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5328A -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328A
KR20210095328A KR1020200009027A KR20200009027A KR20210095328A KR 20210095328 A KR20210095328 A KR 20210095328A KR 1020200009027 A KR1020200009027 A KR 1020200009027A KR 20200009027 A KR20200009027 A KR 20200009027A KR 20210095328 A KR20210095328 A KR 20210095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oarding
information
spa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0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328A/ko
Publication of KR2021009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이나 적재 가능한 중량을 엘리베이터에 표시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탑승 가능 여부 및 탑승 여유 공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하게 정차하는 등의 문제와 그로 인한 전력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에 설치된 압력소자를 통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간접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경제성 및 효율성이 뛰어난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바닥에 배치되어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나 적재물의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해 압력을 받아 전기적 신호 및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가능정보를 각 층의 대기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Boarding and Stackable Display System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탑승이나 적재 가능한 중량을 엘리베이터에 표시하여 엘리베이터 이용자에게 탑승 가능 여부 및 탑승 여유 공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하게 정차하는 등의 문제와 그로 인한 전력 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에 설치된 압력소자를 통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간접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경제성 및 효율성이 뛰어난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이용자 버튼을 이용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 층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가 고장,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작업으로 정상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 이용자의 탑승을 제한해야 한다. 이에, 통상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에 "점검중", "고장"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를 소등하여 이용자의 탑승을 제한한다.
또한, 엘리베이터는 과하중으로 인한 기계고장과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제한하중 또는 탑승 가능 인원 이내로 사람이나 화물의 적재를 보장하기 위해 과하중 안전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과하중 안전장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사람이나 화물의 중량이 설정 중량보다 클 경우 알람("FULL")을 발생하게 되고, 과하중 조건이 해제되기 전에는 운행을 정지하고, 과하중 조건이 해제된 경우에만 운행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과하중 안전장치는 각 층에서 대기하는 사람이 탑승하거나 적재물을 실을 경우에 비로소 과하중을 감지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대기 중인 상태에서는 탑승 또는 적재물의 적재가 가능한지 여부를 미리 알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의 특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614호(2015.01.21 공개) "엘리베이터 중량 정보 제공 장치"와 같은 기술에서는 과하중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중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기 중인 인원의 탑승 또는 적재물의 적재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탑승 대기중인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의 중량 정보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겠으나, 경량이지만 부피가 큰 적재물 등이 실려 있어 탑승 공간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등 중량 정보만으로 탑승 가능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탑승 대기 공간에서 대기 인원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무게측정수단과 같은 구성은 설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 전원이 측정에 참여하여야 하므로 번거럽고, 일부라도 협조하지 않은 경우 무용지물인 문제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정전 등 비상 상황의 발생시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조명이 소등되어 탑승자에게 공포감을 조성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 또한 발생되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77026 (2012. 07. 1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07614 (2015. 01. 2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탑승이나 적재 가능 중량을 제공함과 동시에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하지 않더라도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의 부피정보를 감지하여 탑승 가능한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이와 같은 탑승 가능 정보를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에게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하게 정차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편리해지는 것은 물론,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에 설치된 압력소자를 통해 탑승 및 적재 가능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압력소자를 통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탑승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과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간접조명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비상 상황시에 조명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천장에 설치된 공간감지수단과 바닥에 설치된 압전소자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을 절감하고, 엘리베이터의 탑승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바닥에 배치되어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나 적재물의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해 압력을 받아 전기적 신호 및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가능정보를 각 층의 대기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간접 