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567B1 -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567B1
KR102630567B1 KR1020230129133A KR20230129133A KR102630567B1 KR 102630567 B1 KR102630567 B1 KR 102630567B1 KR 1020230129133 A KR1020230129133 A KR 1020230129133A KR 20230129133 A KR20230129133 A KR 20230129133A KR 102630567 B1 KR102630567 B1 KR 10263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liposome
producing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영 filed Critical 정지영
Priority to KR102023012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은,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피포좀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Liposom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have an effect of improving skin absorption rate depending on the eight complex-containing substances}
본 발명은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로는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뿐만 아니라, 그 밖의 효능 및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성분 중 지방산, 고급 알코올,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에 조재하는 피부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끔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핵형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염증과 관계되어진 대표적인 피부 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와 여드름 등이 있으며 아토피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토피는 심한 가려움증이 특징적인데 피부에 자극을 하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고, 자꾸 더 긁다보면 상처가 나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감염(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일어나게 되어 염증이 일어나게 된다.
아토피의 문제 중에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이때 일어나는 2차 감염 및 초항원 독소이다. 이토피 환자의 80 ~ 90%는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ilococcus aureus)와 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pyogenes)의 감염이 있는데, 이때 anti-staphilococcus IgE가 만들어지며, 이에 의해 T-cell반응을 자극하는 초항원 독소에 의해 유발되고 악화시키기도 한다.
황색포도상구균의 초항원 독소는 랑게르한스 세포 내 항원제시세포를 통하여 T 임파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인터루킨-1과 TNF-alpha를 생산하게 하고, 이들에 의해 자극된 T-cell에서 여러 가지 세포내 사이토카인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즉, 초항원 독소는 인터루킨-4와 인터루틴-5의 분비를 촉진하여 IFN-gamma의 분비는 저해하고, CLA의 수를 증가시켜 결국 Ig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두 번째로는 황색포도상구균에 감염된 환자들이 포도상구균 독소에 대한 IgE 항체에 의하여 호염구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을 분비하게 하고, 이로 인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된다.
따라서, 피부건조를 막기 위해 보습제의 사용이 자주 권장되는 것이고, 2차 감염 및 이로 인한 초항원 인자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즉, 아토피는 유전적 결함을 기본적인 병인으로 보지만, 여러 가지 외부적인 후천적 요소들에 의해 유발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
아토피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민감하고 건조한 피부, 대사적 요인, IgE의 과도한 생성, 자율신경계의 조절이상, 심리적인 요인, 자극적인 요인 등이 있다.
이렇듯 아토피는 결코 그 기전이 단순하지 않은 질환이다. 면역학적 관점에서도 하나의 면역학적 문제가 아닌 다양한 패턴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 예로, IgE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감마인터페론의 문제도 그 생성이 평균치보다 떨어져서 생기기도 하지만, 반대작용을 하는 인터루킨-4보다 적어서 생기기도 하고, 생성과정이 문제가 있어서 분완전한 인터페론의 생성으로 생기기도 하고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정상이라 하더라도 인터페론의 자극에 민감도가 떨어져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PLA2)라는 효소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 아라키돈산은 다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이하 ‘COX’로 칭함) 또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lotrienes)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칭함)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드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물질의 효능증대를 위하여 리포좀 제조기술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설명하면, 피부 장벽은 각질층 세포 사이사이의 세포 외 공간을 채우는 지질 분자로 구성되어 있는 덕분에, 피부의 항상성유지와 다양한 외부 물리적 자극 및 수화/탈수 등에 대한 변화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유효성분을 피부 내로 전달하고자 할 때 이러한 피부 장벽은 다소 불리하게 작용한다. 특히 유효성분은 가장 보편적으로 세포 내 경로(inter cellular pathway)를 통해 피부 내로 전달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친수성 유효성분의 경우 지질 분자로 구성되어 있는 이러한 경로를 통과하기는 더욱 어렵다. 따라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체 친화성 피부 전달 시스템이 필요하다.
리포좀은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피부 전달체이며, 생체 내 물질인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어 생체 친화성이 높아 화장품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특히 친수성과 친유성 물질을 동시에 담지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효능 성분의 피부 전달에 유리하다. 또한, 유효성분을 이중충 또는 다중충 구조 내에 안정하게 담지 할 수 있어 유화 제형뿐만 아니라 외관이 투명한 가용화 제형까지 다양한화장품 제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리포좀은 막의 구성성분에 따라 탄성 리포좀, 고분자 코팅 리포좀, 양이온 리포좀 등으로 제조 될 수 있다. 이중 양이온 리포좀은 양의 제타 전위를 갖는 리포좀으로, 음전하를 띠는 피부 표면과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피부로의 접근이 보다 용이하여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 증진에 도움이 된다.
