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815A -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815A
KR20200053815A KR1020180137164A KR20180137164A KR20200053815A KR 20200053815 A KR20200053815 A KR 20200053815A KR 1020180137164 A KR1020180137164 A KR 1020180137164A KR 20180137164 A KR20180137164 A KR 20180137164A KR 20200053815 A KR20200053815 A KR 2020005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weight
effect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833B1 (ko
Inventor
이은영
이삼형
허정미
최성규
이동현
이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케이코스메틱
주식회사 더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케이코스메틱, 주식회사 더마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케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13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데노신 0.001~0.04 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0.1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1~0.1 중량%; 및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 복합추출물 0.001 ~ 2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효과, 피부 재생효과, 피부 자극 완화 및 진정효과, 염증 억제 및 완화를 통한 면역강화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taining a peptide}
본 발명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효과가 있고, 피부 자극 완화 및 진정효과, 염증 억제 및 완화를 통한 면역강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으로 신체에 생리적 변화가 발생하여 신체 전반적으로 현저한 퇴화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 우리가 가장 쉽게 느낄 수 있는 것이 피부 노화로 이는 당뇨병, 심장병, 동맥경화, 치매, 암 등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개인차가 있지만 피부노화는 대개 20대 초반을 전후해서 시작되어 나이가 많아지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기관을 온도 및 습도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 외부로부터 가해진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영양결핍, 자외선, 환경 오염물질, 급격한 기온의 변화등과 같은 세포를 손상시키는 세포손상자극들에 의하여 세포내의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가 유도되면 피부 외관에 기미, 주근깨, 잡티, 탄력손실, 각질화, 주름생성과 같은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피부노화 현상 중 주름이 형성되는 원인은 자연적 노화에 의한 주름의 생성과 자외선 노출(광노화)에 의한 주름의 생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자연적 노화와 광노화에 의한 피부변화와 관련되어 발견되는 공통적인 현상에 관하여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 및 변형이 주름의 생성 및 피부의 탄력저하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콜라겐의 감소가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피부 주름 및 노화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콜라겐 생성 등을 통한 피부 재생 작용이 필요하다.
게다가, 이러한 피부노화 현상 외에도 피부는 체내에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및 물리적 작용에 의해 발생된 손상 부위를 재생하려는 기전으로 염증반응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염증반응은 유해한 자극, 감명 및 외상 등에 의한 염증이 발현되면 국소적으로 염증성 성분과 같은 혈관 활성물질이 유리되어 유발되며, 이와 같은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함에 따라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여러 질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피부에 있어 염증반응의 결과로 분비되는 효소들은 주변 세포나 조직을 파괴하고 손상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의 콜라겐 섬유 및 탄력 섬유가 파괴되는 등 피부 노화의 원인이 된다.
한편, 염증반응은 외부 자극 물질이나 세균 감염 등에 대한 방어작용으로, 대식세포(macrophage)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반응에서 중요하다. 염증반응 시 NO(Nitric Oxide), PGE2(Prostaglandins E2),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β(Interleukin-1β), IL-6(Interleukin-6), IL-10(Interleukin-10)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유도 사이토카인이 생성되고, 이들 염증유도 사이토카인은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서 세균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도록 도와준다(Lim et al.,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32(3) 199-206, 2011). 하지만, 지속적이고 과도한 염증반응은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 면역 질환의 원인이 된다. 피부 면역질환의 일종인 아토피 피부염은 피부 건조증, 심한 가려움증(소양증), 발진, 염증 발생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데, 이 같은 증상들의 완화를 통한 피부면역강화를 통해 개선 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보호 및 피부 개선 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천연물들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제조된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보호 및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69422호(2017.08.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65837호(2018.06.08.)
