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908A - 단품 시트 바닥 섀시 - Google Patents

단품 시트 바닥 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908A
KR20120082908A KR1020127011333A KR20127011333A KR20120082908A KR 20120082908 A KR20120082908 A KR 20120082908A KR 1020127011333 A KR1020127011333 A KR 1020127011333A KR 20127011333 A KR20127011333 A KR 20127011333A KR 20120082908 A KR20120082908 A KR 2012008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ottom
bottom chassis
seat
chassis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863B1 (ko
Inventor
알렉산더 사베스키
오르넬라 제카비카
캐서린 엠. 아모데오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2008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35Cushions
    • B60N2/7047Springs
    • B60N2/7058Metalli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 바닥 섀시는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쿠션 팬을 포함한다. 시트 바닥 섀시는 단품 재료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단품 시트 바닥 섀시 {ONE-PIECE SEAT BOTTOM CHASSIS}
본 출원은 2009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단품 시트 바닥 섀시"인 미국 가출원 번호 61/248,109호의 이득을 주장하고 이들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본 발명에 이의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병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단품(one-piece) 시트 바닥 섀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팅(seating)은 통상적으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지지하는 위한 시트 바닥 및 시트 등받이를 포함한다. 임의의 시팅 구성에서, 시트 바닥 및 시트 등받이는 경질 섀시, 쿠션, 및 섬유질 커버링을 포함한다. 쿠션들은 경질 섀시에 연결되며, 섬유질 커버링은 조립체 주위에 배치된다. 시트 바닥의 경질 섀시는 탑승자의 중량(즉,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차량의 플로어에 시트를 연결한다. 임의의 구성에서, 시트 바닥 섀시는 시팅 트랙에 장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평 표면 및 시트 등받이 섀시를 고정하기 위한 실질적인 수직 표면을 포함한다.
임의의 시트 바닥 섀시는 스탬핑 가공(stamped) 부품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시트 바닥 섀시는 각각 스탬핑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우측 브래킷, 좌측 브래킷 및 쿠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 팬은 완전한 시트 바닥 섀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브래킷에 연결될 수 있다. 불행하게, 좌측 브래킷, 우측 브래킷 및 쿠션 팬이 상이한 형상이기 때문에, 3 개의 상이한 다이 또는 일련의 다이가 각각의 부분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쿠션 팬을 브래킷에 (예를 들어, 볼트 결합, 용접 등에 의해)연결하기 위한 공정은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와 관련된 비용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 등받이 섀시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시팅 시스템은 또한,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래킷을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 및 상기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쿠션 팬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 바닥 섀시는 단품 재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래킷들을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에 관한 것이다. 시트 바닥 섀시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전방부에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로 연장하는 쿠션 팬, 및 상기 쿠션 팬의 후방으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를 더 포함한다. 시트 바닥 섀시는 단품 재료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단품 재료로부터 시트 바닥 섀시를 스탬핑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트 바닥 섀시는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시트 바닥 섀시의 전방부에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쿠션 팬, 및 상기 쿠션 팬의 후방으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를 포함한다.
도 1은 단품 시트 바닥 섀시를 사용할 수 있는 시트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시트 바닥 섀시 및 이 섀시를 포함하는, 도 2에 도시된 시트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바닥 섀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바닥 섀시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시트 바닥 섀시의 측면도이다.
