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485A - 천판 부착 가구 - Google Patents

천판 부착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485A
KR20120096485A KR1020127011913A KR20127011913A KR20120096485A KR 20120096485 A KR20120096485 A KR 20120096485A KR 1020127011913 A KR1020127011913 A KR 1020127011913A KR 20127011913 A KR20127011913 A KR 20127011913A KR 20120096485 A KR20120096485 A KR 20120096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leg
pulley
gas spr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타카 세키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590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17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590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0392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오까무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20096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2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flexible height-adjusting means, e.g. rope, cha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좌우 양다리체에 가스 스프링을 설치하여 중량이 있는 천판이어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고, 또 천판을 승강시킬 때, 천판이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를 제공하기 위해, 천판(2)과, 천판(2)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체를 구비하며, 천판(2)을 승강시켜 높이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에 있어서, 각 다리체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다리기둥과, 고정다리기둥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다리기둥과,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가동다리기둥의 승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과, 가스 스프링의 신축상태와 고정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19)을 갖고, 천판(2)에는 전환수단(19)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9)이 설치되며, 조작수단(9)이 조작된 때, 각 전환수단(19)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환동기수단(25)(35)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천판 부착 가구{PIECE OF FURNITURE WITH TOP PLATE}
본 발명은, 천판(天板)을 승강시켜 높이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버 베드 테이블(over bed table, 천판 부착 가구)에는, 좌우 한 쌍의 신축다리(다리체(脚體)) 중, 한쪽 신축다리에 가스 스프링(gas spring)을 내부에 갖게 하여, 천판을 승강시킬 때, 가스 스프링의 푸시로드(push rod)를 신축다리의 상부측에 설치된 조작레버(조작수단)로 눌러, 가스 스프링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천판의 승강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가스 스프링을 갖지 않는 신축다리의 상부측에도 조작레버를 설치함으로써, 조작자가 오버 베드 테이블의 좌우 어느 위치에 있을 때라도, 천판을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천판 부착 가구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가이드기둥(외부다리기둥)과, 이 가이드기둥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승강기둥(내부다리기둥)으로 다리체를 구성하고, 한쪽 다리체에 가스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천판의 승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도록 하고, 또 복수의 풀리(pulley, 동기용 활차부재(同期用滑車部材))와 이 풀리에 걸쳐놓는 와이어(동기용 선부재(同期用線部材))로 조절장치(승강동기수단(昇降同期手段))를 구성하여, 좌우 승강기둥의 승강 오차를 일으키기 어렵게 만들어 천판의 좌우 양측을 균형 있게 동기적으로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3에도 같은 모양의 각종 동기수단 및 신축동기수단(伸縮同期手段)(승강동기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2761706호 공보(3페이지, 4페이지, 2도, 5도) 일본 특개평 10-179266호 공보(3페이지, 7도) 일본 특허 제3681001호 공보(4페이지, 3도)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오버 베드 테이블(천판 부착 가구)에 있어서는, 한쪽 신축다리(다리체)밖에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중량을 갖는 대형 천판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좌우 양(兩)신축다리에 가스 스프링을 내부에 갖게 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좌우 양신축다리에 가스 스프링을 내부에 갖게 한 상태에서는, 각(各) 가스 스프링의 푸시로드의 누름 타이밍이 어긋나면, 어느 한쪽 가스 스프링이 먼저 신장되어 천판이 기우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책상의 천판 높이조절장치(승강동기수단)에 있어서는, 조절장치의 와이어(동기용 선부재) 일단(一端)과 풀리(동기용 활차부재)를, 가이드기둥(외부다리기둥)에 대해 고정할 필요가 있고, 이들 와이어와 풀리가 가스 스프링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와 풀리를 다리체의 측부(側部)에 설치된 커버부재 내에 수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버부재를 포함시킨 다리체 등의 폭이 커질 뿐 아니라 중량도 증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3에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좌우 양(兩)다리체에 가스 스프링을 설치하여 중량이 있는 천판이어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고, 또 천판을 승강시킬 때, 천판이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판의 좌우 양측을 동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동기수단과 가스 스프링을 콤팩트하게 다리체 내에 수용하여 다리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천판(天板)과, 상기 천판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체(脚體)를 구비하며, 상기 천판을 승강시켜 높이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각(各) 다리체는, 바닥면(床面)에 설치되는 고정다리기둥(固定脚柱)과, 상기 고정다리기둥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다리기둥(可動脚柱)과,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상기 가동다리기둥의 승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신축상태와 고정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천판에는, 상기 전환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된 때, 상기 각(各) 전환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환동기(同期)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가스 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천판의 상하위치를 조정 가능함과 아울러, 좌우 양다리체가 갖는 2개의 가스 스프링에 의해, 중량을 갖는 천판이어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각 전환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환동기수단에 의해, 좌우 가스 스프링의 신축상태 또는 고정상태가 동시에 전환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 가스 스프링의 전환이 먼저 일어나 천판이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각 가스 스프링의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작동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조작용 선부재(線部材)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를 그 연장설치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상기 조작수단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환동기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조작수단이 조작될 때, 이동부재에 의해 가요성을 갖는 조작용 선부재가 그 연장설치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각 작동부재에 연결된 조작용 선부재의 좌우 단부(端部)가 균등하게 조작용 선부재의 연장설치방향으로 이동되고, 각 가스 스프링의 작동부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게 되며, 작동부재와 조작용 선부재와 이동부재라는 간소한 구성으로 전환동기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를 견인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조작수단이 조작되면, 조작용 선부재의 좌우 양단부가 대략 중앙부를 향해 이동되고, 조작용 선부재의 좌우 양단부가 균등하게 이동되게 되며, 또 이동부재로부터 각 작동부재까지의 조작용 선부재의 길이에 오차가 있어도, 그 오차는 조작용 선부재가 이동부재의 접촉면에 슬라이드됨으로써 흡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갖는 조작용 활차부재(滑車部材)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용 선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활차부재에 결합된 부위 근방이, 상기 천판에 대해 고정된 지지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이동부재로부터 각 작동부재까지의 조작용 선부재의 길이에 오차가 있어도, 그 오차는 조작용 활차부재의 회동에 의해 조작용 선부재가 연장설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흡수되게 되며, 또 조작용 선부재에 있어서의 조작용 활차부재에 결합된 부위 근방이, 천판에 고정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조작용 선부재가 조작용 활차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천판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체는, 내부다리기둥(內部脚柱)이 외부다리기둥(外部脚柱)에 끼워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양(兩)다리체를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천판을 승강시켜 높이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다리체의 신축동작을 동기시키는 승강동기수단이 설치되는 천판 부착 가구에 있어서,
