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08B1 -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708B1
KR102591708B1 KR1020230042656A KR20230042656A KR102591708B1 KR 102591708 B1 KR102591708 B1 KR 102591708B1 KR 1020230042656 A KR1020230042656 A KR 1020230042656A KR 20230042656 A KR20230042656 A KR 20230042656A KR 102591708 B1 KR102591708 B1 KR 10259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boarding
space
lo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현
박정훈
Original Assignee
에이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 filed Critical 에이원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5Transportation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승강 시스템이 개시된다. 승강 시스템은 탑승공간과, 개폐 가능한 출입문을 포함하고 복수의 탑승 지점을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승강기, 상기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탑승 지점으로 상기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신호를 입력 받는 호출 버튼, 상기 승강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가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공간 중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호출 신호가 입력된 상기 탑승 지점에서의 상기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ELEVATING SYSTEM SENSEING THE BORADING SPACE}
아래의 설명은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을 센싱하여,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는 승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elevator)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사람 또는 화물을 상하 방향으로 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고층 건물이 많아 짐에 따라, 대부분의 건물이 승강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승강기의 이용은 현대인들에게는 생활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규격에 따라 허용 하중이 설정되어 있으며, 승강기의 하중이 허용 하중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승강기의 하중이 허용 하중 미만이 될 때까지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승강기는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중간 지점에서의 호출신호가 인식되면 중간 지점에서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승강기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승강기에 인가되는 하중이 허용 하중 범위에 위치하면 중간 지점에서 정차하지 않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승강기의 하중을 기준으로 중간 지점에서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허용 하중은 만족하지만 탑승 공간에 여유가 없어 실제적으로 추가 인원이 탑승할 수 없는 경우에도 중간 지점에서 정차하여 이동 시간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고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운영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08-0021896호는 승강기 내벽의 보호를 위한 카페 보호 장치 셋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을 센싱하여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는 승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허용 하중 및 탑승 공간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승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탑승 공간의 점유 정도를 센싱할 수 있는 승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은, 탑승공간과, 개폐 가능한 출입문을 포함하고, 복수의 탑승 지점을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승강기; 상기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탑승 지점으로 상기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신호를 입력 받는 호출 버튼; 상기 승강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가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공간 중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호출 신호가 입력된 상기 탑승 지점에서의 상기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객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단위 영역을 상기 여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탑승공간의 천장 또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탑승공간의 바닥면에 위치 설정된 복수의 타겟 지점을 향해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별로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는 기준 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각각의 타겟 지점을 향해 발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검출 시간을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에 대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 미만인 단위 영역은 객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하고,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은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탑승 공간의 바닥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탑승 공간의 천장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단위 영역에 위치한 센서를 향해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중,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센서가 배치된 단위 영역은 객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신호는 레이저 또는 음파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상기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를 센싱하는 객체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객체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단일 객체의 크기가 상기 여유 공간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상기 승강기가 정차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 시스템은 상기 승강기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중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상기 승강기의 하중이 설정된 허용 하중 미만인 경우에만,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중인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승강기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한 복수의 탑승 지점으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인식하는 동작; 승강기의 하중이 허용 하중 미만인지 여부를 센싱하는 동작; 상기 승강기의 하중이 허용 하중 미만인 경우,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 중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상기 승강기를 정차시키고, 상기 여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을 통과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동작은, 상기 탑승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동작; 상기 승강기 내부에 배치된 센서를 통해 상기 구획된 복수의 영역 각각으로 신호를 발사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객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영역을 상기 여유 공간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은, 특정 영역에 발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기까지 소요되는 검출 시간이 설정된 기준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객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은, 승강기 내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을 센싱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은, 승강기 내부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영역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를 