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420A -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420A
KR20210075420A KR1020190166444A KR20190166444A KR20210075420A KR 20210075420 A KR20210075420 A KR 20210075420A KR 1020190166444 A KR1020190166444 A KR 1020190166444A KR 20190166444 A KR20190166444 A KR 20190166444A KR 20210075420 A KR20210075420 A KR 2021007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composition
weight
par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찬숙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허브그린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허브그린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허브그린팜
Priority to KR1020190166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420A/ko
Publication of KR2021007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6Carthamus (distaff this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천연물을 함유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및 티트리의 복합 천연추출물을 함유하여 근육통, 관절통 등 통증과 염증의 완화에 효과가 있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쿨링로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이나 근육통, 타박상, 관절통, 염좌,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치료나 완화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ttenuating pain containing complex natural hub extracts}
본 발명은 복합 천연물을 함유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및 티트리의 복합 천연추출물을 함유하여 근육통, 관절통 등 통증완화와 관절염, 류마티스 등의 염증개선에 효과가 있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활이 복잡해지고 여러 편의시설이 발전하면서 현대인은 운동량이 현저하게 적은 상태이므로 운동부족으로 인한 다양한 질환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책상에 오래 앉아 있거나 소파에 오래 앉아 티비를 보는 등 자세가 좋지 않은 상태로 오랜 시간을 지내다보면, 노화와 더불어 각종 근육통과 관절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는데, 그 중 한 방식은 통증의 원인은 계속되지만 환자로부터 그 통증을 잠시 잊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은 많은 진통제 사용으로 통증을 잊게 한다. 이러한 진통제는 환자가 진통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는 하지만, 진통의 근본적인 원인은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통제가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것이 요구되고 이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보다 효율적인 다른 통증 완화 방법은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다. 즉, 통증의 생리학적 또는 신경전달 병원을 완화시키면 통증에 대한 감각이 감소된다.
기존의 진통제와 같은 통증완화제는 구강투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구강투여용 통증완화제는 다양한 부작용, 예컨대, 간손상, 신장손상, 위장관손상, 중독 및 체중 증가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구강투여용 통증완화제의 경우에는 혈류에 진입하기 전에 소화계를 통하여 흡수되어야 하기 때문에, 효능을 발휘하는데 다소의 시간이 필요하다. 구강투여의 지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경구 투여방법, 예컨대, 혈관내 주입 또는 근육내 주입 방식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들 방법은 편리하지 않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병원 외에서는 실시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소(topical) 투여방식, 특히 경피(transdermal) 투여 방식으로 파스나 외용연고 등을 통해 통증완화제를 투여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피 투여에 적합한 약물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발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화학제제를 사용한 경피투여용 통증완화제에 관한 개발이 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단시간에 통증완화의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피부에 자극을 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현재는 피부의 저자극성 경피 투여용 통증완화제를 개발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피부에 국소 투여하는 제제는 매우 다양하고 그 중에서 한방 천연 재료의 경우도 종류 및 이에 따른 효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한방 천연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실질적으로 기능성을 인체에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종래 천연성분을 이용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1551375호(통증 완화용 한방 조성물), 한국특허등록 제10-1961608호(말캉니 오일과 시프리올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및 한국특허공개 제10-2014-0017038호(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 외도 다양한 천연 성분을 이용한 통증완화용이나 염증완화용 조성물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 역시, 상기와 같이 통증완화나 염증완화에는 한계가 있었고, 외용제로 적용하는 경우 냄새나 사용감 등이 좋지 않은 문제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증이나 염증 치료나 완화를 위한 조성물의 개발은 아직도 개발의 여지가 많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51375호 한국특허등록 제10-1961608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4-0017038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통증완화용 조성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와는 달리 통증완화와 염증완화 효과를 가지면서 사용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의 새로운 복합 천연 추출물을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복합 천연 추출물로 구성하여 통증 및 염증 완화 등에 효과가 있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복합 천연 추출물로 구성되어 근육통이나 관절염 등에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로즈마리 18-30중량부, 유칼립투스 5-15중량부 및 티트리 5-15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v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통증과 염증완화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통증완화용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비즈왁스, 아보카도, 잇꽃, 몬타노브, 강황, 캐모마일, 라벤더, 병풀, 알란토인, 금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화장료 조성에서 천연성분으로 사용되어 왔던 특정성분을 선택하여 복합 천연추출물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특정성분의 복합사용으로 인해 통증완화 및 염증완화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증 및 염증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며, 근육통, 타박상, 관절통, 염좌, 관절염, 류마티스, 특히 근육통과 관절염 등에 탁월한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증완화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며, 약학적 조성물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통증완화용 조성물로서, 복합 천연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기존에 화장료나 이와 유사한 기능성분으로 사용되었던 성분 중에서도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혼합하는 경우 상승효과로 인하여 예측할 수 없었던 놀라운 효과가 있음을 새롭게 알아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된 복합 천연추출물은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및 티트리의 혼합 성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3가지 성분의 상승효과는 기존의 성분의 혼합물들과는 달리 매우 놀라운 통증완화 및 염증 개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로즈마리 18-30중량부에 유칼립투스 5-15중량부 및 티트리 5-15중량부로 이루어진 함량 범위에서 특히 현저한 상승효과를 발휘한다.