상기 승강동기수단은, 상기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리기둥에 대해 피봇지지된 동기용 활차부재와, 상기 동기용 활차부재에 걸쳐지는 가요성을 갖는 동기용 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동기용 선부재는, 상기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리기둥에 대해 고정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부다리기둥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상기 다리체의 신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서로 이간(離間)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제1 수용부에 수용된 가스 스프링과,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동기용 선부재와 이 동기용 선부재를 걸쳐놓는 동기용 활차부재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동작하게 되며, 또 상하방향으로 뻗은 연결부재에 의해,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리기둥이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어느 다리기둥이어도, 동기용 선부재를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가 내부다리기둥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천판의 좌우 양측을 동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동기수단과 가스 스프링을 콤팩트하게 다리체 내에 수용하여 다리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상기 내부다리기둥에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3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수용부에는, 상기 동기용 활차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제1 수용부에 수용된 가스 스프링과, 제3 수용부에 수용된 동기용 활차부재 및 이 동기용 활차부재에 걸쳐지는 동기용 선부재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동작하게 되며, 또 제3 수용부가 폭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 제3 수용부에 의해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서로 떨어져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상기 내부다리기둥의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3 수용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그루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그루브 내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드 접촉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접촉면이 상기 외부다리기둥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내부다리기둥의 그루브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가 외부다리기둥 내부의 슬라이드 접촉면에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다리체의 신축동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며, 또 폭이 좁게 형성된 제3 수용부가 설치된 부위를 이용하여 그루브를 내부다리기둥에 형성할 수 있고, 가이드롤러를 내부다리기둥과 외부다리기둥 사이에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판 부착 가구는,
상기 그루브 내에는, 동일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갖고서 각각 독립하여 회동되는 상하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롤러가 대향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접촉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상하 한 쌍의 가이드롤러가 대향배치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슬라이드 접촉면에 각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리기둥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일 없이 승강하게 된다.
도 1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테이블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와이어부재의 배선 및 조작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우측 아암 및 다리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A-A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다리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B-B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다리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C-C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다리체의 상부를 나타내는 도 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a는 도 8에 있어서의 D-D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누름부재가 가스 스프링을 누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승강기둥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가이드롤러가 지지기둥의 슬라이드 접촉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a는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조작레버가 전방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a은 도 12a의 E-E 종단면도이다.
도 13b은 조작레버가 전방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풀리 및 누름부재에 걸쳐놓는 조작용 와이어부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승강동기수단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a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b은 조작레버가 전방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a은 도 15의 F-F 종단면도이다.
도 17b은 조작레버가 전방측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천판 부착 가구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관계되는 천판 부착 가구에 대해, 도 1에서부터 도 17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4의 지면(紙面) 우하측(右下側)을 테이블 정면측(전방측)으로 함과 아울러, 도 1 및 도 4의 지면 우상측을 테이블(1) 우방측(右方側)으로 하고, 도 3, 도 5, 도 7, 도 8,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 도 16a, 도 16b, 도 17a, 도 17b의 지면 우측을 테이블 정면측(전방측)으로 하며, 도 14의 지면 하측을 테이블 정면측(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부호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천판 부착 가구로서의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1)은, 좌우로 긴 1매의 천판(2)과, 이 천판(2)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체(3)를 갖고, 천판(2)을 승강시켜, 그 높이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체(3)에는, 전후로 연장설치되어 바닥면(床面)에 설치되는 베이스다리(4)와, 베이스다리(4)의 중앙으로부터 입설(立設)된 지지기둥(5)(고정다리기둥, 외부다리기둥)과, 지지기둥(5) 내에 끼워진 승강기둥(6)(가동다리기둥, 내부다리기둥)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기둥(5)의 상부는 개구(開口)되어 있으며, 승강기둥(6)은, 지지기둥(5)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내부에 끼워져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체(3)의 상부에는, 전후로 연장설치되는 아암(7)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아암(7)은 승강기둥(6)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아암(7)은, 전후로 병설(竝設)된 2개의 연결기둥(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기둥(8)은 각기둥(角柱)을 이루며, 좌우 다리체(3) 사이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암(7) 및 연결기둥(8)의 상부에는, 천판(2)이 장착되어 있어, 승강기둥(6)의 승강과 함께 천판(2)이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천판(2)의 하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조작자가 천판(2)을 승강시킬 때 조작하는 조작부(9)(조작수단)가 장착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조작부(9)는 천판(2)의 전단부 근방 및 후단부 근방의 전후 2개소에 이간되어 장착되어 있고, 조작자는, 테이블(1)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어느 측으로부터라도 천판(2)의 승강조작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는, 조작부(9)에 설치된 조작레버(10)를 천판(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천판(2)을 들어올린다든지 내린다든지 함으로써, 천판(2)의 높이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좌우 다리체(3)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양다리체(3)의 내부는, 전후가 반대 상태로 대략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다리체(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테이블(1) 내측에서 본 종단(縱斷) 측면도로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기둥(6) 내부에 있어서의 전방측(지면 우측)에는, 베이스다리(4)에 고정된 연결부재(11)가 상하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으며, 승강기둥(6)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지면 좌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가스 스프링(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12)은, 그 하단부가 베이스다리(4)에 고착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가 아암(7)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11)와 가스 스프링(12) 사이에는, 후술하는 승강동기수단을 구성하는 활차부재(13)(동기용 활차부재) 및 동기용 와이어부재(14)(동기용 선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활차부재(13)는, 좌우방향으로 뻗은 피봇축(6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동기용 와이어부재(14)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스 스프링(12)에 대해,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12)은, 가스를 봉입(封入)시킨 실린더(15)와, 실린더(15) 내부에 배치되어 실린더(15)로부터 출입되는 피스톤로드(16)를 갖고 있으며, 피스톤로드(16)가 출입되어 가스 스프링(12)이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가스 스프링(12)의 상하 길이가 임의의 길이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16)는, 가스 스프링(12)의 상단부에 설치된 푸시로드(17)가 눌러짐으로써 동작하며, 가스 스프링(12)의 상하 길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로드(16)에 있어서의 아암(7)보다 하방위치에 장착된 너트(18)가 아암(7)의 하면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12)의 상하 길이의 변화와 함께, 승강기둥(6)이 상하로 승강되고, 가스 스프링(12)의 상하 길이의 고정과 함께, 승강기둥(6)의 높이위치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푸시로드(17)가 눌러져 피스톤로드(16)가 신축 가능한 상태를 신축상태로 하고, 푸시로드(17)의 누름(押壓)이 해제되어 피스톤로드(16)가 록킹(고정) 된 상태를 고정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가스 스프링(12)의 신축상태와 고정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에 대해, 도 8 및 도 9a,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도 8의 D-D 단면도이며, 다리체(3)를 테이블(1) 후방측에서 본 종단(縱斷) 배면도(背面圖)로 되어 있다.
