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181A -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181A
KR20120077181A KR1020100139048A KR20100139048A KR20120077181A KR 20120077181 A KR20120077181 A KR 20120077181A KR 1020100139048 A KR1020100139048 A KR 1020100139048A KR 20100139048 A KR20100139048 A KR 20100139048A KR 20120077181 A KR20120077181 A KR 20120077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work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10013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7181A/ko
Publication of KR2012007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망을 통해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 및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상태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와,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고장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고장 시, 수리작업을 위해 파견된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점검 및 수리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객들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시, 수리작업을 위해 파견된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점검 및 수리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객들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고층으로 이루어진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물에 설치되어 편리하게 각 층을 왕래할 수 있는 승강기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일 측에 설치된 조작반을 이용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 층을 선택하게 된다.
엘리베이터는 고장 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자체적으로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원격관리센터의 관리자는 고장정보를 송신한 엘리베이터를 확인한 후, 엘리베이터가 측에 고장 수리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파견할 수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엘리베이터를 방문하여 점검을 수행할 경우 탑승자나 엘리베이터가 설비된 건물의 관리자는 점검자의 도착 시간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유선이나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엘리베이터 업체에 지속적으로 도착시간을 문의하게 되는데 이는 탑승자, 건물 관리자, 작업자 및 엘리베이터 업체 모두에 불편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착하여 고장 수리 작업을 수행하거나, 안전점검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용객들은 작업 완료 시간을 알 수 없다. 이에,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들에게 불편함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고장 시, 수리작업을 위해 파견된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점검 및 수리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객들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 및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상태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와,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고장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작업자 측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 수신 시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작업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 입력 시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작업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에서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엘리베이터가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가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시, 수리작업을 위해 파견된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점검 및 수리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객들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격관리센터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시간정보 표시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 및 화물 등의 이송기능을 제공하고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통신망(1)을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고장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원격관리센터(1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고장상태로 판단된 엘리베이터의 고장정보를 통신망(1)을 통해 원격관리센터(10)로 송신한다. 고장정보에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와,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력정보를 포함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각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들과 접속되며,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서 송신하는 고장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원격관리센터(10)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표시함으로써 관리자가 고장 수리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는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측에 고장 수리 및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5)를 파견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관리센터(10)는 작업자(5)로부터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파견 시 예상되는 도착시간을 제공받아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측에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제공한다.
작업자(5)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파견 지시를 받고, 해당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상하여 원격관리센터(10)에 제공한다. 작업자(5)가 원격관리센터(10)에 상주하고 있는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직접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작업자(5)가 원격지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작업자(5)는 통신망(1)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관리센터(10)에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5)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서 점검 혹은 수리 작업을 시작하는 경우, 점검 혹은 수리가 완료되는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엘리베이터 카(102)와, 엘리베이터 카(102)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와, 엘리베이터 카(102) 및 승강장에 설치된 각종 입출력부의 기능을 제어하며 제어결과를 통신망(1)을 통해 원격관리센터(10)로 송신하는 제어장치(200)와, 제어장치(200)로부터 엘리베이터의 구동정보를 전달받아 엘리베이터 설비부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감시반(105)을 포함한다.
감시반(105)은 엘리베이터의 구동상황, 엘리베이터 카(102) 내의 영상 등을 표시한다. 감시반(105)은 제어장치(200)로부터 엘리베이터의 구동 데이터와 카 내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감시반(105)은 엘리베이터 설비부(100)가 설비된 건물의 경비실이나 관리실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상태를 감지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제어장치(20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승강장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감시반(105)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작업자(5)로부터 점검 혹은 수리가 완료되는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승강장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와 감시반(105)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건물에 복수개의 엘리베이터(120, 130, 150)가 설치된 경우, 각 엘리베이터(120, 130, 150)의 제어장치(200, 300, 500)는 상호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로 연결되어 마스터 제어장치(200)에 의해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가 제어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운행정보를 입력받아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제공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작업자(5)로부터 수리 및 점검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제공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수리 혹은 점검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원격관리센터(10)의 제어블럭도이다.
