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849B1 - 전기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849B1
KR100783849B1 KR1020050108546A KR20050108546A KR100783849B1 KR 100783849 B1 KR100783849 B1 KR 100783849B1 KR 1020050108546 A KR1020050108546 A KR 1020050108546A KR 20050108546 A KR20050108546 A KR 20050108546A KR 100783849 B1 KR100783849 B1 KR 10078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module
connector
slid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102A (ko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5010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8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2Pair of camm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힘으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제1 전기 접촉자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이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자와 상보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촉자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측판과, 상기 통로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측판에 형성된 탄성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 모듈; 그리고 상기 통로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결합돌기에 인가하기 위한 돌기 수용부와 상기 탄성 변형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 한정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커넥터 모듈, 결합돌기, 슬라이더, 슬롯, 연성인쇄회로, 와이어 하니스

Description

전기 접속 장치{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접속 장치에서의 수형 커넥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형 커넥터 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 접속 장치에서의 암형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이더 조립체가 완전히 삽입된 암형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슬라이더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커넥터 모듈들의 결합개시전 상태를 나타낸 전기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넥터 모듈들의 결합완료 상태를 나타낸 전기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기 접속 장치 200 : 수형 커넥터 모듈
211 : 하우징 삽입부 212 : 하우징 기부
214 : 케이블 인출부 214d : 안착홈
221 : 수형 전기 접촉자 230 : 결합돌기
240 : 연성인쇄회로 250 : 커버 부재
252 : 케이블 가압부 300 : 암형 커넥터 모듈
310 : 암형 하우징 311 : 개구부
314 : 접촉자 수용부 315 : 암형 전기 접촉자
316 : 와이어 하니스 320 : 측판
321 : 통로 322 : 탄성 바
330 : 캡 331 : 인터페이스 시일
340 : 그리드 341 : 그로밋 시일
400 : 슬라이더 조립체 410 : 슬라이더
411 : 제1 관통공 412 : 제2 관통공
413 : 작동 슬롯
본 발명은 전기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확실한 접속이 가능하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전기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접속 장치는 전력을 전달하거나, 전기적 신호 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전기 시스템 내의 일부에 위치하여 분리된 양측의 도선을 접속시키 는데 사용되며, 통상 커넥터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분리된 양측의 도선을 접속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암형과 수형의 커넥터로 구성되며, 각 커넥터 내부에는 암형 또는 수형의 접촉자가 구비되어 커넥터 결합시 암수형의 접촉자가 접촉하여 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를 사용한 전기 접속 방식은 각종의 전기 제품 내에서 회로기판 사이 또는 소자 사이를 접속시키기 위해 채용된다.
최근의 자동차의 경우, 보다 안락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해 각종의 전장부품이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들 부품들로 인해 차량 내에 다수의 전기 배선이 구비된다. 차량의 컴팩트한 설계 및 용이한 조립을 위해, 다수의 전기 배선은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의 형태로 차량의 각 부분에 배치된다. 와이어 하니스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가닥의 전선을 함께 피복하여 묶음을 이룬 것으로서, 차량의 각 부위의 전기적 접속 및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와이어 하니스는 차체의 곳곳에 위치하고 그 일단에 커넥터가 결합되어 있으며, 커넥터와 커넥터를 연결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와이어 하니스를 사용한 차량 내부의 배선 구조의 예로서, 와이어 하니스는 차량의 제어 장치에서 인출된 도선을 포함하고 일단에 커넥터를 구비하며, 이 커넥터와 결합하는 대응 커넥터는 차량의 엔진룸 내부의 전장 부품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 하니스의 일단에 결합된 커넥터와 차량의 전장 부품에 설치된 대응 커넥터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이들 커넥터들이 차량의 엔진룸 내에 설치되는 까닭에, 작업자는 작업 환경상 결합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보다 용이한 커넥터간 결합을 위해, 커넥터들을 약간 끼운 상태에서 레버 또는 슬라이더와 같이 일측의 커넥터에 설치된 결합 보조 기구를 조작하여 결합을 완료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 기구가 작업 현장에 운반될 때 이미 결합완료 상태로 운반되어 작업자가 결합 보조 기구를 해제한 후 커넥터 결합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작업자에게 작업상 애로점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 기구를 조작하여 결합을 완료한 후,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보조 기구가 제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장 부품에 설치된 대응 커넥터에 결속되는 도선을 배선함에 있어, 치밀한 구성을 위해 도선을 잡아 당겨서 배선하게 되면 잡아 당기는 힘에 의해 결속 부위가 손상되어 커넥터의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간의 결합을 완료시키는 보조 기구의 위치를 사전에 한정하여 커넥터 결합 작업시 보조 기구를 재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작업 애로사항이 없고 결합완료시 보조 기구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와 이에 연결되는 도선 사이의 결속 부위에 힘이 걸리지 않게 하여 커넥터에 결속되는 도선의 배선을 보다 치밀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장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제1 전기 접촉자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이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자와 상보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촉자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에 구비된 측판과, 상기 통로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측판에 형성된 탄성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 모듈; 그리고 상기 