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881A -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881A
KR20120103881A KR1020110021811A KR20110021811A KR20120103881A KR 20120103881 A KR20120103881 A KR 20120103881A KR 1020110021811 A KR1020110021811 A KR 1020110021811A KR 20110021811 A KR20110021811 A KR 20110021811A KR 20120103881 A KR20120103881 A KR 2012010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steam
pressure
cooking
pressur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518B1 (ko
Inventor
오홍균
Original Assignee
오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홍균 filed Critical 오홍균
Priority to KR102011002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5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제공된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조리공간과 설치공간으로 구획된 본체; 상기 조리공간 내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구이통과 타공관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와 연통을 이루며, 상기 구이통의 전면에 통공을 갖는 밀착편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스팀유입관과 배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관의 내부에 선반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부가 마련된 구이실; 상기 구이통과 타공관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이 인가시 열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히터;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유입관과 제1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이통으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기;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과 제2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된 잔여물 저수조; 상기 히터와 스팀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조리공간의 전면에 설치되어 구이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빠르고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 과정에서 구이용 재료가 갖는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으며, 구이통 내부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steam type roasting devices heated by hegh pressure}
본 발명은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이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의 자유로운 온도설정을 통해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각각의 조건에 맞게 빠르고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시 청정한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구이용 재료가 갖는 고유의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도록 한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또는 어류 등과 같은 구이재료를 굽는 구이기는 그 구조의 형태나 연료의 종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구이기의 대체적인 종래 구성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스, 기름, 숯 등을 연료로 하여 연소하는 연소기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 연소기의 상부에는 별도의 구이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소기에 의해 연소하는 열원으로 구이재료를 굽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이기의 구성은 연소기에 발생하는 열원이 그 상부에 위치되는 구이재료를 가열하여 굽는 방식이거나 또는 석쇠형의 구이판에 올려진 구이재료를 직화열로 직접 굽는 방식임에 따라 구이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기를 수시로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구이 재료가 골고루 구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종래 가열조리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팀을 통해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조리장치(이하 '스팀오븐'이라 함)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팀오븐을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식품의 맛을 유지할 수 있고 조리실 내에 가득 찬 스팀이 효과적인 열전달매체로 작용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스팀오븐은 일반적으로 물을 저수하기 위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 및 상기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장치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조의 내부로 공급한 후 정지되고, 상기 가열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저수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발생한 스팀은 조리실로 공급되어 조리실 내의 구이재료가 구워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스팀오븐은 구이재료를 선정함에 있어 많은 제약이 있었다.
즉, 구이재료는 그 종류에 따라 구워지는 설정온도가 서로 달라 다양한 구이재료들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조리실 내부의 설정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해야 했으나, 종래 스팀오븐은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스팀오븐을 이용하여 조리된 음식은 그 구이재료가 갖는 독특한 미감이 변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스팀오븐을 이용하여 구이재료에 열을 가하면, 그 구이재료 내에 포함된 수분 또는 기름이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와 같이 구이재료에서 빠져나온 수분 또는 기름은 종래 스팀오븐의 구조 특성상 소정량은 증발하고 나머지는 저수조로 유입되어 다시 스팀으로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스팀오븐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한 후 그 스팀오븐에 다른 구이재료를 조리할 경우 그 전에 조리한 구이재료의 수분 또는 기름이 스팀이 되어 새로운 구이재료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스팀오븐은 조리실 내부가 쉽게 오염되어 사용과정에서 잦은 청소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구이재료를 조리하면서 증발하는 구이재료 내의 수분 또는 기름은 조리실 내벽에 기름때 형태로 쌓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이실을 이루는 구이통과 타공관 사이 공간에 외부전원이 인가시 발열하는 다수개의 히터를 더 설치하여 스팀발생기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이를 통해 익힘 온도가 다른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통에 형성된 스팀유입관을 통해 외부에서 상시 청정한 상태의 고압스팀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연속해서 조리하더라도 구이용 재료가 갖는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도록 한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이용 재료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고압의 스팀과 히터의 열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구이용 재료의 내부로 열 침투가 용이하여 구이용 재료를 균일하게 익힐 수 있음은 물론,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히터를 통해 공급되는 열과 스팀발생기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구이통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구이통 내부를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구이통 내부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이용 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이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조리공간과 설치공간으로 구획된 본체;