본 발명은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재생, 피부 자극 완화 및 진정효과, 면역강화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아데노신 0.001~0.04 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0.1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1~0.1 중량%; 및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 복합추출물 0.001 ~ 2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가 각각 1~10:1~10: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0001~0.001 중량%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0.00001~0.001 중량%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용, 피부 재생용,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용, 또는 피부 면역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 피부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완화, 면역강화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펩타이드와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 천연복합추출물을 함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우에 우수한 피부 개선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아데노신 0.001~0.04 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0.1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1~0.1 중량%; 및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 복합추출물 0.001 ~ 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유효성분 중 하나인 아데노신(Adenosine)은 아데닌(adenine)과 리보스(ribose)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뉴클레오사이드로 동물, 식물 등 모든 생명체의 세포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계열의 단백질 성분이다. 주름개선 및 노화방지를 위해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은 아미노산 구조체로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등의 합성 증진, 피부 노화와 피부 수분 손실 등을 방지한다.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은 신경전달을 조절하는 기작이 보톡스 단백질과 유사하기 때문에 보톡스 펩타이드라고도 불리는 성분으로 피부 탄력효과를 단시간에 나타낸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가 각각 1~10:1~10: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은행나무 잎은 은행엽(銀杏葉)은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잎으로, 은행잎에서 추출한 성분은 예로부터 심장과 혈전에 좋다고 알려져 약차로 사용한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부채 모양의 잎에 가장자리에 톱니를 두른 형태를 띤다. 인도에서는 호랑이가 상처를 치유하기위해 풀위에서 뒹구는 것을 보고 호랑이풀이라고도 한다. 오래전부터 염증, 종양, 궤양 등의 상처를 치료하는데 사용했고, 피부염, 피부손상 및 상처 치유에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제조에는 병풀의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고삼(苦蔘)은 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 Nakai)의 뿌리로 청열조습(淸熱燥濕), 습진(濕疹), 습창(濕瘡), 피부소양(皮膚搔痒)의 효능이 있고, 피부가려움증과 농포창, 옴이나 버짐 등에 활용된다.
당귀(當歸)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당귀(當歸, Angelica sinensis Dies)의 뿌리이나, 국내에서는 당귀(土當歸, Angelica gigas Nakai)와 일당귀(Angelica acutiloba S. et Z.)를 약용한 것으로, 보혈활혈(補血活血), 조경지통(調經止痛), 윤장통변(潤腸通便)의 효능이 있고, 단백질합성을 촉진, 혈류량을 촉진, 적혈구생성을 왕성, 항염증작용, 진통작용이 있다.
녹차는 차나무과의 상록성 떨기나무인 차나무(Thea sinensis L.)의 잎으로, 청두목(淸頭目), 제번갈(除煩渴), 화담(化痰), 소식(消食), 이뇨(利尿),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고, 간기능을 활성화, 해독작용을 한다.
칼란코에(Kalanchoe)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열대의 다육질의 식물로서 125종으로 이루어진 한 속(屬)이며, 칼란코에 가스토니스-본니에리(Kalanchoe Gastonis-Bonnieri), 에어플랜트(Kalanchoe Pinnata) 등이 포함된다. 칼란코에는 감염과 염증치료에 사용해왔고 살균작용 및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복합추출물의 제조에는 칼란코에의 잎 또는 전초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를 각각 1~10:1~10: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다. 추출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0001~0.001 중량%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0.00001~0.001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더욱 우수한 피부개선활성을 나타낸다.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은 상피 세포성장 인자로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는 인자로서 피부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새로운 세포의 생산을 촉진하며 체내에서 53개의 아미노산으로부터 형성되는 단백질의 일종이다. 상처치유, 세포증식 촉진, 피부 재생 등의 작용을 한다.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sh-Oligopeptide-2)는 성장인자의 하나로 다양한 세포의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고, 피부 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돕는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은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자극하여 피부 재생 및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는 혈관의 신생과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는 성장인자로 세포에 영양공급을 통해 피부 재생과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sh-Polypeptide-11)은 피부 세포를 자극하여 피부의 재생과 피부의 회복을 돕는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펩타이드류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께 함유하는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시험예 3), 엘라스틴 분해 억제효과(시험예 4), 피부재생효과(시험예 5), NO 생성억제 효과(시험예 6), 피부자극완화 및 진정효과(시험예 7)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타이드 혼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제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마스크팩을 포함한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오일, 클렌징 워터,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적용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 7: 천연복합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 잎을 하기 표 1의 중량비율로 혼합 한 후, 건조 중량의 20배가 되는 정제수에서 100℃에서 2시간 환류 추출하여 천연복합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천연물 제조예
1 2 3 4 5 6 7
은행나무 잎 1 1 3 5 7 9 10
병풀 1 3 7 9 5 2 1
고삼 1 2 10 7 3 5 9
당귀 1 5 3 9 10 7 2
녹차 1 10 5 2 9 3 7
칼란코에 1 9 7 10 5 2 3
시험예 1: 천연복합추출물의 피부 재생 효과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제조예 1 ~ 7)의 피부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ound healing assay를 수행하였다. 각질형성세포(HaCaT cell)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cells/well로 조절한 후 6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 well plate에 가득 자란 세포에 스크래치를 내어 세포의 일부분을 6 well plate 바닥에서 떨어지게 한 뒤, 상기 제조예의 시료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세포가 재생된 정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 재생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대조군에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았다.