통로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결합돌기에 인가하기 위한 돌기 수용부와 상기 탄성 변형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 한정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는 일단에서 상기 측판에 고정되고 자유단에 걸림돌기를 가지는 탄성 바이고, 상기 위치 한정부가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도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에 힘을 가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입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관통공은 상기 도입부 내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한정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부에 안착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배치된 제2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기울어진 각도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테이퍼가공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에 수용된 전기 접촉자와 외부의 도전성 부재가 결속되는 부분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가 안착되는 인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는 일단에서 상기 커넥터 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커버의 자유단이 상기 커넥터 모듈에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인출부와 상기 커버 부재 중 어느 하나는 그 표면 상에 상기 도전성 부재의 연장 방향에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정합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기 접속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의 결합시 상기 커넥터 모듈들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시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일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의 결합완료시 상기 하우징들에 의해 압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이 끼워지는 측면 상에 상기 릿지가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100)는 2개의 커넥터 모듈(200, 300)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결합 및 결합 후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제1 커넥터 모듈(200)과, 제1 커넥터 모듈(200)의 상대 부품인 제2 커넥터 모듈(300)과, 제2 커넥터 모듈(300)의 내외로 이동하면서 커넥터 모듈(200, 300)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실행하는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 모듈(200)에는 예컨대 케이블 형태의 도전성 부재(240)가 결속되어 있고, 제2 커넥터 모듈(300)에는 와이어 형태의 도전성 부재(316)가 결속되어 있으며, 전기 접속 장치(100)가 결합되어 도전성 부재들(240, 316)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 모듈(200)과 제2 커넥터 모듈(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을 따라서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슬라이더 조립체(400)는 제1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서 제2 커넥터 모듈(300)의 내외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커넥터 모듈(200)을 “수형 커넥터 모듈”로서, 제2 커넥터 모듈(300)을 “암형 커넥터 모듈”로서 각각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또한, 본원에서, “전방”과 “후방”이라는 지시어는 커넥터 모듈들(200, 300)이 서로 결합할 때 일측의 커넥터 모듈에서 상대되는 커넥터 모듈을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되는 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접속 장치(100)에서의 수형 커넥터 모듈(2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형 커넥터 모듈(200)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수형 커넥터 모듈(200)은 내부에 전기 접촉자(221)를 수용한 하우징(211, 212)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원통형의 하우징 기부(212)와 하우징 기부(212)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하우징(310)에 끼워지는 사각 기둥 형상의 하우징 삽입부(211)를 가지며,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는 하우징 기부(21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플랜지(213)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기부(212)와 하우징 삽입부(211)가 중공의 형상이므로, 이들의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상보적 전기 접촉자와 접촉하는 다수의 수형 전기 접촉자(221)가 배치된다.
하우징 삽입부(211)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는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운동에 의해 커넥터 모듈(200, 300)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힘의 작용점으로서 기능하는 결합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230)가 형성되지 않은 양측면에는,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하우징(310)에 하우징 삽입부(211)가 끼워질 때, 하우징 삽입부(211)의 삽입을 안내하고 정해진 방향으로 커넥터 모듈(200, 300)이 배치될 때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설정 릿지(211a, 211b)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기부(212)는 수형 커넥터 모듈(200)의 몸체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고정 구조물 상에 고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고정을 위한 형상들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하우징 기부(212)는 차량에 장착되는 자동변속기의 케이싱에 케이싱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고, 이 때 플랜지(213)가 하우징 기부(212)의 고착을 지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의 수형 커넥터 모듈(200)은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케이싱에 설치되어, 자동변속기의 내부 전기회로와 차량의 제어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수형 커넥터 모듈(200)의 하우징의 구성이 위에서 설명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하우징 기부(212)가 생략되고 하우징 삽입부(211) 상에 커넥터 모듈을 고착시키기 위한 요소가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211, 212) 내에 수용되는 전기 접촉자(221)는 수형 전기 접촉자로서, 접촉자 유지부(222)를 통해 하우징(211, 212) 내의 적소에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수형 전기 접촉자(2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두종류의 전기 접촉자로 이루어져 있다. 수형 전기 접촉자(221)는 그 길이에 걸쳐 상당 부분이 하우징 삽입부(211) 내에 돌출되고 그 일단(221a)이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서 돌출되도록 하우징(211, 212)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 기부(212)를 지나 후방으로 돌출된 전기 접촉자의 일단(221a)에 후술하는 수형 커넥터 모듈측 도전성 부재가 연결된다.
