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379A - 축 연결 기구 - Google Patents

축 연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379A
KR20120091379A KR1020127016036A KR20127016036A KR20120091379A KR 20120091379 A KR20120091379 A KR 20120091379A KR 1020127016036 A KR1020127016036 A KR 1020127016036A KR 20127016036 A KR20127016036 A KR 20127016036A KR 20120091379 A KR20120091379 A KR 20120091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base
radial
pai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8046B1 (ko
Inventor
노보루 나카가와
히로시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1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ade of rubber or simi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축 연결 기구(1)는, 전동 모터측 회전축(2)에 연결된 연결 기체(3)와, 스티어링 축(4)에 연결된 연결 기체(5)와, 양 연결 기체(3) 및 (5)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 연결 기체(3) 및 (5)를 통해 회전축(2)의 R방향 회전을 스티어링축(4)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부재(6) 및 (7)과, 회전 전달 부재(6) 및 (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개재 부재(8)와,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 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축 연결 기구{Shaft coupling mechanism}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의 전동 모터 등의 회전원측 회전축과 자동차의 스티어링축 등의 작동측 회전축을 연결하기에 적합한 축 연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수동 조작되는 스티어링 휠(핸들)의 회전에 기초한 회전력에 전동 모터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에 기초한 회전력을 부가하여 스티어링 휠의 수동에 의한 조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스티어링 휠측의 스티어링축과 전동 모터의 출력 회전축측의 회전축을 축 연결 기구(커플링)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축 연결 기구를 통해 스티어링축과 회전축을 연결할 경우, 전동 모터의 출력 회전축의 반전시 충격, 전동 모터의 브러시 진동이 축 연결 기구 및 스티어링축을 통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불쾌한 조타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 연결 기구에 고무 또는 연질수지 등의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는데, 충격, 진동의 저감을 중시하여 스페이서를 보다 유연한 것으로 하면, 유연한 스페이서는 크리프 변형이 쉽게 생기기 때문에 스페이서에의 반복 하중에 의한 스페이서의 영구적인 변형으로 축 연결 기구가 덜걱거리고 이로써 또 운전자의 조타 감각이 불쾌해질 우려가 있는 반면, 내구성을 중시하여 스페이서를 경질의 것으로 하면, 상기와 반대로 덜걱거림이 없다는 점에서 조타 감각은 좋아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된 충격, 진동으로 조타 감각이 불쾌해진다.
그래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와 이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중간 개재 부재와 한쪽 회전축에 연결되는 한쪽 연결 기체(基體)와 다른 쪽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른 쪽 연결 기체를 구비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한쪽 회전축인 예를 들면 전동 모터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축과 다른 쪽 회전축인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에 연결된 스티어링축과의 사이에 축심 둘레 방향으로 덜걱거림이 발생하기 어렵고, 게다가 전동 모터의 반전시 충격, 브러시 진동이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그럼에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조타 감각을 불쾌하게 하지 않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축 연결 기구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표특허 2002-51824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2004-14899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2004-14907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 2006-183676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제안 축 연결 기구에서는, 연결 기체의 각각은, 기부(基部)와 이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결과,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에서, 각 연결 기체의 돌출부가 상대쪽 연결 기체의 기부에 압압, 접촉하여 이 압압, 접촉에 의한 충돌음이 생기고, 나아가 한쪽 회전축의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으로 전달할 때 이러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가 생기면, 압압, 접촉에 기인한 불쾌한 마찰음이 생길 우려가 있는 데다가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접근 변위를 흡수할 수 없어서 중간 개재 부재의 직경 방향의 돌출부에 축방향의 탄성 압축 변형을 일으켜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를 일으키는 브러시 진동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압압,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각 연결 기체의 돌출부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하면, 각 연결 기체의 돌출부의 각 회전 전달 부재에의 축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각 회전 전달 부재가 이상하게 변형되거나, 중간 개재 부재가 과도하게 탄성 압축 변형되어 내구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에서 충돌음의 발생을 없앰과 동시에 한쪽 회전축의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으로 전달할 때는 불쾌한 마찰음을 일으키지 않고, 게다가 각 연결 기체의 돌출부의 각 회전 전달 부재 또는 중간 개재 부재에의 축심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면적을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기체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개재 부재의 과도한 탄성 압축 변형을 막을 수 있어 내구성 악화가 없는 축 연결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쪽 회전축의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2개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어 2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본 발명에 의한 축 연결 기구는, 한쪽 회전축에 연결되는 한쪽 연결 기체(基體)와, 다른 쪽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른 쪽 연결 기체와, 이들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와, 이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개재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각각은, 제1 기부(基部)와, 이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축방향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와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각각은, 축방향에서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기부와, 축심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간됨과 동시에 제2 기부의 외주연(外周緣)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와, 제2 기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와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는 축방향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고, 중간 개재 부재는 축방향에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 기부와, 축심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간되어 제3 기부의 