세포 재생율(%) = (시료 세포 재생율/대조군 세포 재생율) × 100
시료명 처리농도(W/V, %) 세포 재생율(%)
제조예 1 0.5 81.1
제조예 2 0.5 80.2
제조예 3 0.5 80.4
제조예 4 0.5 80.1
제조예 5 0.5 80.2
제조예 6 0.5 80.1
제조예 7 0.5 80.3
무처리 대조군 - 60.2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예의 천연복합추출물에서 세포 재생효과가 나타났으며, 제조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천연복합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천연복합추출물(제조예 1 ~ 7)의 염증 억제 및 완화를 통한 피부 면역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 관련 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염증반응매개 물질인 NO(Nitric Oxide)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RAW264.7(Macrophase cell)이며 37℃, 5%의 CO2, 10%의 Fetal bovine serum(FBS, Lonza), 50μg/mL의 streptomycin(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00ng/mL를 처리한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LPS를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NO의 생성양은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였으며, 표 3에 정리하였다.
시료 농도
(㎍/㎖)
NO 생성양(μM)
제조예
1 2 3 4 5 6 7
0 62.0 62.0 62.0 62.0 62.0 62.0 62.0
100 55.7 57.1 57.3 57.5 57.4 57.2 57.3
500 48.5 49.3 49.4 49.5 49.5 49.6 49.5
1000 41.3 42.4 42.3 42.5 42.6 42.4 42.7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예의 천연복합추출물에서 NO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제조예 1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4: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
아데노신, 펩타이드 및 천연복합추출물을 하기 표 4의 함량비로 함유하는 액상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아데노신 0.001 0.01 0.001 0.02 0.001 - 0.001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 0.005 0.0001 0.005 0.0001 - 0.0001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1 0.002 0.0001 0.003 0.0001 - 0.0001
복합추출물(제조예 1) 1.0 1.0 1.0 1.0 - 1.0 -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 - 0.00001 0.0001 - - 0.0000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 - 0.00001 0.0002 - - 0.0000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 - 0.00001 0.0002 - - 0.0000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 - - 0.00001 0.0001 - - 0.00001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 - 0.00001 0.0003 - - 0.00001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5.0
1,2-헥산다이올 3.0 3.0 3.0 3.0 3.0 3.0 3.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3: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시험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CCD-986sk cell)를 48-well plate에 1×105cells/well되게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serum이 없는 DMEM 배지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더 배양하여 세포 배양액을 취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 콜라겐 양은 procollagen type I C-peptide (PIP) EIA kit(Takara Bio, Japan)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측정된 콜라겐 양은 Lowry assay로 구한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콜라겐 발현율은 하기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Collagen발현율(%) = (시료처리 collagen발현양/대조군 collagen발현양) × 100
시료 농도
(㎍/㎖)
Collagen 발현율(%)
비교예 실시예 Ascorbic acid
1 2 3 1 2 3 4
0 2.61 2.61 2.61 2.61 2.61 2.61 2.61 2.61
100 30.39 25.29 30.97 41.30 46.45 42.97 47.85 41.21
500 50.94 46.55 51.42 58.35 63.40 59.88 64.71 58.11
1000 84.89 81.31 85.39 95.17 98.21 95.82 98.80 95.03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4는 아데노신, 일부 펩타이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 3 보다 높은 collagen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의 주름을 예방하며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탄력 개선 효과 확인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액상 조성물의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lastase inhibi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200mM Tris-HCl Buffer(pH 8.8)에 0.1g의 Elastin-Congo red(Sigma)와 2.5g의 agar를 섞은 뒤 멸균하여 petri dish에 부어 굳혀주었다. 배지가 굳은 뒤 hole을 만들어주고 1800 units/mL의 elastase enzyme solution과 시료를 각각 10 uL를 준비하여 혼합 후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시킨 시료를 10uL 취하여 elastin-congo red agar의 hole에 넣어 주고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뒤 halo diameter를 측정하였다. 대조예로서 retinol crystal을 엘라스타제와 함께 적가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농도(W/V, %) Halo diameter(cm)
실시예 1 0.1 1.2
실시예 2 0.1 1.0
실시예 3 0.1 1.1
실시예 4 0.1 0.9
비교예 1 0.1 1.5
비교예 2 0.1 1.6
비교예 3 0.1 1.5
Elastase 0.1 1.9
Retinol Crystal 0.1 0.8
헤일로 직경(Halo diameter)이 클수록 엘라스틴의 분해가 많이 된 것 으로,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0.1(wt/v)% 농도에서 시험한 실시예 모두에서 비교예 보다 높은 엘라스틴 분해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함으로써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피부세포 재생 효과 확인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액상 조성물의 피부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ound healing assay를 수행하였다. 각질형성세포(HaCaT cell)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cells/well로 조절한 후 6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 well plate에 가득 자란 세포에 스크래치를 내어 세포의 일부분을 6 well plate 바닥에서 떨어지게 한 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세포가 재생된 정도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세포 재생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대조군에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았다.