조명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간접조명부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접조명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나 적재물에 의한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공간의 부피 정보를 감지하는 공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상기 부피 정보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전소자의 감지 이상 유무에 따라 상기 공간감지수단과 상기 압전소자의 감지 정보를 상호 연산 처리하여 상기 탑승가능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탑승이나 적재 가능 중량을 제공함과 동시에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하지 않더라도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의 부피정보를 감지하여 탑승 가능한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이와 같은 탑승 가능 정보를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에게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하게 정차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신속하고 편리해지는 것과 동시에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압력소자를 통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센서들과 간접조명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전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은 물론, 비상 상황시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공간감지수단과 바닥에 설치된 압전소자가 상호 연동하여 작동됨으로써 불필요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전력을 절감하고, 엘리베이터의 탑승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공간감지수단의 작동 방법을 측면 상태에서 도시한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공간감지수단의 작동 방법을 평면 상태에서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압전소자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설치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공간감지수단의 작동 방법을 측면 상태에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공간감지수단의 작동 방법을 평면 상태에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압전소자 설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공간감지수단(110), 무게측정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압전소자(140), 배터리(150), 간접조명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사람이 탑승하거나 적재물이 실린 경우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공간의 부피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후술되는 상기 무게측정부(120)의 구성을 통해 종래와 같이 중량을 기준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와 같은 공간감지수단(110)의 구성에 의해 탑승 인원수 및 적재물에 의한 중량 정보가 아닌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의 부피 정보를 파악하여 탑승 가능한 공간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이 레이저센서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센서모듈은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천장부(101)에 설치되어 내부 바닥면(102)을 향하여 레이저를 송출하는 레이저 송출부(111)와, 상기 레이저 송출부(111)를 통해 송출된 레이저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부(11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레이저센서모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레이저센서모듈은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천장부(101)와 상기 내부 바닥면(102) 및 측벽(103) 부분에서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이저 송출부(111) 및 상기 레이저 수신부(112)가 상기 엘리베이터(100) 내부 전체공간을 일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높이 방향과 측벽 부분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수신하여 설정 간격으로 분할된 각 공간영역에서 상기 엘리베이터(100)에 탑승한 탑승자나 적재물 또는 빈 공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레이저 송출부(111)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천장부(101) 또는 측벽(103) 부분에 내설되어 분할된 각 공간영역으로 레이저를 송출하고, 상기 레이저 수신부(112)에서는 상기 레이저 송출부(111)에서 송출된 레이저가 반사되어 수신되는 소요 시간을 계측하거나, 송출된 레이저가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의 여부 등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레이저센서모듈은 측정된 레이저의 도달시간에 대한 시간정보와 계측된 시간정보 등을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이때,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레이저 송출부(111)로부터 송출된 레이저가 반사되어 상기 레이저 수신부(112)로 수신되는 시간이 일정한 경우 탑승자나 적재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레이저 수신부(112)에서 수신되는 레이저 신호가 일정하지 않고 설정 범위 이상으로 변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내부 각 공간영역에 탑승자나 적재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천장부(101)에 설치되어 내부 바닥면을 향하게 설치된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이 레이저센서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기 레이저센서모듈과 같이 동일하게 설치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탑승자나 적재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은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내부공간에서 정해진 패턴으로 분할된 공간영역마다 탑승자나 적재물 등의 물체를 감지하여 엘리베이터 내부 곳곳의 채워진 공간과 빈 공간 즉, 엘리베이터 내부의 부피 공간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을 통해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종래의 통상적인 시스템과 같이 엘리베이터 내에 탑승한 탑승자 및 적재물의 총 적재 중량에 따라 각 층에 대기중인 탑승대기자가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과는 달리, 엘리베이터 내부의 부피 공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탑승대기자로 하여금 엘리베이터에 탑승 가능한 공간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적재 중량과 무관하게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에서 감지하는 각 공간영역별로 채워진 공간과 비워진 공간의 위치 및 크기를 판단하고, 추가로 탑승 가능한 인원 및 적재 가능한 공간을 후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탑승 대기공간에 표시함으로써 각 층에 탑승 및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해 대기하는 탑승대기자가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내부 부피 