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41B1 -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141B1
KR102616141B1 KR1020230108239A KR20230108239A KR102616141B1 KR 102616141 B1 KR102616141 B1 KR 102616141B1 KR 1020230108239 A KR1020230108239 A KR 1020230108239A KR 20230108239 A KR20230108239 A KR 20230108239A KR 102616141 B1 KR102616141 B1 KR 10261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xtracting
ethanol
skin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영 filed Critical 정지영
Priority to KR102023010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은,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Vega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ight complex to improve skin inflammation and skin itchiness}
본 발명은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만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성분 중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에 조재하는 피부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끔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핵형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염증과 관계되어진 대표적인 피부 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와 여드름 등이 있으며 아토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토피는 심한 가려움증이 특징적인데 피부에 자극을 하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고, 자꾸 더 긁다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일어나게 되어 염증이 일어나게 된다.
아토피의 문제 중에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이때 일어나는 2차 감염 및 초항원 독소이다. 이토피 환자의 80 ~ 90%는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ilococcus aureus)와 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pyogenes)의 감염이 있는데, 이때 anti-staphilococcus IgE가 만들어지며, 이에 의해 T-cell반응을 자극하는 초항원 독소에 의해 유발되고 악화시키기도 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초항원 독소는 랑게르한스 세포 내 항원제시세포를 통하여 T 임파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인터루킨-1과 TNF-alpha를 생산하게 하고, 이들에 의해 자극된 T-cell에서 여러 가지 세포내 사이토카인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즉, 초항원 독소는 인터루킨-4와 인터루틴-5의 분비를 촉진하여 IFN-gamma의 분비는 저해하고, CLA의 수를 증가시켜 결국 Ig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두 번째로는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환자들이 포도상구균 독소에 대한 IgE 항체에 의하여 호염구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을 분비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된다.
따라서, 피부건조를 막기 위해 보습제의 사용이 자주 권장되는 것이고, 2차 감염 및 이로 인한 초항원 인자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즉, 아토피는 유전적 결함을 기본적인 병인으로 보지만, 여러 가지 외부적인 후천적 요소들에 의해 유발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아토피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 대사적 요인, IgE의 과도한 생성, 자율신경계의 조절이상, 심리적인 요인, 자극적인 요인 등이 있다.
이렇듯 아토피는 결코 그 기전이 단순하지 않은 질환이다. 면역학적 관점에서도 하나의 면역학적 문제가 아닌 다양한 패턴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 예로, IgE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감마인터페론의 문제도 그 생성이 평균치보다 떨어져서 생기기도 하지만, 반대작용을 하는 인터루킨-4보다 적어서 생기기도 하고, 생성과정이 문제가 있어서 분완전한 인터페론의 생성으로 생기기도 하고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정상이라 하더라도 인터페론의 자극에 민감도가 떨어져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PLA2)라는 효소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아라키돈산은 다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이하 ‘COX’로 칭함) 또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lotrienes)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 Phsiol. Bioche. Pharmacol., 100, 1984)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칭함)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드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01046호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5159호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은,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및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은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인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및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은 10 : 10 : 10 : 10 : 10 : 1 : 1 : 1 또는 1 : 1 : 1 : 1 : 1 : 10 : 10 : 10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작두콩잎을 추출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생강뿌리를 추출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느릅나무뿌리를 추출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병풀잎을 추출하여 병풀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팥꽃나무싹을 추출하여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는 제5단계, 우엉씨를 추출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는 제6단계, 고삼뿌리를 추출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7단계, 약모밀전초를 추출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 제조하는 제8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의 각 추출물들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9단계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유효성분은 8가지 약재들의 추출물들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인 것으로 이를 '에이트 컴플렉스'로 지칭하여 명명한다.