도 8 및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7) 내부에는,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작동부)를 누르기 위한 누름부재(19)(전환수단, 작동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부재(19)는, 아암(7)에 장착된 피봇지지부재(20)에 피봇지지되어 있으며, 누름부재(19)는, 그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뻗은 피봇지지축(21)을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재(19)는, 그 상단부가 누름부재(19)를 요동시키기 위한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결합되는 와이어 결합부(23)로 되어 있으며, 누름부재(19)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가스 스프링(12)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푸시로드(17)를 누르는 누름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조작용 와이어(25)(조작용 선부재, 전환동기수단)와 수지제 튜브부재(26)을 갖고, 조작용 와이어(25)는, 튜브부재(26)에 삽입통과되어 튜브부재(26) 내에서 연장설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튜브부재(26)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27)에 의해 아암(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블(1)에서,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전후로 2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부재(19)는, 좌우 아암(7)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1개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각 누름부재(19)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도 4 및 도 14 참조). 또한, 전후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동일한 누름부재(19)에 대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후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누름부재(19) 근방에서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25)는, 튜브부재(26)의 길이보다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단부는 조작용 와이어(25)가 노출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25)의 선단은 결합금구(金具)(28)로 고정되어 있고, 이 결합금구(28)가 누름부재(19)의 와이어 결합부(23)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19)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와이어 결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의 조작용 와이어(25)(25)가 전후의 와이어 결합부(23)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누름부재(19)에 있어서, 전후의 와이어 결합부(23)(연결 개소)는, 전후로 이간(離間)해서 설치되어 있고, 이 전후의 와이어 결합부(23) 사이, 즉 2개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 사이에는, 후술하는 활차부재(43)가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용 와이어(25)가 안쪽방향(內方向)으로 끌어 당겨지면 누름부재(19)가 요동하여 누름부(24)가 하강한다. 그리고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가 눌러져, 피스톤로드(16)가 신축 가능한 신축상태로 된다.
또한, 가스 스프링(12)이 신축상태로 되면, 가스 스프링(12) 내부의 가스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피스톤로드(16)가 상승해서, 아암(7) 및 천판(2)이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어 중량이 있는 천판이어도 조작자가 천판(2)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25)의 인장상태가 해제되면, 누름부(24)가 푸시로드(17)로 밀어 올려져 누름부재(19)가 요동하여 복귀된다. 그리고 피스톤로드(16)가 록킹 된 고정상태로 된다. 이렇게 하여 신축상태와 고정상태를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재(19)가 용이하게 복귀하도록, 피봇지지부재(20)의 피봇지지축(21) 부위에 스프링 등의 부세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다음으로, 조작부(9)에 대해 도 12a?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천판(2)의 전후 2개소에 설치되는 조작부(9)는 동일구성이므로 전방측에 설치된 조작부(9)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9)에는, 천판(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9)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30)의 전방측에 조작자가 이동부재(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1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9)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그 네 모서리가 천판(2)에 나사장착되어 있다. 고정부재(29)의 후단부에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지지되는 지지부(31)가 좌우에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29)의 상방에 조합되는 이동부재(30)는, 전부(前部)의 좌우 폭이 후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부재(30)의 전부 및 후부에는, 전후로 뻗은 긴 구멍(32)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32)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통과된 볼트(33)가 고정부재(29)에 고정되어 있고, 이동부재(30)가 도 12a에 나타내는 통상(通常)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볼트(33)는 긴 구멍(32)의 전단부에 위치해 있다.
또한, 이동부재(30)의 후부에는, 대략 반원 형상을 이루는 풀리 배치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리 배치부(34)에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가 결합하는 풀리(35)(이동부재, 전환동기수단, 조작용 활차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30)의 풀리 배치부(34)에 형성된 구멍부(36)와, 풀리(35)의 중심구멍(37)과, 이동부재(30)에 장착된 풀리 피봇지지부재(38)의 구멍부(39)가 서로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풀리(35)는, 풀리 피봇지지부재(38)와 풀리 배치부(34)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뻗은 피봇축(6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부재(29)의 지지부(31)에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튜브부재(26) 단부에 설치된 고정부(40)가 지지되어 있으며, 고정부(40)로부터 노출된 조작용 와이어(25)가 풀리(35)에 결합되어 있다. 풀리(35)의 전방측 원주면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의 조작용 와이어(25)가 슬라이드되는 접촉면(41)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부재(22)에 있어서의 풀리(35)에 결합된 부위 근방이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25)가 풀리(35)에 걸쳐진 상태가 유지되어, 조작용 와이어(25)가 풀리(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b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10)가 전방방향으로 당겨져 이동부재(30)가 전방위치로 이동되면, 조작용 와이어(25)는 튜브부재(26) 내에서 슬라이드되어, 풀리(35)에 결합된 조작용 와이어(25)가 전방방향으로 견인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부(9)가 조작될 때의 움직임에 대해 도 14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우 다리체(3)의 누름부재(19)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조작부(9)는, 천판(2)의 전후단측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가 조작부(9)의 풀리(35)의 접촉면(41)에서 슬라이드되어 견인된다.