세포 재생율(%) = (시료 세포 재생율/대조군 세포 재생율) × 100
시료명 처리농도(W/V, %) 세포 재생율(%)
실시예 1 0.5 86.5
실시예 2 0.5 90.3
실시예 3 0.5 87.8
실시예 4 0.5 91.2
비교예 1 0.5 81.5
비교예 2 0.5 80.8
비교예 3 0.5 81.9
무처리 대조군 - 60.6
상기 표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동일 농도 처리 시, 본 발명 실시예 조성물은 비교예 조성물 보다 우수한 세포 재생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NO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염증 억제 및 완화를 통한 피부 면역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면역 관련 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염증반응매개 물질인 NO(Nitric Oxide)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RAW264.7(Macrophase cell)이며 37℃, 5%의 CO2, 10%의 Fetal bovine serum(FBS, Lonza), 50μg/mL의 streptomycin(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00ng/mL를 처리한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대조구로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고 LPS를 처리한 세포를 사용하였다. NO의 생성양은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구하였으며, 표 8에 정리하였다.
시료 농도
(㎍/㎖)
NO 생성양(μM)
비교예 실시예
1 2 3 1 2 3 4
0 61.5 61.5 61.5 61.5 61.5 61.5 61.5
100 55.4 55.8 55.2 45.8 43.6 45.1 42.9
500 47.7 48.8 47.9 38.0 37.5 38.2 36.9
1000 40.2 41.4 40.3 29.7 28.5 29.3 28.0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 4의 조성물은 비교예 보다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 조성물은 염증 억제를 통한 면역강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 6: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1, 3의 액상 조성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하기 표 9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대조예 실시예 5 실시예 6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 함유 조성물(실시예 1) - 3.0 -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 함유 조성물(실시예 3) - - 3.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0
스테아릴알콜 2.2 2.2 2.2
스테아린산 1.5 1.5 1.5
밀납 1.0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0.6 0.6
정화식물유 1.0 1.0 1.0
스쿠알란 3.0 3.0 3.0
광물유 5.0 5.0 5.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디메치콘 1.0 1.0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0.1 0.1
글리세린 5.0 5.0 5.0
베타인 3.0 3.0 3.0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4.0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7: 피부 자극 완화 및 진정 효과 확인
현재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20 내지 3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완의 안쪽 부위에 테입 스트리핑 법(Tape Stripping Method)을 통한 피부자극을 유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크림과 이를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도포하여 유발된 자극이 진정되는 정도를 상태평가 하였다. 먼저 하완의 안쪽 부위 두 곳에 일반 스카치 테입으로 30회 테이핑을 하여 피부 홍반을 유발하였다. 홍반 유발된 후,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5, 6)을 도포 하였으며, 이를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대조예)을 도포하였다. 도포 후 3시간 후 피부 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 자극정도(홍반) 평가>
0(무반응) 1(매우 경미한 홍반 흔적) 2(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3(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4(뚜렷한 홍반) 5(심한 홍반)
시료명 피부자극정도
대조예 1 1
실시예 5 0 0
실시예 6 0 0
상기 표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 및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 6의 크림 조성물은 이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예에 비해 피부 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로써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 8: 유연 화장수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하기의 표 11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7 실시예 8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 함유 조성물(실시예 1) 2.0 -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 함유 조성물(실시예 3) - 2.0
1,3-부틸렌 글리콜 5.2 5.2
올레일알코올 1.5 1.5
에탄올 3.2 3.2
폴리솔베이트 20 3.2 3.2
벤조페논-9 2.0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1.0
글리세린 3.5 3.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to 100 to 100
실시예 9 ~ 10: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본 발명의 펩타이드와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 화장수를 하기 표 12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9 실시예 10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 함유 조성물(실시예 1) 2.0 -
펩타이드 및 복합추출물 함유 조성물(실시예 3) - 2.0
글리세린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3.0
유동파라핀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스쿠알란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폴리솔베이트 20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to 100 to 100

Claims (7)

