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559B1 -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559B1
KR101646559B1 KR1020150111403A KR20150111403A KR101646559B1 KR 101646559 B1 KR101646559 B1 KR 101646559B1 KR 1020150111403 A KR1020150111403 A KR 1020150111403A KR 20150111403 A KR20150111403 A KR 20150111403A KR 101646559 B1 KR101646559 B1 KR 10164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noa
extract
skin
itch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오성화
김우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5011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퀴노아 추출물은 우수한 TRPV1 발현 억제 효과, PAR-2 발현 억제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IL-31 발현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따라,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itching by dry skin}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이란 긁고 싶어 하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피부의 상태를 일컫는 것으로 가벼운 접촉, 온도변화, 스트레스 등의 자극이나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인 자극으로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아토피, 건선,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자나 민감성 피부 보유자의 증상으로도 동반된다. 민감성 피부 보유자란 피부 병변에 관한 어떠한 임상적 또는 조직학적 증상 없이 피부장애를 경험할 잠재력을 가진 사람들로써 화장품이나 비누, 샴푸와 같은 세정제의 사용 후, 눈으로 드러나는 자극현상 이외에도, 감각적으로 가려움을 호소한다.
한편, 최근 가려움증의 신호전달과정이 일부 밝혀져 신호전달과정의 조절을 통해 가려움증의 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가려움증은 두뇌로 신호전달이 될 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를 통하게 되는데 중추신경계로부터 고통(pain)과 가려움의 신호전달과정을 보유하면서 서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가려움증을 느낄 때 고통(예: 긁기)을 가하면 가려움이 완화된다. 그러나 가렵다고 긁으면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더욱 증가하여 가려움에 더욱 민감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또한, 가려움증 신호전달과정에는 프로테이나아제-활성화 수용체(proteinase-activated receptor, PAR)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후에 G-단백질을 거쳐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이인산염(phosphatidylinositol diphosphate)과 다이아실글라이세롤(diacylglycerol), 단백질 키나아제 C를 포함하는 신호전달과정이 밝혀졌다. 이후에 대뇌 해마 신경 세포막위의 캡사이신 수용체(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type 1, TRPV1)로 신호전달이 되고 TRPV1에 의해 더욱 가려움에 민감하게 되는 것이 밝혀졌다.
한편, 아토피, 건선, 접촉성 피부염과 같이 외부 알러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질환 및 가려움은 신체 내 특정 면역세포들을 활성화 시키며 이로 인해 여러 사이토카인 및 가려움의 중재자인 히스타민의 분비를 유도하여 가려움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러젠이 유입이 되면 피부장벽의 pH가 증가하여 세린 프로테아제(serine protease)와 같은 다양한 단백분해효소가 활성화되어 피부지질대사 효소인 beta-GluCer'ase 및 산성 스핑고미엘리나아제(aSMase)의 분해를 유도하고 이후 단백분해효소가 활성화되면 PAR-2(단백질분해효소 활성화 수용체)가 활성화되어 IkB 인산화효소(IKK)가 활성화되고, NF-kB가 증가하여 사이토카인인 IL-6, IL-10, TNF-a의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피부소양감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가려움증을 해결하고자, 스테로이드와 같은 항생제, 항균제, 항 히스타민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시 내성의 문제로 인해 호전되지 않거나 부작용 등이 수반되는 실정이였다. 이에 따라, 독성 및 부작용이 없고 가려움증을 해결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한편, 퀴노아는 고대 잉카제국에서 감자와 옥수수를 비롯해 3대 작물로 재배된 명아줏과 식물이다. 퀴노아(quinoa)의 어원은 '모든 곡식의 어머니'를 뜻하는 고대 잉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약 4,000년 전부터 안데스산맥 일대에서 주요 작물로 재배해 왔다. 고대인들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용되었으며 글루텐이 없어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라이신, 메타오닌, 아르기닌, 히스티딘등 9가지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이밖에도 무기질, 비타민과 오메가 3, 9등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영양소를 고루 지닌 슈퍼푸드로 각광받고 있다. 다만, 퀴노아의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능에 대한 기술은 알려진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5075호 (등록일: 2008, 12, 12)에는, 약쑥 추출물, 솔잎 오일, 전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오일 및 라벤더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소양증 완화용 식물 추출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9302호 (등록일: 2007.10.16)에는 괄루근, 계피, 당귀, 세신, 호장근 및 정향을 포함하는 복합 생약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 및 피부 소양증 개선용 피부 외용 약제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퀴노아 추출물이 TRPV1 발현 억제, PAR-2 발현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31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되거나, 초임계 추출, 초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아임계 추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퀴노아의 열매, 전초 또는 그 혼합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0.0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 가려움증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피부 가려움증은, 바람직하게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 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에 의해 발생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퀴노아 추출물이 TRPV1 발현 억제, PAR-2 발현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31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되거나, 초임계 추출, 초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아임계 추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퀴노아의 열매, 전초 또는 그 혼합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0.0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피부 가려움증은, 바람직하게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 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에 의해 발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분말, 과립, 캡슐, 주사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주사제의 경우에는 약리학적 유효량에 맞게 피부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대상에 주입하여 피부 가려움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제제 할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며,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로는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피부 가려움증 예방 및 치료제는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퀴노아 추출물은 우수한 TRPV1 발현 억제 효과, PAR-2 발현 억제 효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IL-31 발현 억제 효과를 발휘한다. 이에 따라, 퀴노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제조]
퀴노아 (곡물)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100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퀴노아 분쇄물을 100 g/L가 되도록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 후,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 하였다.