외주연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축방향에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에서의 축심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한쌍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와, 제3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쪽의 제2 기부의 관통공을 관통한 제2 축방향 돌출부와, 제3 기부의 축방향의 다른 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제2 기부의 관통공을 관통한 제3 축방향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중간 개재 부재의 한쌍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는, 제1 축방향 돌출부 및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의 강성(剛性)보다 작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및 한쪽 회전축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제2 축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면에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및 다른 쪽 회전축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제3 축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면에 접촉하고 있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한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양 측면에서 한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한쪽 측면 및 다른 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또한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축방향의 면을 넘어 축방향의 끝단면에서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고,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다른 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양 측면에서 한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면 및 다른 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한쪽 측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또한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축방향의 면을 넘어 축방향의 끝단면에서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축 연결 기구에 의하면,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및 다른 쪽 회전축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제2 축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면에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및 다른 쪽 회전축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제3 축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면에 접촉하고 있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축방향의 면을 넘어 축방향의 끝단면에서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고,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축방향의 면을 넘어 축방향의 끝단면에서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 연결 기체의 축방향 돌출부의 끝단면과 다른 쪽 연결 기체의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과의 접촉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축방향 돌출부의 끝단면과 한쪽 연결 기체의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데다가,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축방향 돌출부를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직경 방향 돌출부의 전면(全面)에 축심 둘레 방향에서 접촉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에서 충돌음의 발생을 없앰과 동시에 한쪽 회전축의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으로 전달할 때 불쾌한 마찰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게다가 각 연결 기체의 축방향 돌출부의 각 회전 전달 부재의 직경 방향 돌출부에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접촉 면적을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는 데다가 중간 개재 부재의 과도한 탄성 압축 변형을 막을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 각각은, 제2 기부의 한쪽 축방향의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관통공에서 돌출되는 제2 축방향 돌출부를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둘러싼 돌출부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를 구비한 축 연결 기구에 의하면, 제2 및 제3 축방향 돌출부가 크게 탄성 압축 변형되거나, 주저앉아버려서 제2 및 제3 축방향 돌출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도 돌출부에 의해 제2 및 제3 축방향 돌출부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 경질의 수지로 형성되는데, 기타 강성을 가지는 경질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중간 개재 부재는 우레탄 고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의 축 연결 기구는,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더 가지고 있고, 결합 수단은,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의 다른 쪽 축방향 면의 내주연에서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를 향해 돌출되어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끝단에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의 내주연에 걸린 후크부와,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의 다른 쪽 축방향 면의 내주연에서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를 향해 돌출되어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끝단에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의 내주연에 걸린 후크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이 경우 제3 기부를 구비한 중간 개재 부재는 결합 수단의 양 후크부 각각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상기 제3 기부에 가지고 있으면 좋다.
이러한 관통공에 의해 중간 개재 부재가 결합 수단의 양 후크부에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으면, 2개의 회전축의 상대적인 양방향 회전에 대해 중간 개재 부재에 의한 효과를 균등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축 연결 기구에서는,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상대적인 초기 회전에서 여유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의 그 각 측면에서, 양 회전축의 일정 이하의 상대 회전에서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 대면하는 중간 개재 부재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의 측면에 접촉하는 반면, 축심 둘레 방향에서 대면하는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의 측면에, 양 회전축의 일정 이하의 상대 회전에서는 비접촉이 되고, 양 회전축의 일정 이상의 상대 회전에서는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한쪽 연결 기체는, 한쪽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착되어 있어도 좋지만, 기어 기구 등 다른 회전 전달 기구를 사이에 두고 한쪽 회전축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쪽 연결 기체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축 연결 기구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의 것이어도 좋고, 이 경우, 한쪽 회전축은 전동 모터의 출력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다른 쪽 회전축은 자동차의 스티어링축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 회전축의 다른 쪽 회전축에 대한 축방향의 상대적인 변위에서 충돌음의 발생을 없앰과 동시에 한쪽 회전축의 