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237A -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 - Google Patents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237A
KR20120083237A KR1020120005145A KR20120005145A KR20120083237A KR 20120083237 A KR20120083237 A KR 20120083237A KR 1020120005145 A KR1020120005145 A KR 1020120005145A KR 20120005145 A KR20120005145 A KR 20120005145A KR 20120083237 A KR20120083237 A KR 2012008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components
connection
flange member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265B1 (ko
Inventor
리차드 라임켄
요헨 덴크펠더
알브레히트 포프
Original Assignee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1110002787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1002787B3/de
Application filed by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8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10T403/32475Telescoping members having detent
    • Y10T403/32483Spring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10T403/7066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having actu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10T403/7066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having actuator
    • Y10T403/7067Threaded actuator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용 거울 조립체를 제공한다. 제1 연결 부재(6)는, 하나 이상의 면에서 개방된 관형 플랜지 부재(8)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접촉면(60) 및 제1 홈(26)은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에 구비되어 있다. 제2 연결 부재(4)는,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로 유격을 가지고 도입될 수 있는 장착 부재(12)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착 부재(12)는 베이스 본체(1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상기 제1 홈(26)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스(36) 및 상기 유지 보스(36) 뒤에 배치된 안내면(5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내면(58)은 상기 제1 접촉면(6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촉면(60)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있다. 클램핑 수단(44)은, 상기 제1 접촉면(60)을 향한 면(22)에서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를 관통하고 있고, 작동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 본체(14) 상의 제1 압력면(66)을 눌러, 경사진 상기 안내면(58)이 상기 제1 접촉면(60)을 눌러 상기 장착 부재(12)를 상기 플랜지 부재(8) 내에 재밍시킨다.

Description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SYSTEM FOR THE CONNECTION OF TWO COMPONENTS, RETAINING MEMBER FOR SAID SYSTEM, AND MIRROR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EQUIPPED WITH SAID SYSTEM}
본 발명은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그러한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그러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가 관형 또는 슬리브 형 모양을 가진 2개의 컴포넌트가 그 길이의 특정 부분 양에 걸친 삽입에 의해 연결될 때, 2개의 컴포넌트의 위치의 상대적 비회전성 및 비조절성 고정의 의미에서 이러한 느슨하지 않은 삽입 연결이 아니라 고정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자주 요구된다. 비회전성 고정의 요구는, 둥근/상보적 단면 대신에 다각형/상보적 특히 사각형/상보적 단면(예를 들면, 사각형 튜브 또는 튜브 단면 형태의) 컴포넌트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충족될 수 있다. 대응 단면을 제공하는 2개의 컴포넌트가 삽입에 의해 일단 결합되면, 2개의 컴포넌트의 실질적으로 비회전성 상대적 위치가 일정한 유격(play)에도 불구하고 달성되었다.
2개의 컴포넌트의 축방향 상대적 이동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2개의 컴포넌트의 벽에 형성되는 보어를 관통하고 서로 정렬되는 스터드 또는 소켓 핀, 다른 컴포넌트 등에 상보적 래칭 오목부와 결합되는 1개의 컴포넌트 상의 스프링 편향되는 래치 부재를 포함하여 스냅-인 또는 래치 연결과 같은 여러 가지 연결 기술이 실제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한, 돗트 또는 직선 용접, 돗트 또는 전면 접착 보드 등에 의해 2개의 삽입 연결되는 컴포넌트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 관례이다.
마지막이라고 지칭되는 2개의 옵션은, 비파괴적 방식으로 2개의 컴포넌트를 분리시키기 위해 더 이상 일반적으로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는 단점을 보인다.
2개의 컴포넌트 내의 정렬되는 보어를 관통하는 볼트 또는 분리 핀은 고정되어야 하고(스터드, 스프링 록 와셔 등), 삽입 연결되는 컴포넌트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볼트 또는 핀 단부로 인해 매력적이지 않은 외관을 자주 보인다. 볼형 록킹 등은 자주 낮은 유지력을 제공하고, 또한 높은 복잡성 따라서 비용을 포함한다.
