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5877A -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5877A
KR20130115877A KR1020120038629A KR20120038629A KR20130115877A KR 20130115877 A KR20130115877 A KR 20130115877A KR 1020120038629 A KR1020120038629 A KR 1020120038629A KR 20120038629 A KR20120038629 A KR 20120038629A KR 20130115877 A KR20130115877 A KR 20130115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elevator
maintenance
remote managemen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송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태 filed Critical 송종태
Priority to KR102012003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5877A/ko
Publication of KR2013011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은,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로부터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신호를 검출하는 고장검출단계와; 상기 승강기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일반고장신호는 메모리에 저장하며, 중대 고장신고인 경우에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로 자동 고장신고를 하는 고장신고 단계와; 고장신고를 접수한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서 원격접속을 하여 고장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출하여 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의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도록 하는 고장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 A Method For Remote Fault Diagnosis And Maintenance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관리 단말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로컬 승강기의 제어반에 접속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하며 고장진단의 내용에 따라서 원격지에서 직접 유지보수 행위를 하거나 유지보수 요원을 현장에 파견하여 유지보수행위를 수행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관리 시스템은,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10)의 모니터링 포트(15)를 통하여 승강기 운행정보를 로컬의 원격감시 단말장치(21)로 실시간 전송하여 주면, 원격감시 단말장치(21)는 중대 고장정보가 수신되면 원격관리 관제센터(90)로 외부 공중망(60)을 이용하여 고장신고를 자동으로 한다. 한편 일반 고장정보는 메모리가 허락되는 범위에서 저장하여 두고, 운행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가동시간, 운행거리, 도어 오픈 회수 등의 운행이력정보를 연산하여 저장해 두고 원격관리 관제센터(90)와의 통신 주기가 되거나 메모리 저장공간이 모두 사용할 정도가 되면 외부 공중망(60)을 이용하여 원격관리 관제센터를 전송하여 준다.
원격관리 관제센터(90)는 유지보수 요원을 각 지역에 적절히 배치 운영하며 원격감시 단말장치(21)로부터 고장신고를 접수하면 현장출동시키는데, 출동한 유지보수요원은 유지보수용 툴(17)을 이용하여 고장진단 및 원인파악 후 고장수리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원격관리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종래 원격관리 시스템은 고장신고를 접수한 경우, 고장진단 및 수리를 위하여 반드시 유지보수요원을 출동시켜야 하는 방식이므로, 유지보수요원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승강기는 고장에 의해 정지하여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승강기 이용자는 불편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기는 건물 층수, 서비스 층수, 도어 대기 타임, 운전 방식 등등 건물 사정에 맞도록 제어반 제어회로(10)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데, 고객 요청에 의해 데이터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해당 내용을 접수받아 유지보수 요원을 출동시켜 해당 데이터를 수정하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정하기 위해 이동시간 낭비 및 차량이동에 의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한다.
그리고, 유지보수요원의 고장진단 및 고장수리에 대하여 원격관리 관제센터(90)의 관리요원(80)이나 개발자 등 상급 기술자가 도와주고 싶어도 현장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입출력 동작상태, 롬(11) 및 램(13) 데이터 정보 등 제어반 제어회로(10) 내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여서 지원이 불가하므로 고장 원인파악이 늦어져 고장수리 시간이 지연되며 결국 이용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장신고가 접수되면 원격지에서 로컬의 승강기 제어반에 접속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하며, 그 결과에 따라서 원격지에서 직접 유지보수 행위를 하거나 유지보수 요원에게 고장진단 내용을 통보하고 현장에 파견하여 유지보수행위를 수행하도록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은,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로부터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신호를 검출하는 고장검출단계와; 상기 승강기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일반고장신호는 메모리에 저장하며, 중대 고장신고인 경우에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로 자동 고장신고를 하는 고장신고 단계와; 고장신고를 접수한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서 원격접속을 하여 고장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출하여 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의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도록 하는 고장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의한 고장진단의 내용에 따라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원격접속하여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하거나 유지보수요원을 현장에 파견하며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행위를 수행하는 고장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수리 단계는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의 유지보수용 포트에 접속하여 수행되며, 상기 고장검출단계는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의 모니터링 포트에 접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수리 단계에서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는 포트는 유지보수용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고장검출단계에서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는 포트는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는 고장진단의 내용에 따라 유지보수요원을 현장에 출동시키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요원에게 고장진단의 내용을 통보하는 진단내용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진단 또는 고장수리 단계에서, 상기 유지보수요원이나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 관리요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고급기술자의 원격 접속에 의한 승강기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수행하는 기술지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로컬 승강기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를 구비한 승강기의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서버와; 