상부에 고정월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재의 측면 상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측면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레일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복수의 프레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롤러의 상부에 전단 또는 후단으로 이동되어 보호커버를 지지하는 보호커버 프레임이 구비되며, 적재되는 상기 화물을 보호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측면 중단 프레임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측면개폐문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 측면프레임 상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면개폐문을 고정시키는 개폐문 록킹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 록킹구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전단 하부프레임과 후단 하부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는 록킹축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축 로드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측면개폐문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핸들을 구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고정 스키드의 상부에 양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두 개의 플레이트 형태로 리프팅 스키드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리프팅 스키드의 각 상부에 고정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팅 스키드를 잡아 당겨 벌리는 리프팅 부재와, 상기 고정 스키드 및 리프팅 스키드에 진동되도록 하는 진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퍼형 화차{HOPPER TYPE FREIGHT CAR}
본 발명은 적재공간에 적재된 벌크 화물을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호퍼형 화차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벌크화물은 시멘트, 석탄, 모래, 석회석, 철광석 등과 같이 산적된 상태에서 규격화된 포장 없이 그대로 운송되는 화물을 말한다.
이러한 벌크화물은 포장하여 운송할 경우 포장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은 채 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벌크화물을 철도를 이용하여 수송하는 다양한 수단 중에 호퍼(hopper)형 화차가 있는데, 호퍼형 화차를 이용해 벌크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덤프트럭에 벌크화물을 적재하고 이를 화차 근처로 이송 후, 덤프트럭에 적재된 벌크화물을 덤핑 및 야적한다.
그리고, 하역된 벌크화물은 적재 후 보관되다가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벌크화물을 호퍼형 화차에 상차하고 목적지로 이동 후 야드 혹은 저장 창고에 하차 된다. 또한, 필요 시 덤프 트럭에 다시 상차 후 최종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벌크화물은 호퍼형 화차의 측면 하단에 구비된 도어 개폐구를 개방하여 내부 중앙부에 구비된 바닥판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호퍼형 화차에서는 벌크화물이 경사진 바닥판을 따라 배출되는데, 분말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을수록 바닥판의 경사면에 잔류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잔류 화물이 남을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직접 외부로 배출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8421호(2014.05.27. 공고) :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본 발명은 적재공간 내부에 구비된 고정 스키드 및 리프팅 스키드를 진동시켜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는 호퍼형 화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 프레임을 전단 또는 후단으로 안내하는 측면레일을 연장할 수 있는 연장레일을 구비함으로써, 호퍼형 화차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켜 화물을 적재공간 내부에 쉽게 적재할 수 있는 호퍼형 화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개폐문을 잠그는 개폐문 록킹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록킹축 로드를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터널 위치에서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지게차 포크가 록킹축 로드의 간섭없이 쉽게 삽입터널에 삽입될 수 있는 호퍼형 화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공간의 하부에 고정 스키드가 구비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전단 및 후단으로 상부에 고정월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재의 측면 상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측면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레일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복수의 프레임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롤러의 상부에 전단 또는 후단으로 이동되어 보호커버를 지지하는 보호커버 프레임이 구비되며, 적재되는 상기 화물을 보호하는 덮개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측면 중단 프레임에 구비되는 회전축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측면개폐문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재의 하부 측면프레임 상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면개폐문을 고정시키는 개폐문 록킹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 록킹구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재의 전단 하부프레임과 후단 하부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는 록킹축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축 로드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측면개폐문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핸들을 구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고정 스키드의 상부에 양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두 개의 플레이트 형태로 리프팅 스키드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리프팅 스키드의 각 상부에 고정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팅 스키드를 잡아 당겨 벌리는 리프팅 부재와, 상기 고정 스키드 및 리프팅 스키드에 진동되도록 하는 진동 부재를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재공간 내부에 구비된 고정 스키드 및 리프팅 스키드를 진동시켜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 프레임을 전단 또는 후단으로 안내하는 측면레일을 연장할 수 있는 연장레일을 구비함으로써, 호퍼형 화차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켜 화물을 적재공간 내부에 쉽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면개폐문을 잠그는 개폐문 록킹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록킹축 