상기 조리공간 내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구이통과 타공관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와 연통을 이루며, 상기 구이통의 전면에 통공을 갖는 밀착편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스팀유입관과 배출관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관의 내부에 선반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부가 마련된 구이실;
상기 구이통과 타공관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이 인가시 열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히터;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유입관과 제1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이통으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기;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과 제2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된 잔여물 저수조;
상기 히터와 스팀발생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조리공간의 전면에 설치되어 구이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이통에는 구이통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수치를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압력게이지와, 상기 구이통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통해 동작하는 체크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이통에는 구이통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팀유입관에는 구이통으로 공급되는 스팀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이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스팀발생기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를 구이실 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히터를 통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익힘 온도가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이용 재료를 익히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구이 과정에서 구이용 재료가 갖는 고유의 맛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히터와 스팀발생기를 통해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구이통 내부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중 구이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중 구이실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요부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중 구이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중 구이실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구이실(120)과, 상기 구이실 내에 설치된 히터(130)와,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된 스팀발생기(140)와, 상기 스팀발생기(140)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잔여물 저수조(150)와 상기 히터(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및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10)는 구이장치를 이루는 기본 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그 상부에 조리공간(113)이 마련되고, 그 하부에 설치공간(115)이 마련되며, 상기 조리공간(113)과 설치공간(115)은 격벽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리공간(113)의 전면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이실(120)은 조리하기 위한 구이용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구이실(120)은 상기 조리공간(113) 내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구이통(121)과 타공관(122)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이통(121)은 그 전방이 상기 개구부(111)와 연통을 이루고, 그 후방이 막혀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타공관(122)은 상기 구이통(121)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이통(121) 내에 위치되며, 그 전방이 상기 개구부(111)와 연통되고, 그 후방이 상기 구이통(121)의 후방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이통(121)은 그 전면에 통공(123)을 갖는 밀착편(124)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밀착편(124)은 상기 구이통(121)과 타공관(122)의 사이 공간을 마감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공(123)은 상기 타공관(122)과 연통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통(121)은 그 하부에 스팀유입관(125)과 배출관(126)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관(122)은 그 내부에 선반(127)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부(128)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히터(130)는 상기 구이실(120)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구이용 재료를 익히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히터(130)는 상기 구이통(121)과 타공관(122)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이 인가시 열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130)는 도 4에서 6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그 실시예에 따라 그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히터(130)는 외부 전원이 인가시 발열작용을 하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140)는 상기 구이실(120) 내부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구이용 재료를 익히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스팀발생기(140)는 상기 설치공간(115)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유입관(125)과 제1 연결호스(141)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기(140)는 물을 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잔여물 저수조(150)는 구이용 재료가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 기름과 같은 이물질을 모으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잔여물 저수조(150)는 상기 설치공간(115)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26)과 제2 연결호스(151)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히터(130)와 스팀발생기(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한편, 상기 도어(170)는 상기 조리공간(113)의 전면에 설치되어 구이실(120)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도어(170)는 본체(11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도어(171)와, 상기 밀착편(124)을 가압하여 구이실(120)을 밀폐하기 위한 가압도어(17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메인도어(171)는 그 전방에 연결편(172)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편(172)의 내측에 잠금손잡이(173)가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잠금손잡이(173)의 단부에 나선부(175)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메인도어(171)는 잠금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110)와 선택적으로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도어(177)는 그 전방에 상기 나선부(175)가 삽입되는 나선홈(179)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손잡이(173)를 회전하면, 상기 나선부(175)와 나선홈(179)의 결합과정에서 가압도어(177)가 전, 후방으로 이동하며, 그 과정에서 가압도어(177)가 구이실(120)을 밀폐 또는 개방한다.
