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398A - 플러그 및 콘센트 - Google Patents

플러그 및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398A
KR20120097398A KR1020127018060A KR20127018060A KR20120097398A KR 20120097398 A KR20120097398 A KR 20120097398A KR 1020127018060 A KR1020127018060 A KR 1020127018060A KR 20127018060 A KR20127018060 A KR 20127018060A KR 20120097398 A KR20120097398 A KR 20120097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recess
tip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7464B1 (ko
Inventor
사토루 다나카
다츠야 다카기
고우지 히가시데
도시유키 다키
노보루 하시모토
마사루 요시다
마키 곤도
다카시 가와모토
에이토 사쿠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및 콘센트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 핀을 갖는 플러그와, 콘센트를 포함한다. 콘센트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오목부(73)와, 플러그 핀이 오목부(73)의 저면(73a)에 형성된 삽입구(75)를 통해 각각 삽입되는 핀 받이부를 갖는 콘센트 유닛(1A)을 구비한다.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에 마련된 방수용 시일재(97)는 플러그 몸체(90), 콘센트 유닛으 오목부(73)의 내면에 접하며 플러그 핀(91)을 둘러싸고, 오목부(73)의 개구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개재된다. 플러그 및 콘센트는 플러그 핀 사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확실히 한다.

Description

플러그 및 콘센트{PLUG AND RECEPTACLE}
본 발명은,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콘센트의 삽입구로부터 핀 받이부에 삽입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러그 및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는 통상 콘센트에 삽입되어 이용된다. 삽입구에의 먼지 퇴적을 방지하여 외부 분위기로부터 삽입구를 보호하기 위해서, 콘센트에, 삽입구를 덮는 개폐 가능한 도어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평성11-185861호 공보 참조).
그런데, 이러한 플러그 및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콘센트의 삽입구에 꽂혀서 플러그의 각 플러그 핀과 콘센트의 각 단자판이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에 비추어 보아서 행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해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플러그 및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와,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면상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기에 적합한 복수의 플러그 핀과, 플러그 핀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에 제공되어, 플러그 몸체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구비하며,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핀이 콘센트의 삽입구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면에 접하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가 제공된다.
플러그 몸체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을 규정하는 선단 커버와, 선단 커버에 결합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보다 돌출되며 선단 커버와 본체부의 사이에 협지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수용 시일재가, 플러그 핀이 콘센트의 각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 및 콘센트 유닛의 플러그 삽입면에 접하고 플러그 핀을 둘러싼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핀을 행향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물이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 침입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방수 성능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플러그에 있어서, 콘센트에 형성된 오목부내에 삽입되는 플러그 몸체와,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으로서, 플러그 핀이 콘센트의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플러그 핀과,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상에 플러그 몸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방수용 시일재를 구비하며,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가 콘센트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콘센트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가 제공된다.
플러그 몸체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을 규정하는 선단 커버와, 선단 커버에 결합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며 상기 선단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협지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방수용 시일재가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과 오목부 사이에서 방수를 행한다. 또한, 방수용 시일재는 선단 커버와 본체부 사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방수용 시일재는 또한 선단 커버와 본체부 사이를 통해 플러그 몸체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보다도 선단측으로 돌출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물방울이 선단 커버의 선단면상에 묻은 경우라도,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측으로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 몸체를 쥐었을 때, 방수용 시일재는 사용자의 손에 물방울이 묻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물방울이 사용자의 손에 묻은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 및 제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의 선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유닛으로서, 플러그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 핀을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콘센트와 플러그가 접속되는, 콘센트 유닛과,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저면 및/또는 측면에 마련되어 콘센트 유닛과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구비하며,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와 접하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콘센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부의 내면과 플러그 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이 간극을 통하여 물이 플러그 핀으로 침입할 수 있다. 방수용 시일재는 오목부의 개구와 플러그 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와 콘센트 유닛에 접하며 플러그 핀을 둘러싼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는 오목부의 개구로부터 플러그 핀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방수 성능을 확실히 할 수 있다.
콘센트 유닛은,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는 폐위치와 오목부의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위치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도어체가 마련되고, 도어체가 개위치에 있을 때에 플러그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각각 콘센트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위치에 있는 도어체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때에 플러그 핀이 콘센트의 각 핀 받이부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방수 성능을 확실히 하는 관점에서, 이러한 구성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른 플러그 및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와, 플러그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을 갖는 플러그와,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오목부를 갖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는 콘센트로서, 플러그 및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서로 접속되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선단면에 제공되어, 플러그 몸체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포함하며,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상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 및 콘센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부의 내면과 플러그 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이 간극을 통하여 물이 플러그 핀으로 침입할 수 있다. 방수용 시일재는 오목부의 개구와 플러그 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플러그 핀을 둘러싼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는 오목부의 개구로부터 플러그 핀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방수 성능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따른 플러그 및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와, 플러그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을 갖는 플러그와,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오목부를 갖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는 콘센트로서, 플러그 및 콘센트는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서로 접속되는, 콘센트와,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플러그 몸체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포함하며, 방수용 시일재는,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 및 콘센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의 선단부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오목부의 내면과 플러그 몸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이 간극을 통하여 물이 플러그 핀으로 침입할 수 있다. 방수용 시일재는 오목부의 개구와 플러그 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플러그 몸체와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플러그 핀을 둘러싼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는 오목부의 개구로부터 플러그 핀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방수 성능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해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플러그 및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종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의 콘센트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 블럭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핀 삽입구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어체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단면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하방으로부터 본 하면도.