수형 전기 접촉자(221)는 구리와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 람직하게는 하우징(211, 212)과 일체로 형성된다. 예컨대, 하우징(211, 212)의 형상을 가지는 상형 및 하형의 금형 사이에, 수형 전기 접촉자(221)를 수용한 접촉자 유지부(222)를 적절히 유지시키고,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사출 가공에 의해, 수형 전기 접촉자(221)가 하우징(211, 212) 내에 수용된 수형 커넥터 모듈(200)이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의 빈 공간에는 접촉자 유지부(222)가 모두 덮이도록 에폭시(223)로 몰딩 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을 통해, 예컨대 자동변속기 내의 물질이 하우징 삽입부(211) 측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방수성과 기밀성이 확보된다.
수형 전기 접촉자(221)는 그 일단(221a)에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도전성 부재(240)와 결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촉자(221)와 도전성 부재(240)의 연결은 하우징 기부(212) 후방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도전성 부재(240)의 일단(240a)이 각각의 수형 전기 접촉자(221)의 일단(221a)에 결속되어, 각각의 전기 접촉자(221)와 통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전성 부재(240)는 플렉시블 케이블로서, 다양한 회로패턴이 형성된 도전성 스트립인 것이 바람직하며, 연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전성 부재(240)가 FPC인 경우, 각각의 전기 접촉자의 단부(221a)는 FPC 내의 각각의 회로 단자와 결속되며, 전기 접촉자(221)와 FPC(240)는 웨이브 솔더링(wave soldering)에 의해 접합된다. FPC(240)는 수형 커넥터 모듈(200)이 설치되 는 부품의 전기 회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위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 모듈(200)이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케이싱에 설치되는 경우, FPC(240)는 자동변속기 내부의 제어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FPC(240)는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 마련된 케이블 인출부(214) 상에 지지되어 커넥터 모듈(200)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FPC(240)와 전기 접촉자의 단부(221a)의 접합 부위를 덮어 보호하도록 커버 부재(250)가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 제공되어 있다. 커버 부재(250)가 케이블 인출부(214) 상에 결합되고 이들 양자 사이에 FPC(240)가 개재되어, FPC(240)가 커넥터 모듈(200)의 후방에서 인출된다.
커버 부재(250)는 일단이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구성되어, 타단을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FPC(240)와 전기 접촉자(221)의 접합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케이블 인출부(214)는, 플랜지(213)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FPC(240)가 안착되며 커버 부재(250)가 결합하는 케이블 안착부(214a)와, 케이블 안착부(214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FPC(240)를 커넥터 모듈(200)로부터 수직으로 인출되도록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214b)와, 케이블 안착부(214a)의 양측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커버 부재의 후크(253)가 결합하는 걸림턱(214c)과, 케이블 안착부(214a) 상에 FPC(240)의 연장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 V자형의 안착홈(214d)과, 케이블 안착부(214a)에서 플랜지(213)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커부 부재(250)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측벽(214e)을 가진다. 측벽(214e)의 말단에는 커버 부재(250)의 힌지축 (254)을 수납하기 위한 힌지부(214f)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50)는, FPC(240)와 전기 접촉자(221)의 접합 부위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차폐부(251)와, 차폐부(251)로부터 FPC(24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안착부(214a)와 결합하며 안착홈(214d)의 오목한 형상에 정합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케이블 가압부(252)와, 케이블 가압부(252)의 양측에 형성되고 걸림턱(214c)과 결합하는 후크(253)와, 케이블 가압부(252)에서 FPC(24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지지부(214b)와 호응하는 케이블 지지부(254)와, 케이블 가압부(252)의 반대측에 차폐부(251)의 단부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255)을 가진다.
힌지축(255)이 힌지부(214f)에 끼워져 커버 부재(250)는 하우징 기부(212)의 후방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3은 커버 부재(250)가 열려 FPC(240)와 전기 접촉자(221)가 접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커버 부재(250)가 닫혀 접합 부위를 덮어 보호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 안착부(214a) 상에 FPC(240)가 놓인 상태에서, 케이블 가압부(252)의 양측에 마련된 후크(253)가 케이블 안착부(214a)의 양측에 마련된 걸림턱(214c)에 스냅 결합하여, 커버 부재(250)와 케이블 인출부(214)가 결합한다. 이 때, 상보적 형상의 케이블 가압부(252)와 케이블 안착부(214a)의 안착홈(214d)이 정합하므로, 그 사이에 배치된 FPC(240)는 유격없이 꽉 끼여져 배치된다. 즉, 커버 부재(250)가 케이블 인출부(214)에 결합하면, 안착홈(214d)과 케이블 가압부(252)가 정합하면서 이들의 요철 형상이 이들 사이에 놓인 FPC(240)를 고정하게 된다.
