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9162A -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9162A
KR20190099162A KR1020190095558A KR20190095558A KR20190099162A KR 20190099162 A KR20190099162 A KR 20190099162A KR 1020190095558 A KR1020190095558 A KR 1020190095558A KR 20190095558 A KR20190095558 A KR 20190095558A KR 20190099162 A KR20190099162 A KR 2019009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service
access point
serv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문
이군석
박상진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는 둘 이상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게 상기 제1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 장치에게 상기 제2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HUB DEVICE WITH DIAGNOSTIC FUNCTION AND DIAGNOSTIC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최근 다수의 가전제품을 배치하여 사용자들에게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들이 다수 제공된다. 이러한 매장들은 다수의 가전제품을 관리하기 때문에 각각의 장치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통합 관리 과정에서 각 장치들의 고장 상태를 확인하거나 사용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통신 기능을 탑재한 가전제품들이 다수 생산되고 있으나, 가전제품을 실제로 관리하거나 상태확인을 하는데 필요한 통합 관리 장치나 관리 방법이 부재하다. 그 결과 가전제품을 켜거나 끄는 정도의 단순한 제어가 관리 장치에서 제공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명세서는 다수의 가전제품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유지, 보수 및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장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스마트 기기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배치된 매장에서 관리자가 개별 서비스 장치의 오동작을 확인하거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수의 서비스 장치들이 배치된 공간에서 허브 장치가 진단을 수행하여 각 장치들에 대한 진단의 속도 또는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는 둘 이상의 서비스 장치로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제어하며, 서비스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는 서비스 장치들 각각의 통신 상태 및 서비스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 후,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통신 상태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2구간 진단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는 서비스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서비스 장치 또는 다른 서비스 장치들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증가한 서비스 장치를 선택하여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스마트 가전의 연결이 끊기거나 네트워크 연결 해제 등의 네트워크 문제나 오동작 문제 등이 이슈가 발생 하였을 경우, 허브 장치는 진단 구간 별로 오류가 발생한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허브 장치는 진단 구간 별로 진단을 수행하여 인터넷 문제,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포함하는 공유기 문제, 스마트 가전을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의 문제, 또는 외부의 서버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들을 보여준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구간을 구분하여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구간 별로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구간 별로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구간에서의 진단 과정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와 서비스 장치들 간의 진단 과정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와 액세스포인트 장치 간의 진단 과정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가 액세스포인트 장치및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서버와의 연결 상태를 진단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매장 내 다수 설치되며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가전제품들을 서비스 장치라고 지시한다.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서비스 장치의 실시예로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 세척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서비스 장치는 전술한 장치들 외에도 컴퓨터,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
정리하면, 서비스 장치란, 하나의 매장 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종류의 가전 제품을 지칭한다. 매장 내에 서비스 장치들이 다수 배치되며, 사용자는 이들 서비스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들을 보여준다.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 기능이 탑재되며, 일 실시예로 Wi-Fi와 같은 무선 랜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물론, 서비스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및 허브 장치(800)는 매장 내에 배치된다.
다수의 서비스 장치들(100, 100a~100n)과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허브(800)는 매장(1) 내에 배치된다. 운영관리장치(400)는 매장 내 혹은 매장 외부에서 서비스 장치들(100)을 관리한다.
서비스 장치들(100)은 서버(5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이 제어 정보는 운영관리장치(400)에서 생성되어 서버(500)로 전달된 것으로, 제어 정보에 따라 서비스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또는 동작이 종료된 후, 서비스 장치(100)는 상태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한다.
운영관리장치(400)는 서비스 장치(100)를 원격 또는 매장 내에서 모니터링하며, 서비스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제어 정보는 서버(500)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00)에게 전달된다.
운영관리장치(400)는 매장의 운영자가 서버(500)에 접속하여 원격으로 원격 모니터링을 하거나, 매장 내의 서비스 장치들(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운영관리장치(400)는 컴퓨터,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매장에 대한 계정을 등록하거나 서비스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운영관리장치(400)는 매장 내의 서비스 장치들(100)의 네트워크 유지보수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허브 장치(800)는 서비스 장치(100)들이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서버(5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허브 장치(800)는 각각의 서비스 장치(100)와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으로 통신한다. 허브 장치(800)가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기능을 제공하므로, 서비스 장치(100)들은 허브 장치(800)를 경유하여 외부 인터넷 망과 연결될 수 있다.
