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026A -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026A
KR20120077026A KR1020100138839A KR20100138839A KR20120077026A KR 20120077026 A KR20120077026 A KR 20120077026A KR 1020100138839 A KR1020100138839 A KR 1020100138839A KR 20100138839 A KR20100138839 A KR 20100138839A KR 20120077026 A KR20120077026 A KR 20120077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virtual
information
unit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4732B1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0013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47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승강장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엘리베이터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탑승이 불가능한 것처럼 가상의 운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이 불안감 없이 자연스럽게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AND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승강장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엘리베이터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탑승이 불가능한 것처럼 가상의 운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이 불안감 없이 자연스럽게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일 측에 설치된 이용자 버튼을 이용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 층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가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정상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자의 탑승을 제한해야 한다. 이에, 통상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점검중", "고장"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를 소등하여 이용자의 탑승을 제한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는 안전을 위해서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점검을 수행해야 하며, 이러한 점검 작업으로 인해 탑승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탑승자와 엘리베이터가 설비된 건물의 건물주 입장에서는 잦은 고장 발생으로 인하여 점검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특히, 탑승자의 경우 이용하고자 하는 엘리베이터가 자주 고장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이용에 대하여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엘리베이터가 설비된 건물의 운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탑승자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승강장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엘리베이터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탑승이 불가능한 것처럼 가상의 운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이 불안감 없이 자연스럽게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운행정보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층을 감지하는 층 감지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승강장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로부터 탑승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각 층에 설치되는 이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은, 가상 운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 입력부가 선택된 경우 해당 층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정원 초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의 가상운행기능 선택을 위한 작업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행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와, 통신망을 통해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원격 제어부를 갖는 원격관리센터; 및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고장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작업자의 가상운행기능 선택을 위한 작업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행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층,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속도,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승강장의 도어 개폐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가상 운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층에 대해 탑승선택을 입력받은 경우, 해당 층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정원 초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로부터 상기 가상운행기능의 실행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가상 운행 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작업자로부터 가상운행기능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원격관리센터 측에 상기 가상운행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승강장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엘리베이터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탑승이 불가능한 것처럼 가상의 운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이 불안감 없이 자연스럽게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상 정보 표시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상 정보 표시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 및 화물 등의 이송기능을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통신망(1)을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접속하여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운행 및 고장을 관리하는 원격관리센터(10)를 포함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각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들과 통신망(1)을 통해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서 송신하는 운행정보, 고장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고장 수리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측에 고장수리 요원을 파견할 수 있다. 또한, 고장의 정도가 경미한 경우, 관리자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원격제어 정보를 송신하여 엘리베이터(120, 130, 150)의 기능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고장을 수리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엘리베이터 카(102)와 엘리베이터 카(102)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엘리베이터 카(102) 및 승강장에 설치된 각종 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며 제어결과를 통신망(1)을 통해 원격관리센터(10)로 송신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제어장치(20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원격제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원격제어 정보에 따라, 운행정보 감지부(260), 구동부(265),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120)가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 정상운행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승강장에 대기중인 이용객들에게 해당 엘리베이터(120)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인해 탑승할 수 없는 것처럼 가상의 운행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엘리베이터(120, 130, 150)가 설치된 경우, 각 엘리베이터(120, 130, 150)의 제어장치(200, 300, 500)는 상호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로 연결되어 마스터 제어장치(200)에 의해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가 제어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가상운행 정보(250)를 제공하여 해당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가상운행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수리 및 점검 등으로 특정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해당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가상운행 정보(25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200)의 제어블럭도이다.
제어장치(200)는 구동부(265),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 이용자 입력부(275), 작업자 입력부(230)와,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저장부(24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이용자 입력부(275)는 엘리베이터 이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이용자 입력부(275)는 승강장에 설치된 상하행 선택버튼,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 설치된 층 선택버튼, 도어 개폐 버튼, 기타 특수키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65)는 엘리베이터 카(102)를 특정 층으로 승하강 시키는 카 구동장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구동장치, 등 엘리베이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정보 감지부(260)는 구동부(265)의 구동상태, 엘리베이터 카(102)의 위치, 이동 속도, 도어 개폐 여부 등, 엘리베이터(120) 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이에, 운행정보 감지부(260)는, 층 감지 센서, 속도 감지 센서, 도어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과 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정보를 이용객에게 표시한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현재 층 번호가 표시되며, 정원 초과, 점검중과 같은 운행상태도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240)에는 가상운행 프로그램(245)과 가상운행 정보(250)가 저장된다.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은 실재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상태와는 별개로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상태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가상운행 정보(250)는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의 실행 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될 다양한 패턴의 가상운행 정보(2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상운행 프로그램(245) 및 가상운행 정보(250)는 최초 설비 시에 저장되거나, 추후 입력부 또는 통신부(220)를 통해 갱신된 것일 수도 있다.
고장 진단부(215)는 운행정보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운행관련 정보들을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고장 진단부(215)는 제어부(210)에 고장 여부 판단결과를 통보한다.