로컬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실시간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외부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자동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수행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하도록 원격관리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원격관리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로컬의 각 호기 승강기의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를 구비한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실시간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승강기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고장신고를 출력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각 호기의 원격관리 단말과; 공중망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임의 원격관리 단말로부터 고장신고 신호를 수신하면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와 상기 원격관리 단말 사이 통신을 매개하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로컬의 각 호기 승강기의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를 구비한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와; 로컬에 구비되며, 상기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실시간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임의 호기 승강기의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외부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자동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수행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상기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의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하도록 원격관리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원격관리 단말이 고장신호를 검출하면 자동으로 원격지 관제센터로 고장신고를 하며, 원격지 관제센터의 서버가 승강기 제어반에 원격에서 접속하여 승강기 고장진단이 가능하고 원격지에서 직접 고장수리를 하고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고장난 승강기 현장에 유지보수요원을 파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요원 파견 전에 고장진단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므로 고장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승강기 불가동 시간에 따른 이용객들의 불편함을 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지보수요원의 현장 출동에 따른 시간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요원이 승강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받아서 현장에 투입되므로 현장대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과 노력의 감축이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 원격고장진단의 결과 상위 고급 기술자에게 도움을 받아야 할 경우나 유지보수 요원이 현장 출동하여 고장 원인파악을 하였지만 고장 원인 파악이 난해하여 상위고급 기술자에게 도움을 받아야 할 경우, 상위 기술자가 원격 접속하여 고장진단, 고장수리를 지원하여 신속한 고장 수리를 함으로써 불가동 시간 최소화로 이용객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 원격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원격관리 단말의 구성을 예시한 개요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의 각 단계를 예시한 흐름도.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현장에 승강기 1 대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한다.
예컨대, 제 1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승강기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100)를 구비한 승강기의 제어반과, 상기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서버(70)와, 고장검출시 자동으로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에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수행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의 원격 고장진단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도록 원격관리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원격관리 단말(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반 제어회로(100)는, 승강기 운행 프로그램, 건물 사양 데이터(예컨대, 승강기의 공장 생산 및 출하 전에 저장되는 데이터로 건물 층 수, 서비스 층 수, 층 문자, 운전방식 등) 및 각종 시스템 데이터가 저장되는 롬(110)과, 각종 신호 입력을 받는 입력포트부(120)와,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부(140)과, 각종 신호 입력을 받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포트부(140)로 출력하며 입출력상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에 의해 생기는 각종 변수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130)과, 승강기 운행상태 정보를 실시간 출력하는 모니터링 포트(150)와, 유지보수용 툴을 이용하여 고장 발생시 고장진단을 하거나 롬(110) 및 램(130)의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유지보수용 포트(160)를 포함한다.
본 제 1 실시예 원격관리 단말(300)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100)의 모니터링 포트(150)에 접속하여 운행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 포트 접속수단(301)과, 상기 유지보수용 포트(160)에 접속하기 위한 유지보수용 포트 접속수단(302)과, 공중망(60)에 접속하여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로 고장신고 및 운행정보 전송을 하며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의 인터페이스로 동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중망 접속수단(304)과, 승강기 운행정보·운행이력정보·승강기 고장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305)와,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8)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로컬에 2대 이상의 승강기가 있는 경우로,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과, 원격관리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와, 승강기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고장신고를 출력하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의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각 호기 승강기의 원격관리 단말(310)과, 공중망(60)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에 접속하여 각 호기 원격관리 단말(310)에서 출력한 고장신고를 전달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와 상기 원격관리 단말(310) 사이 통신을 매개하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제 2 실시예의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본 제 2 실시예의 원격관리 단말(310)은 공중망 접속수단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에 의해 고장신고가 이루어지며, 운행정보의 송수신이나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를 위한 제어신호 및 각종데이터 송수신이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를 경유하여 수행되는 점이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은 로컬에 승강기가 2대 이상 있는 경우로, 하나의 로컬 원격관리 서버(360)가 2대 이상의 승강기 제어반의 제어반 제어회로(100) 모니터링 포트(150)에 연결되어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신호 검출시 공중망(60)을 통하여 고장신고를 한다.