로드를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터널 위치에서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지게차 포크가 록킹축 로드의 간섭없이 쉽게 삽입터널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를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k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k와 도 6a 내지 도 6b 및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5a 내지 도 5k와 6a 내지 도 6b 및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퍼형 화차는 본체부재(110), 덮개부재(120), 개폐부재(130), 리프팅 부재(140), 진동부재(150), 유도판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110)는 호퍼형 화차 본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갖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11)와, 적재공간의 하부에 중앙부가 상부로 돌출되면서 좌우 양단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스키드(112)와, 본체(111)의 하부프레임 양단부에 호퍼형 화차를 고정시키기 위한 코너 캐스팅(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체(111)는 전단프레임, 후단프레임, 측면 하부프레임, 측면 중단프레임, 측면 상부프레임 등 복수개의 프레임과 전면월, 후면월, 측면월 등 복수개의 월로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재(120)는 본체부재(110)의 상부에 적재되는 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부재(110)의 전단 및 후단으로 전단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월(121)과, 본체부재(110)의 측면 상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레일(122)과, 측면레일(122)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복수의 프레임롤러(123)와, 프레임 롤러(123)의 상부에 고정되어 전단 또는 후단으로 이동되어 보호커버를 지지하는 보호커버 프레임(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호커버 프레임(124)은 프레임 롤러(123)에 고정되고, 프레임 롤러(123)는 측면레일(122)을 따라 안내되어 후단에서 전단으로 또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보호커버 프레임(124)의 후단에는 엔드월(124a)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재(120)는 본체부재(110)의 후단 상부 프레임에 측면레일(122)의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면레일(122)을 연장시키는 제 1 연장레일(125) 및 제 2 연장 레일(126)과, 제 1 연장레일(125) 및 제 2 연장 레일(126)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지지프레임(127) 및 제 2 지지프레임(128)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장레일(125) 및 제 2 연장 레일(126)은 각각 본체부재(110)의 후단 상부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호커버 프레임(124)을 후진하여 본체(111)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측면레일(122)의 끝단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되어 후단 외측 방향으로 제 1 연장레일(125) 및 제 2 연장 레일(126)이 각각 수평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 프레임(124)은 제 1 연장레일(125) 및 제 2 연장 레일(126)을 따라 본체(111)의 후단 외측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본체(111)의 상부가 완전 개방될 수 있다.
개폐부재(130)는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것으로, 본체부재(110)의 측면 중단 프레임에 구비되는 회전축(131a)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면개폐문(131)과, 본체부재(110)의 하부 측면프레임 상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측면개폐문(131)을 고정시키는 개폐문 록킹구(132)와, 개폐문 록킹구(132)에 고정 결합되어 본체부재(110)의 전단 하부프레임과 후단 하부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는 록킹축 로드(133)와, 록킹축 로드(133)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측면개폐문(131)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핸들(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130)는 개방 후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본체부재(110)의 전후단 프레임 각각의 내측과 측면개폐문(131)의 상부프레임 측면에 연결설치되는 유지프레임(135)과 본체부재(110)의 전단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유지프레임(135)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유지프레임(135)의 작동을 조절하는 라쳇(136)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라쳇(136)은 본체부재(110)의 전단 프레임에 설치되는 회동축(136a)과 상기 회동축(136a)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지프레임(135)을 고정 또는 유동되도록 조절하기 위해 렌치 등으로 회동되는 회동 렌치부(136c)로 구성되고, 회동 렌치부(136c)의 회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키(136b)가 회동축(136a)의 외주연에 구비된다.
여기에서, 본체(111)의 하부 프레임에는 측면 방향으로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터널(1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삽입터널(111a)에 지게차 포크가 간섭없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록킹축 로드(133)가 삽입터널(111a) 위치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부분(133a)과 록킹축 로드(133)는 복수 개의 회전축 지지판(133b)에 지지될 수 있고, 개폐문 록킹구(132)의 측면 각도와 삽입터널(111a)의 형태에 대응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록킹핸들(134)의 회전 각도에 따라 측면개폐문(131)이 강하게 압축되어 적재공간과 외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리프팅 부재(140)는 적재공간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리프팅 스키드(141)를 상부로 리프팅시키는 것으로, 고정 스키드(112)의 상부에 양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두 개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는 리프팅 스키드(141)와, 일단이 리프팅 스키드(141)의 각 상부에 고정 연결되고 본체부재(110)의 양측면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리프팅 와이어(142)와, 본체부재(110)의 양측면 중단프레임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베어링블록(143)과, 일단이 베어링블록(143)에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부재(110)의 전단부 중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축로드(144)와, 베어링블록(143) 사이의 구동축로드(144)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윈치레일(145)과, 윈치레일(145)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리프팅 와이어(142)의 타단이 감겨 연결된 윈치휠(146)과, 