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550A -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550A
KR20120083550A KR1020127013051A KR20127013051A KR20120083550A KR 20120083550 A KR20120083550 A KR 20120083550A KR 1020127013051 A KR1020127013051 A KR 1020127013051A KR 20127013051 A KR20127013051 A KR 20127013051A KR 20120083550 A KR20120083550 A KR 20120083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antenna
toll coll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330B1 (ko
Inventor
게이이찌 모리시따
히데아끼 무라따
히데까즈 오오노
요시히로 마부찌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3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보정하는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동시에, 과금 대상 에어리어의 요금소에 설치되어 있는 요금 징수 장치와의 사이에서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차량 탑재기(50)이며, 요금 징수 장치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와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킨 지도 정보를 기억하는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GPS 수신기(24)를 구비하고, 요금 징수 장치의 부근을 통과한 경우에,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와,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따라서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한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VEHICLE-MOUNTED DEVICE AND TOLL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도시 중심부로의 자동차의 과잉 진입에 의한 교통 정체, 대기 오염 등을 완화시키는 대책으로서, 도시부에 과금 대상 에어리어를 마련하여, 이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일정액의 과금을 행하는, 이른바 로드 프라이싱이 실현되고 있다. 로드 프라이싱에서는, 예를 들어 과금 대상 에어리어의 각 출입구에, 과금용 무선 통신 장치가 설치된 갠트리가 설치되어 있어, 차량이 갠트리를 통과하는 경우에 과금 처리가 행해진다. 과금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에 삽입된 선불 카드의 잔고로부터 일정액의 요금을 차감하여, 그 잔액을 선불카드에 잔고로서 갱신 기록하는 방법이나,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의 은행 계좌로부터 자동적으로 일정 요금이 출금되는 방법 등이 채용되어 있다.
도로 이용료를 자동적으로 징수하는 시스템으로서,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ETC 시스템은, 요금소에 설치된 도로측 무선기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요금을 자동 징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로드 프라이싱에 관한 요금 징수 시스템이나 ETC 시스템에 있어서, 기존의 과금 대상 에어리어를 확장한 경우에 있어서의 요금 징수의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차량 탑재기가, GPS 수신기에 의해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지하여, 이 검출 결과를 기존의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진입할 때에,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설치된 요금 징수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요금 징수 장치측으로부터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도로 이용 요금을 징수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973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요금 징수 시스템은, 부정하게 조작하는 이용자에 의해 도로 이용 요금이 정확하게 지불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부정을 검출하기 위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차량의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의 GPS 수신기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GPS 수신기로부터 취득한 위치의 정보가 본래의 위치보다 벗어나 있어도, 벗어남을 검출할 수 없어, 차량의 위치를 보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는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동시에, 과금 대상 에어리어의 요금소에 설치되어 있는 요금 징수 장치와의 사이에서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차량 탑재기이며, 상기 요금 징수 장치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킨 지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부근을 통과한 경우에,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차량 탑재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량에 탑재되고, 과금 대상 에어리어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징수 장치와의 사이에서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차량 탑재기는, 요금 징수 장치의 부근을 통과하면, 그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요금 징수 장치의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탑재기에 있어서 안테나의 식별 정보가 취득되면, 기억부에 기억된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요금 징수 장치의 안테나의 설치 위치와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가 추정된다. 이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된 차량의 위치와,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가 비교되어, 차량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위치 정보가 보정된다. 이와 같이, 요금 징수 장치측으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와, 위치 정보 취득 수단으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위치 정보 취득 수단으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보정하므로,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에 있어서, 광역 무선을 이용하기 위한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상위 장치인 센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용 협대역 무선을 이용하기 위한 전용 협대역 무선기를 통해 상기 요금 징수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지도 정보는, 상기 광역 통신기, 상기 전용 협대역 무선기 및 상기 광역 통신기 이외에 상기 센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발행 보수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지도 정보는, 광역 통신기, 전용 협대역 무선기 및 발행 보수 기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량 탑재기측에 다운로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차량 탑재기는 요금 징수 장치의 설치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의 상기 지도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센터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차량 탑재기에 구비되는 지도 정보에 있어서,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요금 징수 장치의 정보(설치 위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최신의 지도 정보를 얻음으로써, 최신의 요금 징수 장치의 위치를 차량 탑재기측에서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의 상기 지도 정보의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는,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얻기 위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는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해도 된다.