또한, 로컬 원격관리 서버(360)는 승강기 제어반의 유지관리 포트(160)에 연결되고,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가 원격접속에 의해 고장진단 및 고장수리 등 유지보수 행위를 하는 경우 제어반 제어회로(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공중망(60)은 국선, 인터넷, 이동통신 등 건물 외부와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통신방식을 포함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포트(150)와 유지보수용 포트(160)를 분리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니터링 포트에 의해 승강기 감시는 물론 고장진단 및 고장수리 등의 유지보수 행위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용 포트를 통하여 승강기 감시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고장진단을 하거나 고장수리 등의 유지보수행위를 하는 경우에는 유지보수용 모드로 전환되며, 모니터링을 할 때에는 모니터링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어 운행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원격관리 단말(300,310) 또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360)는 제어반 제어회로(100)의 모니터링 포트(160)에 연결되어 있어서 승강기 운행정보를 실시간 수신한다(제200단계).
수신한 승강기 운행정보로부터 고장신호가 검출되는 경우는, 일반 고장신호는 메모리가 허락되는 한 메모리에 저장하며 원격지 관제센터(90)와의 통신주기가 되거나 메모리의 저장공간을 모두 사용할 정도가 되면 공중망(60)을 이용하여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로 전송한다(제201단계,제202단계,제203단계).
한편, 정지고장·승객갇힘·특정 고장의 다발 등 중대 고장신고인 경우에는 고장신고 신호를 발생시키며, 공중망(60)을 통하여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에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한다. 또한, 모니터링 포트(150)를 통하여 수신한 승강기 운행정보를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로 함께 전송한다(제204단계).
고장신고를 접수한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에서 원격접속을 시도하면 원격관리 단말(300,310) 또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360)는 제어반 제어회로(100)에 대한 원격접속의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예컨대, 원격관리 단말(300,310) 또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360)는 원격 고장진단 모드로 모드 전환을 하며, 원격관리 단말(300,310) 또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360)는 유지보수용 포트(160)를 통하여 승강기 제어반의 제어반 제어회로(100)에 접속하여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에서 요청한 승강기 데이터를 검출하여 반환한다(제205단계,제206단계).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의 관리요원(80)은 원격관리 단말(300,310) 또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320,360)를 통한 원격접속에 의하여 승강기 제어반의 제어반 제어회로(100)의 데이터를 검출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각종 입·출력 동작상태 확인, 롬 및 램의 변수 데이터 확인, 각종 디바이스의 동작상태 확인 등의 행위를 통하여 고장진단을 수행한다(제207단계).
고장진단의 결과 원격에서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한 경우에는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 관리요원(80)은 원격접속에 의하여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하는데,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행위는 프로그램 및 건물 사양 데이터, 각종 시스템 데이터 등의 수정과 변경을 포함한다(제208단계,제209단계).
한편, 원격에서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가 불가능하거나 현장에서의 협동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지보수요원을 현장에 출동시켜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할 수 있다.
유지보수요원은 현장에서 유지보수용 포트(160)에 유지보수용 툴을 접속시켜 승강기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70)는 원격 고장진단의 내용을 상기 유지보수용 툴로 전송하거나, 원격관리요원(80)이 유지보수요원에게 전화로 알려주거나 기타 방법으로 유지보수요원에게 통보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가능하게 하며 작업 중복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한다(제210단계,제211단계).
한편, 원격지 관제센터(90)의 원격관리 서버(70)를 통해 접속한 관리요원(80)이 고장진단을 하였으나 원인 파악이 힘들어 상급자나 개발자 도움을 요청하여 원인파악을 하여야 원격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경우나, 고장 원인파악은 하였지만 난해하여 상급자나 개발자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또는 현장 출동한 유지보수 요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급자나 개발자가 직접 원격접속을 하여 고장진단 및 고장수리 등의 행위가 가능하여 신속한 고장수리를 가능케 한다(제212단계,제215단계).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 기재 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60.......공중망 70....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
80.......관리요원 90....원격지 관제센터
100......제어반 제어회로 150........모니터링 포트
160......유지관리용 포트 300,310....원격관리 단말
320,360..로컬 원격관리 서버

Claims (9)

  1.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로부터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신호를 검출하는 고장검출단계와;
    상기 승강기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일반고장신호는 메모리에 저장하며, 중대 고장신고인 경우에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로 자동 고장신고를 하는 고장신고 단계와;
    고장신고를 접수한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서 원격접속을 하여 고장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를 검출하여 반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의한 고장진단을 수행하도록 하는 고장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의한 고장진단의 내용에 따라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원격접속하여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하거나 유지보수요원을 현장에 파견하며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행위를 수행하는 고장수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수리 단계는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의 유지보수용 포트에 접속하여 수행되며, 상기 고장검출단계는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의 모니터링 포트에 접속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수리 단계에서 상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는 포트는 유지보수용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고장검출단계에서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는 포트는 모니터링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는 고장진단의 내용에 따라 유지보수요원을 현장에 출동시키는 경우 상기 유지보수요원에게 고장진단의 내용을 통보하는 진단내용 통보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장진단 또는 고장수리 단계에서, 상기 유지보수요원이나 상기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 관리요원의 요청이 있는 경우 고급기술자의 원격 접속에 의한 승강기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 행위를 수행하는 기술지원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방법.