리포좀의 원료화를 위해서는 안정성과 실제 제형에 적용되었을 때 담지된 유효성분의 효능 발휘가 잘 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리포좀은 박막수화법(thin film hydration method)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안정성이나 양산화 등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는 바, 리포좀 제조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5044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7285호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리포좀은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작두콩잎을 추출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생강뿌리를 추출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느릅나무뿌리를 추출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병풀잎을 추출하여 병풀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팥꽃나무싹을 추출하여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는 제5단계, 우엉씨를 추출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는 제6단계, 고삼뿌리를 추출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7단계, 약모밀전초를 추출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 제조하는 제8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의 각 추출물들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제9단계,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제1 용액 및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교반한 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된 용액으로부터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0단계의 리포좀에 상기 제9단계의 혼합추출물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제11단계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0단계의 리포좀 제조시, 상기 제1 용액의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은 1 : 1 초과~5 미만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제 2 용액의 양이온 공여물질은 키토산인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8가지 천연재료들의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유효성분은 8가지 약재들의 추출물들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인 것으로 여기서 상기 8가지 약재들의 추출물들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에이트 컴플렉스'로 지칭하여 명명한다.
이하, 실시예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하기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이란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본원에서 정의되는 "가려움증"이란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 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및 약모밀전초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이며, 상기 리포좀은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작두콩(Canavalia ensiformis)은 열매가 활 모양으로 구부러진 꼬투리여서, 그 모양이 작두 같다고 하여 작두콩 또는 도두(刀豆)라고 불리우는 콩과 작물로써, 우레아제(Urease), 카나바닌(Canavanine), 카나바린(Canavaline), 지베레린 I, II(Gibberellins I, II) 및 단백질 등이 존재하며, 다른 콩과 작물에 비하여 비타민 B군, 비타민 C, 나이아신(Niacin)이 3∼5배 가량 더 많이 존재하며, 쥐눈이콩, 돌콩 등과 함께 콩 중에서 약효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효부위로 꼬투리, 깍지, 열매, 뿌리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잎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어. 본 발명에서는 작두콩의 여러 부위들 중 작두콩잎을 사용한다.
상기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러 부위들 중 생강뿌리는 생강의 성숙한 뿌리를 껍질을 벗기고 2-5mm 두께로 썰어서 사용하는 약재로써 모든 약물을 보조하고 담을 없애 어지럽거나 니글거리는 것을 없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생강의 여러 부위들 중 생강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느릅나무속 식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 점액질, β-시토스테롤(Sitosterol), 파이토스테롤(Phytosterol), 시그마스테롤(Sigmasterol), 탄닌(Tannin), 레진(Resin), 패티오일(Fathyoil) 등이 포함되어 있어 임탁, 수종, 단독개선, 기침, 수렴, 항염, 구충, 항균, 이뇨, 소종독, 치습, 주수보제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느룹나무는 약효부위로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및 씨앗 등 모든 부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부위별로 나타내는 효능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그 중 뿌리껍질은 각종 악성 종창과 장궤양, 암 예방 및 암 치료 등 여러 질병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느릅나무의 여러 부위들 중 느릅나무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병풀(Centelia asiatica)은 호랑이풀, 조개풀 등으로도 지칭되며, 한반도 남부섬 등지의 다습한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미나리과 병풀 속의 여러해살이풀로써, 피부손상 및 상처, 화상, 궤양, 나병, 두피의 지루성 피부염, 비대흉터, 연조직염 등의 질병에 대한 효능이 수많은 연구에 의하여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병풍의 유효성분으로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asiaticoside이 포함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을 갖으며, 염증을 억제하며, 피부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셀룰라이트 생성 억제 작용을 통해 튼살을 완화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효부위로 줄기, 뿌리, 잎 등 대부분 부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병풀의 여러 부위들 중 병풀잎을 사용한다.
상기 팥꽃나무(Daphne genkwa)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팥꽃나무과의 낙엽관목을 의미하는데, 조기 꽃나무·이팥나무라고도 하며, 주로 바닷가 근처에서 성장하고, 독성을 띠며, 한의학에서는 이뇨, 수종, 신장염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팥꽃나무의 경우에는 통상 그 뿌리와 줄기를 사용하며, 팥꽃나무의 싹은 피부 컨디셔닝제(수분유지)로써 화장품의 소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팥꽃나무의 여러 부위들 중 팥꽃나무싹을 사용한다.
상기 우엉(Arctium lappa)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써 여러 부위들 중 종자(씨)는 흑색으로써 피부탄력 개선제로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우엉의 여러 부위들 중 우엉씨를 사용한다.