작업자 입력부(230)는 점검, 수리 등의 작업 시 작업자가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의 실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 입력부(230)는 작업자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나,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구비된 조작버튼, 예컨대, 기계실에 마련된 조작버튼,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 마련된 조작버튼, 승강장에 마련된 조작버튼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이다. 이에, 작업자 입력부(230)가 무선 단말기인 경우 제어부(210)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의 실행을 무선으로 지시 받을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조작버튼인 경우에는 해당 버튼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를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210)는 고장 진단부(215)의 판단결과 엘리베이터(120)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혹은,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의 실행이 선택된 경우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한다.
제어부(210)는 고장 진단부(215)로부터 엘리베이터(120)의 고장을 보고 받으면,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고정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시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가상운행 정보(250)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102)가 3층에서 정지된 경우, 정상적으로 운행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출력되는 층을 실제 운행과 유사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층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4층, 그 이후에는 5층과 같이 층 표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가상 운전 경로 상에 위치한 층에서 승강장의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이용을 위해 이용자 입력부(275)를 선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은 해당 층의 전 층에서 "만원"이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층을 지나치는 것처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할 수 있다. 정상운행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카(102)가 만원상태이면 엘리베이터 카(102)는 정지하지 않고 운행된다. 따라서, 승강장의 이용객들은 해당 엘리베이터(120)의 탑승 인원이 초과하여 탑승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계단이나 다른 엘리베이터 등 다른 수단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의 실행이 선택된 경우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120)에 대한 통상적인 점검이나, 고장 수리 시 작업자는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해당 엘리베이터(120)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상적인 점검이나 수리로 인해 이용자들이 엘리베이터(120)의 성능에 대한 불신감을 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블럭도로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카(102)와 각 엘리베이터 카(102)를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경우 그 제어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어장치(200, 300, 500)는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와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의 고장정보를 원격관리센터(10)에 보고할 수 있으며,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의 원격제어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와,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 이용자 입력부(275), 작업자 입력부(230)와,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저장부(240) 및 마스터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즉, 제2실시예의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제1실시예의 제어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에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10)가 마스터/슬레이브 제어기능을 지원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를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 송신하고,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들이 송신하는 고장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를 통해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수신된 고장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하고, 이에,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의 원격제어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혹은, 작업자나 원격관리센터(10)에 의해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의 실행이 선택된 경우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시켜 해당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가상운행 정보(250)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120)의 고장 여부를 고장 진단부(215)를 통해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고장 진단부(215)의 판단결과 고장상태로 판단되었거나,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가상운행 프로그램(245) 실행이 선택된 경우, 혹은,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가상운행 프로그램(245) 실행신호가 수신된 경우,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시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가상운행 정보(250)를 표시한다.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는, 슬레이브 제어부(310), 운행정보 감지부(360), 구동부(365),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 이용자 입력부(375), 작업자 입력부(330)와, 고장 진단부(315)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고장 진단부(215)를 통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 측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고장 진단 시 마스터 제어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가상운행 정보(250)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한다.
여기서,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가상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경우,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자체적으로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가상운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입력부(330)를 통해 가상운행 프로그램 실행이 선택된 경우에도 기 저장된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가상운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블럭도로서, 원격관리센터(10) 측에서 가상운행 정보(50)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설명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가상운행 정보(50)를 표시하기 위한 원격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120, 130, 150)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통신하기 위한 센터측 통신부(20)와, 가상운행 프로그램(45) 및 가상운행 정보(50)가 저장된 저장부(40)와,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상운행 프로그램(45)을 실행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에 가상운행 정보(50)를 표시하는 원격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120, 130, 150)를 포함하여, 구동부(265),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 이용자 입력부(275), 작업자 입력부(230)와,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가 마스터/슬레이브로 구성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120, 130, 150)를 포함하는 경우, 원격관리센터(1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설치된 엘리베이터들(120, 130, 150)의 고장을 진단하고, 특정 엘리베이터가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고장정보는 고장상태로 판단된 엘리베이터의 정보와 운행 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관리센터(10)는 센터측 통신부(220)를 통해 고장정보를 수신한다. 고장정보가 수신되면 원격관리센터(10)는 저장부(40)의 가상운행 프로그램(45)을 실행하여, 고장상태인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가상운행 정보(50)를 표시하는 원격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제어부(210)는 원격제어 정보에 따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실재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상태와는 별개의 가상운행 정보(50)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상 정보 표시 상태도이다.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과 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는 상향 버튼과 하향 버튼으로 이루어진 이용자 입력부(275), 엘리베이터 카(102)의 도착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113),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가 구비된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과 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 정보를 승강장에 위치한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승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층 번호가 표시되고, 만원, 점검과 같은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다.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102)는 정상적인 운행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실제의 엘리베이터 카(102)의 위치와는 상관없는 가상의 층을 표시한다. 또한, 정상적으로 운행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출력되는 층을 실제 운행과 유사하게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3층이 표시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4층, 그 이후에는 5층과 같이 층 표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실재 승강장에서 이용자가 대기하고 있을 경우에 대비하여 "만원"이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해당 층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상정보 표시 상태도로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가 평면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비된 경우의 가상정보 표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가 LCD로 구비된 경우 표시 공간이 더 넓어지고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도 다양화될 수 있다. 이에 "탑승인원이 초과되어 정차하지 않습니다." 라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해당 층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엘리베이터(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120)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S110).