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는, 연산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를 얻기 위한 상대적인 위치, 또는 차량의 위치를 직접 특정하는 절대적인 위치인 것에 의해, 확실하게 차량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의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는, 신구(新舊)를 식별하기 위한 신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센터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얻은 안테나의 식별 번호와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안테나의 식별 번호의 신구 식별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최신의 지도 정보를 취득하므로, 차량 탑재기에는 최신의 지도 정보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요금 징수 장치의 최신의 정확한 설치 위치의 정보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기에 있어서, 요금 징수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간편하게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의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설치 위치의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정보로 치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요금 징수 장치의 물리적 위치가 변경되어 설치 위치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차량 탑재기의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요금 징수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간편하게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는, 신구를 식별하기 위한 신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센터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상기 차량 탑재기와, 상기 차량 탑재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의 취득 요구에 따라서,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차량 탑재기에 출력하는 상기 센터기를 구비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며, 상기 센터기는,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 중, 상기 차량 탑재기의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번호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가 다른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로서 상기 차량 탑재기에 출력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기는,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번호의 신구 식별 정보가,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안테나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신구 식별 정보와 다른 경우에, 신구 식별 정보가 다른 안테나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식별 번호와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센터기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의해, 센터기로부터 차량 탑재기에 최신의 지도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에, 통신 매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징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과금 대상 에어리어의 진입 차선을 갓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차량 검지기의 하방에 부설되어 있는 마킹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차량이 통과하였을 때의 도 4에 나타낸 마킹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센터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차량 탑재기가 과금 대상 에어리어를 통과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 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기의 동작을 간결하게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징수 시스템(1)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금 징수 시스템(1)은, 로드 프라이싱의 대상 에어리어인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의 경계를 통과하는 모든 도로에 있어서, 차량(3)이,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에 진입 및/또는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부터 퇴출하는 것을 검출하는 요금 징수 장치(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요금 징수 장치는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에 차량(3)이 진입하는 진입 차선 및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부터 차량(3)이 퇴출하는 퇴출 차선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진입 차선 및 퇴출 차선을 통과하는 차량(3)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기와의 사이에서, 차량 탑재기의 정보를 수수한다.
도 2는 요금 징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금 징수 장치(2)는 제1 안테나(5), 카메라(6), 차량 검지기(7), 제2 안테나(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요금 징수 장치(2)는, 제1 안테나(5)에 접속되는 제1 안테나 제어기(9), 카메라(6)에 접속되는 카메라 제어기(10), 차량 검지기(7)에 접속되는 차량 검지 제어기(11), 제2 안테나(8)에 접속되는 제2 안테나 제어기(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요금 징수 장치(2)는, 통괄 제어기(13), 통괄 제어기(13)에 접속되는 환경 제어기(14), 통괄 제어기(13)에 접속되는 통신 제어기(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안테나 제어기(9), 카메라 제어기(10), 차량 검지 제어기(11), 제2 안테나 제어기(12) 및 통괄 제어기(13)는, 버스(16)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고, 정보의 수수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통신 제어기(15)는, 상위의 장치인 센터기(17)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요금 징수 장치(2)에 있어서, 제1 안테나(5), 카메라(6), 차량 검지기(7) 및 제2 안테나(8)는,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의 경계에 있어서의 주행 도로를 넘어 배치되는 문형(門型)의 지지 기둥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은 주행 차선을 측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제1 안테나(5) 및 제2 안테나(8)는, 대응하는 주행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3)의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쉽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5) 및 제2 안테나(8)는 안테나 빔이 대응하는 주행 차선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안테나(5) 및 제2 안테나(8)는 차량 탑재기가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의 에어리어 경계 부근을 통과하는 경우의 차량 탑재기의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테나(5) 및 제2 안테나(8)는 차량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상세한 것은 후술함)로부터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 진입한 시점 및/또는 차량이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부터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로 퇴출하는 시점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에 대해 요구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 탑재기로부터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라 함은, 입퇴출한 시점의 시각(예를 들어, 연월일), 미리 차량 탑재기에 할당되어 있는 차량 탑재기 번호, 차량 탑재기의 IC 카드 인터페이스에 삽입되어 있는 IC 카드 번호 등이다. 또한, 제1 안테나(5)와 제2 안테나(8)는, 약 10m 내지 15m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차량 탑재기가 제1 안테나(5)로부터 수신한 신호(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의 요구 신호)에 따라서, 차량 탑재기가 응답 신호를 제2 안테나(8)에 출력할 때까지의 처리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제1 안테나(5) 및 제2 안테나(8)는 자신의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차량 탑재기에 송신한다.
