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044B1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044B1
KR100545044B1 KR1020040058189A KR20040058189A KR100545044B1 KR 100545044 B1 KR100545044 B1 KR 100545044B1 KR 1020040058189 A KR1020040058189 A KR 1020040058189A KR 20040058189 A KR20040058189 A KR 20040058189A KR 100545044 B1 KR100545044 B1 KR 10054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x
stabilized
herbal medicine
herb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최근호
이승화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 탄력, 주름방지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미백효과를 지니고 제형 안정성 및 피부 투과율이 우수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A와,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B와, 피황기, 오미자, 백봉령,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C로 이루어지고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MEDICINE HERBS COMPLEX EXTRACT STABILIZED WITH NANO-LIPOSOME}
도 1은 복합체 C의 세포 증식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복합체 C의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한약재 복합체 B 0.01%, 0.1%, 1.0%(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을 각각 비교 도시한 도면.
도 4는 복합체 B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능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A와,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B와, 피황기, 오미자, 백봉령,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C로 이루어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성의 화장품 기능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의 기본 기능인 청결과 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 피부의 주름 개선 및 억제 효과 등이 있는 고기능성 제품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특히 주름 개선 제품은 젊음을 유지하고 싶은 많은 여성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피부 노화 메커니즘은 한 가지 학설만으로 설명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밝혀진 연구 결과나 진행 중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장기가 멈춘 시기의 피부를 왕성한 상태의 피부 구조 재구축에 의하여 재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이미 생성된 주름에 대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개선이 가능하고, 보다 탄력적이고 매끄러운 피부로 가꿀 수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 산소는, 산소 분자가 1 전자 환원된 초산화물 음이온 라디칼 (superoxide anion radical), 이 라디칼이 다시 환원된 과산화수소, 하이드록시 라디칼이 있다. 또한, 전자 이동은 아니고 에너지 이동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일중항 산소 (singlet oxygen)가 있다. 협의의 활성 산소란 이러한 4개가 있지만, 광의로는 이들의 산화물인 지질 과산화물과 질소 산화물 (nitric oxide)을 포함한다 {Hitoshi Masaki. Et al., Fargrance j., 19 - 20 (2000)}.
한편 미국 특허 제 5,340,568호에는, 성장인자와 유사한 기능을 하고, 세포증식을 유도하는 2-데옥시-2-할로-리조포스파티딕산 (2-Deoxy-2-halo-lysophosphatidic acid) 함유 조성물이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기술되 어 있으며, 또한 WO 94/04184에는 단백질 성장 인자를 안정화시킨 조성물이 피부 주름, 피부의 처짐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와 있다. 이 기술에 사용된 단백질 성장인자는 표피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등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기재된 피부 주름 개선 유효 성분 중 일부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없거나 매우 불안정하고,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특별한 안정화 시스템과 전달 체계가 필요하며, 피부 주름의 개선 효과가 가시적이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레티노이드를 함유한 피부 보호제에 점차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레티노이드는 일광에 의해 축적된 결과인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처짐, 탄력 감소 등의 광 노화 현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는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로 빛 (자외선), 수분, 열, 공기 (산소)에 민감하여 쉽게 화학 변화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레티놀과 레티노익산과 같이 주름 개선 효과가 큰 물질도 화학적인 불안정성, 사용의 아려움, 제형 기술의 복잡성 및 피부 자극성 등으로 인해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이 어려우며, 레티닐 팔미테이트나 레티닐 아세테이트 등의 레티닐 에스테르와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인 β-카로틴은 주름 개선 효과는 적지만, 사용의 간편성과 안정성이 커서 화장품의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인체의 노화 현상과 관련해서, 비타민 C는 가장 강력한 항 산화제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안정성의 문제 때문에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 화장품 산업에서는 비타민 C 자체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불안정한 성질을 극복해 내지 못하고, 비타민 C 자체가 아닌 그 여러 유도체를 사용해서 그 효과를 얻고 있다. 피부 노화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시되는 것이 바로 콜라겐이다.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 여러 복합 물질들에 의해, 노화의 진행과 복구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유효한 보습, 미백, 주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으면서도 내성을 일으키지 않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A와,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B와, 피황기, 오미자, 백봉령,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C로 이루어지고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이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복합체 A의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의 중량비는 각각 1:1:1:3이고, 상기 복합체 B의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의 중량비는 각각 1:1:1:3이며, 상기 복합체 C의 피황기, 오미자, 백복령, 상황의 중량비는 각각 1:1: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체 A와, 복합체 B와, 복합체 C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 : 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체 A와, 복합체 B와, 복합체 C의 중량비는 1:1:1이다.
상기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고압 유화 장치에 7회 통과시켜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한약재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되, 종자와 잎, 열매를 병행 사용해도 무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기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말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 백지, 백작약, 호이초, 피황기, 오미자, 백봉령을 한약재로 사용한다.
