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298B1 -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298B1
KR102300298B1 KR1020190147766A KR20190147766A KR102300298B1 KR 102300298 B1 KR102300298 B1 KR 102300298B1 KR 1020190147766 A KR1020190147766 A KR 1020190147766A KR 20190147766 A KR20190147766 A KR 20190147766A KR 102300298 B1 KR102300298 B1 KR 102300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inflammatory
effect
inflammatory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121A (ko
Inventor
김청택
홍성종
우건식
신상수
전다은
김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14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2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으로 구성된 복합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려움증 개선 또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inflammation}
본 발명은 항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대한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만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성분 중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에 조재하는 피부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끔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핵형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EK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염증과 관계되어진 대표적인 피부 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와 여드름 등이 있으며 아토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토피는 심한 가려움증이 특징적인데 피부에 자극을 하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고, 자꾸 더 긁다보면 상처가 나게되고, 이로인해 세균감염(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일어나게 되어 염증이 일어나게된다. 아토피의 문제 중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는 이때 일어나는 2차 감염 및 초항원 독소이다. 이토피 환자의 80~90%는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ilococcus aureus)와 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pyogenes)의 감염이 있는데, 이때 anti-staphilococcus IgE가 만들어지며, 이에 의해 T-cell반응을 자극하는 초항원 독소에 의해 유발되고 악화시키기도 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초항원 독소는 랑게르한스 세포내 항원제시세포를 통하여 T 임파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인터루킨-1과 TNF-alpha를 생산하게 하고, 이들에 의해 자극된 T-cell에서 여러 가지 세포내 사이토카인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즉, 초항원 독소는 인터루킨-4와 인터루틴-5의 분비를 촉진하여 IFN-gamma의 분비는 저해하고, CLA의 수를 증가시켜 결국 Ig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두 번째로는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환자들이 포도상구균 독소에 대한 IgE 항체에 의하여 호염구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을 분비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된다.
따라서, 피부건조를 막기 위해 보습제의 사용이 자주 권장되는 것이고, 2차 감염 및 이로 인한 초항원 인자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즉, 아토피는 유전적 결함을 기본적인 병인으로 보지만, 여러 가지 외부적인 후천적 요소들에 의해 유발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아토피의 유발 악화인자로는 유전적 요인,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 대사적 요인, IgE의 과도한 생성, 자율신경계의 조절이상, 심리적인 요인, 자극적인 요인 등이 있다.
이렇듯 아토피는 결코 그 기전이 단순하지 않은 질환이다. 면역학적 관점에서도 하나의 면역학적 문제가 아닌 다양한 패턴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 예로, IgE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감마인터페론의 문제도 그 생성이 평균치보다 떨어져서 생기기도 하지만, 반대작용을 하는 인터루킨-4보다 적어서 생기기도 하고, 생성과정이 문제가 있어서 분완전한 인터페론의 생성으로 생기기도 하고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정상이라 하더라도 인터페론의 자극에 민감도가 떨어져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PLA2)라는 효소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아라키돈산은 다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이하 'COX'로 칭함) 또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lotrienes)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 Phsiol. Bioche. Pharmacol., 100, 1984)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칭함)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드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피부에 대한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으로 구성된 복합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려움증 개선 또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인 항염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의 혼합물을 온천수로 추출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풀은 병풀(Centella asiatica)의 전초이며, 우방자는 우엉(Arctium lappa)의 씨이며, 지모뿌리는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의 뿌리줄기이며, 연꽃씨는 연꽃(Nelumbo nucifera)의 씨이며, 당개나리열매는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의 열매이며, 인동덩굴꽃은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의 꽃이다.
상기 약재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온천수, 증류수,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여과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의 혼합물을 온천수로 추출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각각 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의 혼합물을 온천수로 추출한 한약재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젤, 로션,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2
건조된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을 동량 혼합한 후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약재 혼합물 100g당 증류수와 온천수 500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추출물들을 순차적으로 0.4 ㎛, 02 ㎛, 0.1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약재 혼합물의 증류수추출물과 온천수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약재 혼합물 추출물의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NO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24-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ml로 분주하고, LPS(500ng/ml)를 처리하고 1시간 후 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는 Griess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배양액에 녹아있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 100ul와 Griess시약 100ul를 혼합하여 96 웰플레이트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함으로써 시료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억제율(%)
대조군 -
실시예 1
(증류수 추출물)
100ppm 23
200ppm 32
1000ppm 57
2000ppm 75
실시예 2
(온천수 추출물)
100ppm 31
200ppm 37
1000ppm 69
2000ppm 8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는 매우 강력한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증류수를 이용한 추출물에 비하여 온천수를 이용한 추출물의 효능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제조예 1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2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1 비교예1
실시예 2의 추출물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2
8
5
6
적량
To 100
-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2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2 비교예 2
실시예 2의 추출물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정제수
2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3 및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2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처방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3 비교예 3
실시예 2의 추출물
에탄올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색소
정제수
2
10
1
0.2
5
6
적량
적량
To 100
-
10
1
0.2
5
6
적량
적량
To 100
제조예 4 및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2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의 처방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4 비교예 4
실시예 2의 추출물
바셀린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수산화칼륨
색소