카메라(6)는 부정 차량이 검출된 경우에, 그 부정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 부정 차량이라 함은,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차량, 차종에 대응하는 차량 탑재기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차량, 차량 탑재기에 IC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차량, 징수할 금액보다도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잔고가 적어 과금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었던 차량, 위조된 차량 탑재기나 위조된 IC 카드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 등이다. 이들 부정 차량인지 여부의 판정은, 제1 안테나(5) 및 제2 안테나(8)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 취득된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행해지지만, 부정 차량의 판정 방법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차량 검지기(7)는 차량(3)이 통과한 것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차량 검지기(7)의 하방의 도로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줄무늬 모양의 마킹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 검지기(7)는 이 줄무늬 모양을 상방으로부터 모니터하고 있고, 이 줄무늬 모양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검출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차량(3)의 통과를 검지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의 외측에는, 새롭게 설정된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는 원래 존재하고 있었던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를 확장하고자 하는 요망 등이 있었던 경우에, 사후적으로 설정되는 에어리어이다. 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는,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그 일부가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에 접하는 일 없이, 별개로 설치되는 에어리어여도 된다.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에는, 상술한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와 같이, 에어리어 경계에 있어서의 진입 차선 및 퇴출 차선에 요금 징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차량(3)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에 의해, 그 입퇴출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50)는, 차량 전원(21) 및 내장 전지(22)에 접속되는 전원 회로(23), 제1 광역 통신기(32),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 수신기(위치 정보 취득부)(24),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기억부)(25), 제어부(26), 요금 징수 장치(2)의 제1 안테나(5), 제2 안테나(8) 등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27), 표시부(28), 버저, LED 등의 통지부(29), IC 카드가 삽입되는 IC 카드 삽입부(30) 및 IC 카드 삽입부(30)에 설치되는 IC 카드 인터페이스(도 6에서는, 「IC 카드 I/F」로서 나타냄)(31), 보정부(33) 및 통신 포트(34)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GPS 수신기(24) 등의 각종 구성 요소는 반드시 차량 탑재기(50) 내에 내장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각 구성 요소가 정보의 수수가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일례로서는, GPS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장치를 외부 단자를 통해 접속하고, 이 휴대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GPS 기능을 GPS 수신기(24)로서 이용하는 구성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광역 통신기(32)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요금 징수 장치(2)의 상위 장치인 센터기(17)(도 2 참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전원 회로(23)는 주로 차량 전원(2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차량 탑재기(50)에 적합한 전압으로 제어하여, 차량 탑재기(50)를 구성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내장 전지(22)는 차량 전원(21)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라도, 통신을 행할 정도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는, 과금 대상 에어리어 A 외에 설정된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의 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의 지도 정보는, 요금 징수 장치(2)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와 안테나의 식별 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는, 차량의 소유자 정보, 차종 정보, 차량 ID 등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 IC 카드로부터 판독된 잔고 정보 및 카드 정보 등, 후술하는 과금액의 산출 및 부정 차량의 판정에 필요해지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차량(3)의 현재 위치 정보라 함은, 제어부(26)에 있어서, 지도 정보와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차량(3)의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IC 카드 삽입부(30)에 삽입되는 IC 카드는, 예를 들어 접촉형 IC 카드이며, 플래시 메모리나 MPU 등이 탑재된 IC 칩을 내장하고 있다. 