DE 60025104T2 및 EP1086855B1로부터, 한쪽에서 개방되는 관형 플랜지 부재의 형태를 가지는 제1 연결 부재, 및 관형 플랜지 부재 내로 유격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는 장착 부재 형태를 가지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2개의 컴포넌트를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플랜지 부재 내에, 제1 접촉면 및 제1 홈이 구비된다. 장착 부재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며, 베이스 본체에, 제1 홈 내의 결합을 위한 제1 유지 보스, 및 도입 방향에 대해 제1 유지 보스 뒤에 배치되는 안내면이 구비된다. 안내면은 제1 접촉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면서 제1 접촉면에 결합된다. 작동되었을 때 베이스 본체 상의 제1 압력면에 대해 누르는 클램핑 수단으로 인해, 경사지는 안내면은, 플랜지 부재 내로 장착 부재를 넣기 위해 제1 접촉면에 대해 누른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심미안적으로 확실한 방식의 면에서 덜 복잡하게 서로에 대해 고정 위치될 수 있게 하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측면(aspect)인 청구범위 제1항에 따라,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면에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제1 접촉면 및 제1 홈을 구비하고 있는 관형 플랜지 부재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 내로 유격(play)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는 장착 부재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제1 접촉면을 향한 면에서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 상기 제1 홈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스 및 상기 유지 보스 뒤에(상기 제1 연결 부재 내로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도입 방향에 대해) 배치된 안내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제1 접촉면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촉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작동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 본체 상의 제1 압력면을 눌러, 경사진 상기 안내면이 상기 제1 접촉면을 눌러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플랜지 부재 내에 재밍(jamming)시키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인 청구범위 제9항에 따라,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면에서 개방된 관형 플랜지 부재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 내로 유격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는 장착 부재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제2 연결 부재, 및 상기 장착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핑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의 내면에, 제1 접촉면 및 제1 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착 부재는 베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본체에, 상기 제1 홈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스 및 상기 유지 보스 뒤에(상기 제1 연결 부재 내로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도입 방향에 대해) 배치된 안내면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제1 접촉면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촉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작동되었을 때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 내의 제2 접촉면을 눌러, 상기 경사진 상기 안내면은 상기 제1 접촉면을 눌러, 상기 장착 부재를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 내에 재밍시키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제1 접촉면의 영역에서 상기 플랜지 부재 내의 개구를 통해 작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2개의 측면(청구범위 제1항 및 제9항)은 클램핑 수단의 구조에 대해서만 다르고, 제2 연결 부재(장착 부재)를 제1 연결 부재(관형 플랜지 부재) 내에 재밍시키는 기본적 원리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에서, 2개의 컴포넌트는,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소정 길이에 걸쳐 서로의 내부로 삽통식으로 미끄러지거나 삽입된다. 도입 또는 삽입의 필요한 깊이에 도달하면, 제1 연결 부재 내에 유격을 가지고 존재하는 제2 연결 부재는, 클램핑 수단의 작용으로 인해, 제1 연결 부재의 제1 접촉면에 대해 눌려진다. 제1 접촉면과 결합된 안내면이 제1 접촉면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질 때, 즉, 안내면과 제1 접촉면이 서로 간에 예각을 정의할 때, 제1 연결 부재 내에 유격을 가지고 존재하는 제2 연결 부재는, 궁극적으로 제1 연결 부재에 대해 경사져 위치되고 제1 연결 부재 내에 위치되며, 그 결과 재밍된다. 그러한 재밍의 결과로 2개의 컴포넌트 사이에서 에지 또는 선이 눌려져, 2개의 컴포넌트는 서로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있게 되어, 축 방향으로의 2개의 컴포넌트의 분리 이동은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것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2개의 컴포넌트 내의 보어가 서로에 대해 정렬되고 공통 벨트 또는 분할 핀에 의해 관통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잡하고 값 비싼 래칭 기구를 없앨 수 있다. 클램핑 수단의 대응하는 구조적 디자인에서, 실질적으로 제1 연결 부재의 외주로부터 돌출되는 컴포넌트 즉 외부에 배치되는 컴포넌트가 없어, 본 발명의 연결 시스템에 의해 심미안적으로 매력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멍 또는 래칭 오목부 형태의 세팅된 개별적 조절 위치가 없고, 임의의 필요한 위치로 올 수 있는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재밍 따라서 클램핑 효과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의 연결 시스템은, 적어도 소정 범위에서, 2개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속적 조절 또는 미세 조절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본 발명의 연결 시스템에 응용하기 위한 장착 부재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 관련 제1 홈 내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유지 보스, 상기 제1 유지 보스 뒤에(상기 제1 연결 부재 내로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도입 방향에 대해)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다른 높이를 가진 2개의 안내 스트립, 및 상기 안내 스트립과 대향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압력면을 포함하는 장착 부재이다.
특히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응용에서, 본 발명의 연결 시스템은,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거울 헤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물의 타 단에,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용 거울 조립체, 특히 외부 후사경 조립체에 사용될 수 있다.
경사진 상기 안내면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연결 부재 내로의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도입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유지 보스 뒤에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다른 높이를 가진 2개의 안내 스트립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선, 이것은 경사진 안내면을 실현하는 제조 기술의 면에서 특히 간단한 옵션을 가능하게 하는데, 즉, 2개의 안내 스트립의 자유 단부 표면들 사이의 높이 차이에 따라, 제1 접촉면과 안내면 사이에 정의되는 각도가 다소 예각이어서, 필요한 재밍 및 발생하는 힘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간단한 방식으로, 장착 부재가 관형 플랜지 부재 내로 도입될 때, 안내면이 도입의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제1 접촉면에 대해 경사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장착 부재는, 바람직하게,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 내의 관련 제2 홈과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2 유지 보스를 포함한다. 이것은 2개의 컴포넌트를 서로에 대해 추가적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이것은 2개의 컴포넌트의 상호 삽입의 필요한 깊이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제조 기술의 이유로 인해, 2개의 홈은 바람직하게 플랜지 부재 내의 연속적 개구로서 실현된다. 더욱이 제2 홈이 플랜지 내의 노치로서 실현되고, 플랜지 부재의 재료에 의해 원주가 둘러싸인 관통 개구로서 실현되지 않을 때, 플랜지 부재 내로의 장착 부재의 도입은 편리하게 된다.
클램핑 수단이 클램핑 상태에 있지 않는 한 제1 접촉면과 예각을 이루며, 2개의 컴포넌트가 서로 재밍되는 동안에 클램핑 수단에 의한 클램핑 효과가 인가될 때 제1 접촉면과 실질적으로 완전 표면 접촉되는 안내면은 바람직하게 2개의 유지 보스들 사이에 위치된다.