수형 커넥터 모듈(200)을 소정 부품의 케이싱 상에 고정하는 작업을 하거나 또는 수형 커넥터 모듈(200)의 고정 후 인출된 FPC(240)의 배선 작업을 할 때, FPC(240)가 잡아 당겨져, 전기 접촉자의 단부(221a)와 FPC의 단부(240a) 사이의 접합 부위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홈(214d)과 케이블 가압부(252)의 요철 형상에 의해 FPC(240)가 수회 구부러지게 되고 아울러 안착홈(214d)과 케이블 가압부(252)가 FPC(240)를 유격없이 협지하고 있으므로, FPC(240)를 통해 전달되는 외력은 접합 부위에 전달될 수 없다. 따라서, 전기 접촉자의 단부(221a)와 FPC의 단부(240a) 사이의 접합 부위에 외력이 가해져 접합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안착홈(214d)과 케이블 가압부(252)가 FPC(240)를 확실하게 고정하고 있으므로, 커넥터 모듈(200)에서 인출되는 FPC(240)의 부분은 지지부들(214b, 254)에서 접합 부위에 손상을 주지 않고 자유로이 구부러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 모듈(240)을 예컨대 자동변속기의 케이싱에 장착한 후, 케이싱 내부에서 FPC(240)를 팽팽하게 당겨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접합 부위의 파손을 염려해 FPC(240)를 느슨하게 배선하지 않게 되어, 사용되는 FPC(240)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FPC(240)를 고정하여 접합 부위에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구조로서, 안착홈(214d)과 케이블 가압부(252)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커버 부재(250)에 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케이블 안착부(214a)에 홈에 정합하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전기 접속 장치(100)에서의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분해 사 시도이고, 도 6은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완전히 삽입된 암형 하우징(310)의 저면 사시도이다.
암형 커넥터 모듈(300)은 상기 수형 커넥터 모듈(200)이 결합되어 전기 접속이 달성되도록 상보적 형상으로 구성되며, 전방으로부터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가 끼워지고 결합돌기(230)에 대응하여 개구부(311)가 형성된 암형 하우징(310)과, 암형 하우징(310) 내에 수용되고 수형 전기 접촉자(221)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암형 전기 접촉자(315)와, 암형 하우징(310)의 외측에 상기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슬라이더(410)가 제2 방향을 따라서 운동하는 통로(321)를 한정하도록 제공된 측판(320)을 구비한다.
암형 하우징(310)은 내면에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가 적합하게 끼워지도록 치수 및 형상이 결정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수형 커넥터 모듈(200)의 수형 전기 접촉자(221)들이 삽입되는 접촉자 수용부(314)를 가진다. 또한, 암형 하우징(310)의 전방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는,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가 끼워질 때, 결합돌기(230)가 삽입되는 삽입구(3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313)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양측의 측벽에는,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에 형성된 위치설정 릿지(211a, 211b)가 각기 끼워지는 결합홈(312a, 3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구(313)와 결합홈(312a, 312b)의 크기가 다르고, 결합홈(312a, 312b)의 개수가 다르므로,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를 암형 하우징(310) 내에 끼울 때, 즉 수형 및 암형 커넥터 모듈(100, 200)이 결합할 때, 정해진 방향으로 커넥터 모듈들(200, 300)이 위치해야만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넥터 모듈들(200, 300)을 처음 끼울 때, 단순히 릿지(211a, 211b)와 결합홈(312a, 312b)을 맞추기만 하면, 커넥터 모듈들(200, 300)의 정위치가 확보될 수 있다.