[ 실시예 2: 퀴노아 열수 추출물 제조]
퀴노아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100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퀴노아 분쇄물을 100 g/L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냉침한 후 고압멸균장치를 사용 (121℃, 15분, 1.5기압)하여 추출한 다음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고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 하였다.
[ 실시예 3: 퀴노아 헥산 추출물 제조]
퀴노아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후 100메시의 체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퀴노아 분쇄물을 100 g/L가 되도록 헥산을 첨가하여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50℃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 하였다.
[ 실험예 1: 퀴노아 추출물의 TRPV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퀴노아 추출물의 TRPV1 발현 억제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람유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퀴노아 추출물을 10, 50, 100, 200 ppm 농도로 희석하여 각각 처리하였고, TRPV1의 발현을 위하여 캡사이신을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 완충 용액을 음성 대조군으로 100 nM 캡사이신(시그마)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후 24시간 배양 후, 용균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용균(lysis)하였다. 이후 단백질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20 ㎍의 단백질을 취하여 SDS-PAGE를 진행하였다. 그 후, PVDF membrane으로 트랜스퍼(transfer) 후 anti-TRPV1을 1:1000으로 냉장에서 24시간 처리 한 다음 검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샘 플 TRPV1 발현 양 (%)
대조군 (완충용액) 100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10 ppm 캡사이신 100 nM 180.3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50 ppm 캡사이신 100 nM 153.4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100 ppm 캡사이신 100 nM 80.1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200 ppm 캡사이신 100 nM 43.5
퀴노아 열수 추출물 10 ppm 캡사이신 100 nM 203.6
퀴노아 열수 추출물 50 ppm 캡사이신 100 nM 160.7
퀴노아 열수 추출물100 ppm 캡사이신 100 nM 94.1
퀴노아 열수 추출물 200 ppm 캡사이신 100 nM 62.4
퀴노아 헥산 추출물 10 ppm 캡사이신 100 nM 179.8
퀴노아 헥산 추출물 50 ppm 캡사이신 100 nM 154.3
퀴노아 헥산 추출물 100 ppm 캡사이신 100 nM 82.4
퀴노아 헥산 추출물 200 ppm 캡사이신 100 nM 47.2
음성 대조군 (캡사이신 100 nM) 290.5
실험결과, 퀴노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TRPV1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PV1을 유도하는 캡사이신만 처리된 음성 대조군은 TRPV1 발현 양이 290.5%로 매우 높음에 반해, 퀴노아 추출물 처리 군은 TRPV1의 발현을 43.5%까지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퀴노아 열수 추출물, 퀴노아 헥산 추출물 중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의 TRPV1 발현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소양감 개선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퀴노아 추출물의 PAR-2 발현 억제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퀴노아 추출물의 PAR-2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람유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퀴노아 추출물을 10, 50, 100, 200 ppm 농도로 희석하여 각각 처리하였고, 대조군으로 완충 용액을 양성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 100 nM (시그마)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후 24시간 배양 후, 용균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용균(lysis)하였다. 이후 단백질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20 ㎍/㎖의 농도의 단백질을 취하여 SDS-PAGE를 진행하였다. PVDF membrane으로 트랜스퍼(transfer) 후 anti-PAR-2을 1:1000으로 냉장에서 24시간 처리 한 다음 검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샘 플 PAR-2 발현 양 (%)
대조군 (완충 용액) 100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10 ppm 77.3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50 ppm 47.5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100 ppm 32.1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200 ppm 24.1
퀴노아 열수 추출물 10 ppm 80.6
퀴노아 열수 추출물 50 ppm 53.1
퀴노아 열수 추출물 100 ppm 38.7
퀴노아 열수 추출물 200 ppm 30.2
퀴노아 헥산 추출물 10 ppm 78.4
퀴노아 헥산 추출물 50 ppm 49.5
퀴노아 헥산 추출물 100 ppm 35.8
퀴노아 헥산 추출물 200 ppm 26.3
양성 대조군 (덱사메타손 100 nM) 25
실험결과, 퀴노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PAR-2의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200 ppm 처리군은 양성 대조군 덱사메타손 처리군과 유사한 PAR-2 발현 억제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소양감 개선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퀴노아 추출물의 IL-3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퀴노아 추출물의 IL-31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람유래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퀴노아 추출물을 10, 50, 100, 200 ppm 농도로 희석하여 각각 처리하였고, 대조군으로 완충 용액을 양성 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 100 nM을 각각 처리하였다. 이후 24시간 배양 후, 용균 버퍼(lysis buff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용균(lysis)하였다. 이후 단백질 BCA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20 ㎍/㎖의 농도의 단백질을 취하여 SDS-PAGE를 진행하였다. PVDF membrane으로 트랜스퍼(transfer) 후 anti-IL-31을 1:1000으로 냉장에서 24시간 처리 한 다음 검출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샘 플 IL-31 발현 양 (%)
대조군 (완충 용액) 100.0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10 ppm 77.5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50 ppm 53.2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100 ppm 31.2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200 ppm 22.7
퀴노아 열수 추출물 10 ppm 86.2
퀴노아 열수 추출물 50 ppm 62.2
퀴노아 열수 추출물 100 ppm 48.1
퀴노아 열수 추출물 200 ppm 34.3
퀴노아 헥산 추출물 10 ppm 80.1
퀴노아 헥산 추출물 50 ppm 51.6
퀴노아 헥산 추출물 100 ppm 32.5
퀴노아 헥산 추출물 200 ppm 25.4
양성 대조군 (덱사메타손 100 nM) 23.5
실험결과, 퀴노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IL-31의 발현을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200 ppm 처리군은 양성 대조군 덱사메타손 처리군보다 우수한 IL-31 발현 억제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가려움증에 관여하는 싸이토카인인 IL-31의 발현을 현저히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소양감 개선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점성의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우선 하기 표 4의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하였고, (나)상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서서히 냉각하여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퀴노아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것을 비교제형예 1이라고 하였다.
