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959A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959A
KR20120084959A KR1020110006303A KR20110006303A KR20120084959A KR 20120084959 A KR20120084959 A KR 20120084959A KR 1020110006303 A KR1020110006303 A KR 1020110006303A KR 20110006303 A KR20110006303 A KR 20110006303A KR 20120084959 A KR20120084959 A KR 2012008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vator
unit
failur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1000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4959A/ko
Publication of KR2012008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신부, 고장 진단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카메라부, 상기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탑승자에게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탑승자에게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고장 진단부의 진단결과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고장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및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인한 비상정지 시 카 내의 탑승자에게 행동수칙과 고장상황 안내 등의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고를 당한 탑승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SY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인한 비상정지 시 원격관리센터의 전문요원과 카 내의 탑승자가 자동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당한 탑승자가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고장상황에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일 측에 설치된 조작반을 이용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층을 선택하게 된다.
엘리베이터는 고장 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자체적으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원격관리센터의 관리자는 고장정보를 송신한 엘리베이터를 확인한 후, 엘리베이터가 측에 고장 수리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파견하거나, 원격제어를 수행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고장 등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비상 정지된 경우 엘리베이터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며, 불안해진 탑승자는 억지로 도어를 개방하는 등의 위험한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
이에,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카 내에 관리실과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비상통화 버튼을 마련하여,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 내에서 관리실에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비상통화가 연결되는 관리실은 본래 건물을 관리하는 곳으로서, 엘리베이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관리실에서 직접 엘리베이터의 고장 상태를 진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며, 관리실에서도 고장수리를 요청한 후, 카 내의 탑승자에게 수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라는 안내를 제공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비전문가와 통화연결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자에게 고장상황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시하거나, 다양한 고장 상황에 대해 적합한 대처방법을 안내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인과 같이 상황대처 능력이 부족한 탑승자의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인한 비상정지 시 원격관리센터의 전문요원과 카 내의 탑승자가 자동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당한 탑승자가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고장상황에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신부, 고장 진단부,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카메라부, 상기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탑승자에게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탑승자에게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고장 진단부의 진단결과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고장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및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및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송신한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센터측 디스플레이부;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송신한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센터측 스피커;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문요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센터측카메라; 상기 전문요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센터 측 마이크; 및 상기 센터측 카메라와 마이크로 입력된 상기 전문요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통신부에 실시간 전송하는 센터 측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하여 비상정지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전문요원으로부터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의 송신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전문가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신부, 고장 진단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카메라부, 상기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탑승자에게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탑승자에게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각각의 고장상태에 따른 비상안내 메시지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고장 진단부의 진단결과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고장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원격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및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되는 비상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원격제어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에 따른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엘리베이터 측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및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고장상태로 진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하여 비상정지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의 고장상태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비상안내 메시지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에 따른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안내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비상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에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인한 비상정지 시 원격관리센터의 전문요원과 카 내의 탑승자가 자동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사고를 당한 탑승자가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고장상황에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안내 메시지 표시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안내 메시지 표시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 및 화물 등의 이송기능을 제공하고 고장발생 시 고장정보와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통신망(1)을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하고 고장 상황을 관리하는 전문요원이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에게 영상 및 음성정보를 이용하여 비상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관리센터(10)를 포함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각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들과 통신망(1)을 통해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서 송신하는 고장정보를 수신 처리한다. 원격관리센터(10)에서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고장 상황을 관리하는 전문요원이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카(102) 측에 비상 안내 데이터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문요원은 비상안내 메시지를 음성이나 텍스트 형태로 직접 입력하거나, 혹은, 기 저장된 비상안내 메시지의 출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기 저장된 비상안내 메시지 중, 현재 고장상태에 가장 적합한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문가가 직접 선택하여 카 내 탑승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화상통화가 연결되면,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은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탑승자와 대화를 통해 고장상황을 설명하고 탑승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비상안내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컨대, 전문요원은 탑승자와 화상통화비상정지 상태에서 탑승자를 구출하기 위해 비상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전문요원은 탑승자에게 비상운전 진행 상태를 실시간으로 안내함으로써, 탑승자가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관리센터(10)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서 송신하는 카 내 탑승자의 영상 및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 안내 데이터를 제공하고, 기 저장된 영상을 비상안내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탑승자와는 음성통화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제공할 정보를 실사 영상, 플래시 영상, 그림 영상 등의 형태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원격관리센터(10)에서는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측에 고장수리 요원을 파견하거나, 혹은,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120, 130, 150)의 기능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고장을 수리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엘리베이터 카(102)와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270)와, 엘리베이터(120, 130, 15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고장여부를 진단하여 고장정보와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하는 한편,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전문요원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에게 표시하는 제어장치(200, 300, 50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200, 300, 50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엘리베이터 카(102)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120)가 비상 정지 상태인 경우,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카메라부(270)를 통해 촬영된 탑승자의 영상과 음성정보를 원격관리센터(10)로 송신하고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전문요원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에게 표시한다.