이 IC 카드에는, 카드 ID 번호 등의 카드 정보 외에, 잔고, 사용 이력 등이 기억되어 있다.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IC 카드 인터페이스(31)를 통해 제어부(26)에 의한 판독, 기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탑재기(50)에 있어서, IC 카드 삽입부(30)에 IC 카드가 삽입되면, 제어부(26)는, IC 카드 인터페이스(31)를 통해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IC 카드 정보 및 잔고를 판독하여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기입하는 동시에, 잔고를 표시부(28)에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정도) 표시시킨다. 제어부(26)는, IC 카드로부터 정상적으로 정보를 판독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정상 동작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통지부(29)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통지부(29)가 버저였던 경우에는 버저가 울리고, 또한 LED 등이면 점등됨으로써 정상이라는 취지를 통지한다.
한편, 제어부(26)는, IC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에러라는 취지를 표시부(28)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통지부(29)를 작동시킴으로써, 에러라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IC 카드의 재삽입 등을 재촉한다. 또한, 통지부(29)에 의한 통지의 형태는, 정상시와 이상시에서 다르다.
제어부(26)는,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요구 신호를 취득하면,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 탑재기(50)의 식별 정보와 차량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이들을 요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 하여 요금 징수 장치(2)에 출력한다. 제어부(26)는,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요구 신호를 취득하면, 차량(3)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로부터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 진입한 경우의 진입의 정보 및/또는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부터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로 퇴출된 경우의 퇴출의 정보인 입퇴출 정보를 검출하여, 제1 광역 통신기(32)를 통해 센터기(17)에 출력한다. 제어부(26)는, 입퇴출 정보와 함께, 입퇴출 정보를 검출할 때에 사용한 현재 위치 정보와, 차량 정보를 센터기(17)에 출력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센터기(17)는 제2 광역 통신기(18), 부정 판정부(19) 및 산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광역 통신기(18)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2 광역 통신기(18)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센터기(17)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을 센터기(17)에 설치된 접속 단자를 통해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부정 판정부(19)는,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취득한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와 차량 정보에 기초하는 차량(3)의 입퇴출 정보 및 제2 광역 통신기(18)를 통해 차량 탑재기로부터 취득한 차량(3)의 입퇴출 정보에 기초하여, 부정(예를 들어, 통과한 경로를 수정하는 등)을 행한 차량(이하, 「부정 차량」이라 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와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의 에어리어 경계에 있어서, 요금 징수 장치(2x, 2y, 2z)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센터기(17)의 부정 판정부(19)는, 요금 징수 장치(2y)가 차량(3)(예를 들어, 차량 ID 「C」로 함)으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를 검출하고, 이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요금 징수 장치(2y)를 통해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부터 퇴출한 것을 검출하고 있다. 이 경우에, 부정 판정부(19)는, 제2 광역 통신기(18)를 통해 취득한 입퇴출 정보 중, 차량 ID 「C」에 대응된 입퇴출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제2 광역 통신기(18)를 통해 부정 판정부(19)가 취득한 차량 ID 「C」에 대응된 입퇴출 정보는, GPS에 의해 검출된 실제의 차량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있으므로, 부정 판정부(19)는 이 입퇴출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차량 ID 「C」의 차량(3)의 차량 위치와, 요금 징수 장치측으로부터 취득한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차량 위치를 비교한다. 상술한 양쪽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추정)된 차량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입퇴출 정보에서는 요금 징수 장치(2z)의 위치를 검출하고 있는 등]에는, 부정 판정부(19)는 차량(3)으로부터 출력된 응답 신호가 부정하게 수정되어 있는 등의 상태가 추정되므로, 차량 ID 「C」의 차량을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한다.