원격관리센터(10)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접속되는 센터 측 통신부(20)와, 작업자(5)로부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작업자 측 통신부(60)와, 엘리베이터 설비부 정보(50) 및 작업자 정보(45)가 저장된 저장부(40)와, 타이머(35)와,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엘리베이터 설비부 정보(50) 및 작업자 정보(45)에 기초하여 적절한 작업자(5) 측에 수리 파견지시를 전달하고, 작업자(5)가 제공한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측에 송신하는 원격 제어부(11)를 포함한다.
센터 측 통신부(20)는 전화선, 인터넷 등의 통신망(1)을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접속된다. 센터 측 통신부(20)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수신된 고장정보를 원격 제어부(11)에 전달하고, 원격 제어부(11)가 전달하는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송신한다.
작업자 측 통신부(60)는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원격 제어부(11)에 제공한다. 여기서,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는, 통신망(1)을 통해 작업자(5)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혹은, 원격관리센터(10)에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저장부(40)에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위치, 모델명, 시공연도 등의 엘리베이터 설비부 정보(50)와, 작업자(5)의 이름, 연락처, 위치, 수리 가능한 모델명 등의 작업자 정보(45)가 저장된다.
원격 제어부(11)는 수신된 고장정보와 저장부(40)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설비부 정보(50)를 비교하여 해당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원격 제어부(11)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45)에 기초하여 고장상태인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파견할 작업자(5)에게 파견지시를 전달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부(11)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근접한 위치의 작업자(5)를 선별하여 파견지시를 전달할 수 있으며, 혹은, 원격관리센터(10)의 관리자에게 작업자(5)의 연락처를 표시하여 파견지시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원격 제어부(11)는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아 센터 측 통신부(20)를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송신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부(11)는 시간정보를 입력 받은 경우 타이머(35)를 설정하여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원격 제어부(11)는 경과시간에 맞추어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는 고장정보 전송 후,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제공받아 이용객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엘리베이터(12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구동부(265),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 작업자 입력부(230)와,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타이머(235)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구동부(265)는 엘리베이터 카(102)를 특정 층으로 승하강 시키는 카 구동장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 구동장치, 등 엘리베이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정보 감지부(260)는 구동부(265)의 구동상태, 엘리베이터 카(102)의 위치, 이동 속도, 도어 개폐 여부 등, 엘리베이터(120) 운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감지하여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이에, 운행정보 감지부(260)는, 층 감지 센서, 속도 감지 센서, 도어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과 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정보를 이용객에게 표시한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현재 층 번호가 표시되며, 고장, 수리중과 같은 운행상태도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가 고장상태인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고장을 수리할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수리중인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완료예정 시간정보가 표시된다.
고장 진단부(215)는 운행정보 감지부(260)를 통해 감지된 운행관련 정보들을 분석하여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 고장 진단부(215)는 제어부(210)에 고장 여부 판단결과를 통보한다.
작업자 입력부(230)는 작업자(5)로부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된 도착 예정시간의 표시 종료를 입력 받고, 점검, 수리 등의 작업 시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러한 작업자 입력부(230)는 작업자가 소지한 무선 단말기나,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구비된 조작버튼, 예컨대, 기계실에 마련된 조작버튼, 엘리베이터 카(102) 내에 마련된 조작버튼, 승강장에 마련된 조작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이다. 이에, 작업자 입력부(230)가 무선 단말기인 경우 제어부(210)는 작업자의 입력을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조작버튼인 경우에는 해당 버튼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를 직접 전달 받을 수 있다.
제어부(210)는 고장 진단부(215)로부터 엘리베이터(120)의 고장을 보고 받으면,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고정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20)를 통해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한다.