검출하여, 탑승 영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은, 승강기에 인가되는 하중 및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승강기의 운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에서 센싱부를 통해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을 검출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10)은 건물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10)은 건물 내의 지정된 탑승 지점 사이에서 객체를 수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객체'의 용어는 승강기(100)에 탑승 가능한 탑승객 또는 사물을 통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은 객체를 수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승강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기(100)는 내부에 형성되는 탑승 공간과, 탑승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출입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문은 탑승 공간의 측면에 형성되고, 승강기(100)가 탑승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개폐 동작을 통해 탑승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기(100) 내부에는 승강기(100)의 목적지, 예컨대 탑승 지점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승강기(100)는 건물 내에 형성된 승강 통로(T)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통로(T)는 승강 방향(예: 승강 시스템(10)에 설치된 건물의 높이 방향) 따라 건물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통로(T)는 건물 내에 형성된 복수의 탑승 지점(예: 건물의 각 층에 형성되는 승강기(100)의 탑승 위치)을 경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탑승 지점에는 승강 통로(T)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승강기(100)로 객체가 이동하기 위한 탑승 출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탑승 출입구는 승강기(100)의 출입문과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은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되는 호출 버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호출 버튼은 탑승 지점으로 승강기(100)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호출 신호는 탑승 지점에 대기중인 탑승객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호출 버튼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후술하는 프로세서(140)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은 승강기(100)의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 승강기(100) 내부의 탑승 공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120), 승강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이 복수의 승강기(100)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승강 시스템(10)에 3개의 승강기(100a, 100b, 100c)를 포함하는 경우, 각 승강기(100)에는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 및 센싱부(120a, 120b, 120c)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각 승강기(100)에 대응하는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 및 센싱부(120a, 120b, 120c)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승강기(100) 각각의 작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강 시스템(10)이 단일의 승강기(10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승강 시스템(10)에 구비되는 승강기(100)의 개수가 실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기(10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복수의 탑승 지점 중 하나의 탑승 지점으로부터 목표 탑승 지점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탑승 지점은 승강기(100)에 탑승한 객체(예: 탑승객)이 입력한 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승강기(100)가 이동하는 이동 경로는 건물 내에 형성된 복수의 탑승 지점을 경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탑승 지점은 승강기(100)가 설정된 이동 경로(예: 건물의 1층으로부터 건물의 10층)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승강기(100)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한 탑승 지점(예: 건물의 1층 및 10층 사이에 형성되는 각각의 탑승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는 승강기(100)의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승강기(100)의 하중은 탑승 공간에 위치한 객체의 하중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는 하중 측정 센서를 통해 탑승 공간 내에 위치한 객체의 총 하중, 예컨대 승강기(100)의 하중을 검출하여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가 검출한 하중을 승강기(100)의 허용 하중과 비교하여 승강기(10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승강기(100)의 내부에 여유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승강기(100) 내부, 즉, 탑승 공간에 배치되고 탑승 공간 내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탑승 공간의 객체에 의한 점유 정도, 예컨대, 탑승 공간이 객체에 의해 얼마나 차지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탑승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단위 영역 각각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싱부(120)는 구획된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에 객체가 존재하여 추가적인 객체가 배치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가 센싱한 정보는 프로세서(14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 및 센싱부(120)가 센싱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승강기(100)의 허용 하중을 설정하고,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를 통해 검출된 승강기(100)의 하중을 허용 하중과 비교하여 승강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하중 검출부(110a, 110b, 110c)를 통해 검출된 승강기(100)의 하중이 설정된 허용 하중 이상인 경우, 승강기(100)가 추가 객체가 탑승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승강기(100)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한 탑승 지점에서 호출 신호가 발생하여도 승강기(100)가 탑승 지점에 정차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승강기(100)의 탑승 공간에 추가 객체가 탑승할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승강기(100)의 중간 정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0)는 탑승 공간에 여유 공간에 있는 경우에만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승강기(100)가 정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탑승 공간에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는 센싱부(120)를 통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승강기(100)의 하중이 허용 하중 미만인 경우에만 탑승 공간에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140)는 탑승 공간에 객체가 탑승할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앞서, 승강기(100)의 하중이 허용 하중 미만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탑승 공간 내 여유 공간의 크기에 따라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의 승강기(100)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은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를 센싱하는 객체 센싱부(120)(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센싱부(120)는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객체 센싱부(120)는 특정 탑승 지점에서 승강기(100)의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객체 센싱부(120)는 탑승 지점에 복수의 객체가 위치한 경우에는, 복수의 객체 각각의 크기를 인실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객체 센싱부(120)를 통해 센싱된 탑승 지점의 객체의 크기와 승강기(100)의 탑승 공간 내 여유 공간의 크기를 비교하고,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가 