도 1은 현재 기술의 일면에 따른 단품(one-piece) 시트 바닥 섀시를 포함하는 자동차(1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는 시트(14)를 갖는 내부(12)를 포함한다. 이후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트(14)는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된 시트 바닥 섀시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구성은 완전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된 다중 스탬핑 가공된 부품들을 포함하는 시트 바닥들에 비해서 시트 제조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상이한 형상의 다중 스탬핑 가공된 부품들(예를 들어, 브래킷, 쿠션 팬 등)을 갖는 시트 바닥은 각각의 부품을 스탬핑 가공하기 위한 별도의 다이 또는 별도의 다이 세트들을 필요로 한다. 이해되듯이, 제조 비용은 각각의 다이의 디자인 및 제조와 관련된 비용으로 인해 다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품 재료(예를 들어, 시이트 재료)로부터 시트 바닥 섀시를 형성하기 위해 단일 다이 또는 단일 다이 세트를 사용한다. 게다가, 전체 시트 바닥 섀시가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개별 부품들의 결합과 관련된 인건비 및 재료비가 상당히 감소되거나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시트 바닥 섀시는 연결부(보다 적은 용접 조인트, 보다 적은 볼트 연결부 등)의 수의 감소로 인해 다중 부품 섀시보다 더 가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단품 시트 바닥 섀시는 다중 부품을 연결함으로써 형성되는 종래의 섀시보다 가볍고 제조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14)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4)는 시트 바닥(16) 및 시트 등받이(1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 바닥(16)은 시트 바닥 섀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 및 섬유 커버링을 포함한다. 시트 바닥 섀시는 정상적인 차량 작동시 및 높은 관성력 이벤트(events)(예를 들어, 급가속 또는 급감속 등)시 탑승자의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에 상세히 논의하는 바와 같이, 시트 바닥 섀시는 또한, 시트 바닥(16)을 차량의 플로어에 고정하며 시트 등받이(18)에 장착 표면을 제공한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은 시트 바닥 섀시에 연결되어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섬유 커버링은 상기 조립체 주위에 배치되어 바람직한 외관을 제공 및/또는 시트 바닥(16)의 내부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시트 등받이(18)는 유사한 방식으로, 즉 경질 섀시에 고정되고 섬유 커버링에 의해 덮인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후에 상세히 논의하는 바와 같이, 시트 섀시는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됨으로써, 다중 부품으로 형성된 섀시에 비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바닥(16)은 시트 트랙(20)에 고정된다. 시트 트랙(20)은 차례로, 장착 피트(22: mounting feet)에 의해 자동차(10)의 플로어에 고정된다. 임의의 구성에서, 시트(14)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 트랙을 따라 병진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듯이, 시트 위치의 조절은 수동 또는 보조될 수 있다. 랙과 피니언 시스템과 같은 적합한 기구에 의해 트랙(20)을 따라 시트(14)를 구동시키도록 예를 들어, 전기 모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등받이(18)도 시트 바닥(16)에 대해 기울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트 등받이(18)의 조절은 또한, 수동 또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14)의 내부 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구조물은 시트 바닥 섀시(24) 및 시트 등받이 섀시(26)에 의해 형성된다. 시트 바닥 섀시(24)는 시트 트랙(20)에 장착되어서 시트(14)를 자동차(10)의 플로어(14)에 고정시킨다. 본 구성에서, 시트 바닥 섀시(24)는 트랙(20)에 따른 시트 위치의 수동 조절용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은 전기 모터, 기어 등과 같은 보조 위치 조절 기구를 장착할 수 있는 임의의 피쳐(featur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트 바닥 섀시(24)는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된다. 특히, 시트 바닥 섀시(24)의 각각의 피쳐는 단일 스탬핑 작업 또는 일련의 스탬핑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섀시 제조와 관련된 제조 비용은 완전한 시트 바닥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고정되는 다중 부품들을 사용하는 구성에 비해서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바닥 섀시(24)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바닥 섀시(24)는 쿠션 팬(28: pan), 크로스 부재(30), 및 한 쌍의 브래킷(32)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시트 바닥 섀시(24)를 형성하는 동일한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된다. 쿠션 팬(28)은 시트 바닥 섀시(24)의 전방부(34)에서(즉, 시트 등받이(18)와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브래킷(32)들 사이로 연장한다. 이해될 수 있듯이, 쿠션 팬(28)은 시트 바닥 섀시(24) 위에 배치된 쿠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구성에서, 쿠션 팬(28)은 섀시(24)의 후방부(36) 쪽으로 단지 짧은 거리로 연장한다. 그와 같은 쿠션 팬(28)은 "쿼터 팬(quarter pan)"으로서 공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쿠션 팬(28)은 시트 바닥 섀시(24)의 후방부(36) 쪽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팬(28)은 섀시(24)의 길이방향 범위의 약 2%, 5%, 10%, 15%, 20%, 25%, 30%, 40%, 50%, 또는 그보다 더 많이 연장될 수 있다. 게다가,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팬(28)은 시트(14)의 전방부(34)에 둥근 표면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곡선부(38)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구성은 탑승자의 개선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 크로스 부재(30)가 쿠션 팬(28) 뒤의 한 쌍의 브래킷(32)들 사이에서(즉, 쿠션 팬(28)과 섀시(24)의 후방부(36) 사이에서) 연장한다. 