제어부(210)는 수신 혹은 입력된 시간정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하는 동시에, 타이머(235)를 설정하여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제어부(210)는 경과시간에 맞추어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는 시간정보를 갱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고장 시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을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수리, 혹은, 점검 상태인 경우에는 작업이 완료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정상화되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엘리베이터 이용에 참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로서, 복수개의 엘리베이터 카(102)와 각 엘리베이터 카(102)를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제어장치(200)를 구비하는 경우 그 제어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제어장치(200, 300, 500)는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와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 구분될 수 있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한다.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의 고장정보를 원격관리센터(10)에 보고할 수 있으며,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와, 구동부(265)의 운행상태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260),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 이용자 입력부(275), 작업자 입력부(230)와, 고장 진단부(215), 통신부(220), 타이머(235) 및 마스터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즉, 제3실시예의 마스터 제어장치(200)는 제2실시예의 제어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에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10)가 마스터/슬레이브 제어기능을 지원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로 수신된 작업자의의 신호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 송신하고,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들이 송신하는 고장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제어부(210)로 전달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를 통해 각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수신된 고장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원격관리센터(10)에 송신하고, 이에,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수신된 작업자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에 전달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10)는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수리완료 예정시간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한다.
마스터 제어부(21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120)의 고장 여부를 고장 진단부(215)를 통해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슬레이브 제어장치(300, 500)는, 슬레이브 제어부(310), 운행정보 감지부(360), 구동부(365),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 타이머(335), 고장 진단부(315)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고장 진단부(315)를 통해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마스터/슬레이브 송수신부(280) 측에 고장정보를 송신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마스터 제어장치(200)로부터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작업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는 수신 혹은 입력된 시간정보를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하는 동시에, 타이머(335)를 설정하여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슬레이브 제어부(310) 경과시간에 맞추어 승강장 디스플레이부(370)에 표시되는 시간정보를 갱신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시간정보 표시 상태도이다.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과 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는 상향 버튼과 하향 버튼으로 이루어진 이용자 입력부(275), 엘리베이터 카(102)의 도착 여부에 따라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113),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가 구비된다.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는 엘리베이터 카(102)의 탑승과 하차가 이루어지는 승강장에 배치되어 엘리베이터 카(102)의 운행 정보를 승강장에 위치한 탑승자에게 제공한다.
엘리베이터의 고장상태를 보고하여,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작업자(5)의 도착예상 시간정보가 수신된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점검자가 15분 후에 도착할 예정입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시간정보 "15분"은 타이머(235)의 구동에 따라 갱신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에 도착한 작업자(5)는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점검완료 시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는 "30분 후에 점검이 완료될 예정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시간정보 "30분"은 타이머(235)의 구동에 따라 갱신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써, 원격관리센터(10)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원격 제어부(11)는 센터 측 통신부(20)를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로부터 고장정보를 수신하여 고장접수를 한다(S110). 여기서, 고장정보는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식별정보와 운행이력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1)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 정보로부터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위치정보를 검색한다(S120).
원격 제어부(11)는 저장부(40)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45)로부터 작업자 연락처를 검색한다(S130). 여기서, 원격 제어부(11)는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와 근접한 작업자(5)를 우선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원격관리센터(10)가 한정된 지역의 엘리베이터 설비부(100)를 관리하고, 해당 지역에 특정 작업자(5)들이 이미 할당되어 있다면, 상술한 S120, S13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1)는 작업자(5) 측에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고장정보를 송신한다(S140). 즉, 작업자(5) 측에 고장이 발생한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의 위치와 운행이력정보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1)는 작업자 측 통신부(60)를 통해 작업자(5)로부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한다(S150).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는 통신망(1)을 통해 수신되거나, 혹은, 원격제어센터의 입력부를 통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원격 제어부(11)는 센터 측 통신부(20)를 통해 엘리베이터 설비부(100)에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송신한다(S160).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엘리베이터(120)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는 엘리베이터(120)의 운행정보를 수집하여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S210), 진단결과 고장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15).
고장상태로 판단된 경우 제어장치(200)는 원격관리센터(10)에 고장정보를 송신하여 고장상태를 보고한다(S220).
이 후, 제어장치(200)는 원격관리센터(10)로부터 고장을 수리할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한다(S225).
제어장치(200)는 도착예정 시간정보의 수신 시 타이머(235)를 설정하고(S230),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작업자(5)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표시한다(S235).
제어장치(200)는 타이머(235)의 경과시간에 따라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한다(S240).