공간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막힌 상태로 감지되어 엘리베이터 내부로 사람이나 물건이 진입할 수 없는 경우 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탑승불가정보를 탑승대기자에게 알려 양해를 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제의 상황과 같은 예를 들면 상기 엘리베이터(100) 내부에 부피가 크고 중량이 가벼운 적재물 등이 적재된 경우 탑승 가능 중량이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탑승 공간이 부족한 상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각 층에 대기하는 탑승대기자들은 이와 같은 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호출버튼을 눌러 엘리베이터를 정차시키고,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순환 속도가 그만큼 떨어지게 되고, 이는 엘리베이터 내에서 이동하는 탑승자나 탑승대기자 모두에게 불편한 상황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내부 곳곳의 채워진 공간과 빈 공간 즉, 엘리베이터 내부의 부피 공간을 식별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에 과중량 상태가 아니면서 탑승공간이 부족한 경우 이를 탑승대기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이동시 불필요한 정차가 이루어지지 않아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탑승 및 적재 중량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과하중 기준중량을 초과한 경우 초과된 중량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 송출하는 무게측정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부(120)는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엘리베이터(100)에 추가적으로 탑승 또는 적재 가능한 중량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무게측정부(120)는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을 통한 엘리베이터 내부의 부피공간 감지와 함께 상기 엘리베이터(100) 내부의 탑승 및 적재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정보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송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에 설정된 과하중 기준 중량값과 측정된 내부 중량값을 연산하여 추가적으로 탑승 또는 적재 가능한 여유 중량을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피공간은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나 적재물의 체적에 따른 엘리베이터 내부의 여유공간 또는 탑승자나 적재물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이와 같이 산출된 중량값을 후술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각 층에 탑승을 대기하는 탑승대기자가 이와 같은 중량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 층에서 대기 중인 인원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부피중량 정보를 통해 탑승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탑승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엘리베이터를 기다리지 않고 대체 이동수단을 찾을 수 있으므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에 탑승 가능 정보를 각 층의 대기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각 층에 탑승 대기중인 탑승대기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출입구 등의 적정 장소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3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탑승대기자들로 하여금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공간의 부피정보 및 중량정보를 모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131)에서는 상기 무게측정부(120)에서 탑승자나 적재물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100)에 적재 중량이 초과된 경우 "만원" 또는 "중량초과" 등의 문구나 음성 알람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을 통해 적재 중량이 초과하지 않고, 일부 빈 공간이 남아 있는 상태일지라도 밀집된 탑승자들이나 불규칙적으로 부피를 차지하는 적재물(S)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출입구가 막히거나, 탑승 가능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131)에 "탑승공간부족" 또는 "출입구 막힘" 등의 알림문구나 음성 알람 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131)에서 각 공간영역을 그래픽으로 표현하여 엘리베이터 내부의 남은 공간과 채워진 공간을 탑승자나 탑승대기자들이 구체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공간감지수단(110)의 구성을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탑승자(P)에 의해 내부공간 점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압전소자(140)가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압전소자(14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102)에서의 충격이나 하중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압전소자(140)는 엘리베이터의 바닥부에 내장되게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사람이나 적재물의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해 압력을 받아 전기적 신호 및 전기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압전소자(140)는 상기 바닥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압전소자(140)는 엘리베이터 탑승자가 짧은 보폭으로 이동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곳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40)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신호 즉, 엘리베이터의 전체 탑승공간 즉, 바닥부 공간에서 일정 부분의 압력을 감지하여 탑승 또는 적재물의 적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감지된 압전소자(14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탑승 및 적재 여부 즉, 탑승상태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150)는 상기 압전소자(140)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150)는 과충전 방지장치(CID, PTC)가 내장되어 안전성이 확보되는 2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상기 배터리(150)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간접조명부(16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 내부에 간접 조명을 제공하도록 발광하는 LED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기 간접조명부(160)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면이나 측면, 천장면 어느 곳이든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접조명부(160)가 상기 바닥면(102)의 둘레 부분을 따라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내부의 바닥부로 간접 조명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간접조명부(160)는 상기 LED램프가 구비되어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는 무드등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상기 간접조명부(160)가 상기 배터리(150)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로 