상기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우리나라, 시베리아, 중국 등의 양지 바른 산과 들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 풀로서 맛이 써서 고(苦), 효능이 삼과 유사하다 하여 삼(參)이라는 글자를 사용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예로부터 그 말린 뿌리는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해 왔다.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삼의 여러 부위들 중 고삼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약모밀(Houttuynia cordata)은 흔히 어성초, 삼백초라 불리 우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따뜻하고 습지인 곳에서 잘 자라며,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보통 4월경에 싹이 트고 6~8월경에 꽃이 피며, 특유의 독특한 비린내를 나타내는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이뇨, 진통, 지혈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오래전부터 생약제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약모밀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잎, 줄기, 꽃, 뿌리 따위를 가진 옹근 풀포기를 뜻하는 전초의 형태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효능들을 나타내는 8가지 약재들은 추출물 형태로 가공하여 혼합추출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적절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결과물을 의미하며, 상기 추출물은 추출로 인해 수득되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혼합추출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필수조건을 통해 제조하여 얻은 것으로, 상기 약재들의 원재료를 각각에 맞는 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하여 추출물 형태로 가공한 후, 이들을 특정비율에 맞게 혼합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한 혼합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리포좀"은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피부 전달체로써, 유효성분을 이중충 또는 다중충 구조 내에 안정하게 담지 할 수 있어 유화 제형뿐만 아니라 외관이 투명한 가용화 제형까지 다양한 화장품 제형에 적용되는 소재 중에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적용한다.
이러한 리포좀의 원료화를 위해서는 안정성과 실제 제형에 적용되었을 때 첨가된 유효성분(에이트 컴플렉스)의 효능 발휘가 잘 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리포좀 제조를 위해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활용하였으며, 이때 제조된 리포좀의 형태 확인 및 제형 내 적용 시 유효성분의 피부 전달에 실제로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효능 평가를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
1. 제1단계: 작두콩잎추출물 제조(S10)
본 단계에서는 작두콩잎을 추출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작두콩잎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한 후 여과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작두콩잎을 90~100%(V/V) 에탄올에 넣어 상온(20~30℃)에서 5~10일동안 숙성하여 용해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순차적으로 크기를 달리한 필터로 3~4번 여과한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50~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작두콩잎을 물에 넣고 90~100℃로 1~2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이를 상기 에탄올 추출물과 동량 혼합한 후 필터링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기도 한다..
2. 제2단계: 생강뿌리추출물 제조(S20)
본 단계에서는 생강뿌리를 추출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생강뿌리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제3단계: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제조(S30)
본 단계에서는 느릅나무뿌리를 추출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느릅나무뿌리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4. 제4단계: 병풀잎추출물 제조(S40)
본 단계에서는 병풀잎을 추출하여 병풀잎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병풀잎은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병풀임추출물을 제조하였다.
5. 제5단계: 팥꽃나무싹추출물 제조(S50)
본 단계에서는 팥꽃나무싹을 추출하여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팔꽃나무싹은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팔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였다.
6. 제6단계: 우엉씨추출물 제조(S60)
본 단계에서는 우엉씨를 추출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우엉씨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7. 제7단계: 고삼뿌리추출물 제조(S70)
본 단계에서는 고삼뿌리를 추출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고삼뿌리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였다.
8. 제8단계: 약모밀전초추출물 제조(S80)
본 단계에서는 약모밀전초를 추출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약모밀전초는 상기 제1단계의 작두콩잎추출물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9. 제9단계: 혼합추출물 제조(S9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에서 제조된 8종의 약재추출물들을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피부자극을 일으키지않고 인체무해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인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말해, 피부자극을 일으키지않고 인체무해하면서 별돌의 화학제 처리 없이도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8종의 약재추출물들을 특정비율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하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8종의 약재추출물들 단순 혼합하여 적용할 경우 그 활성이 떨어져 오히려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효과가 떨어져 화장료 조성물로써의 사용이 어렵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차례 연구한 결과, 여러 혼합조성비율별로 항염활성 및 가려움증 개선효능을 확인하였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및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은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 및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은 10 : 10 : 10 : 10 : 10 : 1 : 1 : 1 또는 1 : 1 : 1 : 1 : 1 : 10 : 10 : 10 중량비로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10. 제10단계: 리포좀 제조(S110)
본 단계에서는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제1 용액 및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교반한 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된 용액으로부터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종래 리포좀 제조 방법 중 박막수화법은 유기 용매가 사용되며,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할 경우 유기 용매의 사용이 불필요하며, 대량 생산 또한 용이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때 2가지 용액을 사용한다.
