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764A -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764A
KR20040068764A KR1020030005294A KR20030005294A KR20040068764A KR 20040068764 A KR20040068764 A KR 20040068764A KR 1020030005294 A KR1020030005294 A KR 1020030005294A KR 20030005294 A KR20030005294 A KR 20030005294A KR 20040068764 A KR20040068764 A KR 20040068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corice
composition
inflammation
all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329B1 (ko
Inventor
김수남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남 filed Critical 김수남
Priority to KR1020030005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3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작두콩을 물, 알콜 또는 폴리에틸레글리콜(PG)에 추출하고 건조하여 얻은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분말 또는 일정양을 음료에 함유하도록 하여 알러지를 억제하고 또한 염증을 유발시키는 RAW 264.7 세포의 LPS로 유도된 NO를 억제하여 알러지(Allergy)를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작두콩을 물 또는 알콜 등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얻은 작두콩물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COMPOUND FOR TREATMENT ALLERGY AND INFLAMMATION}
본 발명은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현대병의 하나인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작두콩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산업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자연환경오염의 증가, 식생활의 변화, 스트레스의 가중 등으로 인해 알러지성 질환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1980년에 아토피성 피부염을 비롯한 알러지 환자는 1%미만이었으나, 2000년대에는 5% 이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잠재적인 환자까지 포함하면 10%가 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알러지(Allergy)란 이물질(항원, Allergen)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며, 이 때 방출된 물질이 증상을 일으키게 되면 알러젠(Allergen)이라 하고 그 결과 생긴 질환을 알러지 질환이라고 한다. 알러지(Allergy)의 발생원인 항원항체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생체의 병적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시간 및 보체관여의 유로부터 1~4형으로분류되고 있다.
이 중 제1형은 아나필락틱(anaphylatctic[cytotropic;즉시형]) 형태로 표적기관이 주로 소화장기, 피부 및 폐장으로 일반적인 증상은 위장관알러지, 담마진, 위축성 피부염, 알러지성 비염 및 기관지성 천식 등이 있다. 제1형의 병리기전은 항원이 비만세포와 호염기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IgE 항체에 접촉됨으로써 표적세포를 활성화시켜 히스타민, 세로토닌, 루코트리엔,PAF 등의 화학매체를 분비하여 혈관과 평활근을 수축시킨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주로 제4형(지연형)과 복합되는 경우가 많다.
즉, 이 아나필라시스와 알레르기 반응은 비만 세포 등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에 기인된다.
탈과립을 유도하는 비만세포의 활성화는 Fc 수용제에 대한 항원, 안티(anti)-IgE, 렉틴(lectin) 등의 결합, 아나필라톡신(anaphylatoxin) 등의 자극,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ore), K48/80 혼합물(compound K48/80), 코데인(codeine) 등 합성피질 자극 호르몬과 같은 약물에 의해 야기된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가 관여하여 발명하는 면역성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으로 건조하며 소양감이 심하고 반복적으로 재발되며 각종 자극에 의해 쉽게 피부염이 유발된다. 많은 경우에 1-2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악화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삼출을 동반한 홍반성 발진의 아급성병변, 가죽과 같이 두꺼워진 태선화의 만성병변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아토피피부염의 병리학적(조직검사 소견) 검사상 각각의 소견은 병변의 단계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만성이 되면 표피가 두꺼워지고 여러 가지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의 침윤이 관찰된다. 특히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랑게르한스 세포가 증가되어 있으며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항원제시 능력을 가진다.
또한, 아토피피부염에 의해 비만세포의 수가 증가되어 탈과립상태를 나타낸다. 피부에 침윤된 염증세포들은 주로 CD4+ 림프구인데, 활성화된다. 호중구, 호염구는 거의 관찰되지 않으며, 가끔 관찰되는 호산구도 호산구 과립상태로 관찰된다. 백혈구와 혈관내피세포가 쉽게 부착되어 백혈구가 쉽게 병변으로 유입된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80%~90%는 혈청 IgE가 증가되는데, 호흡기 아토피(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천식)가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히 혈청 IgE가 높다. 약 85%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피부반응검사 혹은 RAST (radioallergosorbent test)검사상 여러 가지 음식과 흡입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 IgE가 양성으로 관찰되어지며, 만약 혈청 IgE가 증가된 경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된다.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는 유전자에 대한 일정한 보고는 아직까지 없지만, 약 70%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가 가족 중에 아토피 피부염이 발견된다. 가족력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 임상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지만 가족력이 없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예후가 양호하다.