승강기(100) 내 여유 공간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 승강기(100)가 탑승 지점에 정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가 승강기(100) 내 여유 공간의 크기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컨대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가 승강기(100) 내 여유 공간에 탑승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100)가 탑승 지점에 정차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 복수의 객체가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객체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단일 객체의 크기와 승강기(100) 내 여유 공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승강기(100)의 정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객체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단일 객체의 크기가 상기 여유 공간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상기 승강기(100)가 정차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10)에서 센싱부(120)를 통해 승강기(100) 내부의 탑승 공간을 검출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은 탑승 공간 내에 추가 객체가 탑승할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센싱부(120)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10)은 탑승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으로 구획하고, 각 단위 영역(S1, S2, S3, S4)이 탑승 공간에 위치한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중 객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단위 영역(S1, S2, S3, S4)을 상기 여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탑승 공간을 육면체 형태의 4개의 단위 영역(S1, S2, S3, S4)으로 구획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탑승 공간을 구획하는 단위 영역(S1, S2, S3, S4)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영역(S1, S2, S3, S4)의 개수 및 구획 형태는 설정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120)는 탑승 공간 내 특정 지점으로 신호를 발사하고,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신호는 물체를 만나면 반사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컨대 센서에서 발사된 신호는 탑승 공간 내 위치한 객체로부터 반사되어 센서로 다시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레이저 또는 음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라이더 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센서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20)는 탑승 공간의 천장(1011) 또는 측면(1013)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가 탑승 공간의 천장 중앙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는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각각에 해당하는 상기 탑승 공간의 바닥면(1012)에 위치 설정된 복수의 타겟 지점을 향해 각각 신호를 발사하고,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각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는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각각에 대해 발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돌아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검출 시간(L1, L2, L3, L4)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특정 단위 영역(S1, S2, S3, S4)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센서에서 발사된 신호는 바닥면까지 도달한 후 반사되어 센서로 다시 수신되므로, 검출 시간(L1, L2, L3, L4)은 일정한 범위(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에서 유지될 수 있다. 반면, 특정 단위 영역(S1, S2, S3, S4)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센서에서 발사된 신호는 바닥면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객체에서 반사되어 센서로 다시 수신되므로 검출 시간이 더 짧아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각각에 대해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따른 기준 범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는 센서에서 발사된 신호가 바닥면에 도달한 후 되돌아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각각의 단위 영역(S1, S2, S3, S4)에 대해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 또는 기준 범위 미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각각의 단위 영역(S1, S2, S3, S4)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중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 미만인 단위 영역(S1, S2, S3, S4)은 객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중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단위 영역(S1, S2, S3, S4)은 객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 예컨대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S1, S2, S3, S4)들이 객체의 추가 탑승을 위한 여유 공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3a와 같이 탑승 공간 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센싱부(120)가 각각의 단위 영역(S1, S2, S3, S4)의 바닥면을 향해 발사한 신호는 일정한 거리를 왕복하여 센서로 다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단위 영역(S1, S2, S3, S4)에 대해 신호가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L1, L2, L3, L4)은 일정한 범위, 예컨대 기준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탑승 공간의 4개의 단위 영역(S1, S2, S3, S4) 모두를 추가 객체의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기(10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정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3b와 같이 탑승 공간의 모든 단위 영역(S1, S2, S3, S4)에 객체(O1, 02, 03, 04)가 존재하는 경우, 센싱부(120)가 각각의 단위 영역(S1, S2, S3, S4)의 바닥면을 향해 발사한 신호는 각 단위 영역(S1, S2, S3, S4)에 위치한 객체(O1, 02, 03, 04)로부터 반사되어 센서로 다시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객체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왕복 거리는, 도 3a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반사된 신호의 왕복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신호가 센서와 객체 사이를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L1, L2, L3, L4)은 기준 범위 미만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탑승 공간의 4개의 단위 영역(S1, S2, S3, S4) 모두를 추가 객체의 탑승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승강기(10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3c와 같이 탑승 공간의 일부 단위 영역(S1, S3)에만 객체(O1, O3)가 존재하는 경우, 신호의 왕복 소요 시간이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 단위 영역(S1, S3)은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으로 인식되고, 왕복 소요 시간이 기준 범위 미만에 해당하는 단위 영역(S1, S2, S3, S4)은 객체의 추가 탑승이 불가능한 공간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기(100)는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정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시스템은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으로 구획하고, 각 단위 영역(S1, S2, S3, S4)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센싱부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 시스템은 복수의 단위 영역(S1, S2, S3, S4) 중 객체(O)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단위 영역(S1, S2, S3)을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는 각각의 단위 영역에 