만일, 이러한 3가지 복합 천연추출물 중에서 그 특정 성분의 함량이 적거나 많게 되면 현저한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로즈마리에 대해 유칼립투스를 너무 소량 사용하면, 통증완화 효과가 저하되며,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너무 과량 사용되어도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이 너무 소량 함유되어 통증완화 및 염증완화 효과에 대한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성분 중에서 통증 완화나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3가지의 복합 천연 추출물은 통증이나 염증 완화에 특별한 상승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순하게 3가지 천연 성분을 혼합하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성분의 선택적 혼합으로 인해 얻어지는 효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의 복합 천연추출물은 본질적으로 특히 근육통, 염좌, 타박상, 관절통, 관절염, 류마티스 등에 효과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특정 선택에 의해 사용되는 로즈마리는 100g당 영양소로서 칼슘 1,280mg, 철분 32,175mg, 마그네슘 220mg, 칼륨 955mg, 비타민C 61.2mg, 티아민 0.155mg, 리보플라빈 0.426mg, 아연 3.23mg, 나이아신 1mg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에도, 로즈마리에는 약리성분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바, Carnosic acid (항산화성분) Rosmaricine (진통효과), Rosemarrinic acid (항염증) 등도 함유되어 있다.
로즈마리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고, 강력한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 기능은 올리브오일의 비타민E보다 좀 더 강력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로즈마리에 함유된 오일성분이 혈관을 넓혀주기 때문에 혈액순환 활성화에 좋아서 수족냉증 같은 말초혈관계나 저혈압 같은 순환 관련 증상에 좋다. 그리고 로즈마린산이 대장염 치료나 심장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고, 피부 흡수가 좋아서 피부탄력과 피부노화방지, 피부재생효과,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 등으로 피부 건강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살균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로즈마리는 항균, 살균 작용이 뛰어나며 보습 효과에도 좋고, 피부를 부드럽게 진정시켜주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며, 특유의 신선한 향이 뇌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어 향신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칼립투스는 강력한 살균작용으로 기관지 및 호흡기 내 세균을 없애주고 염증을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작용을 함으로써 비염이나 기관지염 등의 기관지 및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유칼립투스 오일을 활용하는 아로마테라피는 호흡기 질환, 통증 등을 치료하는데 크게 효과가 있다.
유칼립투스의 뛰어난 소염작용을 하는데, 염증이 관절 내 침착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관절염을 개선하는데도 효과적이고, 특히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으로 근육통, 관절통, 염좌 등의 통증 완화에도 큰 도움을 준다.
또한, 유칼립투스는 진정작용에 강력한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예민해진 신경을 이완시켜주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실제로 실내의 냄새나 악취를 제거하는데도 효과적이므로, 유칼립투스를 방향제로 사용하여 옷장이나 신발장 등에 사용하시면 냄새 제거 및 살균효과가 크다.
