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021A -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021A
KR20240005021A KR1020237042068A KR20237042068A KR20240005021A KR 20240005021 A KR20240005021 A KR 20240005021A KR 1020237042068 A KR1020237042068 A KR 1020237042068A KR 20237042068 A KR20237042068 A KR 20237042068A KR 20240005021 A KR20240005021 A KR 20240005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manuka
topical
composition
palmaros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길모어
스튜어트 에이치 카인스
수키 하딩
Original Assignee
마누카 테라퓨틱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누카 테라퓨틱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마누카 테라퓨틱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40005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0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58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o-phenolic cannabinoids, e.g. cannabidiol, cannabigerolic acid, cannabichromene or tetrahydrocannab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β-triketones),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포고스템몬 카블린(Pogostemon cablin, 패츌리 오일(patchouli oil)) 중 적어도 하나 및 담체 조성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본 발명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의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질환, 질병 또는 부상이 피부 질환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서, 열상, 균열, 화상, 물집 등과 같은 물리적 상해나 외상, 질병, 알레르기 반응, 건성, 여드름 등과 같은 물리적 장애,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등과 같은 미생물 또는 다른 원인들이 있다. 손상된 피부, 특히 열린 상처 또는 손상된 피부 장벽을 초래하며, 이는 미생물 감염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는, 몸의 자연 치유 능력을 저해하거나 방해할 수 있다. 피부 치유를 보호하거나 촉진하도록 설계된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해 많은 선택과 접근법이 사용되었다.
본 출원의 양수인(출원인)에게 양도된 PCT 공개출원 제WO 2021/024211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법은 상기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Leptospermum scoparium; 마누카, Manuka) 오일 및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흑씨유) 및 담체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이 접근법이 유익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반면, 상술된 조합은 유용성 및 처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거부 가능한 냄새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치유를 보호하거나 촉진하도록 설계되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개선된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본 기술 분야에서 존재한다.
본 개시는, 농창, 피부와 상처 감염, 습진 또는 건선 등과 같은 건조한 피부 상태 등을 포함하는 고름 딱지증(이에 국한되지 않고)과 관련된 다양한 피부 감염 및 피부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항균, 항염증 및/또는 다른 상처 치유 특성을 가진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은, β-트리케톤(β-triketones)과 같은 전체 오일 또는 성분의 형태인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 마누카 오일), 심보포곤 마티니유(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및 담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아래에 기술된 것과 같이,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로부터 추출된 마누카 오일 또는 그 성분의 조합(특히, β-triketones)은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화농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및 메티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과 같은, 농가진(impetigo)을 유발하는 것으로 인정된, 그람양성균(Gram positive bacterium)에 대해 높은 유효성을 입증하는 상승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염증 감소 및/또는 다른 미생물 감염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거나, 손상된 영역의 치유율을 개선하기 위해 손상된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 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과 같은 이의 성분), 적어도 하나의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CBD 또는 칸나비디올(cannabidiol, 예를 들어, CBD 또는 정제된 CBD 분리물를 포함하는 천연 오일), 또는 포고스템몬 카블린 (Pogostemon cablin, 패츌리 오일(patchouli oil)) 및 담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추가로 선택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다른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오일 또는 활성제를 독립적으로 포함하는 다른 국소 조성물과 비교할 때, 마누카 오일 및 CBD 오일 또는 분리물의 혼합물, 팔마로사 오일, 패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지속적인 항균 활성, 가속된 상처 치유, 우수한 항염 작용 또는 모든 세 가지 효과를 설명하는 상승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에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에 적용되어, 염증 감소 및/또는 미생물 성장을 치료 및/또는 억제하고, 상기 손상 영역의 치유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선 또는 습진, 곰팡이, 종기, 농양, 상처 감염, 단순포진(cold sores) 또는 대상포진(shingles)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무좀과 같은 곰팡이 감염 또는 아구창(thrush)와 같은 효모 감염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은, 국소 밤, 국소 연고, 국소 겔, 국소 용액 또는 국소 스프레이 형태일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과 같은 이의 성분의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분리물 또는 포고스템몬 카블린 오일(Pogostemon cablin, 패츌리 오일),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및 담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과 같은 이의 성분) 및 심보포곤 마르티니유(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연고를 포함한다. 상기 마누카 오일(또는 β-트리케톤 성분)과 팔마로사 오일은 치료량, 예를 들어, 농가진(impetigo) 치료에 효과적인 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습진 또는 건선 등의 피부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국소 조성물은 국소 친수성 연고 또는 크림의 형태일 수 있다.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이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과 같은 성분), 적어도 하나의 CBD 오일, 심보포곤 마르티니 오일(팔마로사 오일) 또는 포고스템몬 캐빈 오일(패츌리 오일), 및 담체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또는 마크로골(macrogol), 알란토인, 알로에, 디소듐 EDTA, 페녹시에탄올, 데카디엔 크로스 폴리머(decadiene cross polymer),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백색 연질 파라핀, 프로필렌 글리콜, 락트산, 글리세롤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농가진과 같은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추출된 β-트리케톤과 같은 성분), 심보포곤 마티니유(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및 담체 조성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과 같은 성분)과 팔마로사 오일은 치료량, 예를 들어, 농가진(impetigo) 치료에 효과적인 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에 대한 팔마로사 오일의 비율로서 약 3:1 내지 약 1:3, 약 2:1 내지 약 1:2의 또는 약 1:1을 가질 수 있다. 담체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EG)또는 천연 성분 또는 천연 유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농가진, 종기, 다래끼, 농양, 모낭염, 봉와직염, 옹종, 종기, 상처 감염, 바이러스 감염, 진균 감염 및 효모 감염과 같은 미생물 피부 감염된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항균 국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이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과 같은 성분) 및 적어도 하나의 심보포곤 마르티니유(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분리물, 포고스템몬 카블린 오일(패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및 담체 조성물을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상태를 포함하는 영역에 국소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그의 성분(예를 들면 β-트리케톤) 및 심보포곤 마티니유(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분리물), 포고스테몬 캐실유 (패치쿨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및 담체 조성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국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또는 이의 성분(예를들면 β-트리케톤), 심보포곤 마르티니 오일(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분리물,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패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및 담체 조성물에 포함된 다른 성분들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Manuka 오일)또는 이의 성분(β-트리케톤),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α-비스아보롤(β-bisabolol),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륨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과 같은 그의 성분), 심보포곤 마티니유(팔마로사 오일), CBD(오일 또는 분리물), 포고스테몬 카블린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물, 담체 조성물,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α-비스아보롤(β-bisabolol),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약은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구현을 기술하려는 것이 아니다. 후술하는 설명은 예시적인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본 출원의 전체에 걸쳐,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예들의 목록을 통해 안내가 제공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개시된 리스트는 대표 그룹으로만 역할하며, 독점적인 리스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ECMT-154 PEG 연고 및 참조에 대한 항균 데이터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ECMT-154 국소 조성물 및 참조의 여드름 균(C. acnes) 및 표피포도상구균(S. epidermidis)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는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오일의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0.2% MBS β-트리케톤+0.2% 팔마로사오일의 피부 1시간 치료를 위한 피부 장벽 회복에 관한 연구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0.2% MBS β-트리케톤+0.2% 파츌리 오일의 1시간 처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결과를 요약한 표와 함께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에 대한 GCM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팔마로사 오일 및 혼합된 조성물에 대한 GCMS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글리콜 담체 베이스에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 대한 HRPT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용어 정의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영어 관사 "a", "an","the", "at least one " 및 " one or more"는 혼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a "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조성물이 " 하나 이상의"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CBD 오일"이라는 용어는 오일(예를 들어, 칸나비디올 (CBD)함유 천연 식물 오일)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CBD 오일 은 대마초 식물(Cannabis plant, 예를 들어, 대마초 오일, 대마 오일, 또는 칸나바케아이과(Cannabaceae family)의 오일)의 필수 오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일은 오일로부터 특정 칸나비노이드를 제거하거나 CBD의 농도, 예를 들어, CBD 분리물과 같이 CBD의 균일도 또는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CBD 오일은 CBD를 함유하는 천연 식물 기반 오일과 같은 다른 오일 생성물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은 코코넛 오일, 햄프씨드 오일(hemp seed oil, 호호바 오일(jojoba oil), 로세힙 오일(rosehip oil) 또는 CBD를 위한 담체로서 작용하는 다른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성(consists substantially of)"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95 중량%(wt.%)의 대표 물질이 해당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천연 또는 채소 물질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담체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적어도 95 wt.%가 천연 또는 채소 물질로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구성(consists essentially of)"라는 용어는, 상기 각 물질은 기재된 구성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지만, 상기 물질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오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료 목록으로 "본질적으로 구성된 조성물"은 0.5 wt.%미만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포함(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이들 용어가 설명 및 청구항에 나타난 여기서 제한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식물 오일(plant oil)" 또는 "시드 오일(seed oil)"은 천연, 식물 기반 오일'을 의미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그러한 오일은 증기 증류, 냉프레스 공정 또는 CO2 추출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이러한 오일을 생산하는 방법(예를 들어, 증기 증류 대 냉간 프레스)dms 상기 조성의 분장 및 상기 오일의 물리적 및 의약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부형제(excipient)"는 혼합물 또는 조성물의 성분 또는 성분을 의미한다.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부형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혼합물의 활성, 비활성, 또는 불활성 성분 또는 성분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혼합물(mixture) " 또는 "혼합(mixing)"은 둘 이상의 구성 요소들을 갖는 물리적 혼합물이나 물리적으로 혼합(예를 들어, 블렌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혼합물은 에멀젼, 이종의 혼합물, 및 균질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천연(natural)"은, 에센셜 오일, 에센셜 오일구성 성분 또는 식물, 곤충, 또는 동물 기반 소스로서 합성 또는 석유 기반 소스와는 반대의 신재생 소스로부터 유래된 부형제와 같은 생체 활성 성분을 기술한다, 예를 들면, "천연 오일 ", "천연 왁스" 또는 "천연 추출물"은 오일, 왁스, 추출물 및 식물, 곤충(예를 들면, 벌), 또는 다른 동물로부터 유래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활성 성분 또는 부형제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추출 과정을 거친 것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천연"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센셜 오일은 통상적으로 증류 과정을 통해 식물로부터 추출된다. 