쌍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센서(222a, 222b, 222c, 222d) 및 복수의 송신부(221a, 221b, 221c, 221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위 영역(S1, S2, S3, S4)에 해당하는 탑승 공간의 바닥면(2012)에는 복수의 센서(222a, 222b, 222c, 222d)가 각각 배치되고, 각 단위 영역(S1, S2, S3, S4)에 해당하는 탑승 공간의 천장(2011)에는 복수의 송신부(221a, 221b, 221c, 221d)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단위 영역(S1, S2, S3, S4)에 배치된 센서(222a, 222b, 222c, 222d) 및 송신부(221a, 221b, 221c, 221d) 사이에는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221a, 221b, 221c, 221d)는 탑승 공간의 천장으로부터 탑승 공간의 바닥면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센서(221a, 221b, 221c, 221d)는 송신부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신부(221a, 221b, 221c, 221d)가 송신하는 신호는 물체를 만나면 반사하는 신호일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221d)의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센서(222d)가 배치된 단위 영역(S4)은 객체(O)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센서(221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는 단위 영역(S1, S2, S3)을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내부의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승강기 내부의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승강기 내부의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방법의 각 동작은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4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승강기 내부의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방법은 승강기 내부 공간(즉, 탑승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는 동작(301), 구획된 영역 각각에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302), 각 단위 영역으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측정하여 객체를 확인하는 동작(303) 및, 객체 확인에 기초하여 여유 공간을 검출하는 동작(304)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1은 승강기 내부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의 구획은 설정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영역의 구획은 승강기 내부 공간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동작 302에서는 구획된 단위 영역으로 신호를 발사하고, 반사된 신호를 재 수신할 수 있다. 동작 302는 센싱부(예: 도 3a의 센싱부(12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302는 신호를 단위 영역으로 발사하고 이를 재 수신하기까지에 소요되는 검출 시간을 단위 영역별로 검출할 수 있다. 검출 시간은 단위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단위 영역으로 발사된 신호가 객체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므로, 검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동작 303에서는 단위 영역별로 검출된 검출 시간을 설정된 기준 범위와 비교하여, 단위 영역에 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기준 범위는 단위 영역에 객체가 없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검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303에서 특정 단위 영역에서 검출된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해당하면 특정 단위 영역에는 객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특정 단위 영역에서 검출된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특정 단위 영역이 객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303는 구획된 각 단위 영역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304에서는 동작 303의 결과에 기초하여, 승강기 내부 공간에서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 304에서는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중인 승강기가 호출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을 통과할지 또는 정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승강 시스템은,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을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단위 영역을 센서를 통해 직접 센싱함으로써 여유 공간의 존재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승강 시스템은, 승강기에 인가되는 하중 및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승강기의 운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승강기 운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승강기 운용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용어와 동일한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운용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의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운용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운용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기 운용 방법은 이동중인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기 운용 방법은 호출 신호를 인식하는 동작(401), 승강기의 측정 하중이 허용 하중 미만인지 여부를 인식하는 동작(402),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에 객체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인식하는 동작(403), 여유 공간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404), 승강기가 정차하는 동작(405) 및 승강기가 통과하는 동작(406)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01은 승강기의 호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401은 승강기가 이동하는 경로상에 위치한 복수의 탑승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탑승 지점으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호출 신호는 탑승 지점에 배치된 호출 버튼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동작 402는 승강기의 하중을 허용 하중과 비교할 수 있다. 승강기의 하중 검출은 하중 검출부(예: 도 2의 하중 검출부(110a))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402에서 검출된 하중이 허용 하중 이상인 경우에는 동작 406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기의 하중은 탑승 공간에 위치한 객체들의 하중에 의해 달라지므로, 검출된 하중이 허용 하중 이상인 경우에는 승강기 내부 탑승 공간에 객체가 추가로 탑승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더라도 객체가 추가 탑승하면 승강기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중이 허용하중 이상인 경우, 호출 신호가 발생한 탑승 지점에서 승강기가 정차하지 않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면, 동작 402에서 승강기의 측정 하중이 허용하중 미만인 경우에는, 동작 403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403은 승강기 내부의 탑승 공간 중,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403은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 403은 탑승 공간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단위 영역이 객체에 의해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객체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위 영역이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403은 도 5에 설명된 여유 공간 검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404는 여유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동작 404에서 여유 공간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405 또는 동작 406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승강기 내에 여유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405가 수행되어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서 승강기를 정차시키고, 여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406가 수행되어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을 통과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승강 시스템