맥문동(麥門冬)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맥문동, 실맥문동, 개맥문동의 덩이 뿌리로서, 당류, 아미노산, β-시토스테롤 (β-sitosterol) 등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약리 작용으로는, 항산화 작용이 있고, 관상 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심장 근육의 결혈증에 보호 작용이 현저하며, 진정 작용을 나타내고, 면역 증강 작용이 있고, 혈당을 내리며, 백색포도상구균, 고초간균, 대장균, 인플루엔자균에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지모(知母)는, 지모과의 여러해살이풀 지모의 뿌리 줄기로서, 사포닌(saponin) 약 6% 중 티모사포닌 (timosaponin) A-I, A-II, A-III, A-IV, B-I과 이 밖에 사르사사포게닌 (sarsasapogenin), 네오기토게닌 (neogitogenin) 등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약리 작용으로는, 비교적 지속성이 강한 해열 작용을 나타내고, 황백(黃柏)과 배합 사용시 신경 계통의 흥분을 가라앉히면서 진정 작용을 보이며, 신체의 부신 피질 호르몬의 자극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부신의 위축을 방지하며, 만성 기관지염에 유효하고, 담즙 분비 작용이 현저하며, 결핵균, 이질균, 인플루엔자균, 대장균, 디프테레아균, 콜레라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균, 백일해균에 일정한 억제 작용을 보인다.
백급은,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자란의 덩이 뿌리로서, 수분, 전분, 포도당, 정유, 점액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폐열로 인한 각혈, 위열로 인한 토혈 및 위, 십이지장 궤양 출혈에 지혈 반응을 보이고 궤양의 유합을 촉진시키며, 외상에는 가루를 내어 환부에 뿌린다. 종기 및 창양 (외과적 질병과 피부 질병을 통들러 말함)에 내복 및 외용한다. 기름 성분이 많아서 궤양 등의 유합을 촉진시키고, 새로운 피부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지(白芷)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구릿대의 뿌리로서, 바이약-안젤리신 (byak-angelicin), 옥시퓨스다닌 (oxypeucedanin), 바이약 안젤리콜 (byak-angelicol), 임페라토린 (imperatorin), 이소임페라토린 (isoimperatorin), 펠롭테린 (phellopte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이 연이어 나오는 증상을 다스리고,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을 치료하며, 소염, 배농 작용이 있어 창양, 종독, 피부 궤양에 활용된다. 약리 작용으로는, 항균 작용이 있어 대장균, 이질균, 바이러스균, 녹농균 등에 억제 작용을 나타내고, 백전풍 (살갗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은설병 (홍반과 구진으로 인해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 비늘 가루가 생기는 병증)에 유효하며,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킨다.
백작약(白灼藥)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작약의 뿌리로서, 패오니플로린 (paeoniflorin), 패오닌 (paeonin), 패오놀 (paeonol), 정유, 탄닌 (tan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중추 신경 억제 작용이 있 어서 진정, 진통 작용을 나타내고, 위장과 평활근의 억제 작용과 위산 분비 억제 작용을 나타내며, 혈소판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있고, 간 기능 보호 효과와, 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서 가벼운 혈압 강하 작용을 보인다.
호이초(虎耳草)는,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범의귀의 지상부로서, 알칼로이드 (alkaloid), 질산나트륨, 아르부틴 (arbu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향균 작용이 있어 변형간균, 이질균, 녹농균, 황색 포도상구균 등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피황기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황기, 몽고황기의 뿌리로서, 다당류, 아미노산, 단백질, 비타민 P, 미량의 광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신체의 면역 증강 작용이 있어서 망상 내피 세포의 탐식 능력을 증강시키고, 신체의 대사 기능을 활성화시키므로 혈청과 간장 내의 단백질 대사를 촉진시키며, 현저한 이뇨 작용을 나타내고, 심장의 수축력을 증강시키므로 쇠약한 심장에 대하여 강심 작용을 높이며, 혈관 확장 작용을 해서 혈압을 내리고, 기타 간 보호 작용과 면역 기능 증강 효과가 있다.