도 9a는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분해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b는 플러그 바디를 전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방수용 시일재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b)은 방수용 시일재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의 플러그의 선단부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도어체가 닫힌 상태인 때의 도어체와 플러그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b)는 도어체를 열린 상태로 했을 때의 플러그와 도어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c)는 (b)의 상태로부터 플러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d)는 규제부에 돌기부가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3a는 유지부와 돌기부가 계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b는 유지부의 정상면에 돌기부가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c는 돌기부가 고정부에 수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a 및 도 14b는 제 1 실시형태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형태에 대해서, 도 14a는 사용자가 도어체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b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아낸 후의 도어체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플러그 및 콘센트를 구체화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본체의 선단 부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플러그 및 콘센트를 구체화한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본체의 선단 부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 실시 형태)
도 1?도 13c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및 콘센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옥의 옥외의 벽면에 마련되는 콘센트(A) 및 이 콘센트(A)에 삽입되는 플러그(B)가 예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플러그(B)을 콘센트(A)에 꽂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수 콘센트(이하, 콘센트(A)로 지칭함)는, 플러그(B)의 플러그 핀(91)(도 7 참조)이 삽입되는 삽입구(75)(도 4 참조)가 마련된 콘센트 유닛(1A)와, 이 콘센트 유닛(1A)에 마련되는 동시에 삽입구(75)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도어 개폐 기구(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후에서는, 벽면의 앞측 및 뒤측을 규정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 X」로 하고 연직 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 Z」로 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양쪽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Y」로 한다. 또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벽면의 앞측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벽면의 뒤측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콘센트 유닛(1A)에는, 전선이 접속되며 플러그(B)가 접속됨으로써 플러그(B)에 전선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 블럭(2)과, 이 콘센트 블럭(2)을 내부에 수납되는 보디(body)(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보디(3)의 후방에는, 벽면과 전후 방향 X 사이에 배치되는 방수 패킹(이하, 「패킹(4)」라고 함)이 부착되어 있다. 보디(3) 및 방수 패킹(4)의 양쪽은, 벽면의 뒤측에 배치된 장착 프레임(5)에 나사 부재(SC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콘센트 블럭(2)은, 나사 부재(SC2)에 의해 보디(3)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보디(3)의 전방의 면인 전면에는, 화장 커버(6)가 부착되어 있다.
보디(3)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체인 본체부(20)과, 본체부(20)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유지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유지부(21)에는, 콘센트 블럭(2)이 수납되어 있다. 또 보디(3)의 좌우 방향 Y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나사 부재(SC1)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22)이 마련되어 있다. 하방의 관통 구멍(22)에는, 나사 부재(SC1)를 덮는 커버체(23)가 부착되어 있다.
패킹(4)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체인 본체부(30)와, 본체부(30)의 전면을 덮는 커버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커버부(31)의 상방에는, 이 커버부(3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전후 방향 X의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전선 삽입 구멍(3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전선 삽입 구멍(32)에는, 벽면의 뒤측으로부터 전선이 삽입 통과된다. 커버부(31)의 외주연과 본체부(30)의 접속 부분에는 전체 주위에 걸쳐 단차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부(33)에 의해, 보디(3)와 패킹(4)이 서로 끼워맞춤된다. 또 보디(3)의 관통 구멍(22)에 대응하는 패킹(4)의 부분에는, 나사 부재(SC1)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5)에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구멍(41)이 마련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체인 본체부(40)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40)의 관통구멍(41)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는, 본체부(40)를 전후 방향 X로 관통하는 동시에 벽면의 뒤측에 부착된 스위치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구멍(42)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부착 구멍(42)의 상하 방향의 양측에는, 패킹(4)의 관통 구멍(34)과 대응하는 동시에 본체부(40)을 전후 방향 X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43)이 마련되어 있다.
화장 커버(6)는, 유지부(21)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동시에 표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벽부(50)와, 이 측벽부(50)의 상방을 덮는 동시에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하는 상측벽(51)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측벽부(50)와 상측벽(51)에 의해, 화장 커버(6)는 아래쪽으로 개구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어 개폐 기구(1B)에는,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도어체(7)와, 이 도어체(7)에 부착되는 샤프트(8)와, 샤프트(8)를 수납하는 동시에 유지하는 샤프트 지지체(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샤프트 지지체(9)는, 나사 부재(SC3)에 의해 보디(3)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샤프트(8)에는, 도어체(7)을 삽입구(75)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 수단인 코일 용수철(이하, 「용수철(10)」이라 함)이 부착되어 있다.
도어 개폐 기구(1B)는, 샤프트 지지체(9)에 마련된 샤프트 삽입구멍(9a)에 샤프트(8)을 삽입하고, 샤프트(8)의 샤프트 삽입구멍(9a)보다도 좌우 방향 Y의 양측에 용수(10)을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용수철(10)보다도 좌우 방향 Y의 양측의 샤프트(8)의 부위에 도어체(7)를 부착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8)을 회전축으로서, 도어체(7)는 회전하게 된다. 즉, 도어체(7)의 개폐 동작은 샤프트(8)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 실행된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블럭(2)에 있어서, 보디(3)(도 3 참조)에 유지되는 하우징체인 콘센트 몸체(11) 및 콘센트 커버(12)가 수지재료를 사출성형 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다. 이들 콘센트 몸체(11) 및 콘센트 커버(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3개의 단자판(13), 4개의 자물쇠 용수철(14) 및 2개의 해제 버튼(15)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또 콘센트 몸체(11) 및 콘센트 커버(12)에는, 콘센트 몸체(11) 및 콘센트 커버(12)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플러그 핀(도시하지 않음)을 수납하는 소켓 커버(16)가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 몸체(11) 및 콘센트 커버(12)의 각각에는, 소켓 커버(16)를 결합함으로써 고정되는 고정부(11a, 12a)가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 몸체(11)의 저벽(11b)에는, 이 저벽(11b)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에 연통하는 전선 삽입 구멍(11c)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전선삽입 구멍(11c)에는, 전선이 삽입되게 된다. 또 저벽(11b)에는, 저벽(11b)을 전후 방향 X로 관통하는 동시에 해제 버튼(15)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구멍(11d)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판(13)은, 좌우 방향 Y로 배열된 한 쌍의 전원 단자판(13A, 13B)과, 이들 전원 단자판(13A, 13B)과 전후 방향 X로 인접해서 배열된 1개의 접지 단자판(1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판(13A, 13B)에는, 상하 방향 Z 및 좌우 방향 Y에 따르는 평판상의 베이스부(60)과, 이 베이스부(60)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하는 핀 받이부(61)과, 베이스부(6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자물쇠 용수철 접촉부(62)과, 베이스부(60)의 하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전선 접촉부(63)가 마련되어 있다. 자물쇠 용수철(14)은 베이스부(60)에 접촉하는 동시에 자물쇠 용수철 접촉부(62)와 전선접촉부(63)의 상하 방향 Z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해제 버튼(15)은, 좌우 방향 Y로 배열된 자물쇠 용수철(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핀 받이부(61)에는, 한 쌍의 제 1 협지편(64A)와, 이들 제 1 협지편(64A)에 좌우 방향 Y로 인접해서 배치되는 제 2 협지편(64B)이 마련되어 있다.
