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776A -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776A
KR20120105776A KR1020110023415A KR20110023415A KR20120105776A KR 20120105776 A KR20120105776 A KR 20120105776A KR 1020110023415 A KR1020110023415 A KR 1020110023415A KR 20110023415 A KR20110023415 A KR 20110023415A KR 20120105776 A KR20120105776 A KR 20120105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improving skin
cream
skin inflamma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864B1 (ko
Inventor
이종호
이재수
김청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라심수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라심수, 이종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라심수
Priority to KR102011002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8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연교 및 꾸지뽕나무껍질 혼합물의 추출물 및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추출물의 추출용매가 해양심층수인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게 작용하면서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우수한 항염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inflammation using deep ocean water}
본 발명은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형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나타나는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끔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염증과 관계되는 대표적인 피부 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와 여드름 등이 있다. 특히, 아토피에 대해서 설명한다면, 아토피는 심한 가려움증이 특징적인데 피부에 자극을 가하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고, 자꾸 더 긁다보면 상처가 나게된다. 이로 인해 세균감염(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일어나게 되어 염증이 발생한다. 아토피의 문제 중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는 이때 일어나는 2차 감염 및 초항원 독소이다. 아토피 환자의 80~90%는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ilococcus aureus)과 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pyogenes)의 감염이 있는데, 이때 anti-staphilococcus IgE가 만들어지며, 이는 T-cell반응을 자극하는 초항원 독소에 의해 유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초항원 독소는 랑게르한스 세포내 항원제시세포를 통하여 T 임파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인터루킨-1과 TNF-alpha를 생산하게 하고, 이들에 의해 자극된 T-cell에서 여러 가지 세포내 사이토카인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즉, 초항원 독소는 인터루킨-4와 인터루틴-5의 분비를 촉진하여 IFN-gamma의 분비는 저해하고, CLA의 수를 증가시켜 결국 Ig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IgE에 의하여 호염구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된다.
최근에는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칭함)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드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이용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형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제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연교 및 꾸지뽕나무껍질 혼합물의 추출물 및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가 해양심층수인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해양심층수 대 상기 혼합물의 혼합비는 1 : 1 내지 20 : 1(w/w)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심층수는 탈염처리되고, 3 : 1 : 1(w/w)의 마그네슘 : 칼슘 : 칼륨 구성비를 갖을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서 연교 대 꾸지뽕나무껍질의 혼합비가 1 : 0.1 내지 1 : 10(w/w)일 수 있다.
상기 연교 및 꾸지뽕나무껍질 혼합물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0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크림, 립스틱,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샴푸, 린스, 탈모제, 팩, 비누,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에멀젼, 헤어토닉, 스프레이 및 오일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하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고,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우수한 항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해 안전성, 흡수율 등이 우수하고, 자극 및 염증에 따른 피부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연교와 꾸지뽕나무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물의 추출물은 항염 효과 및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연교(Forsythiae koreana)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가을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건조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연교의 유효성분은 phillygenin, arctigenin 등의 lignan 류와 forsythiaside, suspensaside 등의 caffeoyl glycoside류 등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 꾸지뽕나무속에 속하는 갈잎작은키나무이다. 상기 꾸지뽕나무의 유효성분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페놀류, 아미노산, 유기산, 당류 등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는 줄기, 잎, 껍질, 열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껍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서 연교 대 꾸지뽕나무의 혼합비가 1 : 0.1 내지 1 : 10(w/w)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1 내지 1 : 5(w/w)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 : 0.5 내지 1 : 2(w/w)일 수 있다. 상기 혼합비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면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 보다 개선된 항염 효과 및 가려움 개선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해양심층수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해양심층수는 인체와 유사한 미네랄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부에 안전하고 흡수율이 좋아 항염 효과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해양심층수는 수심 200m 이상에서 취수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5m이상에서 취수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심층수는 인체의 미네랄 구성비와 유사한 3 : 1 : 1(w/w)의 마그네슘 : 칼슘 : 칼륨의 비율로 탈염처리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탈염처리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기분해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상기 추출용매는 해양심층수에 유기용매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이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 대 상기 연교 및 꾸지뽕나무 혼합물(원재료)의 혼합비는 1 : 1 내지 20 : 1(w/w)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0 : 1(w/w)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5 : 1 내지 10 : 1(w/w)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가 상기 혼합비 내에 포함되면 원활하게 추출이 이루어져 항염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000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부이며, 더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면 우수한 항염 효과, 가려움 개선 효과 등을 제공하여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물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방법에 따라 용매 추출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하고자 하는 원재료를 잘게 분쇄한 다음, 해양심층수를 가하여 교반한 후 1일 내지 7일 동안 침적시킨다. 