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075B1 -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075B1
KR100875075B1 KR1020080041057A KR20080041057A KR100875075B1 KR 100875075 B1 KR100875075 B1 KR 100875075B1 KR 1020080041057 A KR1020080041057 A KR 1020080041057A KR 20080041057 A KR20080041057 A KR 20080041057A KR 100875075 B1 KR100875075 B1 KR 10087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호원
Original Assignee
하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호원 filed Critical 하호원
Priority to KR102008004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075B1/ko
Priority to PCT/KR2009/001893 priority patent/WO2009134021A2/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조성물은 약쑥 추출물, 솔잎오일, 전나무 잎 오일, 및 라벤다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소양증 완화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다는 장점을 갖는다.
약쑥, 솔잎오일, 전나무 잎 오일, 라벤다 오일, 피부 소양증완화

Description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A composition of plants extract for alleviation of pruritis}
본 발명은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소양증은 기본적으로 가려움증이 병 그 자체인 증상으로서, 가려움증은 오로지 피부, 점막 및 각막에서만 지각된다. 이러한 지각은 피부외피 연결부(dermoepidermal junction)로 한정된다. 가려움은 통증과 함께 대부분의 피부질환에서 흔히 유발되는 감각으로서, 임상에서는 긁고 싶은 충동을 유발하는 불쾌한 감각으로 정의한다(Yosipovitch et al, The Lancet, 361, pp, 690-93, 2003). 국부화 되거나 전신화 된 소양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광범위한 가려움증이나 일반화된 소양증은 많은 외부요소와 내부조건에 의해 야기된다. 가장 보편적인 원인요소는 기후, 입자상 물질, 세제, 곰팡이나 박테리아의 피부감염, 곤충 및 체내 침입물을 포함하는 환경적 유발인자이다. 보편적인 제2의 요소는 담도폐쇄나 신부전에 의해 유발된다(Sonja et al, Arch. Dermatol., 139, pp.1463-70, 2003). 구체적으로 가려움이 주된 문제가 되는 피부질환으로는 두드러기, 건조피부, 지루성 피부염, 건선 및 벌레물림 등을 들 수 있다(Greaves et al, The Lancet., 348, pp. 938-40, 1996). 또한 상기 피부소양증은 염증성 피부염, 살갗의 거칠어짐 등으로 인한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기저귀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건선 또는 유건선 등으로 유발되는 가려움증을 포함한다.
원인과 증상에 대한 이상의 분류에서 보듯이 가려움증은 세균이나 곰팡이류의 체내감염 혹은 해충 독이나 환경적 독성의 체내 유입 등이 제1차 원인이고, 제 2차적으로는 이들 제 1차 원인에 대한 면역체계의 작동현상인 염증 및 부풀어 오름, 그리고 가려움에 대한 지각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현상을 지칭하게 된다. 따라서 항생제, 항균제, 혹은 제독제를 투입하거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치료법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가려움증 치료제로는 코티코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캡사이신 등이 사용되나 이 치료제들은 나름대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바르는 스테로이드제에 의해서는 피부가 얇아지거나 피부 색깔이 변하거나 발진이 생기고, 장기간 많은 양을 사용했을 때 전신 부작용으로 부신 기능이 억제될 수 있다. 일세대 항히스타민제는 주로 전신 투여하여 사용하는데 항부교감작용이 있어서 진정작용을 나타내고, 1 세대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은 국소 투여 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가려움을 억제시키지 못하였다(Munday et al.,Dermatology, 205, pp40-45, 2002).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국소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데 이것은 피부 과민반응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진정작용이 없는 2 세대 항히스타민제 에바스틴과 터페나딘은 사이토크롬(cytochrome) P450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 (ketoconazole, erythromycin)과 함께 복용하면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다(Hey et al., Arzneimittelforschung, 46, pp159-163, 1996). 면 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은 전신투여 시 고혈압, 신독성, 약물 상호 작용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분자량이 커서 장기를 통과하여 피부에 이르기가 어려워 효능이 약하다. 최근 국소 제제로 개발된 칼시뉴린 억제제인 프로토픽(타크로리무스, FK506)과 엘리델(피메크로리무스)은 소아환자에서 백혈병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고, 더 나아가 사용 초기에 발적감, 피부자극, 가려움, 홍반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Gupta et al.,JEADV, 16, pp.100-114, 2002; Gupta and Chow, JEADV, 17, pp.493-503, 2003). 