회전이 다른 쪽 회전축으로 전달될 때 불쾌한 마찰음을 일으키지 않고, 게다가 각 연결 기체의 돌출부의 각 회전 전달 부재에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접촉 면적을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기체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개재 부재의 과도한 탄성 압축 변형을 막을 수 있어 내구성이 열화되지 않는 축 연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예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일부 파단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III-III선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IV-IV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V-V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회전축쪽 연결 기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스티어링축쪽 연결 기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중간 개재 부재의 설명도로서, (a)는 우측면도이고,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회전축쪽의 회전 전달 부재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이고, (b)는 (a)의 b-b선 단면도이고, (c)는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스티어링축쪽의 회전 전달 부재의 설명도로서, (a)는 좌측면도이고, (b)는 (a)의 b-b선 단면도이고, (c)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들 예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예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용 축 연결 기구(1)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동 모터측 회전축(2)에 연결된 연결 기체(3)와, 회전축으로서의 스티어링축(4)에 연결된 연결 기체(5)와, 양 연결 기체(3) 및 (5)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양 연결 기체(3) 및 (5)를 개재시켜 회전축(2)의 R방향 회전을 스티어링축(4)에 전달하는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과,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개재 부재(8)와,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 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강성의 연결 기체(3)는, 특히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환형 기부(11)와, 기부(11)의 축방향, 즉 A방향의 한쪽 환형 면(12)에서 A방향이고 연결 기체(5)의 기부(16)를 향해 일체적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축심 둘레 방향, 즉 R방향으로 90°의 동일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쌍의 축방향 돌출부(13)와, 기부(1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4)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2)은 본 예와 같이 삽입된 관통공(14)에서 기부(11)에 끼워져고정되어 있어도 좋지만, 기부(11)의 중앙에 형성된 바닥 있는 오목부에서 기부(11)에 끼워져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나아가, 기부(11)에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강성의 연결 기체(5)는,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환형 기부(16)와, 기부(16)의 축방향, 즉 A방향의 한쪽 환형 면(17)에 A방향이고 연결 기체(3)의 기부(11)를 향해 일체적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R방향으로 90°의 동일각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 2쌍의 축방향 돌출부(18)와, 기부(1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9)을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축(4)도, 본 예와 같이 삽입된 관통공(19)에서 기부(16)에 끼워져고정되어 있어도 좋지만, 기부(16)의 중앙에 형성된 바닥 있는 오목부에서 기부(16)에 끼워져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나아가, 기부(16)에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축방향 돌출부(13)의 각각은, R방향에서 한쌍의 강성 회전 전달면으로서의 평탄한 측면(21) 및 (22)를 가지고 있고, 축방향 돌출부(18)의 각각도 또 R방향에서 한쌍의 강성 회전 전달면으로서의 평탄한 측면(23) 및 (24)를 가지고 있다.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강성의 회전 전달 부재(6)은, 특히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방향에서 기부(11) 및 (16)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기부(11) 및 (16)과 동심으로 배치된 원환형 기부(31)과, 기부(31)의 원통형 외주연(32)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부(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 45°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4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33)와, 기부(31)의 원통형 내주연(34)에 A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 90°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형성된 4개의 홈(35)와, 각 홈(35)의 일단에 연접됨과 동시에 기부(31)의 내주연(34)이며 면(12)에 대면하는 기부(31)의 A방향의 한쪽 원환형 면(36)에 형성된 4개의 걸림고정 홈(37)과, 면(36)에 상기 면(36)에서 A방향이며 면(12)를 향해 돌출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38)와, 내주연(34)에 의해 규정됨과 동시에 기부(3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9)을 구비하고 있다.
각 직경 방향 돌출부(33)는 R방향에서 한쌍의 강성 회전 전달면으로서의 측면(41) 및 (42)를 가지고 있고, 각 직경 방향 돌출부(33)의 중간 개재 부재(8)에 대면하는 면(43)은 서로 동일한 면 상에 있고 평탄, 바람직하게는 R방향에서 볼록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38)는, 동심원상에 R방향에서 90°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형성된 4개의 R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원호형 돌기(45)로 이루어지고, 각 돌기(45)의 A방향 끝면(46)은 평탄하고 서로 동일한 면 상에 있다.
회전 전달 부재(6)와 마찬가지로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강성의 회전 전달 부재(7)는, 특히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방향에서 기부(11) 및 (16)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기부(11) 및 (16)과 동심으로 배치된 원환형 기부(51)와, 기부(51)의 원통형 외주연(52)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기부(51)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 45°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4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53)와, 기부(51)의 원통형 내주연(54)에 A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 90°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형성된 4개의 홈(55)과, 각 홈(55)의 일단에 연접됨과 동시에 기부(51)의 내주연(54)이며 면(17)에 대면하는 기부(51)의 한쪽 원환형 면(56)에 형성된 4개의 걸림고정 홈(57)과, 면(56)에 상기 면(56)에서 A방향이며 면(17)을 향해 돌출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58)와, 내주연(54)에 의해 규정됨과 동시에 기부(3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9)을 구비하여 회전 전달 부재(6)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직경 방향 돌출부(53)는 R방향에서 한쌍의 강성 회전 전달면으로서의 측면(61) 및 (62)를 가지고 있고, 각 직경 방향 돌출부(53)의 중간 개재 부재(8)에 대면하는 면(63)은 서로 동일한 면 상에 있고 평탄, 바람직하게는 R방향에서 볼록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58)는 동심원상에 R방향에서 90°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형성된 4개의 R방향으로 연장된 원호형 돌기(65)로 이루어지고, 각 돌기(65)의 A방향 끝면(66)은 평탄하여 서로 동일한 면 상에 있다.