발광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간접조명부(160)의 LED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게 상기 배터리(150)의 충방전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즉,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상기 간접조명부(160)가 상기 배터리(15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15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상기 간접조명부(160)는 별도의 전원 동력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상시 작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엘리베이터에 정전이 발생되는 등의 비상 상황 시에도 상기 배터리(150)를 통해 전원 공급이 유지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과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간감지수단에서 감지된 부피정보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간감지수단(110) 및 상기 무게측정부(120)로부터 감지되거나 산출된 부피공간과 중량정보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남은 공간영역을 통해 엘리베이터 이용상태 즉, 엘리베이터 내부의 남은 공간과 탑승 가능 인원과 적재 가능 중량과 같은 정보와 함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3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7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의 출입구가 막힌 상태로 감지된 경우 이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사람이나 물건이 진입할 수 없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탑승불가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131)에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탑승대기자들이 탑승 불가 상태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압전소자(140)의 감지 이상 유무에 따라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탑승 가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공간감지수단(110) 및 상기 압전소자(140)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을 통해 파악된 부피 정보 및 탑승가능정보와, 상기 압전소자(140)를 통해 파악된 탑승상태정보를 상호 연산 처리하여 정확한 엘리베이터의 탑승가능정보를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압전소자(140)의 정보가 부정확한 경우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의 감지 정보와 상기 압전소자(140)의 감지 정보를 상호 연산 처리하여 상기 탑승가능정보를 산출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압전소자(140)를 통한 감지 정보가 이상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탑승자나 반려동물 등이 엘리베이터 내부공간을 이리저리 옮겨 다님에 따라 정확한 탑승상태정보의 파악이 힘든 경우,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이와 같은 부정확한 감지 정보를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의 센서를 통해 감지된 탑스가능정보와 비교하여 연산 처리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탑승가능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무게측정부(120)를 통해 측정된 무게정보를 더하여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에서의 탑승가능정보와 상기 압전소자(140)에서의 탑승상태정보와 함께 연산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천장부(101)에 설치된 상기 공간감지수단(110)과, 엘리베이터의 내부 바닥면(102)에 설치된 상기 압전소자(140) 및 상기 무게측정부(120)와 같은 구성들의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엘리베이터의 탑승가능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불필요하게 정차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 이용자로 하여금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1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무게측정부(1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엘리베이터의 탑승 중량정보를 통해 탑승 가능한 중량이 초과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100)의 탑승 및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탑승 및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된 경우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이와 같은 중량초과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무게측정부(120)에서 탑승 및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되지 않은 상태의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공간감지수단(110) 즉, 레이저센서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통해 엘리베이터 내부의 부피공간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피공간정보는 엘리베이터 내부 전체공간에서 임의로 분할 처리된 공간영역에서 남은 공간과, 채워진 공간, 남은공간의 크기, 남은공간 및 채워진 공간의 위치 등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중량정보에서 탑승 및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되지 않고, 상기 레이저센서모듈을 통해 상기 부피공간정보에서도 탑승 공간이 충분히 남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부피공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레이저센서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부피공간정보에서 탑승 가능한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와 같은 부피공간정보에 대한 상세한 내용 즉, 남은 공간, 남은 공간에 따른 탑승 가능 인원과 같은 엘리베이터 내부 상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문자, 음성, 그래픽 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이저센서모듈을 통해 탑승 가능한 공간이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70)에서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출입구(104) 부분이 막힌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상기 엘리베이터(100)의 출입구(104)가 개방된 경우 엘리베이터(100)의 정상적인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만일 상기 출입구(104)가 막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와 같은 상태의 상기 부피공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하여 탑승대기자들로 하여금 탑승 불가상태임을 알림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정차를 강제 불능상태로 제어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종래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탑승이나 적재 가능 중량을 제공함과 동시에 적재 가능 중량이 초과하지 않더라도 엘리베이터 내부 공간의 부피정보를 감지하여 탑승 가능한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이와 같은 탑승 가능 정보를 엘리베이터 이용객들에게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엘리베이터가 불필요하게 