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175A -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및 이 접합 부재를 사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 - Google Patents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및 이 접합 부재를 사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93175A KR20120093175A KR1020127007723A KR20127007723A KR20120093175A KR 20120093175 A KR20120093175 A KR 20120093175A KR 1020127007723 A KR1020127007723 A KR 1020127007723A KR 20127007723 A KR20127007723 A KR 20127007723A KR 20120093175 A KR20120093175 A KR 20120093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inated rubber
- rubber body
- cylindrical
- flange plate
- laminated
- Prior art date
Links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8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11 base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09 Low-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3 vulca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5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resiliently deformable sleeves, grommets or inse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대규모의 적층 고무체의 부착 부분의 형상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애스펙트비가 큰 면진 건축 구조물 등에 부상이 생긴 경우에도, 당해 부상량을 흡수하면서, 적층 고무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합 부재 등을 제공한다.
고무층(6a)과 보강판(6b)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 고무부(6)의 상하단면의 각각에 플랜지 플레이트(3)가 접합되어 형성된 적층 고무체(7)를, 플랜지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부 구조체(8) 또는/및 하부 구조체(9)에, 적층 고무체의 부상을 허용하면서 접합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1)로서, 일방측(1e)이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의 연직 방향의 이반에 대하여 전단 변형에 의해 추종하도록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합되고, 타방측(1a)이 상부 구조체 또는/및 하부 구조체에 고정된 상측 앵커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측에 부동으로 고정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등.
고무층(6a)과 보강판(6b)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 고무부(6)의 상하단면의 각각에 플랜지 플레이트(3)가 접합되어 형성된 적층 고무체(7)를, 플랜지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부 구조체(8) 또는/및 하부 구조체(9)에, 적층 고무체의 부상을 허용하면서 접합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1)로서, 일방측(1e)이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의 연직 방향의 이반에 대하여 전단 변형에 의해 추종하도록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합되고, 타방측(1a)이 상부 구조체 또는/및 하부 구조체에 고정된 상측 앵커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측에 부동으로 고정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등.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의 면진 구조에 사용되는 적층 고무체에 사용하는 접합 부재, 및 이 접합 부재를 사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 및 토목 구조물의 지승 부착 구조, 특히,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의 면진 구조에 사용되는 적층 고무체, 토목 구조물에 있어서의 면진 구조 및 수평력 분산 구조에 사용되는 적층 고무체는 그 적층 고무체의 구조상 압축 방향으로는 큰 내력을 가지고,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지만, 인장 방향의 내력은 압축 방향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면진 장치로서의 적층 고무체의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적층 고무체에 인장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그 인장력에 의해 생기는 적층 고무체의 손상이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서, 적층 고무체와 상부 및 하부 구조물의 부착을 다월핀에 의한 연결로 행하여, 설계자를 상하 방향의 인장력의 검토로부터 해방시키고 있었다.
이 부착 구조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고무체(64)의 플랜지 플레이트(66, 67)를, 구조물(61)의 기초 등의 하부 구조물(69)에 고착된 앵커 플레이트(65), 및 상부 구조물(70)에 고착된 어퍼 플레이트(68)에, 부착 볼트(62)와 주머니 너트(63)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큰 수평 변형이 적층 고무체(64)에 작용하면, 적층 고무체(64)의 상면(64a)과 하면(64b)의 수평 방향의 상대적인 어긋남에 의해, 적층 고무체(64)에 회전 모먼트가 생기고, 적층 고무체(64)의 부착 구조 부분에 연직 방향의 인발력이 생긴다. 그러나, 적층 고무체(64)와, 플랜지 플레이트(66, 67)에 돌출 설치된 다월핀(71)이 이반함으로써, 인발력을 해방할 수 있고, 큰 지진에 의해 야기된 큰 수평 변형이어도 적층 고무체(64)의 연직 방향으로 과대한 인장력이 생기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적층 고무체(64)의 손상이나 파손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부 구조물(70)의 적층 고무체(64)와의 부착 부분에도 과대한 입력을 작용시키지 않으므로, 상부 구조물(7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다월핀식의 접합 방법에 의하면, 큰 수평 변형시에는 다월핀 부분이 이반하고, 지승 부착 구조 부분에 연직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지만, 이반의 정도가 더욱 커지면, 다월핀이 빠지고, 적층 고무체 자체에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적층 고무체의 수평 저항력이 저하하고, 적층 고무체가 전도를 시작할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다월핀을 사용한 부착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수평력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변형량을 전도 한계(롤 아웃 변위)로 하여, 적층 고무체의 사용 한계를 정할 필요가 있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그 때문에, 적층 고무체와 상부 및 하부 구조체의 연결에는 일반적으로 앞에서 나온 전도 한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부착 볼트에 의한 긴밀 연결 수단이 널리 사용되게 되고, 적층 고무체의 설계자는 적층 고무체의 인장 방향의 내력이 낮은 것을 충분히 이해하고, 또, 많은 실험 검증에 의해 그 특성을 파악한 다음 적층 고무체에 인장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또는 발생시켜도 인장 방향의 내력을 고려하여, 높은 안전율을 확보한 상태에서 설계가 행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건축 구조물의 면진 설계는 고층 건축물에 대한 적용이나, 애스펙트비가 큰 건축 구조물에 대한 적용이 진행되어, 그것에 따라, 높은 인장 능력을 가지는 적층 고무체의 개발이나, 적층 고무체에 연직 방향의 내력 이상의 인장력을 전달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부 구조물과 지반 사이에 부상(浮上) 방지 장치를 설치하는 연구가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상부 구조물과 