그리고, IgE 면역 글로블린의 생산조절은 6번 염색체의 우성 유전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고 되었지만, 그 외에 피부장벽의 이상과 환경적인 요소에도 영향을 받는 등 여러 가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임상적으로 정상적인 부모의 경우에도 아토피 피부염환자가 생기는 것을 보면 단순히 우성 유전이 아님을 알 수 있고, 부모가 모두 환자일 경우에도 정상인 자식이 태어나는 사례는 아토피 피부염이 단순히 열성 유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토피 피부염 환자 공여자로부터 아토피 피부염이 없던 환자에게 골수 이식을 했을 때, 아토피 피부염과 항원 특이 IgE 반응성이 전달되었다는 보고는 보면 유전적인 이상이 면역계를 통해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증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급진적인 면역학의 발전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의 구명 및 치료에 많은 진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충분히 알레르기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알러지 환자는 지금까지 개발된 약물 중에 완치를 할 수 있는 약물은 없으며 증상개선을 기대하고 있으나 부작용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알러지성 질환인 기관치 천식, 알러지성 비염, 화분증 및 아토피성피부염 등을 치료하는 작두콩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의 기술적 해결방법으로는, 작두콩 100g을 증류수 1000㎖에 넣어 80°~100°에서 1~4시간 추출하고, 200㎖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물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의 기술적 해결방법으로는, 작두콩100g을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과 같은 알콜류 1000㎖에 넣어 냉각, 환류하면서 60°~80°에서 1~4시간 추출하고 200㎖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알콜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의 기술적 해결방법으로는, 작두콩 100g을 10% 폴리에틸레글리콜(PG) 함유 증류수 300㎖에 넣어 50°~6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한 작두콩 폴리에틸레글리콜(PG)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의 기술적 해결방법으로는, 작두콩 100g과 감초 100g을 알콜 1000㎖에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의 기술적 해결방법으로는, 작두콩 100g과 감초 25그램을 알콜 1000ml을 넣어 60°~80°에서 냉각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의 기술적 해결방법으로는, 작두콩 100g과 종대황 100g을 알콜 1000㎖을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종대황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작두콩 100g, 감초 100g 및 종대황 100g을 알콜 2000㎖을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및 종대황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두콩 100g, 감초 100g 및 오배자 100g을 알콜 2000㎖을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및 오배자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 실험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험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인자인 IgE의 생산을 억제하고 이차적으로 생기는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NO의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항염증을 개선할 수 있는 천연물을 검색한 결과, 상기와 같은 콩과식물인 도두가 항알러지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그 외에 감초, 종대황, 오배지 등이 효과가 우수하였다.
상기 작두콩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며, 학명은 Canavalia glaviata D.C이며, 약명은 작두콩, 칼콩, 도두라고도 한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다. 작은 잎은 달걀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정도이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다. 꽃은 연한 홍자색 또는 흰색이고,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자라서 총상으로 달린다. 꼬투리 끝이 굽어 있거나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고 길이 20~30㎝, 나비 5㎝ 내외이며 10개 내외의 콩이 들어있다. 콩은 3㎝ 정도이고, 한쪽에 긴 좌가 있으며 붉은 색 또는 흰색이다. 적색종은 꼬투리를 이용하고, 백색종은 콩을 주로 이용한다.
상기 작두콩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진남본초(眞南本草), 본초강목(本草綱目), 중약재수책(中藥材手冊), 사천중약지(四川中藥志), 동양전통약물 원색도감(東洋傳統藥物 原色圖鑑)에 의하면, 치질, 축농증, 중이염, 위염, 대장염 등에 큰 효과가 있다.