또한, 부정 판정부(19)는,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취득한 응답 신호에 의해, 차량(3)이 차종에 대응한 차량 탑재기(50)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부정 차량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에서는, 차종으로서 트럭 등의 「대형」이라는 취지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탑재기의 식별 정보로부터 검출되는 차종의 정보는 경자동차 등의 「소형」인 경우에는, 실제의 차종과 다른 차량 탑재기를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부정 판정부(19)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정 차량인지 여부의 판정 결과를 산출부(20)에 출력한다.
산출부(20)는, 취득한 입퇴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3)의 이용자의 도로 이용 요금으로서 차량 이용자에게 부과하는 과금액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20)는, 부정 판정부(19)로부터 취득한 부정 차량인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한 과금액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산출부(20)는 부정 차량이 아니라고 판정된 차량(3)에 대해서는, 할인 등의 특전을 적용한 과금액을 산출하고, 부정 차량이라고 판정된 차량(3)에 대해서는, 부정 차량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블랙리스트에 등록하는 동시에, 할인 등의 특전을 적용하지 않은 과금액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산출부(20)는 부정 차량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는 블랙리스트(34),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에 관한 과금 정보가 등록된 제1 과금 테이블(제1 과금 정보)(35),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에 관한 과금 정보가 등록된 제2 과금 테이블(제2 과금 정보)(36)을 기억하는 센터기 기억 장치(37)와, 차량 탑재기(50)로부터 수신한 입퇴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50)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3)의 과금액을 결정하는 금액 결정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과금 테이블(35)에는, 예를 들어 차종(대형, 중형, 소형 등별)에 따라서 징수하는 금액이 제1 과금액으로서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소형이면 0.8달러, 중형이면 1달러, 대형이면 2달러 등과 같이 등록되어 있다.
제2 과금 테이블(3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종에 대응하여 금액이 등록되어 있는 동시에, 또한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에 진입한 경우에 징수하는 금액과,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 징수하는 금액으로 나뉜 제2 과금액이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중형 차량에 있어서,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에 진입한 경우에는 0.5달러,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1달러가 등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에 진입한 경우와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서 금액을 다르게 하여, 경로나 거리 등에 따른 할인 등의 특전을 적용한 금액을 설정함으로써,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를 통과해 온 차량(3)의 운전자 등에 대해 비용이 절감되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보정부(33)는, 요금 징수 장치의 부근을 통과한 경우에,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와,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차량(3)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차량(3)의 위치에 기초하여,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한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통신 포트(34)는,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매체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신 포트로부터 유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이더넷(등록 상표)]에서 발행 보수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발행 보수 기기(35)는, 센터기(17)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센터기(17)와의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매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차량(3)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에 진입한 후에,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에 진입하는 경우의 상기 차량 탑재기(50)의 동작 내용에 대해, 도 6 및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기(50)의 GPS 수신기(24)는, 주행 중에 있어서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GPS 수신기(24)는, 취득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26)에 출력하면, 제어부(26)는, 이들 위치 정보와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3)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동시에,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차량(3)이 요금 징수 장치(2)의 부근을 통과함으로써, 제어부(26)는 요금 징수 장치(2)의 제1 안테나(5)로부터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3)의 입퇴출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있어서 기억되어 있는 현재 위치 정보가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이고, 제1 안테나(5)로부터 요구 신호를 수신한 후에, 제어부(26)에 의해 새로운 현재 위치 정보가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차량(3)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로부터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 진입」한 것을 검출하여, 이것을 입퇴출 정보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있어서 기억되어 있는 현재 위치 정보가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이고, 제1 안테나(5)로부터 요구 신호를 수신한 후에, 제어부(26)에 의해 새로운 현재 위치 정보가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라고 검출된 경우에는, 차량(3)이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부터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로 퇴출」된 것을 검출하여, 이것을 입퇴출 정보로 한다.