이 후, 제어장치(200)는 작업자(5)가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5). 작업자(5)는 도착 후 직접 도착확인을 입력할 수 있다
작업자(5)가 도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장치(200)는 도착예정 시간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한다(S250)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로써,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10)는 작업자 입력부(230)를 통해 점검완료 예정시간 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제어부(210)는 점검완료 예정시간이 입력되면 바로 타이머(235)를 설정하고(S315), 승강장 디스플레이부(270)에 점검완료 예정시간을 표시한다(S320).
제어부(210)는 타이머(235) 경과시간에 따라 점검완료 예정시간을 갱신하여 표시한다(S325).
제어부(210)는 점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330), 작업이 완료된 경우 승강장 디스플레이의 메시지 표시는 종료한다(S335). 여기서, 제어부(210)는 작업자(5)의 입력에 의해 점검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혹은, 운행정보 감지부(260)의 감지결과를 통해 운행이 정상화되었음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시, 수리작업을 위해 파견된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점검 및 수리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객들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시, 수리작업을 위해 파견된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점검 및 수리 등의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이용객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이용객들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 통신망 5 : 작업자
10 : 원격관리센터 11 : 원격 제어부
20 : 센터 측 통신부 40 : 저장부
45 : 엘리베이터 설비부 정보 50 : 작업자 정보
100 : 엘리베이터 설비부 102 : 엘리베이터 카
120, 130, 150 : 엘리베이터
200, 300, 500 : 제어장치 210 : 제어부
215 : 고장 진단부 220 : 통신부
230 : 작업자 입력부 235 : 타이머
260 : 운행정보 감지부 265 : 구동부
270 : 승강장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통신망을 통해 고장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원격관리센터; 및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운행정보 감지부와,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상태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부와,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센터에 상기 고장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센터는,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작업자 측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 수신 시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작업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 입력 시 상기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여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와 작업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
    상기 고장상태인 것으로 진단된 경우 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센터에 고장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수리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해당 엘리베이터 측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작업자의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센터에서 상기 고장정보가 수신된 엘리베이터의 정보를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엘리베이터가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도착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입력한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엘리베이터가 타이머의 구동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승강장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완료예정 시간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00139048A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7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48A KR20120077181A (ko)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48A KR20120077181A (ko)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181A true KR20120077181A (ko) 2012-07-10

Family

ID=4671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048A KR20120077181A (ko) 2010-12-30 2010-12-30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71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9262A (zh) * 2017-03-31 2018-10-23 奥的斯电梯公司 乘客发起的动态电梯服务请求
US20200122968A1 (en) * 2018-10-22 2020-04-2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tracking elevator ride qual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89262A (zh) * 2017-03-31 2018-10-23 奥的斯电梯公司 乘客发起的动态电梯服务请求
CN108689262B (zh) * 2017-03-31 2021-12-17 奥的斯电梯公司 乘客发起的动态电梯服务请求
US20200122968A1 (en) * 2018-10-22 2020-04-23 Otis Elevator Company System for tracking elevator ride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0276B2 (en) Elevator system with messaging for automated maintenance
TWI666162B (zh) 電梯裝置及電梯的復原方法
CN108861918B (zh) 电梯检查装置
JP2013170031A (ja) エレベータドアの遠隔点検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AU2018202263B2 (en) Passenger-initiated dynamic elevator service request
EP3599205B1 (en) Method for understanding and planning elevator use
KR20190049602A (ko) 엘리베이터 사물 인터넷 기반 부지중 자율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495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569604B (zh) 电梯及其轿厢内异常检测装置的诊断系统和诊断方法
JP4066419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集中遠隔監視システム
KR102118669B1 (ko)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JP2018030721A (ja) 輸送システムに閉じ込められた乗客との通信
JP5389988B1 (ja) 遠隔監視支援装置および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20077181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38357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13216472A (ja) エレベータ診断用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操作システム
KR101224732B1 (ko)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68935B1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CN110114296A (zh) 电梯的远程运行重新开始系统
CN115367579A (zh) 电梯系统以及电梯系统的维护方法
JP7485475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190102033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04338860A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救出システム
KR20190102027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06176318A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