작두콩의 성분은 헤막글루티닌(heamagglutinin), 카나바닌(canavanine)이고, 어린 콩에는 카나발리아 지베렐린(Canavalia gibberellinⅠ,Ⅱ) 등이 들어있다.
그리고, 감초는 종합약용식물학(한국약용식물한 연구회 저, 2000)에 의하면, 세계에서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된 약용식물 및 건강식품의 하나로 고대 그리스나 중국에서도 알려져 있다. 특히 중국 북부 및 몽골, 시베리아 등에 널리 야생하는 다년생 초분으로 높이 30~70㎝에 이른다.
감초의 근경은 큰 원주상으로 사방으로 지하경을 내며 분지되는 근은 대단히 길다. 줄기는 직립하며 백색의 단모 및 선모가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기수 우상복엽으로 4-8 소엽이 있다. 꽃은 6~7월에 담자색으로 피며, 액생하는 화병의 선단에 밀집한다. 두과는 장타원형으로 낫 모양이다.
또한 감초의 성분으로는 지하경에 트리테르핀 사포닌(Triterpene saponin)으로 글리실히진(Glycyrrhizin), 글리실헤틱산(Glycyrrhetic acid), 글리실히직산(Glycyrrhizic acid) 외에도 이소플라본(Isoflavone)으로 리퀴리틴(Liquilitin), 이소리퀴리틴(Isoliquilitin), 리퀴리티제닌(Lizuilitige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대황은 종합약용식물학(한국약용식물한 연구회 저, 200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남부 시베리아 및 몽고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근경이 매우 비대하며 황색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5m 에 이른다. 잎은 넓고 갈라지지 않으며 근엽은 모여 나며 포엽이 있고 원추화서가 줄기 끝에 황색으로 핀다. 과실은 견과로서 3개의 날개가 있다.
그리고 종대황의 성분으로는 안티라퀴논(Anthraquinone)계 화합물인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이모딘(Emodin), 레인(Rhein) 등과 그 배당체외에 스틸벤(Stilbene) 화합물로 라폰티킨(Rhaponticin), 3,5-다이하이드록시-4-메톡시스틸벤 글리코사이드(3,5-dihydroxy-4-methoxystilbene glycoside), 피세이드(pice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두와, 효과가 우수했던 천연유래의 식품을 첨가하여 항알러지 및 항염증의 상승효과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두의 추출물과, 도두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및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두 함유 제품을 그 자체의 분말로써 또는 이를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제품의 물 또는 알콜 등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화장품의 이외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음료 조성물에서 이 생물전환 사포닌은 건조물로서 1회 복용량을 기준으로 50~2000㎎, 바람직하게는 250~500㎎을 함유하는 것이며, 외용제로는 %의 PG에 0.1~10% 함유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1%~5% 함유하는 것이다.