제어부(26)는, 이와 같이 검출된 입퇴출 정보(예를 들어, 「확장 과금 대상 에어리어 B로부터 과금 대상 에어리어 A로 진입」)를 제1 광역 통신기(32)를 통해 센터기(17)에 출력한다.
센터기(17)는 제2 광역 통신기(18)를 통해 취득한 입퇴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3)의 이용자로부터 징수하는 도로 이용 요금으로서의 과금액을 결정하고, 결정한 과금액의 정보를 차량 탑재기(50)에 대해 송신한다. 차량 탑재기(50)의 제어부(26)는 제1 광역 통신기(32)를 통해 과금액의 정보를 수신하면, IC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잔고로부터, 취득한 과금액의 정보에 따른 금액을 차감하여, 그 잔고를 IC 카드에 잔고로서 갱신 기록한다.
다음에, 상술한 차량 탑재기(50)가, 차량(차량 탑재기)의 위치의 정보를 보정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3)이 요금 징수 장치(2)의 부근을 통과한 경우에, 요금 징수 장치(2)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5)로부터, 차량 탑재기(50)에 대해, 안테나의 식별 정보가 송신된다. 차량 탑재기(50)의 제어부(26)는, 취득한 요금 징수 장치(2)의 안테나[예를 들어, 제1 안테나(5)]의 식별 정보와, 기억 장치(25)로부터 판독한 지도 정보를 보정부(33)에 출력한다. 지도 정보에는, 요금 징수 장치(2)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와 안테나의 식별 정보가 대응되어 있으므로, 보정부(33)에 있어서, 지도 정보와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50)의 제1 현재 위치가 추정된다.
또한, 차량 탑재기(50)의 GPS 수신기(24)로부터는 위치 정보가 취득되어 있고, 보정부(33)에 있어서, 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기(50)의 제2 현재 위치가 추정된다. 또한, 보정부(33)는 제1 현재 위치와 제2 현재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제2 현재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GPS 수신기(24)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기(50)가 검출하는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금 징수 장치(2)가, 공사 등에 의해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나, 새롭게 요금 징수 장치(2)가 설치된 경우 등에는, 차량 탑재기(50)의 기억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요금 징수 장치(2)의 위치 정보는 오래된 정보가 되어,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차량 탑재기(50)는, 위치 정보를 보정하기 전에, 차량 탑재기(50)의 기억 장치(25)에 구비되는 지도 정보가, 최신의 정보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최신의 지도 정보가 차량 탑재기(50)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최신의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도 정보가 최신의 정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요금 징수 장치(2)의 안테나[예를 들어, 제1 안테나(5)]의 식별 정보에, 버전 번호 등의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신구 식별 정보(예를 들어, 어느 시점에 있어서의 정보인지를 나타내는 갱신 정보)를 포함시켜 두고, 이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신구 식별 정보(갱신 정보)가, 요금 징수 장치(2)측으로부터 취득된 경우와, 지도 정보로부터 판독된 경우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 탑재기(50)는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최신의 지도 정보를 센터기로부터 취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버전 번호 등의 신구 식별 정보(갱신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가 지도 정보로부터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 최신의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에서는, 차량 탑재기(50)가 최신의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센터기에 구비되는 지도 정보의 전체를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50)측에서 다운로드 대상으로서 선정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한 위치 정보의 정보를 차량 탑재기(50)로부터 센터기에 통지하고, 센터기에 있어서, 지도 정보 전체 중으로부터, 통지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의 정보만을 출력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센터기와 차량 탑재기(50)의 사이에 있어서, 선정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만을 수수함으로써, 센터기와 차량 탑재기(50)의 사이의 통신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기(50)는, 제1 광역 통신기(32), 전용 협대역 무선기(DSRC ;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및 제1 광역 통신기 이외에 센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발행 보수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요금 징수 장치(2)의 정확한 설치 위치 정보를 갖는 최신의 지도 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기(50)는 요금 징수 장치(2)의 설치 위치를 특정하는 정보를, 복수의 경로로부터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 탑재기(50) 및 요금 징수 장치(2)에 따르면, 차량(3)에 탑재되고, 과금 대상 에어리어 A의 요금소에 설치되는 요금 징수 장치와의 사이에서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차량 탑재기(50)는, 요금 징수 장치(2)의 부근을 통과하면, 그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요금 징수 장치(2)의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탑재기(50)에 있어서 안테나의 식별 정보가 취득되면, 기억 장치(25)에 기억된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요금 징수 장치(2)의 안테나의 설치 위치와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3)의 위치가 추정된다. 