첫번째, 제1 용액으로는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러한 제1 용액에 포함되는 성분들을 가온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가온 용해 시 온도는 60 내지 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리포좀의 막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투여되는 물질로써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 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0.3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은 상기 중량범위를 벗어날 경우 리포좀의 막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니 상기 중량 범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인지질(phospholipid)은 극성을 띠는 인산염과 비극성인 지방산을 포함하는 지질의 일종으로, 생체막의 주요 성분이다. 이러한 상기 인지질은 천연 인지질 또는 합성 인지질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시틴(lecithin),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글리세롤(PG),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포스파티딜세린(PS), 포스파티드산(PA), 포스파티딜이노시톨(PI), 달걀 포스파티딜콜린(EPC), 달걀 포스파티딜글리세롤(EPG), 달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EPE), 달걀 포스파티딜세린(EPS), 달걀 포스파티드산(EPA), 달걀 포스파티딜, 이노시톨(EPI), 콩 포스파티딜콜린(SPC), 콩 포스파티딜글리세롤(SPG), 콩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SPE), 콩 포스파티딜세린(SPS), 콩 포스파티드산(SPA), 콩 포스파티딜이노시톨(SPI), 다이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DPPC), 1,2-다이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파티딜콜린(DOPC), 다이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콜린 (DMPC), 다이팔미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PPG), 다이올렐포스파티딜글리세롤(DOPG), 다이미리스토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DMPG), 헥사데실포스포콜린(HEPC), 수소화된 콩 포스파티딜콜린(HSPC), 다이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DSPC),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DSPG), 다이올레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OPE), 팔미토일 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PSPC), 팔미토일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글리세롤(PSPG), 모노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MOPE), 1-팔미토일-2-올레오일-sn-글리세로 -3-포스파티딜콜린(POPC), 등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러한 인지질은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 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6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인지질은 상기 중량범위를 벗어날 경우 리포좀의 막 형성이 어렵게 될 수 있으니 상기 중량 범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상기 콜레스테롤과 상기 인지질은 그 혼합비율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써, 혼합비율이 맞지 않을 경우 상이 분리되거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콜레스테롤과 상기 인지질의 중량비는 1 : 1 초과~5 미만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생체 피부와의 유사성을 높이기 위해 함유되는 물질로써,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라마이드 NS, 세라마이드 AS, 세라마이드 EOS, 세라마이드 NDS, 세라마이드 ADS, 세라마이드 EODS, 세라마이드 NP, 세라마이드 AP, 세라마이드 EOP, 세라마이드 NH, 세라마이드 AH, 세라마이드 EOH, 또는 이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세라마이드는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0.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 1용액에는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세라마이드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용액은 폴리올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로써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러한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지질부 또는 유상의 물질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리포좀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용액에는 상기 리포좀의 물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추가 성분의 함량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리포좀의 물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두번째, 제2 용액으로는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리포좀이 양전하(+)를 띠도록 만들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양이온 공여물질로는 라우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 밀 단백질(Laur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Wheat Protein), 구아하이드록시 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폴리쿼터늄-7(Polyquaternium-7),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폴리쿼터늄-11(Polyquaternium-11), 폴리쿼터늄-22(Polyquaternium-22), 폴리쿼터늄-51 (Polyquaternium-51), 폴리쿼터늄-67(Polyquaternium-67), 폴리쿼터늄-80 (Polyquaternium-80), 코카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CocamidopropylamineOxide),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러한 상기 양이온 공여물질은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초과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상기 양이온 공여물질이 리포좀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하로 포함될 경우 리포좀의 제타 전위가 마이너스(-)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음이온성 리포좀이 얻어질 수 있는 바, 상기 양이온 공여물질은 0.01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0.0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제타 전위 20 mV 이상의 양이온성 리포좀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 용액은 양이온 공여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친수성 용매는 물(예: 증류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용액에는 리포좀 내 담지될 성분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거나 및/또는 피부 보습력이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틸렌글라이콜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리포좀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5 ~ 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12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 용액에는 피부 기능성을 갖는 친수성 유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피부 기능성은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항산화, 항염, 항노화, 주름 개선, 피부 진정 등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친수성 유효성분은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친수성 유효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친수성 유효성분의 함량은 성분의 종류 및 목적을 고려하여 리포좀의 물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성 유효성분은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상기 제2 용액은 상기 리포좀의 물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추가 성분의 함량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양이온성 리포좀의 물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은 교반한 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된 용액으로부터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교반은 상기 제2 용액에 상기 제1 용액을 서서히 투입 또는 혼합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실온, 예를 들어 15 ~ 35℃, 1,500 ~ 3,500 rpm, 30초 ~ 30분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으며, 상기 교반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교반과정 후 고압유화장치(high pressure emulsification) 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된 용액으로부터 양이온성을 갖는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압유화장치는 공지된 것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idizer, MF) 또는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압유화장치의 압력 조건은 800 ~ 1500 bar,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1100 bar인 것으로 상기 압력이 지나치게 낮을 경우, 나노입자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물리적 힘이 과하게 적용되어 안정도가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유화장치는 2 cycle ~ 5 cycle의 조건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고압유화장치의 특정 압력 및 cycle 조건하에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리포좀을 얻을 수 있으며 리포좀 특유의 입자 형태인 이중층 또는 다중층 형태의 입자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조 과정에서 독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하며, 리포좀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바,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지수 평가 결과 무자극으로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리포좀은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리포좀은 그 입자 크기가 50 ~ 300 nm인 것으로 더욱 바바람직하게는 200 ~ 250 nm 나노 크기이므로 피부 투과 효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리포좀의 제타 전위는 20 ~ 50 mV인 것을 특징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mV인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상기 리포좀은 양전하(+)를 띠기 때문에 음전하(-)를 띠는 피부 표면에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흡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포좀 내에 첨가된 피부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인 상기 에이트 컴플렉스의 피부 흡수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리포좀은 실온에서 5주 이상 보관하여도 입자 크기 및 제타 전위가 잘 유지되므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이중층 또는 다중층의 리포좀 특유 형태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11. 제11단계: 혼합추출물 리포좀 제조(S12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10단계의 리포좀에 상기 제9단계의 혼합추출물을 넣고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본 발명의 효능을 나타내는 상기 제9단계의 혼합추출물의 효능을 상승시켜 피부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 10단계의 리포좀에 상기 제 9단계의 혼합추출물을 넣고 혼합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10단계의 리포좀의 중량을 기준으로 5~20 중량%를 넣고 혼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를 벗어날 경우 다른 재료들과의 배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제형안정성이 떨어지거나 그 효과가 미비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된다.