플랜지 부재(따라서 바람직하게 또한 장착 부재)는 각각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그러한 경우에 플랜지 부재는 사각형 튜브이다. 서두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떤 의미에서는, 이것은 필연적으로 2개의 컴포넌트의 상대적 회전을 신뢰성 있게 방지하는 결과를 가진다. 따라서, 장착 부재와 플랜지 부재 사이의 유격을 확실하게 하면, 또한, 장착 부재와 플랜지 부재 사이 따라서 2개의 컴포넌트 사이의 재밍 효과가 확실하게 된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플랜지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장착 부재의 상기 제1 압력면과 접촉하고 있는 스크루이어서, 스크루가 나사체결될 때, 상기 압력면은 스크루에 의해 연결 시스템의 내부로 클램핑되어, 장착 부재 또는 그 안내면은 제1 접촉면에 대해 눌려진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제1 및 제2 레버 암을 가진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 암은 상기 제2 레버 암보다 길며, 상기 제1 압력면은 기다란 레버 암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압력면은 짧은 레버 암에 형성되어 있다. 짧은 레버 암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제2 접촉면은 상기 제2 압력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플랜지 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이리한 레버 배열은, 클램핑 수단의 스크루에 의해 인가되는 직선 전진 이동을 추진 이동으로 변환시키고 동시에 힘을 증대시킨다.
상기 레버 암은, 1개의 제1 다리 에지, 1개의 제2 다리 에지, 및 2개의 상기 다리 에지를 상호연결하는 둥근 에지를 가진 사분원 디스크 또는 원호의 기본적 형상을 가지고 있다. 스크루에 의해 눌려지는 상기 제1 압력면은 상기 둥근 에지 근처에서 상기 제1 다리 에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압력면은, 상기 2개의 다리 에지가 만나는 지점 근처에서 상기 제1 다리 에지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원호의 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둥근 에지는 축방향으로 둥글게 되어 있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베이스 본체 내에 대응 형상의 리세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 또는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기계적으로 안정한 방식으로 높은 전진 또는 클램핑력 및 따라 유지력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베이스 본체에 배치되었거나 형성된 압력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상기 압력 플레이트의 면은, 상기 스크루와 접촉된 상기 제1 압력면을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 본체의 구조와 무관하게, 압력 플레이트의 면을 구비하는 스크루를 위한 정의된 압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력 플레이트는 베이스 본체 상에 또는 베이스 본체 내에 배치된 별도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압력 플레이트 또는 압력면은 각각 예를 들면 부분 표면 경화에 의해 베이스 본체 상에 또는 베이스 본체 내에 직접 형성된다. 실제로, 압력 플레이트를 별도로 형성하고, 압력 플레이트를 베이스 본체의 부분에서 대응 수용 오목부 내에 배치하는 것이 제조 기술의 이유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압력 플레이트가 베이스 본체의 부분에서 수용 오목부 내에 위치되면, 압력 플레이트는, 주어진 경우에, 제1 연결 부재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평행한 평면 내에서 경사질 수 있도록 채택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의 그러한 경사는, 어떤 상황에서는, 예를 들면 압력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베이스 본체의 부분에서 카운터 면의 구형/벌지(bulging) 형성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추가적 상세사항,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의 방향을 따라 취해졌을 때의 연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의 선을 따라 취해졌을 때의 연결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대응하는 제2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도 4의 V-V의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대응하는 제3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제3 실시예의 대응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대응하는 도 6의 V-V의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제1 컴포넌트(6) 및 제2 컴포넌트(4)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은 도면에서 대체로 2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우측에 있는 제1 컴포넌트(6)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관형 플랜지 부재(8)를 포함한다. 제1 컴포넌트(6)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컴포넌트(4)는 동일하게 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서 좌측에 도시된 자유 단부에서, 제2 컴포넌트(4)는, 컴포넌트(4)에 추가적 컴포넌트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수용부(10)를 포함한다.
제한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않 되는 구체적 실시예 또는 옵션으로서의 응용에서, 제1 컴포넌트(6)는 거울 풋트(foot)(도시되지 않음)의 중간부를 통해 차량 본체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컴포넌트(4)는 후사경은 직접적으로 또는 수용부(10)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수용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컴포넌트(4)에, 베이스 본체(14)를 가지는 장착 부재(12)가 구비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베이스 본체(14)는 그 개방 단부로부터 제1 컴포넌트(6)의 중공 내부로 도입될 수 있으며, 특정한 유격이 베이스 본체(14)와 컴포넌트(6) 사이, 또는 베이스 본체(14)의 수직 측벽(16a, 16b)과 컴포넌트(6)의 인접 수직 내부 측벽(18a, 18b) 사이에 존재한다(도 3).
제1 컴포넌트(6)는 상부 벽(20)에 2개의 개구(24, 26)를 가지며, 개구(24)는 컴포넌트(4)를 컴포넌트(6)로 도입하는 방향으로 컴포넌트(6)의 자유 에지(28)로부터 연장되는 슬릿 또는 노치로서 실현된다. 개구(26)는 개구(24)와 함께 컴포넌트(6)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컴포넌트(6)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정렬되고, 장타원형 구멍의 형태로 상부 벽(20)을 관통한다.
상부 벽(20)을 향하는 컴포넌트(6)의 하부 벽(22)에, 추가적 개구(30)가 구비되는데, 추가적 개구(30)는, 평면도에서 개구(24, 26)들 사이에 위치되고, 추가적 개구(30) 내로 록킹 스크루(34)가 슬리브(32)에 의해 안내된다.