즉, 제어장치(200)는 고장발생 시 원격관리센터(10) 측에 화상통화 연결을 요청하여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탑승자와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 간에 화상통화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혹은, 탑승자와 전문요원 간의 음성통화를 연결하고 원격관리센터(10)에서 송신하는 영상정보를 탑승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20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원격제어정보가 수신된 경우 원격제어정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제어하여 비상구출운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엘리베이터(120, 130, 150)가 설치된 경우, 각 엘리베이터(120, 130, 150)의 제어장치(200, 300, 500)는 상호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로 연결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와 원격관리센터(10) 간의 접속을 중계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를 입력받아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슬레이브 제어장치와 원격관리센터(10) 간의 영상 및 음성정보의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블럭도로서, 원격관리센터(10) 측에서 비상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원격관리센터(10)는 센터측 통신부(20), 저장부(40), 카메라부(70), 디스플레이부(75), 마이크/스피커부(80), 전문가 입력부(85), 원격제어부(11)를 포함한다.
센터측 통신부(20)는 통신망을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제어장치(20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카메라부(70)는 전문요원의 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75)는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탑승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마이크/스피커부(80)는 전문요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한편 카 내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전문가 입력부(85)는 고장상황을 진단 및 관리하는 전문가로부터 비상안내 메시지를 입력 받거나, 기 저장된 비상안내 메시지 중 적절한 것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저장부(40)에는 다양한 고장 상황에서 카 내 탑승자에게 전달할 비상안내 데이터(45)가 저장된다. 비상안내 데이터(45)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혹은, 오디오 및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1)는 센터측 통신부(20)로 수신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75)에 표시하고 음성정보를 마이크/스피커부(80)로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부(70)로 입력된 전문요원의 영상과 마이크/스피커부(80)로 입력된 음성정보를 센터측 통신부(20)를 통해 제어장치(20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은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탑승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부(11)는 전문요원의 영상 대신, 저장부(40)에 저장된 비상안내 데이터(45)를 제어장치(200)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전문요원은 디스플레이부(75)에 표시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확인하고 마이크/스피커부(80)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진행하는 한편, 저장부(40)에 저장된 비상안내 데이터(45)가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디스플레이부(27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1)는 제어장치(200) 측에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경미한 고장의 경우 수리기사의 방문 없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장치(200)는, 구동부(265),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작업자 입력부(225)와,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부(270), 디스플레이부(275), 마이크/스피커부(280)와 이들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구동부(265)는 엘리베이터 카(102)를 특정 층으로 승하강 시키는 카 구동장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구동장치, 등 엘리베이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정보 감지부(260)는 구동부(265)의 구동상태, 엘리베이터 카(102)의 위치, 이동 속도, 도어 개폐 여부 등, 엘리베이터(120) 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이에, 운행정보 감지부(260)는, 층 감지 센서, 속도 감지 센서, 도어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장 진단부(215)는 운행정보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운행관련 정보들을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고장 진단부(215)는 제어부(210)에 고장 판단결과를 통보한다.
통신부(220)는 제어부(210)가 제공하는 고장정보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원격제어센터에 송신하고 원격제어센터로부터 영상 및 음성정보와 원격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카메라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탑승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디스플레이부(275)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한 전문요원의 실시간 영상, 혹은, 비상안내 데이터 영상을 표시한다. 마이크/스피커부(280)는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한편 전문요원의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부(275)와 마이크/스피커부(280)에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카메라부(270) 및 마이크/스피커부(280)로 입력된 카 내 탑승자의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제어부(210)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는 제어부(210) 내에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10)는 고장 진단부(215)의 판단결과 엘리베이터(120)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고정정보를 송신한다.