크로스 부재(30)는 시트 바닥 섀시(24)에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쿠션 지지 스프링(40)을 위한 고정 지점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지지 스프링(40)은 크로스 부재(30)와, 상기 섀시(24)의 후방부(36)에 위치된, 도시된 크로스 튜브(42)와 같은 스프링 지지 구조물 사이에서 연장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스프링 지지 구조물은 시트 바닥 섀시(24)를 형성하는 동일한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크로스 부재(30)는 스프링(40)을 크로스 부재(3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탭(4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와이어 쿠션 지지 스프링(40)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는 1, 2, 3, 4, 5, 6, 7, 8, 또는 그보다 많은 스프링(40)과 같은 다소간의 스프링(4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 스프링(40)은 제 1 단부(46) 및 제 2 단부(4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부(46)는 제 1 탭(44) 내에 배치되며, 제 2 단부(48)는 제 2 탭(44)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쿠션 지지 스프링(40)은 제 1 탭(44)으로부터 크로스 부재(42)로 연장한 후에 제 2 탭(44)으로 되돌아 간다. 스프링(40)은 크로스 튜브(42) 주위에 부분적으로 감겨서, 스프링(40)을 크로스 튜브(42)에 고정하는 곡선부(50)를 형성한다. 본 구성에서, 탭(44)들은 시트 바닥 섀시(24)를 포함하는 동일한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된다. 그와 같은 구성은 섀시 구조물이 형성된 후에 별도의 탭을 섀시(24)에 고정하는 것에 비교해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구성에서, 크로스 튜브(42)는 브래킷(32) 내부의 개구(52)를 통과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이들 개구(52)는 단품 시트 바닥 섀시(24)의 스탬핑 공정 중에 형성된다. 크로스 튜브(42)는 튜브 단부들과 브래킷(32) 사이의 접촉으로 튜브(42)의 측면 운동을 차단하도록 튜브의 단부들을 확대하거나 용접 연결에 의해 브래킷(32)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브래킷(32)은 또한, 실질적인 수평부(54) 및 실질적인 수직부(56)를 포함한다. 실질적인 수평부(54)는 시트 트랙(20)에 장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트(14)를 자동차(10)의 플로어에 고정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인 수평부(54)는 패스너(예를 들어, 볼트, 리벳 등)에 의해 또는 용접 연결(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아크 용접 등)에 의해 시트 트랙(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시트 바닥 섀시(24)는 시트 트랙(20) 내의 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실질적인 수평부(54)의 전방부(34)에 탭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구성에서, 시트 바닥 섀시(24)는 탭을 개구 내측에서 삽입하고 실질적인 수평부(54)의 후방부(36)를 패스너(예를 들어, 볼트, 리벳 등)에 의해 시트 트랙(20)에 부착함으로써 시트 트랙(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탭은 실질적 수평부(54)의 후방부(36)에 위치될 수 있으며, 패스너는 전방부(34)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탭은 시트 트랙에 부착되며 실질적인 수평부(54) 내의 개구에 연결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수직부(56)는 크로스 튜브(4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52)를 포함한다. 또한, 실질적인 수직부(56)는 시트 바닥 섀시(24)를 시트 등받이 섀시(26)에 연결하는 기울임 기구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개구(58)를 포함한다. 이해될 수 있듯이, 기울임 기구는 시트 바닥(16)에 대한 시트 등받이(18)의 회전을 수월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울임 기구는 시트 바닥 섀시(24)의 실질적인 수직부(56)에 용접 또는 그와는 달리 고정될 수 있다. 브래킷(32)의 실질적인 수직부(56)는 또한, 시트 벨트를 시트 바닥 섀시(24)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벨트 장착 앵커(60)를 포함한다. 실질적인 수평부(54) 및 실질적인 수직부(56) 모두는 단품 시트 바닥 섀시(24)의 스탬핑 공정 중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각각의 시트 바닥 구조물용 부착 지점들을 포함하는 단품 재료가 형성된다. 그와 같은 구성은 단일 스탬핑 작업 또는 일련의 스탬핑 작업들을 통해 섀시 구조물 및 각각의 부착 지점들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수평부(54), 실질적인 수직부(56), 및 측벽(62)은 각각의 브래킷(32) 내에 채널(64)을 형성한다. 이들 채널(64)은 시트 바닥 섀시(24)를 위한 구조용 지지대를 제공하며 다양한 장치 또는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채널(64)은 에어 블래더, 측면 에어백 또는 폼 쿠션과 같은 측면 지지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면 지지 장치는 차량 탑승자에 대한 향상된 측면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정상적인 자동차 작동 중 및/또는 고 관성력 이벤트 중에 탑승자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64)은 실질적인 수직부(56)를 넘어서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과 같은 고밀도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폼은 시트 바닥(16)의 측면 영역에서 향상된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측면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각각의 채널(64)은 선택적으로 팽창 및 수축함으로써 가변적인 측면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팽창가능한 공기 블래더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는 공기 블래더를 팽창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수동으로 활성화함으로써, 향상된 측면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기 블래더는 고속 회전 중과 같은 고 관성력 이벤트 중에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 관성력 이벤트 중에 탑승자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64)은 탑승자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측면 충돌과 같은 고 측면 관성력 이벤트 중에 급속 팽창하도록 구성된 에어백을 수용할 수 있다.