접지 단자판(13C)에는, 전원 단자판(13A, 13B)과 같이 베이스부(도시하지 않음), 핀 받이부(65), 자물쇠 용수철 접촉부(66) 및 전선 접촉부(67)가 마련되어 있다. 접지 단자판(13C)에는, 자물쇠 용수철 접촉부(66) 및 전선 접촉부(67)이 좌우 방향 Y로 이간해서 2개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자물쇠 용수철(14)은 각 자물쇠 용수철 접촉부(66)와 전선 접촉부(67) 사이에 수납되고, 이들 자물쇠 용수철(14)의 좌우 방향 Y의 사이에 해제 버튼(15)이 배치되어 있다.
소켓 커버(16)는, 상하 방향 Z의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본체부(7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본체부(70)의 상방에는, 고정부(11a, 12a)와 결합하는 측벽면(71)이 마련되어 있다. 또 본체부(70)의 아래쪽으로는, 상하 방향 Z의 평면시에 있어서 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하면(72)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7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73)의 저면(플러그 삽입면)(73a)에는, 삽입구(75)가 마련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구(75)는, 상하 방향 Z의 평면시에 있어서 긴변이 좌우 방향 Y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이 되는 전원핀 삽입 구멍(75a)과, L자형상의 전원핀 삽입 구멍(75b)과, 거의 원형이 되는 접지핀 삽입 구멍(75c)가 마련되어 있다. 전원핀 삽입 구멍(75a, 75b)은, 좌우 방향 Y로 배열되고, 접지핀 삽입 구멍(75c)은 전원핀 삽입 구멍(75a, 75b)의 좌우 방향 Y 사이 및 전원핀 삽입 구멍(75a, 75b)보다도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콘센트 유닛(1A)에 형성된 오목부(73)에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도 2 참조)가 삽입 가능하며, 플러그 핀(91)이 삽입구(75)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삽입된다.
다음으로, 콘센트 블럭(2)과 전선의 접속 방법 및 해제 방법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센트 블럭(2)에 전선을 접속할 때에는, 콘센트 몸체(11)의 전선 삽입 구멍(11c)에 전선을 삽입 통과시킨다. 이 때, 전선은 자물쇠 용수철(14)과 접촉하는 동시에, 자물쇠 용수철(14)에 의해 전선 접촉부(63)에 대해 눌려진다. 이에 따라 단자판(13)과 전선의 접속이 완료한다. 또 콘센트 블럭(2)으로부터 전선을 해제할 때에는,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조작 구멍(11d)에 삽입하여, 해제 버튼(15)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해제 버튼(15)이 자물쇠 용수철(14)을 눌러서, 자물쇠 용수철(14)의 전선을 누르는 힘을 저감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선을 후방을 향해 뽑음으로써 전선이 콘센트 블럭(2)으로부터 해제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체(7)에는, 평판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80)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80)에는, 그 중앙부에 표면(80a)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81)이 마련되고, 그 후방의 단부에 샤프트(8)(도 3 참조)를 삽입 통과시키는 한 쌍의 샤프트 삽입 통과부(82)가 마련되고, 그 좌우 방향 Y의 중앙 또한 전방의 단부에 하방을 향해 만곡 형상으로 움푹 패인 만곡 오목부(83)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81)에는, 하방의 부위를 구성하는 저면(84)과, 이 저면(84)과 베이스부(80)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부(85)가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85)는, 저면(84)과 베이스부(80)를 전후 방향 X로 접속하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으로 경사하는 전방 경사면(85a)과, 저면(84)과 베이스부(80)를 좌우 방향 Y로 접속하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하는 한 쌍의 측방 경사면(85b)을 갖는다.
오목부(81)의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에는, 저면(8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 Y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방 경사면(85b)을 연결하는 칸막이 벽(8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칸막이 벽(86)의 후면(86a)(도 5b 참조)은, 좌우 방향 Y 및 상하 방향 Z에 따른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칸막이 벽(86)에 의해, 오목부(81)는, 칸막이 벽(86)보다 전방측의 영역인 규제부(87)와, 칸막이 벽(86)보다 후방측의 영역인 고정부(88)로 구분된다.