지반 사이에 배치되는 부상 방지 장치의 연구 이외에도, 적층 고무체에 큰 인장력을 전달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적층 고무체와 상부 및 하부 구조체의 긴밀 연결 방법에 대해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적층 고무체를 볼트에 의해 상부 구조물 또는 하부 구조물과 긴밀하게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채용하면, 큰 수평 변형이 적층 고무체에 생긴 경우, 적층 고무체에 회전 모먼트에 의한 연직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적층 고무체의 손상이나 파손, 상부 구조물 또는 하부 구조물로의 과대한 입력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애스펙트비가 큰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는, 지진시의 로킹에 의한 과대한 인장력이 적층 고무체에 작용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연직 방향의 인장력을 회피하기 위해서 다월핀식의 연결 구조를 채용하면, 전도 한계의 제한이 있어, 볼트에 의한 연결 구조 및 다월핀식의 연결 구조의 어느 쪽에 있어서도, 적층 고무체의 연결 방법을 선택함에 있어서,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적층 고무 면진 지승 장치의 일방의 단면에 고착된 일방의 부착판(플랜지 플레이트)과, 적층 고무 면진 지승 장치의 일방의 단면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외측에서 일방의 부착판과 고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일방의 부착판에 고착되어 있는 부위보다 내측에 있어서, 적층 고무 면진 지승 장치의 일방의 단면에 대면하는 기초 또는 구조물의 부착면에 고착되어 있는 타방의 부착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부상이 생긴 경우, 양 부착판의 상호의 고착 부위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부착판의 굽힘 강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층 고무 면진 지승 장치에 큰 연직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적층 고무부의 외주와 구조 부재에 대한 고정부 사이의 부위에, 플랜지 부재의 굽힘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박육부 또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적층 고무체에 인발력이 작용해도 적층 고무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아이솔레이터와 구조물의 긴밀한 연결을 완충 시트, 예를 들면 접시 스프링을 통하여 볼트 체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수평운동에는 강고한 체결, 상하운동에 대해서는 완충 시트를 통한 부드러운 체결로 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또, 특허문헌 4에는, 적층 고무의 플랜지부와 구체(軀體)를 긴밀하게 연결하는 볼트의 머리부 사이에 고무 시트 등의 쿠션재를 개재시킨 면진 장치의 인발 대응 기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쿠션재로서 링형상의 강판과 고무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나타나 있고, 쿠션재가 두께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지진시 등에 순간적인 부상력이 가해져도, 쿠션재의 변형 또는 파괴에 의해 힘을 해방시켜, 적층 고무에 인장력을 가하지 않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상하 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적층 고무체의 전단 방향을 연직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적층 고무체를 배치한 상하운동 면진체가 개시되어 있고,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는 상이하지만, 부차적으로 상방향으로 상부 구조체가 부상을 발생시킨 경우에도, 수평 방향으로 전단하는 수평운동 면진체의 부착 볼트 및 수평운동 면진체를 구성하는 적층 고무체의 적층 고무 부분에 상하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임스?M?케리 저, 일본진동기술협회 역/후지타 타카후미 감역, 「면진 구조와 적층 고무의 기초 이론」, 도쿄덴키다이가쿠 출판국, p160-p162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적층 고무체의 부착판을 이중 구조로 하거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적층 고무체의 플랜지 부재의 굽힘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플랜지에 가공을 시행함으로써, 적층 고무체에 대한 인장력을 저감시키는 수단은 적층 고무체의 구조 본체의 설계 변경을 수반하고, 비용도 시간도 들 뿐만 아니라, 설치 스페이스의 재검토도 필요하게 되어,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 점에서는,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와 같은 적층 고무체의 부착 부분에 완충재를 개재시키는 기술은 부상에 의한 적층 고무로의 인장력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적층 고무체의 큰 수평 변형에 의해 생기는 인발력의 완화에도 대응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지만, 특허문헌 3과 같이 강재로 이루어지는 접시 스프링을 조합시키는 경우는, 강재의 접촉부나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부분의 방청이 문제가 되고, 특허문헌 4와 같이 링형상의 강판과 고무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로서 통형상의 고무 와셔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무 재료의 압축 특성을 이용한 단순한 원통형상의 형태이기 때문에, 압축시에 있어서는 통형상 내경 방향으로 고무 재료가 팽출하여, 부착 볼트와의 완충을 발생시켜, 통형상 고무 와셔로 이루어지는 완충재의 파손으로 연결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규모의 적층 고무체의 부착 부분의 형상 변경을 행하지 않고, 애스펙트비가 큰 면진 건축 구조물 등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에 부상이 생긴 경우에도, 당해 부상량을 흡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층 고무체의 탄성층이나 접착층에 대한 연직 방향의 인장력을 저감하여 적층 고무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합 부재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접합 부재를 구비한 적층 고무체 및 이 적층 고무체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로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층과 보강판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 고무부의 상하단면의 각각에 플랜지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형성된 적층 고무체를, 이 플랜지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부 구조체 또는/및 하부 구조체에, 이 적층 고무체와 상기 구조물의 연직 방향의 이반, 소위 부상을 허용하면서 접합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로서, 일방측이 상기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의 연직 방향의 이반에 대하여 전단 변형에 의해 추종하도록 이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합되고, 타방측이 상기 상부 구조체 또는/및 하부 구조체에 고정된 상측 앵커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측에 부동으로 고정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애스펙트비가 큰 면진 건축 구조물 등에 있어서 로킹 등에 의해 상부 구조체에 부상이 생기고, 적층 고무체 부착부에 연직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여, 적층 고무체의 플랜지 플레이트와 하부 구조체로서의 앵커 플레이트 등과의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부상을 발생시킨 경우여도, 이 접합 부재가 연직 방향으로 전단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직 방향으로 생기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대한 응력을 적층 고무체에 작용시키지 않아, 적층 