오미자(五味子)는, 목련과의 낙엽 덩굴나무 오미자, 흑오미자의 성숙한 열매로서, 휘발성 정유 3% 중에 세스쿠카렌 (sesqucarene), β-2-비사볼렌 (β-2-bisabolene), β-차미그렌 (β-chamigrene), α-일안겐 (α-ylangen)이 확인되었고, 건조 열매 중에는 시트르산 12%, 말린산 10%, 타타르산, 쉬잔드린 (schizandrin), 쉬잔드롤 (schizand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수렴 작용이 있어서 피부의 땀샘을 수축시켜 땀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진액의 생성 작용이 강하여 갈증을 풀어주고 기운이 없는 소갈증에 유효하더. 약리 작용으로는, 중추 신경 계통에 작용하여 대뇌 피질의 흥분 작용을 현저하게 하는 동시에 혈압 강하 작용과 거담, 진해 작용을 보이고, 호흡 흥분 작용을 나타내며, 심혈관 계통에 작용해서 동물의 심장에 강심 효과를 보이고, 간장 내에서 당원 분해에 관여하며, 세포 면역 기능의 증강 작용을 나타내고,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이 입증되었으며, 시력 증대, 시야 확대 작용도 나타내고, 포도상구균, 탄저균, 인플루엔자균, 폐렴균, 이질균, 콜레라균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백복령(白茯笭)은, 구멍장이버섯과의 복령의 균핵을 건조시킨 것으로, 벌목한지 3 내지 4년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자란 균핵이다. 흔히 땅속 20 ~ 50cm에 있고, 직경이 약 30 ~ 50cm인 덩어리로, 속이 흰 것이 백복령, 속이 분홍빛을 띠는 것이 적복령이다. α-파치만 (α-pachyman)이 약 90%에 이르고, 파치미산 (pachymic acid), 튜물로스산 (tumulosic acid), 단백질, 포도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실험관 내에서 억균 작용을 나타내고, 혈당을 내리고, 면역 증강 작용이 있으며, 항종양 작용이 있다. 다당체는 악성 종양에 단독 또는 배합 처방으로 효력을 얻어서 신체의 면역 증강 기능, 식욕 증진, 체중 증가 등의 개선 반응을 보였다.
상황(桑黃)은, 소나무비늘버섯과에 속하고, 우리나라의 버섯도감에도 실리지 않을 만큼 잘 알려지지 않은 버섯으로, 죽은 뽕나무 줄기에 노랗게 달린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황버섯 자실체는 처음에는 진흙 덩어리 형태로 자라다가 겨울이 되면 성장을 멈추고 노란 부분이 진흙 색으로 변하며 다시 봄이 되면 노랗게 덧 자 라는 다년생 버섯이다. 또한, 다 자란 후의 모습은 나무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 이라고도 한다.
상황버섯의 유용성은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중약대사전등의 옛 문헌에도 잘 나타나 있으며, 최근 상황버섯의 유용성이 주목받게 된 것은 베타글루칸 (α-glucan) 때문으로, 이 베타글루칸은 인체의 면역력을 높임으로써 몸 안에 침입한 세균이나 이물질을 격퇴하고, 감염되어도 발병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17종의 담자균류 가운데 항암력을 지닌 것으로 알려진 버섯으로, 송이, 표고, 팽이, 운지 등이 있으나, 상황버섯의 종양 저지율은 타 담자균류보다 월등히 높아 96.7%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황은, 부작용이 전혀 없이, 강력한 항암 작용과 면역력 증강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한약재 복합체는, 한약재 복합체 A와, 한약재 복합체 B와, 한약재 복합체 C로 구성되는데, 한약재 복합체 A는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의 4가지 한약재로 구성되고, 그 중량비는 1:1:1:3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약재 복합체 B는 피부에 미백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의 4가지 한약재로 구성되고, 그 중량비는 1:1:1:3인 것이 바람직하며, 한약재 복합체 C는 피부의 주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피황기, 오미자, 백복령, 상황의 4가지 한약재로 구성되고, 그 중량비는 1:1:1:3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약재 복합체 A, B, C는 각각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하는데, 복합체를 각각 개별 추출하는 이유는, 그 주성분들이 각각의 효능을 지닌 주성분들을 공유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호이초와 백작약 등에는 알부틴이란 미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미백 성분들만을 한번에 추출하여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필요할 경우에는, 단일 복합체 각각의 효능을 갖는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전체적으로 총 10가지의 한약재를 한번에 추출할 경우, 그 성분들의 단일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장담할 수가 없다.
실시예
한약재 추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3 BG (butylene glycol)와 에탄올을 같은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교반시켜서 단일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공정에 사용되어질 공용매로 사용한다.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 (이하 "한약재 복합체 A"),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 (이하 "한약재 복합체 B"), 피황기, 오미자, 백봉령, 상황 (이하 "한약재 복합체 C")은 중량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직경 0.3㎝ 이하의 크기로 분쇄한다. 분쇄된 한약재와 공용매를 1:2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30분간 교반한 후 한약재와 공용매 혼합물을 내부 용적 1.5ℓ의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하여 밀봉 후 고압 기체 펌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공급함으로 압력을 높인다. 추출조 내부의 온도를 0.5℃/분 속도로 40℃까지 승온하여 50분간 유지시킨다. 다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면서 추출물을 방출시키고 상압으로 감압되어 이산화탄소와 한약재 추출물이 분리되며,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고 한약재 추출물은 포집기로 회수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비교의 대상으로 한약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직경 0.3㎝ 이하의 크기로 분쇄한 후 에탄올 추출에 의한 한약재 추출물을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나노리포좀을 다음과 같이 얻었다.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폴리솔베이트 20, 에탄올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고압 유화 장치에 7회 통과시켜 크기를 작게 한 것이다.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고압 유화시켜 폐쇄된 이중층 구조의 나노리포좀을 만들었다. 표 1의 A상을 95℃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켰다. 이를 40℃까지 냉각하여 B상을 넣고 혼합하였다. 이를 압력 1200바, 유속 500m/s의 조건 하에서 고압 유화장치 (Microfludizer M210EH, Microfluidies, USA)에 7회 통과시켜,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얻었다.