  1. 아데노신 0.001~0.04 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 0.0001~0.1 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01~0.1 중량%; 및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 복합추출물 0.001 ~ 20 중량%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은행나무 잎, 병풀, 고삼, 당귀, 녹차 및 칼란코에가 각각 1~10:1~10:1~10:1~10:1~10:1~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01~0.001 중량%,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0001~0.001 중량%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1 0.00001~0.001 중량%를 더욱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 및 진정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재생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면역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37164A 2018-11-09 2018-11-09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7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164A KR102147833B1 (ko) 2018-11-09 2018-11-09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164A KR102147833B1 (ko) 2018-11-09 2018-11-09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815A true KR20200053815A (ko) 2020-05-19
KR102147833B1 KR102147833B1 (ko) 2020-08-25

Family

ID=7091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164A KR102147833B1 (ko) 2018-11-09 2018-11-09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8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887B1 (ko) * 2022-04-11 2022-08-19 (주)벨슨 피부용 화장품 및 식용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건강 개선용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2464256B1 (ko) * 2021-11-29 2022-11-10 (주)포아워스킨 피부진정 및 피부장벽강화를 위한 바이오셀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셀 마스크팩
KR102534424B1 (ko) * 2022-05-13 2023-05-18 심현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상처 치료용 TCL-10 약학적 조성물
KR102652813B1 (ko) * 2024-01-22 2024-03-29 주식회사 비비엘 바이오코스메틱스 Nk세포배양액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226B1 (ko) * 1992-12-24 2001-11-22 조지안느 플로 폴리페놀및은행추출물을포함하는화장품또는약물조성물
KR20030061847A (ko) * 2000-12-15 2003-07-22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피부노화방지 조성물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79896A (ko) * 2012-12-20 2014-06-30 완주군 칼랑코에 가스토니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2531A (ko) * 2013-06-04 2014-12-12 주식회사 에이치엘엠씨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69419B1 (ko) *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65837B1 (ko) 2016-12-29 2018-06-08 (주)보노톡스 즉각적으로 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갖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2759A (ko) * 2016-12-01 2018-06-11 (주)골드파파스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226B1 (ko) * 1992-12-24 2001-11-22 조지안느 플로 폴리페놀및은행추출물을포함하는화장품또는약물조성물
KR20030061847A (ko) * 2000-12-15 2003-07-22 가부시끼가이샤 야구르트혼샤 피부노화방지 조성물
KR20080101821A (ko) * 2008-08-27 2008-11-21 김선일 홍화 분획물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79896A (ko) * 2012-12-20 2014-06-30 완주군 칼랑코에 가스토니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2531A (ko) * 2013-06-04 2014-12-12 주식회사 에이치엘엠씨 칼란코에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69419B1 (ko) *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22B1 (ko)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80062759A (ko) * 2016-12-01 2018-06-11 (주)골드파파스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5837B1 (ko) 2016-12-29 2018-06-08 (주)보노톡스 즉각적으로 주름이 펴지는 효과를 갖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센시아 리바이탈라이징 세럼*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256B1 (ko) * 2021-11-29 2022-11-10 (주)포아워스킨 피부진정 및 피부장벽강화를 위한 바이오셀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셀 마스크팩
KR102432887B1 (ko) * 2022-04-11 2022-08-19 (주)벨슨 피부용 화장품 및 식용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건강 개선용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2534424B1 (ko) * 2022-05-13 2023-05-18 심현철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및 상처 치료용 TCL-10 약학적 조성물
KR102652813B1 (ko) * 2024-01-22 2024-03-29 주식회사 비비엘 바이오코스메틱스 Nk세포배양액을 포함하는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833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33B1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535652A (zh) 一种光感赋活原液及其制备方法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70002409A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4158A (ko) 아쿠아포닉스 재배기술을 이용한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101459742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7052B1 (ko) 선복화 단백다당체 또는 선복화 올리고당/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