고무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로 하고,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에 뚫린 부착 볼트 구멍에게 삽입되고,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일방측인 외주면측을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에 접합되고,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타방측인 내주면측을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를 삽입통과하는 부착용 볼트를 통하여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측에 부동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가 부상한 경우, 통형상 고무체의 외주면측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내주면측은 부착 볼트에 의해 하부 구조체로서의 하측 앵커 플레이트 등에 부동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통형상 고무가 전단 변형을 발생시켜, 상방으로의 부상을 흡수하여, 적층 고무체의 탄성층, 접착층에 큰 인장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를, 내주면 및 외주면이 통형상 강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통형상 강재가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각 통형상 강재 사이에는 원통형상 고무가 배치되고, 인접하는 통형상 강재 및 원통형상 고무의 각각이 서로 가황 접착된 단면시 동심원형상의 적층 고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에 상기 부착 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 가공을 시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내주면측의 통형상 강재를,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가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상기 적층 고무체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는 만큼 길게 연장하고,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외주면측 통형상 강재의,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의 단부를,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와 걸어맞춰지도록 외주측으로 직경확대시켜 플랜지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내주면측의 통형상 강재와 상기 부착 볼트의 팽대부 사이에, 상기 적층 고무체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는 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상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외주면측 통형상 강재의,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의 단부를,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와 걸어맞춰지도록 외주측으로 직경확대시켜 플랜지부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와 상기 부착 볼트 사이에,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합 부재에 소정의 설정량 이상의 큰 부상량이 생긴 경우에, 접합 부재의 원통형상 고무의 전단 변형량을 안전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고, 통형상 고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적층 고무체로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과대한 인장력이 적층 고무체에 작용하지 않고, 적층 고무체와 구조물의 정착 부분에도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적층 고무체 및 면진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로서, 상기 적층 고무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물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적층 고무체와 구조물의 정착 부분에 과대한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아, 면진 구조물로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규모의 적층 고무체의 부착 부분의 형상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애스펙트비가 큰 건축 구조물 등에 부상이 생긴 경우에도, 당해 부상량을 흡수하면서, 적층 고무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접합 부재를 제공함과 아울러, 이 접합 부재를 구비한 적층 고무체 및 이 적층 고무체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이하, 적당히 「접합 부재」라고 함)의 제1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 부재의 부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합 부재를 부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의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 고무체가 부상했을 때에 있어서의 접합 부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2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3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4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5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6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7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8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다월핀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큰 수평 방향의 상대 변형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합 부재의 부착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접합 부재를 부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의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적층 고무체가 부상했을 때에 있어서의 접합 부재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2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3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 (b)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4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5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6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7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의 제8 실시형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다월핀을 구비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큰 수평 방향의 상대 변형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이 접합 부재(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물(13)의 상부 구조체(8)와 하부 구조체(9) 사이에 개재 장착된 적층 고무체(7)를,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와 적층 고무체(7)의 부상을 허용하면서 접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적층 고무체(7)는 고무층(6a)과 보강판(6b)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 고무부(6)의 상하단면의 각각에 플랜지 플레이트(3(3A, 3B))가 접합되어 형성되고, 고무층(6a)과 보강판(6b) 및 고무층(6a)과 플랜지 플레이트(3)의 접촉면은 가황 접착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적층 고무부(6)의 관통 구멍에는 원기둥형상의 납 플러그(6c)가 봉입되고, 2장의 캡 플레이트(6d)로 밀봉된다.