채널(64)은 또한, 탑승자 안락감 및/또는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기 위해 편심 질량 진동기(eccentric mass shaker)와 같은 진동 기구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기구는 운전 중 탑승자 안락감을 향상시키도록 수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진공 기구는 다양한 검출된 상황을 운전자에게 주의시키도록 자동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10)가 차선 밖으로 이동되면, 차내 컴퓨터가 이러한 상황을 검출하며 운전자를 경고하기 위해 운전석에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진동 기능은 일반적으로 햅틱 피드백으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차선 이탈, 차량 접근 또는 장애물, 제한 속도 초과, 방향 지시등 활성화, 낮은 연료 레벨, 충돌 방지, 또는 다른 검출된 상황들에 대해 운전자에게 주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64)은 시트 바닥 섀시(24)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실시예에서, 커버가 채널(64) 위에 놓여서 하니스의 와이어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도관을 형성한다. 또한, 채널(64)은 시트 바닥(16)으로부터 연장하는 서랍 또는 미끄럼 발판을 위한 트랙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된 트랙은 각각의 채널(64)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미끄럼 트랙이 고정 트랙에 연결될 수 있으며 채널(64)에 대해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실 또는 서랍은 미끄럼 트랙이 연장될 때 저장실이 노출되고 미끄럼 트랙이 수축될 때 은폐되도록 미끄럼 트랙에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발판은 미끄럼 트랙에 연결되며 탑승자의 안락함을 촉진시키도록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트 바닥 섀시(24)는 쿠션 팬(28)과 크로스 부재(30) 사이에 형성된 개구(66)를 포함한다. 채널(64)과 유사하게, 개구(66)는 다양한 장치 및/또는 구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66)는 정면 충돌 중에 탑승자의 전방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대잠 장치(antisubmarine device)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대잠 장치는 정상적인 차량 작동 중에 실질적으로 평탄한 시팅(seating) 표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정면 충돌의 검출시 대잠 장치의 일부분은 수직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시트 바닥과 랩 벨트(lap belt) 사이에서 탑승자 미끄럼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하는 힘을 탑승자 다리에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66)는 예를 들어, 탑승자 안락함 및/또는 안전성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되는 다른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바닥 섀시(24)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바닥 섀시(24)는 섀시(24)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일련의 강성 플랜지 또는 립(lip)을 포함한다. 특히, 제 1 플랜지(68)는 쿠션 팬(28)과 크로스 부재(30)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66) 주위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는 섀시(24)의 바닥 쪽으로 내향으로 구부러진다. 플랜지(68)의 깊이 및 곡률반경은 특히, 중량의 실질적인 증가없이 섀시(24)의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 2 플랜지(70)는 크로스 부재(30)의 후방 측을 따라 형성되며 섀시(24)의 후방부(36) 쪽으로 각각의 브래킷(32)을 따라 연장한다. 제 1 플랜지(68)와 유사하게, 제 2 플랜지(70)는 섀시(24)의 바닥 쪽으로 내향으로 구부러지며 제 1 플랜지(68)와 유사한 깊이 및 곡률반경을 가진다. 게다가, 제 3 플랜지(72)는 각각의 브래킷(32)의 실질적인 수직부(56)의 상부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 3 플랜지(72)는 상기 바닥 섀시(24)의 전방부(34)로부터 후방부(36)로 연장한다. 이해될 수 있듯이, 대체 실시예들은 다소간의 플랜지 및/또는 상이한 플랜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68,70,72)는 단품 시트 바닥 섀시(24)의 스탬핑 가공 공정 중에 형성된다. 특히, 플랜지(68,70,72)들은 섀시(24) 구조물을 형성하는 동일한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된다. 이해될 수 있듯이, 플랜지(68,70,72)들은 시트(14) 중량의 상당한 증가 없이 섀시(24)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시트 바닥 섀시(24)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74)는 브래킷(32)의 실질적인 수직부(56) 내에 배치된다. 오목부(74)는 시트(14) 중량의 상당한 증가 없이 섀시(24)에 추가의 구조적 강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오목부(74)가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브래킷(32) 내에 배치되지만, 대체 실시예들은 다소간의 오목부(74)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브래킷(32) 내에 1, 2, 3, 4, 5, 6, 7, 8, 또는 그 보다많은 오목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74)의 길이, 폭, 깊이 및 방위는 대체 실시예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74)는 고 관성력 이벤트(예를 들어, 급가속, 급감속 등) 시에도 구조적 일체감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도를 시트 바닥 섀시(24)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구성에서 오목부(74)는 단품 시트 바닥 섀시(24)를 형성하는 공정 중에 브래킷(32) 내에 스탬핑 가공된다. 