장착 부재(12)는, 베이스 본체(14) 상에 형성되고 도 1 및 도 2로부터 명백한 방식으로 개구(26)와 결합될 수 있는 제1 유지 보스(36)를 포함한다. 또한, 장착 부재(12)는, 특히 도 2로부터 명백한 방식으로 개구(24)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유지 보스(38)를 포함한다.
장착 부재(12)의 베이스 본체(14)에, 레버 부재(42)가 배치되는 수용 챔버(40)가 있다.
레버 부재(42)는, 도 1의 측면도에서, 한 조각의 파이(pie)의 방식으로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록킹 스크루(34)와 함께 클램핑 부재(44)를 형성하는 본체이다. 레버 부재(42) 또는 레버 부재(42)를 정의하는 부채꼴은 제1 다리 에지(46) 및 제2 다리 에지(48)를 가지며, 2개의 다리 에지는 서로의 사이에 약 90도(± 20도)의 각도를 정의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방식으로, 툴 개구(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록킹 스크루(34)의 단부는 제1 다리 에지(46)와 접촉된다. 2개의 다리 에지(46, 48)들 사이에서, 수용 챔버(40)를 정의하는 베이스 본체(14)의 일부인 둥근 카운터 프로파일(54)에 대해 지지되는 대응하는 둥근 원호형 에지(52)가 연장된다. 여기에서, 추가적 안내 수단 예를 들면 카운터 프로파일(54) 쪽의 스트립이 둥근 에지(52)와 카운터 프로파일(54)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스트립은 둥근 에지(52)의 일부에서 대응 홈과 결합되고(후에 기술할 레버 부재(42)에 대해 베이스 본체(14)의 경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유격을 갖고), 가상 회전축(S) 주위로의 카운터 프로파일(54)을 따른 레버 부재(42)의 회전 또는 피봇팅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2개의 다리 에지(46, 48)가, 부채꼴의 팁을 형성하도록, 단부가 둥근 에지(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만나는 위치에서, 하부 벽(22)의 내면에 대해 자유 단부에 의해 지지되는 돌출부(56)가 형성된다. 도 1에 따른 단면도에서, 돌출부(56)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게 둥글거나 구형이다.
베이스 본체(14) 상에, 또한 상부 벽(20)의 내면의 방향으로 향하는 안내면(58)이 형성되며, 상부 벽(20)의 내면은 제1 접촉면(60)으로서 정의된다. 안내면(58)은 제1 접촉면(60)에 대해 평행하기 연장되지 않고 제1 접촉면(60)과 예각을 정의한다. 이것은, 도면에 도시된 실제적 실시예에서, 베이스 본체(14)가 2개의 돌출부(36, 38)들 사이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른 높이를 가진 2개의 안내 스트립(62, 64)을 제공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3의 단면도에서, 좌측 안내 스트립(62)은 우측 안내 스트립(64)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즉, 안내 스트립(64)의 상부 자유 단부(안내면(58)의 일부에 대응함)가 제1 접촉면(60)에 접촉될 때, 안내 스트립(62)의 상부 자유 단부(동일하게 안내면(58)의 일부에 대응함)는 반대쪽 제1 접촉면(60)으로부터 거리(h)만큼 이격된다.
레버 부재(42)의 제1 다리 에지(46)는 제1 압력면(66)으로서 작용하고, 레버 부재(42) 상의 돌출부(56)의 단부는 제2 압력면(68)으로서 작용한다.
2개의 컴포넌트(4, 6)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컴포넌트(4)의 장착 부재(12)는 컴포넌트(6)의 개방 단부 내로 삽입되며, 컴포넌트(4) 및 컴포넌트(6)는 도 1의 측면도에서 서로에 대해 약간 경사져, 유지 보스(36)의 상부 자유 단부는, 제1 유지 보스(36)가 개구(26) 내에 놓일 때까지, 컴포넌트(6) 내의 제1 접촉면(60)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때에, 제2 유지 보스(38)는 상부 벽(20) 내의 개구 또는 노치(24)와 결합된다.
록킹 스크루(34)는 슬리브(32) 내에 나사결합되어, 개구(50) 내에 삽입되는 툴의 보조를 받아 컴포넌트(6)의 내부에 나사결합되며, 그러면 압력이 록킹 스크루(34)를 통해 제1 다리 에지(46) 또는 제1 압력면(66)에 작용된다. 이러한 압력은 도 1의 레버 부재(42)의 반시계 방향 피봇팅 이동을 발생시켜, 둥근 에지(52)는 카운터 프로파일(54) 상에서 미끄러진다. 이러한 피봇팅 이동은, 돌출부(56) 또는 제2 압력면(68)이 하부 벽(22)의 내면 상의 제2 접촉면(69)에 대해 지지되는 동안에 일어나, 지렛대 효과 따라서 힘의 증대가, 돌출부(56) 또는 제2 압력면(68)과 점(S)을 통해 연장되는 선 사이의 거리와, 제1 다리 에지(46) 또는 제1 압력면(66)에 대한 록킹 스크루(34)의 접촉점과 점(S)을 통해 연장되는 선 사이의 거리의 차이로 인해 발생된다. 지레 원리에 따라 증대되는 이러한 힘은 레버 부재(42)에 의해 카운터 프로파일(54)을 통해 베이스 본체(14) 따라서 2개의 안내 스트립(62, 64)으로 통과되고, 2개의 안내 스트립(62, 64)의 높이의 차이로 인해, 도 3의 우측에 위치되는 안내 스트립(64)이 먼저 제1 접촉면(60)과 접촉된다. 다음에 록킹 스크루(34)의 추가적 전진 이동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컴포넌트(6) 내에서의 베이스 본체(14) 또는 장착 부재(12)의 경사를 발생시켜, 안내 스트립(62)의 상부 자유 단부는 제1 접촉면(60)에 접근한다.