1회 통과하여 얻은 리포좀의 크기는 약 133nm이지만, 7회 째의 크기는 약 75nm로 나타났다.
원료명 함량(중량%)
A상 인지질 4
글루타치온 0.1
95% 변성에탄올 20
글리세린 30
폴리솔베이트 20 4
B상 한약재 복합체(A, B, C) 20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상기 한약재 복합체 A, B, C는 나노리포좀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로 첨가한다.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면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해도 뚜렷한 효능 효과의 상승이 보이지 않는다.
얻어진 한약재 복합체 A, B, 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은,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에센스 등의 보습 및 탄력, 미백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으며, 특히 액상 또는 투명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한약재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20 중량%로 함유된다. 0.1 중량% 미만이면 유효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20 중량%를 초과해도 뚜렷한 효능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0.1 ~ 20 중량%가 바람직하며, 0.1 ~ 1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실험예 1 (섬유아세포 증식능 비교 실험)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 C를 실험예 1에 사용하였다. 사람 피부 유래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그 세포 증식능을 실험하였다. 섬유아세포는 -70℃ 또는 액체질소에 보관된 세포를 증식시켜 사용하였다. T-75 플라스크에 배양되어진 섬유아세포를 PBS로 2-3회 세척하고, 트립신을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린 후, 1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Heraeus, Labofuge 400R)하여 세포를 모았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침전세포에 10㎖의 DMEM (10% FBS)을 첨가하여 고르게 섞어준다. 혈구 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104 ea/well 정도의 세포를 96 well의 각 well에 200㎕씩 분주한다. 37℃, 5% CO2에서 배양하면서 well 면적의 약 50% 정도의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 (FBS10%)으로 배지를 교환해 주면서, 실시예의 처리구에 대하여 각각을 농도별로 각 well에 2 반복으로 첨가하여 37℃, 5% CO2에서 각 시간대 별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MTT {3-(4,5-디메틸티아졸-2-일) 2,5-디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시그마}를 PBS에 2㎎/㎖가 되도록 녹여 냉장고에 보관해서 사용하였으며, 각 well에 MTT 시약 (5㎎/㎖ in PBS)을 20㎕씩 처리하고 2시간 더 배양한 후 상등액을 버리고 150㎕의 디엠에스오 (DMSO)를 넣고 잘 섞어주거나 또는 0.04 N-HCl 100㎕를 넣고 섞어준다. 모든 단계가 끝난 후 ELISA leader (μQuant, Bio-Tek instrument INC.)를 이용해 560nm에서 측정한다 (Reference: 650nm).
그 측정 결과를 도 1에 표시하였으며 한약재 복합체 C의 효과는 처리구 0.01%에서 48시간 후 대조구를 0으로 보았을 때 대비 85% 정도의 세포 증식 효과를 보였다.
각 한약재 복합체의 최적 조성 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복합체에 대하여 아래 표 2와 같은 조성 비율(V/V)에 대하여 그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A B C
실험군 1 1 1 1
실험군 2 1 1 0
실험군 3 1 0 1
실험군 4 0 1 1
실험 결과 실험군 1에서 그 효과가 대조구를 0으로 보았을 때 가장 좋았으며, 약 93% 정도의 세포 증식능을 보였다. 따라서 한약재 복합체 C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복합체의 조성비를 복합체 A, B, C의 중량비로 각각 1: 0.1~1: 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1로 할 경우, 그 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생합성 효과)
T-75 플라스크에 배양되어진 섬유아세포를 PBS로 2~3회 세척하고, 트립신을 이용하여 부착된 세포를 떨어뜨린 후, 15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Heraeus; Labofuge 400R)하여 세포를 모았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은 버리고 모아진 세포에 10㎖의 DMEM (10% FBS)을 첨가하여 고르게 섞어준다.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여 104ea/well 정도의 세포를 96well의 각 well에 200㎕씩 분주한다. 37℃, 5% CO2에서 배양하면서 well 면적의 약 50% 정도의 세포가 자라면 새로운 DMEM (FBS10%)으로 교환해 준다.