규제부(87)에 대응하는 저면(84)에는, 전후 방향 X 및 좌우 방향 Y에 따른 평면형상의 평면(84a)가 마련되고, 고정부(88)에 대응하는 저면(84)에는, 평면(84a)과 유사한 평면(84b)(도 5b 참조)과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하는 경사면(84c)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면(84c)의 경사각은, 경사면(85a, 85b)의 경사각보다도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 벽(86)의 전면(86b)측에는, 칸막이 벽(86)의 정상면(86c) 및 평면(84a)를 서로 접속하는 동시에 전면(86b)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하는 경사부(89)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부(89)는, 좌우 방향 Y로 이간해서 2개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블럭(2)은, 유지부(21)의 하단부에 마련된 끼워맞춤부(24)에 끼워맞춤됨으로써 유지부(21)에 대한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끼워맞춤부(24)에 마련된 개구(25)에 콘센트 블럭(2)가 삽입되는 동시에, 개구(25)의 주연의 접촉면(26)에 콘센트 블럭(2)이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켓 커버(16)의 삽입구(75)가 형성되는 저면(73a)은, 개구(25)보다도 콘센트(A)의 내부에 마련되게 된다. 콘센트 블럭(2)이 보디(3)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73)는,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동시에 후방으로 경사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경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73)의 저면(73a) 및 삽입구(75)는 하방을 향해 노출하게 된다.
또 콘센트(A)는, 도어체(7)가 화장 커버(6)의 측벽부(50)의 하단면(52)과 접촉한 상태를 「닫힌 상태」(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도어체(7))로 한다. 이러한 닫힌 상태의 도어체(7)의 위치가 폐위치가 된다. 또 하단면(52)은, 소켓 커버(16)의 오목부(73)의 저면(73a)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8)는 개구(25) 부근에 마련되어, 도어체(7)은 닫힌 상태로부터 하방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면 중의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어체(7)이 하단면(52)에 대하여 이간한 상태를 「열린 상태」로 한다. 이러한 열린 상태의 도어체(7)의 위치가 개위치가 된다. 이후에서는, 도어체(7)가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는 방향을 「개폐 동작 방향(W)」라고 한다. 이 개폐 동작 방향(W)은, 용수철(10)이 도어체(7)을 편향시키는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개폐 동작 방향(W)에 있어서, 닫힌 상태를 향하는 방향을 「폐 방향」으로 하고 열린 상태를 향하는 방향을 「개방향」으로 한다. 또 닫힌 상태에 있어서, 용수철(10)(도 3 참조)에 의해, 베이스부(80)은 하단면(52)을 항상 누르는 상태로서 유지된다.
화장 커버(6)의 하단면(52)은, 오목부(73)을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화장 커버(6)은, 오목부(73)의 저면(73a)를 아래쪽으로 노출시키는 동시에 저면(73a)이외의 콘센트 블럭(2)의 면을 전방 및 좌우 방향 Y로부터 덮고 있다. 그리고 닫힌 상태에 있어서, 도어체(7)는 삽입구(75)(저면73a)의 전체를 하방으로부터 덮게 된다. 또 오목부(81)는, 삽입구(75)과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또 베이스부(80)는 하단면(52)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게 된다. 닫힌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부(80)는 화장 커버(6)의 측벽부(50)의 대략 전체 주위에 걸쳐 측벽부(50)보다도 전방 및 좌우 방향 Y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베이스부(80)의 만곡 오목부(83)는 측벽부(5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플러그(B)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B)에는, 사용자가 플러그(B)를 파지하기 위한 대략 원통형상의 플러그 몸체(90)와,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핀(91)이 마련되어 있다. 또 플러그 몸체(90)의 후방에는, 플러그 핀(91)에 전달된 전력을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92)이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몸체(90) 및 선단 커버(140)는 수지재료를 사출성형 하는 것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 선단 커버(140)은, 나사 부재(SC10, SC11)에 의해 방수용 시일재(97)과 함께 플러그 몸체(90)에 부착된다.
플러그 몸체(90)에는, 그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의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파지되는 평면형상의 파지부(93)와, 그 하부에 하방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94)와, 그 상부에 사용자가 플러그(B)의 방향을 눈으로 보고 확인하는 위치 표시부(95)(도 1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또 플러그 몸체(90)에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에 결합하는 원반형상의 선단 커버(140)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핀(91)은, 전원핀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 1 전원용 플러그 핀(91a) 및 제 2 전원용 플러그 핀(91b)과, 접지핀 삽입구에 삽입되는 접지용 플러그 핀(91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지용 플러그 핀(91c)은, 전원용 플러그 핀(91a, 9lb)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있다. 또 전원용 플러그 핀(91a)은, 전후 방향 X의 평면시에 있어서 좌우 방향 Y으로 긴 쪽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원용 플러그 핀(9lb)은, 전후 방향 X의 평면시에 있어서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지용 플러그 핀(91c)은, 원형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표시부(95)(도 1 참조)는 직사각형 형상의 돌기이며, 이 위치 표시부(95)가 플러그(B)의 상방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원용 플러그 핀(91a, 9lb)이 좌우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게 된다.