예를 들어, 오목부(74)는 실질적인 수직부(56)가 제위치로 구부러진 후에 형성됨으로써, 강성 오목부(74)의 정확한 위치를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바닥 섀시(24)의 각각의 피쳐(예를 들어, 쿠션 팬(28), 크로스 부재(30), 브래킷(32), 플랜지(68,70,72) 등)는 단품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된다. 이해될 수 있듯이, 스탬핑 가공 공정은 다중 작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바닥 섀시(24)의 임의의 피쳐들은 단품 재료(예를 들어, 시이트 재료)가 일련의 스탬핑 작동들을 통과시키는 점진적(progressive) 스탬핑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작동들은 펀칭, 코이닝(coining), 벤딩, 및/또는 다른 스탬핑 가공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구성에서, 단품 재료들은 자동 공급 시스템을 통해 다중 다이들을 통과한다. 상기 다이들은 완성된 구조물이 형성될 때까지 시트 바닥 섀시(24)의 각각의 피쳐를 점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래킷(32)의 실질적인 수직부(56)는 실질적 수직부(56)의 각도가 일련의 다이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점진적 벤딩 작동을 통해 상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와 같은 스탬핑 가공 작동은 재료에 가해진 응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바닥 섀시(24)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일련의 다이들 사이에서 단품 재료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제 1 다이로부터 단품 재료를 이동시키며 완성된 시트 바닥 섀시(24)가 형성될 때까지 이동된 재료를 각각의 연속적인 다이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지 임의의 피쳐들 및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변형 및 변경예(예를 들어, 다수의 요소들의 크기, 치수, 구조, 형상 및 비율의 변동; 변수(예를 들어, 온도, 압력 등)의 값들의 변동, 장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 방위 등의 변동)들이 특허청구범위에 인용된 요지의 장점 및 신규한 기술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이탈함이 없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고려될 수 있다. 임의의 공정 또는 방법의 단계들의 순서 또는 시퀀스가 대체 실시예들에 따라 변경 또는 재정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그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예들을 포함하는 것이라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정확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있어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피쳐들은 설명되지 않았을 수 있다(즉,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고려된 가장 바람직한 모드와 무관한 것, 또는 청구된 본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무관한 것). 임의의 엔지니어링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은 그와 같은 임의의 실제 구현예의 개선에 있어서 다수의 구현예에 대한 특별한 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같은 개선의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인 것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실험없이 본 발명의 설명의 이득을 취한 당업자들에게는 디자인, 조립 및 제작에 대한 통상적인 일일 수 있다.

Claims (20)

  1. 차량 시팅 시스템으로서,
    시트 등받이 섀시, 및
    상기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래킷, 및 상기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쿠션 팬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 바닥 섀시는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닥 섀시는 상기 쿠션 팬의 후방으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튜브를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와 상기 크로스 튜브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 지지 스프링은 상기 크로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탭에 의해 상기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탭은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팬은 강성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플랜지는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은 강성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플랜지는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은 브래킷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목부는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차량 시팅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브래킷은 시트 트랙에 장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평 표면을 포함하는,
    차량 시팅 시스템.