고장 판단 시, 제어부(210)는 카메라부(270)와 마이크/스피커부(28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의 영상과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다. 제어부(210)는 탑승자의 영상과 음성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하는 한편,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정보를 디스플레이부(275) 및 마이크/스피커부(28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265) 등의 구동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원격 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와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이 상호 화상통화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혹은, 탑승자의 음성 및 영상에 응답하여 전문요원이 음성 안내와 함께 비상안내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0)의 제어블럭도로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자체에 비상 안내 데이터(245)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장치(200)는 구동부(265),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작업자 입력부(225),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저장된 저장부(240)와,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부(270), 디스플레이부(275), 마이크/스피커부(280)와 이들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고장 진단부(215)는 운행정보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운행관련 정보들을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고장 진단부(215)는 제어부(210)에 고장 판단결과를 통보한다.
통신부(220)는 제어부(210)가 제공하는 고장정보를 원격제어센터에 송신하고 원격제어센터로부터 원격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저장부(240)에는 다양한 고장 상황에서 카 내 탑승자에게 전달할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저장된다. 비상안내 데이터(245)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혹은, 오디오 및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고장 진단부(215)의 판단결과 엘리베이터(120)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고정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고장 판단 시, 제어부(210)는 카메라부(270)와 마이크/스피커부(28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의 영상과 음성정보를 입력 받아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 측에 송신한다.
이에, 원격관리센터(10)에서는 탑승자의 영상 및 음성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고장상태를 파악하고, 현재 탑승자의 고장 상황에 대응되는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출력되도록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어린이인 경우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출력되도록 하고, 탑승자가 노인이거나 맹인인 경우 상대적으로 볼륨이 크게 제작된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출력되도록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원격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원격제어정보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비상안내 데이터(245)를 독출한다. 비상안내 데이터(245)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디스플레이부(275) 및 마이크/스피커부(280)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되는 비상안내 데이터(245)는 음성안내 혹은 영상안내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혹은, 음성 및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고장발생 시 탑승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하면,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이 이를 확인하여, 현재 탑승자에게 가장 적절한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출력되도록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수신된 원격제어정보에 따라 저장부(240)에 저장된 비상 안내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디스플레이부(275) 및 마이크/스피커부(280)를 통해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제어블럭도로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카(102)와 각 엘리베이터 카(102)를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제어장치(200, 300, 500)를 구비하는 경우 그 제어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어장치(200, 300, 500)는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와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원격관리센터(10)에 보고할 수 있으며,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의 원격제어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90)와, 구동부(265),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작업자 입력부(225)와,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 설치되는 카메라부(270), 디스플레이부(275), 마이크/스피커부(280)와 이들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즉, 제3실시예의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제2실시예의 제어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에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9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10)가 마스터/슬레이브 제어기능을 지원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9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로 수신된 원격제어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 송신하고,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들이 송신하는 고장정보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90)를 통해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신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수신된 고장정보와 영상 및 음성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하고, 이에,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원격제어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전달할 수 있다.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는, 슬레이브 제어부(310), 고장 진단부(315),작업자 입력부(325), 운행정보 감지부(360), 구동부(365), 카메라부(370), 디스플레이부(375), 마이크/스피커부(380)와 이들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330)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고장 진단부(315)를 통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90) 측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카메라부(370) 및 마이크/스피커부(380)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330)를 제어하여 카 내 탑승자의 영상정보와 음성정보 입력받아 원격제어센터 측에 송신한다.
이에,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이 이를 확인하여, 현재 탑승자에게 가장 적절한 비상안내 데이터(245)가 출력되도록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 측에 원격제어정보를 전달한다.
슬레이브 제어장치(300)의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로부터 원격제어센터의 원격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원격제어정보에 따라 저장부(340)에 저장된 비상안내 데이터(345)를 독출한다. 비상안내 데이터(345)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33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디스플레이부(375) 및 마이크/스피커부(380)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되는 비상안내 데이터(345)는 음성안내 혹은 영상안내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혹은, 음성 및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와 통신함으로써 엘리베이터부(120, 130, 15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고장상태로 판단된 엘리베이터부(120, 130, 150)의 카 내 스피커부(270, 370) 및 카 내 디스플레이부(275, 375)에 비상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안내 메시지 표시 상태도이다.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는 도어(113)와,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카 내 디스플레이부(275)와, 탑승자의 층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12)와 카 내 스피커부(270)가 구비된다.
정상운행 상태일 경우 엘리베이터 카(102) 내 디스플레이부(275)는 현재 엘리베이터 카(102)가 위치한 층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정상운행 상태일 경우 카 내 스피커부(270)는 층 안내 메시지, 운행 안내 메시지 등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고장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102)가 비상 정지한 경우, 카 내 디스플레이부(275) 및 카 내 스피커부(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탑승객을 안정시키고 비상 상황에서의 대처법을 안내하는 메시지가 출력된다.