에센셜 오일은, 오일을 분리시키고 정화하기 위해 처리가 발생하였음에도 여전히 "천연"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preferred) " 및 " 바람직하게(preferably)"는 특정 상황 하에서 특별한 이익을 가질 수 있는 실시예를 지칭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도, 동일하거나 다른 상황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은, 다른 실시예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상기 개시의 범위로부터 다른 실시예를 배제하려는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국소 조성물"이란 환자의 피부에 적용되도록 설계된 조성물을 의미하며, 내복용 또는 사용을 의도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성물은 전달 시스템(예를 들어, 리포좀 캡슐화 시스템 또는 다른 나노 물질), 경피 부형제 (예를 들어, 표피의 층을 관통하거나 통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상태 또는 상처(예를 들어, 감염, 열상, 찰과상, 발진, 건조, 진단된 피부 상태, 염증, 외과 절개 등)를 포함하는 피부의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밤, 크림, 겔, 로션, 연고, 용액, 스프레이,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국소 조성물은 환자의 피부에 직접 적용(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밤 직접 적용)하거나, 환자의 상기 피부에 간접적으로 적용(예를 들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상처 드레싱의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하한으로 이루어진 수치 범위의 정류는 그 범위 내에 포함된 모든 숫자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1 내지 5는 1, 1.5, 2, 2.75, 3, 3.80, 4, 5, 등 포함). 나아가, 범위의 개시는 더 넓은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서브-범위들의 개시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1 내지 5는 1 내지 4,1.5 내지 4.5,4 내지 5 등).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다양한 피부 상태(예를 들어, 농가진, 습진, 건선, 염증성 질환, 종기(boil), 성체, 농양, 모낭염, 섬유염, 옹종(carbuncles), 절종(furuncles), 상처 감염, 바이러스 감염, 곰팡이 감염 및 효모 감염)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열상, 질병, 독소 및 방사선에 대한 노출, 면역 반응, 상해, 의료 처치,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효모 및 기생충과 같은 미생물, 외상 등에 의한 손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박테리아 피부 상태인 농가진의 치료적 치료를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농가진은, 흔하고 전염성이 높은 피부 감염이며 주로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발생한다. "school sores"이라고도 불리는 농가진(impetigo)는 보통 사람의 얼굴, 특히 사람의 코 및 입 주위, 손과 발에 빨간색으로 나타난다. 농가진의 일반적인 증상은, 파열되어 궤양 위에 꿀빛 딱지를 형성할 수 있는 적색 유체 충전된 궤양을 포함한다. 궤양은, 전형적으로 코 및 입 주위에 발생하지만, 이는, 손가락, 의류, 수건 등을 통한 접촉 전달을 통해 신체의 다른 영역들로 퍼질 수 있다,
물집고름딱지증(bullous impetigo)라 일컬어지는, 농가진 질환의 일반적이지 않은 형태는 유아 및 어린이의 엉덩이에서 발생하는 큰 수포(블리스터 ;blister)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농창(에티마, ecthyma)라고 불리는 또 다른 심각한 형태의 농가진은 피부 조직에 더 깊게 침투하고, 궤양(ulcers)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고통스러운 수액으로 채워진 욕창(sore)을 일으킨다.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다른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인간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맥락에서 기술되는 반면, 적용 가능한 경우, 수의학 등의 사용되는 것과 같이 털을 포함한 다른 포유류의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피부 병리학은 감염성 및 염증성을 모두를 가진다. 상기 감염성은, 비록 알려진 예외가 있지만, 순수하게 박테리아나 순수한 바이러스가 아닌 혼합 감염인 경우가 많지만, 강력한 전체 항균 데이터와 강한 항염 데이터를 가지는 조성물은 다양한 효능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천연 생체 활성제를 결합시키는 것은 양 성분 모두에서 최적화된 효능을 가진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주카 오일 또는 그의 성분, 특히 β-트리케톤), 심보포곤 마르티니(팔마로사 오일), CBD(오일 또는 분리물), 또는 포고스템몬 카실오일(파츌리 오일) 및 담체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독특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국소 조성물은 적어도 마포카 오일 또는 그의 성분 (특히 β-트리케톤)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α-비스아보롤(α-bisabolol),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마누카 오일 또는 그의 성분, 특히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분리물, 패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농가진, 습진, 건선,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성 피부 감염 또는 여드름 등과 같은 다양한 국소 피부 상태를 치료할 때, 상승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주카 오일 또는 그의 성분, 특히 β-트리케톤)이,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병풀 추출물(Centella asiatica, 병풀 추출물), β-카리오필렌,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또는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와 함께 사용될 경우 상승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추가로, 농가진 및 종기와 같은 박테리아 감염, 단순포진(cold sores) 또는 대상포진(shingles)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무좀과 같은 곰팡이 감염, 아구창와 같은 효모 감염 및 상처 감염과 같은 피부 감염을 치료할 때, 개시된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기반 조성물에서 팔마로사오일, 패츌리 오일 또는 CBD 오일의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경우, 마누카 오일만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과 비교하여, 상기 항균 활성 및/또는 유효성을 증가시키는 추가 상승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추가 상승적 항균 활성은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기반 조성물에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α-비스아보롤(α-bisabolol),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또는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이 포함될 경우에 달성될 수 있다. 리포좀과 같은 나노 전달 시스템의 사용은 이러한 효과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아래에 입증된 바와 같이, 마르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은 농가진의 치료에 예외적으로 유익하고 효과적인 입증된다. 팔마로사 오일 또는 파츌리 오일은 습진 또는 건선과 같은 염증성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마누카 오일 (또는 Manaka 오일 β-트리케톤)-기반 조성물과 혼합시,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어, PEG 300, PEG 3350 등), 알란토인, 알로에, 디소듐 EDTA, 페녹시에탄올, 데카디엔 크로스 폴리머, 트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릴 알코올, 백색 소프트 파라핀, 프로필렌 글리콜, 락트산, 글리세롤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연고 또는 크림으로 조제될 때 치료 조합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국소 조성물(국소 밤, topical balm)의 물리적 특성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에틸헥실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을 포함함으로써, 수화 및 피부 치유 조건을 동시에 촉진하면서상기 개시된 오일을 사용자의 피부에 대해 상기 조성물 내에 유지시키는 것에 도움이 된다.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다양한 피부 상태에 대한치유를 강화하는 보호 장벽 뿐만 아니라 상기 국소 조성물의 촉각 특성 및 착용가능성 속성을 강화시키는 보호 장벽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이들의 성분(특히, β-트리케톤)을 포함한다. 마누카 오일은 예를 들어, 증기 증류 공정을 이용하여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식물의 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은 뉴질랜드의 마누카 트리에 주어진 식물 성명이다. 뉴질랜드에서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즉 붉은색-중심화를 갖는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변종 인카넘(Leptospermum scoparium var. incanum) 및 흰꼿을 갖는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변종 스코파리움(Leptospermum scoparium var. scoparium)으로 두 종속 분류군이 있다,
때때로 마누카 나무를 뉴질랜드 티트리라 칭하는 동안, 마누카 나무에서 추출한 오일은 "티트리 오일"과 혼동되지 않아야 한다. 종래 티트리 오일은, 호주에서 흔히 알려진 멜라루카 알테르니폴리아(Melaleuca alternifolia) 삭물로추터 유래한다.
멜라루카 알테르니포니아 및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은 모두 티트리로 흔히 알려진 도금양과(myrtle family, Myrtaceae)에 속하지만, 각각의부터 추출된 오일은 비교적 다른 성질 및 완전히 다른 화학 조성물을 가진다.
마누카 오일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s), 세스퀴터펜(sesquiterpene), 및 β-트리케톤(β-triketones)을 포함하는 3개의 주요 그룹을 포함한다. 모노테르펜은 낮은 레벨 (전형적으로 5% 미만)에 존재하며, 예를 들어α및β 피넨(α- 및 β -pinene) 및 미르센(myrcene)을 포함할 수 있다. 세스퀴터펜은 지배적(전형적으로 60%이상)이며, 예를들어, 트랜스-칼라메넨(trans-calamenene), δ-카디넨, 카디나-1, 4-디엔,α-코페엔 α-및 β-셀리넨, 아로마덴드렌, 및β-카리오필렌를 포함할 수 있다. β-트리케톤은 예를 들어, 플라미논(flavesone), 이소-렙토스페르몬(iso-leptospermone), 렙토스퍼몬(leptospermone), 및 그랜디플로론(grandiflorone)을 포함한다. 특정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β-트리케톤은, 높은 β-트리케톤을 가진 마누카 오일이 팔마로사 오일 및/또는 파쵸ㄹ리 오일, 및/또는 CBD (오일 또는 분리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혼합될 경우, β-트리케톤은 마누카 오일의 예외적인 항균 특성에 기여하고, 이들 특성의 상승 작용이 대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상승 효과는,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α-비스아보롤(α-bisabolol),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또는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과 같은 다른 천연 생체 활성제와 결합하여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마누카 오일(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조성물은 화학적 구조식의 화학형에 따라 종속적이다. 뉴질랜드 마누카의 10개 이상의 화학형들이 확인되었다. 마누카잎에서 추출한 마누카 오일에 포함된 β-트리케톤의 양은 마누카 나무가 수확되는 뉴질랜드의 지역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의 이스트 케이프(East Cape) 지역에서 수확된 마누카 나무는, 높은 트리케톤 화학형으로 분류되고, 다른 임의의 영역에 비해 최고 수준의β-트리케톤을 함유한다, 이는, 아마도 이스트 케이프 지역의 분리된 위치, 온도, 습도, 강우량, 광도의 유전적, UV 방사선 레벨, 고도, 토양 및 영양 조건, 계절성, 일주기 사이클 등과 같은 것 등과 같은 후생적 및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15 중량% 미만이고, 가장 흔하게 5 중량% 미만의 β-트리케톤 함량인 뉴질랜드의 다른 지역에서 수학된 마누카 나무와 비교할 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뉴질랜드의 이스트 케이프 지역을 성장시킨 마누카 나무에서 추출한 마누카 잎 오일의β-트리케톤의 농도는 5 중량%(wt. %)보다 클 수 있으며, 종종 20 중량%를 초과하거나, 그리고 몇몇 예에서 20 중량% 초과할 수 있다. 이스트카프 마누카 오일의 높은 치료 효과는 이러한 오일의 높은β-트리케톤 수준에 기인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에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비교적 높은 농도의β-트리케톤을 갖는 마누카 오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마누카 오일은 적어도 10 중량%의 β-트리케톤, 적어도 20 중량%의 β-트리케톤, 적어도 30 중량%의 β-트리케톤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중량%의 β-트리케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순차 증기 증류 공정은 개시된 국소 조성물에 사용되는 순수β-트리케톤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뉴질랜드의 이스트 케이프(East Cape) 지역에서 수확된 마누카 트리로부터 마누카 오일을 소싱하는 것을통하여, 추출된 오일에서 높은 농도의 β-트리케톤 및 이러한 β-트리케톤 물질의 독특한 조성을 갖고, 마찬가지로 추출된 오일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이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조성은 이스트 케이프에서 소싱된 마누카 오일의 우수한 치료 효과를 담당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국소 조성물에 포함된 마누카 오일의 양은 국소 조성물에 존재하는β-트리케톤의 총량을 기초로 특징화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 및 치료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국소 조성물에 과도한 양의 마누카 오일을 포함하지 않고, 최종 조제에서 충분한 양의β-트리케톤을 얻기 위해, 상기 마누카 오일은 바람직하게, 뉴질랜드의 이스트 케이프(East Cape) 지역에서 공급되어 높은 기초(base) β-트리케톤(β-triketone) 함량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βTK™20+를 포함하는 다른 수준의 β-트리케톤을 가진 다른 등급의 마누카 오일이 시판되고 있다. MβTK™20+는, 상기 등급을 갖는 마르카 오일이 β-트리케톤-리치이며, 적어도 20 중량%의 β-트리케톤을 포함한다. 마누카 바이오사이언스(Manuka Bioscience)는, 뉴질랜드의 이스트 케이프 지역에서 수확된 마누카 나무에서 공급받은 것으로 MβTK™20+ 및 높은 등급을 특징화한다. 및 을 참조하라.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은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β-트리케톤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은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β-트리케톤 및 약 0.05 중량%내지 약 2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국소 조성물은 상기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약 0.05중량%내지 약 1중량%의 비주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 및 약 0.05 중량%내지 약 1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마누카 오일 및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은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은 피부 찰과상, 열상, 여드름,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효모 감염, 바이러스 감염 등과 관련된 미생물 성장을 예방 또는 억제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마누카 오일 및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화농성 연쇄구균(Streptococcus pyogenes), 표피도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고초균(Bacillus subtili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쿠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및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species)과 같은 그람 양성 박테리아, 균류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 트리코파이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적색 백색균(Trichophyton rubrum)과 같은 효모, 단순포진 1 및 2(Herpes simplex 1 and 2), 대상 포진(Herpes zoster) 등과 같은 그람 양성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다양한 미생물(예를 들면, 박테리아, 균류, 바이러스 등)에 대한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진다. 또한, 마누카 오일은, 아그레가티벡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후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시겔라 플렉스네리(Shigella flexneri) 및 시겔라소네이균(Shigella sonnei)와 같은 그람 음성 박테리아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개시된 조성물은 또한 심보포곤 마티니유(팔마로사 오일)를 포함할 수 있다. 심보포곤 마티니(Cymbopogon martinii)는 인도, 네팔, 인도차이나에 고유한 심보포곤(레몬그라스)속 잔디종을 말한다. 팔마로사의 에센셜 오일은 상기 잔디 잎 또는 꽃차레에서 증기증류 과정을 추출할 수 있다. 팔마로사 오일의 다른 이름으로, 인도 제라늄(Indian geranium), 야자유(palm rose), 로샤(rosha), 로샤잔(rosha grass)이 있다. 팔마로사 오일은 적어도 두 가지 화학형, 즉, 모티아(Motia) 및 소피아(Sofia)를 가진다. 팔마로사 오일의 1차 성분 중 하나는 제라니올(geraniol)이다. 모티아 화학형은 소피아(약 60~70%)보다 높은 농도의 제라니올(약 85~92%)을 가지므로 치료 목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국소 조성물에 사용되는 팔마로사 오일은 모티아 화학형일 수 있다.