접촉자 수용부(314)는 수형 전기 접촉자(221)들이 삽입되기에 적합하게 배열된 다수의 삽입구(314a)를 가지며, 각 삽입구(314a) 내에 수형 전기 접촉자(221)와 전기 접속하는 암형 전기 접촉자(315)가 구비되어 있다. 암형 전기 접촉자(315)에 암형 커넥터 모듈(300) 측의 도전성 부재가 결속된다. 암형 전기 접촉자(315)에 결속되는 도전성 부재는 와이어 형태로서, 예컨대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배선된 와이어 하니스의 개별 와이어 가닥(316)(도 9 및 도 10 참조)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가닥의 와이어만이 예시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310)과 접촉자 수용부(314) 사이에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캡(330)과 인터페이스 시일(331)이 결합된다. 인터페이스 시일(331)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형 및 암형 커넥터 모듈(200, 300)이 서로 결합할 때 모듈 사이를 밀봉하여 이물질이 수형 및 암형 전기 접촉자의 전기 접속 부위로 들어가지 않도록 기능한다. 캡(330)은 수형 전기 접촉자(221)들을 안내하여 암형 전기 접촉자(315)와 접속시키는 기능과 암형 전기 접촉자(341)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암형 하우징(310)의 후방에는 암형 전기 접촉자(315)에 결속되는 도전성 부재(미도시)가 인출되는 인출부(312)가 연장되어 있다. 인출부(312)에는 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인출부(312)의 내측벽에 끼워지는 그로밋 시일(grommet seal)(341)과, 인출부(312)의 입구에 걸치도록 결합되고 도전성 부재가 통과하는 다수의 삽입 구(340a)가 형성된 그리드(34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드(340)에는 암형 하우징(310) 내부에 수용된 암형 전기 접촉자(341)에 결속되는 도전성 부재가 통과하는 삽입구(340a)가 수형 전기 접촉자(221)의 개수만큼 구비되고 수형 전기 접촉자(221)의 배열에 상응하게 배열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드(340)에서는 굵기가 다른 두 종류의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도록 삽입구(340)의 크기가 두 종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드(340)의 가장자리에 안착돌기(340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드(340)가 인출부(312) 내로 끼워질 때, 안착돌기(340b)가 인출부(312)의 가장자리에 걸리게 되므로, 그리드(340)는 인출부(312) 상에 적합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드(340)와 접촉자 수용부(314) 사이에 그로밋 시일(341)이 배치되며, 그로밋 시일(341)에는 삽입구(340a)에 대응하는 관통공(34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로밋 시일(341)은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촉자 수용부(341) 상에 그리드(340)에 의해 약간 압축되어 설치된다. 또한, 관통공(341a)의 내주면의 일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9 및 도 11 참조), 도전성 부재와 암형 전기 접촉자(315)사이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밀봉 기능을 수행한다.
암형 하우징(310)의 외측에, 상세하게는 개구부(311)가 형성된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슬라이더(410)가 전진 및 후퇴하기 위한 통로(321)가 형성되도록 측판(320)이 구비되어 있다.
측판(320)은 암형 하우징(3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슬라이더(410)가 원활하게 운동할 수 있는 통로(321)가 형성되도록 암형 하우징(310)의 양측면 상에 위치 한다.
측판(320)의 전방에는 제2 방향을 따라서 후술하는 슬라이더의 안내돌기(414)가 끼워지는 안내슬롯(320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320)의 중앙에는 개구부(32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320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후술하는 슬라이더의 관통공(411, 412)과 결합하여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위치를 한정하는 걸림돌기(322a)를 가지는 바 형태의 탄성 변형 부재(322)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바(322)는 측판(320)과 동일 평면 내에 있도록 또한 걸림돌기(322a)가 측판(320)의 암형 하우징(310)을 향하는 표면에서 돌출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측판(320)의 슬라이더(410)를 향하는 측면에는 반원형의 노치부(320c)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는 이 노치부(320c)를 통해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암형 하우징(310) 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빼낼 수 있다.
통로(321)를 통해 암형 하우징(310)의 내외로 제2 방향을 따라서 운동하는 슬라이더 조립체(400)는 양측 통로(321)에 각각 삽입되는 슬라이더(410)와 이들 슬라이더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420)을 구비한다. 양측의 슬라이더(410)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고정판(4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측면도로서, 도 7a는 슬라이더(410)의 외측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는 슬라이더(410)의 내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통로(321)에 끼워지는 슬라이더(410)는 하단에 측판(320)의 탄성 바(322)의 걸림돌기(322a)가 걸림으로써,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위치가 한정되는 위치 한정부(411, 41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 한정부(411, 412)는 제1 관통공(411) 및 제2 관통공(412)으로 구성된다.
제1 관통공(411)은 슬라이더(410)의 전진 방향의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관통공(412)은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가 암형 하우징(310)의 내측에 끼워지고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통로(321)를 통해 암형 하우징(310) 내로 완전히 진입했을 때 결합돌기(230)와 제1 방향에 대하여 일렬을 이루도록 위치한다. 제1 관통공(411)과 제2 관통공(412)에는 걸림돌기(322a)의 빠짐을 용이하게 하도록 테이퍼부(411a, 41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10)의 상단에는 측판(320)의 안내슬롯(320b)에 끼워져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4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410)의 진행방향의 전방 단부(410a)는 슬라이더(410)를 최초로 통로(321)에 삽입할 때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슬라이더(410)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슬라이더(410)의 중앙부분에는 슬라이더(410)가 통로(312)에 삽입되고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가 끼워질 때, 결합돌기(230)를 수용하여 슬라이더(410)의 제2 방향에 따른 운동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서 결합돌기(230)를 밀거나 당기기 위한 돌기 수용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수용부(413)는 슬라이더(410)의 내벽에 홈의 형태로서, 또는 슬라이더(410)를 관통하여 형성된 슬롯의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슬롯(413)으로서 채용되어 있다. 작동 슬롯(413)은 수형 및 암형 커넥터 모듈(200, 300)이 결합 및 분리되는 제1 방향에 경사지게, 혹은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운동 방향인 제2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작동 슬롯(413)은 결합돌기(230)가 도입되는 도입부(413a)와, 슬라이더(410)의 전진 및 후퇴시 결합돌기(230)를 밀거나 당기는 제1 및 제2 경사부(413b, 413c)와,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합이 완료될 때 결합돌기(230)가 안착하는 안착부(413d)를 구비한다.