회전 전달 부재(6)와 회전 전달 부재(7)는 중간 개재 부재(8)를 사이에 두고 기부(31)과 기부(51)이, 그리고 직경 방향 돌출부(33)의 각각과 직경 방향 돌출부(53)의 각각이 각각 A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부재(6) 및 (7)보다 작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한 우레탄 고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 탄성체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중간 개재 부재(8)는,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방향에서 기부(31) 및 (51) 사이에 기부(31) 및 (51)과 동심으로 배치된 원반형 기부(71)와, 기부(71)의 원통형 외주연(72)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기부(71)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 45°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4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와, 기부(71)에 형성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 45°의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동심으로 형성된 8개의 원호형 관통공(74)과, 기부(71)의 A방향의 한쪽의 평탄한 면(75)에서 A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부(71)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기부(3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9)을 관통한 축방향 돌출부(76)와, 기부(71)의 A방향의 다른 쪽의 평탄한 면(77)에서 A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부(71)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기부(5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9)을 관통한 축방향 돌출부(78)를 구비하고 있고, A방향에서 기부(71)이 기부(31) 및 (51)에, 그리고 직경 방향 돌출부(73)가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에 각각 끼워지고 게다가 이들에 딱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고, 축방향 돌출부(76)과 축방향 돌출부(78)은 본 예에서는 A방향에서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A방향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중간 개재 부재(8)의 각 직경 방향 돌출부(73)는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각각의 강성보다 작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R방향에서 측면(79) 및 (80)을 가지고 있는 각 직경 방향 돌출부(73)은, A방향에서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대응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의 각각에 상기 대응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의 각각에 딱 접촉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각각의 R방향의 폭(D1)보다 큰 폭(D2)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전달 부재(6) 및 (7)과 회전 전달 부재(6) 및 (7) 사이에 끼워진 중간 개재 부재(8)는, 기부(31) 및 (51)과 기부(71)이, 그리고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각각과 직경 방향 돌출부(73) 각각이 각각 A방향에서 서로 딱 접촉하여 대면하도록 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연결 기체(3)의 기부(11) 및 회전축(2) 각각은, A방향의 면(12) 및 (81) 각각에서 축방향 돌출부(76)의 A방향 면(82)에 접촉하고 있고, 연결 기체(3)의 축방향 돌출부(13)은, R방향에서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및 R방향에서의 중간 개재 부재(8)의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의 양 측면(21) 및 (22) 각각에서 한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에서의 한쪽 측면(79) 및 다른 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면(80)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또한 회전 전달 부재(7)의 면(56)을 넘어 A방향의 끝단면(83)에서 연결 기체(5)의 기부(16)의 면(17)에 간극(84)을 두고 대면하고 있다.
연결 기체(5)의 기부(16) 및 스티어링축(4) 각각은, A방향의 면(17) 및 (85) 각각에서 축방향 돌출부(78)의 A방향 면(86)에 접촉하고 있고, 연결 기체(5)의 축방향 돌출부(18)는 R방향에서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남는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및 R방향에서의 중간 개재 부재(8)의 남는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R방향에서의 양 측면(23) 및 (24) 각각에서 한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면(24) 및 다른 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에서의 한쪽 측면(79)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또한 회전 전달 부재(6)의 면(36)을 넘어 A방향의 끝단면(87)에서 연결 기체(3)의 기부(11)의 면(12)에 간극(88)을 두고 대면하고 있다.
결합 수단(9)은, 회전 전달 부재(6)의 내주연(34)에서 회전 전달 부재(7)의 기부(51)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어 기부(31)로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하나 간격의 관통공(74) 및 홈(55)을 통해 끝단에서 걸림고정 홈(57)에서 회전 전달 부재(7)의 기부(51)의 내주연(54)에 걸린 4개의 후크부(91)와, 회전 전달 부재(7)의 내주연(54)에서 회전 전달 부재(6)의 환형 기부(31)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되어 기부(51)에 일체적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남는 하나 간격의 관통공(74) 및 홈(35)을 통해 끝단에서 걸림고정 홈(37)에 있어서 회전 전달 부재(6)의 기부(31)의 내주연(34)에 걸린 후크부(92)를 구비하고 있고, R방향에서 동일각도 간격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된 후크부(91) 및 (92) 각각은, 그 끝단에 턱부(93)를 가지고 있고, 각 턱부(93)로 걸림고정 홈(57)에서의 내주연(54) 및 걸림고정 홈(37)에서의 내주연(34) 각각에 걸려 있고, 이러한 결합 수단(9)을 통해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은 중간 개재 부재(8)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어 있다.