12. 제12단계: 화장료 조성물 제조(S130)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11단계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각각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강한향이 나타나 소비자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미 알려진 화장료 제조방법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피부 화장료에 한정되지 않고 생활용품, 의약부외품, 외용 의약품에도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폼 클렌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 리포좀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으로 허용 가능한 성분으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기도 하며 기능성 보조 성분으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 혼추출물(에이 컴플렉스) 구성요소들 간의 혼합비율에 따른 효능 검증
<실시예 1> 혼합추출물 1 제조
건조된 작두콩잎, 생강뿌리, 느릅나무뿌리, 병풀잎, 팥꽃나무싹, 우엉씨, 고삼뿌리 및 약모밀전초를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각 약재 100g당 에탄올 500ml를 가한 후, 25℃에서 7일간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각 추출물들을 순차적으로 0.4 ㎛, 0.2 ㎛, 0.1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각 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 약재의 추출물들을 수득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각 추출물들을 준비한 후,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과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 : 1 : 1 : 1 : 1 : 1 : 1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1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추출물 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과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0 : 10 : 10 : 10 : 10 :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2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추출물 3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작두콩잎추출물, 상기 생강뿌리추출물, 상기 느릅나무뿌리추출물, 상기 병풀잎추출물, 상기 팥꽃나무싹추출물, 상기 우엉씨추출물, 상기 고삼뿌리추출물과 상기 약모밀전초추출물을 1 : 1 : 1 : 1 : 1 : 10 : 10 : 10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3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 8종의 약재 추출물 1 내지 8 제조
건조된 작두콩잎, 생강뿌리, 느릅나무뿌리, 병풀잎, 팥꽃나무싹, 우엉씨, 고삼뿌리 및 약모밀 전초를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세절한 각 약재 100g당 에탄올 500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7일간 숙성시켰다. 그 다음, 상기 각 추출물들을 순차적으로 0.4 ㎛, 02 ㎛, 0.1 ㎛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각 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각 약재의 건조 추출물 1 내지 8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혼합추출물들 및 비교예 1 내지 8의 단일 약재추출물들을 대상으로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NO 생성 억제 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NO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단일 약재추출물들을 중점대상으로 다른 부위(비교구 1 내지 5-추출방식은 비교예들과 비교구와 모두 동일한 조건 적용)를 적용하여 NO 생성억제효과를 함께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24-웰 플레이트에 2 X 105 cell/ml로 분주하고, LPS(500ng/ml)를 처리하고 1시간 후 추출물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는 Griess시약을 사용하여 세포배양액에 녹아있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세포배양액 100ul와 Griess시약 100ul를 혼합하여 96 웰플레이트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함으로써 시료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시료 NO 생성억제율(%)
대조군 -
비교예 1의 작두콩잎추출물 100ppm 16
200ppm 22
1000ppm 28
2000ppm 38
비교구1 - 작두콩추출물 100ppm 10
200ppm 16
1000ppm 18
2000ppm 25
비교예 2의 생강뿌리추출물 100ppm 18
200ppm 24
1000ppm 28
2000ppm 34
비교구2-생강줄기추출물 100ppm 9
200ppm 17
1000ppm 21
2000ppm 27
비교예 3의 느릅나무뿌리추출물 100ppm 24
200ppm 28
1000ppm 32
2000ppm 39
비교구3- 느릅나무껍질추출물 100ppm 14
200ppm 18
1000ppm 21
2000ppm 29
비교예 4의 병풀잎추출물 100ppm 24
200ppm 32
1000ppm 36
2000ppm 41
비교구4-병풀줄기추출물 100ppm 10
200ppm 15
1000ppm 26
2000ppm 29
비교예 5의 팥꽃나무싹추출물 100ppm 26
200ppm 32
1000ppm 36
2000ppm 39
비교구5-팥꽃나무꽃추출물 100ppm 15
200ppm 19
1000ppm 29
2000ppm 31
비교예 6의 우엉씨추출물 100ppm 5
200ppm 8
1000ppm 9
2000ppm 12
비교예 7의 고삼뿌리추출물 100ppm 3
200ppm 5
1000ppm 8
2000ppm 11
비교예 8의 약모밀전초추출물 100ppm 6
200ppm 8
1000ppm 11
2000ppm 13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1 100ppm 17
200ppm 19
1000ppm 21
2000ppm 23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2 100ppm 48
200ppm 58
1000ppm 72
2000ppm 89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3 100ppm 8
200ppm 15
1000ppm 19
2000ppm 21