그 때문에, 이동부재(30)로부터 좌우 누름부재(19)까지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길이에 오차가 있어도, 그 오차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풀리(35)의 회동과 함께 접촉면(41)에 의해 슬라이드됨으로써 흡수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풀리(35)의 접촉면(41)으로부터 이간할 수도 있다. 즉, 조작용 와이어부재(22)는 풀리(35) 및 이동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자가 전방측의 조작레버(10)를 전방방향으로 당기면, 풀리(35)에 결합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25)가 전방방향으로 견인됨과 아울러, 조작용 와이어(25)의 좌우 단부가 안쪽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좌우 다리체(3) 내부의 누름부재(19)가 동시에 동작하여, 가스 스프링(12)의 신축상태와 고정상태가 동시에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도 9a, 도 9b 참조).
다음으로, 좌우 다리체(3)의 신축동작을 동기시키는 승강동기수단에 대해, 도 5로부터 도 8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블(1)에서는, 승강기둥(6)의 상하 움직임을 동기시키는 승강동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이며, 우측 다리체(3)를 테이블(1)의 후방측에서 본 종단 배면도로 되어 있다.
승강동기수단에 의해, 좌우로 배치되는 승강기둥(6)은, 각각 동일한 이동거리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천판(2)의 높이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천판(2)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기둥(6)의 내부에 있어서의 가스 스프링(12)과 연결부재(11) 사이에 설치된 활차부재(13)는, 좌우방향으로 뻗은 피봇축(6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동기용 와이어부재(14)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아암(7)의 내부에는, 전후로 2개의 활차(42)(42')가 연결된 활차부재(43)(동기용 활차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활차부재(43)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피봇축(63)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전방측 활차(42)와 후방측 활차(42')는, 각각 독립해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활차부재(43)의 외측에는, 측면에서 보아 コ자 형상으로 된 브래킷(44)이 설치되어 있고(도 8 참조), 이 활차부재(43)는, 브래킷(44)을 통해 아암(7)에 나사장착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활차부재(43)는 누름부재(19)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 누름부재(19)가 요동되어도 누름부재(19)는 활차부재(43)에 부딪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 9a, 도 9b 참조).
동기용 와이어부재(14)는, 활차부재(13)(43)에 결합되어 좌우 다리체(3) 및 천판(2)의 하방측에 걸쳐져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기용 와이어부재(14)에 있어서의 연결부재(11) 근방 부위에 연결금구(45)가 설치되어 있고, 동기용 와이어부재(14)는, 이 연결금구(45)를 통해 연결부재(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1)에는, 대략 중간부에 스톱퍼(46)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둥(6)의 하면에는, 스톱퍼 접촉부재(47)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톱퍼 접촉부재(47)가 스톱퍼(46)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승강기둥(6)의 상승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동기용 와이어부재(14)는, 활차부재(43)에 있어서의 전방측 활차(42)로부터 활차부재(13)를 통해 후방측 활차(42')를 향해 ∪자 형상으로 걸쳐져 있다. 우측 아암(7)의 활차부재(43)로부터 뻗어나오는 동기용 와이어부재(14)는, 좌측 아암(7)을 향해 뻗고, 좌측 아암(7) 및 다리체(3)에 걸쳐져, 동기용 와이어부재(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천판(2)이 승강될 때의 움직임에 대해, 도 15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승강동기수단은, 활차부재(13)(43)와, 연결부재(11)에 연결된 동기용 와이어부재(14)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활차부재(13)(43)는, 승강기둥(6)에 대해 피봇지지되어 있어, 승강기둥(6)과 함께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측 활차(42)(42') 중, 한쪽 활차(42)에 걸쳐지는 동기용 와이어부재(14)를 동기용 와이어부재(14a)로 하고, 다른쪽 활차(42')에 걸쳐지는 동기용 와이어부재(14)를 동기용 와이어부재(14b)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지면 우측의 승강기둥(6)이 상승한 경우에는, 우측 활차부재(43)가 상승하지만, 동기용 와이어부재(14a)는 연결금구(45)를 통해 연결부재(1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활차(42)가 인상됨으로써, 동기용 와이어부재(14a)에 의해 좌측 활차부재(13)가 연동하여 우측 활차(42)의 이동거리와 같은 거리만큼 상승한다.
마찬가지로, 지면 좌측의 승강기둥(6)이 상승한 경우에는 좌측 활차부재(43)가 상승하지만, 동기용 와이어부재(14b)는 연결금구(45)를 통해 연결부재(1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활차(42')가 인상됨으로써, 동기용 와이어부재(14b)에 의해 우측 활차부재(13)가 연동하여 좌측 활차(42')가 이동거리와 같은 거리만큼 상승한다.
이와 같이, 동기용 와이어부재(14a)에 의한 작용과 동기용 와이어부재(14b)에 의한 작용이 동시에 작용하여 서로 미치게 되기 때문에, 좌우 승강기둥(6)(6)의 어느 한쪽만이 선행하여 상승하는 일이 없다. 즉, 좌우 승강기둥(6)(6)이 확실하게 동기하여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좌우 승강기둥(6)(6)이 강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좌측 승강기둥(6)과 우측 승강기둥(6)이 동시에 같은 이동거리만큼 연동하여 강하하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좌우 승강기둥(6)(6)의 신축을 동기시키기 때문에, 좌우 승강기둥(6)(6) 및 천판(2)을 일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승강동기수단에 의해, 양쪽 다리체(3)의 신축동작이 동기되어, 천판(2)의 높이위치를 변경할 때, 천판(2)의 좌우에서 높이가 어긋나는 일 없이, 천판(2)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승강되게 된다.