중간 개재 부재(8)와, 중간 개재 부재(8)를 사이에 두고, 또한, 결합 수단(9)에 의해 상호 결합된 회전 전달 부재(6) 및 (7)에 대해, 연결 기체(3)의 축방향 돌출부(13)의 각각은, R방향에서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각 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중 한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즉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및 중간 개재 부재(8)의 각 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 중 한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 즉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연결 기체(5)의 축방향 돌출부(18) 각각은, R방향에서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각 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중 다른 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즉 남는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 및 중간 개재 부재(8)의 각 쌍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 중 다른 쪽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 즉 남는 하나 간격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축(2) 및 스티어링축(4)의 일정 이하의 R방향의 상대 회전에서는, 연결 기체(3)의 각 축방향 돌출부(13)는, R방향의 그 각 측면(21) 및 (22)에서, R방향에서 대면하는 중간 개재 부재(8)의 각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 측면(79) 및 (80)에 각각 접촉하는 한편, R방향에서 대면하는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의 측면(41) 및 (42) 그리고 (61) 및 (62)에 각각 비접촉되어 있고, 연결 기체(5)의 각 축방향 돌출부(18)는, R방향의 그 각 측면(23) 및 (24)에서, R방향에서 대면하는 중간 개재 부재(8)의 각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 측면(79) 및 (80)에 각각 접촉하는 한편, R방향에서 대면하는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의 측면(41) 및 (42) 그리고 (61) 및 (62)에 각각 비접촉되어 있다.
관통공(39)에서 돌출되는 축방향 돌출부(76)를 단속적으로 둘러싼 돌기(45)를 가짐과 동시에 축방향 돌출부(76)의 관통공(39)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적은 A방향의 길이(돌출량)를 가진 돌출부(38)는, 대응하는 간극(88)보다 작은 간극(95)을 그 A방향 끝면(46)과 면(12) 사이에 형성하였고, 마찬가지로 관통공(59)에서 돌출되는 축방향 돌출부(78)를 단속적으로 둘러싼 돌기(65)를 가짐과 동시에 축방향 돌출부(78)의 관통공(59)으로부터의 돌출량보다 적은 A방향의 길이(돌출량)을 가진 돌출부(58)는, 대응하는 간극(84)보다 작은 간극(96)을 그 A방향 끝면(66)과 면(17)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2개의 회전축인 회전축(2) 및 스티어링축(4)을 서로 연결하는 축 연결 기구(1)를 구비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면, 스티어링 축(4)이 R방향으로 회전되고, 스티어링축(4)의 R방향 회전은, 미도시된 기어 등의 전달 기구를 통해 드래그 링크 등에 왕복 이동으로서 전달되어 조향륜(차륜)에 대한 조타력을 준다.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수동 조작에서, 스티어링 휠에 가해지는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동 모터가 작동되면, 회전축(2)이 R방향으로 회전되어 축방향 돌출부(13)에 의한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R방향의 탄성 변형 후의 측면(41) 및 (61)에의 측면(21)의 접촉 또는 측면(42) 및 (62)에의 측면(22)의 접촉에 기초한 축방향 돌출부(13)에 의한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의 R방향으로의 압압을 통해 연결 기체(3)의 R방향 회전이 연결 기체(5)의 축방향 돌출부(18)에 전달되고, 이로써 스티어링 축(4)의 R방향 회전력에 대해 회전축(2)의 R방향 회전력을 부가하여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수동 조작을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의 R방향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인 스티어링축(4)에 전달하도록 회전축(2) 및 스티어링축(4)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2) 및 스티어링축(4)을 연결하는 축 연결 기구(1)에서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지 않고 스티어링축(4)이 R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 또는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에 의해 수동 조작되어 스티어링축(4)이 R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 중 어떠한 상태에서도, 스티어링 축(4)에 대한 회전축(2)의 R방향의 상대 회전이 폭(D2)와 폭(D1)과의 차의 반절 정도 이내의 작은 것인 경우에는, 직경 방향 돌출부(73)가 용이하게 압축 변형되는 결과, 이러한 회전축(2)의 미세한 R방향의 상대 회전은 스티어링축(4)에는 거의 전달되지 않고, 그럼에도 축 연결 기구(1) 및 스티어링축(4)을 통해 전동 모터의 반전시 충격, 브러시 진동이 스티어링 휠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조타 감각을 불쾌하게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일정 이상의 압축 변형 후 측면(41) 및 (61)에의 측면(21)의 접촉 또는 측면(42) 및 (62)에의 측면(22)의 접촉이 발생하여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그 이상의 탄성 압축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결과, 직경 방향 돌출부(73) 각각의 크리프에 의한 주저앉음을 방지할 수 있고, 축방향 돌출부(13) 및 (18)과 직경 방향 돌출부(73)와의 R방향에서의 측면(21) 및 (22) 그리고 (23) 및 (24)와 측면(79) 및 (80)과의 상호 접촉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어 스티어링축(4)과 회전축(2) 사이에 R방향으로의 덜걱거림이 생기지 않게 된다.
그리고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은, 스티어링 휠의 운전자에 의한 수동 조작으로 스티어링축(4)이 R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전동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축(2)이 R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티어링축(4)에 대해 회전축(2)이 일정 이상, 즉 폭(D2)와 폭(D1)과의 차의 반절 정도 이상으로 R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려고 할 경우에는, 측면(41) 및 (61)에의 측면(21)의 접촉 또는 측면(42) 및 (62)에의 측면(22)의 접촉에 기초한 축방향 돌출부(13)에 의한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의 R방향으로의 압압으로 이러한 일정 이상의 R방향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회전축(2)의 R방향 회전을 스티어링축(4)에 전달하여 스티어링축(4)의 회전을 보조하게 된다.