상기 표 1에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5의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은 비교예 6 내지 8의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약모밀전초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NO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비교예 1 내지 5의 각 약재들의 부위를 달리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각 약재들의 부위마다 NO 생성억제효과에서 큰 차이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과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를 비교한 결과 NO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에 NO 생성 억제능이 약한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과 약모밀전초추출물을 소량씩 혼합하였음에도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에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보다 NO 생성 억제능이 2배 이상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NFκB(Nuclear Factor kappa B) 생성 억제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NFκB(Nuclear Factor kappa B)는 전사 인자의 rel 계열에 속한다. NFκB는 염증 반응, 아폽토시스 또는 종양 발생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NFκB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산화제 자유 라디칼, 흡입 입자, 자외선 및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제품과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다. 비활성 상태에서 NFκB는 Inhibitory kappa Protein(IκB)과 세포질 복합체를 형성한다. 자극시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계열에 속하는 여러 유형의 키나제가 다음과 같이 NFκB를 활성화한다. 우선, IκB는 인산화, 해리 및 분해되고, 그런 다음 NFκB 단백질은 특정 DNA 모티프에 결합하고 유전자의 전사를 시작하는 핵으로 이동한다. NFκB는 면역과 염증에 역할을 하는 많은 유전자(예 : IL2, TNF, 접착 분자 및 급성기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한다. NFκB 계열은 구조적으로 관련된 여러 구성원 (p50, RelA (p65), RelA, RelB, RelC)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이러한 단백질의 다양한 조합을 포함하는 이합체 (호모 및 헤테로) 복합체이다. 현재 가장 잘 특성화 된 NFκB 단백질 그룹의 구성원은 p50/p65(RelA) 이종이량체 및 p50/p50 동종이량체 복합체다.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8의 각 샘플을 처리한 NFκB Reporter Stable Cell Line을 사용하여 NFκB 경로를 따라 발생하는 변화를 정확하게 모니터링 하였다. 안정한 세포주는 6 copies의 NFκB response element에 의해 조절되는 luciferase reporter 구조의 chromosomal integration을 갖는 NIH3T3 세포로부터 유래되었다. 이 클론 세포주는 pNFκB-luc 및 pTK-hyg의 cotransfection에 이어 200μg/ml에서 hygromycin selection에 의해 수득되었다. 수득된 세포주를 통해 NF-kB Activation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NF-kB Activation 억제능이 높은 단일 약재추출물들을 중점대상으로 다른 부위(비교구 6 내지 8-추출방식은 비교예들과 비교구와 모두 동일한 조건 적용)를 적용하여 NF-kB Activation 억제효과를 함께 확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NF-kB Activation 억제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시료 NF-kB 생성억제율(%)
대조군 -
비교예 1의 작두콩잎추출물 100ppm 5
200ppm 8
1000ppm 11
2000ppm 14
비교예 2의 생강뿌리추출물 100ppm 4
200ppm 7
1000ppm 9
2000ppm 15
비교예 3의 느릅나무뿌리추출물 100ppm 6
200ppm 7
1000ppm 11
2000ppm 12
비교예 4의 병풀잎추출물 100ppm 3
200ppm 7
1000ppm 11
2000ppm 13
비교예 5의 팥꽃나무싹추출물 100ppm 4
200ppm 8
1000ppm 9
2000ppm 11
비교예 6의 우엉씨추출물 100ppm 23
200ppm 29
1000ppm 41
2000ppm 49
비교구6-우엉뿌리추출물 100ppm 13
200ppm 15
1000ppm 21
2000ppm 30
비교예 7의 고삼뿌리추출물 100ppm 28
200ppm 41
1000ppm 58
2000ppm 62
비교구7-고삼줄기추출물 100ppm 18
200ppm 21
1000ppm 28
2000ppm 33
비교예 8의 약모밀전초추출물 100ppm 31
200ppm 39
1000ppm 47
2000ppm 61
비교구8-약모밀잎추출물 100ppm 13
200ppm 29
1000ppm 31
2000ppm 39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 100ppm 28
200ppm 32
1000ppm 37
2000ppm 42
실시예 2의 혼합추출물 2 100ppm 18
200ppm 23
1000ppm 29
2000ppm 32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 100ppm 69
200ppm 78
1000ppm 91
2000ppm 9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예 6 내지 8의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 약모밀전초추출물은 비교예 1 내지 5의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NF-kB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NF-kB 생성억제효과가 높은 비교예 6 내지 8의 각 약재들의 부위를 달리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경우 각 약재들의 부위마다 NF-kB 생성억제효과에서 큰 차이점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과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을 비교한 결과 NFκB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우엉씨추출물, 고삼뿌리추출물과 약모밀전초추출물에 NFκB 생성 억제능이 약한 작두콩잎추출물, 생강뿌리추출물, 느릅나무뿌리추출물, 병풀잎추출물,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소량씩 혼합하였음에도 실시예 3의 혼합추출물 3에서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 1보다 NF-kB 생성 억제능이 2배 이상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의 결과는 NO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단일 약재추출물(비교예 1 내지 5)과 NF-kB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단일 약재추출물(비교예 6 내지 8)의 혼합비율은 1 : 1의 동량비율보다 10 : 1 내지 1 : 10의 비율로 혼합할 때 효능이 강화됨을 확인하엿다.