허브 장치(80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 간에는 유선 LAN(이더넷)으로 연결하여 유선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장치(80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 간에도 무선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으로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100)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매장 내의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또는 허브 장치(8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장치(100)의 효과적인 진단을 위해, 서비스 장치(100)는 허브 장치(800)에 일정 기간 동안은 반드시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서버(500)는 운영관리장치(4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장치(100)에게 전달하며, 서비스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운영관리장치(400)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히, 서버(500)는 매장의 정보와 서비스 장치(100)의 정보 등을 저장하고 변동 사항을 업데이트한다. 운영관리장치(400)가 매장 정보를 확인하거나 서비스 장치(1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버(5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버(500)는 웹페이지 등을 제공한다. 또한, 서버(500)는 운영관리장치(400)가 매장 내 서비스장치(100)들 모니터링/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1의 구성에 기반할 경우, 운영자는 운영관리장치(400)를 이용하여 매장 내/외에서 언제든지 매장 내 서비스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영관리장치(400)는 매장 내 서비스 장치들을 원격에서 진단하여 유지-보수(Maintenance and Repair)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구성에서 각각의 서비스 장치들(100)은 허브 장치(800)에 연결되므로, 서비스 장치들(100)들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거나 에러를 제거하는 유지-보수 및 진단(diagnosis) 작업이 용이하다.
외부서버(600)는 서비스 장치(100)를 직접 제어하지는 않으나 서비스 장치(100)와 일정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이다.
도 1과 같이 허브 장치(800)는 매장 내의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전인 서비스 장치들(100)과 통신할 수 있다. 허브 장치(800)는 서비스 장치들(100)에게 전용의 Wi-Fi 접속 기능을 제공하므로, 추후 외부의 운영관리장치(400)가 서비스 장치들(100)을 유지보수할 경우 허브 장치(80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허브 장치(800)는 연결된 서비스 장치들(100)에 대한 네트워크 유지 보수 및 진단 기능을 전용으로 제공한다. 도 1에서 운영관리장치(400)는 서버(500)를 통해 또는 허브 장치(800)와 직접 통신하여 서비스 장치들(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허브 장치(800)를 기준으로 도 1의 네트워크 구간을 구분하고 운영관리장치(400)는 구간 별로 서비스 장치들(100)의 상태 및 통신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진단 구간을 구분하여 보여준다. 도 2는 서비스 장치(100)들의 네트워크 연결을 구간 별로 분리한 상태를 보여준다.
제1구간(Section 1, 또는 제1진단구간) 또는 허브-서비스장치 구간은 운영관리장치(400)가 서비스 장치(100)와 허브 장치(800) 사이의 네트워크 상태 및 두 기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제2구간(Section 2, 또는 제2진단구간) 또는 허브-AP 구간은 운영관리장치(400)가 허브 장치(800)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사이의 네트워크 상태 및 두 기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3/4구간(Section 3/4, 또는 제3/4진단구간) 또는 허브-인터넷 구간은 운영관리장치(400)가 허브 장치(800)와 인터넷 망, 또는 허브 장치(800)와 서버(500) 사이의 네트워크 상태 및 기기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도면에 기재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3/4구간은 허브 장치(800)를 제외한 액세스포인트(700)과 인터넷망 또는 액세스포인트(700)과 서버(500) 사이의 네트워크 상태 및 기기들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을 수행하는 구간이다.
운영관리장치(400)는 매장 내에서 필요한 다양한 진단 작업 시 제1구간 및 제2구간에서 확인된 상태 정보들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운영관리장치(400)는 서버(500)를 통한 간접 진단 방식(Indirect) 또는 허브 장치(800)를 통한 직접 진단 방식(Direct)을 수행할 수 있다. 간접 진단 방식은 운영관리장치(400)가 서버(500)를 통해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직접 진단 방식은 운영관리장치(400)가 허브 장치(800)를 통해 진단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구간 별로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각 구간에 대한 진단은 서버(50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하는 진단과정과 운영관리장치(40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하는 진단과정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1구간(Section 1)을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1구간을 체크하여 허브 장치(800)와 서비스 장치(100) 사이의 통신 상태 및 두 장치(100, 800)의 정상 동작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2구간(Section 2)을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2구간을 체크하여 허브 장치(800)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사이의 통신 상태 및 두 장치(700, 800)의 정상 동작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3구간(Section 3)을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3구간을 체크하여 허브 장치(800)와 인터넷망(300) 사이의 통신 상태 및 허브 장치(800)가 인터넷과 정상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4구간(Section 4)을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4구간을 체크하여 허브 장치(800)와 서버(500) 사이의 통신 상태 및 두 장치(800, 500)의 정상 동작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제1구간 내지 제4구간을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장치(100)가 연결된 네트워크 중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확인했는지를 진단할 수 있다.