컴포넌트(6)에 대한 베이스 본체(14) 따라서 컴포넌트(4)의 이러한 경사 이동은, 둥근 에지(52)와 카운터 프로파일(54) 사이의 면의 상보적/구형 또는 원호형 형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즉, 이러한 면은 축 방향(도 1의 평면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둥글다. 이것은, 오목/볼록 또는 볼록/오목으로서 둥근 에지(52) 및 카운터 프로파일(54)의 대응 구성을 필요로 하며, 볼록/오목 구성(둥근 에지(52)/카운터 프로파일(54))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컴포넌트(6) 내에서의 베이스 본체(14) 또는 장착 부재(12)의 피봇팅 이동과 동시에, 컴포넌트(6)의 측 방향 내벽(18a)과 베이스 본체(14) 사이의 하부 자유 에지(70)의 영역에서 재밍이 발생하여, 2개의 컴포넌트(4, 6)는 이러한 재밍 또는 라인 프레싱에 의해 서로에 클램핑된다.
플랜지 부재(8)에 대해 축 방향으로의 베이스 본체(14)의 이동은 홈(26) 내의 돌출부 또는 유지 보스(36)의 결합에 의해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방지되어, 록킹 스크루(34)에 의한 클램핑 또는 조임 작동은, 플랜지 부재(8)에 대한 베이스 본체(14)의 어떠한 항복 이동에 의해서도 약화 심지어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한편, 유지 보스(36)와 홈(26)의 결합은, 필요한 클램핑 또는 유지 효과를 실현하기 위해, 플랜지 부재(8)에 대한 베이스 본체(14)(컴포넌트(6)에 대한 컴포넌트(4))를 경사시키는 작용과 간섭하지 않는다.
컴포넌트(4, 6)들 사이의 연결을 릴리스시키기 위해, 레버 부재(42)에 인가되는 힘을 록킹 스크루(34)를 회전시켜 꺼냄으로써 중화시키는 것으로 충분하여, 컴포넌트(6)에 대한 컴포넌트(4)의 경사 또는 재밍이 릴리스되고, 그 후에 필요시에 컴포넌트(4)가 컴포넌트(6)로부터 당겨져 나올 수 있다.
개구(24, 26)의 대응 길이방향 크기 하에, 개구(24, 26)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 양에 의해 컴포넌트(6)에 대해 컴포넌트(4)를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균등한 작용을 하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 또는 부품은 도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이것은 도 3에 대한 도 5의 단면도에서도 동일하다.
도 1의 실시예로부터의 기본적 차이점으로서, 도 4에 따른 시스템(2)은,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베이스 본체(14) 내에 실현되는 수용 오목부(74) 내에 수용되는 압력 플레이트(7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압력 플레이트(7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14)로부터 분리되는 컴포넌트로서 실현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경화와 같은 부분 표면 처리에 의해 베이스 본체(14)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본체(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압력 플레이트(72)의 면에서, 압력 플레이트(72)는, 록킹 스크루(34)의 자유 단부에 의해 접촉되는 제1 압력면(66')을 정의한다.
압력 플레이트(72)가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실현되고 수용 오목부(74) 내에 유지되면, 압력 플레이트(72)와 베이스 본체(14) 사이의 2개의 접촉면 중 하나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구형이거나 평면과는 다르며, 예를 들면 수용 오목부(74)의 바닥을 형성하는 돌출부 또는 스트립/리브 예를 들면 카운터 면(76)을 포함한다. 그 결과, 충분한 유격을 가지고 수용 오목부(74) 내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압력 플레이트(72)는, 길이방향 축(L)(도 2)에 대해 평행한 평면 내에서 제한된 경사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경사 이동은, 압력면(66')에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 록킹 스크루(34)를 조임으로써 베이스 본체(14)가 도 5에서 상승되면, 베이스 본체(14)의 경사 및 위치 고정을 위한 재밍을 보조하기에 적합하여, 베이스 본체(14)는 높이 차이(h)로 인해 연결 부재(6) 내에서의 경사 위치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작용, 작동 및 이점에 관하여 상술한 것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적용되어, 따라서 그에 관한 반복된 논의는 생략된다.
본 발명의 연결 시스템(2)은, 견고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 간단한 조작 성질, 진동 안전성 및 심미적 외관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것은, 외부에서 보이는 연결 시스템(2)의 부재는, 개구(26)를 통해 돌출되는 제1 유지 보스(36)의 자유 단부, 및 반대쪽의 록킹 스크루(34) 또는 록킹 스크루(34)의 슬리브(32) 뿐이기 때문이다. 전체 클램핑 기구, 특히 둥근 에지(52)와 카운터 프로파일(54)을 가진 레버 부재(42)는 컴포넌트(6) 내의 보호된 위치에 존재하여, 먼지, 기후 영향 등에 대해 최대한으로 보호된다.
도 6 내지 도 8은 클램핑 수단(100)의 구성이 다르다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다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변경되지 않은 컴포넌트는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었다.