팔마로사 오일은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과 조합하여 사용될 때, 특정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팔마로사 오일 및 마누카 오일로부터 β-트리케톤의 조합은, 오일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특성과 비교하여, 결과적인 국소 조성물의 항균, 항염증, 및 상처 치유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찰되었다. 상기 조합은 농가진, 종기, 성체, 농양, 상처 감염, 바이러스 감염, 곰팡이 감염, 효모 감염, 건선, 여드름 등과 같은 국소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조성물은 세균, 곰팡이 및 효모 성장, 상처 치유 특성의 촉진, 최소 저해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및 최소 살균 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MBC)에 대한 큰 효능을 나타내며, 항균 또는 항'염증성 특성의 효능 또는 수명을 향상시킨다.
특히,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은, 농가진을 치료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팔마로사 오일의 제라니올은, 팔마로사 오일의 항균, 항염증 및 상처 치유 특성에 기여한다. 팔마로사 오일은, 세균 증식을 예방 또는 억제하고 따라서 피부 치유를 촉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찢어지거나 손상된 피부에 사용될 수 있다. 팔마로사 오일의 항염증 특성은, 자극을 진담시키고 염증성 피부의 부종이나 홍반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팔마로사 오일 및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의 조합은 국소 조성물에서 함께 혼합될 때 몇 가지 놀라운 상승 효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개별적으로 두 오일 중 어느 하나에 비하여, 팔마로사 오일과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의 혼합물은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킨다. 추가로, 팔마로사 오일과 마누카 오일β-트리케톤의 혼합물은 보다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 및 단독보다 장기간 동안 개선된 활성을 나타낸다.
최소 억제 농도(MIC) 테스팅에 따르면,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의 조합은, 농가진(school sores) 및 다른 박테리아 감염을 야기하는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화농성 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과 같은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마누카 오일의 항균 작용의 모드는, 박테리아 세포막의 파괴 및 세포 함량의 누출을 포함한다.
두 개의 오일 추출물 내에 포함된 다양한 성분의 복잡성 및 다양성은 본 작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이러한 미생물의 돌연변이가 내성을 발달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국소 조성물은, 팔라로사 오일에 대한 β-트리케톤의 중량비에 기초하여, 약 3:1 내지 약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1 내지 약 1:2, 또는 약 1:1을 포함할 수 있다 총 β-트리케톤 함량은 공급자 사양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 있어서,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이 전체 오일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에서의 팔마로사오일의 총량은 임의의 적합한 치료량일 수 있고, 생산되는 국소 조성물의 유형에 따라 종속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국소 조성물은 약 0.1 중량%내지 약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중량%내지 약 3 중량% 또는 약 2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시된 조성물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오일로부터 추출된β-트리케톤) 및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CBD 오일, 바람직하게는,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또는 CBD의 정제된 분리형태를 포함하는 천연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CBD는 대마초 식물의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대마초(Cannabis savata)를 포함하는 CBD의 생산에 사용되는 대마초 속의 일부로서 인식된 식물로서, 다른 종들이 고려될 수 있지만 삼(Cannabis sativa), 칸나비스 인디카(Cannabis indica), 칸나비스 루데랄리스(Cannabis ruderalis)을 포함하는 3가지 주요 종들이 있다. 100개 이상의 카나비노이드 화합물이, 상기 두 개의 일차 추출물인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및 테트라하이드로 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을 가진 대마초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THC는 대마초 식물에서 주요 심리 활성 성분으로서 여러 관할 구역에서 엄격하게 규제될 수 있다. 반면에, CBD는 비정신 활성 성분이고, 그것의 의약품에 대한 관심을 얻었다. CBD에 일차적으로 관심이 있는 반면, 대마초 식물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100 칸나비노이드의 방대한 배열은 CBD 오일 또는 대마초 기반 오일의 약효 효과에도 기여할 수 있다.
CBD는 마와 삼마 추출물의 주요 구성이기도 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CBD 오일은 CBD를 포함하는 오일 기반 담체(예를 들어, 대마유, 삼베유, 코코넛 오일, 호호바 오일, 로즈힙오일 등)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BD 오일은 활성 성분으로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THC]또는 터펜을 제외하고) CBD 만을 포함할 수 있고 , 또는 CBD 주성분(예를 들어, CBD가 우세한 칸나비노이드인 경우)을 포함하거나, 그 안에 다른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CBD 오일은 약 99 wt.%의 최소 CBD 함량을 갖는 CBD 분리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개시된 CBD 오일은 국소 규정에 의해 허용되는 상기 한계치가 약 0.2 중량% 미만인 THC 함량을 가질 수 있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상태(예를 들어, THC-free, 거의 free)일 수 있다.
CBD 오일은 특정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며, 특히 마누카 오일과 조합하여 사용될 때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을 개별적으로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상기 성질과 비교하여, 마누카 오일 (또는 비오카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및 CBD 오일의 조합인 국소 조성물의 항염증성 및 항균성 특성을 강화하시키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들 조합은 습진, 건선, 염증, 여드름 등과 같은 국소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국소 조성물은, 꿀풀과(Lamiaceae family) 내의 식물 종인 포고스템몬 캐블린(Pogostemon cablin oil, 패츌리 오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전형적으로 아시아의 열대성 지역에 고유한 포고스테몬 캐블린 식물의 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에센셜 오일은 스팀 증류 공정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식물의 잎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패츌리 오일의 주요 화학 성분은, 패출롤(patchoulol), 세스퀴테르펜 알콜(sesquiterpene alcohol)이다.
패츌리 오일은 여드름, 피부염, 습진, 건선, 건조 또는 균열된 피부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특정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비듬과 곰팡이 또는 세균 상태.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및 패츌리 오일의 조합은 상기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을 치료하는 데 상승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특성에 비해,
상기 조합은 결과적인 국소 조성물의 항염증 및 치유 특성을 강화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조합은 건조 및 균열된 피부, 습진, 건선 등과 같은 국소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세균 및 효모 성장에 대한 보다 높은 효능, 상처치유 특성의 촉진, 낮은 MIC을 나타내고, 항균성 또는 항균성의 지속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패츌리 오일 중 적어도 하나, 적어도 둘 또는 세 가지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마누카 오일(마누카 오일로부터 β-트리케톤)에 더하여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또는 파츌리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티임),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오레가노),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샌달우드),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스타아니스),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스피아민트),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병풀 추출물), β-카리오필렌,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또는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조성물은, 존재하는 경우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 존재하는 경우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CBD 오일 및 존재하는 경우, 약 0.05 중량%내지 약 10 중량%의 패츌리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어, PEG 300, PEG 3350 등), 알란토인, 알로에, 디소듐 EDTA, 페녹시에탄올, 데카디엔 크로스 폴리머, 트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릴 알코올, 백색 소프트 파라핀, 프로필렌 글리콜, 락트산, 글리세롤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표시된 바와 같이, PEG는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β-트리케톤)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연고의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데 특히 유용하였다. PEG는, 경구, 국소 및 정맥 내 치료 제제에서 약제학적 부형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석유계 화합물이다. 화장품 산업에서도 습윤제, 투과 강화제, 피부 조화기, 유연제, 용매, 유화제, 증점제 또는 베이스 담체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국소 조성물, 특히 국소 밤은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실리콘계 물질에 대한 자연, 유기 대안으로서 건조 슬립, 실크 느낌을 제공하는 비폐색 연화제로서 기능한다. 비간섭성 연화제로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는, 국소 조성물을 통해 공기 및 산소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아서, 피부 치유 조건을 촉진한다. 상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예를 들어 습진, 건선 및 기타 염증성 피부 상태와 같은 건성 피부에 관한 피부 상태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표피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감소시켜 촉촉하고 촉촉한 것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피부 치유를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상기 국소 조성물 내의 윤활제로서 작용하여 상기 피부와 임의의 외부 접촉을 감소시켜 마찰을 방지하고 치유를 촉진시키는 것을 돕는다. 일부 치료 제제에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추가로 다른 성분의 일부를 용해시켜 더 균질한 혼합물을 허용하는 것을 돕기 위한 용매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개시된 오일로 제제화된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제제의 장기간 유효성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국소 조성물(예를 들어, 마누카 오일, CBD 오일, 팔마로사 오일, 파촐리 오일 등)에서 오일의 휘발성을 감소시켜, 장기간 동안 국소 조성물 내의 오일 보유를 향상시키면서 피부 치유를 위한 최적화된 환경을 촉진시킨다. 결과적으로, 다른 제제와 비교하여 상기 국소 조성물은 상기 오일의 충분한 레벨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상기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시된 오일 중 하나 이상의 하위 레벨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개시된 항염증 또는 항균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는 국소 조성물이 더 길어진 저장 수명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에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위에 개시된 부형제의 임의의 적합한 비율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상기 담체 조성물에 의해 제공된 균형을 가진 국소 조성물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약 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CBD 오일(예를 들어, 약 0.05-10 중량%),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 (예를 들어, 약 0.2 내지 10 중량%), 약 0.05 중량%내지 약10 중량%의 패츌리 오일 또는 이의 조합물 및 약 1 중량%의 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의 양은 사용되는 담체 재료에 따라 원하는 특성을 얻기 위해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상기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적어도 하나의 CBD 오일, 심보포곤 마티니(팔마로사 오일) 또는 포고스템몬 캐블빈 오일(패츌리 오일)에 더하여,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흑씨 오일, 샌달우드 오일, 타임 오일, 오리가노 오일, 카르다모뮴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저먼 캐모마일 오일, α-비사보롤(α-bisabolol), β-카리오필렌, 스타 아니스 오일, 밥치 또는 바쿠치 오일, 카누카 오일, 카카두 자두씨 오일 또는 고투콜라 추출물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담체가 개시된 조성물에 추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담체 조성물은 천연 또는 비건(vegan)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대 사려깊은 소비자들 중에서는, 합성 또는 석유계 재료보다는 자연적, 환경친화적 재료를 사용하는 강력한 욕구 및 선호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담체 조성물은 천연 또는 비건 재료로 실질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국소 조성물이 천연 또는 비건 기반 재료로 실질적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예를 들어 밤, 크림, 젤, 로션, 연고, 용액, 스프레이, 오일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비히클로 제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국소 조성물은 국소 크림, 밤 또는 젤로 제제화 된다. 국소 밤은 피부에 적용될 때 밤이 고체 필름으로 남도록 주로 비휘발성 물질로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연고, 크림, 또는 겔은 도포시 증발할 수 있도록 주로 휘발성 담체(예를 들어, 물 또는 알코올)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담체 조성물은 물을 주요 성분(예를 들어, 조성물의 25%이상이 물)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물-기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일부분이 적용 후 증발할 수 있도록 국소 젤, 크림 또는 연고 형성에 특히 유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개시된 오일은 리포좀, 니오솜, 트랜스퍼솜, 지질 나노 입자, 중합체성 미세 입자, 나노 입자, 마이크로 섬유, 또는 나노 섬유와 같은 진피 전달 시스템에 통합됨으로써, 국소 조성물에서 피부 내로 치료적 생체 활성 성분의 침투를 향상시킨다.
개시된 오일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국소 연고 또는 크림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다. 그러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다른 국소 조성물은 상기 개시된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의 β-트리케톤), 팔마로사, CBD 또는 파츌리 오일-기반 조성물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은 연고 또는 크림 계열의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담체에는 개시된 오일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시판되는 조립식 연고 또는 크림 기반 담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수성(예를 들어, 물, 알로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지방 알코올계 물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일부 구체 예에 있어서, 담체는 주로 물, 하나 이상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예를 들어, PEG 4000, PEG 3350, PEG 600, PEG 400 또는 PEG 300), 스테아릴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 또는 수성 물질은 물, 알로에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물 기반, 알코올-기반 물질, 또는 이들 모두가 약 50 중량% 이상으로 담체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가능한 연고, 크림, 또는 젤 제제의 추가예가 아래에서 설명되어 있다.