  10. 시트 바닥 섀시로서,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래킷과,
    상기 시트 바닥 섀시의 전방부에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쿠션 팬, 및
    상기 쿠션 팬의 후방으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바닥 섀시는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 바닥 섀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팬은 강성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플랜지는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 바닥 섀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튜브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와 상기 크로스 튜브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 지지 스프링은 상기 크로스 부재 내에 배치되는 탭에 의해 상기 크로스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탭은 단품 재료로 형성되는,
    시트 바닥 섀시.
  15.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으로서,
    단품 재료로부터 상기 시트 바닥 섀시를 스탬핑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바닥 섀시가 시트 등받이 섀시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인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시트 바닥 섀시의 전방부에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쿠션 팬, 및 상기 쿠션 팬의 후방으로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닥 섀시를 스탬핑 가공하는 단계는 상기 쿠션 팬 내에 강성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닥 섀시를 스탬핑 가공하는 단계는 각각의 브래킷 내에 강성 플랜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바닥 섀시를 스탬핑 가공하는 단계는 각각의 브래킷 내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오목부는 상기 브래킷을 강화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들 사이에 크로스 튜브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부재와 크로스 튜브 사이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쿠션 지지 스프링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바닥 섀시의 제조 방법.
KR1020127011333A 2009-10-02 2010-10-01 단품 시트 바닥 섀시 KR101599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810909P 2009-10-02 2009-10-02
US61/248,109 2009-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908A true KR20120082908A (ko) 2012-07-24
KR101599863B1 KR101599863B1 (ko) 2016-03-07

Family

ID=4308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333A KR101599863B1 (ko) 2009-10-02 2010-10-01 단품 시트 바닥 섀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19886B2 (ko)
EP (1) EP2483103A1 (ko)
JP (1) JP5788393B2 (ko)
KR (1) KR101599863B1 (ko)
CN (1) CN102666198B (ko)
WO (1) WO2011041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1801B2 (ja) * 2010-06-08 2014-06-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561129B2 (ja) * 2010-11-30 2014-07-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132761B2 (en) * 2011-08-10 2015-09-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EP2807052B8 (en) * 2012-01-26 2017-08-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a one-piece seat back structure
GB2515576A (en) * 2013-06-28 2014-12-31 Gordon Murray Design Ltd Vehicle Seat
FR3010356B1 (fr) 2013-09-09 2020-03-27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ssemblage pour une armature de siege, armature de sie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ssemblage.
JP6440022B2 (ja) * 2014-11-28 2018-12-1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16159007A (ja) * 2015-03-04 2016-09-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US9796310B1 (en) * 2016-07-28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one-piece cushion nose
WO2018029899A1 (ja) * 2016-08-09 2018-02-1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BR112019005879B1 (pt) * 2016-09-27 2022-12-20 Proma S.P.A. Assento para veículos tendo borda de engate
JP2018094991A (ja) * 2016-12-09 2018-06-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031U (ko) * 1987-07-29 1989-02-02
JP2002159369A (ja) * 2000-11-29 2002-06-04 Tachi S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JP2004057241A (ja) * 2002-07-24 2004-02-26 Tachi S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0675A (en) 1972-10-12 1974-05-14 Gen Motors Corp Vehicle seat cushion with resilient back bar
JPS5377754A (en) 1976-12-20 1978-07-10 Toyota Motor Co Ltd Seat frame for vehicles
US4509796A (en) * 1981-12-29 1985-04-09 Tachikawa Spring Co., Ltd. Seat frame for vehicle seat
JPS61169731U (ko) * 1985-04-09 1986-10-21
JPS6421032A (en) 1987-07-15 1989-01-2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High strength sintered diamond and production thereof
JPS6421031A (en) 1987-07-15 1989-01-24 Nippon Nuclear Fuel Dev Zirconium or zirconium-based alloy for nuclear fuel element sheathing pipe
JPH0511070Y2 (ko) * 1987-07-29 1993-03-18
US4969687A (en) * 1988-05-11 1990-11-1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assenger seat for motor vehicle
DE4128954A1 (de) * 1991-08-30 1993-06-09 Eca Gmbh & Co. Kg, 5632 Wermelskirchen, De Sitzteil eines fahrzeugsitzes