원료 제형예 1 (중량%) 비교제형예 1
(중량%)
스테아릴 알콜 8 8
스테아린산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스쿠알란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아스테르 2 2
퀴노아 에탄올 추출물 5 -
프로필렌글리콜 5 5
정제수 to 100 to 100
[ 실험예 4 :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가려움증(scratches) 억제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가려움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평소 아토피 병변을 갖고 있는 피부 질환자 40명을 대상으로 20명에는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을 나머지 20명에게는 비교제형예 1을 도포 후 3시간 동안 동영상을 촬영하여 긁는 횟수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긁는 회수/h 5 50
실험결과,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을 도포한 피부 질환자는 비교제형예 1을 도포한 피부 질환자보다 피부 긁는 횟수가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퀴노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퀴노아를 분쇄한 후 70% (v/v) 에탄올을 첨가하고 환류추출하여 퀴노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캡사이신 수용체(TRPV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type 1) 발현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50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가려움증은,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 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에 의해 발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퀴노아를 분쇄한 후 70% (v/v) 에탄올을 첨가하고 환류추출하여 퀴노아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캡사이신 수용체(TRPV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type 1) 발현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퀴노아 추출물은,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50중량%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가려움증은,
    피부염, 땀띠, 짓무름, 동상, 접촉성 피부염, 건선, 유건선, 알러지, 민감성 피부질환, 피부 장벽의 염증성, 자극성 병리 및 반응에 의한 가려움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에 의해 발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111403A 2015-08-07 2015-08-07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4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03A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5-08-07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403A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5-08-07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59B1 true KR101646559B1 (ko) 2016-08-08

Family

ID=5671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403A KR101646559B1 (ko) 2015-08-07 2015-08-07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238B1 (ko) 2016-07-21 2018-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pc3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302B1 (ko) 2006-06-02 2007-10-24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75075B1 (ko) 2008-05-01 2008-12-18 하호원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KR20090092841A (ko) * 2006-12-28 2009-09-01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피부과학 용도의 퀴노아 알곡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JP2010202569A (ja) * 2009-03-03 2010-09-16 Showa Women's Univ 抗アレルギー及び抗炎症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302B1 (ko) 2006-06-02 2007-10-24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92841A (ko) * 2006-12-28 2009-09-01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피부과학 용도의 퀴노아 알곡 추출물을 포함한 조성물
KR100875075B1 (ko) 2008-05-01 2008-12-18 하호원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JP2010202569A (ja) * 2009-03-03 2010-09-16 Showa Women's Univ 抗アレルギー及び抗炎症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238B1 (ko) 2016-07-21 2018-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rpc3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056B1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JP2014015430A (ja) 深部体温上昇剤
KR20130130306A (ko) 복합 생약 추출물(gst)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1883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2107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8776B1 (ko)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9924B1 (ko) 섬초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1646559B1 (ko) 피부 건조 유래 가려움증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94115B1 (ko) 1,2,4,5-tetramethoxybenz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3073B1 (ko) 세리신, 사상자 추출물 및 겨우살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1986629B1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JP2017518335A (ja) 紅葉した大豆の葉の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20090107342A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8047B1 (ko) 복숭아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700850B1 (ko) 소맥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민면역반응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841429B1 (ko)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된 발아녹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완화 또는 피부 면역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339365B1 (ko) 골쇄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701B1 (ko) 칼시뉴린 억제제 및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642293B1 (ko) 거문도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1748A (ko) 한라봉 과육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면역억제용 조성물
KR102198355B1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