이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된 차량의 위치와,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가 비교되어, 차량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된 위치 정보가 보정된다. 이와 같이, 요금 징수 장치(2)측으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와, GPS 수신기(24)로부터 추정되는 차량의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GPS 수신기(24)로부터 취득되는 위치 정보를 보정하므로, GPS 수신기(24)로부터 얻어지는 위치 정보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도 정보의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는, 연산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를 얻기 위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는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는, 상대적인 위치여도, 절대적인 위치여도, 확실하게 차량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갱신 정보(예를 들어, 버전 번호)에 기초하여, 기억 장치(25)에 구비되는 지도 정보가 최신 정보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최신이 아닌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함으로써, 최신의 지도 정보를 얻는 것으로 하고 있었지만, 차량 탑재기(50)의 최신의 지도 정보의 취득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요금 징수 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한 차량 탑재기(50)는,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정보 중, 취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변경한다. 또는, 안테나의 식별 정보와 함께 취득한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와,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25)에 저장되어 있는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는 우선 순위를 설정해 두고, 그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지도 정보를 갱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차량 탑재기(50)측에서, 안테나의 갱신 정보를 비교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1 : 요금 징수 시스템
3 : 차량
17 : 센터기
18 : 제2 광역 통신기
24 : GPS 수신기
25 : 차량 탑재기 기억 장치
32 : 제1 광역 통신기
33 : 보정부
34 : 통신 포트
35 : 발행 보수 기기
50 : 차량 탑재기

Claims (8)

  1. 차량에 탑재되는 동시에, 과금 대상 에어리어의 요금소에 설치되어 있는 요금 징수 장치와의 사이에서 과금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차량 탑재기이며,
    상기 요금 징수 장치에 설치되는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와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대응시킨 지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 정보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부근을 통과한 경우에,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차량 탑재기.
  2. 제1항에 있어서, 광역 무선을 이용하기 위한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상위 장치인 센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용 협대역 무선을 이용하기 위한 전용 협대역 무선기를 통해 상기 요금 징수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지도 정보는,
    상기 광역 통신기, 상기 전용 협대역 무선기 및 상기 광역 통신기 이외에 상기 센터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발행 보수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는, 차량 탑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센터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탑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정보의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는,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를 얻기 위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는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차량 탑재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는, 신구를 식별하기 위한 신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센터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탑재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상기 안테나로부터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탑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설치 위치의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요금 징수 장치의 설치 위치의 정보로 치환하는, 차량 탑재기.