유사하게, 개시된 오일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국소 밤, 국소 크림 및 국소 겔이 여기에 논의된다. 그러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다른 담체 베이스(밤, 크림, 겔, 액체 스프레이, 담체 오일 또는 다른 조성물)도 상기 개시된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β-트리케톤), 팔마로사 오일, 여기에 기술된 CBD(오일 또는 분리물) 또는 파츌리 오일-기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건으로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은 밤 기반일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의 비히클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천연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왁스는 합성 또는 석유-기반 유도체에 대한 "친환경" 대안을 제공한다. 식물 기반 물질 또는 곤충 기반 물질(예를 들어, 꿀벌 왁스)로부터 추출한 천연 왁스는 비건 및/또는 비건-친화적인 소스 재료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천연 왁스는 오일 및 다른 부형제의 혼합물이 수성 및 비수성 성분으로 분리하는 것을 억제하는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국소 조성물의 감각 특성(예를 들어, 촉감 및 느낌)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적합한 천연 왁스에는, 밀랍,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자스민 왁스, 호호바 왁스, 라우렐 왁스, 미모사 왁스, 마이리카 과일 왁스, 오렌지 왁스, 피토 왁스, 유채 왁스, 루스 베르니시플루아 껍질 왁스(예를 들어, 베리 왁스), 검양옻나무 열매 왁스(Rhus succedanea fruit wax, 예를 들어, 일본 왁스), 쌀겨 왁스(ice bran wax), 장미 왁스, 소이 왁스, 해바라기씨 왁스, 차 왁스,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왁스는 밀랍, 검양옻나무 열매 왁스 및 루스 베르니시플루아 껍질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때때로 세라 알바(cera alba)라고 불리는 밀랍은 꿀벌에 의해 분비되며 다양한 장소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밀랍은 비교적 높은 융점(예를 들어, 약 61-65 ˚C)을 나타내며, 주변 온도(상온, ambient temperature)에서 체온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밀랍은 실크 텍스쳐를 가지며 기공은 막지 않음으로써, 피부 적용에 바람직하다. 밀랍은 피부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환경 조건 및 외부 습기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돕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밀랍은 또한 국소 조성물에서 유화제로서 작용하는 능력을 갖는다.
검양옻나무 열매 왁스는 일본과 중국에서 성장하는 검양옻나무 식물의 열매에서 얻어진다. 때때로 일본 왁스(Japan wax)라고 불리는 검양옻나무 열매 왁스는 비교적 낮은 융점(예를 들어, 약 45 -55 ˚C)을 갖고, 국소 제제에서 유화제로서 작용하여 오일 및 다른 부형제의 분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검양옻나무 열매 왁스는 국소 조성물의 가소성을 증가시켜 국소 밤으로 조성물의 원활하고 효과적인 적용을 여전히 허용하는 반고형 일관성을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도울 수 있다.
베리 왁스라고도 불리는 루스 베르니시플루아 껍질 왁스는 루스 베르니시플루아 식물의 열매 껍질로부터 유래된 연질 왁스이다. 베리 왁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예를 들어, 약 48-55 ˚C)을 가진다. 왁스는 피부에 적용시 실크 느낌과 매우 바람직한 감각 특성으로 냉각감을 제공하는 부드러운 일관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검양옻나무(Rhus succedanea) 열매 왁스와 같이, 루스 베르니시플루아(Rhus verniciflua) 껍질 왁스는, 국소 조성물의 가소성을 증가시켜, 국소 밤으로서 조성물의 부드럽고 효과적인 적용을 여전히 허용하는 반고체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담체 조성물은 항산화제, 연화제, 킬레이트제(예를 들어, 다이소듐 EDTA), 보습제, 계면활성제, 유화제, 윤활제, 천연 오일, 영양소 또는 비타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임의의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예들에 있어서, 특정 부형제는 국소 조성물 내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작용할 수있다. 예컨대, 토코페롤은 피부에 영양분 역할을 하는 항산화제 및 비타민이다.
선택적 부형제는 아스코르브산또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비타민 C 또는 이의 유도체), 토코페롤 (비타민 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코페롤은 일반적으로 식물성 오일로부터 유래하여 뛰어난 피부 보호 특성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토코페롤은 자외선을 흡수하고 자외선 유도된 자유 라디칼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지하고 다른 자유 라디칼 유도된 손상을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토코페롤은 항염증 특성을 가지며, 피부를 보습하는 것을 돕는다.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는, 자유 라디칼 제거제로서 작용하는 아스코르브산의 지용성 유도체이다. 수용성 형태(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와는 달리,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는 피부의 지질 세포막에 침투할 수 있다.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또한 면역 세포 활성을 지원하고 피부 내 콜라겐의 형성 및 유지에 도움을 준다. 토코페롤,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또는 아스코르브산은, 천연 및 비건-기반 소스로부터 을 생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 소독 조성물은 토코페롤,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선택적 부형제는 영양소 및 비타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담체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비타민 A, B3(니코틴아미드), C, D, E 또는 K, 및 아연과 같은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비타민은 비타민 A(예를 들어, 레티놀 또는 레티놀 에스테르), 비타민 C(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또는 아스코르브산), 및 비타민 E (토코페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국소 조성물은, 적어도 비타민 A(예를 들어, 레티놀 또는 레티놀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다른 물질과 함께 국소 조성물에 레니놀을을 포함시키는 것은 여드름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다른 물질과 함께 국소 조성물에 비타민 B3 및 아연을 포함시키는 것은 또한 여드름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유용한 선택적 부형제는 하나 이상의 식물 오일, 시드 오일,에센셜 오일 등과 같은 천연 오일을 포함한다. 천연 오일은 국소 조성물 내에서 윤활제 및 연화제 둘 다로서 작용하는 것과 같이 다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적합한 천연 오일은 피마자씨 오일(Ricinus communis seed oil, castor oil), 호호바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jojoba oil), 개장미 오일(Rosa canina, rosehip oil)을 포함할 수 있다.
피마자유는 Ricinus communis 식물의 씨앗에서 추출한 식물성 오일이다. 피마자유는 습윤제로서 작용하는 단일 불포화 지방인 리시놀레산을 함유한다. 피마자유는 수분 손실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습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결국 피부 치유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피마자유는, 항염증성 특성, 항균 활성을 가지며, 일부 사례에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호호바 오일은 호호바 식물의 씨앗으로부터 추출된 식물 오일이다. 호호바 오일은, 보습제 및 연화제로서 작용하여 피부의 탄력 및 유연성을 향상시켜, 천연 토코페롤을 함유시켜 산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천연 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다. 호호바 오일은 피부의 천연 오일과 유사하게 행동하고 피부층을 빠르게 침투시켜 모공을 막거나 기름진 느낌을 남기지 않고 치유를 촉진한다. 개장미 오일과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의 조합은 잔주름 및 주름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 콜라겐 I및 III 의 생성을 돕고 인장 강도 및 탄력을 제공하며, 피부 수화 수준을 향상시키고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마자, 호호바, 개장미 오일은 식물로부터 추출되어, 국소 조성물에 대한 비건 기반의 재료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 있어서, 담체 조성물은 제3 제조자에 의해 제조된 하나 이상의 사전 제형화된 담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담체 조성물은 KahlTM Jellies(예를 들어, VegoJely 7036Plus), KahlTM Base(예를 들어, Natural Lip Care Base 7704), 또는 KahlTM Specialty Waxes (예를 들어, Veggieft Complex 6422), 또는 독일의 Kahl GmbH & Co.Kg로부터 입수 가능한 제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상이한 부형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담체 조성물은 사전 제형화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VersaproTM 크림, 젤 또는 로션 베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국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천연 또는 합성 약학적 활성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활성 부형제는 피부의 국소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국소적으로 적용되거나 경피적으로 전달되도록 국소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피부의 다양한 층 또는 층을 통해 환자의 심부 조직 또는 혈류로 전달됨). 일부 예들에서, 약학적 활성 부형제는, 여드름, 박테리아 감염, 습진, 곰팡이 감염, 건선, 발진, 바이러스 감염과 같은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담체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및 호환 가능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마누카 오일, 팔마로사 오일 및 다른 성분의 특성은 해당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부형제의 효능을 향상시키고, 해당 약학적 활성 부형제의 부작용을 제한하거나, 이들 두가지 효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국소 조성물은 천연 또는 비건 기반 재료로 실질적으로 구성되거나, 본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그러나, 몇몇 약학적 활성 부형제는 천연 또는 비건 기반 부형제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상기약학적 활성 부형제를 위한 비히클의 역할을 하는 국소 조성물은 천연 또는 비건 기반 재료로 실질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피부 상의 미생물 성장의 성장 억제, 피부 열상 또는 찰과상 치료, 여드름 치료, 바늘, 캐뉼러, 메스 등에 의해 표피가 절개된 곳과 같이 의료 시술후 감염 가능성 감소를 포함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조성물은 피부 진환이 있는 환부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 피부는 초기에 환부 부위 주위에서 세정될 수 있다. 국소 밤, 크림 또는 연고 등과 같은 국소 조성물은 해당 부위에 자유롭게 도포될 수 있고 피부 내로 흡수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보호가 필요할 경우, 상처 드레싱 또는 붕대가 상기 국소 조성물 위에 적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국소 조성물은 추가로 이러한 상처 드레싱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국소 조성물은 상처 드레싱 또는 붕대에 적용되거나 또는 통합된 후 피부 상태를 포함하는 부위에 도포될 수 있다.
실시예들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며,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국소 밤
표 1에 나타낸 성분이 혼합물이 국소 밤(topal balm)을 생성하도록 준비된다.
성분 함량 (질량%)
마노카 오일 (or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0.05-10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파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0.1-10.0
Black seed oil, sandalwood oil, thyme oil, oregano oil, cardamom oil, spearmint oil, German chamomile oil, α-bisabolol, β-caryophyllene, star anise oil, babchi or bakuchi oil, kanuka oil, Kakadu plum seed oil, gotukola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0-1.0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0-5.0
밤 기반 담체 (예; Kahl VegoJelly 7036Plus) 나머지
실시예 2-국소 항균 연고
표 2에 나타낸 성분의 혼합물은 손상과 다른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를 위한 국소 연고 형태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 (질량%)
마노카 오일 (or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0.1-10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파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0.1-10.0
Black seed oil, sandalwood oil, thyme oil, oregano oil, cardamom oil, spearmint oil, German chamomile oil,α-bisabolol, β-caryophyllene, star anise oil, babchi or bakuchi oil, kanuka oil, Kakadu plum seed oil, gotukola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0-1.0
80% PEG 300 and 20% PEG 3350을 갖는 연고 기반 나머지
실시예 3-건조 피부 및 국소 염증성 피부 상태 치료용 크림
표 3에 표시된 성분의 혼합물은 성인 및 어린이의 습진 및 건선 등의 건조 피부 및 국소 염증성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크림 형태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 (질량%)
마노카 오일 (or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0.1-10.0
CBD 오일, 팔마로사 오일, 파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0.1-10.0
Black seed oil, sandalwood oil, thyme oil, oregano oil, cardamom oil, spearmint oil, German chamomile oil, α-bisabolol, β-caryophyllene, star anise oil, babchi or bakuchi oil, kanuka oil, Kakadu plum seed oil, gotukola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0-1.0
PEG300 47.4%, PEG3350 12.6%, white soft paraffin 10%, stearyl alcohol 10%, propylene glycol 4.8%, sodium lauryl sulphate 0.4%, water 14.8%으로 구성된 연고기반 나머지
합계 100
실시예 4-국소 친수성 연고
표 4에 나타낸 성분의 혼합물은 국소 연고 형태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 (질량%)
마노카 오일 (or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0.05-10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파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0.1-10.0
Black seed oil, sandalwood oil, thyme oil, oregano oil, cardamom oil, spearmint oil, German chamomile oil, α-bisabolol, β-caryophyllene, star anise oil, babchi or bakuchi oil, kanuka oil, Kakadu plum seed oil, gotukola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0-1.0
물 37%, stearyl alcohol 25%, white soft paraffin 25%, propylene glycol 12%, sodium lauryl sulphate 1%을 포함하는 연고 기반 나머지
실시예 5-국소 겔
표 5에 나타낸 성분의 혼합물이 국소 겔 형태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 (질량%)
마노카 오일 (or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0.05-10
CBD 오일, 팔마로사 오일, 파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0.1-10.0
Black seed oil, sandalwood oil, thyme oil, oregano oil, cardamom oil, spearmint oil, German chamomile oil, α-bisabolol, β-caryophyllene, star anise oil, babchi or bakuchi oil, kanuka oil, Kakadu plum seed oil, gotukola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0-1.0
겔 베이스3 (aloe, allantoin, disodium EDTA, phenoxyethanol, triethylene glycol, water, optional binder (e.g., cellulose) balance
실시예 6-국소 블레시 겔
표 6에 나타낸 성분의 혼합물은 찰과상, 여드름, 또는 다른 자극들을 포함하는 피부 손상의 치료를 위한 국소 겔 형태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 (질량%)
마노카 오일 (or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 0.05-10.0
CBD 오일, 팔마로사 오일, 파츌리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 0.2-10.0
Black seed oil, sandalwood oil, thyme oil, oregano oil, cardamom oil, spearmint oil, German chamomile oil, α-bisabolol, β-caryophyllene, star anise oil, babchi or bakuchi oil, kanuka oil, Kakadu plum seed oil, gotukola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0-1.0
Aqua (water) 75-balance
Glycerin 1-5
Xantham Gum 0.1-1
Benzyl alcohol 0.1-1
Polysorbate 20 0.1-1
Citrus limon peel oil 0-0.1
Retinyl palmitate 0-0.1
Dehydroacetic acid 0-0.1
Calendula officinalis flower extract 0-0.1
BHT (antioxidant) 0-0.1
Limonene 0-0.1
Citral 0-0.1
Linalool 0-0.1
Total 100
개시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기반 블레미시 겔은 박테리아, 메이크업, 및 환경 잔해가 피부의 자연 회복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데 여드름 반점 처료제로서 성공을 보여준다.