클램핑 수단(100)은 스크루 구멍(102)을 포함하며, 스크루 구멍(102)은 상부 벽(20)과 하부 벽(22) 사이의 위치를 향해 연장되고 장착 부재(14)를 관통하며, 또한 스크루 구멍(102)은, 상부 벽(20)을 향하는 상부 단부(104) 및 하부 벽(22)을 향하는 하부 단부(106)를 가진다. 스크루 구멍(102) 내로, 스크루 헤드(110) 및 스크루 풋트(112)를 포함하는 스터드 스크루 형태를 가지는 클램핑 스크루(108)가 삽입된다. 스크루 풋트(112)는 스크루 구멍(102)의 하부 단부(106)를 넘어 돌출되어, 하부 벽(22)의 내면에서 제2 접촉면(69)에 기대어 지지된다. 스크루 구멍(102)의 상부 단부(104) 위에서, 제1 접촉면(60)의 영역에, 툴이 스터드 스크루(108)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플랜지 부재(8)를 관통하는 액세스 개구(1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클램핑 수단(44 또는 44')의 작동은, 플랜지 부재(8)의 하부 벽(22)에 있으며 슬리브(32) 및 스크루(34)를 포함하는 개구(30)를 통해 이루어지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수단(100)의 작동은, 플랜지 부재(8)의 상부 벽(20)에 있는 액세스 개구(114)를 통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순전히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특히 재밍을 일으키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클램핑 기구의 구성 및 따라서 2개의 컴포넌트(4, 6) 서로 간의 마찰 결합은, 원호형 레버 부재(42)를 가진 설명된 실제적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 2개의 컴포넌트(4, 6) 서로 간의 재밍 또는 클램핑이 대응 기구를 통해 이루어지고 유지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되는 한, 설명된 기다란/직사각형 단면 형상과 다른 컴포넌트(4, 6)의 단면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2: 연결 시스템 4: 제2 컴포넌트
6: 제1 컴포넌트 8: 제1 컴포넌트(6)의 관형 플랜지 부재
10: 제2 컴포넌트(4) 상의 수용부 12: 장착 부재
14: 장착 부재(12) 상의 베이스 본체
16a, 16b: 베이스 본체(14)의 수직 측벽
18a, 18b: 관형 플랜지 부재(8)의 수직 내부 측벽
20: 관형 플랜지 부재(8)의 상부 벽
22: 관형 플랜지 부재(8)의 하부 벽
24: 상부 벽(20) 내의 슬릿형 개구
26: 상부 벽(20) 내의 개구, 장방형 구멍
28: 관형 플랜지 부재(8)의 자유 에지
30: 하부 벽(22) 내의 개구
32: 슬리브
34: 개구(30) 내의 록킹 스크루
36: 베이스 본체(14) 상의 제1 유지 보스
38: 베이스 본체(14) 상의 제2 유지 보스
40: 레버 부재(42)를 위한 베이스 본체(14) 내의 수용 챔버
42: 레버 부재
44: 클램핑 수단
46: 레버 부재(42)의 제1 다리 에지
48: 레버 부재(42)의 제2 다리 에지
50: 록킹 스크루(34) 내의 툴 개구
52: 레버 부재(42)의 원호형 둥근 에지
54: 베이스 본체(14) 내의 원호형 둥근 에지(52)를 위한 카운터 프로파일
56: 레버 부재(42) 상의 돌출부
58: 베이스 본체(14) 상의 안내면
60: 관형 플랜지 부재(8) 상의 제1 접촉면
62: 좌측 하부 안내 스트립
64: 우측 상부 안내 스트립
66: 압력면(다리 에지(46)에 대응함)
68: 제2 압력면(또는 돌출부(56)의 단부)
69: 제2 접촉면
70: 베이스 본체(14)의 하부 자유 에지
72: 압력 플레이트
74: 수용 오목부
100: 클램핑 수단
102: 베이스 본체(14) 내의 스크루 구멍
104: 스크루 구멍(102)의 상부 단부
106: 스크루 구멍(102)의 하부 단부
108: 클램핑 스크루, 스터드 스크루
110: 스크루 헤드
112: 스크루 풋트
114: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의 엑세스 개구

Claims (27)

  1.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면에서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제1 접촉면(60) 및 제1 홈(26)을 구비하고 있는 관형 플랜지 부재(8)를 포함하는 제1 컴포넌트(6),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로 유격(play)을 가지고 삽입될 수 있는 장착 부재(12)를 포함하는 제2 컴포넌트(4), 및
    상기 제1 접촉면(60)을 향한 면(22)에서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를 관통하고 있는 클램핑 수단(44, 44')
    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12)는 베이스 본체(1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상기 제1 홈(26)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스(36) 및 삽입 방향으로 상기 유지 보스(36) 뒤에 배치된 안내면(58)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면(58)은 상기 제1 접촉면(6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촉면(60)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클램핑 수단(44, 44')은 작동되었을 때 상기 베이스 본체(14) 상의 제1 압력면(66, 66')을 눌러, 경사진 상기 안내면(58)이 상기 제1 접촉면(60)을 눌러 상기 장착 부재(12)를 상기 플랜지 부재(8) 내에 재밍(jamming)시키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44, 44')은, 상기 플랜지 부재(8)를 관통하고 상기 장착 부재(12)의 상기 제1 압력면(66, 66')과 접촉하고 있는 스크루(34)를 포함하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44)은, 제1 및 제2 레버 암을 가진 레버 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 암은 상기 제2 레버 암보다 길며,
    상기 제1 압력면(66)은 기다란 상기 제1 레버 암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압력면(68)은 짧은 상기 제2 레버 암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 부재(8) 내에, 제2 접촉면(69)이 상기 제2 압력면(68)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암(42)은, 제1 다리 에지(46), 제2 다리 에지(48), 및 상기 제1 다리 에지(46)와 상기 제2 다리 에지(48)를 상호연결하는 둥근 에지(52)를 가진 원호의 기본적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압력면(66)은 상기 둥근 에지(52) 근처에서 상기 제1 다리 에지(46)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압력면(68)은, 상기 2개의 다리 에지(46, 48)가 만나는 지점 근처에서 상기 제1 다리 에지(46)에 배치된 돌출부(56)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둥근 에지(52)는 축방향으로 둥글게 되어 있고,
    상기 레버 부재(4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 내에 대응 형상의 리세스(4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44')은,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배치되었거나 형성된 압력 플레이트(72)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본체(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상기 압력 플레이트(72)의 면은, 상기 스크루(34)와 접촉된 상기 제1 압력면(66')을 정의하고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7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와는 별도의 컴포넌트로서 실현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7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면 상의 수용 오목부(74)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컴포넌트(6)의 길이방향 축(L)에 대해 평행한 평면에서 경사질 수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7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부분에 구형 카운터 면(76) 상에 지지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9.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면에서 개방된 관형 플랜지 부재(8)를 포함하는 제1 컴포넌트(6),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로 유격을 가지고 도입될 수 있는 장착 부재(12)를 포함하는 제2 컴포넌트(4), 및