이하, 실시예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하기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이란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본원에서 정의되는 "가려움증"이란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 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이며,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작두콩(Canavalia ensiformis)은 열매가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꼬투리여서, 그 모양이 작두 같다고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고 불리우는 콩과 작물로써, 우레아제(Urease), 카나바닌(Canavanine), 카나바린(Canavaline), 지베레린 I, II(Gibberellins I, II) 및 단백질 등이 존재하며, 다른 콩과 작물에 비하여 비타민 B군, 비타민 C, 나이아신(Niacin)이 3∼5배 가량 더 많이 존재하며, 쥐눈이콩, 돌콩 등과 함께 콩 중에서 약효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효부위로 꼬투리, 깍지, 열매, 뿌리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잎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어. 본 발명에서는 작두콩의 여러 부위들 중 작두콩잎을 사용한다.
상기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부위들 중 생강뿌리는 생강의 성숙한 뿌리를 껍질을 벗기고 2-5mm 두께로 썰어서 사용하는 약재로써 모든 약물을 보조하고 담을 없애 어지럽거나 니글거리는 것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생강의 여러 부위들 중 생강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느릅나무속 식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 점액질, β-시토스테롤(Sitosterol), 파이토스테롤(Phytosterol), 시그마스테롤(Sigmasterol), 탄닌(Tannin), 레진(Resin), 패티오일(Fathyoil) 등이 포함되어 있어 임탁, 수종, 단독개선, 기침, 수렴, 항염, 구충, 항균, 이뇨, 소종독, 치습, 주수보제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느룹나무는 약효부위로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및 씨앗 등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부위별로 나타내는 효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그 중 뿌리껍질은 각종 악성 종창과 장궤양, 암 예방 및 암 치료 등 여러 질병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느릅나무의 여러 부위들 중 느릅나무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병풀(Centelia asiatica)은 호랑이풀, 조개풀 등으로도 지칭되며, 한반도 남부섬 등지의 다습한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미나리과 병풀 속의 여러해살이풀로써, 피부손상 및 상처, 화상, 궤양, 나병, 두피의 지루성 피부염, 비대흉터, 연조직염 등의 질병에 대한 효능이 수많은 연구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병풍의 유효성분으로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asiaticoside이 포함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을 갖으며, 염증을 억제하며, 피부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셀룰라이트 생성 억제 작용을 통해 튼살을 완화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효부위로 줄기, 뿌리, 잎 등 대부분 부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병풀의 여러 부위들 중 병풀잎을 사용한다.
상기 팥꽃나무(Daphne genkwa)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을 의미하는데, 조기 꽃나무·이팥나무라고도 하며, 주로 바닷가 근처에서 성장하고, 독성을 띠며, 한의학에서는 이뇨, 수종, 신장염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팥꽃나무의 경우에는 통상 그 뿌리와 줄기를 사용하며, 팥꽃나무의 싹은 피부 컨디셔닝제(수분유지)로써 화장품의 소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팥꽃나무의 여러 부위들 중 팥꽃나무싹을 사용한다.
상기 우엉(Arctium lappa)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써 여러 부위들 중 종자(씨)는 흑색으로써 피부탄력 개선제로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엉의 여러 부위들 중 우엉씨를 사용한다.
상기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우리나라, 시베리아, 중국 등의 양지 바른 산과 들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맛이 써서 고(苦), 효능이 삼과 유사하다 하여 삼(參)이라는 글자를 사용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그 말린 뿌리는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해 왔다.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삼의 여러 부위들 중 고삼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약모밀(Houttuynia cordata)은 흔히 어성초, 삼백초라 불리 우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따뜻하고 습지인 곳에서 잘 자라며,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보통 4월경에 싹이 트고 6~8월경에 꽃이 피며, 특유의 독특한 비린내를 나타내는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래전부터 생약제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약모밀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잎, 줄기, 꽃, 뿌리 따위를 가진 옹근 풀포기를 뜻하는 전초의 형태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효능들을 나타내는 8가지 약재들은 추출물 형태로 가공하여 혼합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적절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결과물을 의미하며, 상기 추출물은 추출로 인해 수득되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혼합추출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필수조건을 통해 제조하여 얻은 것으로, 상기 약재들의 원재료를 각각에 맞는 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하여 추출물 형태로 가공한 후, 이들을 특정비율에 맞게 혼합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한 혼합추출물을 의미한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
1. 제1단계: 작두콩잎추출물 제조(S10)
본 단계에서는 작두콩잎을 추출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작두콩잎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후 여과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작두콩잎을 90~100%(V/V) 에탄올에 넣어 상온(20~30℃)에서 5~10일동안 숙성하여 용해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크기를 달리한 필터로 3~4번 여과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작두콩잎을 물에 넣고 90~100℃로 1~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에탄올 추출물과 동량 혼합한 후 필터링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기도 한다..