전술한 진단 부분(제1구간~제4구간)을 서버(500)가 수행하는 경우 서버(500)는 진단 결과를 저장한다. 그리고 운영관리장치(400)의 요청(S5)에 따라 서버(500)는 진단 결과를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전송한다.
전술한 진단 부분(제1구간~제4구간)을 운영관리장치(400)가 수행하는 경우 운영관리장치(400)는 직접 허브 장치(800)에게 통신 상태와 통신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100, 700, 300, 500)의 정상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6).
도 3에서 제1구간의 진단 과정 또는 제2구간의 진단과정에서 허브 장치(800)가 서비스장치(100)외에 다른 장치들에 대해서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결제 장치가 허브 장치(800)에 연결된 경우에 허브 장치(800)와 카드 결제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 역시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직접(S6) 또는 간접(S5)적으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카드 결제 장치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에 연결된 경우에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와 카드 결제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 역시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직접(S6) 또는 간접(S5)적으로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 구간 별로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3과 비교할 때, 제1구간, 제2구간, 제4구간은 동일하다. 다만 제3구간에 있어 도 3과 달리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는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와 인터넷망(300) 사이의 통신 상태 및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제3a구간, Section3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 구간에서의 진단 과정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서비스 장치들이 다수 배치된 공간(1)에서 서비스 장치(100)들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동작 이상이란 네트워크 끊김 또는 네트워크 연결 해제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서비스 장치(100)들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를 포함한다(S11).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는 네트워크 진단을 시작한다(S12).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가 허브 장치(800)에게 진단을 시작할 것을 지시한다(S13). 다른 실시예로, 허브 장치(800)가 주기적으로 자동 진단을 시작할 수 있다(S13a).
허브 장치(100)는 허브 장치에 연결된 서비스 장치들 간의 상태 진단을 시작한다(S14). 이는 제1구간에서의 진단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허브 장치(800)는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 간의 상태 진단을 시작한다(S15). 이는 제2구간에서의 진단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허브 장치(800)는 인터넷망(300)과의 연결 상태 진단을 시작한다(S16). 이는 제3구간에서의 진단을 포함한다. 이는 허브 장치(800)가 인터넷망(300)을 통해 외부의 제3의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진단 단계이다. 인터넷망(300)을 통해 오픈된 제3의 서버(3rd Party Server)에게 핑(ping)과 같은 패킷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수신하여 인터넷망(300)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허브 장치(800)는 서버(500)간의 상태 진단을 시작한다(S17). 이는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다음으로 허브 장치(800)는 S14 내지 S17의 진단 결과를 취합한다(S18). 이 과정에서 허브 장치(800)는 다른 주변 네트워크 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800)는 진단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에게 전송한다. 운영관리장치(400)는 직접 또는 서버(500)를 경유하여 구간 별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와 서비스 장치들 간의 진단 과정을 보여준다. 도 6은 도 5의 S14 프로세스를 상세히 보여준다.
허브 장치(800)는 연결된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의 상태를 확인한다. 먼저 각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과 통신 상태를 체크한다(S21a). 허브 장치(800)는 미리 약속된 패킷을 각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에게 전송하고(S21a, S21b, ..., S21n) 각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로부터 해당 패킷을 수신한 후 이를 처리하고(S22a, S22b, ..., S22n),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전송한다(S23a, S23b, ..., S23n).