실시예 7-50 % 최소 억제 농도((MIC 50 )) 및 최소 살균 농도(MBC)
MIC50 시험은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 성장 50%를 방지할 수 있는 시험 샘플의 최소 농도를 평가한다. 이는, 시험 샘플의 항균 또는 항균질 활성의 측정치이다. MBC는 박테리아 사멸에 필요한 항균제의 가장 낮은 농도이다. 유사하게, 최소 살균제 농도 (MFC)는 곰팡이 또는 효모를 죽이는 데 필요한 항진균제의 가장 낮은 농도이다.
개시된 국소 조성물은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시험 기준을 사용하여 MIC50 및 MBC에 대해 시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람직한 활성 화합물의 테스트 샘플이 제조되고 연속적으로 희석하며, 예를 들어, 1000 배 범위를 커버하는 11개 이상의 다른 농도 커버링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샘플은 선택된 박테리아 및 곰팡이와 결합되고 소정 기간에 걸쳐 배양된 기본 테스트 샘플(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기본 샘플)의 50% 내지 0.1%를 포함할 수 있다.
MIC50는 Versa Max 96 well plate reader를 사용하여 OD650nm 의 측정에 의해 결정되는 미생물 성장을 50% 억제하는 각 테스트 샘플(활성 물질의 혼합물)의 최저 농도를 결정하는 데 유용하다. 세포 농도의 측정은 여러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스트 케이프 지역의 마누카 오일 및 β-트리케톤에 대한 추가 데이터 최소 억제 농도 (MIC)데이터는 추가적인 자료를 제공한다.(출처: Plant & Food ). MIC 데이터는 박테리아 성장 억제의 첫 번째 징후에서 측정된다. 이러한 수치는 MIC50 데이터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되나, 항상 그러한 것은 아니다. 팔마로사 오일에 대한 발표된 MIC 데이터는 추가 자료로서,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Cymbopogon Species in Essential Oil- Bearing Grasses - The genus Cymbopogon, Khunkitti, W. (2010) Chapter 6, Edited by A. Akhila.,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 Industrial Profiles,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에 포함되어 있다.
MIC50 및 MBC 테스트에 적합한 활성 혼합물의 예시로서, 스톡 샘플 솔루션이 표 7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표 7: 스톡 솔루션 for MIC50 and MBC 테스팅
샘플 번호 Primary ingredients
1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33% black seed oil
2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palmarosa oil
3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sandalwood oil
4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thyme oil
5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patchouli oil
6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oregano oil
7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cardamom oil
8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spearmint oil
9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α-bisabolol
10 1.32% Manuka oil β-triketones, 0.68% gotukola extract
MIC50 연구에서 평가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미생물을 성장시키기 위한 방법은 CLSI standards, Methods for Dilu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for Bacteria that Grow Aerobically, Approved Standard, Ninth Edition, M07-A9, Vol. 32 No 2, January 2012; Metho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for Anaerobic Bacteria, Approved Standard, Ninth Edition, Mll-9, January 2018; 및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fungal Susceptibility Testing of Filamentous Fungi. First Edition, M61, November 2017. 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테스트될 수 있는 미생물에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엔테로코쿠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 장구균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대장균(Escherichia coli);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화농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 트리코파이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홍색백선균(Trichophyton rubrum), HSV 1 및 대상 포진(Herpes Zoster)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국소 조성물로 제조된 표 1의 샘플은 상기 미생물 중 하나 이상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람 양성 박테리아 황색 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 (MRSA) 및 화농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는 농가진, 종기, 농양 및 다른 흔한 박테리아 피부 및 상처 감염을 일으킨다.
표 8은 마누카 오일, 마누카 오일로부터의 β-트리케톤의 백분율 관점에서 발현된 선택된 샘플에 대한 S.aureus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8: S.aureus MIC50 및 MBC 테스팅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anuka oil (MIC)**
0.0156 (av. of 2)
0.078-0.125
0.0938 (av. of 2)
-
Manuka oil β-triketones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051(av. of 2)
0.01-0.08
0.0825 (av. of 2)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026 (av. of 3) 0.055 (av. of 3)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015 (av. of 3) 0.0275 (av. of 3)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0103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103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patchouli oil 0.0052 >0.66
Palmarosa oil (MIC)* 0.1% -
Tea tree oil (2%) 2 2
Manuka honey UMF 20+ (10%) 0.626 >10%
*출처: Khunkiti (2010) **출처: Plant & Food
표 9는 선별된 샘플에 대한 MRSA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9: MRSA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020-0.06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035-0.01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052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026 0.0103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0052 0.0103
Tea tree oil (2%) >2 >2
**출처: Plant & Food
표 10은 선별된 샘플에 대한 S.pyogenes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0: S. pyogenes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125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625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103 0.165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051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051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051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spearmint oil 0.0103 0.0413
Tea tree oil (2%) 0.25% 0.5%
**출처: Plant & Food
그람 양성 박테리아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 및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 박테리아는 염증성 여드름과 연관된다.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수술 부위 감염에서도 발견된다.
표 11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C.acnes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1: C. acnes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07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10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006 0.0052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0206 0.0825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052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patchouli oil 0.0206 0.0413
Tea tree oil (2%) 2 >2
**출처: Plant & Food
표 12는 선택된 샘플에 대한 Epidermidis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2: S. Epidermidis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050-0.078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1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103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013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0052 0.0206
Tea tree oil (2%) >2 >2
**출처: Plant & Food
칸디다 알비칸스는 구강 및 질 아구창, 가려움증, 기저귀 발진, 손톱 곰팡이 및 다른 감염을 유발한다. 표 13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C. albicans MIC50 및 MF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3: C. albicans MIC50 and MFC data
샘플 MIC50 (v/v) % MFC (v/v) %
Manuka oil (MIC)** 0.625 - >2.0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40 - <1.0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825 0.33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165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66 0.66
Tea tree oil (2%) 2 2
Palmarosa oil (MIC)* 0.1 -
*출처: Khunkiti (2010) **출처: Plant & Food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피츠(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적색 백선균(Trichophyton rubrum)은 무좀, 완선증, 백선 및 다른 곰팡이 감염을 유발한다.
표 14는 선택된 샘플에 대한 T.mentagrophytes MIC50 및 MF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4: T. mentagrophytes MIC50 and MFC data
샘플 MIC50 (v/v) % MFC (v/v) %
Manuka oil
Manuka oil (MIC)**
0.06
0.050-0.080
-
-
Manuka oil β-triketones >0.33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6 (av. of 2)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41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413 >0.66
Tea tree oil (2%) 1 2
**출처: Plant & Food
표 15는 선택된 샘플에 대한 T.rubrum MIC50 및 MF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5: T. rubrum MIC50 and MFC data
샘플 MIC50 (v/v) % MFC (v/v) %
Manuka oil (MIC)** <0.039-0.3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32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825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103 0.165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413 0.0825
Tea tree oil (2%) 1 >2
**출처: Plant & Food
그람 양성 박테리아, 코리네박테리움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엔테로코커스 패시움(Enterococcus faecium)은 잠재적으로 심각한 피부 및 상처 감염을 야기한다. 코리네박테리움 미티티시멈(corynebacterium ministimum)은 홍색음선(erythrasma)의 불쾌한 상태를 유발한다.
표 16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C.디프테리아증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6: C. diphtheriae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05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2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20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10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10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10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α-bisabolol 0.0052 >0.33
Tea tree oil (2%) 0.25 >2
**출처: Plant & Food
표 17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E.faealis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7: E. faecalis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413 0.0825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patchouli oil 0.0413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0206 0.0825
Palmarosa oil (MIC)* 0.25 -
Tea tree oil (2%) 0.25 >2
*출처: Khunkiti (2010)
표 18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E.faecium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8: E. faecium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05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1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20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patchouli oil 0.0103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206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0206 0.0413
Tea tree oil (2%) 1% >2
**출처: Plant & Food
표 19는 선별된 샘플에 대한 C. minutissimum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19: C. minutissimum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05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02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206 0.165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206 0.020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206 0.0825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103 0.0825
Manuka oil β-triketones + α-bisabolol 0.0052 0.0413
Tea tree oil (2%) 0.125% 1%
**출처: Plant & Food
그램 음성 박테리아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 및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는 심각한 피부, 상처 및 수술 부위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표 20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대장균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20: E. coli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2.0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320 - >2.0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3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165 0.165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825 0.0825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0413 0.0413
Manuka oil β-triketones + gotukola extract >0.66 >0.66
Tea tree oil (2%) 0.25 0.5
*Palmarosa oil (MIC)* 0.2 -
*출처: Khunkiti (2010) **출처: Plant & Food
표 21은 선별된 샘플에 대한 P.vulgaris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21: P. vulgaris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500 - >2.0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32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165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825 0.33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165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0413 0.0825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165 0.66
Tea tree oil (2%) 0.25 0.5
**출처: Plant & Food
표 22는 선택된 샘플에 대한 P.aeruginosa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22: P . aeruginosa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MIC)** 0.850->2.00 -
Manuka oil β-triketones (MIC)** 0.320 - >2.00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sandalwoo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gotukola extract >0.66 >0.66
Tea tree oil (2%) >2 >2
Palmarosa oil (MIC)* >2 -
*출처: Khunkiti (2010) **출처: Plant & Food
표 23은 선택된 샘플에 대한 A.baumannii MIC50 및 MBC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23: A. baumannii MIC50 and MBC data
샘플 MIC50 (v/v) % MBC (v/v) %
Manuka oil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33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cardamom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oregano oil >0.66 >0.66
Manuka oil β-triketones + thyme oil 0.33 >0.66
Tea tree oil >2 >2
Palmarosa oil (MIC)* 0.1 -
*출처: Khunkiti (2010)
공지된 항생제 및 항진균 샘플은, 비교 샘플 및 대조군으로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제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 세팔로틴(Cefalotin), 코리스틴(Colist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및 페니실린( Penicillin)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마누카 β-트리케톤 및 CBD 분리물은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utibacterium acnes)와 상승적인 항균 특성을 입증한다. 표 24는 선택된 샘플에 대한 MIC50 데이터를 나타낸다.
표 24: C. acnes studies with manuka Oil β-triketones and CBD
샘플 MIC50 (v/v) %
1% Manuka oil β-triketones 0.25% Manuka oil β-triketones
0.05% CBD isolate 0.006% CBD
1% Manuka oil β-triketones + 0.05% CBD 0.006% Manuka oil β-triketones + 0.003% CBD
실시예 8_항균 조성물의 치료 농도
실시예 7의 데이터는 환자 치료에서 항미생물제의 선택 및 근사 투여량을 결정하는 데 있어 제제화자 및 임상의에게 유용한 가이드이다.
표 25는 실시예 7의 MBC 데이터를 기초로 한 항생치료 투여량을 요약한다. 상기 제안된 상한은 단일 농도점 (2%)에서 50명 이상의 경우 제품의 인체 반복 모사 패치 테스트(Human Repeat Insult Patch Testing, HRIPT)에 의해 지원된다.