진단결과 고장상태인지를 판단하고(S112),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가상운행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12). 즉,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운영상태에 따라 가상운행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가상운행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0)는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하고(S116),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가상운행 정보(250)를 표시한다(S118). 여기서,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하는 주체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0), 마스터 제어장치(200), 혹은, 원격관리센터(1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상운행기능이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고장"이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S120).
이 후, 제어부(210)는 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2). 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작업자가 직접 수리 완료선택을 입력하거나, 혹은, 제어부(210)가 운행정보 감지부(260)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수리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리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정상운행 상태로 복귀한다(S124). 이에,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위치에 대응되는 층수가 표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엘리베이터(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는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점검모드 생태로 전환된다(S210).
제어부(210)는 점검모드 전환 시 가상운행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212). 가상운행기능은 작업자가 직접 실행 여부를 선택하거나, 혹은, 점검모드 전환시 자동으로 가상운행기능이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상운행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0)는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하고(S214),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가상운행 정보(250)를 표시한다(S216). 여기서, 가상운행 프로그램(245)을 실행하는 주체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마스터 제어장치, 혹은, 원격관리센터(1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상운행기능이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점검"이라는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S218).
이 후, 제어부(210)는 점검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0). 점검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작업자가 점검 완료선택을 입력하거나, 혹은, 제어부(210)가 운행정보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점검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점검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정상운행 상태로 복귀한다(S222). 이에,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위치에 대응되는 층수가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승강장의 디스플레이부에는 해당 엘리베이터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인해 탑승할 수 없는 것처럼 가상운행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이 불안감 없이 자연스럽게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탑승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 승강장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엘리베이터가 인원초과 등의 통상적인 이유로 탑승이 불가능한 것처럼 가상의 운행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이 불안감 없이 자연스럽게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 : 통신망 10 : 원격관리센터
11 : 원격 제어부 20 : 센터측 통신부
40 : 저장부 45 : 가상운행 프로그램
50 : 가상운행 정보
100 : 엘리베이터 설비부 102 : 엘리베이터 카
120, 130, 150 : 엘리베이터
200, 300, 500 : 제어장치 210 : 제어부
215 : 고장 진단부 220 : 통신부
230 : 작업자 입력부 240 : 저장부
245 : 가상운행 프로그램 250 : 가상운행 정보
260 : 운행정보 감지부 265 : 구동부
270 : 승강장 디스플레이부 275 : 이용자 입력부
280 :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

Claims (12)

  1.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층을 감지하는 층 감지 센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감지 센서;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승강장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탑승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각 층에 설치되는 이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은, 가상 운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 입력부가 선택된 경우 해당 층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정원 초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가상운행기능 선택을 위한 작업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행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와, 통신망을 통해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원격 제어부를 갖는 원격관리센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고장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작업자의 가상운행기능 선택을 위한 작업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가상운행기능이 선택된 경우,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 운행 시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한 층,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속도,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승강장의 도어 개폐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가상 운행 경로 상에 존재하는 층에 대해 탑승선택을 입력받은 경우, 해당 층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정원 초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상기 가상운행기능의 실행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가상운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방법.
  11.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가상 운행 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가상운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가상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작업자로부터 가상운행기능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원격관리센터 측에 상기 가상운행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00138839A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2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39A KR101224732B1 (ko)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39A KR101224732B1 (ko)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26A true KR20120077026A (ko) 2012-07-10
KR101224732B1 KR101224732B1 (ko) 2013-01-21

Family

ID=4671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839A KR101224732B1 (ko)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11A (ko)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KR20210095328A (ko) 2020-01-23 2021-08-02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374B1 (ko) * 1996-10-29 1999-04-15 이종수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1122544A (ja) 1999-10-28 2001-05-08 Shizuki Electric Co Inc エレベータ乗場用表示器
JP4005328B2 (ja) * 2001-09-26 2007-1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ル設備と昇降機の管理装置
JP5132067B2 (ja) * 2006-03-20 2013-01-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311A (ko) 2018-12-11 2020-06-1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KR20210095328A (ko) 2020-01-23 2021-08-02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732B1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76B2 (en)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KR10124596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516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モニター制御装置
CN108861918B (zh) 电梯检查装置
KR2012008495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777491B (zh) 与运输系统中的被困乘客的通信
EP2497738B1 (en)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JP2021070578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5474121B2 (ja) エレベータ診断用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操作システム
JP5389988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WO2017145319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遠隔監視サーバ、避難支援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を活用した避難支援方法
KR20120077026A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937984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5094001B2 (ja) エレベータ
KR102162319B1 (ko) 엘리베이터 원격 점검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68935B1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JP2020090386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方法および群管理制御装置
JP2010024024A (ja) 地震管制優先連絡システム
KR20120077181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694B1 (ko)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JP4509522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KR10234861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812926B1 (ko) 엘리베이터 안전관리 시스템
KR20130115877A (ko)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CN111942973A (zh) 电梯控制装置、机器人故障预兆诊断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