여기서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은 각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의 현재 동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응답은 각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과 허브 장치(800)와의 통신 상태 및 각 서비스 장치들(100a, 100b, ..., 100n)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허브 장치(800)는 수신한 응답들을 취합한다(도 5의 S18). 허브 장치(800)는 취합한 정보를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로 전송한다(도 5의 S1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와 액세스포인트 장치 간의 진단 과정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5의 S15 프로세스를 상세히 보여준다. 허브 장치(800)는 연결된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와 물리적 링크(Physical Link)를 체크한다(S25).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가 켜졌는지, 허브 장치(800)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사이에 통신선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6). S25 및 S26은 물리 계층을 통해 허브 장치(800)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와 연결된 통신선에 1 또는 0가 같은 신호를 인가하여 신호에 대한 물리적 피드백을 허브 장치(800)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로부터 수신했는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800)가 물리적인 링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한 경우, 허브 장치(800)는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와 통신이 이루어지는지,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S27, S28). 허브 장치(800)는 미리 약속된 패킷을 액세스포인트 장치(700)에게 전송한다(S27). 액세스포인트 장치(700)는 허브 장치(800)에게 패킷 수신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28).
허브 장치(800)는 수신한 응답을 취합한다(도 5의 S18). 허브 장치(800)는 취합한 정보를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로 전송한다(도 5의 S19).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800)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및 인터넷 망(300)을 경유하여 서버(500)와의 연결 상태를 진단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5의 S15 및 S16에서 허브 장치(800)가 액세스포인트 장치(700) 및 인터넷 망(300)과의 연결 상태를 진단한 후 정상 동작할 경우, 허브 장치(800)는 서버(500)와의 연결 상태를 진단한다(S17).
허브 장치(800)는 서버(500)와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하여 통신 상태를 진단한다(S31). 통신 가능을 확인하기 위해 허브 장치(800)는 서버(500)에게 미리 약속된 패킷을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이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31). 또한, 허브 장치(800)는 서버(500)와 통신이 가능한 경우, 서버 내부에서 허브 장치(8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와의 연결 정보를 취합한다(S32).
이는 허브 장치(800)가 서버(500)에게 송신한 데이터와 서버(500)가 저장한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에 기반하여 허브 장치(800) 또는 서버(500)가 연결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500)가 허브 장치(800에게 송신한 데이터와 허브 장치(800)가 저장한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에 기반하여 허브 장치(800) 또는 서버(500)가 연결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서버(500)와 허브 장치(800) 간에 송수신된 데이터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8의 과정에서 허브 장치(800) 또는 서버(500)에 취합된 정보에 기반하여 운영관리장치(400)는 네트워크 및 각각의 장치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운영관리장치(400)가 각 구간별로 진단 상태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구간에 따라 진단한 결과를 보여준다. 진단구간 3의 경우 네트워크 자체의 에러가 발생한 것이므로 생략한다. 각 진단 구간 별로 정상인 경우(O)와 이상이 발생한 경우(X), 혹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대응하여 운영관리장치(400)는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
진단 구간 1
(서비스 장치
진단)
진단 구간 1&2
(허브 장치
진단)
진단 구간 2
(AP 진단)
진단 구간 4
(서버 진단)
진단 결과
x O O O 서비스 장치 문제
O x - - 허브 장치의 자체 문제
O O x - AP의 인터넷 연결 문제
O O O x 서버 문제
O O O 서비스 장치 문제
O O O 서버 문제
허브 장치(800)는 진단 구간 별로 진단을 달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장치(800)는 제1구간에 대해서는 1시간 간격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허브 장치(800)는 제2구간에 대해서는 하루 간격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800)는 제3구간 또는 제4구간에 대해서는 3일에 1회 간격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 장치(800)는 제1구간에 대한 진단 횟수나 진단 결과를 저장하고 문제가 발생한 후 다시 해결된 경우에 최종 진단 결과만을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허브 장치(800)는 제1구간에 대한 진단 횟수나 진단 결과를 저장하고 문제가 발생한 후 다시 해결된 경우에도 중간의 진단 결과를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허브 장치(800)는 진단 결과의 전송에서 서비스 장치(100)의 과거 오류 발생 기록에 기반하여 진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허브 장치(800)는 과거 오류가 빈번하게 일어난 서비스 장치와 오류가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던 서비스 장치를 구분하여 오류에 대한 긴급 메시지의 긴급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장치(800)는 평소에 제1구간의 진단 및 제2구간의 진단을 수행한 결과를 보유하여, 외부로부터 진단을 지시받을 경우, 앞서 제1/2구간의 진단을 수행한 시점과 지시받은 시점과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 제3구간 및 제4구간 진단을 우선 실행할 수 있다.