이상의 축 연결 기구(1)에 의하면, 연결 기체(3)의 기부(11) 및 회전축(2) 각각은, 동일한 면 높이로 배치된 A방향의 면(12) 및 (81) 각각에서 축방향 돌출부(76)의 A방향 면(82)에 접촉되어 있고, 연결 기체(5)의 기부(16) 및 스티어링축(4) 각각은, 동일한 면 높이로 배치된 A방향의 면(17) 및 (85) 각각에서 축방향 돌출부(78)의 A방향 면(86)에 접촉되어 있고, 연결 기체(3)의 축방향 돌출부(13)는, 회전 전달 부재(7)의 면(56)을 넘어 A방향의 끝단면(83)에 연결 기체(5)의 기부(16)의 면(17)에 간극(84)을 두고 대면하고 있고, 연결 기체(5)의 축방향 돌출부(18)는, 회전 전달 부재(6)의 면(36)을 넘어 A방향의 끝단면(87)에 연결 기체(3)의 기부(11)의 면(12)에 간극(88)을 두고 대면하기 때문에, 연결 기체(3)의 축방향 돌출부(13)의 끝단면(83)과 연결 기체(5)의 기부(16)의 면(17)과의 접촉 및 연결 기체(5)의 축방향 돌출부(18)의 끝단면(87)과 연결 기체(3)의 기부(11)의 면(12)와의 접촉을 막을 수 있는 데다가, 연결 기체(3) 및 (5)의 축방향 돌출부(13) 및 (18)을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의 전면에 R방향에서 접촉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2)의 스티어링축(4)에 대한 A방향의 상대적인 변위에서 충돌음의 발생을 없앰과 동시에 회전축(2)의 R방향 회전을 스티어링축(4)으로 전달할 때에는 불쾌한 마찰음을 일으키지 않고, 게다가 연결 기체(3) 및 (5) 각각의 축방향 돌출부(13) 및 (18)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으로의 R방향에서의 접촉 면적을 원하는 만큼 확보할 수 있는 데다가, 중간 개재 부재(8)의 과도한 탄성 압축 변형을 막을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축 연결 기구(1)에 의하면, 회전 전달 부재(6) 및 (7) 각각이 그 기부(31) 및 (51)의 면(36) 및 (56)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38) 및 (58)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축방향 돌출부(76) 및 (78)이 크게 탄성 압축 변형되거나, 주저앉아 축방향 돌출부(76) 및 (78)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게 되더라도 돌출부(38) 및 (58)의 면(12) 및 (17)에의 접촉에 의해 축방향 돌출부(76) 및 (78)의 기능을 대행할 수 있다.
또한 축 연결 기구(1)에 의하면, A방향에서 회전 전달 부재(6) 및 (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개재 부재(8)가 A방향에서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사이의 각각에 배치됨과 동시에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각각의 R방향의 폭(D1)보다 큰 폭(D2)를 가진 직경 방향 돌출부(73)를 가지고 있고, 중간 개재 부재(8)의 각 직경 방향 돌출부(73)가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각각의 강성보다 작은 강성을 가지고 있는 결과, 회전축(2)의 R방향의 회전의 스티어링축(4)으로의 전달이 중간 개재 부재(8)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탄성 변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회전축(2)의 R방향의 미세한 회전의 스티어링축(4)으로의 전달을 중간 개재 부재(8)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탄성 변형으로 저감 또는 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2)의 스티어링축(4)에 대한 큰 R방향의 상대 회전의 스티어링축(4)으로의 전달을 중간 개재 부재(8)의 직경 방향 돌출부(73)보다 큰 강성을 가지고 있는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을 통해 그대로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스티어링 축(4)에 대한 회전축(2)의 R방향의 일정 이상의 상대 회전에서는 큰 강성을 가진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에서 중간 개재 부재(8)의 직경 방향 돌출부(73)의 큰 탄성 변형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중간 개재 부재(8)에 대해 유연성이 있는 강성이 작은 수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크리프에 의한 중간 개재 부재(8)의 영구적인 변형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이 결합 수단(9)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합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중간 개재 부재(8)의 탄성 변형에 의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A방향의 상호 이반(離反)을 없앨 수 있어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A방향의 확대를 일정하게 억제할 수 있고, 그럼에도 전동 모터의 반전시 충격, 브러시 진동이 스티어링 휠에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2) 및 스티어링축(4) 사이의 R방향으로 덜걱거리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조타 감각을 불쾌하게 하지 않음과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하여 특성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 축 연결 기구(1)에 의하면, 중간 개재 부재(8)가 관통공(74)을 관통하는 결합 수단(9)의 양 후크부(91) 및 (92)를 통해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6) 및 (7)에 대해 R방향에 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2) 및 스티어링축(4)의 상대적인 R방향의 양쪽 회전에 대해 중간 개재 부재(8)에 의한 효과를 균등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예의 축 연결 기구(1)는 1개의 중간 개재 부재(8)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대신에, 2개 이상의 중간 개재 부재(8)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회전 전달 부재(6) 및 (7) 각각도 또 2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또 연결 기체(3) 및 (5)의 축방향 돌출부(13) 및 (18), 회전 전달 부재(6) 및 (7)의 직경 방향 돌출부(33) 및 (53), 중간 개재 부재(8)의 직경 방향 돌출부(73), 결합 수단(9)의 후크부(91) 및 (92)는 상기 개수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부(11)의 면(12) 및 회전축(2)의 면(81)은 서로 동일한 면 상에 있지 않아도 좋고, 마찬가지로 기부(16)의 면(17) 및 스티어링축(4)의 면(85)은 서로 동일한 면 상에 있지 않아도 좋다.