돌기부(94)는, 하단부(94a)와, 하단부(94a)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하는 전방경사부(94b)와, 하단부(94a)로부터 좌우 방향 Y를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경사하는 측방 경사부(94c)가 마련되어 있다. 또 하단부(94a)의 후단에는, 상방을 따라 연장하는 유지면(94d)가 마련되어 있다. 또 플러그 몸체(90)의 돌기부(94)의 후방에는, 돌기부(94)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평면형상의 접촉면(9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접촉면(96)이 마련되는 부위의 외경은, 플러그 몸체(90)의 원통형상의 부위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의 외경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94b)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좌우 방향 Y의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방 경사부(94b)에는,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시(도 8)에 있어서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방을 향해 움푹 패인 오목부(94e)가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에 방수용 시일재(97)가 마련되어 있다. 방수용 시일재(97)는 고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9a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수용 시일재(97)는, 둥근 링 형상을 이루는 시일재 본체(98)와, 원통 형상을 이루는 둘레벽부(99)와, 바닥판부(100)을 가지고, 이들 부재는 일체화되어 있다. 둘레벽부(99)의 한쪽의 개구단에는 시일재 본체(98)가 형성되고, 둘레벽부(99)의 다른 쪽의 개구부에는 바닥판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부(100)에는 나사 부재(SC10)가 지나는 나사용 관통 구멍(100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나사 부재(SC11)가 지나는 나사용 관통 구멍(100b)가 형성되어 있다. 방수용 시일재(97)의 둘레벽부(99)가, 원통 형상의 플러그 몸체(90)내에 끼워지고, 나사 부재(SC10, SC11)를 바닥판부(100)의 나사용 관통 구멍(100a, 100b)을 통과시켜서 플러그 몸체(90)측에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해 방수용 시일재(97)가 플러그 몸체(9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에 있어서 방수용 시일재(97)의 시일재 본체(98)가 전체 주위에 걸쳐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방수용 시일재(97)는 플러그 몸체(90)와 접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에는, 방수용 시일재(97)의 바닥판부(100)와 접촉하는 내측돌기(90d)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내측돌기(90d)에는, 선단(90a)의 내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마련되는 둥근 링 형상의 둥근 링 돌기부(90e)와, 둥근 링 돌기부(90e)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내면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는 3개의 연장 돌기부(90f)가 마련되어 있다.
선단 커버(140)에는, 전원용 플러그 핀(91a, 9lb) 및 접지용 플러그 핀(91c)가 각각 삽입 통과하는 전후 방향 X으로 관통된 삽입 구멍(141, 142)과 나사 부재(SC10, SC11)이 삽입 통과하는 전후 방향 X으로 관통된 나사용 관통 구멍(143, 144)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143, 144)은, 방수용 시일재(97)의 바닥판부(100)의 관통 구멍(100a, 100b)과 대응하는 곳에 마련되어 있다. 전원용 플러그 핀(91a, 9lb) 및 접지용 플러그 핀(91c)은, 삽입 구멍(141, 142)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 있어서,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 즉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면에서 전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 커버(140)이 플러그 몸체(9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방수용 시일재(97)의 둘레벽부(99)는, 선단 커버(140)의 외주면(145)과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의 내주면(90g)의 전후 방향 X의 중앙부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덧붙여, 방수용 시일재(97)의 바닥판부(100)는, 선단 커버(140)의 후면(146)과 내측돌기(90d)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방수용 시일재(97)의 시일재 본체(98)는,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 즉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면보다도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재 본체(98)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보다도 전방이 되는 동시에 선단(90a)을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73)의 내면에 있어서의 플러그 몸체(90) 사이에는 방수용 시일재(패킹)(97)이 배치된다.
도 12 내지 도 14b를 참조해서, 콘센트(A)에 플러그(B)를 접속하는 프로세스 및 콘센트(A)로부터 플러그(B)를 뽑는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서는, 플러그(B)가 도어체(7)를 열린 상태로 하는 동시에 규제부(87)에 수납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플러그(B)가 격벽을 넘어서 고정부(88)에 수납되어서 콘센트(A)로의 접속이 완료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플러그(B)을 콘센트(A)로부터 뽑는 프로세스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 내지 도 14b에서는, 플러그(B)의 케이블(92)을 생략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닫힌 상태의 도어체(7)에 대하여, 도어체(7)의 화장 커버(6)보다 돌출한 부위를 플러그 몸체(90)의 전방의 단부에 의해 걸도록 해서 도어체(7)을 열린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다. 또 도어체(7)를 열린 상태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도어체(7)를 개방향으로 동작시켜도 좋다.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핀(91)이 소켓 커버(16)의 오목부(73)의 저면(73a)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핀(91)을 소켓 커버(16)을 향하게 하고 소켓 커버(16)내에 삽입한다. 이후에서는, 플러그 핀(91)의 삽입 방향을 「플러그 핀 삽입 방향 V」로 한다. 이 플러그 핀 삽입 방향 V에 있어서, 플러그(B)가 소켓 커버(16)을 향하는 방향을 「삽입 방향」으로 하고 플러그(B)가 소켓 커버(16)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제거 방향」으로 한다.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B)를 삽입 방향을 향해 삽입하면, 도어체(7)의 전방의 단부와 돌기부(94)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더욱 플러그(B)를 삽입 방향을 향해 삽입하면, 돌기부(94)의 전방 경사부(94b)가 도어체(7)를 더욱 개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단부(94a)가 도어체(7)에 접촉하게 된다.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94a)가 도어체(7)에 접촉한 상태에서 플러그(B)을 삽입 방향을 향해 삽입하면 돌기부(94)가 규제부(87)에 수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94)는 전방 경사면(85a)에 의해 규제부(87)에 안내되게 된다. 이 때 도어체(7)는 돌기부(94)가 규제부(87)에 안내됨에 따라서 폐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핀(91)이 삽입구(75)에 대하여 플러그 핀 삽입 방향 V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핀(91) 중 접지용 플러그 핀(91c)의 선단부(91c1)가 삽입구(75)(접지핀 삽입 구멍(75c))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전원용 플러그 핀(91a, 9lb)은 삽입구(75)보다도 삽입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87)에 돌기부(94)가 수납된 상태로부터 플러그(B)를 삽입 방향을 향해 삽입하면 돌기부(94)의 전방 경사부(94b)가 오목부(81)의 경사부(89)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돌기부(94)가 경사부(89)를 미끄러지도록 정상면(86c)을 향해 이동한다. 돌기부(94)과 경사부(89)의 접촉에 의해, 도어체(7)은 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전원용 플러그 핀(91a, 9lb)은 삽입구(75)(전원삽입 구멍75a, 75b)에 삽입되게 된다.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94)의 하단부(94a)가 정상면(86c)과 접촉했을 때에 도어체(7)가 플러그(B)를 콘센트(A)에 삽입할 때에 개방향으로 최대 이동한 상태가 된다.