정차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신속하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그에 따라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매우 효율적인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의 센서 즉, 상기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가 상기 압전소자(140)를 통해 발생되어 상기 배터리(1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은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은 상기 배터리(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공간감지센서(110)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고,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150)의 충방전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압전소자(140)를 통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항시 사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전기에너지를 상기 간접조명부(160) 및 상기 공간감지수단(110)의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이용에 필요한 공급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은 물론, 정전 등의 비상 상황 시에도 탑승가능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엘리베이터
110 공간감지수단
111 레이저 송출부
112 레이저 수신부
120 무게측정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압전소자
150 배터리
160 간접조명부
170 제어부

Claims (3)

  1.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바닥에 배치되어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나 적재물의 충격 또는 하중에 의해 압력을 받아 전기적 신호 및 전기 에너지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엘리베이터에 탑승가능정보를 각 층의 대기장소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감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내부에 간접 조명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간접조명부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접조명부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사람이나 적재물에 의한 엘리베이터 내부 탑승공간의 부피 정보를 감지하는 공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상기 부피 정보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탑승가능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전소자의 감지 이상 유무에 따라 상기 공간감지수단과 상기 압전소자의 감지 정보를 상호 연산 처리하여 상기 탑승가능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KR1020200009027A 2020-01-23 2020-01-23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KR20210095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27A KR20210095328A (ko) 2020-01-23 2020-01-23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27A KR20210095328A (ko) 2020-01-23 2020-01-23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28A true KR20210095328A (ko) 2021-08-02

Family

ID=7731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027A KR20210095328A (ko) 2020-01-23 2020-01-23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3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708B1 (ko) * 2023-03-31 2023-10-24 에이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026A (ko) 2010-12-30 2012-07-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614A (ko) 2013-07-11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중량 정보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026A (ko) 2010-12-30 2012-07-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614A (ko) 2013-07-11 2015-01-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중량 정보 제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708B1 (ko) * 2023-03-31 2023-10-24 에이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8910B2 (en) Elevator system that autonomous mobile robot takes together with person
CA2949243C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US6269910B1 (en) Elevator rescue system
KR101668904B1 (ko) 승강기 설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
EP3450375A1 (en) Work area technician warning system
CN103502129A (zh) 电梯的轮椅运转装置
EP3301056B1 (en) Enhanced elevator status information provisions for fire alarm systems
EP3301052B1 (en) Group coordination of elevators within a building for occupant evacuation
US20180093859A1 (e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allocating a variable number of cars to floors within an evacuation zone
KR20200071311A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CN105980284A (zh) 电梯中的制动器操作管理
JP6698255B2 (ja) 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装置、機械式駐車装置の安全確認方法、及び機械式駐車装置
KR20210095328A (ko)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KR20150105542A (ko) 무게감지센서 및 변속수단을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운행시스템
KR100976781B1 (ko)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승강기 층 운행정보 알림, 표시장치
JP2008143680A (ja) エレベータの誘導案内システム
EP3305706A1 (e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display
EP3309103A1 (en) Method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tilizing multi-compartment elevators
EP3492416B1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for occupant evacuation
KR20150007614A (ko) 엘리베이터 중량 정보 제공 장치
EP3301053B1 (en) Re-dispatching unoccupied elevator car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EP3301054B1 (en) Optimized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utilizing remaining capacity for multi-copartment elevators
CN106429697B (zh) 一种电梯安全预警系统
KR100959337B1 (ko) 승강기 무정차 안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29075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