1 축 연결 기구
2 회전축
3 연결 기체
4 스티어링축
5 연결 기체
6,7 회전 전달 부재
8 중간 개재 부재

Claims (2)

  1. 한쪽 회전축의 회전을 다른 쪽 회전축에 전달하도록 2개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어 2개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축 연결 기구로서, 한쪽 회전축에 연결되는 한쪽 연결 기체(基體)와, 다른 쪽 회전축에 연결되는 다른 쪽 연결 기체와, 이들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와, 이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개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각각은, 제1 기부(基部)와, 이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축방향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와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 각각은, 축방향에서 한쪽 및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기부와, 축심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간됨과 동시에 제2 기부의 외주연(外周緣)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와, 제2 기부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와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는 축방향에서 서로 대면하고 있고, 중간 개재 부재는, 축방향에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제2 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3 기부와, 축심 둘레 방향에서 서로 이간되어 제3 기부의 외주연에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축방향에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의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 사이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한쌍의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에서의 축심 둘레 방향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한쌍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와, 제3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한쪽의 제2 기부의 관통공을 관통한 제2 축방향 돌출부와, 제3 기부의 축방향의 다른 쪽 면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제2 기부의 관통공을 관통한 제3 축방향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중간 개재 부재의 한쌍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는, 제1 축방향 돌출부 및 제1 직경 방향 돌출부의 강성(剛性)보다 작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하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및 한쪽 회전축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제2 축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면에 접촉하고 있고,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 및 다른 쪽 회전축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축방향의 한쪽 면에서 제3 축방향 돌출부의 축방향 면에 접촉하고 있고,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한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양 측면에서 한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한쪽 측면 및 다른 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또한 다른 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축방향의 면을 넘어 축방향의 끝단면에서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고, 다른 쪽 연결 기체의 제1 축방향 돌출부는,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다른 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그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양 측면에서 한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다른 쪽 측면 및 다른 쪽의 제2 직경 방향 돌출부의 축심 둘레 방향에서의 한쪽 측면에 각각 접촉하고 있고, 또한 한쪽 회전 전달 부재의 한쪽 축방향의 면을 넘어 축방향의 끝단면에서 한쪽 연결 기체의 제1 기부의 축방향의 한쪽 면에 간극을 두고 대면하고 있는 축 연결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회전 전달 부재 각각은, 제2 기부의 한쪽 축방향 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관통공에서 돌출되는 제2 축방향 돌출부를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둘러싼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축 연결 기구.