실험 예1: RBL-2H3 세포에서 항알러지 효과
RBL-2H3 세포(Rat mast cell line)를 1% 어린 소 혈청(fetal bovine serum)과 L-글루타민(glutamine)을 포함하는 둘베코(Dulbeccos)에 의해 수정된 이글(Eagle)의 배지(Du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이하 DMEM라 칭함)을 이용하여 37℃, 수분이 있는 5% CO2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하며, 고착성을 갖는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 용액을 사용하여 부유시키며 이를 분리, 회수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RBL-2H3 세포를 24 웰(well)에 각각 5×105cell/well씩 분주한 후 쥐의 단일세포의 인(monoclonal)에 IgE0.5㎍/㎖를 넣어 12시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시키면서 증감시켰다. 세포를 0.5㎖의 시라가니안(siraganian) 완충제(119mM NaCl, 5mM KCl, 0.4mM MgCl2, 25mM PIPES, 40mM NaOH, pH7.2)로 씻어준 후 0.16㎖의 시라가니안(siraganian) 완충제(5.6mM 글루코즈(glucose), 1mM CaCl2, 0.1%BSA를 첨가)를 넣은 다음 37℃에서 10분간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작두콩 추출물 및 작두콩을 함유하는 추출물 시료 0.04㎖를 가한 다음 20분 경과한 후에 0.02㎖의 안티겐(antigen)(DNP-BSA(dinitrophenol-bovineserum albumin) 1㎍/㎖)으로 37℃에서 10분간 세포를 활성화 시킨 다음 2000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0.025㎖의 상등액을 96웰(well)로 옮겼다. 여기에 0.1M 시트레이트(citrate) 완충제 pH 4.5에 p - 니트로페닐(nitrophenyl) - N - 아세틸(acetyl) - β- D - 글루코사미나이드(glucosaminide)를 넣어 만든 p - NAG 0.025㎖의 기질액 1mM 가한 후 37℃에서 60분간 배양시킨 다음 0.1M Na2CO3/NaHCO30.2㎖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405nm에서 엘리사 관측기(ELISA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작두콩 및 작두콩 함유 조성물의 RBL-2H3 세포의 탈과립 억제 효과
내용물 50% 저해율농도 (㎍/㎖)
1 감초물추출물 >200
2 감초알콜추출물 >200
3 종대황물추출물 >200
4 종대황알콜추출물 100
5 글리치리진 128
6 작두콩물추출물 >200
7 작두콩알콜추출물 190
8 작두콩 폴리에틸레글리콜 추출물 48
9 작두콩:감초=1:1인 혼합물 110
10 작두콩:감초= 4:1인 혼합물 176
11 작두콩:종대황=1:1인 혼합물 148
12 작두콩, 감초, 종대황의 혼합물 78
13 작두콩, 감초, 오배자의 혼합물 71
14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1:1인 혼합물 >200
15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4:1인 혼합물 >200
16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대황물추출물=1:1:1 >200
17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오배자추출물=1:1:1 >200
18 작두콩물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200
19 작두콩물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4:1 >200
20 작두콩PG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38
21 작두콩알콜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110
22 작두콩알콜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 추출물=4:1 151
23 Disodium cromolycerate 225
실험 예2: RAW 264.7의 nitrite 생산억제(항염증) 효과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았으며, 10%FBS와 l-글루타민(glutamine)이 함유된 DMEM배지,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일주일에 2~3번 정도 계대한다.
RAW 264.7 세포(3×105cells/well)를 24 웰(well) 플레이트(plate) 에 분주하고 하루 동안 배양한 후 리포플리사카라이드(lipoplysaccharide)(1㎍/㎖)와 시료를 처리한다. 24시간 후 원심분리하고 취한 상등액 0.15㎖을 96웰(well) 플레이트(plate)에 옮긴 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0.2% 나프틸에틸렌(naphthylethylene) 다이아민(diamine) D.W : 10% H3PO4안의 2% 설파미라마이드(sulfamilamide)=1:1) 0.15㎖를 놓고 엘리사 관측기(ELISA reader) 540㎚에서 측정하였다.