2. 제2단계: 생강뿌리추출물 제조(S20)
본 단계에서는 생강뿌리를 추출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생강뿌리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제3단계: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제조(S30)
본 단계에서는 느릅나무뿌리를 추출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느릅나무뿌리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4. 제4단계: 병풀잎추출물 제조(S40)
본 단계에서는 병풀잎을 추출하여 병풀잎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병풀잎은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병풀임추출물을 제조하였다.
5. 제5단계: 팥꽃나무싹추출물 제조(S50)
본 단계에서는 팥꽃나무싹을 추출하여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팔꽃나무싹은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팔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 제6단계: 우엉씨추출물 제조(S60)
본 단계에서는 우엉씨를 추출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우엉씨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7. 제7단계: 고삼뿌리추출물 제조(S70)
본 단계에서는 고삼뿌리를 추출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고삼뿌리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8. 제8단계: 약모밀전초추출물 제조(S80)
본 단계에서는 약모밀전초를 추출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약모밀전초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9. 제9단계: 혼합추출물 제조(S9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에서 제조된 8종의 약재추출물들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피부자극을 일으키지않고 인체무해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인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말해, 피부자극을 일으키지않고 인체무해하면서 별돌의 화학제 처리 없이도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8종의 약재추출물들을 특정비율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하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8종의 약재추출물들 단순 혼합하여 적용할 경우 그 활성이 떨어져 오히려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효과가 떨어져 화장료 조성물로써의 사용이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차례 연구한 결과, 여러 혼합조성비율별로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효능을 확인하였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및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은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인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및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은 10 : 10 : 10 : 10 : 10 : 1 : 1 : 1 또는 1 : 1 : 1 : 1 : 1 : 10 : 10 : 10인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10. 제10단계: 화장료 조성물 제조(S100)
본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추출물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각각 0.0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한향이 나타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미 알려진 화장료 제조방법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피부 화장료에 한정되지 않고 생활용품, 의약부외품, 외용 의약품에도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으로 허용 가능한 성분으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기도 하며 기능성 보조 성분으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용 혼합추출물 1 제조
건조된 작두콩잎, 생강뿌리, 느릅나무뿌리, 병풀잎, 팥꽃나무싹, 우엉씨, 고삼뿌리 및 약모밀전초를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각 약재 100g당 에탄올 500ml를 가한 후, 25℃에서 7일간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각 추출물들을 순차적으로 0.4 ㎛, 0.2 ㎛, 0.1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각 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 약재의 추출물들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 추출물들을 준비한 후,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과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 : 1 : 1 : 1 : 1 : 1 : 1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용 혼합추출물 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과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0 : 10 : 10 : 10 : 10 :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2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용 혼합추출물 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과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 : 1 : 1 : 1 : 1 : 10 : 10 : 10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8종의 약재 추출물 1 내지 8 제조