그 외에도, 유칼립투스는 살균작용도 강력하여 벌레에 물려 발생하는 독을 중화시켜 상처를 치료하는데도 효과적이므로, 모기나 벌레에 물릴 때 바르면 해충 퇴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유칼립투스는 항균작용이 강력해 피부의 재생을 도와 발진이나 각종 피부트러블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며 기미나 여드름을 완화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티트리(Tea Tree)는 오일의 형태로 증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항균성과 항진균성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피부창상의 치료제로서 열대지방 군인에게 지급되어 상처를 치료하는데도 쓰였다고 한다.
티트리에는 항산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실제로 항균과 소독효능이 뛰어나서 티트리 오일을 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티트리의 항균성, 항진균성이라는 효능 때문에 상처 소독제, 여드름 진정제, 무좀 치료제, 호흡기 질환 치료제 등 약제나 화장품의 형태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극성이 강하기 때문에 원액을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도, 티트리는 피부의 여드름, 특히 화농성 여드름에 좋으며, 지성 건성 피부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습진의 경우 우수한 치료 효과가 있다. 이는 항염, 항균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티트리를 포함하는 복합 천연추출물은 잎이나 꽃, 열매, 줄기, 뿌리 등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오일, 엑기스, 파우더, 액제 등 여러 형태, 또는 이들의 혼합물 형태의 추출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은 액제(水) 또는 오일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는 분말형태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통증완화용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비즈왁스, 아보카도, 잇꽃, 몬타노브, 강황, 캐모마일, 라벤더, 병풀, 알란토인, 금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로 사용될 수 있는 천연성분들은 1-4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성분을 각각 0.1-1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비즈왁스 1-10중량부, 아보카도 1-10중량부, 잇꽃 1-10중량부, 몬타노브 1-10중량부를 함유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강황, 캐모마일, 라벤더, 병풀, 알란토인, 금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각각 0.1-3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천연추출물의 경우 통증완화 및 염증완화용 조성물로서는 피부 외용제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료 조성물이나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통증과 염증완화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시 시원함과 청량감을 주기 위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쿨링 로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복합 천연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1-1,000mg/ml로 피부에 수회 도포하여 화장료나 약학적 조성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피부에 적용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1-300mg/ml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0mg/ml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용 쿨링로션은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예컨대 50mg/ml, 100mg/ml, 200mg/ml, 300mg/ml로 등의 다양한 함량으로 제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컨대 통증완화 및 염증완화용 쿨링로션 형태로써, 바람직하게는 1회 400mg/ml, 500mg/ml 또는 1,000mg/ml로 하루 수회 또는 1-3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통증완화용 조성물이 상기의 함량 범위의 하한치를 벗어나면 그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되며, 상한치를 벗어나면 피부 적용을 위한 조성물이나 제형으로 제조하기 곤란하거나, 첨가량에 비하여 기대 효과가 크게 향상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통증개선, 피부트러블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지는 화장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근육통, 타박상, 관절통, 염좌, 관절염, 류마티스 등을 완화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피부연고제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비교예 1-3
쿨링로션 형태의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구성하기 위해 다음 표 1과 같은 각 성분을 해당 함량으로 혼합하여 상온에서 충분하게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각 사용성분의 함량은 중량부이다.
실시예 1 2 3 4 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로즈마리 20 20 20 20 20 20 20 -
유칼립투스 10 15 5 10 10 20 - 20
티트리 10 5 15 10 10 - 20 20
비즈왁스 - - - 7 7 - 5 7
잇꽃오일 - - - 7 7 - 5 7
아보카도오일 - - - 5 5 - - 5
몬타노브왁스 - - - 5 5 - - 5
강황 - - - - 0.2 - - -
캐모마일 - - - - 0.5 - - -
병풀 - - - - 1 - - -
라벤더 - - - - 0.5 - - -
금은화 - - - - 0.5 - - -
알란토인 - - - - 0.2 - - -
실험예 1 ; NO 저해 효과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조성물 시료들을 대상으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염증성 인자인 NO에 대한 저해효과를 관찰하였다.