상부 구조체(8)의 하면에는 머리붙이 스터드(11B)를 통하여 상측 앵커 플레이트(4B)가 고정되고, 하부 구조체(9)의 상면에는 머리붙이 스터드(11A)를 통하여 하측 앵커 플레이트(4A)가 고정되고,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의 연장부에 접합 부재(1(1A, 1B))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부재(1)는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로서 형성되고, 삽입통과 구멍(1a')을 가지는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와, 플랜지부(1e')를 가지는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와, 중간 원통형상 강재(1c)와, 이들 원통형상 강재(1a, 1c, 1e) 사이에 각각 개재 장착되는 원통형상 고무(1b, 1d)로 구성되고, 인접하는 원통형상 강재와 원통형상 고무는 서로 접착제에 의해 완강하게 접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층 고무부(6) 등에 사용되는 가황 접착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해, 접합 부재(1)는 단면시 동심원형상의 적층 고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상 강재(1a, 1c, 1e)는 적층 고무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구조용 압연 강판, 열간 압연 연강판 또는 냉간 압연 강판을 원통형상으로 소정의 직경의 크기로 구부려 성형된 원통형상 강판을 사용해도 되고, 탄소강 강관 등의 원통형상으로 미리 성형되어 있는 원통형상 강관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 강으로 이루어지는 재료 대신에, 전단형 통형상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에 요구되는, 원통형상의 축방향으로의 전단 변형 기능 및 원통형상 외주면 방향으로부터의 압축 변형 기능에 지장이 없는 범위이면, 합성 수지, 알루미늄 등의 비금속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원통형상 고무(1b, 1d)에 사용되는 고무의 재료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것에 더해, 그들의 경년 변화가 작고, 또한 내수성, 내오존성 등의 환경 특성도 바람직한 재료가 좋고,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어느 쪽의 재료여도 되고, 천연 고무와 합성 고무를 혼합한 고무 재료여도 된다.
부착 볼트(2)는 육각구멍붙이 볼트로서, 머리부(팽대부)(2a)에 육각구멍(2c)이 뚫려 있고, 수나사부(2b)를 가진다. 또, 주머니 너트(5)는 대직경부(5a)와, 소직경부(5b)를 가지고, 소직경부(5b)의 상면에 개구하는 암나사부(5c)를 가진다.
접합 부재(1)의 부착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4)의 관통 구멍(4a)에 주머니 너트(5)의 소직경부(5b)를 수용하고, 플랜지 플레이트(3)의 관통 구멍(3a)에 접합 부재(1)를 수용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부재(1)의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의 플랜지부(1e')를 플랜지 플레이트(3)의 상면에 맞닿게 하여, 플랜지 플레이트(3)와 앵커 플레이트(4)를 중첩시키고, 부착 볼트(2)를 접합 부재(1)의 삽입통과 구멍(1a')에 삽입통과시킨 후, 부착 볼트(2)의 수나사부(2b)와 주머니 너트(5)의 암나사부(5c)를 나사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가 부착 볼트(2)의 팽대부(2a)와 주머니 너트(5)의 소직경부(5b)에서 강고하게 끼워져, 앵커 플레이트(4)에 부동으로 고정된다. 한편, 접합 부재(1)의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의 플랜지부(1e')가 플랜지 플레이트(3)의 상면에 접합된다.
상기 접합 부재(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3A)와 하측 앵커 플레이트(4A) 사이에서, 적층 고무체(7)의 복수 부착 볼트(2A)의 각각에 개재 장착됨과 아울러,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3B)와 상측 앵커 플레이트(4B) 사이에서, 적층 고무체(7)의 복수 부착 볼트(2B)의 각각에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개재 장착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접합 부재(1)의 동작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진시 등에 구조물(13)의 상부 구조체(8)에 로킹 등에 의해 부상이 생기고, 적층 고무체(7)의 부착부에 연직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와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4) 사이에 연직 방향의 부상을 발생시켜도, 적층 고무 형상으로 형성된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가 앵커 플레이트(4)에 부동으로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의 플랜지부(1e')가 플랜지 플레이트(3)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접합 부재(1)가 연직 방향으로 전단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적층 고무체(7)의 상방으로의 부상을 흡수하고, 적층 고무체(7)의 탄성층, 접착층 등에 큰 인장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적층 고무체(7)의 손상이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단면시 동심원형상의 통형상 적층 고무 구조를 가지는 접합 부재(1)를 사용함으로써, 전단 방향, 바꾸어 말하면, 플랜지 플레이트(3)의 부상 방향으로의 변형이 용이하며, 접합 부재(1)의 전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동심원형상으로 적층된 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의 변형(소위 압축 변형), 바꾸어 말하면, 구조물(13)을 지지하는 적층 고무체(7)의 수평 방향의 힘의 전달에 있어서는 큰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약간의 압축 변형은 생기지만, 전혀 종래의 부착 볼트에 의한 힘의 전달 상황과 비교하여 특별히 고려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단형 통형상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재(1)를 적층 고무체(7)의 부착 볼트의 각각에 배치함으로써, 적층 고무체(7)에 작용하는 수평력이 접합 부재(1)의 동심원형상의 통형상 적층 고무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작용할 때에 생기는 약간의 변형에 의해, 특정의 부착 볼트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부착 볼트로 생길 우려가 있는 개별적 파괴를 회피할 수도 있다.