작두콩 및 작두콩 함유 조성물의 RAW 264.7에서 질소(nitrite) 생산억제(항염증)효과
내용물 50% 저해율농도 (㎍/㎖)
1 감초물추출물 >100
2 감초알콜추출물 >100
3 종대황물추출물 86
4 종대황알콜추출물 80
5 글리치리진 42
6 작두콩물추출물 16
7 작두콩알콜추출물 20
8 작두콩 폴리에틸레글리콜 추출물 21
9 작두콩:감초=1:1인 혼합물 30
10 작두콩:감초= 4:1인 혼합물 27
11 작두콩:종대황=1:1인 혼합물 35
12 작두콩, 감초, 종대황의 혼합물 34
13 작두콩, 감초, 오배자의 혼합물 32
14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1:1인 혼합물 16
15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4:1인 혼합물 14
16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대황물추출물=1:1:1 48
17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오배자추출물=1:1:1 46
18 작두콩물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29
19 작두콩물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4:1 17
20 작두콩PG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18
21 작두콩알콜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29
22 작두콩알콜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 추출물=4:1 19
23 Dexamethasone 25
실험 예3: 실험동물에서 항알러지 효과
이나가키(Inagaki) 등의 방법(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1988)에 따라 실시하면, 디니트로페놀(Dinitrophenol) 소 혈청단백질(Dinitrophenol-bovine serum albumin, 이하 DNP-BSA라 칭함.)에 대한 IgE 혈청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10ug를 에테르로 마취시킨 생쥐의 등에 주사하고 수동감작시키고 48시간 후 DNP-BSA 0.2㎎과 에반 블루(evans blue) 1.6㎎을 포함한 생리식염수 0.2㎖를 꼬리정맥에 주사하고 30분 후 경부탈골로 치사시켜 등에 누출된 에반 블루(evans blue) 색소량을 측정한다. 생쥐의 등의 일정부위를 잘라 시험관에 넣고 IN-KOH 0.7㎖를 넣고 37℃에서 하루 밤 동안 배양한다. 이 시험관에 0.6N 인산, 아세톤 혼합액(5:13)4㎖를 가한 다음 진탕하고 여과하여 추출된 색소를 620㎚에서 비색정량한다. 작두콩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한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용해 또는 현탁하여 경구 또는 복강으로 항원 투여 한 시간 전에 투여한다.
하기 표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작두콩추출물에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냈다. 물로 추출했을 때보다는 알콜로 추출하거나 PG로 추출했을 때, 항아럴지 효과가 우수하고, 여기에 감초와 같은 타 추출물를 첨가하였을 때는 우수한 항알러지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효과로 볼 때, 작두콩 함유 조성물은 우수한 항알러지 화장품, 또는 항알러지약품 또는 기능성식품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동적인 피부 애나필라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sis) 실험 모델 생쥐에서 작두콩 및 작두콩 함유 조성물의 항알러지 효과
내용물 투여용량(㎎/㎏) 저해율(%)
1 감초물추출물 200 35
2 감초알콜추출물 200 39
3 종대황물추출물 200 18
4 종대황알콜추출물 200 20
5 글리치리진 20 62
6 작두콩물추출물 200 49
7 작두콩알콜추출물 50 25
100 54
200 78
8 작두콩 폴리에틸레글리콜 추출물 - -
9 작두콩:감초=1:1인 혼합물 50 21
200 68
10 작두콩:감초= 4:1인 혼합물 50 38
100 72
11 작두콩:종대황=1:1인 혼합물 100 39
12 작두콩, 감초, 종대황의 혼합물 50 15
200 60
13 작두콩, 감초, 오배자의 혼합물 200 65
14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1:1인 혼합물 200 58
15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4:1인 혼합물 200 68
16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대황물추출물=1:1:1 200 45
17 작두콩물추출물:감초물추출물:오배자추출물=1:1:1 200 54
18 작두콩물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200 57
19 작두콩물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4:1 200 73
20 작두콩PG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 -
21 작두콩알콜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1:1 50 67
100 82
22 작두콩알콜추출물:감초글리치리진 추출물=4:1 50 40
100 81
23 Disodium cromolycerate 100 38
따라서,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실험결과를 보면, 작두콩, 종대황, 감추의 물추출물은 RBL-2H3 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았으나 염증에서 볼 수 있는 RAW 264.7 세포의 LPS로 유도된 NO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는 기존에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약물인 덱스아메타손(dexamethasone) 보다도 우수하여 항염증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좋은 항알러지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부족할 것이다.