    베이스 본체(14)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핑 수단(100)
    을 포함하며,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의 내면에, 제1 접촉면(60), 제1 홈(26), 및 상기 제1 접촉면(60)에 대해 반대 쪽에 있는 제2 접촉면(69)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착 부재(1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상기 제1 홈(26)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스(36) 및 바람직하게 도입 방향으로 상기 유지 보스(36) 뒤에 배치된 안내면(58)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면(58)은 상기 제1 접촉면(6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로의 상기 장착 부재(12)의 도입 동안에, 상기 안내면(58)은 상기 제1 접촉면(60)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며,
    상기 클램핑 수단(100)은 작동되었을 때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의 제2 접촉면(69)을 누르고, 경사진 상기 안내면(58)을 상기 제1 접촉면(60)에 대해 눌러, 상기 장착 부재(12)를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에 재밍시키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00)은, 상기 제1 접촉면(60)의 영역에서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를 관통하고 있는 액세스 개구(114)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100)은, 스크루 헤드(110) 및 스크루 풋트(foot)(112)를 가진 클램핑 스크루(108)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스크루(108)는 상기 장착 부재(12)의 상기 베이스 본체(14) 내의 스크루 구멍(102) 내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스크루(108)는 스터드 스크루인,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스크루(108)의 상기 스크루 풋트(112)는 상기 제2 접촉면(69)을 누르고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58)은, 상기 장착 부재(12)가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로 도입될 때, 도입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예각으로 상기 제1 접촉면(60)에 대해 경사지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진 상기 안내면(58)은, 상기 제1 유지 보스(36) 뒤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다른 높이를 가진 2개의 안내 스트립(62, 64)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12)는,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의 관련 제2 홈(24)과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2 유지 보스(38)를 포함하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홈(24, 26)은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에서 연속적인 개구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24)은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 내에서 노치의 형태를 가진,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58)은 2개의 상기 유지 보스(36, 38)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플랜지 부재(8)는 사각형 튜브인,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에 있어서,
    베이스 본체(14),
    관련 제1 홈(26) 내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유지 보스(36), 및
    상기 제1 유지 보스(36) 뒤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다른 높이를 가진 2개의 안내 스트립(62, 64)
    을 포함하는 장착 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스트립(62, 64)과 대향하고 있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의 면에 제1 압력면(66)이 형성되어 있는, 장착 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다리 에지(46), 제2 다리 에지(48), 및 2개의 상기 다리 에지를 상호연결하고 있는 둥근 에지(52)를 연결하고 있는 원호의 기본적 형상을 가지고 있는 레버 부재(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 부재(42)는 제1 기다란 레버 암 및 제2 짧은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면(66)은 상기 둥근 에지(52) 근처의 상기 제1 다리 에지(46)에서 상기 제1 레버 암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상기 다리 에지가 만나는 지점 근처에서 상기 제1 다리 에지에 배치된 돌출부(56)에서 상기 제2 레버 암의 단부에 제2 압력면(6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둥근 에지(52)는 축 방향으로 둥글며,
    상기 레버 부재(4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 내에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리세스(40)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장착 부재.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에지(52)는,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상보적으로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유격을 가지고 결합되어 있는 연속적 홈을 가지고 있는, 장착 부재.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14)에 압력 플레이트(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상기 압력 플레이트(72)의 표면은, 상기 스크루(34)와 접촉되는 제1 압력면(66')을 정의하고 있는,
    장착 부재.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클램핑 스크루가 나사결합된 스크루 구멍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장착 부재.
  27.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물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거울 헤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물의 타 단에,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장착 부재(12)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용 거울 조립체.