콜라겐 합성능 측정키트 {Procollagen Type-I C-peptide EIA kit (Takara, MK 101)}를 사용하였다. 면역학적 방법을 이용한 측정법을 위하여 100㎕의 Ab-POD conjugate 용액을 하나의 웰에 옮겨 분주하고, 20㎕의 세포 배양액 또는 표준 용액을 첨가한다. 호일 등으로 96 well 플레이트를 싸서 37℃에서 3시간 정도 배양한다. 3시간 경과 후 각 well에 들어있는 용액을 모두 걷어 내고 PBS로 4번 정도 씻어준다. 세척 단계 후에 100㎕의 기질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여 20~30℃에서 15분간 배양한다. 최종 단계로 반응 종료 용액인 1N H2SO4를 100㎕ 첨가하여 부드럽게 섞어준다. ELISA 리더(l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게 되는데 반응 종료 용액이 첨가된 플레이트를 약 1시간 정도 실온에서 보관한 후 450nm에서 측정하였다.
복합체 C의 콜라겐 합성능을 도 2에 표시하였으며 세포 증식 능력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그 증강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실험예 3 (한약재 복합체 B의 타이로시나제 저해 시험)
실시예에서 얻은 한약재 복합체 B와 기존에 화장품에 상용하고 있는 미백 원 료인 알부틴과의 타이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효소 타이로시나제는 버섯류 (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 (SIGMA T7755) 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타이로신을 증류수에 0.3mg/㎖의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을 1.0㎖씩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인산칼륨 (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 (0.1M, pH 6.8) 1.0㎖와 한약재 복합체 B의 단계별 희석 용액 0.9㎖씩을 반응 용액에 넣은 뒤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희석 용매는 에탄올과 물을 6:4로 사용하며, 대조군으로 한약재 복합체 B 대신 비교 원료 0.9㎖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 unit/㎖의 티로시나제 용액 0.1㎖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 속에 넣어서 급냉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흡광 광도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공식에 의거하여 각 추출물을 타이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구하였다.
타이로시나제 저해율(%) = {100 - (추출물 반응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100
실험예 3에서 확인된 한약재 복합체 B의 티로시나제 저해율은 표 3과 같이 실험농도 복합체 B의 0.1%농도에서 가장 높은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나타내고 그 저해율은 97.67%이었다
구분 농도(%) 티로시나제 저해율(%)
한약재 복합체 B 알부틴
10 57.21 64.21
1 78.56 67.24
0.1 97.67 24.31
0.01 92.14 30.54
0.001 87.21 24.18
0.0001 60.11 12.54
실험예 4 (멜라닌 생성량 억제 실험)
실험예 3에서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한약재 복합체 B를 이용하여 멜라닌 합성량의 억제 효과를 실험하였다. 인체 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인간의 멜라노사이트(human melanocyte)를 일차 배양하여 2계대 후 60㎜ 배양 접시에 2 × 104/dish 농도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가 접시에 부착한 것을 확인 후 한약재 복합체 B를 10ng∼10㎍까지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한약재 복합체 B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3일째 되는 날 트립신-EDTA로 세포를 떼어내어 2 ×105 세포를 일정하게 분배한 후, 100㎕의 1N NaOH 용액을 넣어 37℃에서 12시간 처리하여 세포를 완전히 용해시킨다. 세포가 완전히 녹은 시료 500㎕의 흡광도를 490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 지표로 Sigma사의 합성 멜라닌 (M8601) 10㎎을 1N NaOH 10㎖에 녹여 원액 (1㎎/㎖)을 제조한 후, 700㎍/㎖, 300㎍/㎖, 100㎍/㎖, 70㎍/㎖, 30㎍/㎖, 10㎍/㎖, 7㎍/㎖, 3㎍/㎖, 1㎍/㎖, 0.1㎍/㎖, 0㎍/㎖으로 제조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한약재 복합체 B 0.1% (중량%)에서 멜라닌 합성량을 최대 20%까지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를 표 4 및 도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한약재 복합체 B(%) 멜라닌 감소량(%)
1 22.017
0.1 24.1818
0.01 16.5804
0.001 15.8916
0.0001 10.3566
실험예 1에서의 세포 증식능 비교 실험과 마찬가지로 각 복합체의 조성비에 대하여 동일한 조성비에 의하여 멜라닌의 생합성 저해능을 관찰한 결과 조성비 1:1:1에서 그 효과가 최대 25%까지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부 보습 효과)
나노리포좀화 이전의 단순 원료를 대상으로 피부 보습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의 한약재 추출물 A와 비교 대상으로서 NMF (천연 보습 인자)의 구성성분인 Na-PCA (소듐 피롤리돈 카르복시산),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Na-Condroitin Sulfate), Na-히알루론산염 1% 수용액에 대하여 각각 피부 장벽 기능의 표준 측정법인 장벽 손상 후 경표피 수분 손실(TEWL)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8~12 주된 무모 생쥐의 배부에 피부 장벽이 손상되도록 아세톤을 점적하였다. 경피 수분 손실량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4.0g/m2/h에 도달하면 시료를 5cm2 면적에 도포하였다. TEWL은 C-K (Courage + Khazaka, Cologne, Germany) 사의 증발계 (evaporimeter)인 Tewameter로 측정하였다. 도포 6시간 경과 후 TEWL을 측정하여 TEWL이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피부장벽 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효능평가에 사용된 회복율의 계산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여, 그 결 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hr).