반면, 상기 작두콩을 알콜 또는 PG로 추출하여 RBL-2H3 세포의 탈과립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염증에서 볼 수 있는 LPS로 유도한 RAW264.7 세포에서 유도되는 NO 생산을 작두콩 물추출물, 알콜추출물, PG 추출물이 억제하는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PG 추출물은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상기 작두콩에 감초를 여러 비율로 배합하여 알콜에서 추출한 조성물에 대한 실험한 결과, 역시 NO의 생산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효과는 항알러지에 수반되는 항염증 효과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적인 피부 애나필라시스(Passive cutaneous anaphylasis) 실험 모델 생쥐를 이용하여 작두콩 및 작두콩 함유 조성물에 대해 항알러지 효과, 역시 작두콩의 물추출물보다 알콜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효과가 우수한 것을 볼 수 있으며, 감초 또는 감초의 글리치리진분획물을 첨가한 경우 그 효과는 상승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작두콩과 글리치리진 알콜 분획물을 4:1로 첨가하는 경우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현재 약물로 사용하는 디소듐 크롬글리케이트(disodium cromglycate)가 하루 1회 2mg 정도 사용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아주 우수한 효과를 기대할수있을 것이다.
이상 실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두콩, 감초, 종대황의 추출물들이 각각 염증에서 볼 수 있는 RAW 264.7 세포의 LPS로 유도된 NO 생산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이에 의해 알러지를 유도하는 증상 등 IgE 생성을 억제하는 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작두콩 100g을 증류수 1000㎖에 넣어 80°~100°에서 1~4시간 추출하고, 200㎖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물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물추출물과 감초를 물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얻은 감초물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에탄올에 환류시키면서 2시간 추출하여 얻은액을 여과하여 얻은 농축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물추출물과 감초를 물로 추출하고 건조하여 얻은 감초물추출물을 4:1로 혼합하여 에탄올에 환류시키면서 2시간 추출하여 얻은액을 여과하여 얻은 농축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물추출물과 감초물추출물의 혼합 농축액에 대황을 물로 추출하여 건조하여 얻은 대황물추출물을 각각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염증 치료용 조성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물추출물과 감초물추출물의 혼합 농축액에 오배자를 물로 추출하여 건조하여 얻은 오배자추출물을 각각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물추출물과 감초를 글리치리진에 추출하여 얻은 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물추출물과 감초를 글리치리진에 추출하여 얻은 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을 4:1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8. 작두콩100g을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과 같은 알콜류 1000㎖에 넣어 냉각, 환류하면서 60°~80°에서 1~4시간 추출하고 200㎖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알콜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알콜추출물과 감초를 글리치리진에 추출하여 얻은 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알콜추출물과 감초를 글리치리진에 추출하여 얻은 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을 4:1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1. 작두콩 100g을 10% 폴리에틸레글리콜(PG) 함유 증류수 300㎖에 넣어 50°~6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한 작두콩 폴리에틸레글리콜(PG)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두콩 폴리에틸레글리콜(PG) 추출물과 감초를 글리치리진에 추출한 감초글리치리진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얻은 혼합액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3. 작두콩 100g과 감초 100g을 알콜 1000㎖에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염증 치료용 조성물.
  14. 작두콩 100g과 감초 25g을 알콜 1000㎖을 넣어 60°~80°에서 냉각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5. 작두콩 100g과 종대황 100g을 알콜 1000㎖을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종대황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6. 작두콩 100g, 감초 100g 및 종대황 100g을 알콜 2000㎖을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및 종대황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7. 작두콩 100g, 감초 100g 및 오배자 100g을 알콜 2000㎖을 넣어 60°~80°에서 냉각, 환류하면서, 1-4시간 추출하고 감압, 농축(Eyela Co., Japan)하여 분말화한 작두콩, 감초 및 오배자 혼합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8. 제 1 항, 제 8 항, 제 11 항, 제 13 항 내지 제 17 항에 있어서, 음료제품에 생물전화 사포닌이 건조물로써 1회 복용량을 기준으로 50㎎~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제품에는 250㎎~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20. 제 1 항, 제 8 항, 제 11 항, 제 13 항 내지 제 17 항에 있어서, 외용제에는 폴리에틸레글리콜(PG)의 0.1%~30%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에는 폴리에틸레글리콜(PG)의 1%~30%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1020030005294A 2003-01-27 2003-01-27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KR10056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294A KR100563329B1 (ko) 2003-01-27 2003-01-27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294A KR100563329B1 (ko) 2003-01-27 2003-01-27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764A true KR20040068764A (ko) 2004-08-02