표 25: Indicative therapeutic antimicrobial dosages
제품 Gram +ve Bacteria Gram -ve Bacteria Fungi & Yeast
M┌nuka oil 0.1 to 2% 1-2% 0.1 to 2%
β-Triketones 0.05 to 2% 1-2% 1 to 2%
3k+TM (β-triketones + blackseed oil) 0.05 to 2% 1-2% 1 to 2%
ECMT-154TM
(β-triketones + palmarosa oil)
0.02 to 2% 0.5 to 2% 0.1 to 2%
실시예 9-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제제의 억제대 테스트
6개의 서로 다른 국소 담체 기반 제제를 개발하였고, 이들 제제에 통합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국소 제제를 시험하기 위해 억제대(Zone of Inhibition)의 기술이 사용되었다. 테스트 샘플을 박테리아와 함께 배양하고 각 테스트 샘플에 대한 억제대를 24시간의 배양 후 측정하였다. 억제대 테스트 (디스크 확산 항생제 민감도 테스트 또는 Kirby-Bauer 테스트라고도 알려짐)에서, 박테리아의 박막은 영양소 농축된 아가 플레이트에 적용한 다음 다양한 항생제 연고를 도포하였다. 억제대는 박테리아 콜로니가 성장하지 않는 항생제 검사 샘플 주위의 원형 영역을 의미한다. 억제대는 특정 항균 생성물을 향한 박테리아의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억제대의 크기는 특정조성물의 항균 유효성의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억제대의 직경은 특정 항균 조성물의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처리 공정에서 첫 번째 단계는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의 상대적인 양을 기초로 적절한 치료 성분의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표 26은 시험된 4개의 항균 조성물(치료 추출물) 및 S. aureus 및 S. pyogenes에 대한 억제대 결과의 존(Zone)을 나열한다.
표26: Zone of Inhibition results against S. aureus and S. pyogenes.
병원체 치료용 추출 조성물 평균 직경 (mm)
Staphylococcus aureus 0.66% β-triketones + 0.34% palmarosa oil 12.8 ± 0.5
0.66% β-triketones + 1% palmarosa oil 12.8 ± 0.3
1% β-triketones + 1% palmarosa oil 13.3 ± 0.4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16.7 ± 0.2
Penicillin reference (0.5 μg/ml) 16.4 ± 0.2
Streptococcus pyogenes 0.66% β-triketones + 0.34% palmarosa oil 19.8 ± 0.3
0.66% β-triketones + 1% palmarosa oil 21.0 ± 0.6
1% β-triketones + 1% palmarosa oil 22.2 ± 0.4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2.5 ± 0.8
Penicillin reference (0.5 μg/ml) 1.1 ± 0.6
이러한 결과는 2% β-트리케톤 및 2% 팔마로사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이 S. aureus에 대한 페니실린 표준보다 더 큰 효과를 입증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S. pyogenes에 대한 페니실린에 비해 1% β-트리케톤과 1% 팔마로사 오일 및 2% β-트리케톤과 2% 팔마로사 오일을 가진 제제들 각각이 더 큰 효과를 입증함을 보여준다.
2% β-트리케톤와 2%팔마로사를 가진 제제는 S. aureus 및 S. pyogenes에 대해 가장 강력한 효과를 입증하고, 따라서 실시예 11의 국소 베이스 제제 비교 테스트에서 추가 테스트에 사용되었다.
실시예10-담체 베이스 조성 개발
표 27은 마누카 오일(보다 구체적으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이러한 담체 베이스로 배합된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의 유효성을 탐색하기 위해 테스트된 6개의 국소 담체 베이스 제형이 나열되어 있다.
표 27: Six topical base formulations f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담체 베이스 성분
1 CosCo Hydrophilic Ointment Water, betaine, caprylic/capric triglyceride, cetearyl alcohol, propanediol, sodium lactate, coco-caprylate, glycerine, sodium stearoyl glutamate, lactic acid, dimethicone, sodium phytate, phenoxyethanol, sodium lauryl sulphate, xanthan gum, ethylhexylglycerin
2 CosCo Kahl Vegojelly Balm Ricinus communis (castor) seed oil, hydrogenated Rhus verniciflua (varnish tree) peel wax, rhus succedanea fruit wax, ascorbyl palmitate, tocopherol, ethyl hexyl palmitate,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cera alba
3 Optimus Cream 1 Water, stearyl alcohol, white soft paraffin, propylene glycol, sodium lauryl sulphate, benzyl alcohol, lactic acid
4 Optimus Cream 3 Water, stearyl alcohol, propylene glycol, glycerol, sodium lauryl sulphate, white soft paraffin, ethylcellulose
5 Optimus Versapro gel Water, allantoin, aloe, disodium EDTA, phenoxyethanol, PVM/MA deacdiene cross-polymer, triethylene glycol
6 Optimus PEG base PEG 300, PEG 3350
실시예 11-Base Composition 효능 시험
실시예 10의 베이스 담체 제제를 마스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예를 들어, 실시예 9에 기초하여 적어도 2% β-트리케톤+ 2% 팔마로사 오일)과 함께 억제대의 기술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테스트 샘플을 박테리아와 함께 배양하고 각 테스트 샘플에 대한 억제대를 24시간의 배양 후 측정하였다. 다양한 제제를 세가지 참조 표준(2% 푸시딘산(Fucidin acid)을 갖는 Fucidin®, 10% 포비돈 요오드가 포함된 Betadin® 및 1% 과산화수소를 갖는 Crystaderm®)에 대하여 개발하고 테스트함으로써, S.aureus에 대한 상기 각 제제의 상기 항균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표 28은 최적의 담체 베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테스트된 국소 조성물 및 생성된 억제 구역대를 나열한다.
표 28: Zone of inhibition data on topical compositions
베이스 활성 성분 억제대 (mm) 효과
1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11.0 ± 0.7 Minor
2 4% β-triketones + 4% palmarosa oil 14.7 ± 0.1 Minor
3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1.1 ± 0.5 Medium
4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18.7 0.4 Medium
5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3.2 ± 0.7 Medium
6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40 ± 2 High
Fucidin® 2% fusidic acid antibiotic cream 39.9 ± 0.2
38 ± 1
39.7 ±0.5
High
Crystaderm® 1% hydrogen peroxide cream 36.8 ± 0.5 High
Betadine® 10% povidone iodine ointment 12.4 ± 0.2 Minor
표 28의 결과를 기초로, 옵티머스 Optimus PEG base carrier(Base 6, Table 21)는 S.aureus 에 대해 가장 효과적인 기본 담체 제제이고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농가진 치료에 가장 적합할 가능성이 높았다.
2% 마누카 β-트리케톤 및 2%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옵티머스 PEG 염기 담체 제제를 사용하여 추가 테스트를 수행하여 S.pyogenes및 MRSA에 대한 이러한 제제의 유효성 및 참조 표준을 검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표 29에 요약되어 있다.
표 29: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in PEG Base against S. pyogenes and MRSA
베이스 활성 성분 억제대 (mm) 병원체
6 (PEG base)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33 ± 1 S. pyogenes
Fucidin® 2% fusidic acid 20.8 ± 0.2 S. pyogenes
Crystaderm® 1% hydrogen peroxide 16.0 ± 0.2 S. pyogenes
Betadine® 10% povidone iodine 20.0 0.3 S. pyogenes
6 (PEG base)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45 (exceeded prmtr) MRSA
Fucidin® 2% fusidic acid >45 (exceeded prmtr) MRSA
Crystaderm® 1% hydrogen peroxide 35.9 ± 0.1 MRSA
Betadine® 10% povidone iodine 12.8 ± 0.5 MRSA
PEG 베이스 담체(ECMT-154 PEG 연고라고도 함), Betadine® 및 Crystaderm®에 2% β-트리케톤 및 2%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연고에 대한 S. aureus, MRSA 및 S. pyogenes 억제대 이미지가 도 1에 표시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ECMT-154 PEG 연고 및 참고 자료에 대한 항균 데이터를 보여주는 표(100) 이다.
도 1의 결과는 2% β-트리케톤+2% 팔마로사 오일 및 PEG 베이스 담체 연고 (ECMT-154 PEG)를 포함하는 국소조성물이 S.aureus 및 MRSA에 대해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참고 표준과 비교할 때, 102행에 나타난 바와 같다. ECMT-154 PEG는 두 병원체 모두에 대해 106행에 표시된 Crystaderm®(1% 과산화수소) 크림보다 더 효과적이었고, 108행에 표시된 Betadine®(10% 포비돈 요오드) 연고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었습니다. S. pyogenes에 대해 행 104에 표시된 Fucidin®(2% 푸시딘 산) 크림보다 효과적입니다. ECMT-154 PEG 및 Fucidin® 크림에 대한 테스트에서는 두 제품 모두 MRSA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연고 모두 가능한 측정치를 초과하는 영역 직경을 생성했기 때문에 직접 비교할 수는 없었다.
표 30은 기준 표준로서 푸시딘®, 베타딘® 및 Crystaderm®에 대한 PEG 담체 베이스(ECMT-154 PEG 연고)에서 2% β-트리케톤 + 2% 팔마로사 오일에 대한 비교 데이터를 요약한다.
표 30: Comparative data on ECMT-154 PEG ointment and reference standards
병원체 ECMT-154 PEG vs
Fucidin®
ECMT-154 PEG vs
Betadine®
ECMT-154 PEG vs
Crystaderm®
S. aureus ---
ECMT-154 PEG이 223%이상 효과적 ECMT-154 PEG이 9% 이상 효과적
S. pyogenes
ECMT-154 PEG이 59% 이상 효과적 ECMT-154 PEG이 66% 이상 효과적 ECMT-154 PEG이 107% 이상 효과적
MRSA ---
ECMT-154 PEG이 252% 이상 효과적 ECMT-154 PEG이 25%이상 효과적
실시예 12. 농가진 및 다른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심보포곤 마르티니(팔마로사 오일), 및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담체 조성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가 제조된다. 국소 조성물은 농가진 및 상처 감염과 같은 피부 질환에 대해 준비되고 시험된다. 상기 제제는 이들 감염의 치료에서 치료적 효과를 입증한다.
실시예 13-억제 테스팅의 여드름 병원체 억제대
시험의 대조 시험은,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Cutiacterium acnes) 및 표피포도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하여 3가지 다른 베이스(실시예에 10에서의 3, 5 및 6)에서의 2% β-트리케톤+ 3% 팔마로사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들 각각의 유효성을 표준 여드름 치료제인 Clearasil®(1.9%살리실산)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 β-트리케톤+2% 팔마로사 오일 및 옵티머스 크림 1(ECMT-154 CUT)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2% β-트리케톤+2% 팔마로사 오일 및 옵티머스 버사프로 겔(ECMT-154 GL)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및 2%β-트리케톤+2%팔마로사 오일 및 PEG 베이스 담체 연고(ECMT-154 PEG, 때로는 Tripalma로 알려짐)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 대한 억제대 시험 결과가 표 31에 요약되어 있다.
표 31: Zone of inhibition results for topical compositions - C. acnes & S. epidermidis
제품 활성 성분 억제대(mm) 병원체
ECMT-154 Cream (base 3)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1.5 ± 0.3 C. acnes
ECMT-154 Gel (base 5)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7 ± 1 C. acnes
ECMT-154 PEG (base 6)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3.9 ± 0.5 C. acnes
Benzac 2.5% benzoyl peroxide 13.6 ± 0.2 C. acnes
Clearasil® 1.9% salicylic acid 9.9 ± 0.1 C. acnes
ECMT-154 Cream (base 3)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27.8 ± 0.9 S. epidermidis
ECMT-154 Gel (base 5)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34 ± 2 S. epidermidis
ECMT-154 PEG (base 6) 2% β-triketones + 2% palmarosa oil >45 S. epidermidis
Benzac 2.5% benzoyl peroxide 29.6 ± 0.8 S. epidermidis
Clearasil® 1.9% salicylic acid 11.6 ± 0.7 S. epidermidis
C.acnes 및 S.epidermidis에 대한 국소 조성물에 대한 억제대 이미지가 도 2에 정리되어 있다.
도 2는 C.acnes 및 S.epidermidis 대한 ECMT-154 국소 조성물 및 참조의 효과를 증명하는 표(200)이다. 표(200)에서, 202에서 2% β-트리케톤+2% 팔마로사 오일 및 옵티머스 크림1 (ECTM-154 겔), 204에서 2% β-트리케톤+2% 팔마로사 오일 및 옵티머스 베르사프로 겔(ECMT-154 겔), 206에서 PEG 베이스(ECMT-154 PEG 또는 Tripalma)에서의 2% β-트리케톤+2% 팔마로사 오일, 208에서 Benzac, 210에서 Clearasil®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31 및 도 2의 결과는 PEG 베이스 담체 (ECMT-154 PEG 또는 Tripalma 연고), 베르사프로 겔 기반 담체(ECMT-154 겔) 및 크림 기반 담체(ECMT-154 크림)에서 2% β-트리케톤 + 2% 팔마로사 오일을 함유하는 국소 조성물이, 특히 기준 표준인 Benzac 및 Clearasil®에 비해 C.acnes에 대해 매우 효과적이다. 테스트된 모든 제품들 중에서, ECT-154 겔은 C.acnes에 대해 가장 효과적이었다.