또, 플랜지 플레이트(3)의 부상이 상부 구조체(8)와 하부 구조체(9) 사이에 배치된 적층 고무체(7)의 수평 전단 변형에 따른 전도 현상(롤 아웃 현상)에 의해, 또, 상부 구조체(8)의 로킹 현상에 의한 부상에 의해, 부착 볼트(2)의 축선에 수직이 아니라, 축선과 각도를 가지고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접합 부재(1)의 원통형상 고무(1b, 1d)에 있어서 굽힘 변형을 발생시켜, 플랜지 플레이트(3)의 부상에 대하여 큰 저항력이 되는 스커핑이나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적층 고무체(7)에 큰 수평 전단 변형이 생긴 경우에 발생하는 굽힘 모먼트에 의한 적층 고무체(7)의 단부의 부상 현상에 있어서, 부상이 생기는 범위의 고무 재료 및 접착층으로의 연직 방향의 과대한 인장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결과, 적층 고무체(7)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적층 고무체(7)가 큰 수평 전단 변형을 발생시킬 때에 나타나는 하드닝 현상에 의한 수평력의 현저한 상승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수평 전단 변형하에서의 면진 주기의 단축을 막을 수 있어, 넓은 범위에서 장주기를 얻을 수 있어, 대지진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 부재(1)의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의 플랜지부(1e')를 플랜지 플레이트(3)의 상면에 접합했지만, 플랜지부(1e')를 설치하지 않고,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의 외주면과 플랜지 플레이트(3)의 관통 구멍(3a)의 내주면을 끼워맞추고,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를 플랜지 플레이트(3)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3B)가 상승한 후, 하강시에 접합 부재(1)에 빠짐이 생기고,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의 플랜지부(1e')가 초기 위치로 복원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랜지부(1e')를 플랜지 플레이트(3)에 고정용 나사 등으로 기계적으로 고정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접합 부재(21)는 도 1에 나타낸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를 접합 부재(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a)를 가지는 점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접합 부재(1)와 동일하다. 또, 부착 볼트(22)로서 도 1의 부착 볼트(2)로서의 육각구멍붙이 볼트 대신에 육각 볼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 밖에 플랜지 플레이트(3), 앵커 플레이트(4) 및 주머니 너트(5)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접합 부재(21)를 접합 부재(1)로 바꾸고, 부착 볼트(22)를 부착 볼트(2)로 바꾸어 도 3에 나타낸 구조물(13)에 사용할 수 있다.
접합 부재(21)에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a)를 설치한 것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진시 등에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와,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4)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부상을 발생시켜도, 부착 볼트(22)의 머리부(22a)와, 접합 부재(2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a) 이외의 부분이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접합 부재(21)에 의해, 적층 고무체(7)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면서, 적층 고무체(7)를 도 3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21)의 부착 요령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한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접합 부재(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접합 부재(1)를 사용하고, 부착 볼트(22)로서 육각 볼트를 사용하고, 부착 볼트(22)의 머리부(22a)와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 사이에 칼라(24)를 개재 장착하고 있다. 그 외에는 플랜지 플레이트(3), 앵커 플레이트(4) 및 주머니 너트(5)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접합 부재(1), 부착 볼트(22) 및 칼라(24)를 도 3에 나타낸 구조물(13)에 사용할 수 있다.
칼라(24)를 설치한 것은,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시 등에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와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4)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부상을 발생시켜도, 부착 볼트(22)의 머리부(22a)와,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 이외의 부분이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접합 부재(1)에 의해, 적층 고무체(7)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면서, 적층 고무체(7)를 도 3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1)의 부착 요령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한 점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접합 부재(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접합 부재(31)는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31a)의 내면에 암나사부(31b)를 나사설치한 점만 도 1에 나타낸 접합 부재(1)와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접합 부재(1)와 동일하다. 또, 부착 볼트(32)로서 도 1의 부착 볼트(2)로서의 육각구멍붙이 볼트 대신에 육각구멍붙이 고정 나사를 사용하고 있다. 그 밖에 플랜지 플레이트(3), 앵커 플레이트(4) 및 주머니 너트(5)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접합 부재(31)를 접합 부재(1)로 바꾸고, 부착 볼트(32)를 부착 볼트(2)로 바꾸어 도 3에 나타낸 구조물(13)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랜지 플레이트(3)의 관통 구멍(3a)에 수용한 접합 부재(31)의 암나사부(31b)와 부착 볼트(32)의 수나사부(32a)를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부착 볼트(32)와 주머니 너트(5)를 나사결합시키고, 접합 부재(3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31a)를 앵커 플레이트(4)에 부동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시 등에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와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4)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부상을 발생시켜도, 접합 부재(1)가 연직 방향으로 전단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적층 고무체(7)의 상방으로의 부상을 흡수하고, 적층 고무체(7)의 탄성층, 접착층 등에 큰 인장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적층 고무체(7)의 손상이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접합 부재(1)를 사용하고, 부착 볼트(42)로서 도 1에 나타낸 부착 볼트(2)보다 머리 아래 길이가 긴 육각구멍붙이 볼트를 사용하고, 부착 볼트(42)의 머리부(42a)와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 사이에 부상 방지 스토퍼(43)를 개재 장착하고 있다. 이 부상 방지 스토퍼(43)는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상의 본체(43a)의 상단부에 플랜지부(43b)를 구비한다. 그 밖에 플랜지 플레이트(3), 앵커 플레이트(4) 및 주머니 너트(5)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접합 부재(1), 부착 볼트(42) 및 부상 방지 스토퍼(43)를 도 3에 나타낸 구조물(13)에 사용할 수 있다.