즉, 허브 장치(800)는 제1구간/제2구간/제3구간/제4구간의 순서로 진단을 수행하지만, 제1구간/제2구간에 대한 최근 진단 결과가 정상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빠른 진단을 위해 제3구간 및 제4구간 진단을 우선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관리장치(400)가 직접 허브 장치(800)에 접속하여 진단을 지시하였을 때, 허브 장치(800)가 1시간 이내로 제1구간/제2구간 진단을 완료하여 정상으로 판단한 경우에, 허브 장치(800)는 전술한 제3구간/제4구간을 먼저 진단한다.
한편, 허브 장치(800)가 제3구간과 제4구간의 진단 수행 결과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3/4 구간 진단이 완료된 후 짧은 시간(예를 들어 1시간) 이내에 다시 운영관리장치(400)가 직접 허브 장치(800)에 접속하여 진단을 지시하였을 경우에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다. 즉, 허브 장치(800)가 1시간 이내로 제3구간/제4구간 진단을 완료하여 정상으로 판단한 경우에, 허브 장치(800)는 제1구간/제2구간을 먼저 진단한 후 진단을 종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허브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허브 장치(800)의 통신부(820)는 다양한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820)는 둘 이상의 서비스 장치(100)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에게 제1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82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로부터 수신한 제2데이터를 서비스 장치들(100)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 장치에게 제2데이터를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부(810)는 서비스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 사이의 송수신된 데이터를 일정 기간동안 누적 저장한다. 그 결과 서비스 장치(100)가 일시적으로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 액세서 포인트 장치(7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된다.
제어부(850)는 통신부(820)와 데이터베이스부(8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50)는 서비스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를 진단한다.
또한, 통신부(820)는 도 2의 DIRECT, 도 3의 S6, 도 4의 S8과 같이 서비스 장치들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850)는 운영관리장치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 제어부(850)는 생성된 진단 결과를 일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820)는 진단 결과를 운영관리장치에게 전송한다.
통신부(820)는 도 2의 INDIRECT, 도 3의 S5, 도 4의 S7과 같이 서비스 장치들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장치와 간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82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500)와 통신한다. 제어부(850)는 서버(500)의 지시에 따라 서비스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한다. 제어부(850)는 생성된 진단 결과를 일시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820)는 진단 결과를 서버(500)에게 전송한다.
또한, 허브 장치(800)는 진단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진단 속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제어부(850)는 서비스 장치들 각각의 통신 상태 및 서비스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 후,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통신 상태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2구간 진단을 수행한다.
이는 허브 장치(800)가 오동작이나 통신 불능의 상태가 자주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확인하기 어려운 서비스 장치들을 먼저 진단한 후, 다음으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빨리 생성한다. 특히, 서비스 장치들에 대해서만 허브 장치(800)는 미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반복적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서비스 장치의 에러는 빠른 시간 내에 진단되어 허브 장치(800)는 진단 결과를 신속하게 운영관리장치(4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허브 장치(800)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 외에도 서비스 장치의 이상 동작을 확인하여 선제적으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50)는 서비스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서비스 장치 또는 다른 서비스 장치들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증가한 서비스 장치를 선택하여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다.
또한, 허브 장치(800)는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한다. 그리고 허브 장치(800)는 저장된 서비스 장치에 대해서는 빠른 시간 간격을 가지고 진단을 반복 수행하여 서비스 장치의 오류가 다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850)는 특정 서비스 장치들과 송수신한 데이터의 일부를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850)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된 정보들을 검색한다. 검색 결과 제어부(850)는 특정 서비스 장치가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기간이 길 경우(예를 들어 3시간 이상, 또는 반나절 이상), 해당 서비스 장치의 전원이 꺼졌거나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한다.
제어부(850)는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 대해서만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하여 서비스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매장에서 허브 장치(800)가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실시예이다.
마찬가지로, 제어부(850)는 다른 서비스 장치들과 비교하여 지나치게 데이터의 전송량이 많거나, 급격하게 전송량이 증가한 서비스 장치를 확인한다. 제어부(850)는 해당 서비스 장치가 오동작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850)는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 대해서만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하여 서비스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850)는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 결과, 통신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서 비정상으로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게 동작 중지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820)가 메시지를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게 전송한다. 이 경우, 서비스 장치는 비정상 상태가 해결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동작을 중단한다.