다음으로, 다리체(3) 내부에 있어서의 가스 스프링(12)과 연결부재(11)와 활차부재(13)의 배치에 대해,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의 지면 우측을 전방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기둥(5) 내에 끼워지는 승강기둥(6)에는, 후방측에 가스 스프링(12)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48)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연결부재(11)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용부(48)와 제2 수용부(49) 사이에는, 활차부재(13)가 수용되는 제3 수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수용부(48)에 수용된 가스 스프링(12)과, 제3 수용부(50)에 수용된 활차부재(13) 및 동기용 와이어부재가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3 수용부(50)는, 제1 및 제2 수용부(48)(49)보다 좌우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승강기둥(6)의 외면에 있어서의 제3 수용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그루브(51)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기둥(6)의 전후 외면 및 좌우 그루브(51)의 4면에는, 좌우방향으로 뻗은 피봇축(64)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52)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롤러(52)는 상하 한 쌍의 가이드롤러(52)(52)가 각각 독립하여 회동되며, 이 상하 한 쌍의 가이드롤러(52)(52)로 1조의 롤러부(53)로 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부(53)의 각 가이드롤러(52)(52)는, 수평방향으로 약간 비켜서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기둥(6)의 전후좌우의 각 면의 상하 2개소에 롤러부(53)가 설치되어 있다(도 5, 도 6 참조).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기둥(5)에 있어서의 가이드롤러(52)와 대응하는 부위에는, 홈부(54)가 형성되어 있고, 홈부(54)의 대향하는 면은, 가이드롤러(52)가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 접촉면(55)으로 되어 있다. 상하 한 쌍의 각 가이드롤러(52)(52)는, 한쪽 슬라이드 접촉면(55)과 다른쪽 슬라이드 접촉면(55)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되어 있다.
도 11의 개념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 우측의 가이드롤러(52)는 우측 슬라이드 접촉면(55)에 슬라이드 접촉되고, 지면 좌측의 가이드롤러(52)는 좌측 슬라이드 접촉면(55)에 슬라이드 접촉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승강기둥(6)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일 없이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승강기둥(6)이 상승될 때에는, 우측 가이드롤러(52)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측 가이드롤러(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승강기둥(6)의 승강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승강기둥(6)이 강하될 때에는, 우측 가이드롤러(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좌측 가이드롤러(52)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도시 생략).
또한, 승강기둥(6)의 제3 수용부(50)가 설치된 부위를 이용하여 그루브(5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롤러(52)가 승강기둥(6)과 지지기둥(5) 사이에 콤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조작자가 조작부(9)를 조작하여 천판(2)을 승강시키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자가 조작부(9)의 조작레버(10)를 전방으로 당겨 이동부재(30)가 전방위치로 이동되면, 풀리(35)에 결합하는 조작용 와이어(25)의 대략 중앙부가 전방으로 이동되고(도 12b 참조),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양단이 균등하게 중앙측으로 이동된다(도 14 참조).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단부의 조작용 와이어(25)가 결합하는 좌우 누름부재(19)(19)가 요동되어, 누름부(24)가 하강해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가 동시에 눌러진다(도 9b참조). 그리고 좌우 가스 스프링(12)(12)이 동시에 신축상태로 되어, 천판(2)이 승강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 가스 스프링(12)(12)이 동시에 신축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 가스 스프링(12)의 전환이 먼저 발생하여 가스 스프링(12)(12)의 부세력 불균형에 의해 천판(2)이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자가 천판(2)을 상승시킬 때에는, 가스 스프링(12)이 신축상태인 채로, 즉 조작레버(10)를 당긴 채로, 천판(2)을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천판(2)이 상승된다. 이때, 가스 스프링(12) 내부의 가스에 의해 피스톤로드(16)에는, 상방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중량을 갖는 천판(2)이어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한, 활차부재(13)(43) 및 동기용 와이어부재(14)에 의해 구성되는 승강동기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천판(2)의 높이위치가 좌우로 어긋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9)가 천판(2)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천판(2)에 가하는 힘이 좌우 다리체에 대해 균등하게 가해지게 되어 있다.
천판(2)이 임의 위치로 이동되고, 조작자가 조작레버(10)로부터 손을 떼어 이동부재(30)가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면, 풀리(35)에 결합하는 조작용 와이어(25)의 대략 중앙부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단부가 균등하게 바깥방향(外方向)으로 이동된다.
또,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단부의 조작용 와이어(25)가 결합하는 좌우 누름부재(19)(19)가 요동하여 누름부(24)가 상승해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의 누름이 동시에 해제된다. 그리고 좌우 가스 스프링(12)(12)이 동시에 고정상태로 되어, 천판(2)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조작자가 천판(2)을 강하시킬 때에는, 가스 스프링(12)이 신축상태인 채로, 즉 조작레버(10)를 당긴 채로, 천판(2)을 하방으로 내리누름으로써 천판(2)이 강하된다.
천판(2)이 임의 위치로 이동되고, 조작자가 조작레버(10)로부터 손을 떼어 이동부재(30)가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면, 풀리(35)에 결합하는 조작용 와이어(25)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단부가 동시에 바깥방향으로 이동된다.