캡사이신은 가려움 억제 효과가 가장 신속하고 강력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강한 피부 자극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하정맥주사제나 복용제는 우선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분자량이 충분히 작아 해당 세포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신 투여제나 국소용 제제 공히 부작용이 없어야하고 면역체계의 작동을 억제하거나 부교감신경을 억제하는 제제는 일시적으로만 적용하여 면역체계 자체를 교란하지는 말아야 된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이면서 부작용 없고 안전한 국소용 가려움증 완화제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약쑥은 아르테미시아 속에 속한 식물로서 잎 표면은 푸르며 뒷면은 젖빛의 솜털이 있고 독특한 향기가 있다. 약쑥(Artemisia asiatica)은 생약명으로 애엽(艾葉)이라 하는데, 자생하는 지역 명을 앞에 붙인 것도 있고(예, 강화 쑥), 형상을 비유한 것(예, 사자발 쑥)도 있으며, 용도별로 이름을 붙인 것(예, 식용쑥, 뜸쑥)도 있다. 쑥은 지구 전체에 약 200여, 한국 내에서만도 40여 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지만, 이들이 엄밀한 의미에서 각기 다른 종이나 아종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 다만 이들 쑥에는 공통적으로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 다량의 엽록소가 포함되어 있다.
솔잎은 소나무의 잎을 의미하며 소나무는 Pinus속으로 분류되며 P. palustris Miller(북미 지역), P. pinaster Aiton(프랑스), P. sylvestris L(유럽전역), P. laricio Poiret(오스트리아), P. longifolia Roxburgh(인도), P. densiflora Sieb, and Zucc.(한국, 일본), P. thunbergii Palatore(=해송; 한국, 일본) 등의 종으로 분류된다. 솔잎에는 터펜틴 오일(Terpentine oil), 시네올(Cineole), 살리니그린(Salinigrin), 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레텐(Retene) 등과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A 및 C등도 함유되어 있다.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성분의 종류와 각 성분의 함유비율은 종과 채취한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다.
전나무 잎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의 잎을 의미한다. 전나무 잎에는 캄펜(Camphen),보르네아세탈(Borneacetal), 알파 피넨(Alpha-Pinen), 델타 쓰리 카렌(delta-3-Caren), 리모넨(Limonen), 트리사이클린(Tricycle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라벤더(Lavender)는 꿀풀과 라반듈라속의 다년생 상록 소저목으로 37종의 원종과 재배품종은 300여 가지가 넘는데, 향기, 꽃의 색상, 형태, 크기가 다양하다. 꽃과 잎에서 추출한 에센샬 오일은 화장품, 비누, 목욕용품의 향료로 이용된다.
본 발명자는 효과적이면서 부작용 없고 안전한 국소용 가려움증 완화제를 개 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약쑥추출물, 솔잎오일, 전나무 잎 오일, 및 라벤다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추출조성물이 피부소양증 완화효과가 뛰어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약쑥추출물, 솔잎오일, 전나무 잎 오일, 및 라벤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쑥은 아르테미시아 속에 속한 약쑥(Artemisia asiatica)을 사용할 수 있다. 약쑥추출물은 공지의 방법 즉, 물과 에탄올을 혼합한 용매 등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공지의 수증기증류법 등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솔잎은 Pinus속인 Pini sylvestris 의 침엽을 의미하며, 솔잎 오일은 공지의 방법 즉, 솔잎으로부터 공지의 수증기 증류법 등으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공지의 유수분리법 등으로 분리한 오일 상 물질을 의미한다. 솔잎 오일은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나무잎은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의 잎을 의미하며, 전나무 잎 오일은 공지의 방법 즉, 전나무 잎으로부터 수증기증류법 등으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공지의 유수분리법 등으로 획득한 오일 상 물질을 의미한다. 전나무 잎 오일은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벤더는 Lavandula angustifolia Miller를 의미하며, 라벤더 오일은 이로부 터 공지의 방법 즉, 수증기증류법 등으로 추출한 오일 상 물질을 의미하며,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은 총중량에 대하여 약쑥추출물 88-98.2%, 솔잎 오일 0.6-4 중량%, 전나무 잎 오일 0.6-4 중량%, 라벤다 오일 0.6-4 중량%일 수 있다. 약쑥 추출물, 솔잎 오일, 전나무잎 오일, 및 라벤다 오일이 상기 중량 범위에서 소양증 완화 효과가 탁월하며 사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약쑥 추출물, 솔잎 오일, 전나무잎 오일, 및 라벤다 오일 각각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 에탄올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의 pH는 3.8~5.1 범위일 수 있다. 식물추출 조성물의 pH는 별도의 pH 조절제(예로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를 사용하여 조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약쑥 추출물의 pH가 5.50, 솔잎 오일과 전나무잎 오일의 pH가 각각 3.00, 라벤더 오일의 pH가 4.80이기 때문에 이들 각 구성 성분의 중량비를 조정하여 조성물 전체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의 pH가 3.8 미만일 경우, 산성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강산성의 물질은 피부에 자극을 주고, 5.1을 초과할 경우는 소양증 완화효과가 감소한다.