구동축로드(144)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축풀리(147)와, 구동축풀리(147)와 제 1 벨트(148a)로 연결된 감속풀리(148)와, 감속풀리(148)와 제 2 벨트(149a)로 연결되고 리프팅 핸들(149b)이 구비되는 핸들풀리(14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팅 부재(14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리프팅 핸들(149b)를 회전시키면, 핸들풀리(149)가 회전되고, 핸들풀리(149)의 회전에 따라 제 2 벨트(149a)로 연결된 감속풀리(148)가 회전되며, 감속풀리(148)의 회전에 따라 제 1 벨트(148a)로 연결된 구동축풀리(147)가 회전되며, 구동축풀리(147)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로드(144)가 회전되고, 구동축로드(144)의 회전에 따라 윈치레일(145)을 따라 윈치휠(146)이 이동하면서 회전되어 리프팅 와이어(142)가 감기게 되며, 리프팅 와이어(142)의 끝단에 고정된 리프팅 스키드(141)가 더 큰 경사각을 갖도록 양측으로 벌어져서 내부에 적재된 화물이 개폐부재(130)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진동부재(150)는 적재된 화물을 완전히 배출시키도록 고정 스키드(112) 및 리프팅 스키드(141)에 진동을 가하는 것으로, 고정 스키드(112)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진동프레임(151), 일단이 진동프레임(151)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고정스키드(112)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진동스프링(152)과, 진동프레임(151)이 진동되도록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1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판부(160)는 유도판(161)을 본체부재(110)의 하부에 수평으로 보관되다가 인력으로 당겨져 화차바닥 또는 트레일러 바닥면에 의하여 특정각으로 자연스럽게 경사면을 이루어 적재된 화물을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체부재(110)의 코너 캐스팅(113)의 내측면 하부와 본체부재(110)의 측면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도판(161)을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유도판레일(162)과 본체부재(110)의 측면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유도판레일(162)의 사이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스크류잭(163)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잭(163)은 유도판레일(162)과 연결설치되는 스크류잭 바디(163a)와 스크류잭 바디(163a)의 내부에 나사결합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스크류잭 핀(163b)으로 구성된다.
이때, 스크류잭 핀(163b)은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화차바닥 또는 트레일러 바닥면에 접하는 접합부(미표시)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크류잭 핀(163b)을 렌치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렌치부(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크류잭(163)은 본체부재(110)의 하부프레임이 규정상 코너 캐스팅(113)의 바닥보다 일정 높이 높게 제작되기 때문에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바닥면에 안착될 때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안착되지만 화차의 바닥면에 안착될 때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 형성되어 본체부재(110)가 적재된 화물에 의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도 7d와 같이, 스크류잭(163)을 회전시켜 화차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닥판의 경사면에 진동판을 구비하고,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구비하며, 벌크화물의 배출 시 진동모터를 구동하여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서, 벌크 화물을 쉽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과 개폐구의 하부에 실링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호퍼형 화차의 밀폐 시 적재된 벌크화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본체부재 120 : 덮개부재
130 : 개폐부재 140 : 리프팅 부재
150 : 진동부재 160 : 유도판부

Claims (7)

  1.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적재공간의 하부에 고정 스키드(112)가 구비되는 본체부재(11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단 상부에 고정월(12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재(110)의 측면 상부프레임 상에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측면레일(122)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레일(122)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복수의 프레임롤러(123)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롤러(123)의 상부에 전단 또는 후단으로 이동되어 보호커버를 지지하는 보호커버 프레임(124)이 구비되며, 적재되는 상기 화물을 보호하는 덮개부재(120)와,
    상기 본체부재(110)의 측면 중단 프레임에 구비되는 회전축(131a)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측면개폐문(131)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 측면프레임 상에 복수개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측면개폐문(131)을 고정시키는 개폐문 록킹구(132)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문 록킹구(132)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단 하부프레임과 후단 하부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는 록킹축 로드(132)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축 로드(132)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측면개폐문(131)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는 록킹핸들(134)을 구비하는 개폐부재(130)와,
    상기 고정 스키드(112)의 상부에 양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두 개의 플레이트 형태로 리프팅 스키드(141)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리프팅 스키드(141)의 각 상부에 고정 연결되는 리프팅 와이어(142)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팅 스키드(141)를 잡아 당겨 벌리는 리프팅 부재(140)와,
    상기 고정 스키드(112) 및 리프팅 스키드(141)에 진동되도록 하는 진동 부재(150) 및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에 수평으로 보관되는 유도판(161)과 상기 유도판(161)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도판레일(162)을 구비하는 유도판부(160)를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12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후단 상부 프레임에 상기 측면레일(122)의 끝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면레일(122)을 연장시키는 제 1 연장레일 및(125) 제 2 연장 레일(126)과,
    상기 제 1 연장레일(125) 및 제 2 연장 레일(126)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지지프레임(127) 및 제 2 지지프레임(128)을 더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30)는,