RAW 264.7 세포주에 LPS와 시료(각 조성물을 0.5% 메틸셀룰로오스 용액에 녹여서 사용함)를 각각 50 ㎍/㎖, 100 ㎍/㎖로, 동시에 처리하여 20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 100 ㎕를 96웰 평판에 취하고, 그리즈 시약(Griess reagent) 50 ㎕ 씩을 가하여 1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을 시킨 다음 ELISA 리더(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사용 시료 함량(㎍/ml) NO 저해율(%)
실시예 1 50 30.2
100 34.8
실시에 4 50 32.6
100 36.7
비교예 1 50 16.6
100 19.4
비교예 3 50 16.9
100 20.2
상기 실험결과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NO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효과는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험예 2 : 통증완화 효과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시료에 대해 사용 상태에서의 물성 및 선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어깨와 목 등의 근육 통증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어깨 근육 통증 호소자 7명, 목 주변 통증 호소자 8명, 무릎 관절 통증 호소자 4명의 피험자 19명에게 5일간 1일 3회 사용하게 하고 그 품질을 각 항목에 따라 수치화하여 기록하도록 하였다.
평가 점수는 1-10으로 하고, 품질이 우수한 것은 10, 품질이 나쁜 것을 1로 평가하고, 평가점수는 피험자의 모든 평가점수를 합하고 1인 평균 수치를 구한 후 계산된 수치를 반올림 또는 반내림하여 최종 결과로 하고 그 최종 측정 결과를 다음 표 3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끈적임 시원함(쿨링감) 통증개선 사용감 선호도
1 9 10 10 10 10
2 9 10 9 10 10
3 9 10 9 10 10
4 9 10 10 10 10
5 9 10 10 10 10
비교예 1 9 7 6 6 6
비교예 2 9 6 6 6 6
비교예 3 9 8 7 6 6
실험예 3 ; 쿨링로션 물성시험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을 각각 쿨링로션으로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각 항목별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점도계, pH, 인큐베이터 등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시료들을 용기에 넣어 측정시료에 맞는 기기를 사용함으로서 물성 적합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비교의 편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대상으로 정하여 실시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물성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 점도계측정방법 (Brookfield Dial Reading Viscometer & Helipath Stand, LVT, RVT, D-220)
점도계의 수평계를 확인하고, 측정시료에 맞는 침을 회전축에 장착한다. 점도계의 고정 된 볼트를 돌려 시료와 헤드의 적당한 위치를 맞춘 다음, 헤드를 내려 측정시료가 담긴 용기에 잠기게 한다.
그 다음으로, 점도계 위쪽에 있는 rpm을 조절하여 원하는 rpm으로 조정하고 나서, 스위치를 켜고 점도를 측정하였다.
(2) pH 측정방법 (Trans PH meter, TR.BP3001)
pH의 스위치를 켜 잠시 기다린 다음, 전극을 증류수로 씻은 다음 잘 흡수되는 종이나 티슈로 물기를 제거한다. 그 후 pH의 보정버튼을 누른 후 원하는 시료액에 전극을 담그고 시료의 pH를 측정하였다.
(3) 인큐베이터 측정방법 (Sanyo Incubator 123L, MIR-154/Sanyo Incubator 153L, MIR-262)
인큐베이터 전원을 켜고 안정성 테스트를 위한 설정온도를 40~45℃로 맞춘 다음, 인큐베이터에 시료가 담긴 투명한 용기를 넣고 5일 동안 방치한다.
시간 경과 후에 각 시료에 대한 성상의 분리 및 향취 등 변질의 유무를 관찰하고 성상을 측정한다.
시료 pH 점도(cP) 안정성(분리/변질 유무)
실시예1 5.32 978
실시예2 5.21 987
실시예3 5.46 984
실시예4 5.30 997
실시예5 5.28 1,001
상기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 물성
pH 적합 범위는 pH 3~9이다.
사람의 피부는 본디 약산성으로 pH 5~6 범위가 자극이 적으므로 가장 적합하다. 그러므로 pH 5~6의 범위를 자체기준으로 삼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시료는 모두 pH 5.10 ± 1.0 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확인했다.