Figure 112004033086794-pat00001
단, Bt = 6 : 피부장벽 손상 후 6시간 경과 후의 TEWL 측정값
Bt = 0 : 피부장벽 손상 이전의 TEWL 측정값
Bt = d : 피부장벽 손상 직후의 TEWL 측정값
한약재 추출물 Na-PCA 수용액(1%) Na-CS 수용액(1%) Na-Hyaluronate 수용액(1%)
1 12 18.5 17.4 18.4
2 16.5 19 18 19
3 16.1 20.1 19 19.2
4 18.5 21 19 19.6
5 14.3 20.5 20 19.7
6 13 18.5 21 20.2
7 14.9 18.9 18 20.3
8 15 18.3 19.3 21.4
9 16.5 18.8 19 19.7
10 14.6 20.3 18 18.9
11 13.8 17.4 18.2 18.6
12 13.5 17.5 17.9 19.3
13 16.8 19.8 19 20.1
14 15.2 18.8 17.6 21.1
15 16.4 18.5 20 19.8
16 15.3 21.5 18 18.6
17 16.8 19.3 18 19
18 17.0 19.1 19.5 19.2
19 16.2 20.7 19.8 20.1
20 16.8 19.5 20.2 20.1
평균측정수치 14.75 19.3 18.845 19.615
TEWL 측정 결과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약재 복합체는 비교 검토 대상으로 사용된 Na-PCA (소듐 피롤리돈 카르복시산)에 비해 각각 26.8%, 23.58%,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Na-Condroitin Sulfate)에 비해 각각 25.13%, 21.73%, Na-히알루론산염에 비해 각각 28.07%, 24.8% 정도의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1
한약재 복합체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하였다. 하기 원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따라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단위: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탄 0.5
스테아린산 1
스쿠알란 5
세토스테아릴알콜 2
세틸 옥타노에이트 5
카보머 0.15
트리에탄올 아민 0.2
글리세린 5
한약재 복합체(A+B+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0.1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정제수 잔량
총합 100
제조예 2 내지 5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A+B+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각각 1, 5, 10, 20 중량%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고, 각각 제조예 2 내지 5로 하였다.
비교예
비교 제조예 1 및 2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A+B+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각각 0.05, 25 중량%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고, 각각 비교 제조예 1 및 2로 하였다.
(비교 제조예 3 내지 5)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A+B+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사용하는 대신, Na-PCA,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 Na-히알루론산염 5 중량%를 각각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고, 각각을 비교 제조예 3 내지 5로 하였다.
(비교 제조예 6)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A+B+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사용하는 대신,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 0.5 중량%(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키지 않은 한약재 복합체) 및 한약재 복합체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리포좀 4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7)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A+B+C)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사용하는 대신, 실시예의 한약재 복합체 0.5 중량%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키지 않은 한약재 복합체)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6 (피부 수분량 측정)
22 ~ 24℃, 상대습도 5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80명 (평균 연령 29.5세)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씩 8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 제조예 1 내지 2의 화장료를 각 그룹마다 눈가를 중심으로 얼굴 전체에 하루 2회 6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Skicon-200 (IBS Co. Japan)을 이용하여, 도포 전, 후에 볼 부위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보습효과의 지속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개선도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4033086794-pat00002
시험전 도포 6주 후 개선도 (%)
제조예 1 630 ±10 650 ±10 3.17
제조예 2 625 ±10 685 ±10 9.6
제조예 3 630 ±10 890 ±10 41.27
제조예 4 630 ±10 675 ±10 7.14
제조예 5 630 ±10 650 ±10 3.17
비교예 1 630 ±10 635 ±10 0.78
비교예 2 630 ±10 630 ±10 0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장료 중에 한약재 복합체를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0.1 내지 2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피부 탄력 효과)
온도 22 ~ 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60명 (평균연령 29.5세)을 6 그룹으로 나누고,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3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 (2회/일) 후, 피부 탄력 측정기 (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8에 Cutometer SEM 575의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인 △R5값 [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도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개선도(%) = (△R5 / 도포전) ×100