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94)가 정상면(86c)을 넘으면, 고정부(88)에 수납되게 된다. 이 때, 도어체(7)는 폐방향을 향해 회전한다. 또한, 칸막이 벽(86)과 돌기부(94)의 유지면(94d)이 접촉하는 동시에 정상면(86c)은 접촉면(96)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B)의 콘센트(A)로의 접속이 완료한다. 즉 플러그 핀(91)이 핀 받이부(61, 65)(도 4 참조)에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콘센트 유닛(1A)에는, 오목부(73)의 개구부를 덮는 폐위치와 오목부(73)의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위치의 사이를 변위 가능한 도어체(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체(7)가 개위치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B)의 각 플러그 핀(91)이 콘센트(A)의 핀 받이부(61, 6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90)에 있어서의 오목부(73)에 삽입되는 부위인 선단부(90c)의 외경은, 오목부(73)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플러그 몸체(90)와 오목부(73) 사이에는, 근소한 간극만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근소한 간극」이란, 플러그(B)가 콘센트(A)에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말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B)에 마련한 방수용 시일재(패킹)(97)의 시일재 본체(98)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저면(73a)에 눌려져서 밀착한다. 또한, 방수용 시일재(97)의 시일재 본체(98)는 플러그 몸체(90)와도 밀착하고 있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97)는 플러그 몸체(90)와 콘센트 유닛(1A)에 밀착해서 수밀 상태가 되어 방수 시일을 제공한다. 자세하게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오목부(73)의 내면과 플러그 몸체(9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간극을 통해 오목부(73)의 개구부로부터 플러그 핀(91)을 향해서 물이 침입하는 경로가 형성되어 물이 침입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에 마련되어 플러그 몸체(90)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97)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내면과 접해서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한다. 이 방수용 시일재(97)에 의해, 오목부(73)의 개구부로부터 플러그 핀(91)을 향하는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플러그(B)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그 결과,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B)를 콘센트(A)로부터 뽑을 때에는, 사용자는 베이스부(80)의 근접 부분을 개방향으로 눌러 돌기부(94)가 칸막이 벽(86)과 플러그 핀삽입 방향 V으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즉 유지면(94d)와 칸막이 벽(86)이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B)를 제거 방향에 당김으로써, 플러그(B)를 콘센트(A)로부터 뽑을 수 있게 된다.
플러그(B)를 콘센트(A)로부터 뽑아낸 후에는,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수철(10)(도 3 참조)의 작용에 의해, 도어체(7)는 하단면(52)을 향해, 즉 닫힌 상태가 되도록 회전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플러그 몸체(90)에 있어서의 선단(90a)에 플러그 몸체(90)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97)을 마련하고,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방수용 시일재(97)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내면과 접해서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방수용 시일재(97)에 의해, 플러그(B)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이 방지되어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2) 도어체(7)가 개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B)의 각 플러그 핀(91)이 콘센트(A)의 핀 받이부(61, 6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B)의 각 플러그 핀(91)이 콘센트(A)의 핀 받이부(61, 65)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방수용 시일재(97)에 의한 방수성 확보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재 본체(98)에 의해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과 오목부(73) 사이의 방수를 도모하는 동시에, 둘레벽부(99)에 의해 플러그 몸체(90) 및 선단 커버(140)의 사이로부터 플러그 몸체(9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부(99)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도, 플러그 몸체(90) 및 선단 커버(140)의 사이로부터 플러그 몸체(9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아울러, 시일재 본체(98), 둘레벽부(99) 및 바닥판부(100)가 일체화되어 있다. 즉 시일재 본체(98), 둘레벽부(99) 및 바닥판부(100)이 단일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일재 본체(98), 둘레벽부(99) 및 바닥판부(100)를 별개로 형성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방수용 시일재(97)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에) 물방울이 부착되어 있다고 해도 시일재 본체(98)에 의해 플러그 몸체(90)측에 물방울이 흐르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플러그 몸체(90)를 파지했을 때에 물방울이 작업자의 손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에 물방울이 부착된 상태에서 플러그(B)를 콘센트(A)에 꽂고 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도, 바닥판부(100)가 선단 커버(140)와 내측돌기(90d)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에, 선단 커버(140)와 내측돌기(90d)의 사이로부터 플러그 몸체(90)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제 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을 대신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저면(73a)에 방수용 시일재(패킹)(110)를 마련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저면(73a)에 있어서의 주연을 따라 오목부(111)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111)의 내부에 방수용 시일재(110), 구체적으로는 O-링이 배치되어 있다. 방수용 시일재(110)는 콘센트 유닛(1A)과 접하는 동시에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방수용 시일재(110)가 플러그 몸체(90)와 접하고 있다. 즉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저면(73a)에 마련한 방수용 시일재(110)가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에 의해 눌려져서 방수용 시일재(110)와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가 밀착해서 수밀 상태가 된다. 또한, 방수용 시일재(110)는 오목부(111)의 내면과도 밀착하고 있고, 수밀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오목부(73)의 내면과 플러그 몸체(9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도, 이 간극을 통해 오목부(73)의 개구부로부터 플러그 핀(91)을 향해서 물이 침입할 수 있다. 여기서, 콘센트 유닛(1A)에 있어서의 오목부(73)의 저면에 마련되어 콘센트 유닛(1A)과 접하는 동시에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용 시일재(110)가, 플러그 몸체(90)와 접하고 있다. 이 방수용 시일재(110)에 의해, 오목부(73)의 개구부로부터 플러그 핀(91)을 향하는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해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제 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대신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90b)에 방수용 시일재(패킹)(120)를 마련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에 있어서의 외주면(90b)에 오목부(121)가 전체 주위에 걸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121)의 내부에 방수용 시일재(120), 구체적으로는 O-링이 배치되어 있다. 방수용 시일재(120)는 플러그 몸체(90)와 접하고 있다.