부상 방지 스토퍼(43)를 설치한 것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시 등에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와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4)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부상을 발생시켜도, 도 8에 있어서, 부착 볼트(42)의 머리부(42a)와, 접합 부재(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a) 이외의 부분이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직 방향의 부상에 의해 접합 부재(1)의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가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가 부상 방지 스토퍼(43)의 플랜지부(43b)의 하면에 맞닿아,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접합 부재(1)와 마찬가지로 적층 고무체(7)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면서, 적층 고무체(7)를 도 3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에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 부재(1)에 과대한 전단 변형,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설정량 이상의 큰 부상량이 생긴 경우에는,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가 부상 방지 스토퍼(43)의 플랜지부(43b)의 하면에 맞닿아, 접합 부재(1)의 원통형상 고무(1b, 1d)의 전단 변형량을 안전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고무체(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접합 부재(1)를 사용한 경우에도, 플랜지 플레이트(3)의 부상이 부착 볼트(42)의 축선에 수직이 아니라, 축선과 각도를 가지고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접합 부재(1)의 원통형상 고무(1b, 1d)에 있어서 굽힘 변형을 발생시키고, 플랜지 플레이트(3)의 부상에 대하여 큰 저항력이 되는 스커핑이나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접합 구조에, 또한 부상 방지 스토퍼로서의 와셔(23)를 부착 볼트(22)의 머리부(22a)와 접합 부재(2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a) 사이에 개재 장착하고 있다. 이 와셔(23)를 사용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진시 등에 적층 고무체(7)의 플랜지 플레이트(3)와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4) 사이에, 연직 방향으로 부상을 발생시켜도, 도 9에 있어서, 부착 볼트(22)의 머리부(22a)와, 접합 부재(21)의 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a) 이외의 부분이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연직 방향의 부상에 의해 접합 부재(21)의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e)가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e)가 와셔(23)의 하면에 맞닿아,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도 8에 나타낸 접합 구조와 마찬가지로, 적층 고무체(7)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면서, 적층 고무체(7)를 도 3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에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 부재(21)에 과대한 전단 변형, 바꾸어 말하면 소정의 설정량 이상의 큰 부상량이 생긴 경우에는,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21e)가 와셔(23)의 하면에 맞닿아, 접합 부재(21)의 원통형상 고무(21b, 21d)의 전단 변형량을 안전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고무체(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접합 구조에, 추가로 부상 방지 스토퍼로서의 와셔(23)를 부착 볼트(22)의 머리부(22a)와 칼라(24)의 상면 사이에 개재 장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접합 구조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낸 적층 고무체(7)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면서, 적층 고무체(7)를 도 3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에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 부재(1)에 소정의 설정량 이상의 큰 부상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1e)가 와셔(23)의 하면에 맞닿아, 접합 부재(1)의 원통형상 고무(1b, 1d)의 전단 변형량을 안전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무 재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의 제8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접합 부재(31)를 사용하고, 부착 볼트(35)로서 도 7에 나타낸 부착 볼트(32)보다 전체 길이가 긴 육각구멍붙이 고정 나사를 사용하고, 부착 볼트(35)의 수나사부(35a)에 부상 방지 스토퍼(36)의 암나사부(36a)를 나사결합시키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접합 구조와 마찬가지로, 도 4에 나타낸 적층 고무체(7)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면서, 적층 고무체(7)를 도 3에 나타낸 상부 구조체(8) 및 하부 구조체(9)에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 부재(31)에 소정의 설정량 이상의 큰 부상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31e)가 부상 방지 스토퍼(36)의 하면에 맞닿아, 접합 부재(31)의 원통형상 고무(31b, 31d)의 전단 변형량을 안전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무 재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 부재(1) 등을, 3개의 원통형상 강재(1a, 1c, 1e)와, 각각의 원통형상 강재에 개재 장착된 원통형상 고무(1b, 1d)를 구비한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로 했지만, 중간 원통형상 강재(1c)를 설치하지 않고, 2개의 원통형상 강재(1a, 1e)로 구성해도 되고, 이와는 반대로 복수의 중간 원통형상 강재(1c)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부상 방지 스토퍼를 설치하는 형태에 있어서, 이 스토퍼와 접합 부재 사이에 완충용 시트를 배치하면, 접촉시의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는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방측이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3A) 또는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3B)의 연직 방향의 이반에 대하여 전단 변형에 의해 추종하도록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3A) 또는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3B)와 접합되고, 타방측이 하부 구조체(9)에 고정된 하측 앵커 플레이트(4A)측 또는 상부 구조체(8)에 고정된 상측 앵커 플레이트(4B)측에 부동으로 고정되는 탄성 부재이면 모두 대상이 된다.