건조된 작두콩잎, 생강뿌리, 느릅나무뿌리, 병풀잎, 팥꽃나무싹, 우엉씨, 고삼뿌리 및 약모밀 전초를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각 약재 100g당 에탄올 500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각 추출물들을 순차적으로 0.4 ㎛, 02 ㎛, 0.1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각 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 약재의 건조 추출물 1 내지 8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추출물들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단일 약재추출물들을 대상으로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NO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NO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단일 약재추출물들을 중점대상으로 다른 부위(비교구 1 내지 5-추출방식은 비교예들과 비교구와 모두 동일한 조건 적용)를 적용하여 NO 생성억제효과를 함께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24-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ml로 분주하고, LPS(500ng/ml)를 처리하고 1시간 후 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는 Griess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배양액에 녹아있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 100ul와 Griess시약 100ul를 혼합하여 96 웰플레이트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함으로써 시료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시료 NO 생성억제율(%)
대조군 -
비교예 1의 작두콩잎추출물 100ppm 16
200ppm 22
1000ppm 28
2000ppm 38
비교구1 - 작두콩추출물 100ppm 10
200ppm 16
1000ppm 18
2000ppm 25
비교예 2의 생강뿌리추출물 100ppm 18
200ppm 24
1000ppm 28
2000ppm 34
비교구2-생강줄기추출물 100ppm 9
200ppm 17
1000ppm 21
2000ppm 27
비교예 3의 느릅나무뿌리추출물 100ppm 24
200ppm 28
1000ppm 32
2000ppm 39
비교구3- 느릅나무껍질추출물 100ppm 14
200ppm 18
1000ppm 21
2000ppm 29
비교예 4의 병풀잎추출물 100ppm 24
200ppm 32
1000ppm 36
2000ppm 41
비교구4-병풀줄기추출물 100ppm 10
200ppm 15
1000ppm 26
2000ppm 29
비교예 5의 팥꽃나무싹추출물 100ppm 26
200ppm 32
1000ppm 36
2000ppm 39
비교구5-팥꽃나무꽃추출물 100ppm 15
200ppm 19
1000ppm 29
2000ppm 31
비교예 6의 우엉씨추출물 100ppm 5
200ppm 8
1000ppm 9
2000ppm 12
비교예 7의 고삼뿌리추출물 100ppm 3
200ppm 5
1000ppm 8
2000ppm 11
비교예 8의 약모밀전초추출물 100ppm 6
200ppm 8
1000ppm 11
2000ppm 13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1 100ppm 17
200ppm 19
1000ppm 21
2000ppm 23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2 100ppm 48
200ppm 58
1000ppm 72
2000ppm 89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3 100ppm 8
200ppm 15
1000ppm 19
2000ppm 21
상기 표 1에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5의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은 비교예 6 내지 8의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약모밀전초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NO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비교예 1 내지 5의 각 약재들의 부위를 달리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각 약재들의 부위마다 NO 생성억제효과에서 큰 차이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과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를 비교한 결과 NO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에 NO 생성 억제능이 약한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과 약모밀전초추출물을 소량씩 혼합하였음에도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에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보다 NO 생성 억제능이 2배 이상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NFκB(Nuclear Factor kappa B) 생성 억제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NFκB(Nuclear Factor kappa B)는 전사 인자의 rel 계열에 속한다. NFκB는 염증 반응, 아폽토시스 또는 종양 발생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NFκB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산화제 자유 라디칼, 흡입 입자, 자외선 및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제품과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 비활성 상태에서 NFκB는 Inhibitory kappa Protein(IκB)과 세포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자극시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계열에 속하는 여러 유형의 키나제가 다음과 같이 NFκB를 활성화한다. 우선, IκB는 인산화, 해리 및 분해되고, 그런 다음 NFκB 단백질은 특정 DNA 모티프에 결합하고 유전자의 전사를 시작하는 핵으로 이동한다. NFκB는 면역과 염증에 역할을 하는 많은 유전자(예 : IL2, TNF, 접착 분자 및 급성기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한다. NFκB 계열은 구조적으로 관련된 여러 구성원 (p50, RelA (p65), RelA, RelB, RelC)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이러한 단백질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는 이합체 (호모 및 헤테로) 복합체이다. 현재 가장 잘 특성화 된 NFκB 단백질 그룹의 구성원은 p50/p65(RelA) 이종이량체 및 p50/p50 동종이량체 복합체다.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8의 각 샘플을 처리한 NFκB Reporter Stable Cell Line을 사용하여 NFκB 경로를 따라 발생하는 변화를 정확하게 모니터링 하였다. 안정한 세포주는 6 copies의 NFκB response element에 의해 조절되는 luciferase reporter 구조의 chromosomal integration을 갖는 NIH3T3 세포로부터 유래되었다. 이 클론 세포주는 pNFκB-luc 및 pTK-hyg의 cotransfection에 이어 200μg/ml에서 hygromycin selection에 의해 수득되었다. 수득된 세포주를 통해 NF-kB Activation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NF-kB Activation 억제능이 높은 단일 약재추출물들을 중점대상으로 다른 부위(비교구 6 내지 8-추출방식은 비교예들과 비교구와 모두 동일한 조건 적용)를 적용하여 NF-kB Activation 억제효과를 함께 확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NF-kB Activation 억제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시료 NF-kB 생성억제율(%)