그리고,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방수용 시일재(120)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내면과 접해서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한다. 즉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90b)에 마련한 방수용 시일재(120)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측면(73b)에 대해 눌려져서 방수용 시일재(120)와 오목부(73)의 측면(73b)이 밀착해서 수밀 상태로 된다. 또한, 방수용 시일재(120)는 오목부(121)의 내면과도 밀착하고 있어, 수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120)는, 플러그 몸체(90)와 콘센트 유닛(1A)에 접하고,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방수용 시일재(120)에 의해, 오목부(73)의 개구부로부터 플러그 핀(91)을 향하는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물이 플러그 핀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해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제 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대신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측면(73b)에 방수용 시일재(패킹)(130)을 마련하고 있다. 자세하게는,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측면(73b)에 오목부(131)가 전체 주위에 걸쳐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131)의 내부에 방수용 시일재(130), 구체적으로는 O-링이 배치되어 있다. 방수용 시일재(130)는 콘센트 유닛(1A)과 접하는 동시에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방수용 시일재(130)가 플러그 몸체(90)와 접하고 있다. 즉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의 측면(73b)에 마련한 방수용 시일재(130)가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90b)에 의해 눌려져서 방수용 시일재(130)와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90b)이 밀착해서 수밀 상태가 된다. 또한, 방수용 시일재(130)는 오목부(131)의 내면과도 밀착하고 있어, 수밀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방수용 시일재(130)는, 플러그 몸체(90)와 콘센트 유닛(1A)에 접하고,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하므로, 방수용 시일재(130)에 의해, 오목부(73)의 개구부로부터 플러그 핀(91)을 향하는 물의 침입이 방지된다(플러그 핀에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의 플러그 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해서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 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체화해도 좋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97)에 바닥판부(100)를 마련했지만, 이 바닥판부(100)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선단 커버(140)의 후면(146)과 내측돌기(90d)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97)가 단일부재로서 마련되었지만, 방수용 시일재(97)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일재 본체(98), 둘레벽부(99) 및 바닥판부(100)를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시일재 본체(98) 및 둘레벽부(99)를 단일부재로 해서 바닥판부(100)만을 별체로서 마련할 수도 있다. 또 둘레벽부(99) 및 바닥판부(100)를 단일부재로 해서 시일재 본체(98)만을 별체로서 마련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97)의 시일재 본체(98)가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보다 선단측이 되도록 마련되었지만, 시일재 본체(98)는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과 전후 방향 X에 있어서 동위치 혹은 후방에 마련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120)가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둥근 링형상이지만, 방수용 시일재(120)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수용 시일재(150)가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둘레벽부(151)와,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 및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의 외주측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시일재 본체(15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둘레벽부(151)와 시일재 본체(152)는 일체화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방수용 시일재(150)은 단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 형태의 효과 (3)에 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덧붙여, 시일재 본체(152)가 선단 커버(140)와 플러그 몸체(90) 사이를 덮기 때문에, 선단 커버(140)와 플러그 몸체(90) 사이를 거쳐서 플러그 몸체(90)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시일재 본체(152)가 선단 커버(140)의 선단면(147)의 외주측을 전방으로부터 덮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의 효과 (4)에 준한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73)의 내면에 있어서의 플러그 몸체(90) 사이에는 방수용 시일재(150)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73)의 내면과 방수용 시일재(150) 사이가 밀착해서 수밀 상태로 된다.
또,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수용 시일재(160)가 플러그 몸체(9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시일재 본체(161)와, 플러그 몸체(90)의 선단(90a)과 선단 커버(140) 사이에 끼워지는 천판부(162)와,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의 내주면과 선단 커버(140) 사이에 끼워지는 둘레벽부(163)와, 내측돌기(90d)와 선단 커버(140) 사이에 끼워지는 바닥판부(16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시일재 본체(161), 천판부(162), 둘레벽부(163) 및 바닥판부(164)는 일체화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방수용 시일재(160)는 단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 형태의 효과 (3)에 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몸체(90)의 선단부(90c)가 콘센트 유닛(1A)의 오목부(73)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73)의 내면에 있어서의 플러그 몸체(90) 사이에는 방수용 시일재(160)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73)의 내면과 방수용 시일재(160)의 시일재 본체(161) 사이가 밀착해서 수밀 상태로 된다.