좌우 누름부재(19)(19)가 동시에 요동해서 누름부(24)가 상승하여,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의 누름이 동시에 해제된다. 그리고 좌우 가스 스프링(12)(12)이 동시에 고정상태로 되어, 천판(2)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블(1)에서는, 각 다리체(3)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과, 지지기둥(5)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승강기둥(6)과,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승강기둥(6)의 승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12)과, 가스 스프링(12)의 신축상태와 고정상태를 전환하는 누름부재(19)를 갖고, 천판(2)에는, 누름부재(19)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부(9)가 설치되며, 조작부(9)가 조작된 때, 각 누름부재(19)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환동기수단이 설치됨으로써, 가스 스프링(12)의 동작에 의해 천판(2)의 상하위치를 조정 가능함과 아울러, 좌우 양다리체(3)가 갖는 2개의 가스 스프링(12)에 의해, 중량을 갖는 천판(2)이어도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각 누름부재(19)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환동기수단에 의해, 좌우 가스 스프링(12)의 신축상태 또는 고정상태가 동시에 변환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 가스 스프링(12)의 전환이 먼저 발생하여 천판(2)이 기울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19)는, 각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각 누름부재(19)를 서로 연결하는 가요성을 갖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설치되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를 그 연장설치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0)를, 조작부(9)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환동기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조작부(9)가 조작될 때, 이동부재(30)에 의해 가요성을 갖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그 연장설치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각 누름부재(19)에 연결된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좌우 단부가 균등하게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연장설치방향으로 이동되어, 각 가스 스프링(12)의 푸시로드(17)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게 되어, 누름부재(19)와 조작용 와이어부재(22)와 이동부재(30)라는 간소한 구성으로 전환동기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30)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를 견인하도록 되어 있고,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가 이동부재(30)의 접촉면(41)에서 슬라이드됨으로써, 조작부(9)가 조작되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좌우 양단부가 대략 중앙부를 향해 이동되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좌우 양단부가 균등하게 이동되게 되고, 또 이동부재(30)로부터 각 누름부재(19)까지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길이에 오차가 있어도, 그 오차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이동부재(30)의 접촉면(41)에 슬라이드됨으로써 흡수되게 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는, 이동부재(30)가 갖는 풀리(35)에 결합되고, 조작용 와이어부재(22)에 있어서의 풀리(35)에 결합된 부위 근방이, 천판(2)에 대해 고정된 지지부(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이동부재(30)로부터 각 누름부재(19)까지의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길이에 오차가 있어도, 그 오차는, 풀리(35)의 회동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연장설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흡수되게 되고, 또 조작용 와이어부재(22)에 있어서의 풀리(35)에 결합된 부위 근방이, 천판(2)에 고정된 지지부(31)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풀리(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블(1)에서는, 양다리체(3)의 신축동작을 동기시키는 승강동기수단은,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승강기둥(6)에 대해 피봇지지된 활차부재(13)(43)와, 활차부재(13)(43)에 걸쳐지는 가요성을 갖는 동기용 와이어부재(14)에 의해 구성되며, 동기용 와이어부재(14)는,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에 대해 고정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연결부재(11)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기둥(6)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다리체(3)의 신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12)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48)와, 연결부재(11)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49)가 서로 이간되어 설치됨으로써, 제1 수용부(48)에 수용된 가스 스프링(12)과, 제2 수용부(49)에 수용된 연결부재(11)와 이 연결부재(11)에 연결되는 동기용 와이어부재(14)와 이 동기용 와이어부재(14)를 걸쳐놓는 활차부재(13)(43)가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동작되게 되고, 또 상하방향으로 뻗은 연결부재(11)에 의해, 지지기둥(5)이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의 어느 다리기둥이어도, 동기용 와이어부재(14)를 연결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제1 및 제2 수용부(48)(49)가 승강기둥(6)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천판의 좌우 양측을 동기적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동기수단과 가스 스프링(12)을 콤팩트하게 다리체(3) 내에 수용하여 다리체(3)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둥(6)에는, 제1 수용부(48)와 제2 수용부(49)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수용부(48)(49)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3 수용부(50)가 설치되고, 제3 수용부(50)에는, 활차부재(13)가 수용됨으로써, 제1 수용부(48)에 수용된 가스 스프링(12)과, 제3 수용부(50)에 수용된 활차부재(13) 및 이 활차부재(13)에 걸쳐놓는 동기용 와이어부재(14)가 서로 간섭함이 없이 동작되게 되고, 또 제3 수용부(50)가 폭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 제3 수용부(50)에 의해 제1 수용부(48)와 제2 수용부(49)를 서로 떨어져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둥(6)의 외면에 있어서의 제3 수용부(50)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그루브(51)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루브(51) 내에 가이드롤러(52)가 설치되고, 가이드롤러(52)가 슬라이드 접촉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접촉면(55)이 지지기둥(5)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승강기둥(6)의 그루브(51)에 배치되는 가이드롤러(52)가 지지기둥(5) 내부의 슬라이드 접촉면(55)에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다리체(3)의 신축동작이 원활하게 되고, 또 폭이 좁게 형성된 제3 수용부(50)가 설치된 부위를 이용하여 그루브(51)를 승강기둥(6)에 형성할 수 있어, 가이드롤러(52)를 승강기둥(6)과 지지기둥(5) 사이에 콤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51) 내에는, 동일방향을 향하는 피봇축(64)을 갖고서 각각 독립하여 회동되는 상하 한 쌍의 롤러부(53)가 설치되고, 각 가이드롤러(52)가 대향배치된 슬라이드 접촉면(55)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됨으로써, 상하 한 쌍의 롤러부(53)가 대향배치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접촉면(55)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의 슬라이드 접촉면(55)에 각 가이드롤러(52)가 슬라이드 접촉되는 것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리기둥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일 없이 승강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관계되는 천판 부착 가구에 대해, 도 16a?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a?도 17b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작부(9')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조작부(9')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a?