피부탄력도 측정 실험 결과 (12주)
도포전 도포후 피부탄력 증강 효과 (△R5) 개선도(%)
제조예 3 0.74 1.16 0.42 56.76
비교제조예 3 0.71 0.80 0.09 12.68
비교제조예 4 0.71 0.81 0.1 14.08
비교제조예 5 0.73 0.75 0.02 2.74
비교제조예 6 0.72 0.80 0.08 10.00
비교제조예 7 0.73 0.77 0.04 5.19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제조예 3를 사용한 경우, 피부 탄력이 비교 제조예 3에 비해 44.08%, 비교 제조예 4에 비해 42.68%, 비교 제조예 5에 비해 54.02%, 비교 제조예 6에 비해 46.76%, 비교 제조예 7에 비해 51.57% 증가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는 피부탄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안정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제형의 안정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예 3, 비교 제조예 6 및 7을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 -5℃에서 37℃를 순환하는 순환 챔버 (1회/일)에 12주 동안 보관한 시료에 대하여 분리, 변색 정도 및 침전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시험물질의 분리 및 변색 정도
온도 제조예 3 비교제조예 6 비교제조예 7
45℃ 0 3 3
4℃ 0 2 2
순환 0 2 3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노리포좀을 통해 안정화된 제조예 3은 4℃, 45℃ 및 순환 시험에서 변색이나 분리 증상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안정화시키지 않고 직접 제형에 사용한 (즉,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 시키지 않은 원료를 사용한) 비교 제조예 6 및 7의 경우에는 분리(변색)가 일어나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 침전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침전 2: 조금 침전
3: 조금 심하게 침전 4: 심하게 침전 5: 극히 심하게 침전
시험물질의 침전 정도
온도 제조예 3 비교제조예 6 비교제조예 7
45℃ 0 3 3
4℃ 0 3 2
순환 0 3 2
상기 표 10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화장료는 침전이 생기지 않아, 안정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약재 복합체를 안정화시키지 않고 첨가하면, 제형 내의 다른 약한 이온성 고분자들과 쉽게 반응하여 침전 및 변색이 일어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한약재 추출물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켜 제형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한약재 복합체가 과량 첨가되어도 침전 및 변색 반응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나노입자의 크기별 경피 흡수 측정)
상기 나노리포좀화를 한 실시예의 경피 흡수 정도를 측정하였다.
화학 결합에 의하여 형광 물질을 부가시킨 PMMA 고분자를 이용하여 각각 50nm, 80nm, 120nm 및 500nm의 크기를 갖는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암컷 무모 기니아 피그의 피부에 도포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피부 단면을 잘라 경피 흡수된 나노입자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측정하였다.
형광 PMMA 고분자 나노입자의 제조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코-메타아크릴릭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릭산의 몰비는 84:16)의 메타아크릴릭산의 카르복실기에 형광분자를 공유결합하게 하였다. 그 제조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4g의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코-메타아크릴릭산을 150ml의 무수분 메틸렌크로라이드에 녹인 뒤, 132mg의 디씨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와 74mg의 N-하 이드록시숙신이미드를 첨가하여 카르복실기를 활성화시킨다. 1시간 동안 교반한 뒤, 222mg의 플루오레신아민을 첨가하여 플루오레신아민의 1차 아민과 활성화된 카르복실기가 반응하여 아미드결합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고분자 사슬에 형광분자가 공유결합을 하도록 했다. 반응은 상온, 암실조건에서 5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반응 후 형성되는 부산물인 디씨클로헥실우레아는 0.45㎛ 나일론 필터를 통해 제거한 뒤, 디에틸에테르에 침전시켜 반응 시약 및 반응하지 않은 잔류물들을 일차 제거하고, 과량의 3차 증류수에서 하루 동안 방치하여 나머지 잔류물들을 제거한 뒤, 40℃에서 진공 오븐을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그 결과, 형광 물질이 부가된 50nm, 80nm, 120nm, 500nm의 크기를 갖는 PMMA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크기별 나노입자의 경피 흡수 시험을 위하여 8주 정도의 암컷 무모 기니아 피그(strain IAF/ HA-hrBR)를 이용하였다. 기니아 피그의 복부 부위의 피부를 절취하여 프라즈-타입 디퓨젼 셀 {Franz-type diffusion cells(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프라즈-타입 디퓨젼 셀의 수용 용기(5㎖)에는 50 mM 인산염 완충액 (pH 7.4, 0.1M NaCl)을 넣어주었다. 디퓨젼 셀은 32℃를 유지해주면서 600rpm으로 혼합, 분산시켜주었으며, 각 크기별로 제조된 형광 PMMA 나노입자가 10%(w/v) 분산된 용액 50㎕를 각각의 도너 (donor) 용기에 넣어주었다. 미리 예정한 시간 (평균 12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의 면적은 0.64cm2가 되게 하였다. 나노입자의 흡수 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킴와이프 (kimwipes) 또는 에탄올 10㎖로 피부 위에 남아있는 흡수되지 못한 나 노입자를 씻어주고, 피부의 단면을 절개하여 피부단면에 흡수된 형광 PMMA 나노입자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의 피부내 분포측정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냈다.