상기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화제, 희석제, 부형제 등을 첨가하거나, 화장품 제조용 기제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양증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은 제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소양증완화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외용제에 한정된다. 즉, 주사제나 경구투여형 제제는 제외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스프레이제 등의 제형으로 1회 0.1~0.3ml를 적용부위에 도포하여 외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추출 조성물은 피부소양증 완화효과가 뛰어나며, 사용자의 만족도가 크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제제예,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제제예 1~14> 식물추출물의 스프레이제 제조
1) 약쑥추출물의 준비
건조된 약쑥(Artemisia asiatica;덕유산 중턱 해발 500m에 위치한 밭에서 발명자가 자연농법으로 직접 재배하고, 햇볕이 완전 차단된 창고 안에서 3개월 이상 자연 건조시킨 후 5cm 단위로 절단된 약쑥)을 자루에 담아 준비하였다. 중량비로 약재:용매=1:5의 비율로 하되, 중량비로 물: 알콜(주정)=47:3으로 한 용매를 추출기에 넣은 후 자루에 담은 약재가 용매에 닿지 않도록 중간에 받침대를 놓고, 그 위에 약재 자루를 위치시키고, 최고 압력을 5바(bar), 최고 온도를 120℃로 설정하여, 최초 넣은 용매의 80%를 추출액으로 얻을 때까지 8-12시간 가열하는 수증기추출법을 적용하여 약쑥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약쑥추출물의 성상은 희뿌연 색상이었으며, pH는 5.45~5.50이었다.
2) 솔잎오일의 준비
솔잎 오일은 Pini silvestris 로부터 추출한 Oil로서, 독일의 Frey & Lau 사로부터 수입한 오일이다. pH는 3.0이다.
3)전나무 잎 오일의 준비
전나무 잎 오일은 Abies holophylla Maxim에서 추출한 Oil로서, 독일의 Frey & Lau 사로부터 수입한 오일이다. pH는 3.0이다.
4)라벤다 오일의 준비
라벤다 오일은 Lavandula angustifolia에서 추출한 Oil로서, 독일의 Frey & Lau 사로부터 수입하여 준비하였다. pH는 4.80이다.
5) 각각의 솔잎오일, 전나무 잎 오일, 및 라벤다 오일은 식용 에탄올(주정)과 1:1중량비로 혼합하여 오일용액을 제조하였다.