결합돌기 도입부(413a)는 제1 관통공(411)이 그 안에 위치하고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합시 결합돌기(230)를 도입하도록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제1 경사부(413b)는 도입부(413a)에 이어서 형성되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부(413c)는 제1 경사부(413b)에 이어서 제1 방향에 대하여 제1 경사부(413b)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413d)는 제2 경사부(413c)에 이어서 형성되며, 제2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조립은 슬라이더(410)를 그 전방 단부(410a)로부터 통로(321) 내로 끼움으로써 달성된다. 슬라이더(410)가 어느 정도 통로(321) 내로 끼워지면, 탄성 바(322)의 걸림돌기(322a)가 제1 관통공(411)에 삽입되면서 스냅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통로(321)의 폭이 슬라이더(410)의 두께 정도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의 단부(410a)가 슬라이더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슬라이더(410)가 통로(321)내로 진입하여 탄성 바(322)와 접촉하면, 슬라이더의 경사진 단부(410a)에 의해 탄성 바(322)가 측판(320)의 외측으로 밀려지고, 계속해서 슬라이더(410)가 통로(321) 내로 진입하여 제1 관통공(411)이 걸림돌기(322a)에 도달하 면 탄성 바(32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322a)가 제1 관통공(411) 내로 스냅 결합한다. 이 때, 안내돌기(414)가 또한 측판(320)의 안내슬롯(320b)에 끼워진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암형 하우징(310)에 대한 제1 관통공(411)에 의한 제1 위치 한정이 달성된다.
계속해서, 슬라이더(410)를 통로(321) 내로 삽입하면, 제1 관통공(411)에 테이퍼부(411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돌기(322a)는 테이퍼부(411a)를 따라서 밀려지게 되어 탄성 바(322)는 다시 측판(320)의 외측으로 편향된다. 슬라이더(410)가 더 진입하면, 외측으로 편향된 탄성 바의 걸림돌기(322a)가 제2 관통공(412)에 삽입되면서 스냅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암형 하우징(310)에 대한 제2 관통공(412)에 의한 제2 위치 한정이 달성된다.
걸림돌기(322a)가 제2 관통공(412)에 결합한 상태에서, 슬라이더(410)를 잡아 당기면,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측판(320)의 노치부(320c)에 손가락 등을 위치시키고 슬라이더 조립체의 고정판(420)을 잡아서 통로(321)로부터 슬라이더(410)를 빼내면, 제2 관통공(412)에 형성된 테이퍼부(412a)에 의해 걸림돌기(322a)가 제2 관통공(412)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게 되어 탄성 바(322)는 다시 외측으로 편향되며, 제1 관통공(411)이 걸림돌기(322a)에 도달하면 걸림돌기(322a)가 다시 제1 관통공(411)에 스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 조립체(400)는, 제1 관통공(411)과 탄성 바의 걸림돌기(322a)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한정되는 제1 위치와, 제2 관통공(412)과 탄성 바의 걸림돌기(322a)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한정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상기 제1 위치는 커넥터 모듈들(200, 300)의 결합이 개시될 때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암형 하우징(310)에 대하여 점유하는 위치이며,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상기 제2 위치는 커넥터 모듈들(200, 300)의 결합이 완료될 때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암형 하우징(310)에 대하여 점유하는 위치가 된다.
한편, 걸림돌기(322a)와 상호 작용하여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위치 한정을 수행하는 관통공(411, 412)이 슬라이더(41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공 대신 슬라이더(410)의 외측 표면 상에 걸림돌기(322a)가 걸리는 요부의 형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수형 커넥터 모듈(200)과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결합이 개시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전기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수형 커넥터 모듈(200)과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전기 접속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전기 접속 장치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8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FPC(240)와 와이어 하니스(316)가 생략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수형 커넥터 모듈(200)과 암형 커넥터 모듈(300)의 결합개시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 모듈(300)은, 와이어 하니스의 각각의 도선들이 암형 전기 접촉자(315)에 결속되어 있고,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암형 하우징(310) 내에 제1 관 통공(411)에 탄성 바(322)의 걸림돌기(322a)가 걸린 제1 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운반 도중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통로(321) 내로 완전히 밀려들어가 차후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합이 방해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준비된 암형 커넥터 모듈(300)을 수형 커넥터 모듈(200) 상에 위치시킨 상태가 도 8에 도시된 결합개시전 상태이다. 수형 커넥터 모듈(200)은 FPC(240)와 같은 도전성 부재(240)가 연결된 전기 회로등을 가진 전장부부품의 케이싱, 예컨대 자동변속기의 케이싱(212a)에 접착제 또는 다른 고착수단(212b)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 모듈(300)을 수형 커넥터 모듈(200) 상에 끼우면,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 상에 형성된 결합돌기(230)와 위치설정 릿지(211a, 211b)의 배치와 암형 하우징(310)에 형성된 삽입홈(313)과 결합홈(312a, 312b)의 배치에 의해,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와 암형 하우징(310)은 결합돌기(230)가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만 삽입된다. 이 때, 슬라이더(410)가 제1 관통공(411)과 탄성 바의 지지돌기(322a)에 의해 제1 위치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결합돌기(230)는 도입부(413a) 내로 진입하여 제1 경사부(413b)의 상측 벽에 부딪히게 되고,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와 암형 하우징(310)은 더 이상 결합하지 못하고 그 위치에 유지된다. 이 과정에서, 결합돌기(230)의 진입에 의해 걸림돌기(322a)가 밀려져 탄성 바(322)는 외측으로 편향된다.