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9')는, 천판(2)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9')와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30')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부재(30')의 전방측에는 조작자가 이동부재(3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고정부재(29')는, 천판(2)에 나사장착되어 있고, 고정부재(29')의 상방에 이동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동부재(30')의 전부(前部)는 전후로 뻗은 긴 구멍(32')이 형성되어 긴 구멍(32')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통과된 볼트(33')가 고정부재(29')에 고정되어 있고, 후부는 이동부재(30')에 설치된 풀리(35)에 조작용 와이어(25)가 결합되어 있어, 조작레버(10')의 조작에 의해 이동부재(3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10')의 전부(前部)는 판 형상을 이루는 플레이트부(56)로 되어 있고, 후부에는 이동부재(30')를 견인하는 견인부(57)가 설치되어 있다. 견인부(57)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단의 레버피봇지지부(58)가 천판(2)의 하면에 설치된 레버장착부(59)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견인부(57)의 하부에는, 피봇지지축(60)이 설치되어, 이동부재(30')의 후부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이동부재(30')가 도 17a에 나타내는 통상 위치에 있을 때는, 조작레버(10')의 플레이트부(56)의 단부가 하방을 향해 있다.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레버(10')의 플레이트부(56)를 상방으로 인상하면, 조작레버(10')가 레버피봇지지부(58)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피봇지지축(60)이 전방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동부재(30')가 전방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풀리(35)에 결합된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대략 중앙부가 전방방향으로 이동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용 와이어부재(22)에 의해 연결되는 좌우 누름부재(19)(19)가 동시에 작동되어, 좌우 가스 스프링(12)(12)이 신축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레버(10')로부터 손을 떼어 이동부재(30')가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면, 풀리(35)에 결합하는 조작용 와이어(25)가 후방으로 이동되며, 조작용 와이어부재(22)의 단부가 균등하게 바깥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스 스프링(12)이 고정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조작부(9')에서는, 조작레버(10')의 요동방향과 천판(2)을 들어올리는 방향이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레버(10')를 조작하여 천판(2)의 높이를 조정할 때, 조작레버(10')와 함께 천판(2)의 가장자리(端緣)를 붙잡고 그대로 천판(2)을 들어올릴 수 있어, 천판(2)의 높이조정이 용이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과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천판 부착 가구로서 테이블을 예로 설명했지만, 승강 가능한 천판을 갖는 가구라면 책상 등이어도 좋고, 선반과 그외 집기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푸시로드(17)(작동부)가 눌러짐으로써, 가스 스프링(12)이 동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푸시로드(작동부)의 동작 모양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 없이, 푸시로드(작동부)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가스 스프링(12)이 동작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용 와이어부재(22)가 슬라이드되는 접촉면(41)을 갖는 풀리(35)를 이용하고 있지만, 전방측 원주면인 접촉면(41)이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평면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을 이루는 부재를 이용하여 풀리(35) 대신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9)는 테이블(1)의 천판(2) 전단측과 후단측의 전후 2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전후 어느 1개소에 조작부(9)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9)는 테이블(1)의 천판(2) 전단측과 후단측의 전후 2개소에 설치되어 있지만, 전후 어느 1개소에 조작부(9)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지지기둥(5)에 대해 승강되는 승강기둥(6)이 끼워 맞춰져 있지만, 승강기둥(6)을 외부다리기둥으로 함과 아울러, 지지기둥(5)을 내부다리기둥으로 하여, 승강기둥(6)에 지지기둥(5)이 끼워 맞춰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 테이블(천판 부착 가구)
2 천판
3 다리체
5 지지기둥(고정다리기둥, 외부다리기둥)
6 승강기둥(가동다리기둥, 내부다리기둥)
9, 9' 조작부(조작수단)
11 연결부재
12 가스 스프링
13 활차부재(동기용 활차부재)
14 동기용 와이어부재(동기용 선부재)
17 푸시로드(작동부)
19 누름부재(전환수단, 작동부재)
25 조작용 와이어(조작용 선부재, 전환동기수단)
30, 30' 이동부재
31 지지부
35 풀리(이동부재, 전환동기수단, 조작용 활차부재)
41 접촉면
42, 42' 활차
43 활차부재(동기용 활차부재)
48 제1 수용부
49 제2 수용부
50 제3 수용부
51 그루브
52 가이드롤러
55 슬라이드 접촉면
64 피봇축

Claims (8)

  1. 천판(天板)과, 상기 천판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체(脚體)를 구비하며, 상기 천판을 승강시켜 높이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천판 부착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각(各) 다리체는, 바닥면(床面)에 설치되는 고정다리기둥(固定脚柱)과, 상기 고정다리기둥에 지지되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가동다리기둥(可動脚柱)과,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상기 가동다리기둥의 승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 가스 스프링의 신축상태와 고정상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갖고, 상기 천판에는, 상기 전환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조작수단이 조작된 때, 상기 각(各) 전환수단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전환동기(同期)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상기 각 가스 스프링의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작동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조작용 선부재(線部材)가 설치되며,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를 그 연장설치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상기 조작수단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환동기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를 견인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접촉면에서 슬라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선부재의 대략 중앙부는, 상기 이동부재가 갖는 조작용 활차부재(滑車部材)에 결합되며, 상기 조작용 선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용 활차부재에 결합된 부위 근방이, 상기 천판에 대해 고정된 지지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5. 천판의 좌우 측부를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다리체는, 내부다리기둥(內部脚柱)이 외부다리기둥(外部脚柱)에 끼워짐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양(兩)다리체를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천판을 승강시켜 높이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다리체의 신축동작을 동기시키는 승강동기수단이 설치되는 천판 부착 가구에 있어서,
    상기 승강동기수단은, 상기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리기둥에 대해 피봇지지된 동기용 활차부재와, 상기 동기용 활차부재에 걸쳐지는 가요성을 갖는 동기용 선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동기용 선부재는, 상기 내부 및 외부다리기둥 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리기둥에 대해 고정된 상하방향으로 뻗은 연결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내부다리기둥에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됨으로써 상기 다리체의 신축 보조 및 높이위치의 고정을 행하는 가스 스프링을 수용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연결부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가 서로 이간(離間)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다리기둥에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 제3 수용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수용부에는, 상기 동기용 활차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다리기둥의 외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3 수용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그루브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그루브 내에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롤러가 슬라이드 접촉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뻗은 슬라이드 접촉면이 상기 외부다리기둥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내에는, 동일방향을 향하는 피봇축을 갖고서 각각 독립하여 회동되는 상하 한 쌍의 상기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롤러가 대향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접촉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판 부착 가구.