6) 상기 1) 및 5)에서 준비된 약쑥추출물, 솔잎오일용액(에탄올 중), 전나무잎오일용액(에탄올 중), 및/또는 라벤다 오일용액(에탄올 중)과 필요에 따라 증류수를 이용하여,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제제예 1~14의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스프레이제의 제조는 충진기기(독일 Apollo Hydraulic 사 제작)로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약쑥추출물 또는/및 증류수를 제품 용기에 충진시키고, 별도의 충진기기를 이용하여 오일용액을 제품 용기에 충진시킨 후 스프레이와 결합된 용기의 뚜껑을 닫는 방법으로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
비교제제예 1~14에서 준비된 약쑥추출물, 솔잎오일용액(에탄올 중), 전나무잎오일용액(에탄올 중), 및 라벤다 오일용액(에탄올 중)을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제제예 1~14의 스프레이제 제조 방식으로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약쑥추출물 솔잎오일용액 (에탄올 중) 전나무잎오일용액 (에탄올 중) 라벤더 오일용액 (에탄올 중) 증류수
비교제제예 1 100중량%
비교제제예 2 5중량% 잔량
비교제제예 3 5중량% 잔량
비교제제예 4 5중량% 잔량
비교제제예 5 잔량 5중량%
비교제제예 6 잔량 5중량%
비교제제예 7 잔량 5중량%
비교제제예 8 잔량 2.5중량% 2.5중량%
비교제제예 9 잔량 2.5중량% 2.5중량%
비교제제예 10 잔량 2.5중량% 2.5중량%
비교제제예 11 2.5중량% 2.5중량% 잔량
비교제제예 12 2.5중량% 2.5중량% 잔량
비교제제예 13 2.5중량% 2.5중량% 잔량
비교제제예 14 1.7중량% 1.7중량% 1.7중량% 잔량
제제예 1 잔량 1.7중량% 1.7중량% 1.7중량%
<비교제제예 15, 16>
비교제제예 1~14의 솔잎오일용액(에탄올 중), 전나무잎오일용액(에탄올 중), 및 라벤다 오일용액(에탄올 중)을 중량비로 1:1:1로 혼합하여 오일혼합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오일혼합용액과 비교제제예 1~14의 약쑥추출물을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제제예 1~14의 스프레이제 제조 방식과 동일하게 비교제제예 15, 및 16의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제제예 15의 용액 pH는 3.7, 비교제제예 16의 용액 pH는 5.2였다.(pH는 pH미터(PH-MV-TEMP. Meter: AA.29703)으로 측정함)
구분 약쑥추출물 오일혼합용액 pH
비교제제예 15 90중량% 10중량% 3.7
비교제제예 16 97중량% 3중량% 5.2
제제예 2 95중량% 5중량% 4.5
<제제예 2>
비교제제예 15, 16의 약쑥추출물 및 오일혼합용액을 사용하되, 표 2에 기재된 성분과 조성으로, 비교제제예 1~14의 스프레이제 제조방식과 동일하게 제제예 2의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의 pH는 4.5였다.(pH는 pH미터(PH-MV-TEMP. Meter: AA.29703)으로 측정함)
<비교제제예 17, 18>
비교제제예 1~14의 약쑥추출물, 솔잎오일용액(에탄올 중), 전나무잎오일용액(에탄올 중), 및 라벤다 오일용액(에탄올 중)을 표 3의 조성비로 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제제예 1~14의 스프레이제 제조방식과 동일하게 비교제제예 17, 18의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구분 약쑥추출물 솔잎오일용액 (에탄올 중) 전나무잎오일용액 (에탄올 중) 라벤더 오일용액 (에탄올 중)
비교제제예 17 잔량 2중량% 2중량% 1중량%
비교제제예 18 잔량 1중량% 1중량% 3중량%
<실시예 1> 소양증완화 효과 확인
소양증완화 효과 확인시험을 이하의 방법으로 하였다.
모기 혹은 쇠파리에 최소 2곳 이상 물린 후 30분 이내에 있으며, 심한 가려움증을 지각하여 1분에 1회 이상 긁는 상태에 있는 총 140명의 사람을 시험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한 군당 10명씩 총 14개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군에 대하여, 비교제제예 1 내지 14와 제제예 1의 스프레이제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피검자 각자에게 긁는 부위 중 한 곳에는 비교제제예 1 내지 14의 스프레이제를 분무하도록 하였고, 다른 한 곳에는 제제예 1의 스프레이제를 분무하도록 하였다. 사용량은 각각 0.1~0.3ml의 양을 도포하도록 하였다. 피검자에게 1분 후, 10분 후, 1시간 후의 가려움이 있는지를 질문하여 답을 구하였으며, 가려움을 느낀 사람의 수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가려움의 정의는 가려운 부위에 손이 2번 이상 간 상태로 정의하였다.