각 실시형태에서는 방수용 시일재를 1개만 마련했지만, 각 실시형태의 방수용 시일재를 조합해서 복수의 시일재를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플러그의 선단 및 콘센트의 오목부의 측면에 각각 시일재를 마련해도 좋다. 복수의 시일재를 마련함으로써, 보다 방수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90)에 있어서의 선단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플러그 몸체(90)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마련하면 좋다. 또한, 콘센트 유닛(1A)에 있어서의 오목부(73)의 저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콘센트 유닛(1A)과 접하는 동시에 플러그 핀(91)의 주위를 둘러싸고, 또한, 오목부(73)의 개구부와 플러그 핀(91)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마련하면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콘센트(A)를 옥외용 콘센트로서 예시하였지만, 콘센트(A)는 옥내용 콘센트일 수 있다. 또한, 콘센트(A)는 전기 자동차(EV차)의 이차전지의 충전 시스템에 적용해도 좋다. 즉 차량측의 충전 기기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지상측 설비인 콘센트에 꽂아서 전기 자동차의 이차전지를 충전하는 시스템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9)

  1.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면상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기에 적합한 복수의 플러그 핀과,
    상기 플러그 핀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에 제공되어, 상기 플러그 몸체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콘센트의 삽입구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면에 접하며 상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
  2. 플러그에 있어서,
    콘센트에 형성된 오목부내에 삽입되는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과,
    상기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상에 상기 플러그 몸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방수용 시일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핀이 상기 콘센트의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며,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몸체가 상기 콘센트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상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을 규정하는 선단 커버와, 상기 선단 커버에 결합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보다 돌출되며 상기 선단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협지되는 플러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을 규정하는 선단 커버와, 상기 선단 커버에 결합하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며 상기 선
    단 커버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협지되는 플러그.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면보다도 선단측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6.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의 선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콘센트 유닛과,
    상기 콘센트 유닛과,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저면 및/또는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콘센트 유닛과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 핀을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상기 플러그에 접속되며,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의 선단부가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와 접하며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콘센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유닛에는,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는 폐위치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개위치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도어체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체가 개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플러그의 선단부가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각각 상기 콘센트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콘센트.
  8. 플러그 및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을 갖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오목부를 갖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는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선단면에 제공되어, 상기 플러그 몸체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서로 접속되며,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상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 및 콘센트.
  9. 플러그 및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플러그 핀을 갖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오목부를 갖는 콘센트 유닛을 구비하는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플러그 몸체와 접하는 방수용 시일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콘센트는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핀을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서로 접속되며,
    상기 방수용 시일재는, 상기 플러그 몸체의 선단부가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 유닛의 오목부의 내면에 접하며 상기 플러그 핀을 둘러싸는
    플러그 및 콘센트.
KR1020127018060A 2009-12-14 2010-12-10 플러그 및 콘센트 KR101347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2927 2009-12-14
JPJP-P-2009-282927 2009-12-14
JP2010043314 2010-02-26
JPJP-P-2010-043314 2010-02-26
PCT/IB2010/003180 WO2011073758A1 (en) 2009-12-14 2010-12-10 Plug and recepta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398A true KR20120097398A (ko) 2012-09-03
KR101347464B1 KR101347464B1 (ko) 2014-01-02

Family

ID=4416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060A KR101347464B1 (ko) 2009-12-14 2010-12-10 플러그 및 콘센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66405B2 (ko)
KR (1) KR101347464B1 (ko)
CN (1) CN102725917B (ko)
TW (1) TWI505572B (ko)
WO (1) WO2011073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9981A (ja) * 2011-11-22 2013-06-06 Panasonic Corp 給電制御装置
JP5796779B2 (ja) * 2012-01-25 2015-10-2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コンセント
DE102013111696A1 (de) 2013-10-23 2015-04-23 Endress + Hauser Flowtec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Feldgerät sowie Feldgerät mit einer solchen Anschlussvorrichtung
JP6455712B2 (ja) 2015-02-03 2019-01-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ンセント
SG10201912795UA (en) * 2015-06-24 2020-02-27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EP3721507A1 (de) * 2017-12-06 2020-10-14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für einen akku-ladeanschluss ohne formschlüssige gehäuseverrastung
DE102022129673A1 (de) 2022-11-10 2024-05-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cker und Lademulde für einen elektrisch antreibbaren Kraftwag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610A (ja) * 1997-01-06 1998-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
JPH11233189A (ja) * 1998-02-13 1999-08-27 Shonan Giken:Kk 配線接続装置
JP2000252010A (ja) * 1999-02-26 2000-09-14 Asahi Optical Co Ltd コネクタ装置の抜け止め構造
TWM241831U (en) * 2003-04-10 2004-08-21 Yu-De Lin Waterproof socket
JP4818679B2 (ja) * 2005-10-06 2011-11-1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防水コンセント
EP2006959A2 (en) * 2006-04-13 2008-12-24 Temco Japan Co., Ltd. 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of hand microphone with antenna to portable radio machine body
JP2007294257A (ja) * 2006-04-25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ラグ受用カバー、及びテーブルタップ
CN200976425Y (zh) * 2006-11-29 2007-11-14 浙江康泰电气有限公司 防水插头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5572B (zh) 2015-10-21
TW201136046A (en) 2011-10-16
CN102725917B (zh) 2015-10-14
JP4966405B2 (ja) 2012-07-04
WO2011073758A1 (en) 2011-06-23
CN102725917A (zh) 2012-10-10
JP2011198745A (ja) 2011-10-06
KR101347464B1 (ko)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464B1 (ko) 플러그 및 콘센트
JP3134780B2 (ja) コネクタカバー
US20150194769A1 (en) Device connector
JP5531895B2 (ja) 充電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車輌の充電口
JP2007005012A (ja) コネクタ
JP4877414B2 (ja) コンセント、接続装置
CN111628333A (zh) 连接器
JP2002354310A (ja) カメラのクレードル装置
TWI437775B (zh) 插座以及具備該插座的充電裝置
JP2007026764A (ja) 防水コネクタ
EP3214766B1 (en) Electric device
JP529931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TWI414110B (zh) 插頭與插座以及包含該插頭與插座的連接裝置
JP7144480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1124179A (ja) コンセントブロック
JP7232791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9070776A (ja) コネクタ用のカバーおよび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4690184B2 (ja) 防塵コネクタ
JP2016213046A (ja) 機器用コネクタ装置
KR10063230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KR100783849B1 (ko) 전기 접속 장치
JP2011249100A (ja) コードコネクタ並びにプラグおよびコードコネクタ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JP3857511B2 (ja) コネクタ取付構造
CN117335198A (zh) 连接器配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