1(1A, 1B)…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1a…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1a'…삽입통과 구멍
1b…원통형상 고무
1c…중간 원통형상 강재
1d…원통형상 고무
1e…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1e'…플랜지부
2(2A, 2B)…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볼트)
2a…머리부
2b…수나사부
2c…육각구멍
3(3A, 3B)…플랜지 플레이트
3a…관통 구멍
4(4A, 4B)…앵커 플레이트
4a…관통 구멍
5(5A, 5B)…주머니 너트
5a…대직경부
5b…소직경부
5c…암나사부
6…적층 고무부
6a…고무층
6b…보강판
6c…납 플러그
6d…캡 플레이트
7…적층 고무체
8…상부 구조체
9…하부 구조체
11(11A, 11B)…머리붙이 스터드
13…구조물
21…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21a…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21b…원통형상 고무
21d…원통형상 고무
21e…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22…부착 볼트(육각 볼트)
22a…머리부
23…와셔
24…칼라
31…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31a…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31b…원통형상 고무
31d…원통형상 고무
31e…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32…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고정 나사)
32a…수나사부
35…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고정 나사)
35a…수나사부
36…부상 방지 스토퍼
36a…암나사부
42…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볼트)
42a…머리부
43…부상 방지 스토퍼
43a…본체
43b…플랜지부
1a…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1a'…삽입통과 구멍
1b…원통형상 고무
1c…중간 원통형상 강재
1d…원통형상 고무
1e…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1e'…플랜지부
2(2A, 2B)…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볼트)
2a…머리부
2b…수나사부
2c…육각구멍
3(3A, 3B)…플랜지 플레이트
3a…관통 구멍
4(4A, 4B)…앵커 플레이트
4a…관통 구멍
5(5A, 5B)…주머니 너트
5a…대직경부
5b…소직경부
5c…암나사부
6…적층 고무부
6a…고무층
6b…보강판
6c…납 플러그
6d…캡 플레이트
7…적층 고무체
8…상부 구조체
9…하부 구조체
11(11A, 11B)…머리붙이 스터드
13…구조물
21…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21a…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21b…원통형상 고무
21d…원통형상 고무
21e…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22…부착 볼트(육각 볼트)
22a…머리부
23…와셔
24…칼라
31…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31a…내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31b…원통형상 고무
31d…원통형상 고무
31e…외주면측 원통형상 강재
32…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고정 나사)
32a…수나사부
35…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고정 나사)
35a…수나사부
36…부상 방지 스토퍼
36a…암나사부
42…부착 볼트(육각구멍붙이 볼트)
42a…머리부
43…부상 방지 스토퍼
43a…본체
43b…플랜지부
Claims (9)
-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탄성층과 보강판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 고무부의 상하단면의 각각에 플랜지 플레이트가 접합되어 형성된 적층 고무체를, 이 플랜지 플레이트를 통하여 상부 구조체 또는/및 하부 구조체에, 이 적층 고무체의 부상을 허용하면서 접합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로서,
일방측이 상기 상측 플랜지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의 연직 방향의 이반에 대하여 전단 변형에 의해 추종하도록 이 플랜지 플레이트와 접합되고, 타방측이 상기 상부 구조체 또는/및 하부 구조체에 고정된 상측 앵커 플레이트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측에 부동으로 고정되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이며,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에 뚫린 부착 볼트 구멍에 삽입되고,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일방측인 외주면측이 상기 플랜지 플레이트에 접합되고,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타방측인 내주면측이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를 삽입통과하는 부착용 볼트를 통하여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측에 부동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통형상 강재로 이루어지고, 또한 이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통형상 강재가 적어도 하나 배치되고, 각 통형상 강재 사이에는 원통형상 고무가 배치되고, 인접하는 통형상 강재 및 원통형상 고무의 각각이 서로 가황 접착된 단면시 동심원형상의 적층 고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에 상기 부착 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 가공이 시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내주면측의 통형상 강재는,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가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상기 적층 고무체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는 만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외주면측의 통형상 강재의,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의 단부가,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에 걸어맞춰지도록 외주측으로 직경확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내주면측의 통형상 강재와 상기 부착 볼트의 팽대부 사이에, 상기 적층 고무체의 소정의 부상량을 확보하는 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상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외주면측의 통형상 강재의,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앵커 플레이트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의 단부가, 상기 상측 또는/및 하측 플랜지 플레이트에 걸어맞춰지도록 외주측으로 직경확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와 상기 부착 볼트 사이에, 이 전단형 통형상 고무체의 변형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고무체.