KR1020127016036A 2009-12-25 2010-12-15 축 연결 기구 KR101398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6416A JP5428852B2 (ja) 2009-12-25 2009-12-25 軸連結機構
JPJP-P-2009-296416 2009-12-25
PCT/JP2010/007291 WO2011077670A1 (ja) 2009-12-25 2010-12-15 軸連結機構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340A Division KR101389128B1 (ko) 2009-12-25 2010-12-15 축 연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79A true KR20120091379A (ko) 2012-08-17
KR101398046B1 KR101398046B1 (ko) 2014-05-27

Family

ID=441952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036A KR101398046B1 (ko) 2009-12-25 2010-12-15 축 연결 기구
KR1020137028340A KR101389128B1 (ko) 2009-12-25 2010-12-15 축 연결 기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340A KR101389128B1 (ko) 2009-12-25 2010-12-15 축 연결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616986B2 (ko)
EP (2) EP2518358A4 (ko)
JP (1) JP5428852B2 (ko)
KR (2) KR101398046B1 (ko)
CN (1) CN102686898B (ko)
BR (1) BR112012014128B8 (ko)
WO (1) WO20110776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06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5679B2 (ja) * 2012-01-19 2016-03-30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29451B2 (ja) * 2012-01-31 2016-06-08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915355B2 (ja) * 2012-04-23 2016-05-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軸連結機構
JP2013234708A (ja) * 2012-05-08 2013-11-21 Oiles Corp 軸連結機構
JP6057611B2 (ja) * 2012-08-22 2017-01-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軸連結機構
JP6149381B2 (ja) * 2012-11-01 2017-06-21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2918862B1 (en) * 2012-11-06 2018-04-25 NSK Ltd. Torque transmission join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6273767B2 (ja) * 2013-10-24 2018-02-07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733372B2 (ja) * 2013-11-14 2015-06-1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軸連結機構
TW201527154A (zh) * 2014-01-02 2015-07-16 Kwang Yang Motor Co 車輛電子動力輔助轉向裝置
JP6131863B2 (ja) 2014-01-17 2017-05-24 株式会社デンソー 動力伝達装置
JP2015217704A (ja) * 2014-05-14 2015-12-0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384134B2 (ja) * 2014-06-11 2018-09-05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EP3176454B1 (en) * 2014-09-26 2020-06-17 NSK Ltd. Torque transmission join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2016124488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45432B1 (ko) * 2015-01-07 2019-02-07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KR102310534B1 (ko) * 2015-08-18 2021-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조향장치
JP6187608B2 (ja) * 2016-01-13 2017-08-30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6006156A1 (de) * 2016-05-23 2017-11-23 Thyssenkrupp Ag Elektromechanische Servolenkung mit schwenkbarem Lager für ein Schraubradgetriebe
WO2018030358A1 (ja) * 2016-08-08 2018-02-15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453906B1 (en) * 2016-10-13 2020-12-09 NSK Ltd. Joint for torque transmission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11047419B2 (en) 2017-02-20 2021-06-29 Keith Boutte Segmented driveshaft
KR101925596B1 (ko) * 2017-10-30 2018-12-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진동 저감 축
KR102569198B1 (ko) * 2018-08-20 2023-08-2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DE102020214840A1 (de) 2020-11-26 2022-06-0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mit schwenkelastischer 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4409Y1 (ko) * 1967-05-24 1970-02-28
CH584365A5 (ko) * 1972-10-25 1977-01-31 Elfit Sa
DE2848355C2 (de) * 1978-11-08 1983-08-25 Deutsche Forschungs- und Versuchsanstalt für Luft- und Raumfahrt e.V., 5300 Bonn Wellen-Naben-Verbindung
GB2126690B (en) * 1982-09-07 1986-01-08 Koppers Co Inc Flexible coupling
US5176575A (en) * 1986-05-12 1993-01-05 Rexnord Corporation Flexible coupling comprising modular components
US4744783A (en) * 1986-11-06 1988-05-17 Reliance Electric Company Flexible shaft coupling
US5928083A (en) * 1997-10-09 1999-07-27 Ntn Corporation One-way over-running flex coupling
GB9812844D0 (en) 1998-06-16 1998-08-12 Lucas Ind Plc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US6440000B1 (en) * 1999-12-06 2002-08-27 Asa Electronic Industry Co., Ltd. Universal joint
JP4007159B2 (ja) 2002-10-30 2007-11-1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ジョイント
JP2004149070A (ja) 2002-10-31 2004-05-27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ジョイント
JP4910697B2 (ja) * 2004-05-28 2012-04-04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4779358B2 (ja) 2004-12-24 2011-09-2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4779356B2 (ja) 2004-12-24 2011-09-2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4992231B2 (ja) * 2005-11-30 2012-08-0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2008183676A (ja) 2007-01-30 2008-08-14 Kanto Auto Works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表皮への破断用ラインの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5168972B2 (ja) * 2007-03-26 2013-03-2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5169042B2 (ja) * 2007-07-06 2013-03-27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06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동력 전달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14128A2 (pt) 2016-08-16
EP2518358A4 (en) 2014-03-05
JP5428852B2 (ja) 2014-02-26
KR20130135984A (ko) 2013-12-11
BR112012014128B8 (pt) 2022-08-30
CN102686898A (zh) 2012-09-19
CN102686898B (zh) 2014-11-12
BR112012014128B1 (pt) 2021-03-16
US20140080610A1 (en) 2014-03-20
KR101398046B1 (ko) 2014-05-27
EP2518358A1 (en) 2012-10-31
EP2860420A1 (en) 2015-04-15
KR101389128B1 (ko) 2014-04-25
US8616986B2 (en) 2013-12-31
US20120264524A1 (en) 2012-10-18
US9051973B2 (en) 2015-06-09
WO2011077670A1 (ja) 2011-06-30
JP2011137488A (ja)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1379A (ko) 축 연결 기구
KR101398489B1 (ko) 축 연결 기구
JP4779358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EP1830089B1 (en) Shaft connection mechanism f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6384134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5168972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6653874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5733372B2 (ja) 軸連結機構
JP5672345B2 (ja) 軸連結機構
JP5407741B2 (ja) 軸連結機構
JP6019724B2 (ja) 軸連結機構
JP5549708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2013104444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JP2017067134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の軸連結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