    상기 본체부재(110)의 하부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터널(111a)에 지게차 포크가 상기 록킹축 로드(133)의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터널(111a)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록킹축 로드(133)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호퍼형 화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30)는,
    본체부재(110)의 전후단 프레임 각각의 내측과 측면개폐문(131)의 상부프레임 측면에 연결설치되는 유지프레임(135)과
    본체부재(110)의 전단 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유지프레임(135)에 연결설치되는 라쳇(136)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136)은
    본체부재(110)의 전단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정키(136b)가 외주연에 구비되는 회동축(136a)과
    회동축(136a)의 전면에 설치되는 회동 렌치부(136c)를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부재(140)는,
    일단이 베어링블록(143)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재(110)의 전단부 중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동축로드(144)와,
    상기 베어링블록(143) 사이의 상기 구동축로드(144)에 결합되어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윈치레일(145)과,
    상기 윈치레일(145)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리프팅 와이어(142)의 타단이 감겨 연결된 윈치휠(146)과,
    상기 구동축로드(144)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는 구동축풀리(147)와,
    상기 구동축풀리(147)와 제 1 벨트(148a)로 연결된 감속풀리(148)와,
    상기 감속풀리(148)와 제 2 벨트(149a)로 연결되고 리프팅 핸들(149b)이 구비되는 핸들풀리(149)를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150)는,
    상기 고정 스키드(112)의 내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진동프레임(151)과,
    일단이 상기 진동프레임(151)에 고정되고 상부로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고정스키드(112)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는 진동스프링(152)과,
    상기 진동프레임(151)이 진동되도록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153)를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부(160)는
    본체부재(110)의 코너 캐스팅(113)의 내측면 하부와 본체부재(110)의 측면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도판(161)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유도판레일(162)과
    본체부재(110)의 측면 하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유도판레일(1162)의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스크류잭(163)을 포함하는 호퍼형 화차.
KR1020140138627A 2014-10-14 2014-10-14 호퍼형 화차 KR101627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27A KR101627666B1 (ko) 2014-10-14 2014-10-14 호퍼형 화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27A KR101627666B1 (ko) 2014-10-14 2014-10-14 호퍼형 화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871A true KR20160043871A (ko) 2016-04-22
KR101627666B1 KR101627666B1 (ko) 2016-06-07

Family

ID=5591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627A KR101627666B1 (ko) 2014-10-14 2014-10-14 호퍼형 화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0831A (zh) * 2021-01-15 2021-04-02 深圳市纳百晟科技有限公司 一种降尘的高效卸煤车厢以及卸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11B1 (ko) 2018-11-30 2019-04-05 주식회사 청진 덤핑 도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374Y2 (ko) * 1973-12-29 1979-06-21
JP2000052839A (ja) * 1998-08-04 2000-02-22 Yokichi Nagasawa ダンプカーの積荷排出機構
KR100709482B1 (ko) * 2006-09-29 2007-04-2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KR101398421B1 (ko) 2012-03-30 2014-05-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374Y2 (ko) * 1973-12-29 1979-06-21
JP2000052839A (ja) * 1998-08-04 2000-02-22 Yokichi Nagasawa ダンプカーの積荷排出機構
KR100709482B1 (ko) * 2006-09-29 2007-04-20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화물차량용 적재함 자동 커버장치
KR101398421B1 (ko) 2012-03-30 2014-05-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0831A (zh) * 2021-01-15 2021-04-02 深圳市纳百晟科技有限公司 一种降尘的高效卸煤车厢以及卸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666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0327C (en) Loading assembly for transport containers
KR101217098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KR101303028B1 (ko) 호퍼형 적재함의 개폐장치
CN104553934A (zh) 一种便于装卸货物的货车
CN109230004A (zh) 散粒货物侧卸漏斗集装箱
KR101627666B1 (ko) 호퍼형 화차
US20140356108A1 (en) Unloading System for Bulk Material from a Transport Vessel, in Particular a Container
CN101304898B (zh) 负载运送箱体
KR101398421B1 (ko)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WO2019229844A1 (ja) 貨物コンテナ
KR101239114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덤프형 수송용기
CN112277977B (zh) 散粒货物运输车
KR20140101137A (ko) 덤프형 적재함의 도어 자동개폐-잠금구조
KR101605513B1 (ko) 벌크화물 운반용 적재함
WO2010020925A1 (en) Dump container
CN111498318A (zh) 一种倾翻自卸式集装箱
KR101537003B1 (ko) 화물차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CN210526540U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WO2011161639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transportation and unloading of bulk materials
CN111746955B (zh) 集装箱
KR20170109991A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기계
Savenkov et al. A New Way of Transporting Cars by Rail
JP4395055B2 (ja) 荷役車両用コンテナ
JP3115802U (ja) 粉粒体の移送投入ボックスとこれを備えた移送投入装置
KR100836320B1 (ko) 트럭의 테일 게이트 승하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