한편, 상기 구이통(121)에는 구이통(12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수치를 상기 제어부(160)로 전송하기 위한 압력게이지(10)와, 상기 구이통(121)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기 하기 위한 체크밸브(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0)의 개폐동작은 제어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구이실(120)의 내부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설정압력 이상으로 오르면, 상기 체크밸브(20)로 신호를 전송하여 체크밸브(20)를 개방하고, 상기 구이실(120)의 내부 압력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설정압력 내에 있으면, 상기 체크밸브(20)로 신호를 전송하여 체크밸브(20)가 잠금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이통(121)에는 구이통(1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제어부(160)로 전송하기 위한 온도센서(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구이실(120)의 내부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설정온도 이상으로 오르면, 상기 히터(130)로 신호를 전송하여 히터(13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구이실(120)의 내부 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히터(130)에 신호를 전송하여 히터(130)가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팀유입관(125)에는 구이통(121)으로 공급되는 스팀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4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40)를 이용하여 구이용 재료의 대상에 따라 스팀량을 조정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는 공급되는 스팀의 자유로운 온도설정을 통해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빠르고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시 청정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구이용 재료가 갖는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 상태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선반(127)의 위에 구이용 재료를 올려놓고, 구이용 재료가 놓인 선반(127)을 타공관(122) 내부의 단턱부(128)에 안착시킨다.
이후, 상기 메인도어(171)를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 위치시킨 후,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도어(171)가 상기 본체(110)에 잠기도록 한다.
이후, 상기 잠금손잡이(173)를 회전하여 상기 가압도어(177)는 상기 밀착편(124)에 밀착되어 상기 구이실(120)을 밀폐한다.
이후, 상기 구이용 재료의 종류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40)를 조작하여 상기 구이실(120)로 공급되는 스팀량을 조절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히터(130)와 스팀발생기(140)를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130)와 스팀발생기(140)를 동작시키면, 상기 스팀발생기(140)에서 발생한 고압의 스팀은 상기 제1 연결호스(141)를 통해 구이통(121)과 타공관(122) 사이로 공급되며, 상기 구이통(121)과 타공관(122) 사이로 공급된 고압의 스팀은 상기 히터(130)를 통해 발생한 열을 흡수한다.
이후, 상기 히터(130)를 통해 발생한 열을 흡수한 고압의 스팀은 상기 타공관(122)을 통과하여 구이용 재료로 전달되어 구이용 재료가 단시간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익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이실 내에 설치된 히터를 통해 고압의 스팀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스팀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이를 통해 익힘 온도가 다른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이실 내부로 상시 청정한 상태의 고압스팀을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구이용 재료들을 연속해서 조리하더라도 구이용 재료가 갖는 고유의 맛을 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온, 고압의 스팀을 통해 구이용 재료가 익혀지면, 그 과정에서 구이요 재료 내의 수분 또는 기름은 구이통(121)의 바닥으로 흘러내려, 상기 배출관(126)과 제2 연결호스(141)를 통해 잔여물 저수조(150)로 배출한다.