또한, 서비스 장치는 동작 중지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인터페이스로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나 건조기의 경우, 동작의 완료를 알리는 디스플레이부가 지속적으로 점멸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리를 출력하여 동작 중지를 외부로 표시한다. 이는 서비스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공간 내에 있을 경우 동작 중지 상태의 서비스 장치를 빨리 확인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다수의 서비스 장치가 배치된 경우, 서비스 장치는 일시적인 동작 중단 상태를 외부로 출력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른 서비스 장치를 이용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허브 장치(800)는 인터넷 연결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85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의 공개된 서버와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제3구간 진단을 수행한다. 외부의 공개된 서버란 구글, 네이버와 같이 공개된 서버로 접속을 하거나 이들 서버에게 "PING"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대로 전송되는지 확인하여 허브 장치(800)가 인터넷망(300)에 연결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85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500)와의 통신 상태 및 서버(50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4구간 진단을 수행한다. 이는 서버(500)와 허브 장치(800)가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통신하여 허브 장치(800)는 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서버(500)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2, 3,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운영관리장치(400)가 직접 허브 장치(800)와 통신할 경우(Direct, S6, S8) 서버(500)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허브 장치(800)를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100)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장치(800)는 진단 과정에서 서버(500)의 에러 상황을 데이터베이스부(810)에 저장하여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서버(500)의 에러가 발생한 시간과 에러 종류 등을 제공한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허브 장치(800)는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의 지시를 받아서 또는 자체적인 판단(서비스 장치나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오류 감지)이나 스케줄에 따라 제1 내지 제4구간의 진단을 수행한다. 진단 수행 결과는 저장되며, 허브 장치(800)는 저장된 결과를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스마트 가전을 일 실시예로 하는 서비스 장치는 Wi-Fi 기능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700)에 허브 장치(800)를 경유하여 통신 연결한다. 그리고 허브 장치(800)는 다양한 구간 별로 네트워크 상의 통신 문제, 또는 각 장치들의 동작 에러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전술한 각 구간별 진단을 통해 허브 장치(800)는 문제가 발생한 장치들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 장치(800)는 진단 결과를 서버(500) 또는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전송한다.
허브 장치(800)는 비정상 상태인 서비스 장치에게도 동작 중지 메시지를 전달하여 서비스 장치의 비정상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허브 장치(800)가 운영관리장치(400)와 직접 통신이 가능한 경우, 허브 장치(800)는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전술한 진단 결과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송신한다. 허브 장치(800)는 비정상 상태인 서비스 장치와 전체 서비스 장치의 수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전술한 진단 결과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운영관리장치(400)는 수신한 진단 결과를 PC나 스마트폰의 화면에 출력한다. 진단 결과에 심각한 오동작/비정상 동작에 대한 진단 결과가 포함된 경우, 스마트폰을 일 실시예로 하는 운영관리장치(400)는 진단 결과를 경고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는 진단 결과 별도의 수리 작업이 필요할 경우, 이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전송한다.
다수의 스마트 기기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배치된 매장에서 관리자가 개별 서비스 장치의 오동작을 확인하거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점검하기는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함으로써, 스마트 가전의 연결이 끊기거나 네트워크 연결 해제 등의 네트워크 문제나 오동작 문제 등이 이슈가 발생 하였을 경우, 허브 장치(800)는 진단 구간 별로 오류가 발생한 지점(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허브 장치(800)는 진단 구간 별로 진단을 수행하여 인터넷 문제,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포함하는 공유기 문제, 스마트 가전을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의 문제, 또는 외부의 서버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매장의 운영 관리자가 문제가 발생한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콜 비용을 줄이고 고객 불만을 감소시키며,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진단 결과 속에 포함된 다양한 진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서버(500)는 고장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 장치를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는 해당 장치에 대한 수리에 소요되는 스케줄 정보를 운영관리장치(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둘 이상의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데이터를 수신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게 상기 제1데이터를 전달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의 서비스 장치에게 상기 제2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들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영관리장치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운영관리장치에게 전송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들 각각의 통신 상태 및 상기 서비스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통신 상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2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서비스 장치 또는 다른 서비스 장치들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증가한 서비스 장치를 선택하여 상기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 결과 통신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서 비정상으로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게 동작 중지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게 전송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의 공개된 서버와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제3구간 진단을 수행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와의 통신 상태 및 상기 서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4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8. 