S.epidermidis에 대하여 ECMT-154 PEG 및 ECMT-154 겔도 기준 표준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시험된 결과물들의 ECT-154 PEG 연고(epideration)는 S.epidermidis에 대해 가장 효과적이었다.
실시예 14-상처 치유 연구
상처 치유 측면에서, 괴사조직 제거, 염증 유발 및 항염증, 세포 증식 및 이동, 혈관신생 및 세포외 기질 합성이 포함된다. 이러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을 촉진할 수 있는 제품이나 제제는 상처 치유를 가속화할 수 있다. 인간 피부 세포의 증식과 이동뿐만 아니라 피부의 온전함과 구조에 기본이 되는 매트릭스 성분의 생성을 자극하는 테스트 샘플의 잠재력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치유율에 대한 효는 일정한 간격으로 촬영된 상처 치유의 디지털 사진을 통해 결정되었다. 테스트 샘플 농도는 초기 섬유아세포 독성 연구를 기반으로 선택되었다.
표 32는 상처 봉합 속도에 대한 시험 샘플의 효과를 보여준다. β-트리케톤과 팔마로사 오일의 조합은 가장 큰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32_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상처 봉합 속도에 관한 테스트 샘플의 효과
# 테스트 샘플 24 시간 48 시간 72 시간
초기 상처 크기에 대한 비율(%)
조절 54.49 33.19 11.58
1 0.05% β-Triketones 95.75 98.22 -
2 0.003% β-Triketones + 0.0015% palmarosa oil 57.82 29.39 7.97
3 0.013% β-Triketones + 0.006% Thyme oil 86.92 85.93 -
4 0.003% β-Triketones + 0.0015% oregano oil 70.90 40.22 21.88
5 0.006% β-Triketones + 0.003% sandalwood oil 79.09 67.60 -
6 0.05% β-Triketones + 0.1% rosehip oil 99.77 100.02 -
7 0.05% β-Triketones + 1% rosehip oil 92.69 90.93 96.95
도 3은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치료학적 추출물의 상처 치유 효과를 증명하는 사진들을 요약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오일의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표(300)이다.
실시예 15_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 또는 파츌리 오일을 포함하는 치료용 추출물의 피부 배리어 회복 특성
생체 외 돼지 피부 연구를 사용하여 습진, 건선, 여드름 및 기타 피부 상태의 특징인 피부 장벽의 손상 및 피부에 구멍이 뚫리거나, 연마재로 처리하거나 이와 다르게 손상된 미용 시술을 완화하는 데 대한 두 가지 테스트 샘플의 효과를 결정하였다. 테스트한 두 가지 추출물은, (a)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 (b)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파츌리 오일 이였다. 돼지의 신선한 껍질(정육점에서 조달)을 조각으로 잘랐다. 각 시험 시료에 대해 피하층을 제거하지 않은 피부 3개의 조각을 대조용으로 사용하였다. 또 다른 3개 조각에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하층을 제거한 후 테스트 샘플에 노출시켰다. 3개 조각으로 구성된 세번째 세트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하층을 제거했지만 테스트 샘플에 노출되지 않았으므로 테스트 샘플의 효과에 대한 대조 역할을 하였다. 메틸렌 블루-카페인을 피부 조각의 외부 표면에 첨가하고 프란츠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s)을 사용하여 피부 조각을 통한 전달 속도를 결정하였다. 여러 간격으로 세포 밑면에서 샘플을 채취하여 메틸렌 블루의 농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수집된 각 샘플에서 0.2 ml를 바닥이 평평한 96-웰 플레이트의 웰에 분배하였다. VersaMax™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각 웰의 흡광도를 650 nm에서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시간 대 흡광도는 세 가지 수송 조건 각각에 대해 확산 장치의 각 셀에 대해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피부를 통과하는 메틸렌 블루 카페인의 이동 속도를 두 테스트 샘플의 세 가지 조건 각각에 대해 비교하였다.
도 4에 요약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상기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있어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파츌리 오일을 가진 상기 조성물보다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이 보다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도 4a에 있어서, 406 및408은 0.2% MBS β-트리케톤 + 0.2% 팔마로사 오일의 1시간 치료를 위한 피부 장벽 복구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b에서, 406 및408은 0.2% MBS β-트리케톤 + 0.2% 파츌리 오일의 1 시간 처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b) Treatment of skins with
0.2% MBS β-트리케톤 + 0.2% 파츌리 오일 (1 시간)
실시예 16-건선 및 습진 치료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β-오일에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i)CBD 오일 또는 분리물, ii)심보포곤 마티니(팔마로사 오일), (iii)파츌리 오일 또는 iv)상기와 같은 CBD, 팔마로사 또는 파츌리 오일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세 가지 국소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건선 및 습진을 포함한 피부 질환에 대해 제조되고 테스트된다. 상기 제제는 상기 피부 질환 중 하나 이상의 치료에서 치료적 효과를 입증한다.
실시예 17-습진, 건선 및 기타 염증성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크림
표 33에 나타낸 성분의 혼합물은 습진, 건선 및 다른 염증성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크림 형태로 제조된다.
성분 함량(중량%)
Manuka oil (or β-triketones from manuka oil) 0.5-10
CBD oil, palmarosa oil, patchouli oil, or combinations thereof 0.1-10.0
PEG 300 30-60
PEG 3350 10-20
White soft paraffin 5-20
Stearyl alcohol 5-20
Propylene glycol 0.5-10
Sodium lauryl sulphate <1%
Water 0 to balance
실시예 18-피부 상태 치료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마누카 오일 또는 β-트리케톤 추출) 및
a. CBD 오일 또는 분리물
b. 심보포곤 마티니(팔마로사 오일) 또는,
c. 파츌리 오일 또는,
d. 적어도 둘 이상의 상술된 CBD 오일, 팔마로사 및 파츌리 오일 및/또는
e. 후술된 적어도 하나의 오일
i.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ii.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iii.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iv.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v.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vi. qor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vii.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viii.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ix.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x.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xi.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xii.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
국소 조성물을 제조하고 피부 노화, 콜라겐 생성, 흉터, UV 손상, 염증, 가려움증 및 효모 또는 진균 성장을 비롯한 다양한 피부 질환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제제는 상기 피부 질환 중 하나 이상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 효과를 입증한다.
실시예 19.구순 포진이나 대상 포진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 (마누카 오일) 및 I) CBD 오일 또는 분리물, ii)심보포곤 마티니(팔마로사 오일), (iii)파츌리 오일, 또는 iv)스타 아니스 오일, (v)α-비사보롤, vi)β-카리오필렌, (vii)타임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전술한 오일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국소 조성물이 준비된다. 상기 국소 조성물은, 인간 알파 헤르페스 바이러스 1, 구순포진 또는 대상포진과 같은 질병에 기인한 인간 알파 대상포진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에 대해 시험하였다. 상기 제제는 구순포진 및 대상포진 치료에 치료 효과를 입증한다.
실시예 20-Manuka 오일 β-트리케톤의 순도 및 일관성의 입증
치료제에 사용된 활성 성분은 순수하고 일관되어야 한다. GCMS 연구에 따르면 이스트 케이프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이 순수하고 배치들 사이에 트리케톤의 총 수준이 비교적 일관성이 있음을 증명한다. 도 5는 상이한 배치에 대한 β-트리케톤의 GCMS 결과를 요약한다. 도 5는 결과를 요약한 표 504와 함께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에 대한 GCMS 결과를 정리한다. 표 504는 β-트리케톤 여러 다른 배치에 대한 GCMS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총 β-트리케톤이 761 내지 781 mg/g (평균값 769±9mg/g) 범위를 갖는 다섯 개의 배치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실시예 21_마누카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의 결합시 화학적 불활성의 입증
이 출원에 포함된 대부분의 데이터는 마누타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 간의 상승적인 생물학적 활성을 입증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마누카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은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나하면, 이러한 반응성은, 국소적으로 사용될 때 알레르기성 또는 다른 부작용이 발생시킬 수 있는 부산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가지 성분이 조합되고 조합합의 GCMS 프로파일을 개별 성분의 GCMS 프로파일과 비교하였다.
도 6의 결과는 마누카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 오일이 조합될 때 화학적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6은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팔마로사 오일 및 이들 조합된 조성물에 대한 GCMS 결과의 그래프 602이다.
실시예 22_폴리에틸렌 글리콜 담체 베이스에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 및 팔마로사오일을 함유하는 국소 조성물의 피부 호환성의 입증
도 7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담체 베이스(ECMT-154 PEG 연고, 때로는 Tripalma 로 명명됨)에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 대한 인체 반복 모사 패치 테스트(Human Repeat Insult Patch Testing, HRIPT) 결과를 요약한다. 도 7은 폴리에틸렌글리콜 담체 베이스(ECTM-154 또는 Tripalma 명명됨)에서 마누카 오일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 대한 HRPT 결과를 나타내는 표 702,704 이다. 채택된 실험 조건(19세-68세, 포토 타입 II-IV, 모든 종류의 피부에 적용되는 52명의 피험자) 하에서 그래프 702에 나타난 것처럼 유도 단계 동안 자극반응이 유발되지 않았다. 상기 챌린지 단계 동안, 그래프 7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도 부위 및 처녀 부위에 대한 상기 제품의 단일 적용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매우 우수한 피부 호환성을 나타내며 민감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실시예 23-ECMO, ECMT, 팔마로사 오일&ECMT-154의 MIC데이터 (%v/v)
표 33은 0.66% 이스트 케이프 마누카 β-트리케톤(ECMT) 및 0.34% 팔마로사 오일이 조합되어 ECMT-154를 생산할 때의 그람 양성균, S.aureus, S.pyogenes, MRSA, S.epidermidis 및 C.acnes에 대한 명확한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팔마로사 오일의 평균 MIC는 ECMT-154의 64 배이다. ECMT 단독의 평균 MIC는, ECMT-154의 10.5배이다.
혼합물의 항균효과가 부가적인 경우 0.66(0.021) +0.34(0.128) =0.057%를 기준으로 0.057%의 ECMT-154 MIC 를 기대할 것이다. 이들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하여 관찰된 ECMT-154의 관찰된 평균 MIC (0.002%)는 예상된 부가 수치의 1/29 이다. 더욱이, 이들 박테리아(0.002%)에 대한 ECMT-154의 관찰된 평균 MIC는 ECMO 단독의 1/32 이다.
전체적으로, 그람 음성균, 대장균(E. coli), A. 바우마니(A. baumannii), 및 P.불가리스(P. vulgaris) 등에 대한 미소한 상승 효과가 있다. 제형에서 팔마로사 오일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ECMT-154의 그람-음성 활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팔마로 오일 단독의 평균 MIC는 ECMT-154의 0.6배이다. ECMT 단독의 평균 MIC는 ECMT-154의 4배이다. 혼합물의 항균 효과가 부가적이라면, 0.54(0.76) +0.34(0.113) =0.54%를 기준으로 ECMT-154 MIC 0.54%를 기대할 것이다.
이러한 그람-음성 박테리아에 대한 ECTM-154의 관찰된 평균MIC(0.193%)는 예상 부가 수치의 1/3이다. 더욱이, 이들 박테리아에 대한 ECTM-154의 관찰된 평균 MIC(0.193%)는 ECMO 단독의 1/9이다.
전체적으로, 진균 및 효모, 트리코파이톤 멘타그로피츠(T. mentagrophytes), 적색 백선균(T. rubrum) and 칸디나 알비칸스(C. albicans)에 대한 약간의 상승 효과가 있다. 제형 내 팔마로사 오일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ECMT-154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팔마로사 유의 평균 MIC는 ECMT-154의 1.2배이다. ECMT 단독의 평균 MIC는 ECMT-154의 4배이다. 상기 혼합물의 항균 효과가 부가적일 경우, 0.66(0.313) +0.34(0.093) =0.24%를 기준으로 ECMT-154 MIC 0.24%를 기대할 것이다. 이들 곰팡이 및 효모에 대한 ECMT-154의 관찰된 평균 MIC(0.075%)는 예상된 부가 수치의 1/3 이다.
게다가, 이들 진균 및 효모에 대한 ECMT-154의 관찰된 평균 MIC(0.075%)는 ECMO 단독의 1/7 이다.