이후,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조리된 구이용 재료를 꺼낸 후, 다시 상기 구이실(120) 내부로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이용 재료가 없는 구이실 내부에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면, 상기 구이통 및 타공관 내벽에 쌓인 이물질을 녹여 내림으로써, 상기 구이통 및 타공관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압력게이지 20 : 체크밸브 30 : 온도센서
110 : 본체 111 : 개구부 113 : 조리공간
115 : 설치공간 120 : 구이실 121 : 구이통
122 : 타공관 123 : 통공 124 : 밀착편
125 : 스팀유입관 126 : 배출관 127 : 선반
130 : 히터 140 : 스팀발생기 150 : 잔여물 저수조
160 : 제어부 170 : 도어 171 : 메인도어
177 : 가압도어

Claims (4)

  1. 구이용 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이장치(100)는
    개구부(111)가 형성된 조리공간(113)과 설치공간(115)으로 구획된 본체(110);
    상기 조리공간(113) 내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구이통(121)과 타공관(122)이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11)와 연통을 이루며, 상기 구이통(121)의 전면에 통공(123)을 갖는 밀착편(124)이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스팀유입관(125)과 배출관(126)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관(122)의 내부에 선반(127)을 안착시키기 위한 단턱부(128)가 마련된 구이실(120);
    상기 구이통(121)과 타공관(122)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이 인가시 열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히터(130);
    상기 설치공간(115)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유입관(125)과 제1 연결호스(14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이통(121)으로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기(140);
    상기 설치공간(115)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26)과 제2 연결호스(151)를 통해 연결된 잔여물 저수조(150);
    상기 히터(130)와 스팀발생기(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및
    상기 조리공간(113)의 전면에 설치되어 구이실(12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통(121)에는 구이통(121)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수치를 제어부(160)로 전송하기 위한 압력게이지(10)와, 상기 구이통(121)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통해 동작하는 체크밸브(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통(121)에는 구이통(12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수치를 제어부(160)로 전송하기 위한 온도센서(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유입관(125)에는 구이통(121)으로 공급되는 스팀량을 조절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KR1020110021811A 2011-03-11 2011-03-11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KR10130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11A KR101308518B1 (ko) 2011-03-11 2011-03-11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811A KR101308518B1 (ko) 2011-03-11 2011-03-11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881A true KR20120103881A (ko) 2012-09-20
KR101308518B1 KR101308518B1 (ko) 2013-09-17

Family

ID=4711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811A KR101308518B1 (ko) 2011-03-11 2011-03-11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5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360B1 (ko) * 2013-12-24 2014-05-20 김용태 육류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가열방법
KR101416823B1 (ko) * 2012-09-28 2014-07-11 홍인표 스팀을 활용한 바베큐 오븐
KR20170128979A (ko) * 2016-05-16 2017-11-24 씨원 주식회사 회전형 구이장치
KR20230011630A (ko) * 2021-07-14 2023-01-25 오홍균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869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참코청하 과열증기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078Y1 (ko) * 1995-07-05 1998-09-15 신복길 원적외선 압력 구이장치
KR19980033711A (ko) * 1998-05-11 1998-07-25 신동수 훈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823B1 (ko) * 2012-09-28 2014-07-11 홍인표 스팀을 활용한 바베큐 오븐
KR101397360B1 (ko) * 2013-12-24 2014-05-20 김용태 육류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육류 가열방법
KR20170128979A (ko) * 2016-05-16 2017-11-24 씨원 주식회사 회전형 구이장치
KR20230011630A (ko) * 2021-07-14 2023-01-25 오홍균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518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37382B (zh) 减少烟味传递的组合炉
KR101308518B1 (ko)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US7537004B2 (en) Steam oven with fluid supply and drain vessel
US20160033141A1 (en) Combination heat and steam oven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US10463186B2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US20060000821A1 (en) Oven with a system for generating steam
EP3884820B1 (en) Air fryer with steam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fryer with steaming function
JP2008178719A (ja) 炊飯器
US6062129A (en) Steam heated griddle and grill
US20090218332A1 (en) Boilerless combination convection steamer oven
KR200463536Y1 (ko) 스팀을 이용한 복합 조리기기
JP2005065819A (ja) 蒸気加熱調理器
EP2427697A2 (en) Multifunction pyrolytic oven with steam assistance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0559075B1 (ko) 자동취사장치
KR100671175B1 (ko) 수증기의 분위기압을 이용한 전열 취반 시스템
KR20180137374A (ko)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KR102489688B1 (ko) 훈제구이기
US20230232846A1 (en) Food smoking device
EP3689197B1 (en) A system for the quick cooking of a non-precooked dry pasta and related cooking method
KR100892052B1 (ko) 폐열을 이용한 온수장치
JP2005152196A (ja) 炊飯器
WO2022184422A1 (de) Haushalts-gargerät mit dampfbehandlungsschublade
JPS6034018B2 (ja) 焙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