- 제 8 항에 기재된 적층 고무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32375 | 2009-10-06 | ||
JP2009232375 | 2009-10-0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3175A true KR20120093175A (ko) | 2012-08-22 |
Family
ID=4385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7723A KR20120093175A (ko) | 2009-10-06 | 2010-09-30 |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및 이 접합 부재를 사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694175B2 (ko) |
KR (1) | KR20120093175A (ko) |
TW (1) | TWI531736B (ko) |
WO (1) | WO201104324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804B1 (ko) * | 2018-02-22 | 2019-03-18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 이중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제작 및 설치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77096B2 (ja) * | 2012-06-22 | 2016-08-24 | 株式会社Ihi | 結合構造体 |
JP6404573B2 (ja) * | 2014-02-06 | 2018-10-10 |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 構造物基礎構造 |
JP6419449B2 (ja) * | 2014-03-28 | 2018-11-07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免震装置 |
JP6420991B2 (ja) * | 2014-08-21 | 2018-11-07 | 株式会社フジタ | 免震装置 |
US20170268224A1 (en) * | 2014-09-09 | 2017-09-21 | Ideal Brain Co., Ltd. | Inter-element joint structure |
JP6605872B2 (ja) * | 2015-08-04 | 2019-11-13 |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 構造物支持構造 |
JP6627178B2 (ja) * | 2016-03-24 | 2020-01-08 |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橋桁支持構造 |
US10280962B2 (en) * | 2017-02-02 | 2019-05-07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Insert for joining components |
CN113784812A (zh) * | 2019-04-25 | 2021-12-10 | 育良精机株式会社 | 棒材供送装置 |
CN114212264A (zh) * | 2021-12-04 | 2022-03-22 |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直升机平台缓冲垫及缓冲支架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4429Y2 (ja) * | 1992-09-28 | 2000-05-15 |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 弾性締付具 |
JP4493222B2 (ja) * | 2001-02-26 | 2010-06-30 | 株式会社川金コアテック | 積層ゴム支承及び該支承の構造物への固定構造 |
JP2004296042A (ja) * | 2003-03-28 | 2004-10-21 | Polymatech Co Ltd | 異方性ダンパー及び異方性ダンパーの製造方法 |
JP4552229B2 (ja) * | 2005-03-30 | 2010-09-29 | 横浜ゴム株式会社 | 橋梁用弾性支承 |
JP2006283408A (ja) * | 2005-03-31 | 2006-10-19 | Daiwa House Ind Co Ltd | 制振構造 |
JP4803455B2 (ja) * | 2006-06-20 | 2011-10-26 | 清水建設株式会社 | 免震装置 |
JP4330171B2 (ja) * | 2007-03-01 | 2009-09-16 |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 アイソレータ保護装置、免震装置 |
-
2010
- 2010-09-30 KR KR1020127007723A patent/KR201200931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9-30 JP JP2011535360A patent/JP5694175B2/ja active Active
- 2010-09-30 WO PCT/JP2010/067073 patent/WO201104324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30 TW TW099133309A patent/TWI531736B/zh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4804B1 (ko) * | 2018-02-22 | 2019-03-18 |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 이중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제작 및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43242A1 (ja) | 2011-04-14 |
TW201129755A (en) | 2011-09-01 |
JP5694175B2 (ja) | 2015-04-01 |
JPWO2011043242A1 (ja) | 2013-03-04 |
TWI531736B (zh) | 2016-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93175A (ko) | 적층 고무체용 접합 부재 및 이 접합 부재를 사용한 적층 고무체 및 구조물 | |
JP5135034B2 (ja) | 露出型柱脚構造 | |
TWI544128B (zh) | 疊層橡膠體之安裝構造及具有該安裝構造之構造體 | |
JP4288370B2 (ja) | ダンパー装置 | |
JP4820235B2 (ja) | 免震装置 | |
JP5814153B2 (ja) | 積層ゴム体用接合部材並びに該接合部材を用いた積層ゴム体及び構造物 | |
CN215759770U (zh) | 装配式自复位钢筋混凝土剪力墙 | |
KR102245613B1 (ko) | 건축용 내진 보강장치 | |
JP7017879B2 (ja) |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及び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を備えた橋梁 | |
KR102092413B1 (ko) |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중간 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 장치 | |
JP5522971B2 (ja) | ゴム座金並びに該ゴム座金を用いた支承及び構造物 | |
JP5357911B2 (ja) | 免震基礎構造 | |
JP6780632B2 (ja) | 複合ダンパー | |
JP5214371B2 (ja) | 構造物 | |
CN113605559A (zh) | 装配式自复位钢筋混凝土剪力墙 | |
JP6833292B2 (ja) | 屋根耐震構造 | |
JP2016079799A (ja) | 制振構造 | |
JP3713645B2 (ja) | 積層ゴムを用いた免震装置 | |
KR102092412B1 (ko) |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제진 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 |
JP2020180547A (ja) | 制震装置 | |
KR102097821B1 (ko) | 이중 강판을 이용한 댐퍼를 이용하여 내진 보강한 구조물 | |
JP2020090999A (ja) | 緩衝体、免震建物及び建物 | |
KR102627952B1 (ko) | 조립형 앵커를 가지는 교량받침 | |
JP3180347U (ja) | 後付け耐震補強構造体および後付け耐震補強金物ユニット | |
KR100987811B1 (ko) | 납과 주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면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