1분 후 가려움증인원/피검인원 (비율%) 10분 후 가려움증인원/피검인원 (비율%) 1시간 후 가려움증인원/피검인원 (비율%)
비교제제예 1 6/10(60%) 7/10(70%) 6/10(60%)
비교제제예 2 8/10(80%) 7/10(70%) 7/10(70%)
비교제제예 3 8/10(80%) 7/10(70%) 7/10(70%)
비교제제예 4 8/10(80%) 8/10(80%) 7/10(70%)
비교제제예 5 6/10(60%) 6/10(60%) 6/10(60%)
비교제제예 6 6/10(60%) 6/10(60%) 6/10(60%)
비교제제예 7 6/10(60%) 7/10(70%) 6/10(60%)
비교제제예 8 6/10(60%) 7/10(70%) 7/10(70%)
비교제제예 9 6/10(60%) 7/10(70%) 6/10(60%)
비교제제예 10 6/10(60%) 6/10(60%) 6/10(60%)
비교제제예 11 8/10(80%) 7/10(70%) 7/10(70%)
비교제제예 12 8/10(80%) 7/10(70%) 6/10(60%)
비교제제예 13 8/10(80%) 7/10(70%) 7/10(70%)
비교제제예 14 7/10(70%) 7/10(70%) 6/10(60%)
제제예 1 40/140(28%) 30/140(21%) 15/140(10%)
상기 표 4에 나타난 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나타낸다. 첫째, 약쑥 추출물이 들어가지 않은 비교제제예 2, 3, 4, 11 내지 14의 제제는 약쑥 추출물이 함유된 여타의 제제에 비해 소양증완화효과가 크지 않음을 나타낸다. 둘째, 시간의 경과는 소양증완화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약쑥추출물, 솔잎 오일, 전나무 잎 오일, 및 라벤더 오일 각각도 최소한 20-30%의 소양증완화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넷째, 약쑥추출물과, 솔잎오일, 전나무오일 혹은 라벤더 오일이 어느 하나 혹은 2 이상으로 혼합된 제제는 소양증 완화효과가 제한적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쑥추출물과, 솔잎오일, 전나무오일, 및 라벤더 오일 모두가 혼합된 제제예 1의 소양증완화 효과는 극적으로 높아질 뿐만 아니라, 소양증 완화효과가 뛰어남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소양증 완화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 피부자극성 확인 인체피부첩포시험
pH 변화에 따른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의 피부자극성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피부첩포 시험을 하였다.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검자의 연령 분포는 25-34세이며, 평균 연령은 29세였다. 시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틸알코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실시예 2의 조성물 3종 각각을 종이 디스크에 40㎕씩 뭍혀서, 이를 스켄포어 테잎(scanpore tape)으로 등 부위의 피부에 고정시키고, 24시간 후 첩포를 떼어내 표시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그 뒤 4시간 후 결과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홍반과 부종의 정도에 따라 수치로 나타내며,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기준에 따랐다(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피부반응평가기준: 0점(무반응), 0.5점(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1점(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2점(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3점(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하기 수학식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평균 피부 반응도(mean score)={(0점×무반응 인원수+0.5점×해당반응인원수+1점×해당반응인원수+2점×해당반응인원수+3점×해당반응인원수)/(최대점수(3)×총피검자수(10))}×100
평균피부반응도(n=10)
비교제제예 15 33.3
비교제제예 16 0
제제예 2 0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성물의 pH가 3.8이상인 제제예 2와 비교제제예 16은 피부자극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pH가 3.7인 비교제제예 15의 경우 도포부위의 경계가 확연하게 나타나고 약한 홍반이 관찰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자극을 피하기 위해선 pH가 3.8 이상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관능시험
비교제제예 17~18, 및 제제예 1의 제제 사용시 향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 직후의 향과 3분 및 5분 경과 후의 향에 대한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5점 비교법으로 10명의 패널이 각각 채점하고, 이를 평균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5점: 매우 만족, 4점: 만족, 3점: 보통, 2점: 불만족, 1점: 매우 불만족)
적용 직후 향 3분 경과 후의 향 5분 경과 후의 향
제제예 1 4.2 4.1 4.1
비교제제예 17 4.1 2.4 1.5
비교제제예 18 3.5 3.4 3.4
표 6의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적용 직후의 향에 대한 만족도는 거의 비슷하나 적용 후 3분이 경과한 후의 향에 대한 만족도는 라벤더 오일의 함유비율에 따라 크게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약쑥추출물의 향에 대하여는 대다수의 패널들이 불쾌감을 나타내며, 솔잎 오일과 전나무잎 오일은 휘발성이 강하여 빠른 시간 내에 사라질 뿐만 아니라 약쑥추출물의 향을 누르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약쑥향을 억제하면서 발향 시간이 긴 라벤더 오일을 적의 혼합하는 것이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약쑥추출물, 솔잎 오일, 전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오일, 및 라벤더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쑥추출물 88~98.2중량%, 솔잎오일 0.6~4 중량%, 전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오일 0.6~4중량%, 및 라벤더오일 0.6~4 중량%를 포함하는 식물추출조성물.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가 3.8~5.1인 식물추출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제 중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식물추출조성물.