2. 키토산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물성평가
<실험예 3> 리포좀1 제조
성분 함량(중량%)
1 2 3
제1 용액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5 0.5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 10.0 10.0
제2 용액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0.0 10.0 10.0
키토산 - 0.01 0.0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듯이 키토산 함량을 달리하여 리포좀을 제조하고, 이의 제타 전위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레시틴과 디프로필렌글라이콜로 구성된 제1 용액을 70~80℃로 가온 용해 시켰다. 키토산이 포함된 실온의 제2 용액에 상기 제1 용액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믹서로 2,000 내지 3,000 rpm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1차 교반 후 1,000 bar, 3 cycle 조건으로 고압유화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키토산의 함량에 따른 양이온성 리포좀의 제타 전위(zeta potential)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로서 동적 광산란 장치(dynamic light scattering, DLS, SZ-100 HORIBA)를 사용하였다. 키토산 함량에 따른 양이온성 리포좀의 제타 전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 2 3
제타 전위
(zeta potential, mV)
-32.71 -3.7 27.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토산이 포함되지 않은 리포좀(1)의 제타 전위는 -32.7 mV였다. 키토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제타 전위 또한 증가하였으나, 키토산 함량 0.1 중량% 이상에서 제타 전위가 더 이상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리포좀 제조에서 키토산의 함량은 0.05 중량%로 설정하여 추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3.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의 물성평가
<실험예 4> 리포좀2 제조
성분 함량(중량%)
4 5 6
제1 용액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5 0.5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 10.0 10.0
콜레스테롤 0.1 0.3 0.5
세라마이드 0.01 0.01 0.01
제2 용액 증류수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0.0 10.0 10.0
키토산 0.05 0.05 0.0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5에 나타나 있듯이, 키토산의 함량을 일정하게 고정하고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달리하여 양이온성 리포좀을 제조하고, 이의 입자 크기 및 제타 전위를 측정하여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상기 4, 5, 6의 리포좀은 콜레스테롤의 함량에만 차이가 있다. 생체와의 유사성 및 피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였다. 콜레스테롤의 경우 리포좀의 막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 직후와 실온 보관 3일 후 육안 평가를 통해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육안 평가 결과, 레시틴보다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동일한 경우(4, 6), 상이 분리되거나 색이 뿌옇게 되는 현탁 현상이 발생하였다. 반면 5번 시료의 양이온성 리포좀은 상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현탁 현상도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콜레스테롤과 인지질(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의 중량비는 1 : 1 초과~5 미만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혼합추출물 리포좀 제조
상기 실험예 3,4의 결과를 토대로 하기 실시예 4의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최종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다시말해, 상기 실험예3, 4를 통해 안정도가 가장 우수한 조건으로 확인된 상기 표 5의 5번 시료의 리포좀에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1(에이트 콤플렉스) 10 중량%를 침지시켰다. 구체적으로,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하기 표 6의 성분 및 함량(중량%)으로 하여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4
제1 용액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0
콜레스테롤 0.1
세라마이드 0.01
제2 용액 증류수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0.0
키토산 0.05
에이트 콤플렉스 10.0
방부제 적량
이하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화장품인 에센스를 제조하여 피부 안전성 및 인체에서의 가려움 억제효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9> 에센스 제조
본 발명인 실시예 5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함유하는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은 혼합추출물(에이트 콤플렉스)를 10 중량% 포함하므로, 상기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20 중량% 포함하는 에센스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적으로 혼합추출물(에이트 콤플렉스) 함량이 약 2 중량%가 된다. 비교예 9로서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포함하지 않는 대신 실시예 1의 혼합추출물(에이트 콤플렉스)을 2 중량% 포함하는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9의 에센스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중량%)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9 실시예 5
실시예 4의 혼합추출물 리포좀 - 2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 3
콜레스-24 0.3 -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 0.2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0 8
글리세린 5 5
에이트 콤플렉스 2 0
펜틸렌글라이콜 2 1.6
1, 2-헥산다이올 1 0.8
트리에탄올아민 0.08 0.08
카보머 적량 적량
잔탄검 적량 적량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실험예 5> 피부 안전성 평가실험
상기 표 7에 나타나 있듯이, 실시예 5와 비교예 9의 에센스 제형에 대한 피부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 에센스 제형의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자들의 팔 전박에 20 μL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험 부위를 밀폐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과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응을 CTFA(The Cosmetic, Tio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용어(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시험자들의 피부자극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PII) 점수를 평균하여 1 미만이면 저자극, 2 미만이면 경자극, 3.5 미만이면 중자극, 3.5 이상이면 강자극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4의 리포좀 비교예 9 실시예 5
피부자극지수(PII) 저자극 저자극 저자극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5 및 비교예 9의 에센스 제형 모두 저자극으로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실험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심한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4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5 및 비교예 9의 에센스 화장료를 양팔의 환부에 1일 2회씩(4주)도포하였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9의 에센스 화장료의 가려움증 정도 및 아토피 피부염의 정도를 문진 및 육안으로 판정하고, 제조예가 비교예에 비해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 정도를 뚜렷한 효과, 효과 있음, 차이 없음의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뚜렷한 효과(명) 효과있음(명) 차이 없음(명)