  8.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는, 신구를 식별하기 위한 신구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금 징수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정보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가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광역 통신기를 통해 상기 센터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취득하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탑재기와, 상기 차량 탑재기로부터,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의 취득 요구에 따라서,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를 상기 차량 탑재기에 출력하는 상기 센터기를 구비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며,
    상기 센터기는,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 중, 상기 차량 탑재기의 상기 지도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안테나의 식별 번호의 상기 신구 식별 정보가 다른 상기 안테나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최신의 상기 지도 정보로서 상기 차량 탑재기에 출력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KR1020127013051A 2010-02-18 2011-02-07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 KR101364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3900 2010-02-18
JP2010033900A JP5393526B2 (ja) 2010-02-18 2010-02-18 車載器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
PCT/JP2011/052544 WO2011102255A1 (ja) 2010-02-18 2011-02-07 車載器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550A true KR20120083550A (ko) 2012-07-25
KR101364330B1 KR101364330B1 (ko) 2014-02-18

Family

ID=4448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051A KR101364330B1 (ko) 2010-02-18 2011-02-07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393526B2 (ko)
KR (1) KR101364330B1 (ko)
CN (1) CN102652323B (ko)
HK (1) HK1173255A1 (ko)
MY (1) MY160600A (ko)
TW (1) TWI457859B (ko)
WO (1) WO20111022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242A (ko) * 2015-06-29 2017-01-06 디노플러스 (주) 유료도로 통행료 지불을 위한 이동통신방식의 가상영업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579B2 (ja) * 2012-05-15 2016-06-08 株式会社東芝 車載装置および料金徴収システム
JP5930242B2 (ja) * 2013-01-09 2016-06-08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交通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JP6057721B2 (ja) * 2013-01-09 2017-01-11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交通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CN103886647B (zh) * 2014-01-28 2017-01-04 易通星云(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北斗的兼容etc和mtc的收费系统、装置及方法
TWI547905B (zh) * 2014-07-02 2016-09-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金額顯示裝置及金額顯示方法
GB2549654A (en) * 2015-01-15 2017-10-25 Mitsubishi Heavy Ind Mechatronics Systems Ltd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for evaluating billing location
WO2019019002A1 (zh) * 2017-07-25 2019-01-31 广东兴达顺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收费系统及车载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2020B2 (ja) * 1993-06-21 1998-09-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位置補正機能付き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287278B2 (ja) * 1997-09-24 2002-06-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ビーコン情報提供装置
JP2001053699A (ja) * 1999-08-11 2001-02-23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移動体端末および情報サービスステーション
JP2001304885A (ja) * 2000-04-25 2001-10-3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80895B2 (ja) * 2001-10-09 2006-05-31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225193B2 (ja) * 2003-12-24 2009-02-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器
JP4648258B2 (ja) * 2006-06-29 2011-03-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装置ならびに車載器
JP2008009732A (ja) * 2006-06-29 2008-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車載器
JP4756133B2 (ja) * 2007-10-19 2011-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載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242A (ko) * 2015-06-29 2017-01-06 디노플러스 (주) 유료도로 통행료 지불을 위한 이동통신방식의 가상영업소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323A (zh) 2012-08-29
JP5393526B2 (ja) 2014-01-22
KR101364330B1 (ko) 2014-02-18
TWI457859B (zh) 2014-10-21
MY160600A (en) 2017-03-15
HK1173255A1 (en) 2013-05-10
JP2011170629A (ja) 2011-09-01
CN102652323B (zh) 2015-09-30
WO2011102255A1 (ja) 2011-08-25
TW201205503A (en)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330B1 (ko)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
KR101368109B1 (ko) 요금 징수 시스템
EP2402912B1 (en) Electronic toll charging system and method
JP4648258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装置ならびに車載器
KR101077943B1 (ko)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617309B1 (ko)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4786B1 (ko) 차량 탑재기
KR20140035666A (ko) 다차로 서비스를 위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15454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5255101B2 (ja) 情報処理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3261104B2 (ja) 対車両用課金状態報知装置、課金状態監視装置及び携帯用課金状態監視装置
KR20170133942A (ko) Wim을 활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방법
JP2007183752A (ja) 車両用課金処理システム
JPH11238152A (ja) 対車両用課金処理装置及び課金処理システム
KR101558710B1 (ko) 전자식 통행요금 징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6107262A (ja) 料金割引報知システム、料金割引報知装置、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etc車載器
JP2005293071A (ja) 自動料金徴収システム
JP2008002982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0215336A (ja) 携帯型通信装置
JP2003208643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JPH0816977A (ja) 自動料金収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