KR1020080041057A 2008-05-01 2008-05-01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KR10087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57A KR100875075B1 (ko) 2008-05-01 2008-05-01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PCT/KR2009/001893 WO2009134021A2 (en) 2008-05-01 2009-04-14 A composition of plants extract for alleviation of pruri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57A KR100875075B1 (ko) 2008-05-01 2008-05-01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075B1 true KR100875075B1 (ko) 2008-12-18

Family

ID=4037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057A KR100875075B1 (ko) 2008-05-01 2008-05-01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5075B1 (ko)
WO (1) WO2009134021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43B1 (ko) * 2010-07-30 2013-01-18 윤여훈 피부소양증을 완화시키는 전나무잎 정유의 제조방법
KR20160052514A (ko) * 2016-04-26 2016-05-12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6-08-0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2343A (ko) 2015-08-20 2017-03-02 김태웅 유산균 발효액, 플로랄 워터 및 생약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피부 알레르기의 예방, 개선제
KR20220121969A (ko) 2021-02-25 2022-09-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약쑥 성분의 추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10B1 (ko) * 2017-09-19 2020-01-29 학교법인혜화학원 독활 복합오일을 포함하는 항아토피성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6Y1 (ko) * 2004-09-22 2004-12-14 이제완 신경통, 손 저림, 관절염 및 아토피성 피부병 치료에효능을 갖는 한약재 조성물이 장입된 기능성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667A (ko) * 1999-07-23 1999-11-05 하종심 가려움증 개선용 크림 및 그 제조방법
JP2003192529A (ja) * 2001-12-27 2003-07-09 Yamaguchi Kogyo:Kk 薬用化粧品
KR20060103992A (ko) * 2005-03-29 2006-10-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미용 키트 및 방법
KR20050088060A (ko) * 2005-08-12 2005-09-01 강남석 솔잎, 쑥, 대나무 추출물과 허브식물을 이용한 자연항·살균제 개발
KR20070034182A (ko) * 2005-09-23 2007-03-28 하호원 약쑥 및 솔잎 추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46Y1 (ko) * 2004-09-22 2004-12-14 이제완 신경통, 손 저림, 관절염 및 아토피성 피부병 치료에효능을 갖는 한약재 조성물이 장입된 기능성 장갑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43B1 (ko) * 2010-07-30 2013-01-18 윤여훈 피부소양증을 완화시키는 전나무잎 정유의 제조방법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6-08-08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2343A (ko) 2015-08-20 2017-03-02 김태웅 유산균 발효액, 플로랄 워터 및 생약 추출물을 기반으로 하는 피부 알레르기의 예방, 개선제
KR20160052514A (ko) * 2016-04-26 2016-05-12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15202B1 (ko) 2016-04-26 2017-03-13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20121969A (ko) 2021-02-25 2022-09-0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약쑥 성분의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4021A2 (en) 2009-11-05
WO2009134021A3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716A (en) Synergistic herbal extracts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30095196A1 (en) Blended oil skin moisturizer and skin repairer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5075B1 (ko)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8986755B1 (en) Skin moisturizer
US20190183953A1 (en) Immunologically active phyto-mixture and its use in the prevention and in a method for treatment of efflorescences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4343B1 (ko) 피부소양증을 완화시키는 전나무잎 정유의 제조방법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KR20150097336A (ko) 개똥쑥으로부터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유효성분 추출방법 및 그 방법으로 추출된 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739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RU2475230C1 (ru) Лечебно-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жи от солнечных ожогов
CN115518127A (zh) 一种抑菌抗炎消肿止痒乳膏及其制备方法
KR20240005021A (ko)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CN114344219A (zh) 一种用于皮肤红肿痒痛的芳香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60375078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ingredients for bruising or hematoma healing on skin and use thereof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3490A (ko) 마치현, 애엽 및 홍경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호 및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5420A (ko)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KR10186651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갑진균증 무좀 개선용 크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