이 상황에서, 작업자가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암형 하우징(310) 내부로 전 진시키면, 슬라이더(410)의 전진 운동에 의해 결합돌기(230)와 제1 및 제2 경사부(413b, 413c)가 상호작용하게 된다. 제1 경사부(413b)가 제1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제1 경사부와 결합돌기 사이에는 쐐기작용에 의해 결합돌기(230)를 제1 방향을 따라서 미는 힘이 발생된다. 제1 경사부(413b)를 지난 결합돌기(230)는 제2 경사부(413cc)로 진입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제2 경사부(413c)에 의해 결합돌기(230)를 제1 방향을 따라서 미는 힘이 발생된다. 여기서, 제2 경사부(413c)는 제1 경사부(413b)보다 제1 방향에 대하여 큰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결합돌기(230)를 미는 힘은 제1 경사부에서 크고 제2 경사부에서 보다 작다. 결국, 슬라이더(410)를 제2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결합돌기(230)를 제1 방향을 따라서 밀어내는 작용이 발생하고, 그 반작용에 의해 커넥터 모듈(200, 300)을 서로 결합시키는 운동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더(410)가 전진함에 따라 암형 커넥터 모듈(300)은 점차 수형 커넥터 모듈(200) 쪽으로 결합하게 된다. 제1 및 제2 경사부(413b, 413c)와 결합돌기(230) 사이에 발생하는 쐐기작용에 의해, 작업자는 적은 힘으로도 커넥터 모듈(200, 3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암형 하우징(310) 내측으로 완전히 진입시키면, 결합돌기(230)는 안착부(413d)에 위치하게 된다. 안착부(413d)가 제2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돌기(230)는 안착부(413d) 내에 정치하게 되어 안착부(413d)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 때, 제2 관통공(412)에 걸림돌기(322a)가 끼워져 슬라이더 조립체(400)의 제2 위치가 달성된다.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탄성 바의 걸림돌기(322a)에 의해 제2 위치에 유지되므로,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 합완료후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다른 상황에 의해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이탈하여 커넥터 모듈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은 힘만으로 커넥터 모듈(200, 300)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와 암형 하우징(310)의 단면 형상을 확인하면서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암형 커넥터 모듈(300)을 수형 커넥터 모듈(200) 상에 결합돌기(230)가 삽입홈(313)을 지나 도입부(413a)에 놓이도록 적절히 끼운 후,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누르기만 하면 커넥터 모듈(200, 300)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므로, 작업자의 커넥터 모듈 접속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200, 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수형 하우징 삽입부(211)의 내벽이 인터페이스 시일(331)을 누르게 되고, 탄성을 가진 인터페이스 시일(331)은 삽입부(211)의 내벽과 기밀하게 또는 수밀하게 접촉하게 되므로, 커넥터 모듈(200, 300) 사이의 방수 기능 및 이물질 침투 방지 기능이 달성된다.
한편, 결합이 완료되어 있는 커넥터 모듈(200, 300)을 분리시키는 작업은 단순히 작업자가 예컨대 고정판(420)을 잡아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암형 하우징(310)으로부터 빼냄으로써 달성된다. 결합완료 상태로부터 슬라이더 조립체(400)가 후퇴하면, 위에서 기술한 결합 과정과는 반대의 방식으로 작동 슬롯(413)에 의해 결합돌기(230)에 힘이 작용한다.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서서히 잡아 당기면, 암형 커넥터 모듈(300)이 또한 수형 커넥터 모듈(200)로부터 점차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적은 힘만으로 또한 단순히 슬라이더 조립체(400)를 잡아 빼냄으로써 결합된 커넥터 모듈(200, 3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 째, 수형 및 암형의 커넥터 모듈들을 결합시킴에 있어, 단순히 슬라이더를 밀어 넣는 조작만으로, 적은 힘으로 확실한 전기 접속이 보장되는 커넥터 모듈 결합이 달성된다.