나노입자의 피부내 분포 측정 결과
나노입자의 평균 크기 경피흡수 도달부위 비고
50nm 35㎛
80nm 17㎛
120nm 12㎛
500nm 7㎛
상기 실험으로부터 나노입자의 경피 흡수는 평균 입자 직경에 크게 의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균 직경 50nm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나노입자는 표피를 통과하여, 진피층 상단까지 흡수, 확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자의 크기가 5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노입자는 피부 표면에 머물게 되며, 더 이상 피부 내부로의 흡수가 일어나지 않았다. 평균 직경 50nm 내외의 나노입자의 피부 흡수는 피부의 세포간 지질 사이로 확산되어 들어가고, 고분자의 소수성은 이러한 경피 흡수를 촉진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경피 흡수가 잘 안되거나 불안정한 유효 활성 성분을 평균 입경 50nm 내외의 나노입자에 포집시켜 주는 경우 고분자에 의한 피부내부로의 전달을 통하여 활성성분의 경피 흡수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은 한약재 복합체를 초임계법에 의한 추출을 실시하여 그 유효성분의 함량을 극대화하여 나노리포좀에 함유시킴으로써, 보습, 탄력, 주름방지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미백효과를 지니고 제형 안정성 및 피부 투과율이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A와,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B와, 피황기, 오미자, 백봉령, 상황을 포함하는 한약재 복합체 C로 이루어지고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은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A의 맥문동, 지모, 백급, 상황의 중량비는 각각 1:1:1:3이고, 상기 복합체 B의 백지, 백작약, 호이초, 상황의 중량비는 각각 1:1:1:3이며, 상기 복합체 C의 피황기, 오미자, 백복령, 상황의 중량비는 각각 1: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A와, 복합체 B와, 복합체 C의 중량비는 1 : 0.1 내지 1 : 0.1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인지질, 글루타치온, 95% 변성 에탄올, 글리세린, 폴리솔베이트 20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고압 유화 장치에 7회 통과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한약재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되, 종자와 잎, 열매를 병행 사용해도 무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58189A 2004-07-26 2004-07-26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054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189A KR100545044B1 (ko) 2004-07-26 2004-07-26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189A KR100545044B1 (ko) 2004-07-26 2004-07-26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044B1 true KR100545044B1 (ko) 2006-01-24

Family

ID=3717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189A KR100545044B1 (ko) 2004-07-26 2004-07-26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04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29B1 (ko) * 2006-11-09 2008-04-28 한국콜마 주식회사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552433A (zh) * 2010-12-15 2012-07-11 苏州知微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当归黄汤整合型新剂型制备技术及其生产方法
KR101497191B1 (ko) 2012-11-27 2015-02-27 김인영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72967A (zh) * 2014-05-21 2017-04-19 奢弥联合化学有限公司 包含植物提取物的美白活性剂、其用途以及包含所述美白活性剂的组合物
KR20170080073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티모사포닌 에이-쓰리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28730B1 (ko) * 2019-05-22 2019-10-04 (주)클래시스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한 지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지모 추출물
KR102534797B1 (ko) * 2022-10-24 2023-05-30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지모추출물, pdrn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수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0567B1 (ko) 2023-09-26 2024-01-29 정지영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29B1 (ko) * 2006-11-09 2008-04-28 한국콜마 주식회사 미백효과를 갖는 한방 약재추출물,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552433A (zh) * 2010-12-15 2012-07-11 苏州知微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当归黄汤整合型新剂型制备技术及其生产方法
KR101497191B1 (ko) 2012-11-27 2015-02-27 김인영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72967A (zh) * 2014-05-21 2017-04-19 奢弥联合化学有限公司 包含植物提取物的美白活性剂、其用途以及包含所述美白活性剂的组合物
KR20170080073A (ko) * 2015-12-31 2017-07-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티모사포닌 에이-쓰리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08B1 (ko) 2015-12-31 2023-0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티모사포닌 에이-쓰리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28730B1 (ko) * 2019-05-22 2019-10-04 (주)클래시스 집속초음파 기술을 이용한 지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수득된 지모 추출물
KR102534797B1 (ko) * 2022-10-24 2023-05-30 주식회사 에이바이오머티리얼즈 지모추출물, pdrn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수용성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0567B1 (ko) 2023-09-26 2024-01-29 정지영 에이트 컴플렉스 함유물질에 따라 피부 흡수율 증진효과를 갖는 리포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8976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que contiene producto de baya de ginseng con Pleurotus ferulae fermentado
KR20120060296A (ko) 화장료 조성물
WO2009145345A1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KR101574558B1 (ko) 진세노사이드 Rd, Rb2와 죽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43192A (ko) 표피세포에 있어서의 라미닌 5 생산능을 증강시킬 수 있는물질 및 이들의 사용
KR101233832B1 (ko) 홍삼 또는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알이와 알에이치투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0545044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킨 한약재 복합체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1474340B1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20100124132A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058445B1 (ko) 복숭아꽃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1000A (ko)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7469A (ko) 바나듐 함유 미네랄 조성물과 봉독을 이용한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61848B1 (ko)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563547B1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7340B1 (ko) 인삼 열매 및 하수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101709A (ko) 동백나무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JPH11171784A (ja) 皮膚外用剤
KR20170130865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020084619A (ko) 상황버섯추출물과 포도발효액추출물을 함유하는주름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419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