상기 혼합물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진공농축기에서 농축하여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연교와 꾸지뽕나무의 혼합추출농축액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원하는 제형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제, 정제수, 보습제, 색소, 유화제, 킬레이트제, 유연제, 완충제, 왁스, 파라핀, 전분, 탈크, 실리콘, 동물성 유지, 식물성 유지, 방부제, 향료, 기포제, 세정제, 아미노산류, 펩티드류, 단백질류, 산화방지제, 탄화수소류, 합성 에스테르, 지방산 알코올, 글리세린, 습윤제, 침강방지제, 분산제, 겔화제,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염증, 가려움증 등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크림, 립스틱,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샴푸, 린스, 탈모제, 팩, 비누,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에멀젼, 헤어토닉, 스프레이, 오일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3
건조된 연교와 꾸지뽕나무껍질을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연교와 꾸지뽕나무껍질을 1 : 0.5 ~ 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각 100g당 해양심층수(전기 분해로 탈염처리되고, 마그네슘 : 칼슘 : 칼륨=3 : 1 : 1(w/w), 수심 605m에서 취수한 강원심층수) 500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1 일간 숙성시켰다. 위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다음, 순차적으로 0.4 ㎛, 0.2 ㎛ 및 0.1 ㎛ 크기(기공)의 필터로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추출농축물을 획득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구성 약재 혼합비
(연교/꾸지뽕나무껍질, w/w)
추출농축물
(g)
제조예 1 1/1 7.4
제조예 2 1/2 8.1
제조예 3 2/1 6.8
실험예 1
(1) NO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제조예 1 ~ 3에서 제조한 추출농축물의 염증 발생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NO(nitric oxide)의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A. J. Ding, C. F. Nathan, and D. J. Stuehr, J. Immunol., 144, 2407-2413, 1988) 쥐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을 10% FBS DMEM 배지로 배양하고 24-웰 플레이트에 4 X 105 cell/well로 분주하여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 제조예 1~ 3의 추출농축물 및 LNMMA(Methylarginine)를 각각 함유한 FBS free DMEM을 처리하고 30분 후 LPS(lipopolysaccharide)로 NO를 유발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NO assay kit를 이용하여 LPS 처리 대비 시료의 NO양을 계산하여 NO 생성 억제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ppm) NO 생성 억제율(%)
LNMMA 10 45.2
제조예 1의
추출농축물
10 58.4
20 104.9
제조예 2의
추출농축물
10 64.5
20 112.3
제조예 3의
추출농축물
10 54.7
20 102.1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의 농축물은 대표적인 NO 생성 저해물질인 LNMMA보다 우수한 NO(nitric oxide) 생성 억제효능을 나타내어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PGE 2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GE2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Jeffrey, K. H., Anglea, S. W., Zoe, S., and Rhia C. M.,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Prostaglandin E2 : Effect of antiinflammatory drugs on cyclooxygenase activity and prostanoid expression, Analytical Biochemistry, 1999, 271, 18-28).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1 X 105 개씩 넣고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10배 농도(1 mg/ml)로 조제된 제조예 1 내지 3의 시료 20 ㎕와 LPS(1 ㎍/㎖) 450 ㎕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전배양과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PGE2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배지를 원심분리(12,000rpm, 3 min)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PGE2의 측정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함으로써 추출물들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억제율(%)
대조군 -
제조예 1의
추출농축물
85.3
제조예 2의
추출농축물
95.7
제조예 3의
추출농축물
79.1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의 추출물은 매우 강력한 프로스타글란딘(PGE2) 억제율을 나타내어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1 비교예1
제조예 1의 추출물
디에틸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벤조산나트륨
바셀린
0.2
8
5
6
적량
To 100
-
8
5
6
적량
To 100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2를 이용하여 하기 표 5의 구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2 비교예 2
제조예 2의 추출물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정제수
0.2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3 및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2를 이용하여 하기 표 6의 함량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3 비교예 3
제조예 2의 추출물
에탄올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색소
정제수
0.2
10
1
0.2
5
6
적량
적량
To 100
-
10
1
0.2
5
6
적량
적량
To 100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상기 제조예 2를 이용하여 하기 표 7의 구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실시예 4 비교예 4
제조예 2의 추출물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히아루론산나트륨수용액(1%)
에탄올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정제수
0.2
10
10
5
5
1
0.2
적량
To 100
-
10
10
5
5
1
0.2
적량
To 100
실험예 2
(1) 가려움증 억제 효과 실험
23 내지 26g 중량의 10 마리 수컷 ICR 마우스로 된 군을 이용하여 가려움 유발 동물 행동 모델시험을 실시하였다.(Satoh et al., 1995, Eur J Pharmacol, 229-233) 동물은 상온에서 자유로이 음식물 및 물을 억을 수 있게 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긁기를 유발하기 위해서 사람에게 가려움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compound 48/80을 사용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목 뒤에 시험물질 100 ㎕를 도포하고 compound 48/80(2mg/ml : 100 ㎍/site) 50㎕를 목 뒤에 내피 주사한다. 이후 30분간 마우스의 움직임을 관찰하며 뒷다리로 주사한 부위를 긁는 횟수를 헤아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가려움 억제(%) 실험물질 가려움 억제(%)
실시예 1 86 비교예 1 1.0
실시예 2 94 비교예 2 1.5
실시예 3 85 비교예 3 1.5
상기 표 8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한 화장료는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서 마우스에서 유발시킨 가려움에 대해서 뚜렷한 억제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우수한 가려움 억제제임을 확인할 수 있다.