정제수
2
2
1
1
적량
5
3
18
0.1
적량
적량
To 100
-
2
1
1
적량
5
3
18
0.1
적량
적량
To 100
[실험예]
실험예 2.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실험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심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20여명을 선정하여 제조예 2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를 양팔의 환부에 1일 2회씩(4주)도포하였다. 제조예와 비교예의 가려움증 정도 및 아토피 피부염의 정도를 문진 및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뚜렷한 효과(명) 효과있음(명) 차이 없음(명)
가려움증 개선 9 11 0
아토피 피부염 개선 4 15 2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는 피 시험자 20명 중에서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병풀, 우방자, 지모뿌리, 연꽃씨, 당개나리열매 및 인동덩굴꽃의 중량비가 1:1:1:1:1:1로 구성된 복합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려움증 개선 또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아토피 피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온천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190147766A 2019-11-18 2019-11-18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300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66A KR102300298B1 (ko) 2019-11-18 2019-11-18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766A KR102300298B1 (ko) 2019-11-18 2019-11-18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21A KR20210060121A (ko) 2021-05-26
KR102300298B1 true KR102300298B1 (ko) 2021-09-09

Family

ID=7613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66A KR102300298B1 (ko) 2019-11-18 2019-11-18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9068A1 (en) * 2021-08-17 2023-02-23 ALL IN ON Co., Ltd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comprising salvia plebeia r br extract and centella asiatica extract
KR102534797B1 (ko) 2022-10-24 2023-05-30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지모추출물, pdrn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수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583B1 (ko) * 2018-11-28 2020-09-01 김범수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21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8750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на основе лишайника бородатого (usnea barbata) и зверобоя обыкновенного (hypericum perforatum)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KR20110083817A (ko)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8069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3218B1 (ko)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2300298B1 (ko)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200053815A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020076375A (ko) 아토피성 피부에 유용한 화장품
KR100530843B1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231864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6141B1 (ko)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KR20060099225A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20060007076A (ko)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로사시아,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보유한 천연추출물제제 bsasm
KR20210061548A (ko) 피부 염증 개선용 플라바논 유도체 조성물
KR102630567B1 (ko)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3057A (ko)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97834B1 (ko) 7, 8, 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424105B1 (ko) 봉독을 포함하는 피부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00027359A (ko) 유창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2841079B1 (en) New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ulcers
KR102416652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4098A (ko) 참외 추출물, 모자반 추출물, 작약뿌리 추출물 및 청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4655A (ko) 나노화된 벌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8576A (ko) 편백 유래 2-하이드록시-4-이소프로필-2,4,6-싸이클로헵타트리엔-1-원의 분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