예컨대,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점검자가 점검중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275)에 표시함으로써, 탑승객들이 고장상태가 수습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운행이 정지되어 죄송합니다. 경미한 센서 오류가 발생하였으나 곧 바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놀라지 마시고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억지로 문을 열면 위험합니다. 곧 운행이 재개될 여정이오니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등의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안내 메시지는 원격관리센터(10)에서 전문가가 직접 입력한 것이거나, 혹은, 기 저장된 비상안내 메시지 중 상황에 따라 전문가가 직접 선택한 비상안내 메시지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비상안내 메시지 표시 상태도이다.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는 도어(113)와, 탑승자의 층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부(112)와, 카메라부(270)와, 디스플레이부(275)와 마이크/스피커부(280)가 구비된다.
정상운행 상태일 경우 카 내 디스플레이부(275)는 현재 엘리베이터 카(102)가 위치한 층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 내 디스플레이부(275)의 크기가 큰 경우, 광고 영상이나 뉴스 영상 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상운행 상태일 경우 카 내 스피커부(270)는 층 안내 메시지, 운행 안내 메시지 등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고장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102)가 비상 정지한 경우, 탑승자의 영상 및 음성은 카메라부(270) 및 마이크/스피커부(280)로 입력되어 제어장치(200)에 의해 원격관리센터(10)로 전달될 수 있다.
원격관리센터(10)에서는 전문요원이 탑승자의 영상과 음성을 확인한 후, 해당한 탑승자와 실시간 화상통화를 진행한다.
이에, 엘리베이터 카(102) 내 디스플레이부(275)에는 원격관리센터(10)의 전문요원의 영상이 표시되고, 마이크/스피커부(280)에서는 "안녕하십니까 엘리베이터 관리센터입니다"라는 전문요원의 음성이 출력된다.
이에, 탑승자와 전문요원은 실시간 영상통화를 진행하여 전문요원 입장에서는 고장에 관한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게 되고, 탑승자 입장에서는 전문가의 지시와 안내에 따라 고장 상황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의 제어흐름도이다.
엘리베이터(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120)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S110).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10)는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보고한다(S120)
또한,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10)는 엘리베이터 카(102)에 탑승중인 탑승자들로부터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한다(S130)
원격관리센터(10)에서는 전문요원이 탑승자의 영상과 음성을 확인한 후, 해당한 탑승자와 실시간 화상통화를 진행하여,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제어장치(200)는 통신부(220)를 통해 전문요원의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수신한다(S140).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3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디스플레이부(275)에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마이크/스피커부(280)를 통해 음성정보를 출력한다(S150). 이에, 탑승자는 전문요원으로부터 실시간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센터에서 수리가 완료된 것을 확인하면 엘리베이터 카(102) 내 탑승자에게 수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고 정상운행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센터에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200)와 화상통화방식으로 접속하여 실시간 비상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200)에 고장 상황 별 비상안내 메시지를 미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02)에 탑승중인 탑승자들로부터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고장상황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에 대응되는 비상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0) 측에 원격제어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자들은 디스플레이부(275)와 마이크/스피커를 통해 시청각적으로 전달되는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인한 비상정지 시 카 내의 탑승자에게 행동수칙과 고장상황 안내 등의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사고를 당한 탑승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키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1 : 통신망 10 : 원격관리센터
11 : 원격제어부 20 : 센터측 통신부
100 : 엘리베이터 설비부 102 : 엘리베이터 카
120, 130, 150 : 엘리베이터
200, 300, 500 : 제어장치
210 : 제어부 215 : 고장 진단부
220 : 통신부 225 : 작업자 입력부
230 :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 240 : 저장부
245 : 비상안내 데이터 260 : 운행정보 감지부
265 : 구동부 270 : 카메라부
275 : 디스플레이부 280 : 마이크/스피커부
290 :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

Claims (10)

  1. 통신부, 고장 진단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카메라부, 상기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탑승자에게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탑승자에게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고장 진단부의 진단결과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고장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및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및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송신한 영상정보가 표시되는 센터측 디스플레이부;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송신한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센터측 스피커;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를 전달하는 전문요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센터측카메라;
    상기 전문요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센터 측 마이크; 및
    상기 센터측 카메라와 마이크로 입력된 상기 전문요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의 통신부에 실시간 전송하는 센터 측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하여 비상정지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전문요원으로부터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의 송신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전문가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통신부, 고장 진단부, 엘리베이터의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입력 받는 카메라부, 상기 탑승자의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마이크, 상기 탑승자에게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탑승자에게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각각의 고장상태에 따른 비상안내 메시지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고장 진단부의 진단결과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고장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부로 수신된 원격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및