둘 째, 단순히 슬라이더를 잡아 빼는 조작만으로,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결합된 커넥터 모듈을 분리시킬 수 있다.
셋 째, 슬라이더 조립체가 커넥터 모듈의 결합개시전 제1 위치에 유지되므로, 커넥터 모듈의 운반도중 슬라이더 조립체가 완전히 삽입되어 작업자가 슬라이더 조립체를 다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결합완료후 슬라이더 조립체가 제2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다른 상황 등으로 슬라이더 조립체가 이탈하여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넷 째, 수형 및 암형 커넥터 모듈의 결합 부분에는 이들의 결합이 특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야 실행되게 하는 구조물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수형 및 암형 커넥터 모듈의 결합면을 정확하게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암형 하우징의 일부가 수형 하우징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더를 집어넣어 커넥터 모듈간의 결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 째, 수형 및 암형 커넥터 모듈의 결합의 경계 부분 상에 시일이 부가되어 있고, 이 시일이 커넥터 모듈의 결합이 완료되면 압축되어 커넥터 모듈 간의 밀봉 기능이 향상된다.
여섯 째, 수형 커넥터 모듈에 결속되는 케이블이 커버 부재와 케이블 인출부에 의해 고정되어, 전기 접촉자와 케이블의 결속부위에 외력이 가해져 결속부위가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따라서, 케이블을 잡아당겨도 결속부위가 파손되지 않으므로, 케이블 배선이 보다 간명해지고 케이블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제1 전기 접촉자와,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모듈;
    상기 제1 하우징이 끼워지고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전기 접촉자와 상보 접속되는 제2 전기 접촉자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에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측판과, 상기 통로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측판에 형성된 탄성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 모듈; 그리고
    상기 통로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전후진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결합돌기에 인가하기 위한 돌기 수용부와 상기 탄성 변형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 한정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부재가 일단에서 상기 측판에 고정되고 자유단에 걸림돌기를 가지는 탄성 바이고,
    상기 위치 한정부가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도입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에 힘을 가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입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모듈이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이 상기 도입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한정부가,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부에 안착할 때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배치된 제2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기울어진 각도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테이퍼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수용된 전기 접촉자와 외부의 연성인쇄회로가 결속되는 부분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커버 부재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가 안착되는 인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일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커버의 자유단이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와 상기 커버 부재 중 어느 하나는 그 표면 상에 상기 연성인쇄회로의 연장 방향에 가로질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홈에 정합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과 제2 커넥터 모듈의 결합시 상기 제1 커넥터 모듈과 제2 커넥터 모듈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시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일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 모듈의 결합완료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에 의해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이 끼워지는 측면 상에 상기 릿지가 결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장치.
KR1020050108546A 2005-11-14 2005-11-14 전기 접속 장치 KR10078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46A KR100783849B1 (ko) 2005-11-14 2005-11-14 전기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546A KR100783849B1 (ko) 2005-11-14 2005-11-14 전기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02A KR20070051102A (ko) 2007-05-17
KR100783849B1 true KR100783849B1 (ko) 2007-12-10

Family

ID=3827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546A KR100783849B1 (ko) 2005-11-14 2005-11-14 전기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421B1 (ko) * 2007-05-21 2009-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미널 커넥터
CN110444953A (zh) * 2019-03-04 2019-11-12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多孔位母端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729A (ko) * 1996-09-19 1998-07-06 로더리히 네테부쉬, 롤프 옴케 전기 커넥터 커플러
KR20040002240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729A (ko) * 1996-09-19 1998-07-06 로더리히 네테부쉬, 롤프 옴케 전기 커넥터 커플러
KR20040002240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102A (ko) 200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9255B (zh) 电连接器与连接器组件
US6997749B1 (en) Shield connector
US6692294B2 (en) Connector
US20060252300A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7207832B2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engaging means
US8282427B2 (en) Connector
JP2003173843A (ja) 電線保持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KR100866090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KR100783849B1 (ko) 전기 접속 장치
US6428340B2 (en) Wire equipment
CN113661611B (zh) 连接器
CN111092318B (zh) 端子以及连接电线与端子的方法
CN109698418B (zh) 端子以及连接器
JP3960259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3094009B2 (ja)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US6254400B1 (en) Connector structure
JP3470866B2 (ja) コネクタ結合装置
CN108808395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装置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20090105058A (ko)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CN111033912B (zh) 连接器外壳以及连接器
KR101830424B1 (ko) 커넥터 분리 방지장치
KR101830425B1 (ko) 커넥터 분리 방지장치
KR101830427B1 (ko) 커넥터 분리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