대조군 -
비교예 1의 작두콩잎추출물 100ppm 5
200ppm 8
1000ppm 11
2000ppm 14
비교예 2의 생강뿌리추출물 100ppm 4
200ppm 7
1000ppm 9
2000ppm 15
비교예 3의 느릅나무뿌리추출물 100ppm 6
200ppm 7
1000ppm 11
2000ppm 12
비교예 4의 병풀잎추출물 100ppm 3
200ppm 7
1000ppm 11
2000ppm 13
비교예 5의 팥꽃나무싹추출물 100ppm 4
200ppm 8
1000ppm 9
2000ppm 11
비교예 6의 우엉씨추출물 100ppm 23
200ppm 29
1000ppm 41
2000ppm 49
비교구6-우엉뿌리추출물 100ppm 13
200ppm 15
1000ppm 21
2000ppm 30
비교예 7의 고삼뿌리추출물 100ppm 28
200ppm 41
1000ppm 58
2000ppm 62
비교구7-고삼줄기추출물 100ppm 18
200ppm 21
1000ppm 28
2000ppm 33
비교예 8의 약모밀전초추출물 100ppm 31
200ppm 39
1000ppm 47
2000ppm 61
비교구8-약모밀잎추출물 100ppm 13
200ppm 29
1000ppm 31
2000ppm 39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 100ppm 28
200ppm 32
1000ppm 37
2000ppm 42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 100ppm 18
200ppm 23
1000ppm 29
2000ppm 32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 100ppm 69
200ppm 78
1000ppm 91
2000ppm 9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 6 내지 8의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약모밀전초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5의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NF-kB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NF-kB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비교예 6 내지 8의 각 약재들의 부위를 달리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각 약재들의 부위마다 NF-kB 생성억제효과에서 큰 차이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과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을 비교한 결과 NFκB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과 약모밀전초추출물에 NFκB 생성 억제능이 약한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소량씩 혼합하였음에도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에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보다 NF-kB 생성 억제능이 2배 이상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의 결과는 NO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단일 약재추출물(비교예 1 내지 5)과 NF-kB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단일 약재추출물(비교예 6 내지 8)의 혼합비율은 1 : 1의 동량비율보다 10 : 1 내지 1 : 10의 비율로 혼합할 때 효능이 강화됨을 확인하엿다.
이하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피부외용연고와 크림을 제조하여 인체에서의 가려움 억제효능을 평가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의 처방으로 피부 외용 연고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9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
디에틸 세바케이트
경납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포스페이트
벤조산 나트륨
바셀린
2
-
-
8
5
6
적량
To 100
-
2
-
8
5
6
적량
To 100
-
-
2
8
5
6
적량
To 100
-
-
-
8
5
6
적량
To 100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0>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의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중량%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비교예 10
실시예 1의 호합추출물 1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
스테아린산
세탄올
수산화칼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방부제

정제수
2
-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2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
2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
-
-
15
1
0.7
5
3
적량
적량
To 100
<실험예 3>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실험
1. 실험방법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심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160명을 선정하여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예 9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를 양팔의 환부에 1일 2회씩(4주)도포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과 비교예 9의 가려움증 정도 및 아토피 피부염의 정도를 문진 및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대조구로 상기 제조예 3과 혼합비율은 동일하게 하나 8종의 약재들을 한꺼번에 넣고 에탄올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을 사용한 피부외용연고를 대상으로 하여 함께 측정하였다.