KR1020127011913A 2009-11-12 2010-11-12 천판 부착 가구 KR20120096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9060 2009-11-12
JPJP-P-2009-259059 2009-11-12
JP2009259059A JP5501738B2 (ja) 2009-11-12 2009-11-12 天板付き家具
JP2009259060A JP2011103921A (ja) 2009-11-12 2009-11-12 天板付き家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485A true KR20120096485A (ko) 2012-08-30

Family

ID=4399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913A KR20120096485A (ko) 2009-11-12 2010-11-12 천판 부착 가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27642A1 (ko)
EP (1) EP2499934A4 (ko)
KR (1) KR20120096485A (ko)
CN (1) CN102711556A (ko)
CA (1) CA2780684A1 (ko)
WO (1) WO20110590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3974B2 (en) * 2011-09-09 2015-09-15 HealthPostures, LLP Computer lift
US9038549B1 (en) * 2012-06-01 2015-05-26 Humanscale Corporation Height adjustable table
TWM462034U (zh) * 2012-12-27 2013-09-21 Syncmold Entpr Corp 升降及旋轉裝置
US9232855B2 (en) * 2013-08-19 2016-01-12 Ergotron, Inc.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AU2015301938A1 (en) * 2014-08-11 2017-03-30 Ergotron, Inc. Height adjustable desk system and method
US9560910B2 (en) * 2015-02-09 2017-02-07 Kesseböhmer Produktions GmbH & Co. KG Device for connecting a belt of a height adjustable furniture piece
US9743754B2 (en) 2015-07-21 2017-08-29 Ergotron, Inc. Gas spring lift
US20180092457A1 (en) * 2016-10-04 2018-04-05 Kadeya Enterprise Co., Ltd. Pneumatic height-adjustable desk
JP1612833S (ko) * 2018-01-05 2018-09-03
CN108703495A (zh) * 2018-07-02 2018-10-26 江苏捷尔特智能气动系统有限公司 同步升降机构及桌子
US10499729B1 (en) * 2018-07-14 2019-12-10 Robert Lavoie Lifting system for use with furniture elements for improving ergonomics
NL2021684B1 (en) * 2018-09-24 2020-05-07 Koninklijke Ahrend B V A height adjustable desk or table
CN109315925A (zh) * 2018-10-18 2019-02-12 江苏捷尔特智能气动系统有限公司 同步升降机构
EP3659467B1 (de) * 2018-11-30 2021-09-08 Lufthansa Technik AG Höhenverstellbare vorrichtung
US10561233B1 (en) * 2018-12-14 2020-02-18 Hi-Max Innovation Co., Ltd. Workstation with pneumatic height adjustable desk
CN110056593A (zh) * 2019-04-23 2019-07-26 江苏捷尔特智能气动系统有限公司 一种压力可调节的气弹簧和升降装置和升降桌
DE102020211523A1 (de) * 2020-09-14 2022-03-17 Kesseböhmer Holding Kg Gasfedersystem für einen höhenverstellbaren Tisch, höhenverstellbarer Tisch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Gasfedersystems
CN112617434B (zh) * 2020-12-10 2022-04-15 安徽粤颍智能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人工调节层数的衣架柜
TWM610497U (zh) * 2020-12-21 2021-04-11 第一傳動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桌具之理線結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2825A (en) * 1950-05-23 1954-07-06 Warholoski August Lawn mower attachment
US4619208A (en) * 1984-12-27 1986-10-28 Herman Miller, Inc. Work surfac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400721A (en) * 1992-06-18 1995-03-28 Greene; H. Peter Load compensator for spring counter-weighting mechanism
JP2761706B2 (ja) 1994-03-29 1998-06-04 株式会社コムラ製作所 オーバーベッドテーブル
CN1149242A (zh) * 1994-04-06 1997-05-07 李恩玉 可将家具置于不同升高位置处的设备
JPH10179266A (ja) 1996-12-24 1998-07-07 Okamura Corp 机の天板の高さ調節装置
US7270062B1 (en) * 1997-09-08 2007-09-18 Larson John E User height adjustable tables, support structures, and chairs
US6021722A (en) * 1998-09-28 2000-02-08 Raycraft; Marc E. Vertically adjustable desk lifting device
DE29822188U1 (de) * 1998-12-12 1999-03-25 Schmidt Rainer Höhenverstellbarer Arbeitstisch
US6484648B1 (en) * 2001-04-12 2002-11-26 Dennis L. Long Adjustment mechanism for workstation
US6705239B2 (en) * 2001-08-17 2004-03-16 Suspa Incorporated Adjustable table assembly
JP2004154188A (ja) * 2002-11-01 2004-06-03 Paramount Bed Co Ltd 伸縮脚およびその伸縮脚を有するテーブル装置
JP3681001B2 (ja) * 2003-02-27 2005-08-10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テーブル装置
US7743716B1 (en) * 2005-06-20 2010-06-29 Burka Eric S Adjustable height counter top system
US7364129B1 (en) * 2006-11-20 2008-04-29 Levari Jr Robert Collapsible stand
US7908981B2 (en) * 2007-01-31 2011-03-22 Michael Agee Height adjustable table
DE102007025215B4 (de) * 2007-05-31 2009-04-30 Kesseböhmer Produktions GmbH & Co. KG Höhenverstellbare Säule, insbesondere für Tische
JP2009233078A (ja) * 2008-03-27 2009-10-15 Okamura Corp 折り畳み式昇降テーブル
JP2009233077A (ja) * 2008-03-27 2009-10-15 Okamura Corp 折り畳みテーブル
US20100301186A1 (en) * 2009-05-26 2010-12-02 Min-Lon Chuang Adjustable support device
US8201505B2 (en) * 2009-08-25 2012-06-19 Long Dennis L Counterbalanc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9934A1 (en) 2012-09-19
US20120227642A1 (en) 2012-09-13
CN102711556A (zh) 2012-10-03
EP2499934A4 (en) 2014-01-15
CA2780684A1 (en) 2011-05-19
WO2011059058A1 (ja)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6485A (ko) 천판 부착 가구
US8365678B2 (en) Extensible table
KR101601933B1 (ko) 가구용 리프트
JP6516575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CN104771005A (zh) 伸缩床
JP5501738B2 (ja) 天板付き家具
JP2011103919A (ja) 天板付き家具
CN102715728A (zh) 一种桌面可升降的桌子
JP3156061U (ja) 昇降調節式作業台
JPH07265134A (ja) オーバーベッドテーブル
JP2011103921A (ja) 天板付き家具
JP5470134B2 (ja) 天板付き家具
JP5470135B2 (ja) 天板付き家具
JP2016145102A (ja) 昇降機構及び家具
JP6601659B2 (ja) 天板付什器
EP2229074B1 (en) Extensible table with improved extension mechanism
JP4541055B2 (ja) リフト構造
JP2009221010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2887081B2 (ja) テーブル装置
JP7429134B2 (ja) テーブル
KR20190019650A (ko) 높이 조절 책상
JP6521655B2 (ja) 昇降機構及び家具
JP2003339447A (ja) 伸縮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脚付き家具
WO2009016621A1 (en) Extendable table
KR200390430Y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상판을 갖는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