    상기 엘리베이터로부터 상기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상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되는 비상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원격제어정보를 상기 통신부로 실시간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에 따른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비상안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를 상기 엘리베이터 측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안내 메시지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및 비디오를 모두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고장상태로 진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하여 비상정지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엘리베이터의 고장상태에 따른 적어도 둘 이상의 비상안내 메시지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탑승자의 영상정보와 음성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에 따른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단계;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와 상기 탑승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센터에서 상기 고장상태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안내 메시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비상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에 원격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10006303A 2011-01-21 2011-01-21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4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03A KR20120084959A (ko) 2011-01-21 2011-01-21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03A KR20120084959A (ko) 2011-01-21 2011-01-21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59A true KR20120084959A (ko) 2012-07-31

Family

ID=4671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303A KR20120084959A (ko) 2011-01-21 2011-01-21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495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5705A (zh) * 2013-09-06 2013-12-25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自学习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466401A (zh) * 2013-09-06 2013-12-25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参数设置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646667A (zh) * 2013-12-31 2014-03-19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器固件烧录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663024A (zh) * 2013-09-06 2014-03-26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一体化控制器烧录系统、方法及智能手机
KR101455060B1 (ko) * 2014-05-07 2014-10-28 (주)성풍건설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WO2018137055A1 (zh) * 2017-01-24 2018-08-02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环境下的机器人报警方法及系统
WO2018152813A1 (zh) * 2017-02-25 2018-08-30 深圳益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扬声器的告警系统及方法
GB2608728A (en) * 2017-10-11 2023-01-11 Avire Ltd An elevator system, test system, door blockage detection system, emergency call handler system, caller unit,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GB2608727A (en) * 2017-10-11 2023-01-11 Avire Ltd An elevator system, test system, door blockage detection system, emergency call handler system, caller unit,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5705A (zh) * 2013-09-06 2013-12-25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自学习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466401A (zh) * 2013-09-06 2013-12-25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参数设置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663024A (zh) * 2013-09-06 2014-03-26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一体化控制器烧录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475705B (zh) * 2013-09-06 2017-05-03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电梯自学习系统、方法及智能手机
CN103646667A (zh) * 2013-12-31 2014-03-19 苏州汇川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器固件烧录系统、方法及智能手机
KR101455060B1 (ko) * 2014-05-07 2014-10-28 (주)성풍건설 와이어 타입의 승강장치 및 이의 추락방지 방법
WO2018137055A1 (zh) * 2017-01-24 2018-08-02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环境下的机器人报警方法及系统
WO2018152813A1 (zh) * 2017-02-25 2018-08-30 深圳益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扬声器的告警系统及方法
GB2608728A (en) * 2017-10-11 2023-01-11 Avire Ltd An elevator system, test system, door blockage detection system, emergency call handler system, caller unit,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GB2608727A (en) * 2017-10-11 2023-01-11 Avire Ltd An elevator system, test system, door blockage detection system, emergency call handler system, caller unit,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GB2608727B (en) * 2017-10-11 2023-05-10 Avire Ltd An elevator system, test system, door blockage detection system, emergency call handler system, caller unit,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GB2608728B (en) * 2017-10-11 2023-05-10 Avire Ltd An elevator system, test system, door blockage detection system, emergency call handler system, caller unit, monito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495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80067006A1 (en) Elevator System
JP5516743B2 (ja) モニター制御装置
JP2008001494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装置
EP2610202A1 (en) Monitor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11011872A (ja) エレベータの故障検出装置
JP6637915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その乗かご内異常検出装置の診断システム、診断方法
KR20180022599A (ko) 수송 시스템에 갇힌 승객과의 통신
CN110155845B (zh) 故障及灾害同时监测的电梯远程控制系统
KR20110042708A (ko) 엘리베이터의 방범운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130094B2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9046291A (ja) 異常発生時のエレベータかご情報通信システム
KR20080061034A (ko) 비상 개폐 제어 열차 승강장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H07257842A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KR20090076424A (ko)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8177395A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747071B2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JP201212655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2009107762A (ja) 乗客コンベアの音声案内システム
KR10234861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JPH09194156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KR20120077026A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7181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338860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システム
JPH0822589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