시험항목 뚜렷한 효과(명) 효과있음(명) 차이 없음(명)
제조예 1 가려움증 개선 5 7 8
아토피 피부염 개선 6 9 5
제조예 2 가려움증 개선 10 8 2
아토피 피부염 개선 9 10 1
제조예 3 가려움증 개선 11 9 0
아토피 피부염 개선 14 6 0
비교예 9 가려움증 개선 0 2 18
아토피 피부염 개선 1 2 17
대조구 가려움증 개선 6 9 5
아토피 피부염 개선 11 6 3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제조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는 비교예 9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와 비교하여 피시험자 20명 중에서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피부 내에서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안전하고 효과가 매우 뛰어난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NO생성 억제능이 강화된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가 사용된 제조예 2의 화장료 조성물과 NF-κB의 생성 억제능이 강화된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이 사용된 제조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8종의 약재들을 한꺼번에 넣고 추출한 대조구의 경우에는 혼합비율이 제조예 3과 동일하더라도 약재들을 한꺼번에 추출함에 따라 오히여 유효성분들의 용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가려움증 개선 효과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가 제조예 3보다 떨어짐을 확인하였으며, 오히려 따가움을 느끼게 되어 사용이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8가지 약재들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추출물들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함에 따라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가 탁월하여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로 매우 적합하게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작두콩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한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한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병풀잎추출물, 팔꽃나무싹을 에탄올로 추출한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를 에탄올로 추출한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한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를 에탄올로 추출한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 : 1 : 1 : 1 : 1 : 10 : 10 : 10 또는 10 : 10 : 10 : 10 : 10 :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2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
  7. 작두콩잎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생강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느릅나무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병풀잎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병풀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팥꽃나무싹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는 제5단계;
    우엉씨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는 제6단계;
    고삼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7단계;
    약모밀전초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 제조하는 제8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의 각 추출물들을 1 : 1 : 1 : 1 : 1 : 10 : 10 : 10 중량비 또는 10 : 10 : 10 : 10 : 10 :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제9단계 및,
    상기 제9단계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비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30108239A 2023-08-18 2023-08-18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KR10261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239A KR102616141B1 (ko) 2023-08-18 2023-08-18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239A KR102616141B1 (ko) 2023-08-18 2023-08-18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141B1 true KR102616141B1 (ko) 2023-12-19

Family

ID=8938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8239A KR102616141B1 (ko) 2023-08-18 2023-08-18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14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343A (ja) * 2002-02-12 2003-08-27 Ichimaru Pharcos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20040068764A (ko) * 2003-01-27 2004-08-02 김수남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20060019427A (ko) * 2004-08-27 2006-03-03 박희학 작두콩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세척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품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20128579A (ko) * 2011-05-17 2012-11-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5599B1 (ko) * 2013-12-09 2015-03-30 하재순 친환경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45440A (ko) * 2014-06-19 2015-12-30 농업회사법인(주)산들촌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86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6089A (ko) * 2019-11-27 2021-06-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 과피 추출물과 고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01046B1 (ko) 2020-10-30 2023-02-17 (주)리윤바이오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8343A (ja) * 2002-02-12 2003-08-27 Ichimaru Pharcos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又は化粧料組成物
KR20040068764A (ko) * 2003-01-27 2004-08-02 김수남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20060019427A (ko) * 2004-08-27 2006-03-03 박희학 작두콩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세척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제품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90123458A (ko) * 2008-05-28 2009-12-02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의해서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식료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20120128579A (ko) * 2011-05-17 2012-11-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05599B1 (ko) * 2013-12-09 2015-03-30 하재순 친환경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45440A (ko) * 2014-06-19 2015-12-30 농업회사법인(주)산들촌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85159B1 (ko) 2014-06-19 2016-01-13 농업회사법인(주)산들촌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186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6089A (ko) * 2019-11-27 2021-06-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몬 과피 추출물과 고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01046B1 (ko) 2020-10-30 2023-02-17 (주)리윤바이오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3 *
비특허문헌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73218B1 (ko)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3817A (ko)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8361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76375A (ko) 아토피성 피부에 유용한 화장품
KR102300298B1 (ko)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107071B1 (ko)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DE102015102020A9 (de) Immunologisch aktives Phyto-Gemisch und seine Anwendung bei der Prävention und in einem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Effloreszenzen
KR102616141B1 (ko)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KR101976415B1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00049418A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2813A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56682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증상 개선 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230008368A (ko)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KR102630567B1 (ko)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8240A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조성물
KR101119288B1 (ko) 송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15812B1 (ko) 피부 자극 완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