  7. 로컬 승강기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를 구비한 승강기의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서버와;
    로컬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실시간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외부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자동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수행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하도록 원격관리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원격관리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8. 로컬의 각 호기 승강기의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를 구비한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서버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실시간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승강기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고장신고를 출력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상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각 호기의 원격관리 단말과;
    공중망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임의 원격관리 단말로부터 고장신고 신호를 수신하면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와 상기 원격관리 단말 사이 통신을 매개하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9. 로컬의 각 호기 승강기의 제어 및 운행감시를 위한 제어반 제어회로를 구비한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과;
    로컬 승강기들에 대한 원격관리 및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지 관제센터의 원격관리서버와;
    로컬에 구비되며, 상기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 제어회로에 접속하여 실시간 승강기 운행정보를 수신하며, 임의 호기 승강기의 운행정보에서 고장신호가 검출되면 외부 공중망을 통하여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에 자동 접속하여 고장신고를 수행하며, 상기 원격관리 관제센터의 원격관리 서버가 상기 각 호기 승강기 제어반의 제어회로에 연결되어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행위가 가능하도록 원격관리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로컬 원격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KR1020120038629A 2012-04-13 2012-04-13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5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29A KR20130115877A (ko) 2012-04-13 2012-04-13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29A KR20130115877A (ko) 2012-04-13 2012-04-13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877A true KR20130115877A (ko) 2013-10-22

Family

ID=4963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629A KR20130115877A (ko) 2012-04-13 2012-04-13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58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1029A (zh) * 2018-08-24 2019-01-04 深圳艺达文化传媒有限公司 电梯广告终端远程维修方法及相关产品
CN113741403A (zh) * 2021-09-24 2021-12-03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诊断方法、诊断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415453B1 (en) 2017-06-14 2021-12-22 KONE Corporation Remote fault clearing for elevators, escalators and automatic doo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5453B1 (en) 2017-06-14 2021-12-22 KONE Corporation Remote fault clearing for elevators, escalators and automatic doors
CN109151029A (zh) * 2018-08-24 2019-01-04 深圳艺达文化传媒有限公司 电梯广告终端远程维修方法及相关产品
CN113741403A (zh) * 2021-09-24 2021-12-03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诊断方法、诊断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41403B (zh) * 2021-09-24 2023-06-3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诊断方法、诊断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557B1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433363B1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원격관리시스템 및 승강기 유지보수용 휴대용 단말
US114274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Shabbat elevators
KR102118669B1 (ko)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KR20130115877A (ko)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6723A (ko) 건설장비의 고장내역표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3201664A (ja) 冗長通信装置
JP5474121B2 (ja) エレベータ診断用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操作システム
CN110294382A (zh) 基于电梯外召板的故障处理方法及相关设备
JP7412316B2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173500B1 (ja) ビル設備管理システム
CN111039115A (zh) 用于监控电梯通信模块故障的方法、系统以及电梯
KR20190109928A (ko) 엘리베이터 그룹의 원격 보수 관리 시스템
JP4708211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KR102348616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시스템
WO2019116500A1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診断システム
JP402898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90099162A (ko)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200401936Y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리부팅장치
JP2502730B2 (ja) 遠隔監視装置
KR102666058B1 (ko) 차량의 원격 고장 진단 방법, 장치, 차량 및 컴퓨터 저장 매체
JPH0795305A (ja)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守用コンソール
JP2017145084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KR20170135612A (ko) 스마트 예방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IL295325A (en)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habbat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