KR1020120005145A 2011-01-17 2012-01-17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 KR101338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002787 DE102011002787B3 (de) 2011-01-17 2011-01-17 System zur Verbindung von zwei Bauteilen, Haltebock hierfür, sowie Spiegel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hiermit
DE102011002787.4 2011-01-17
DE102011081902 2011-08-31
DE102011081902.9 2011-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237A true KR20120083237A (ko) 2012-07-25
KR101338265B1 KR101338265B1 (ko) 2013-12-09

Family

ID=4555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145A KR101338265B1 (ko) 2011-01-17 2012-01-17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50968B2 (ko)
EP (1) EP2476917B1 (ko)
JP (1) JP5912555B2 (ko)
KR (1) KR101338265B1 (ko)
CN (1) CN102678704B (ko)
AR (1) AR084800A1 (ko)
BR (1) BR102012000764B1 (ko)
CA (1) CA2763245C (ko)
ES (1) ES2596182T3 (ko)
PL (1) PL247691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14789B1 (pt) * 2013-12-23 2021-12-28 Ethicon Endo-Surgery, Llc Grampo cirúrgico e grampeador cirúrgico
US11849717B2 (en) * 2019-06-18 2023-12-26 Cnh Industrial America Llc Internally bonded hinge castings in composite boom structure
CN111343751B (zh) * 2020-03-09 2022-03-04 上海科洛迪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物联网控制盒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2586A (en) * 1959-08-07 1961-05-02 Francis J Gliebe Fishing net construction
DE2535458A1 (de) * 1975-08-08 1977-02-17 Dynamit Nobel Ag Formschluessige verbindung
DE2618442C2 (de) * 1976-04-27 1986-10-09 Gebrüder Kömmerling Kunststoffwerke GmbH, 6780 Pirmasens Stütze für ein Geländer oder dergleichen
US4146341A (en) * 1977-06-20 1979-03-27 The Hollaender Manufacturing Company Fitting for structural pipe
GB2065259A (en) * 1979-12-01 1981-06-24 Kwikform Ltd Scaffolding joint
DE2950742A1 (de) 1979-12-17 1981-06-25 Rose & Krieger Gmbh & Co, 4950 Minden Rohrverbindung
DE3707709A1 (de) * 1987-03-11 1988-09-22 Huennebeck Gmbh Geruestrahmen fuer baugerueste od. dgl.
DE9310437U1 (de) 1993-07-13 1993-08-19 Wanzl Entwicklung Gmbh Rohrverbindung
US5483385A (en) * 1994-10-19 1996-01-09 Lowell Engineering Corp. Adjustable truck mirror
US6305671B1 (en) * 1999-01-26 2001-10-23 Valentine & Company Attachment bracket
US6276805B1 (en) 1999-09-17 2001-08-21 Paul Home Trailer tow mirror
JP3835147B2 (ja) * 1999-10-28 2006-10-18 日本精工株式会社 伸縮自在シャフトの結合構造
CN2541655Y (zh) * 2002-04-02 2003-03-26 陈达富 接管装置
JP4237029B2 (ja) * 2003-10-29 2009-03-11 矢崎化工株式会社 パイプ継手
WO2005073038A1 (en) * 2004-01-28 2005-08-11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Powered telescoping vehicle external mirror
US7232234B2 (en) * 2005-03-07 2007-06-19 Lang-Mekra North America, Llc Vibration resistant vehicle mirror connecting assembly
US7334957B2 (en) * 2005-10-27 2008-02-26 Guardian Pool Fence Systems, Inc. Portable protective fen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US8491215B2 (en) * 2008-08-27 2013-07-23 Mattel, Inc. Connector for coupling adjacent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78704A (zh) 2012-09-19
US8950968B2 (en) 2015-02-10
AR084800A1 (es) 2013-06-26
ES2596182T3 (es) 2017-01-05
BR102012000764A2 (pt) 2013-10-22
BR102012000764B1 (pt) 2020-06-09
CA2763245C (en) 2015-06-16
EP2476917A1 (de) 2012-07-18
JP2012149768A (ja) 2012-08-09
JP5912555B2 (ja) 2016-04-27
PL2476917T3 (pl) 2017-01-31
CN102678704B (zh) 2015-06-24
KR101338265B1 (ko) 2013-12-09
US20120182637A1 (en) 2012-07-19
CA2763245A1 (en) 2012-07-17
EP2476917B1 (de)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2142B2 (en) Securable fastening device
KR10117123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RU2319044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плит, в частности двух плит, расположенных перпендикулярно друг другу
KR101338265B1 (ko)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위한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위한 장착 부재, 및 상기 시스템이 장착된 자동차를 위한 거울 조립체
JPWO2009048065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939468B2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steering spindle bearing unit
JPH0254726B2 (ko)
JP6785798B2 (ja) 構成部分を保持する装置
JPH10281120A (ja) 固定金具
JP2013241174A (ja) 車両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US7429090B2 (en) Attachment device for drawer front panels
KR20170067781A (ko) 슬라이딩 도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 및 캐비닛 가구
JP6636643B2 (ja) 受け具
JP2006528529A (ja) 二重壁ドロワーのためのドロワー安定化装置
US20060027716A1 (en) Fitting for connecting plates, particularly shelves or trays
CN110234250B (zh) 用于组装抽屉的适配器和方法
JP6664844B2 (ja) シャワーフック
US20130183085A1 (en) Slide plate for a cam-type closure
JP646609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17195930A (ja) 棚装置
CA3047946C (en) Fastening mechanism and furniture assembly
EP2979582B1 (en) Slide rail assembly
US10941798B2 (en) Snap connector
JP7138469B2 (ja) シャワーフック
JP6862638B2 (ja) 床板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