KR100563329B1 KR100563329B1 (ko) 2006-03-27

Family

ID=3735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294A KR100563329B1 (ko) 2003-01-27 2003-01-27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3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20B1 (ko) * 2006-08-28 2007-05-11 주식회사 한빛코리아 알러지와 무좀균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59579B1 (ko) * 2004-11-12 2007-09-18 박희학 항암 효과를 가지는 작두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KR100832332B1 (ko) 2007-02-12 2008-05-2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101286467B1 (ko) * 2011-02-11 2013-07-23 환인제약 주식회사 천궁 및 종대황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9422A (ko) * 2019-06-04 2020-12-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염 조성물
KR102616141B1 (ko) * 2023-08-18 2023-12-19 정지영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18B1 (ko) * 2013-03-21 2014-12-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6487B1 (ko) * 2017-03-24 2019-07-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579B1 (ko) * 2004-11-12 2007-09-18 박희학 항암 효과를 가지는 작두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KR100717420B1 (ko) * 2006-08-28 2007-05-11 주식회사 한빛코리아 알러지와 무좀균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2332B1 (ko) 2007-02-12 2008-05-2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KR101286467B1 (ko) * 2011-02-11 2013-07-23 환인제약 주식회사 천궁 및 종대황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39422A (ko) * 2019-06-04 2020-12-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염 조성물
KR102616141B1 (ko) * 2023-08-18 2023-12-19 정지영 에이트 컴플렉스를 함유하여 피부 염증과 피부 가려움증을 개선하는 비건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329B1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stuti et al. Determination of saponin compound from Anredera cordifolia (Ten) Steenis plant (binahong) to potential treatment for several diseases
Rahmatullah et al. Antihyperglycemic and antinociceptive activity evaluation of methanolic extract of whole plant of Amaranthus Tricolor L.(Amaranthaceae).
KR101279598B1 (ko)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Savina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toxicological evaluation of the aqueous leaf extracts of Plectranthus amboinicus Lour. Spreng
JP7471393B2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CN107106622B (zh) 含有爵床属植物的提取物或部位的组合物
KR101940042B1 (ko) 곰보배추 및 홍삼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esai et al. Anacardium occidentale: Fountain of phytochemicals: The qualitative profiling
KR100563329B1 (ko) 알러지 및 염증 치료용 조성물
Tukur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the effect of methanolic leaves extract of Senna mimosoides on inflammatory Stimulus-Induced leukocyte mobilization (in-vivo)
Anowi et al. The phytochemical, antispamodic and antidiarrhoea proper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leaves of Buchholzia coriacea family Capparaceae
US20050202105A1 (en) Water soluble compositions derived from plant material and preparation thereof
WO2013177944A1 (zh) 一种组合物在制备防治过敏性疾病的保健品或药品中的用途
Padmavathi Chronic disease management with nutraceuticals
CN106928376B (zh) 山茱萸多糖的分离方法及其应用
LU500041B1 (en) Preparation Method of Highly Active Total Flavonoids of Hedyotis Diffusa Willd and Applications Thereof in Peroxidative Liver Injury
Meng et al. Gymnadenia conopsea (L.) R. Br.: Comprehensive review of propagation and breeding, traditional uses, chemical composition, pharmacology, quality control, and processing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Anisuzzaman et 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Senna obtusifolia Linn.: A Medicinal Plant of Bangladesh
Rashid Detection of insulin-like protein and some active compounds in Bauhinia variegata Linn. leaf ethanolic extracts and the effect in reducing blood glucose levels in Mice
CN110279758A (zh) 一种牡丹叶干粉及其制备方法与作为黄嘌呤氧化酶抑制剂的应用
KR102366763B1 (ko) 호흡기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US20070020346A1 (en) Botanical anticancer formulations
Olugbenga et al. Toxicological activity of crude saponin extract of Ficus platyphylla
CN107281235A (zh) 腊梅属植物抗流感病毒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