둘 이상의 서비스 장치들과 액세스 포인트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허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서비스 장치들 각각의 통신 상태 및 상기 서비스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의 통신 상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2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외부의 공개된 서버와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제3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와의 통신 상태 및 상기 서버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제4구간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브 장치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비스 장치들을 관리하는 운영관리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운영관리장치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운영관리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허브 장치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경유하여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는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허브 장치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서비스 장치들 중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서비스 장치 또는 다른 서비스 장치들과 비교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증가한 서비스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허브 장치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구간 진단을 수행한 결과 통신 상태 또는 동작 상태에서 비정상으로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게 동작 중지를 지시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상기 메시지를 상기 확인된 서비스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허브 장치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190095558A 2019-03-15 2019-08-06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20190099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040 WO2020189805A1 (ko) 2019-03-15 2019-03-15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WOPCT/KR2019/003040 2019-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162A true KR20190099162A (ko) 2019-08-26

Family

ID=6780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558A KR20190099162A (ko) 2019-03-15 2019-08-06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7374B2 (ko)
KR (1) KR20190099162A (ko)
WO (1) WO2020189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86302A (zh) * 2021-01-18 2023-09-01 三菱电机株式会社 设备控制系统、家电设备以及家电设备的通知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8800B1 (en) 1998-11-14 2005-05-03 Emulex Design & Manufacturing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digital loop diagnostic technology
US7457857B1 (en) 1999-05-26 2008-11-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 hub to diagnose network operation and broadcast information to a remote host or monitoring device
EP1598714B1 (en) * 2000-12-13 2016-09-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JP2016500952A (ja) 2012-10-09 2016-01-14 アダプティブ スペクトラム アンド シグナル アライン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性診断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55689B1 (ko) 2012-10-26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의 엔티티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종단간 서비스 레벨 협약을 측정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173120B2 (en) * 2013-03-28 2015-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data in a wireless network
US10154423B2 (en) * 2014-06-27 2018-12-11 Google Llc End-to-end network diagnostics
US11012767B2 (en) * 2016-01-04 2021-05-18 Lg Electronics Inc. Hub for communication networ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085159B2 (en) * 2016-05-23 2018-09-25 Fat Mongoose Technologies, Inc. Wireless environment optimization system
KR102572483B1 (ko) * 2018-05-25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0904076B2 (en) * 2018-05-30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recting functioning of an object based on its association to another object in an environment
WO2019240783A1 (en) * 2018-06-13 2019-12-19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Architecture for secure iot interactions
CN112655228A (zh) * 2018-09-14 2021-04-13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用于产生更新报告的系统和方法
US11216051B2 (en) * 2019-04-24 2022-01-04 Qualcomm Incorporated Smart socket power monitoring and coordination
KR102631408B1 (ko) * 2019-05-08 202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09733B2 (en) * 2019-08-29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location context of a device
KR20210050811A (ko) * 2019-10-29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805A1 (ko) 2020-09-24
US11457374B2 (en) 2022-09-27
US20210368366A1 (en)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190B1 (en) Independent remote computer maintenance device
US5179695A (en) Problem analysis of a node computer with assistance from a central site
US7801984B2 (en) Diagnostic/remote monitoring by email
JP5714590B2 (ja) 複数のサブシステムを有する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のリモートアクセス
US7469288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multiple laundry appliances
US8082123B2 (en) Interactive diagnostics having graphical playback and solution implementation capabilities
CN104769554A (zh) 用于提供移动设备支持服务的系统、方法、设备以及计算机程序产品
CN102799446B (zh) 同时软件更新
US7035768B2 (en) Method for collecting remote maintenance and diagnostic data from subject equipment, other device and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JP2012248184A (ja) 自動化システムへアクセスする方法、ならびに本方法に基づいて動作するシステム
US200803133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rotocol access to remote computers
US118488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uptime for network devices
KR20070047427A (ko) 네트워크상의 장치 그룹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793748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enterprise path management
KR20120051358A (ko) 엘리베이터 원격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957065B2 (ja) ネットワーク計算機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JP3653335B2 (ja) コンピュータ管理システム
KR20190099162A (ko) 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US78776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computing device
KR20170041561A (ko) 네트워크 원격 관리 장치
US20080133732A1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Connected Apparatus, and Agent for Apparatus Operation Management
KR101545232B1 (ko) 분산형 컴퓨팅을 이용한 통합 감시 제어 시스템
KR20130115877A (ko) 승강기 원격 고장진단 및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JP2016200961A (ja) サーバー障害監視システム
KR101058001B1 (ko)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