(2) 점도 물성
제품을 사용할 때 불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품을 서서 사용하였을 때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자체기준을 삼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점도(cP)는 1,000 ± 10 의 범위에 들어가고, 서서 사용할 때 흘러내리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3) 안정성(침전, 분리유무)
육안으로 성상을 확인했을 때, 침전 및 분리되었다는 것은 열악한 환경에서 성상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뜻하고 침전 및 분리가 되지 않았다는 것은 열악한 환경에서 성상이 안정하다는 것을 뜻한다.
인큐베이터에 40~45℃의 환경에서 5~7일 동안 그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시료 모두 침전 및 분리가 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증완화 및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실시예에서 사용한 3가지 성분의 상승효과로 인해 비교예들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9)

  1. 로즈마리 18-30중량부, 유칼립투스 5-15중량부 및 티트리 5-15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비즈왁스, 아보카도, 잇꽃, 몬타노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비즈왁스 1-10중량부, 아보카도 1-10중량부, 잇꽃 1-10중량부 및 몬타노브 1-10중량부를 함유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4.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강황, 캐모마일, 라벤더, 병풀, 알란토인, 금은화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을 함유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5. 로즈마리 18-30중량부, 유칼립투스 5-15중량부 및 티트리 5-15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v증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통증과 염증완화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근육통, 타박상, 관절통, 염좌, 관절염 또는 류마티스의 완화를 위한 통증과 염증완화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쿨링로션 형태의 피부연고제인 통증과 염증완화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로즈마리 18-30중량부, 유칼립투스 5-15중량부 및 티트리 5-15중량부로 이루어진 복합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v증완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5에 있어서, 쿨링로션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66444A 2019-12-13 2019-12-13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KR20210075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444A KR20210075420A (ko) 2019-12-13 2019-12-13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444A KR20210075420A (ko) 2019-12-13 2019-12-13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420A true KR20210075420A (ko) 2021-06-23

Family

ID=7659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444A KR20210075420A (ko) 2019-12-13 2019-12-13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5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433B1 (ko) 2022-12-12 2023-07-10 임주이 카나우바왁스를 함유하는 통증케어 팩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038A (ko) 2012-07-23 2014-02-11 김경숙 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KR101551375B1 (ko) 2013-11-26 2015-09-08 장진택 통증 완화용 한방 조성물
KR101961608B1 (ko) 2019-01-31 2019-03-22 김유수 말캉니 오일과 시프리올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7038A (ko) 2012-07-23 2014-02-11 김경숙 갈대 숯, 갈대 초액 및 황토를 포함하는 건강보조 용품
KR101551375B1 (ko) 2013-11-26 2015-09-08 장진택 통증 완화용 한방 조성물
KR101961608B1 (ko) 2019-01-31 2019-03-22 김유수 말캉니 오일과 시프리올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433B1 (ko) 2022-12-12 2023-07-10 임주이 카나우바왁스를 함유하는 통증케어 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iha et al. A review of the bioactive components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Lavandula species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08599A1 (en) Herbal Vaginal Compositions
RU2383356C1 (ru) Наруж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 термоэффектом (варианты)
US11564963B2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large-scale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Sharma et al. Health benefits of lavender (Lavandula angustifolia)
CN111759885A (zh) 一种苦参组合物、苦参凝胶及其制备方法
KR100875075B1 (ko)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75420A (ko)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CN106620633A (zh) 肿瘤患者用皮肤修护乳及其制作方法
EP4153321A1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large-scale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CN115518127B (zh) 一种抑菌抗炎消肿止痒乳膏及其制备方法
KR20070050614A (ko) 사자발쑥 정유를 함유하는 여성용 아로마 오일 조성물
KR100561271B1 (ko) 약쑥을 모체로 한 한방의 고농축 액상물질과 이의 스프레이/에어로졸 용기 가공체
Bogdanov Short history of honey in medicine
RU2811227C1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рук
CN107469038A (zh) 一种治疗脚气的乳膏及其制备方法
CN111840448B (zh) 防皲裂复方中药脂质体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06105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기
JP6590233B1 (ja) 皮膚疾患治療剤及びその製造方法
Axe et al. The Beginner's Guide to Essential Oils: Ancient Medicine
KR20210075419A (ko)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피부미용 증진용 조성물
Engels Frankincense.
Khalsa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