표 34_비교 MIC 데이터(%v/v): ECMO, ECMT, 팔마로사 오일 및 ECMT-154
병원체 ECMO 단독 ECMT 단독 팔마로사 오일 단독 ECMT+팔마로사 오일(ECMT154)
그람 양성 박테리아
S aureus 0.016 0.006 0.110 0.001
S pyogenes 0.125 0.063 0.005
MRSA 0.040 0.007 0.200 0.003
S. epidermidis 0.064 0.010 0.1 0.001
C. acnes 0.070 0.1 0.001
평균 0.063 0.021 0.128 0.002
그람 음성 박테리아
E. coli 2.100 1.200 0.125 0.165
A. baumanni 0.100 0.330
P. vulgaris 1.300 0.320 0.083
평균 1.700 0.760 0.113 0.193
진균 및 효모
T. mentagrophytes 0.060 0.120 0.085 0.060
T. rubrum 0.170 0.320 0.083
C. albicans 1.400 0.500 0.100 0.083
평균 0.543 0.313 0.093 0.075
실시예 24: ECMO, ECMT, Patchuli Oil&ECTM-222
표 35의 데이터는 0.66% East Cape 마누카 트리케톤(ECTMT)과 0.34% 파코쿨리 오일이 조합될 때의 효과를 입증하여 ECMT-222를 생산한다.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한 작은 상승 효과가 있다.
파츌리 오일 단독의 평균 MIC는 ECTM-222의 8배이다. ECMT 단독의 평균MIC 는 ECTM-222의 1.6배이다. 혼합물의 항균 효과가 부가적일 경우, 0.66(0.021) +0.34(0.108) =0.051%를 기준으로 ECMT-222 MIC가 0.051%로 예상될 것이다.
이들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대한 ECMT-222의 관찰된 평균 MIC(0.013%)는 예상 부가 수치의 1/4 이다. 더욱이, 이들 박테리아에 대한 ECTM-222의 관찰된 평균MIC(0.013%)는 ECMO 단독의 1/5이다.
표 35: 비교 MIC 데이터 (%v/v): ECMO, ECMT, 파츌리 오일 및 ECTM-222
병원체 ECMO 단독 ECMT 단독 파츌리 오일 단독 ECMT+파츌리 오일(ECMT-222)
그람 양성 박테리아
S aureus 0.016 0.006 0.250 0.005
S pyogenes 0.125 0.063
MRSA 0.040 0.007
S. epidermidis 0.064 0.010 0.025 0.021
C. acnes 0.070 0.050 0.013
평균 0.063 0.021 0.108 0.013
실시예 25: ECMO, ECMT, CBD, ECMO-314 및 ECMT-314에 대한 비교 MIC 데이터(%v/v)
CBD 오일의 칸나비디올(CBD) 함량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순수한 CBD 분리물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이 실시예에서는 1% ECMT 또는 1% ECMO가 사용되었다. CBD 오일에는 5~10% CBD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0.05% CBD 순수 분리물(0.5~1% 전체 CBD 오일에 해당) 농도가 본 테스트에 사용되었다.
표 36: 비교 MIC 데이터 (%v/v): ECMO, ECMT, CBD 분리 및 ECMT-314
병원체 ECMO 단독 ECMT 단독 CBD 단독 ECMO+CBD
(ECMO-314)
ECMT++CBD
(ECMT-314)
그람 양성 박테리아
S aureus 0.125 0.125 0.05 0.063 0.5
MRSA 0.125 0.125 0.0125 0.125 0.125
S pyogenes 0.063 0.031 0.002 0.063 0.031
C. acnes 0.125 0.25 0.006 0.125 0.0063
평균 0.110 0.133 0.018 0.094 0.166
표 36의 데이터는 1% 이스트 케이프 마누카 오일(ECMO) 또는 1% 트리케톤(ECMT) 및 0.05% 순수 CBD 분리물을 조합하여 ECMO-314 또는 ECMT-314를 생성할 때 효과를 나타낸다. 전반적으로, ECMO-314의 경우 테스트된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한 상가 효과가 무시할 만큼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CMT-314의 경우 테스트된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한 상가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CBD 단독의 평균 MIC는 ECMO-314의 0.2배 이다. CBD 단독의 평균 MIC는 ECMT-314의 0.1배 이다. ECMO 단독의 평균 MIC는 ECMO-314의 1.2배이다. ECMT 단독의 평균 MIC는 ECMT-314의 평균 MIC의 0.8배이다.
ECMO-314 혼합물의 그람 양성 항균 효과가 부가적이라면, 0.9524(0.110)+ 0.0476(0.018)=0.1056을 기준으로 ECMO-314 MIC 0.1056%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관찰된 ECMO-314의 평균 MIC(0.094%)는 예상된 추가 수치의 89%입니다.
유사하게, ECMT-314의 혼합물의 항균 효과가 부가적이라면, 0.9524(0.133)+ 0.0476(0.018) = 0.1275를 기준으로 0.1275%의 ECMT-314 MIC를 기대할 수 있다. 이들 그람 양성 박테리아에 대해 관찰된 ECMT-314의 평균 MIC(0.166%)는 예상된 추가 수치의 130%이다.
ECMT-314에 대한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C. acnes) 결과를 단독으로 고려하면, ECMT와 CBD를 조합할 때 강력한 상승 결과가 있다. 이는 PC 출원서 (43페이지)의 문단번호 [118]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CBD 단독의 MIC는 ECMT-314의 MIC의 0.95배이고 ECMT 단독의 MIC는 ECMT-314의 40배이다.
만약 ECMT-314 혼합물의 항여드름 박테리아 효과가 부가적이라면, 0.9524(0.25)+0.0476(0.006)=0.2384를 기준으로 0.2384%의 ECMT-314 MIC를 기대할 수 있다.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ECMT-314의 관찰된 평균 MIC(0.0063%)는 예상된 추가 수치의 1/38이다.

Claims (33)

  1. 피부 상태의 치료를 위한 국소 조성물에 있어서,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β-triketones);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CBD 오일 또는 포고스템몬 카블린(Pogostemon cablin, 패츌리 오일(patchouli oil)) 중 적어도 하나; 및
    담체 조성물
    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누카 오일은, 적어도 5 중량%의 베이스 β-트리케톤(base β-triketone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누카 오일은, 적어도 20 중량%의 베이스 β-트리케톤(base β-triketone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약 0.05 중량% 내지 약 1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마누카 오일로부터 제공된 약 1 중량% 초과의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마누카 오일로부터 제공된 약 2 중량% 초과의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2 중량% 초과의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약 1:3 내지 약 3:1 비의 팔마로사 오일 대 마누카 오일로부터 제공되는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약 1.5:1 내지 약 1:1.5 비의 팔마로사 오일 대 마누카 오일로부터 제공되는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란토인, 알로에, 디소듐 EDTA, 페녹시에탄올, 데카디엔 크로스 폴리머, 트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릴 알코올, 백색 연질 파라핀, 프로필렌 글리콜, 젖산, 글리세롤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CBD 오일 또는 분리물, 포고스테몬 카블린(파츌리 오일),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또는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밤, 또는 국소 연고, 국소 크림, 국소 젤, 국소 용액, 국소 스프레이 또는 국소 오일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체 조성물이 물 또는 알코올을 주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은, 천연 왁스, 항산화제, 연화제, 보습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하나 이상으로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이, 밀랍, 검양옻나무 열매 왁스(Rhus succedanea fruit wax), 루스 베르니시플루아(Rhus verniciflua) 껍질 왁스, 피마자씨 오일(Ricinus communis seed oil, castor oil), 호호바 오일(Simmondsia chinensis seed oil, jojoba oil),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및 토코페롤(tocopher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가진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국소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선 또는 습진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국소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균성 피부 또는 상처 감염, 진균 또는 효모 감염 또는 구순포진 및 대상포진을 포함하는 헤르페스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국소 조성물.
  23.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피부 상태을 포함하는 부위에 국소 조성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국소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β-triketones);
    CBD 오일,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또는 포고스템몬 카블린(Pogostemon cablin, 파츌리 오일(patchouli oil)) 중 적어도 하나; 및
    담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담체 조성물에 마누카 오일(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 및 CBD 오일, 팔마로사 오일 또는 파츌리 오일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이 국소 겔, 국소 연고, 국소 크림, 또는 국소 밤, 국소 용액, 국소 스프레이 또는 국소 오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이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약 1:2 내지 약 2:1 비의 팔마로사 오일 대 마누카 오일로부터 제공되는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에 적어도 CBD 오일 또는 분리물, 포고스테몬 카블린(파츌리 오일), 니겔라 사티바 시드 오일(Nigella sativa seed oil, black seed oil), 마트리카리아 리큐티타 오일(Matricaria recutita oil, German chamomile), 엘레타리아 카르다모뮴 오일(Elettaria cardamomum oil, cardamom),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 oil, thyme), 오리가노 가루 오일(Origanum vulgare oil, oregano), 백단향 오일(Santalum album oil, sandalwood), 일리시움 베룸 오일(Illicium verum oil, star anise), 멘타 스피카타 오일(Mentha spicata oil, spearmint),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gotukola extract), β-카리오필렌(β-caryophyllene), 솔라리아 코릴리폴리아(Psoralea corylifolia oil, babchi 또는 bakuchi) 또는 카카두 플럼씨 오일(Terminalia Ferdinandiana oil, Cakadu plum)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방법.
  29.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국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β-triketones) 및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을 담체 조성물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방법.
  31. 농가진를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국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렙토스페르뭄 스코파리움 오일(Leptospermum scoparium oil, 마누카 오일 또는 마누카 오일로부터 추출된 β-트리케톤(β-triketones);
    심보포곤 마르티니(Cymbopogon martinii, 팔마로사 오일); 및
    담체 조성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약 1:2 내지 약 2:1 비의 팔마로사 오일 대 마누카 오일로부터 제공된 β-트리케톤을 포함하는 조성물.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 조성물이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237042068A 2021-05-06 2022-05-06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KR202400050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85182P 2021-05-06 2021-05-06
US63/185,182 2021-05-06
PCT/IB2022/000255 WO2022234340A1 (en) 2021-05-06 2022-05-06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manuka oil and palmarosa oil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021A true KR20240005021A (ko) 2024-01-11

Family

ID=8393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068A KR20240005021A (ko) 2021-05-06 2022-05-06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마누카 오일 및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한 국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72425A1 (ko)
EP (1) EP4333803A1 (ko)
JP (1) JP2024517225A (ko)
KR (1) KR20240005021A (ko)
AU (1) AU2022268681A1 (ko)
CA (1) CA3218168A1 (ko)
WO (1) WO2022234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70081A (zh) * 2023-07-17 2023-10-13 南方医科大学深圳医院 一种用于防治放化疗相关性皮肤粘膜损伤的组合物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00383A1 (en) * 2015-10-13 2017-04-13 Practical Solution, Inc. Topical formulations for preventing skin infection
JP7454332B2 (ja) * 2016-06-15 2024-03-22 オーハイ エナジェティクス ピービーシー 酸化ストレス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US20200397711A1 (en) * 2019-06-22 2020-12-24 Gregory Brian LEE Microparticle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infection or disease,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methods of treating subjects with microparticle compositions
AU2020326487A1 (en) * 2019-08-05 2022-03-24 Stuart H. CAIRNS Antimicrobial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manuka oil
US11351117B2 (en) * 2019-09-12 2022-06-07 Nulixir Inc. Water solubl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4340A1 (en) 2022-11-10
CA3218168A1 (en) 2022-11-10
AU2022268681A1 (en) 2023-12-07
EP4333803A1 (en) 2024-03-13
US20230372425A1 (en) 2023-11-23
JP2024517225A (ja)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6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230293425A1 (en) Antimicrobial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manuka oil
US11564963B2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large-scale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Nong et al. A review of the use of beeswax in skincare
US20230372425A1 (en)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manuka oil and palmarosa oil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KR100875075B1 (ko)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US20040234628A1 (en) Top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ord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90160134A1 (en) Formulations for Cosmetic and Dermatological Applications
EP4153321A1 (en) Topical compositions, process of large-scale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US10588979B1 (en) Cannabinoid and terpene-infused topical cream
US11903987B2 (en) Artificial compositions comprising corosolic acid,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in a form of an emulsion, salve, ointment, suspension, or gel
EP3506876B1 (en) Composition for nail fungus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U2021103390A4 (en) A Skincare Oil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186651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갑진균증 무좀 개선용 크림 조성물
KR20220104655A (ko) 나노화된 벌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1066A (ko) 천연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위생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1170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