실시예 5 가려움증 개선 13 6 1
아토피 피부염 개선 15 3 2
비교예 9 가려움증 개선 6 6 8
아토피 피부염 개선 7 6 7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5의 에센스 화장료는 18명 이상의 피험자에서 항염과 항가려움증 효능을 발휘하는 시험결과로부터 비교예 9의 일반 제형과 비교하였을 때 경피흡수가 증가함에 따라 가려움증 개선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이 더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8가지 약재들을 특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함에 따라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해 개선효과가 탁월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로 매우 적합하게 적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작두콩잎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작두콩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생강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생강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느릅나무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느릅나무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병풀잎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병풀잎추출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
    팥꽃나무싹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팥꽃나무싹추출물을 제조하는 제5단계;
    우엉씨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우엉씨추출물을 제조하는 제6단계;
    고삼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고삼뿌리추출물을 제조하는 제7단계;
    약모밀전초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약모밀전초추출물 제조하는 제8단계;
    상기 제1단계 내지 제8단계의 각 추출물들을 1 : 1 : 1 : 1 : 1 : 10 : 10 : 10 중량비 또는 10 : 10 : 10 : 10 : 10 : 1 : 1 : 1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제9단계;
    콜레스테롤, 인지질,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제1 용액 및 양이온 공여물질을 포함하는 제2 용액을 교반한 후,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반된 용액으로부터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0단계;
    상기 제10단계의 리포좀에 상기 제9단계의 혼합추출물을 넣되, 리포좀 중량을 기준으로 5~20 중량%를 넣고 혼합하여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제11단계의 혼합추출물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의 리포좀 제조시, 상기 제1 용액의 콜레스테롤과 인지질은 1 : 1 초과~5 미만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액의 양이온 공여물질은 키토산인 것이 특징인,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염증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29133A 2023-09-26 2023-09-26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9133A KR102630567B1 (ko) 2023-09-26 2023-09-26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9133A KR102630567B1 (ko) 2023-09-26 2023-09-26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567B1 true KR102630567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133A KR102630567B1 (ko) 2023-09-26 2023-09-26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56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0545044B1 (ko) 2004-07-26 2006-01-2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0808552B1 (ko) * 2007-02-01 2008-02-29 한국원자력연구원 수분 증발 방지막이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수화겔
KR20120128579A (ko) * 2011-05-17 2012-11-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7285B1 (ko) 2015-09-11 2017-11-13 (주)엠앤씨생명과학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06361A (ko) * 2022-01-06 2023-07-13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양이온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0545044B1 (ko) 2004-07-26 2006-01-2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0808552B1 (ko) * 2007-02-01 2008-02-29 한국원자력연구원 수분 증발 방지막이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수화겔
KR20120128579A (ko) * 2011-05-17 2012-11-2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7285B1 (ko) 2015-09-11 2017-11-13 (주)엠앤씨생명과학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106361A (ko) * 2022-01-06 2023-07-13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양이온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09958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20110083817A (ko)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5386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1797285B1 (ko)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1570A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0875075B1 (ko)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KR102092177B1 (ko) 브로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098A (ko) 아세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0298B1 (ko)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857282B1 (ko)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0567B1 (ko)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7336A (ko) 개똥쑥으로부터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JP4716497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10160551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616141B1 (ko)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50008825A (ko) 아이소쿼사이트린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아이소쿼사이트린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2097834B1 (ko) 7, 8, 4&#39;-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5988A (ko) 천연물 추출물을 담지하는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4965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