100: 승강기
120: 센싱부

Claims (10)

  1. 내부에 형성되는 탑승공간과, 측면에 형성되는 개폐 가능한 출입문을 포함하고, 복수의 탑승 지점을 경유하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복수의 승강기;
    상기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탑승 지점으로 상기 승강기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신호를 입력받는 호출 버튼;
    상기 복수의 탑승 지점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를 센싱하고, 상기 탑승 지점에 복수의 객체가 위치한 경우에는 복수의 객체 각각의 크기를 인식하는 객체 센싱부;
    상기 승강기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
    상기 승강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 공간을 육면체 형태의 4개의 단위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에 대한 객체 존재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탑승 공간 내의 객체에 의한 점유 정도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승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탑승 공간의 천장 중앙에 배치되는 라이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4개의 단위 영역에 대응하는 바닥면에 위치 설정된 4개의 타겟 지점을 향해 각각 신호를 발사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4개의 단위 영역 각각에 대해 발사된 신호가 반사되어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각각의 검출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탑승 지점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하중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승강기의 하중을 설정된 허용 하중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의 하중이 상기 허용 하중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승강기에 추가 객체의 탑승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승강기가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 정차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승강기의 하중이 상기 허용 하중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승강기에 대한 객체의 추가 탑승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추가 탑승 여부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4개의 단위 영역에 각각에 대해 기준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4개의 단위 영역 중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 미만인 단위 영역은 상기 탑승 공간 내 객체에 의해 점유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검출 시간이 기준 범위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은 객체의 추가 탑승이 가능한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탑승 공간 내의 추가 객체의 탑승이 가능한 여유 공간을 센싱하고,
    상기 객체 센싱부를 통해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 위치한 객체 중 최소 크기를 가지는 단일 객체의 크기와 상기 센싱된 여유 공간의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객체의 크기가 상기 센싱된 여유 공간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승강기가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 정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탑승 지점에 위치한 최소 크기의 단일 객체가 상기 센싱된 여유 공간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승강기가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탑승 지점에 정차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호출 신호가 입력된 상기 탑승 지점에 대한 상기 승강기의 정차 여부를 결정하는, 승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42656A 2023-03-31 2023-03-31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KR10259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656A KR102591708B1 (ko) 2023-03-31 2023-03-31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656A KR102591708B1 (ko) 2023-03-31 2023-03-31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708B1 true KR102591708B1 (ko) 2023-10-24

Family

ID=8851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656A KR102591708B1 (ko) 2023-03-31 2023-03-31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546A (ja) * 2009-04-03 2010-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乗車状況検出装置
JP2012017197A (ja) * 2010-07-09 2012-01-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KR20160071086A (ko) * 2014-12-11 2016-06-21 송영기 지능형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95328A (ko) * 2020-01-23 2021-08-02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JP7217839B2 (ja) * 2020-09-29 2023-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546A (ja) * 2009-04-03 2010-10-2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乗車状況検出装置
JP2012017197A (ja) * 2010-07-09 2012-01-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
KR20160071086A (ko) * 2014-12-11 2016-06-21 송영기 지능형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95328A (ko) * 2020-01-23 2021-08-02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탑승 및 적재 가능 표시 시스템
JP7217839B2 (ja) * 2020-09-29 2023-0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制御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7494B2 (en) Mechanism for improving safety for an elevator system
CN107257771B (zh) 具有适应性门控制装置的电梯系统
CA2623514C (en) Lift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lift users inside a building
KR100899935B1 (ko) 승강로 접근 탐지 시스템
EP0991581B1 (en) A safety system for detecting small objects approaching closing doors
JP5055333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628620B1 (en) Elevator system
US8061486B2 (en) Elevator safety systems including detection of an object in the hoistway
WO2011111096A1 (ja) 安全位置センサ付きエレベータ
JP7189806B2 (ja) センサユニット及びエレベーター
JP6646117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2591708B1 (ko) 탑승 공간을 센싱하는 승강 시스템
KR20200071311A (ko) 엘리베이터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CN114955755A (zh) 自主移动体的管理装置
JPH10157940A (ja) エレベータかごの床合わせ判定装置
US8280102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n movement element, particularly a door or a gate
KR20190095783A (ko)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방법 및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 시스템
KR102297234B1 (ko) Rssi 기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JP6289291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停止位置判断方法
CN113329963A (zh) 在井道中进行维护作业时不进行自动运转的电梯的控制系统
KR10089848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낮은 오버헤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있는 사람이 상해 입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WO2022230015A1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基板、エレベーターの設置階の設定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設置階の設定方法
KR100638754B1 (ko) 엘리베이터 카 위치검출장치
JP6786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接触抑制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