US5284381A (en) * 1991-11-19 1994-02-08 Tachi-S Co. Ltd. Structure of seat cushion frame in automotive seat
JPH08268132A (ja) 1995-03-30 1996-10-15 Tachi S Co Ltd 板金シート・フレーム
JP3017931U (ja) * 1995-04-11 1995-11-07 株式会社アザックス 身回品掛け具
FR2753935B1 (fr) * 1996-10-02 1998-12-0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Procede pour realiser un siege de vehicule, et siege realise selon ce procede
US6045186A (en) * 1998-12-04 2000-04-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igh tension back frame for vehicle seat assembly
DE60045051D1 (de) * 1999-01-14 2010-11-11 Toyota Motor Co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sitzenden Passagiers
FR2789027B1 (fr) * 1999-02-03 2001-04-1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fil d'ancrage pour fixer un element sur ce siege
DE19943890C1 (de) * 1999-09-14 2001-02-15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Sitzteil eines Kraftfahrzeugsitzes
US6619750B2 (en) * 2001-07-02 2003-09-16 Tachi-S Co., Ltd.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seat
WO2004026080A1 (ja) * 2002-09-03 2004-04-01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シート
JP4560661B2 (ja) * 2004-03-31 2010-10-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座面高さの調整可能なリフター機構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JP4695358B2 (ja) * 2004-07-30 2011-06-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乗員重量測定装置
JP4050729B2 (ja) * 2004-07-30 2008-02-2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乗員重量測定装置
FR2878200B1 (fr) 2004-11-25 2008-06-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ssise de siege ava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5060446A1 (de) * 2005-12-17 2007-06-21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DE102007007296A1 (de) * 2007-02-12 2008-08-14 Keiper Gmbh & Co.Kg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FR2917023B1 (fr) 2007-06-11 2009-08-28 Faurecia Sieges Automobile Structure d'assis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JP2009196414A (ja) * 2008-02-19 2009-09-03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10084951A (ko) 2008-10-16 2011-07-26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단일 피스 좌석 구조물 및 좌석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냉간 포밍 프로세스
US8371655B2 (en) * 2008-10-20 2013-02-12 Nhk Spring Co., Ltd. Seat cushion frame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and seat for vehicle with seat cushion frame structure
JP5365167B2 (ja) * 2008-11-28 2013-12-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シート用緩衝体
JP5521801B2 (ja) * 2010-06-08 2014-06-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68356B2 (ja) * 2010-11-05 2015-08-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フレーム
JP5625831B2 (ja) * 2010-12-01 2014-11-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KR101220803B1 (ko) * 2010-12-28 2013-01-11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용 시트 구조
JP5799838B2 (ja) * 2012-02-01 2015-10-2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JP5987491B2 (ja) * 2012-06-21 2016-09-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の防振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1031U (ko) * 1987-07-29 1989-02-02
JP2002159369A (ja) * 2000-11-29 2002-06-04 Tachi S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JP2004057241A (ja) * 2002-07-24 2004-02-26 Tachi S Co Ltd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6198A (zh) 2012-09-12
WO2011041649A1 (en) 2011-04-07
US8919886B2 (en) 2014-12-30
US20120193965A1 (en) 2012-08-02
JP5788393B2 (ja) 2015-09-30
CN102666198B (zh) 2015-04-22
EP2483103A1 (en) 2012-08-08
KR101599863B1 (ko) 2016-03-07
JP2013506595A (ja)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2908A (ko) 단품 시트 바닥 섀시
US8398166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8308235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8439440B2 (en) Vehicle seat assembly
JP6787233B2 (ja) 車両下部構造
US10029583B2 (en) Vehicle seat
CN111137241B (zh) 车辆用座椅
JP6565785B2 (ja) 乗物用シート
JP6339629B2 (ja) 乗物用シート
US20160347225A1 (en) Vehicle seat
CN110418732B (zh) 座椅靠背框架的加强构造
JP2017226377A (ja) 乗物用シート
US11613223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2005067427A (ja) 自動車の側突対応構造
JP7025286B2 (ja) 車両の室内構造
JP5800224B2 (ja) リアシート支持構造
WO2007114133A1 (ja) 乗員拘束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3329098B2 (ja)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JP2017109628A (ja) 自動車のリヤシート支持構造
JP2008105507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7338231B2 (ja) 電動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5970728B2 (ja) 自動車のfrp製キャビン
WO2013122071A1 (ja) 乗物用シート
JP4764141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08105508A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