(2)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실험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심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20여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를 양팔의 환부에 1일 2회씩(4주)도포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가려움증 정도 및 아토피 피부염의 정도를 문진 및 육안으로 판정하고,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뚜렷한 효과(명) 효과있음(명) 차이 없음(명)
가려움증 개선 8 10 2
아토피 피부염 개선 6 9 5
상기 표 9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는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피부 안전성이 높고, 매우 뛰어난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임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연교 및 꾸지뽕나무껍질 혼합물의 추출물 및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가 해양심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심층수 대 상기 혼합물의 혼합비는 1 : 1 내지 20 : 1(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심층수는 탈염처리되고, 3 : 1 : 1(w/w)의 마그네슘 : 칼슘 : 칼륨 구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서 연교 대 꾸지뽕나무껍질의 혼합비가 1 : 0.1 내지 1 : 10(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교 및 꾸지뽕나무껍질 혼합물의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0.00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크림, 립스틱,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파우더,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샴푸, 린스, 탈모제, 팩, 비누,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보디에센스, 에멀젼, 헤어토닉, 스프레이, 및 오일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23415A 2011-03-16 2011-03-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1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15A KR101231864B1 (ko) 2011-03-16 2011-03-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15A KR101231864B1 (ko) 2011-03-16 2011-03-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76A true KR20120105776A (ko) 2012-09-26
KR101231864B1 KR101231864B1 (ko) 2013-02-08

Family

ID=4711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415A KR101231864B1 (ko) 2011-03-16 2011-03-16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8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73B1 (ko) * 2012-11-28 2014-09-02 농업회사법인 내몸애 주식회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꾸지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꾸지뽕 추출물
KR20170030911A (ko) 2015-09-10 2017-03-20 주식회사 만도 4wd 차량의 엔진 토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9967A (ko) 2020-02-28 2021-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꾸지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항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92B1 (ko) * 2004-10-18 2006-05-26 주식회사 황토생활건강 황토수 및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항염증 및항비듬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743A (ko) * 2007-02-28 2008-09-02 최광석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효과를 갖는 산야초를 이용한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070079596A (ko) * 2007-05-10 2007-08-07 김선일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미인코스메틱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873B1 (ko) * 2012-11-28 2014-09-02 농업회사법인 내몸애 주식회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꾸지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꾸지뽕 추출물
KR20170030911A (ko) 2015-09-10 2017-03-20 주식회사 만도 4wd 차량의 엔진 토크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9967A (ko) 2020-02-28 2021-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꾸지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20220024234A (ko) 2020-02-28 2022-03-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꾸지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20230150777A (ko) 2020-02-28 2023-10-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꾸지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항균 조성물
KR20240023573A (ko) 2020-02-28 2024-0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꾸지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세균성 질병에 대한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864B1 (ko) 201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7984A2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83817A (ko)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815A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6129B1 (ko) 항염증용 조성물
KR10123186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298B1 (ko)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5408A (ko)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327A (ko) 사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08976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3645B1 (ko) 갯강활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08B1 (ko)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100602813B1 (ko)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 조성물
KR101524534B1 (ko)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0127B1 (ko) 켈리도닌 및 켈레리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801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84985B1 (ko) 수소 및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0340A (ko) 택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5397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